KR101368828B1 -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828B1
KR101368828B1 KR1020120118237A KR20120118237A KR101368828B1 KR 101368828 B1 KR101368828 B1 KR 101368828B1 KR 1020120118237 A KR1020120118237 A KR 1020120118237A KR 20120118237 A KR20120118237 A KR 20120118237A KR 101368828 B1 KR101368828 B1 KR 101368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xagonal
concrete structure
block
wast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천종필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홀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홀인원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홀인원
Priority to KR1020120118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828B1/ko
Priority to US14/408,918 priority patent/US20150135613A1/en
Priority to CN201380055061.1A priority patent/CN104968860B/zh
Priority to PCT/KR2013/004591 priority patent/WO2014065480A1/ko
Priority to PCT/KR2013/009413 priority patent/WO201406556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풍 및 강풍압의 발생 시 농어촌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구조물 및 과실수, 간의 건축물 또는 도로의 차량 내지는 철도 및 항만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며, 건설 폐기물인 폐콘크리트와 폐철근을 재활용하여 각각의 육각 블록으로 제조하고, 제조되는 다수의 육각 블록을 상하 좌우와 2열로 적층하여 태풍 및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것으로, 일면에 다수의 고정홈(110)이 형성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대면하는 한 쌍의 육각 블록(100); 상기 한 쌍의 육각 블록(100)의 고정홈(110)에 양단이 고정되는 다수 개의 연결바(111); 및 상기 대면하는 한 쌍의 육각 블록(10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모서리에 상기 연결바(111)에 결합되는 고리부(210)(원형 또는 갈고리 형상)가 다수 형성되고, 내부에 우수가 저장되도록 구비되는 우수팩(2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Strong wind reduction and eco-friendly rainwater store concrete structure and concrete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본 발명은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풍 및 강풍압의 발생 시 농어촌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구조물 및 과실수, 간이 건축물 또는 도로의 차량 내지는 철도 및 항만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며, 건설 폐기물인 폐콘크리트와 폐철근을 재활용하여 각각의 육각 블록으로 제조하고, 제조되는 다수의 육각 블록을 상하 좌우와 2열로 적층하여 태풍 및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풍벽은 강풍 또는 돌풍이 발생되는 지역에 설치함으로 바람에 의한 피해를 줄이고자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고가도로 또는 교량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산간 또는 해안 등의 고속도로 및 전용도로에서는 강한 바람에 의한 자동차의 갑작스러운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전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도로 좌우측에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로의 차량을 보호하기 위해 플라스틱 패널 또는 철재로 이루어진 방풍벽이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과수농가에서 그물망을 이용한 방풍벽을 사용하여 낙과 피해를 줄이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도로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풍벽은 태풍 및 강풍압에는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과수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그물망의 방풍벽은 전체 피해의 일부만 줄여주는 기능밖에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피해를 줄이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3207호 방풍판을 구비하는 방풍벽을 (주)와이.에스.씨에서 기술을 제안하였으며, 상기의 기술은 구조물 사이에 다수개의 방풍판을 상하로 이격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방풍판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의 다른 경사각을 갖는 경사판을 형성하여 바람의 흐름을 유도하여 바람의 세기를 완화시키고, 또 상기 방풍판의 양측에 형성된 축을 완충부재에 의해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바람의 세기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풍벽에 관한 기술이다.
하지만, 상기의 기술은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져 강한 태풍 및 강풍압으로 인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더욱이 방풍판과 방풍판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어 얇은 판으로 이루어진 방풍판은 바람의 저항을 이기지 못하고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하나하나의 방풍벽을 생산하여 완충부재에 조립함으로, 생산 비용이 많이 들게 되며, 시공 후 유지 관리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농어촌에서 사용되는 각종 구조물과 과수원 등의 강풍피해를 저감시키고, 간척지나 농업용수 부족지역을 위하여 우수저장기능을 갖추고 간접적으로 방음효과를 갖게 하며, 다기능을 갖으면서도 원하는 곳으로 이동설치가 가능한 다방면의 사용이 가능한 방풍벽을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육각블록을 상하좌우로 다수개 적층하여 태풍 및 강풍압의 발생시 농어촌에서 사용되고 각종 구조물 및 과실수, 간이 건축물 또는 도로의 차량 내지는 철도 및 항만시설을 보호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육각 블록이 상하좌우와 2열로 적층되어 태풍 및 강풍압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육각 블록은 건설 폐기물로 배출되는 폐콘크리트와 폐철근을 사용하여 제작함으로 건설 폐기물의 처리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육각 블록 사이에 우수팩을 구비하여 우수를 받아 저장탱크에 저장함으로 간척지나 농업용수 부족지역에 저장된 우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원하는 곳으로 이동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면이 고르지 않는 장소 및 지반이 약한 장소에 육각 블록을 설치하기 위해 지지블록을 설치하여 육각 블록이 고르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에 있어서, 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것으로, 일면에 다수의 고정홈(110)이 형성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대면하는 한 쌍의 육각 블록(100); 상기 한 쌍의 육각 블록(100)의 고정홈(110)에 양단이 고정되고 또는 관통되어 고정핀(180)으로 고정되는 다수 개의 연결바(111); 및 상기 대면하는 한 쌍의 육각 블록(10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모서리에 상기 연결바(111)에 결합되는 고리부(210)(원형 또는 갈고리 형상)가 다수 형성되고, 내부에 우수가 저장되도록 구비되는 우수팩(200); 및 한 쌍으로 구비되는 육각 블록(100)이 수직으로 쌓여 방풍벽을 구성시 수직방향으로 병렬로 형성되는 인접하는 우수팩(200) 간의 상단면 및 하단면의 개구된 영역을 관 형태로 상호 결합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관(220); 이 구비되며,상기 연결관(220)을 통하여 우수팩(200)에 저장되는 우수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육각 블록(100)에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통풍공(120);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육각 블록(100)은 제조시 메쉬망(130)이 양면으로 부착되어 크랙 또는 파손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육각 블록(100)에는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관통하는 것으로, 철근 삽입을 위한 다수의 관통공(140);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육각 블록(100)을 상하 좌우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되는 육각 블록(100)이 2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육각 블록(100) 하측으로 위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ㄷ자형 지지블록(160); 상기 지지블록(160)을 지면에 결합하기 위한 지지앵커(161); 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한 쌍으로 구비되는 육각 블록(100)이 수직으로 쌓여 방풍벽을 구성시 방풍벽을 구성하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육각 블록(100)은 상기 지지블록(160)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블록(160)과, 방풍벽을 구성하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육각 블록(100) 사이에 위치되는 저면 블록(150); 이 더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저면 블록(150)은 일면 또는 양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곡선을 이루어져 바람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우수팩(200) 상단으로 우수를 받을 수 있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구비되는 우수받이(230); 가 더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우수받이(230)는 유연성을 갖고 녹이 슬지 않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우수받이(230) 상단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이물질 방지망(231);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수받이(230) 하측으로 오염된 초기 우수를 걸러낼 수 있도록 구비되는 초기우수관(240); 상기 초기우수관(240) 일측에 초기 우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레벨센서(241); 상기 초기우수관(240)에 일부 걸러지는 초기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초기우수 배출관(242);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으로 구비되는 육각 블록(100)이 수직으로 쌓여 방풍벽을 구성시 방풍벽을 구성하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육각 블록(100) 사이에 형성되는 우수팩(200) 일측으로 저장되는 우수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이송관(250); 상기 우수팩(200) 각각에서 구성되는 이송관(250)이 우수를 한 곳으로 모아주기 위해 구비되는 저장탱크(26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260)의 인입부(261)에 우수에 섞여 이동되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해 구비되는 필터(27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육각 블록(100)을 상하 좌우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벽에 대한 것으로, 상기 상하로 적층 된 다수의 육각블록(100)을 관통하는 관통공(140)에 삽입되는 인장근(141);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육각 블록(100)과 지면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지선(170); 및 상기 지선(170)을 고정하기 위해 육각 블록(100) 일측면과 지면에 구비되는 고정쇠(17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것으로, 일면에 다수의 고정홈(110)이 형성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대면하는 한 쌍의 육각 블록(100); 상기 한 쌍의 육각 블록(100)의 고정홈(110)에 양단이 고정되고 또는 관통되어 고정핀(180)으로 고정되는 다수 개의 연결바(111); 및 상기 대면하는 한 쌍의 육각 블록(10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모서리에 상기 연결바(111)에 결합되는 고리부(210)(원형 또는 갈고리 형상)가 다수 형성되고, 내부에 우수가 저장되도록 구비되는 우수팩(200); 및 한 쌍으로 구비되는 육각 블록(100)이 수직으로 쌓여 방풍벽을 구성시 수직방향으로 병렬로 형성되는 인접하는 우수팩(200) 간의 상단면 및 하단면의 개구된 영역을 관 형태로 상호 결합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관(220); 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220)을 통하여 우수팩(200)에 저장되는 우수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 쌍으로 구비되는 육각 블록(100)을 제조하는 과정은, 건설폐기물에서 배출되는 폐콘크리트와 폐철근을 선별하기 위한 콘크리트 폐기물 선별단계(S10); 상기 선별된 폐콘크리트를 파쇄하기 위한 콘크리트 폐기물 파쇄단계(S20);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를 성형하기 위해 성형 틀을 제작하고, 상기 성형 틀에서 제조되는 콘크리트 구조체(10)가 쉽게 탈형되도록 상기 성형 틀 내벽에 파라핀을 도포하는 성형 틀 제작 및 파라핀 도포단계(S30); 상기 성형 틀에 교차되도록 주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주철근 일측으로 메쉬망을 구비하는 주철근 및 메쉬망 설치단계(S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 틀에 주철근 및 메쉬망을 설치한 후 선별과정을 통해 파쇄된 콘크리트 폐기물을 상기 성형 틀에 투입하는 콘크리트 폐기물 투입단계(S50); 상기 콘크리트 폐기물 투입 후 콘크리트 구조체(10)를 형성하기 위해 시멘트를 투입하는 시멘트 투입단계(S60); 상기 시멘트 투입 후 굳어진 콘크리트 구조체(10)를 탈형하기 위해 성형 틀에 열을 가해 파라핀을 녹임으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가 탈형 되는 성형 후 탈형단계(S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육각블록을 상하좌우로 다수개 적층하여 태풍 및 강풍압의 발생시 농어촌에서 사용되고 각종 있는 구조물 및 과실수, 간이 건축물 또는 도로의 차량 내지는 철도 및 항만시설을 보호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육각 블록이 상하좌우와 2열로 적층되어 태풍 및 강풍압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육각 블록을 건설 폐기물로 배출되는 폐콘크리트와 폐철근을 사용하여 제작함으로 건설 폐기물의 처리비용을 절감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넷째,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육각 블록 사이에 우수팩을 구비하여 우수을 받아 저장탱크에 저장함으로 간척지나 농업용수 부족지역에 저장된 우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섯째,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원하는 곳으로 이동설치가 가능하여 다방면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섯째, 지면이 고르지 않는 곳에 육각 블록을 설치하기 위해 지지블록을 설치하여 육각 블록이 고르게 설치되도록 함으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에 대한 결합시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에 대한 육각 블록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에 대한 제작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에 대한 공기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에 대한 설치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대한 육각 블록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대한 제작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1에 대한 콘크리트 구조체 분해도이며, 도 6은 도 1에 대한 공기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대한 설치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의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는 폐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것으로, 일면에 다수의 고정홈(110)이 형성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대면하는 한 쌍의 육각 블록(100); 상기 한 쌍의 육각 블록(100)의 고정홈(110)에 양단이 고정되는 다수 개의 연결바(111); 및 상기 대면하는 한 쌍의 육각 블록(10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모서리에 상기 연결바(111)에 결합되는 고리부(210)(원형 또는 갈고리 형상)가 다수 형성되고, 내부에 우수가 저장되도록 구비되는 우수팩(2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10)에 대한 사시도이며,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a)는 외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b)는 내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10)는 건설폐기물로 배출되는 폐콘크리트와 폐철근을 활용하여 하나의 육각 블록(100) 유닛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우수팩(200)은 우수를 저장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재질의 주머니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111)는 박달나무로 이루어진다.
상기 육각 블록(100)에는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도록 다수의 통풍공(120)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통풍공(120)은 태풍 및 강풍압 발생시 상기 육각 블록(100)이 받는 저항을 줄여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육각 블록(100)은 제조시 양측면에 메쉬망(130)을 부착함으로 충격 및 진동 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탈형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구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태풍 및 강풍압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심각함으로, 메쉬망(130)을 사용하여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육각 블록(100)에는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도록 다수의 관통공(14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40)에는 철근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각 블록(100)은 상하 좌우, 2열로 적층되어 다수의 육각 블록(100)이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육각 블록(100)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육각 블록(100) 하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어 ㄷ자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블록(16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블록(160)은 지면에 형성되는 홈에 놓이게 된다.
상기 지지블록(160)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해 지지앵커(161)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앵커(161)를 통해 지지블록(160)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최하단의 육각 블록(100)은 상기 지지블록(160)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블록(160)과 최하단 육각 블록(100) 사이에 저면 블록(150)이 구비된다.
상기 저면 블록(150)은 일면 또는 양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곡선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태풍 및 강풍압 발생시 바람의 방향을 상승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면 블록(150)이 곡선형태가 아닌 직각 형태일 경우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곡선형태를 이루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지지블록(160)에 개구된 곳에 저면블록(150)이 놓이게 되며, 상기 저면블록(150) 상측으로 육각 블록(100)이 적층되는 것이다.
또한, 육각 블록(100)과 저면 블록(150), 지지 블록(160)간의 일체화시키기 위해 관통공(1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수팩(200)을 상호 결합하도록 연결관(220)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220)을 통하여 우수팩(200)에 저장되는 우수가 상부 우수팩(200)에서 하부 우수팩(200)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우수팩(200)은 모서리 부분에 고리부(210)가 구비되어 육각 블록(100)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바(111)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a)는 연결바(111)가 고정홈(110)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며, (b)는 육각 블록(100)의 고정홈(110)이 관통되어 이루어지며, 연결바(111)가 육각 블록(100) 일측으로 돌출되어 육각블록(100) 양측으로 연결바(111)를 고정하는 고정핀(180)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흔들림에 의해 연결바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우수팩(200)은 유연성을 갖고 부피가 팽창시 또는 겨울철 동파시 파손되지 않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우수팩(200) 상단으로 우수를 받을 수 있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우수받이(230)가 구비되며, 상기 우수받이(230)는 유연성을 갖고, 녹이 슬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우수받이(230) 상단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 중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이물질 방지망(231)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우수받이(230) 하측으로 오염된 초기 우수를 걸러낼 수 있도록 초기우수관(240)이 구비되며, 상기 초기우수관(240)은 일정량의 우수를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초기우수관(240) 일측에 초기 우수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레벨센서(241)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초기우수관(240)에 일부 걸러지는 초기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초기우수관(240) 일측으로 초기우수 배출관(242)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우수팩(200) 중에 최하단에 구비되는 우수팩(200) 일측으로 저장된 우수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송관(250)이 구비되며, 상기 이송관(250)을 통해 이동되는 우수를 한곳으로 저장하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체(10) 일측 지면에 저장탱크(26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탱크(260)의 인입부(261)에 우수에 섞에 이동되는 물질을 걸러주기 위해 필터(27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270)는 걸러지는 이물질을 쉽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육각 블록(100)을 상하 좌우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방풍벽은 상기 상하로 적층 된 다수의 육각 블록(100)과 저면 블록(150) 및 지지블록(160)을 관통하는 관통공(140)에 인장근(141)을 삽입하는 것으로, 일체형의 콘크리트 구조체(10)를 형성하도록 하여 태풍 및 강풍압에도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육각 블록(100)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선(170)이 구비되며, 상기 지선(170)을 고정하기 위해 육각 블록(100) 일측면과 지면에 고정하도록 고정쇠(171)가 구비된다.
상기 육각 블록(100)과 지면에 구비되는 고정쇠(171)에 지선(170)을 구비하는 것으로 태풍 및 강풍압에 육각 블록(100)이 견디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고정쇠(171) 중의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쇠(171)는 지면에 콘크리트 틀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틀에 고정쇠(171)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10) 제조방법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10)는 건설 폐기물인 콘크리트 폐기물을 각각 선별하기 위한 콘크리트 폐기물 선별단계(S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별이 끝난 후 폐콘크리트를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는 콘크리트 폐기물 파쇄단계(S20)로 이루어진다.
또한, 건설 폐기물에서 배출되는 폐철근은 일정하게 잘라 파쇄된 콘크리트 폐기물과 함께 준비한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체(10)를 형성하기 위해 성형 틀을 제작하고, 상기 성형 틀 내벽에 파라핀을 도포하는 성형 틀 및 파라핀 도포단계(S30)가 이루어진다.
상기 파라핀을 도포하는 이유는 성형 틀에서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체(10)가 성형 틀에 열을 가함으로, 쉽게 탈형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성형 틀과 파라핀 도포가 완료되면, 상기 성형 틀 내부에 주철근을 교차되도록 설치하고, 메쉬망을 설치하는 주철근 및 메쉬망 설치단계(S40)가 이루어진다.
상기 주철근과 메쉬망은 콘크리트 구조체(10)에 가해지는 풍압 및 진동, 충격에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성형 틀에 주철근과 메쉬망을 설치한 후, 일정하게 파쇄시킨 콘크리트 폐기물과 폐철근을 상기 성형 틀에 투입하는 콘크리트 폐기물 투입단계(S50)가 이루어지며, 상기 콘크리트 폐기물 투입 후 콘크리트 폐기물이 서로 일체화시키기 위해 시멘트를 투입하는 시멘트 투입단계(S60)가 이루어진다.
상기 시멘트 투입 후 일정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체(10)가 완전히 굳어진 후에 성형 틀에 열을 가하여 파라핀을 녹임에 따라 성형된 콘크리트 구조체(10)가 성형 틀에서 탈형 되도록 하는 성형 후 탈형단계(S70)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가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공기흐름도이며,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a)에서는 일반적으로 비닐 하우스 등의 구조물이 받는 공기를 나타낸 것으로, 바람의 영향을 구조물 전체가 받는 것으로 태풍 및 강풍압 시 구조물이 파손되거나 붕괴되는 상황이 발생된다.
하지만, (b)에서는 구조물 일측으로 콘크리트 구조체(10)를 설치하였을 경우, 태풍 및 강풍압의 바람을 막아줌으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가 쓰러지지 않도록 형성시켜놓은 통풍공(120)을 통한 바람만이 구조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구조물이 받는 바람의 영향은 상당하게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a)는 100%의 바람이 불때, 구조물이 받는 영향은 100% 모두 받게되는 것이며, (b)는 100%의 바람이 불때, 콘크리트 구조체(10)에 의해 85% 이상의 바람은 상승되어지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에 형성되는 통풍공(120)으로 15%의 바람이 통과됨으로 구조물이 실질적으로 받는 바람의 영향은 크기 않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10)를 설치한 설치도이며,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촌 시설물 중의 피해가 가장 큰 비닐 하우스에 적용한 것으로, 태풍 및 강풍압 발생시 바람으로부터 비닐 하우스 등 구조물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물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블록(160) 상측으로 곡선이 이루어진 저면블록(150)이 삽입되고, 상기 저면블록(150) 상측으로 상하좌우 육각블록(100)이 적층되는 것이며, 상기 적층되는 육각블록(100)은 2열로 이루어져, 태풍 및 강풍압에 견디도록 설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10)는 태풍 및 강풍압의 피해를 많이 받는 농어촌의 각종 구조물 및 과실수, 간이 건축물 또는 도로의 차량 내지는 철도 및 항만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는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어떠한 장소든 이동설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간척지나 농업용수가 부족한 지역에는 저장탱크(260)를 구비하여 우수를 저장함으로 물을 필요로 할 상황에 저장된 우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0 : 콘크리트 구조체
100 : 육각 블록 110 : 고정홈
111 : 연결바 120 : 통풍공
130 : 메쉬망 140 : 관통공
141 : 인장근 150 : 저면블록
160 : 지지블록 161 : 지지앵커
170 : 지선 171 : 고정쇠
180 : 고정핀
200 : 우수팩 210 : 고리부
220 : 연결관 230 : 우수받이
231 : 이물질 방지망 240 : 초기우수관
241 : 레벨센서 242 : 초기우수 배출관
250 : 이송관 260 : 저장탱크
261 : 인입부 270 : 필터

Claims (16)

  1. 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것으로, 일면에 다수의 고정홈(110)이 형성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대면하는 한 쌍의 육각 블록(100);
    상기 한 쌍의 육각 블록(100)의 고정홈(110)에 양단이 고정되고 또는 관통되어 고정핀(180)으로 고정되는 다수 개의 연결바(111); 및
    상기 대면하는 한 쌍의 육각 블록(10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모서리에 상기 연결바(111)에 결합되는 고리부(210)(원형 또는 갈고리 형상)가 다수 형성되고, 내부에 우수가 저장되도록 구비되는 우수팩(200); 및
    한 쌍으로 구비되는 육각 블록(100)이 수직으로 쌓여 방풍벽을 구성시 수직방향으로 병렬로 형성되는 인접하는 우수팩(200) 간의 상단면 및 하단면의 개구된 영역을 관 형태로 상호 결합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관(220); 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220)을 통하여 우수팩(200)에 저장되는 우수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 블록(100)에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통풍공(120);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 블록(100)은 제조시 메쉬망(130)이 양면으로 부착되어 크랙 또는 파손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 블록(100)에는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관통하는 것으로, 철근 삽입을 위한 다수의 관통공(140);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 블록(100)을 상하 좌우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되는 육각 블록(100)이 2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 블록(100) 하측으로 위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ㄷ자형 지지블록(160);
    상기 지지블록(160)을 지면에 결합하기 위한 지지앵커(161);
    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한 쌍으로 구비되는 육각 블록(100)이 수직으로 쌓여 방풍벽을 구성시 방풍벽을 구성하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육각 블록(100)은 상기 지지블록(160)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160)과, 방풍벽을 구성하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육각 블록(100) 사이에 위치되는 저면 블록(150); 이 더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저면 블록(150)은 일면 또는 양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곡선을 이루어져 바람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팩(200) 상단으로 우수를 받을 수 있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구비되는 우수받이(230); 가 더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우수받이(230)는 유연성을 갖고 녹이 슬지 않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우수받이(230) 상단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이물질 방지망(231);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받이(230) 하측으로 오염된 초기 우수를 걸러낼 수 있도록 구비되는 초기우수관(240);
    상기 초기우수관(240) 일측에 초기 우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레벨센서(241);
    상기 초기우수관(240)에 일부 걸러지는 초기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초기우수 배출관(242);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으로 구비되는 육각 블록(100)이 수직으로 쌓여 방풍벽을 구성시 방풍벽을 구성하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육각 블록(100) 사이에 형성되는 우수팩(200) 일측으로 저장되는 우수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이송관(250);
    상기 우수팩(200) 각각에서 구성되는 이송관(250)이 우수를 한 곳으로 모아주기 위해 구비되는 저장탱크(26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260)의 인입부(261)에 우수에 섞여 이동되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해 구비되는 필터(27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 블록(100)을 상하 좌우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벽에 대한 것으로,
    상기 상하로 적층 된 다수의 육각블록(100)을 관통하는 관통공(140)에 삽입되는 인장근(141);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 블록(100)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지선(170); 및
    상기 지선(170)을 고정하기 위해 육각 블록(100) 일측면과 지면에 구비되는 고정쇠(17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15. 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것으로, 일면에 다수의 고정홈(110)이 형성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대면하는 한 쌍의 육각 블록(100); 상기 한 쌍의 육각 블록(100)의 고정홈(110)에 양단이 고정되고 또는 관통되어 고정핀(180)으로 고정되는 다수 개의 연결바(111); 및 상기 대면하는 한 쌍의 육각 블록(10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모서리에 상기 연결바(111)에 결합되는 고리부(210)(원형 또는 갈고리 형상)가 다수 형성되고, 내부에 우수가 저장되도록 구비되는 우수팩(200); 및 한 쌍으로 구비되는 육각 블록(100)이 수직으로 쌓여 방풍벽을 구성시 수직방향으로 병렬로 형성되는 인접하는 우수팩(200) 간의 상단면 및 하단면의 개구된 영역을 관 형태로 상호 결합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관(220); 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220)을 통하여 우수팩(200)에 저장되는 우수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 쌍으로 구비되는 육각 블록(100)을 제조하는 과정은,
    건설폐기물에서 배출되는 폐콘크리트와 폐철근을 선별하기 위한 콘크리트 폐기물 선별단계(S10);
    상기 선별된 폐콘크리트를 파쇄하기 위한 콘크리트 폐기물 파쇄단계(S20);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를 성형하기 위해 성형 틀을 제작하고, 상기 성형 틀에서 제조되는 콘크리트 구조체(10)가 쉽게 탈형되도록 상기 성형 틀 내벽에 파라핀을 도포하는 성형 틀 제작 및 파라핀 도포단계(S30);
    상기 성형 틀에 교차되도록 주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주철근 일측으로 메쉬망을 구비하는 주철근 및 메쉬망 설치단계(S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틀에 주철근 및 메쉬망을 설치한 후 선별과정을 통해 파쇄된 콘크리트 폐기물을 상기 성형 틀에 투입하는 콘크리트 폐기물 투입단계(S50);
    상기 콘크리트 폐기물 투입 후 콘크리트 구조체(10)를 형성하기 위해 시멘트를 투입하는 시멘트 투입단계(S60);
    상기 시멘트 투입 후 굳어진 콘크리트 구조체(10)를 탈형하기 위해 성형 틀에 열을 가해 파라핀을 녹임으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가 탈형 되는 성형 후 탈형단계(S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


KR1020120118237A 2012-10-24 2012-10-24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 KR101368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237A KR101368828B1 (ko) 2012-10-24 2012-10-24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
US14/408,918 US20150135613A1 (en) 2012-10-24 2013-05-27 Eco-friendly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strong wind pressure and storing rainwa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ucture
CN201380055061.1A CN104968860B (zh) 2012-10-24 2013-05-27 降低强风压且可以集蓄雨水的环保型结构物及其制造方法
PCT/KR2013/004591 WO2014065480A1 (ko) 2012-10-24 2013-05-27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구조체 및 구조체 제조방법
PCT/KR2013/009413 WO2014065562A1 (ko) 2012-10-24 2013-10-22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구조체 및 구조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237A KR101368828B1 (ko) 2012-10-24 2012-10-24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828B1 true KR101368828B1 (ko) 2014-03-03

Family

ID=5064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237A KR101368828B1 (ko) 2012-10-24 2012-10-24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8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278A (ko) * 1996-04-09 1997-11-07 이복영 토건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541974B1 (ko) * 2005-10-05 2006-01-10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도로의 친환경적인 집수기능을 구비한 울타리형 방음벽
KR100594892B1 (ko) * 2006-03-30 2006-06-30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우수저장이 가능한 친환경 도로 중앙분리대
KR20100136595A (ko) * 2009-06-19 2010-12-29 이웅재 바이오 육각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육각 블록 옹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278A (ko) * 1996-04-09 1997-11-07 이복영 토건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541974B1 (ko) * 2005-10-05 2006-01-10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도로의 친환경적인 집수기능을 구비한 울타리형 방음벽
KR100594892B1 (ko) * 2006-03-30 2006-06-30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우수저장이 가능한 친환경 도로 중앙분리대
KR20100136595A (ko) * 2009-06-19 2010-12-29 이웅재 바이오 육각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육각 블록 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4416B1 (en) Surfaces using structural modules
KR101141308B1 (ko) 우수 침투 및 저류 시스템
PL70588Y1 (pl) Uniwersalny element budowlany
US20150135613A1 (en) Eco-friendly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strong wind pressure and storing rainwa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ucture
CN209837048U (zh) 一种公路边坡防滑坡装置
EP2398969A1 (en) Modular block
CN201581411U (zh) 斜插式桩板墙
US20210189683A1 (en) Forming, drainage and ventilation system for agriculture, irrigation and athletic fields
KR101368828B1 (ko)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구조체 및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방법
KR102092689B1 (ko) 방초블록 구조체
KR101384348B1 (ko) 강풍압 저감과 우수저장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구조체 및 구조체 제조방법
EP2318595B1 (en) Retaining wall
KR101582865B1 (ko) 지반 토사 유실방지를 위한 다기능 식생프레임 구조체
US20110254192A1 (en) Structural Components fabricated from waste material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409448Y1 (ko) 집수정용 철 구조물
WO2006041292A1 (en) Sound-damping screen covered with growth, comprising panels covered with plants and a support construction
JP7266086B2 (ja) ハニカム補強法面
KR100562225B1 (ko)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KR100617373B1 (ko) 평면식 사면안정화 보강용 구조물
KR200450476Y1 (ko) 저수블록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저류조
KR20070083233A (ko) 인공지반 식물 식재용 상자
CN213233496U (zh) 装配式自锁菱形防护骨架
KR101222690B1 (ko) 개비온 블록
KR20090099176A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101180388B1 (ko) 경계석 설치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