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731B1 - A method of manufacturing D-galactose for use of the production of D-tagatose from whey permeate or dried whey permeate - Google Patents

A method of manufacturing D-galactose for use of the production of D-tagatose from whey permeate or dried whey perme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731B1
KR101368731B1 KR1020120006262A KR20120006262A KR101368731B1 KR 101368731 B1 KR101368731 B1 KR 101368731B1 KR 1020120006262 A KR1020120006262 A KR 1020120006262A KR 20120006262 A KR20120006262 A KR 20120006262A KR 101368731 B1 KR101368731 B1 KR 101368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permeate
whey
solution
whey membrane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2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5240A (en
Inventor
양성재
김민회
김택범
이영미
김성보
박승원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2000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731B1/en
Publication of KR20130085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2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7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 C07H1/06Separation;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3/00Compounds containing only hydrogen atoms and saccharide radical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C07H3/02Mono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2Monosaccha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으로부터 고형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고형 침전물이 제거된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으로부터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백질이 제거된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으로부터 회분, 염 또는 이 둘 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 용해액으로부터 갈락토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갈락토스를 이성화시켜 타가토스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가토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moving the solid precipitate from the solution of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Removing the protein from the whey membrane permeate or the solution of the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from which the solid precipitate is removed; And
A method for preparing galactose from a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solution, comprising removing ash, salt or both from the protein-removed whey membrane permeate solution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solution. It is about.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tagatose, comprising the step of isomerizing galactose produced by the method to obtain tagatose.

Description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로부터 타가토스의 제조 원료가 되는 갈락토스를 제조하는 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D-galactose for use of the production of D-tagatose from whey permeate or dried whey permeate}A method of manufacturing D-galactose for use of the production of D-tagatose from whey permeate or dried whey permeate}

본 발명은 유청 막 투과액(Whey Permeate)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Dried Whey Permeate, 이하 'DWP'라 한다)로부터 타가토스의 제조 원료가 되는 갈락토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청 분리 단백질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로부터 불순물인 단백질, 회분(염 포함), 기타 고형 침전물 등을 제거하는 공정을 통해 저렴한 원료로부터 갈락토스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타가토스를 대량 생산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galactose, which is a raw material for producing tagatose, from whey permeate or whey permeate pow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DWP'). Mass production of galactose and tagatose produced from inexpensive raw materials by removing impurities, proteins (including salt) and other solid precipitates from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To provide technology.

설탕으로 인한 칼로리 과잉, 비만과 충치를 예방할 수 있는 저칼로리 기능성 감미료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low calorie functional sweeteners to prevent sugar excess calories, obesity and tooth decay.

타가토스는 소비자들의 이와 같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상적인 설탕 대체 감미료로서 설탕과 거의 동등한 감미도(약 90%)이나 칼로리는 설탕의 약 30%인 저칼로리 감미료이다. Tagatose is an ideal sugar replacement sweetener that can satisfy consumers' desires, with a sweetness almost equivalent to sugar (about 90%) or a low-calorie sweetener that is about 30% sugar.

또한, 타가토스는 갈락토오스의 입체이성질체로서 체내에서 대사 속도가 낮고 흡수율 또한 낮아, 부작용이 없는 저칼로리 설탕 대체 감미료로 사용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참조: JECFA Sixty-third meeting, Geneva, 8-17 June 2004 - Food Additives)In addition, tagatose is a stereoisomer of galactose, which is known to be used as a low-calorie sugar substitute sweetener having low metabolic rate and low absorption rate in the body, without side effects. (See JECFA Sixty-third meeting, Geneva, 8-17 June 2004-Food Additives)

타가토스는 섭취량의 20% 정도 만이 소장에서 흡수되고, 나머지 80%는 장내 미생물이 서식하는 대장으로 이동되어 선택적으로 유산균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단쇄 지방산을 생성하며, 특히, 대장암을 예방하는 부티릭산(butyrate)를 다량으로 (전체 단쇄 지방산의 50% 수준까지) 생성하는 프리바이오틱(prebiotic)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타가토스는 1.5 kcal/g의 저칼로리 천연당으로서, 미국 FDA의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인정되어, 식품, 음료, 건강식품, 다이어트 첨가물 등에 기능성 감미료로서 사용되고 있다.Tagatose absorbs only about 20% of the intake from the small intestine, and the remaining 80% is transported to the large intestine where the intestinal microbes live, selectively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thereby producing short-chain fatty acids. butyrate) has a prebiotic property that produces large amounts (up to 50% of total short-chain fatty acids). Tagatose is a low-calorie natural sugar of 1.5 kcal / g, and is recognized as the General Recognized As Safe (GRAS) by the US FDA, and is used as a functional sweetener in foods, beverages, health foods, and dietary additives.

그러나 타가토스는 자연계에 흔하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유제품, 일부의 식물에 미량 함유되어 있는 희소당이므로 저칼로리 기능성 감미료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저렴한 원료로부터 대량 생산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However, since tagatose is not commonly present in nature but is a rare sugar contained in dairy products and some plants, a mass production technique must be developed from inexpensive raw materials to be used as a low-calorie functional sweetener.

미국 특허 제5002612호 및 동 제5078796호는 락타아제를 사용하여 유당(lactose) 또는 유당 함유물질을 갈락토스와 글루코스의 혼합물로 가수분해하고, 임의로 글루코스를 제거하고, 이어서 갈락토스를 타가토스로 화학적 이성질화시키는 D-타가토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U.S. Patent No. 5002612 and U.S. Pat. Provided are methods for preparing D-tagatose.

따라서 타가토스의 효소 공법을 이용한 생산의 핵심 중간 물질은 갈락토스로서, 현재까지 갈락토스의 공급은 유당의 분해를 통하여 공급함이 유일한 기술 개발의 방향이다.Therefore, the key intermediate of production using tagatose enzymatic method is galactose, and until now, the supply of galactose through the decomposition of lactose is the only direction of technology development.

그러나, 세계 시장에서의 유당의 가격은 날씨에 따른 원유의 생산량, 분유의 수요, 제 3국에서의 유당 소비량 변화 등의 정량화 되지 못하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하여 그 시장에서의 가격이 일정하지 않고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고유의 가격 패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시장에서의 원료 가격 변동은 안정적인 타가토스의 생산 원료 수급을 어렵게 한다. However, the price of lactose in the world market is not consistent with rising prices in the market due to various factors that cannot be quantified, such as crude oil production, milk powder demand, and changes in lactose consumption in third countries. It has a unique price pattern that repeats its decline. Raw material price fluctuations in these markets make it difficult to supply stable tagatose raw materials.

본 발명에 따르면 저가로 공급받을 수 있는 유청 분리 단백질의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로부터 갈락토스를 수득하여 이용할 경우 보다 안정적인 원료 공급을 도모하고 타가토스의 가격 안정화를 꾀할 수 있어 상당한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galactose is obtained from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genera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whey isolate protein which can be supplied at low cost, it is possible to supply more stable raw materials and stabilize price of tagatose. As a result, significant added value can be obtained.

미국 특허 제5002612호U.S. Patent No. 5002612 미국 특허 제5078796호U.S. Pat.No.5078796

없음none

현재 타가토스의 효소적 제조를 위한 원료 물질인 갈락토스의 생산은 유당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유당 수급이 불안정하고 유당의 가격이 고가이므로 타가토스의 제조원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보다 안정된 저가 원료의 유당 및 갈락토스의 제공은 타가토스 양산화의 선행 필수 요건이다. 본 발명에서는 타가토스 제조의 원료물질로서 저가 대체원료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비교적 산업화 활용도가 높지 않은 유청 분리 단백질의 제조 부산물인 유청 막 투과물 혹은 유청 막 투과 분말을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Currently, the production of galactose, a raw material for the enzymatic production of tagatose, is dependent on lactose. However, lactose supply is unstable and the price of lactose is high, which directly affects the manufacturing cost of tagatose. Therefore, the provision of lactose and galactose of more stable low-cost raw materials is a prerequisite for mass production of tagatos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efforts to develop a low-cost alternative raw material as a raw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tagatose, a technology that can economically utilize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ion powder, which is a by-product of the production of whey isolate protein, which is not highly industrialized. We want to develop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 내에는 탄수화물(유당) 성분 외에 단백질, 회분(염 포함), 기타 불순물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을 타가토스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유당 외 성분들을 경제적 및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의 개발이 요구된다.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contains protein, ash (including salt), and other impurities in addition to carbohydrate (lactose) components. To use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as a raw material for tagatose There is a need for a process for economically and effectively removing the above lactose non-components.

본 발명에서는 pH 조정 및 열처리 등의 물리 및 화학적 전처리를 통해 유청 막 투과액 혹은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으로부터 당 함량 변화 및 반응 부산물 생성 없이 고형화 반응을 유도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또한 상기 침전물이 제거된 유청 막 투과액 혹은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으로부터 단백질 제거를 위해서 종래의 비교적 고비용을 요구하는 흡착법이나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을 이용하지 않고 활성탄을 이용함으로써 경제적인 단백질 제거를 도모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cipitate is removed by inducing a solidification reaction without changing the sugar content and generating a reaction by-product from the dissolved solution of the whey membrane permeate or the whey membrane permeate through physical and chemical pretreatment such as pH adjustment and heat treatment. Economical protein removal was achieved by using activated charcoal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relatively expensive adsorption method or ion chromatography method to remove proteins from the dissolved whey membrane permeate or the dissolved solution of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또한, 상기와 같이 고형 침전물 및 단백질이 제거된 유청 막 투과액 혹은 유청 막 투과 분말 용해액은 전기 투석에 의해 이 중 함유된 염, 회분 또는 이 둘 다가 제거될 수 있으며, 본원에 따른 방법은 고형 침전물 및 단백질 제거의 전처리에 의해 전기 투석시 전기투석막의 오염 정도를 최소화하고 탈염효율을 증가시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solution in which the solid precipitate and the protein are removed as described above may be removed by electrodialysis to remove salts, ash or both,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treatment of the precipitate and protein removal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electrodialysis membrane and increasing the desalination efficiency during electrodialysis.

본 발명은 유청 분리 단백질의 제조시의 부산물인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 내 유당 이외의 성분인, 단백질, 회분(염 포함), 기타 고형 침전물 등을 효과적으로 및 경제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개발함으로써 현재 타가토스 생산을 위한 원료인 정제 유당 및/또는 결정 유당의 수급 및 원가 의존도를 극복하고, 또한 직·간접적으로 타가토스의 제조원가 개선의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develops a process for effectively and economically removing proteins, ash (including salts), and other solid precipitates, which are components other than lactose in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which are by-products in the production of whey isolate proteins. This overcomes the supply and cost dependence of refined lactose and / or crystalline lactose, which is a raw material for tagatose production at present, and has an effect of directly or indirectly improving the production cost of tagatose.

본 발명은 또한, 비교적 산업화 활용도가 높지 않은 유청 분리 단백질의 제조 부산물인 유청 막 투과물 혹은 유청 막 투과 분말을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echnology that can economically utilize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ion powder, which are by-products of the production of whey isolate proteins, which have relatively high industrial utiliz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갈락토스의 제조 방법의 전체적 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20%(w/v) DWP 용해액을 pH 6.8 보정하고 70℃에서 30분간 열처리, 원심분리한 결과 제거된 고형화 침전물 건조중량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각각의 분말활성탄(A 내지 F) 처리 후, 단백질 제거의 탈단백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도 3의 분말활성탄 중 활성탄 A로 처리 후, 온도 및 시간 조건 변화에 따른 단백질 제거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b는 도 3의 분말활성탄 중 활성탄 B로 처리 후, 온도 및 시간 조건 변화에 따른 단백질 제거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3의 분말활성탄 중 활성탄 A 처리시 탈단백 및 탈색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6은 전기투석 운전시간 변화에 따른 전기전도도 및 전류 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verall process of the method for producing galactos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result of the solidified precipitate dry weight removed as a result of 20% (w / v) DWP solution dissolved in pH 6.8, heat treatment, centrifugation at 70 ℃ for 30 minutes.
Figure 3 shows the deproteination rate results of protein removal after each powder activated carbon (A to F) treatment.
Figure 4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protein removal rat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time condition changes after treatment with activated carbon A in the powdered activated carbon of Figure 3, Figure 4b, after the treatment with activated carbon B in the powdered activated carbon of Figure 3, changes in temperature and time conditions It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protein removal rate according to.
5 is a photograph showing deproteinization and decolorization results when activated carbon A is treated in the powdered activated carbon of FIG. 3.
6 is a graph show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rate of change of current according to the change in electrodialysis operation time.

본 발명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으로부터 고형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Removing the solid precipitate from the solution of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상기 고형 침전물이 제거된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으로부터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Removing the protein from the whey membrane permeate or the solution of the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from which the solid precipitate is removed; And

상기 단백질이 제거된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으로부터 회분, 염 또는 이 둘 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 용해액으로부터 갈락토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method for preparing galactose from a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solution, comprising removing ash, salt or both from the protein-removed whey membrane permeate solution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solution. It is about.

본 발명에 따른 갈락토스의 제조 방법은 유청 분리 단백질의 제조 공정 중 부산물로 발생하는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을 원료로 하며 유청 막 투과액의 경우에는 이에 대해 별도의 처리 없이 고형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유청 막 투과 분말을 원료로 하는 경우에는 이의 가공을 위해 용제 물에 녹여 유청 막 투과 분말 용해액을 제조하고 이로부터 고형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galact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generated as a by-product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whey isolate protein, and in the case of whey membrane permeate, solid precipitates are removed without further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When whey membrane permeable powder is used as a raw material, it can be dissolved in solvent water to prepare a whey membrane permeable powder solution for processing thereof, and solid precipitates can be removed therefrom.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유청 분리 단백질'은 유청을 원료로 막 투과 공정을 통해 분리, 회수된 유청 단백질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whey separated protein' refers to whey protein separated and recovered through a membrane permeation process using whey as a raw material.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유청 막 투과액'은 상기 '유청 분리 단백질'의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인 막 투과액을 의미한다.The term 'whey membrane permeate' as used herein refers to a membrane permeate that is a by-product that occurs during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whey separated protein'.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유청 막 투과 분말'은 상기 '유청 막 투과액'을 농축,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whey membrane permeation powder' refers to a powder obtained by concentrating and drying the whey membrane permeate.

상기 고형 침전물의 제거 단계는 40 내지 90℃의 열처리 공정, pH 3 내지 9로 조정, 또는 이 둘 다에 의해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으로부터 고형 침전물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고형 침전물을 원심분리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분리 제거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상기 40 내지 90℃의 열처리 공정, pH 3 내지 9로 조정 과정은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 중 당 함량의 변화 또는 반응 부산물의 생성 없이, 당해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 용해액 중 고형 성분을 침전시킴으로써 최종 생성물인 갈락토스의 함량이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고형 성분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이고, 상기 pH 조정 과정은 바람직하게 pH 4 내지 8일 수 있다. The step of removing the solid precipitate produces a solid precipitate from a solution of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by a heat treatment process of 40 to 90 ° C., adjustment to pH 3 to 9, or both, and the resulting solid The precipitate can be carried out by separating and removing the precipitate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centrifugation. The heat treatment at 40 to 90 ° C., the adjustment to pH 3 to 9, is performed without changing the sugar content or generating the reaction byproduct in the solution of the whey membrane permeate or the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Precipitating the solid component in the powder solution has the effect of removing the solid component without affecting the content or quality of the final product galacto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 treatment process is preferably 50 to 80 ℃, the pH adjustment process may be preferably pH 4 to 8.

본 발명에서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백질이나 탄수화물(유당) 성분이 아닌 고형 불용성 물질의 침전화 정도가 증가하며, 또한 pH를 증가시킴에 따라 고형 불용성 물질의 침전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열처리 온도를 상승시키고, pH를 상승시킴에 따라 고형 불용성 물질의 침전이 가속화되어 고형 침전물이 확연히 증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고형 침전물 제거 단계는 열처리 공정의 온도를 60 내지 80℃로 가온시키고, pH를 5 내지 8로 조정하여 실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increased, the precipitation degree of the solid insoluble material which is not a protein or a carbohydrate (lactose) component increases, and the precipitation degree of the solid insoluble material may increase as the pH is increased. Therefore, as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raised and the pH is raised, precipitation of the solid insoluble substance may be accelerated, and the solid precipitate may increase significantly.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olid precipitate removal step may be carried out by warm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 treatment process to 60 to 80 ℃, adjust the pH to 5 to 8.

본 발명에 따른 갈락토스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고형 침전물이 제거된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으로부터 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제거 단계는 종래의 비교적 고비용을 요구하는 흡착법이나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을 이용하지 않고 활성탄을 이용함으로써 경제적인 단백질 제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galact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in can be removed from the solution of the whey membrane permeate or the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from which the solid precipitate is removed. The protein removal step is advantageous in that economical protein removal is possible by using activated carbon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relatively expensive adsorption method or ion chromatography method.

본 발명에서 활성탄으로 처리하여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고형 침전물이 제거된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을 활성탄으로 처리하고 10분 내지 9시간 동안 20 내지 90℃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바람직하게 분말 활성탄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A 내지 F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명시한 활성탄 A는 Norit사의 DARCO

Figure 112012005194512-pat00001
KB-B이고, B는 Norit사의 NORIT
Figure 112012005194512-pat00002
CGSP, C는 Norit사의 NORIT
Figure 112012005194512-pat00003
CASP, D는 Norit사의 NORIT
Figure 112012005194512-pat00004
CA1, E는 Norit사의 A51, F는 Norit사의 Norit
Figure 112012005194512-pat00005
SX plus가 사용되었다.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제거 효율 측면에서 A 또는 B를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moving the protein by treatment with activated charcoal is to treat the dissolved solution of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from which the solid precipitate is removed with activated charcoal and react at 20 to 90 ° C. for 10 minutes to 9 hours. It may include. The activated carbon may be preferably powdered activated carbon, for example, A to F,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tivated carbon A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rit DARCO
Figure 112012005194512-pat00001
KB-B, B is NORIT of Norit Corporation
Figure 112012005194512-pat00002
CGSP, C is Norit's NORIT
Figure 112012005194512-pat00003
CASP, D is Norit's NORIT
Figure 112012005194512-pat00004
CA1, E are Norit's A51, F is Norit's Norit
Figure 112012005194512-pat00005
SX plus was used.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A or B can be used in terms of protein removal efficiency.

상기 활성탄 처리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의 온도에서 약 3시간 내지 8시간 동안 반응시킬 수 있으며,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5℃의 온도에서 약 4시간 내지 약 7시간 반응시킬 수 있다.The activated carbon treatment conditions may be preferably reacted for about 3 hours to 8 hours at a temperature of 50 to 80 ℃,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about 4 hours to about 7 hours at a temperature of 55 to 75 ℃. .

통상 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반응 온도가 높을수록 단백질 제거율이 높아질 수 있다.In general, the longer the treatment time, the higher the reaction temperature, the higher the protein removal rate.

상기 단백질 제거 단계에서 추가로 탈색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otein removal step, further decolorization may be performed together.

본 발명에 따른 갈락토스 제조 방법은 상기 단백질이 제거된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으로부터 회분, 염 또는 이 둘 다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분, 염 또는 이 둘 다의 제거 단계는 바람직하게 전기투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투석 전에 고형 침전물 제거 단계와 단백질 제거 단계가 실시되기 때문에 전기투석막의 오염 정도가 최소화되어 수명이 연장되고 염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oducing galact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removing ash, salts, or both from the whey membrane permeate from which the protein is removed or the solution of the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The removal of the ash, salt or both may preferably be carried out by electrodialysi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olid precipitate removal step and the protein removal step are performed before the electrodialysi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electrodialysis membrane is minimized, thereby extending the life and improving the salt removal efficiency.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형 침전물 제거 단계, 단백질 제거 단계, 및 회분 및/또는 염의 제거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 전·후에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에 유당 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갈락토스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당 분해 효소 첨가 단계는 고형 침전물 제거 후 및 단백질 제거 단계 전에 실시될 수 있다. In th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ctose decomposition is performed in a solution of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before or after any one of the solid precipitate removal step, protein removal step, and ash and / or salt removal step. The addition of the enzyme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producing galactose. Preferably, the step of adding the lactose degrading enzyme may be performed after the solid precipitate is removed and before the protein removal step.

상기 유당 분해 효소(Lactase)는 공지된 효소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DSM사의 Maxilact

Figure 112012005194512-pat00006
LX 5000, 혹은 Maxilact
Figure 112012005194512-pat00007
LG 5000등이 있다. The lactose degrading enzyme (Lactase) can use a known enzyme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DSM's Maxilact
Figure 112012005194512-pat00006
LX
5000, or Maxilact
Figure 112012005194512-pat00007
LG
5000 and so on.

상기 유당 분해 효소 첨가 단계에서 첨가되는 효소의 농도는 0.01 내지 5 w/v%가 바람직하며, 35 내지 39℃의 발효조를 이용하여 효소를 통한 가수분해를 실시할 수 있다.
The concentration of the enzyme added in the step of adding lactose degrading enzyme is preferably 0.01 to 5 w / v%, it can be hydrolyzed through the enzyme using a fermenter of 35 to 39 ℃.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염 및/또는 회분 제거 단계 후에 이온 정제, 농축 및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SMB (Simulated Moving Bed)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갈락토스를 분리, 정제, 회수하기 위해서 이온 정제 및 농축 공정이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이온제거를 사용되는 양이온 및 음이온 정제크로마토그래피가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당업자간 통용되는 농축공정을 통해 SMB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정제 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갈락토스를 이성화시켜 타가토스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가토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ion purification, concentration and chromatographic separation processes after the salt and / or ash removal step. Specifically, ion purification and concentration processes are included to separate, purify and recover galactose using SMB (Simulated Moving Bed) chromatography. Cation and anion purification chromatography, which typically uses ion removal, may be used, and may also be included before SMB chromatography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hrough a concentration process commonly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oducing tagatose, comprising the step of isomerizing galactose produc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to obtain tagatos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s that are not described herein will be omitted sinc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sufficiently infer technically.

<실시예><Examples>

실시예 1 : 유청 막 투과 분말(DWP)의 성분 분석 Example 1 Component Analysis of Whey Membrane Permeable Powder (DWP)

유청 분리 단백질의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인 유청 막 투과 분말 내 성분 분석을 진행하여 원료 내 불순물에 대한 함량 및 종류를 확인하였다. 유청 막 투과 분말 내 성분분석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유청 막 투과 분말 내에 80%를 넘어서는 유당 함유량을 가지고 있으며, 당 성분외 단백질, 지방, 여러 종류의 무기염,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다. 당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에 대해 물리, 화학적 전처리를 이용하여 제거하고자 한다.A component analysis in whey membrane permeable powder, a by-product genera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whey isolate protein,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content and type of impurities in the raw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component analysis in the whey membrane permeable powder are shown in Table 1 below. It has a lactose content of over 80% in whey membrane permeable powder and contains proteins, fats, various inorganic salts and heavy metals in addition to sugars.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the sugar component are to be removed using physical and chemical pretreatment.

총 성분Total ingredients 총 탄수화물Total carbohydrates 86.9%86.9% 총 단백질Total protein 3.6%3.6% 총 지방Total fat 0.2%0.2% 수분moisture -- 회분Ash 9.5%9.5% salt 칼슘 이온Calcium ions 742.99 mg/100g742.99 mg / 100 g 마그네슘 이온Magnesium ions 135.54 mg/100g135.54 mg / 100g 나트륨 이온Sodium ions 562.99 mg/100g562.99 mg / 100 g 칼륨 이온Potassium ions 2231.12 mg/100g2231.12 mg / 100g iron 0.22 mg/100g0.22 mg / 100 g sign 113.1 mg/100g113.1 mg / 100 g 아연zinc 0.05 mg/100g0.05 mg / 100 g 구리Copper 0.03 mg/100g0.03 mg / 100 g 망간manganese 0.01 mg/100g0.01 mg / 100 g 셀레늄Selenium 36.23 ug/100g36.23 ug / 100g Party 유당Lactose 85.1%85.1% 갈락토스Galactose 1.6%1.6%

[% TS 기준]
[Based on% TS]

실시예 2 : 유청 막 투과 분말(DWP) 내 불용성 물질 제거를 위한 전처리 공정Example 2 Pretreatment Process for Removing Insoluble Matter in Whey Membrane Permeable Powder (DWP)

Hilmar사 유청 막 투과 분말(DWP) 4g 을 용제 물 20 ml에 현탁, 용해 (~20%, w/v)시켜 유청 막 투과 분말 용해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DWP 용해액의 물리·화학적 전처리를 통해 DWP내 당 함량 변화 및 반응부산물 생성 없이 고형 불용성 침전을 유도하여 불순물만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열처리 및 pH 조건 변화에 따른 DWP 용해액 내 불용성 물질 침전제거를 평가하기 위해서 상기 제조된 유청 막 투과 분말 용해액을 50-8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 실시 하였다. 또한, pH 조건별 시료 조제인 경우는 현탁액을 HCl 및 NaOH로 pH 4.0-8.0로 적정 후, 상온(~25℃)에서 1시간 동안 처리 실시하였다. 상층액을 회수 하기 위해서 원심분리 하였고, pH(pH meter 사용), 전도도(conductivity meter 사용), Brix(Brix meter 사용), 유당(HLC 사용 당조성 정성 및 정량 분석) 및 단백질 함량(Bradford Protein Assay 사용 단백질 함량 정량분석), 침전물 생성 정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표 2).Whey membrane permeable powder (DWP) 4g of Hilmar Corporation was suspended and dissolved (~ 20%, w / v) in 20 ml of solvent water to prepare a whey membrane permeable powder solution. Physical and chemical pretreatment of the DWP solution was intended to remove only impurities by inducing solid insoluble precipitation without changing sugar content and generating reaction byproducts in DWP. In order to evaluate the removal of insoluble matter in the DWP solution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and pH condition change, the prepared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solution was heat-treated at 50-80 ° C. for 1 hour. In addition, in the case of sample preparation for each pH condition, the suspension was titrated to pH 4.0-8.0 with HCl and NaOH, and then treated at room temperature (˜25 ° C.) for 1 hour. Centrifugation was performed to recover the supernatant, pH (pH meter), conductivity (conductivity meter), Brix (Brix meter), lactose (HLC composi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and protein content (Bradford Protein Assay) Protein content quantitative analysis), the change in the degree of precipitation production was analyzed (Table 2).

Figure 112012005194512-pat00008
Figure 112012005194512-pat00008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열처리(50-80℃) 온도 조건 변화에 따라 유당 함량 및 그 외 단백질 함량, Brix, pH, 전도도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pH 4-8의 변화에 따라서도 유당 함량 및 그 외 단백질 함량, Brix, pH, 전도도의 유의적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결과는 열처리 온도 및 pH 조건 변화의 전처리시 DWP 용해액내 당 함량의 변화가 없고, 또한 단백질 변성이나 반응부산물의 생성이 없음을 보여준다. As can be seen in Table 2, there was no change in lactose content and other protein content, Brix, pH, and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50-80 ° C.) temperature chang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lactose content, protein content, Brix, pH, and conductivity according to pH 4-8.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change in sugar content in the DWP solution upon pretreatment of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and pH condition changes, and also no protein denaturation or reaction byproducts.

그러나, 열처리 온도 증가에 따라 원심분리 후 단백질 및 탄수화물(유당) 성분이 아닌 고형 불용성물질 침전화 정도가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20%(w/v) DWP 용해액의 pH를 증가시킴에 따라 상기 불용성물질의 침전이 가속화되어, 원심분리 후 상기 불용성물질의 침전 정도가 확연히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20%(w/v) DWP 용해액의 효소 가수분해 조건을 고려하여, pH 6.8로 보정하여 70 ℃에서 30분간 열처리, 원심분리 한 결과 당 함량 변화 및 반응부산물 생성 없이 상기 불용성물질 약 4.5 중량%(건조침전물 무게/유청 막 투과 분말 무게)를 제거할 수 있었다 (도 2 참조).
However, as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ncreased, the precipitation of solid insoluble matter, not protein and carbohydrate (lactose) components, increased, especially the pH of 20% (w / v) DWP solution was increased. As a result, the precipitation of the insoluble material was accelerated, and the degree of precipitation of the insoluble materia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entrifug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nzymatic hydrolysis conditions of 20% (w / v) DWP solution, the temperature was adjusted to pH 6.8, followed by heat treatment and centrifugation at 70 ° C. for 30 minutes. (Dry precipitate weight /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weight) could be removed (see FIG. 2).

실시예 3 : 효소적 가수분해 공정Example 3 Enzymatic Hydrolysis Process

DWP 용해액 중 유당의 효소적 가수분해를 위해 상용 효소인 DSM사 Maxlact

Figure 112013097533869-pat00009
LG 5000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전처리된 시료와 1%(w/v) 농도의 상기 효소를 넣고 38 ℃, 100rpm으로 조절된 발효조를 이용하여 효소가수분해를 실시하였다. Maxlact, a commercial enzyme for the enzymatic hydrolysis of lactose in DWP solution
Figure 112013097533869-pat00009
LG
5000 was used. The enzyme was hydrolyzed using a fermenter adjusted to 38 ° C. and 100 rpm after putting the pretreated sample and the enzyme at a concentration of 1% (w / v) in Example 2.

가수분해율을 측정하기 위해 효소적 가수분해가 시작된 후 0, 10, 24, 31, 48, 58 시간에 해당 분석 샘플을 채취하여 생성된 글루코오스와 갈락토오스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글루코오스와 갈락토오스의 함량은 BioRad사 Aminex HPX-87C 컬럼이 장착된 HPLC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계산하였다. To determine the degree of hydrolysis, the corresponding sample was taken at 0, 10, 24, 31, 48 and 58 hours after enzymatic hydrolysis was started to calculate the content of glucose and galactose produced. The content of glucose and galactose was quantitatively calculated using an HPLC equipped with a BioRad Aminex HPX-87C column.

반응조건Reaction condition 반응시간
(hr)
Reaction time
(hr)
유당함량
(g/L)
Lactose content
(g / L)
글루코스
(g/L)
Glucose
(g / L)
갈락토스
(g/L)
Galactose
(g / L)
총당함량
(g/L)
Total sugar content
(g / L)
소화율
(%)
digestibility
(%)
20L DWP 용해액
(200g DWP/L 물)
20L DWP Solution
(200g DWP / L Water)
00 227.5 227.5     227.5 227.5  
1010 28.4 28.4 97.4 97.4 78.7 78.7 204.5 204.5 77.4 77.4 2424 13.1 13.1 104.6 104.6 97.8 97.8 215.5 215.5 89.0 89.0 3131 10.5 10.5 106.3 106.3 102.3 102.3 219.1 219.1 91.7 91.7 4848 7.4 7.4 108.1 108.1 107.5 107.5 223.1 223.1 94.8 94.8 5858 6.9 6.9 109.6 109.6 109.8 109.8 226.3 226.3 96.5    96.5

실시예 4 : 유청 막 투과 분말(DWP) 용해액 내 단백질 제거 및 탈색 과정Example 4 Protein Removal and Decolorization in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DWP) Solution

DWP 용해액의 활성탄 처리를 통해 단백질 및 색도물질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A 내지 F의 종류별 분말활성탄 처리 후 단백질 제거 가능성 평가를 위해 DWP를 ~20%(w/v)되게 물에 현탁, 용해 후, 용해액을 NaOH로 pH 6.8 적정하였다. 약 70℃에서 30분간 열처리를 실시하고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6종 분말활성탄(2g 분말활성탄/20% DWP 용해액L)으로 처리 하였다. 상온 및 50℃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반응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한 후 단백질 함량 변화를 정량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We tried to remove protein and chromatic material through activated carbon treatment of DWP solu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protein removal after treatment with powdered activated carbon of each of A to F, DWP was suspended and dissolved in water to ˜20% (w / v), and the dissolved solution was titrated with NaOH at pH 6.8.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about 70 ° C. for 30 minutes, and the supernatant was recovered after centrifugation and treated with 6 kinds of powder activated carbon (2 g powder activated carbon / 20% DWP solution L). After the reaction at room temperature and 50 ° C. for a certain time, the supernatant was recovered by centrifugation, and then the protein content change was quantitatively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D사 6종 활성탄 A 내지 E가 모두 단백질 제거 효과를 보였고, 그 중에서 A로 명시한 Norit사의 DARCO

Figure 112012005194512-pat00010
KB-B 및 B로 명시한 Norit사의 NORIT
Figure 112012005194512-pat00011
CGSP가 단백질 제거 효과 면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대부분의 활성탄에서 50℃에서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탈단백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s can be seen in Figure 3, all six activated carbons of Company D A to E showed a protein removal effect, among which A DARCO Norit
Figure 112012005194512-pat00010
Norit's NORIT as KB-B and B
Figure 112012005194512-pat00011
CGSP showed the best results in terms of protein removal effect. Also, in most activated carbons, the deproteination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reaction time at 50 ° C.

분말활성탄으로 처리 후, 온도 및 시간 조건 변화에 따른 단백질 제거율 및 탈색 최적화하기 위해 DWP를 ~20%(w/v)되게 물에 현탁, 용해시킨 후, 제조된 용해액을 NaOH로 pH 6.8 적정, 약 70℃에서 30분간 열처리, 원심분리, 상층액 회수 후, 2종 분말활성탄 A 및 B(2g 분말활성탄/20% DWP 용해액 L)로 처리하고 0-6시간 동안 40-7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단백질 함량 변화 정량 분석 및 색도변화에 대한 정성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도 4 및 도 5).After treatment with powdered activated carbon, DWP was suspended and dissolved in water to ˜20% (w / v) in order to optimize protein removal rate and decolorization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time conditions, and then the prepared solution was titrated with NaOH to pH 6.8, After heat treatment at 30 ° C. for 30 minutes, centrifugation, and supernatant recovery, the mixture was treated with two kinds of activated carbon A and B (2 g powder activated carbon / 20% DWP solution L) and reacted at 40-70 ° C. for 0-6 hours. . After centrifugation of the reaction solution, the supernatant was recovered,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protein content changes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color change were performed (FIGS. 4 and 5).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A 활성탄 처리(2g 분말활성탄/20% DWP 용해액 L) 후 60-70℃에서 약 6시간 반응시 43-44% 탈단백율을 보였고, B 활성탄 처리(2g 분말활성탄/20% DWP 용해액L) 후 60-70℃에서 약 6시간 반응시 40% 탈단백율을 보였다. 또한, 상기 A 활성탄 처리시 탈색 효과가 있음을 도 5에 나타냈다.
As can be seen in Figure 4, after A activated carbon treatment (2g powder activated carbon / 20% DWP solution L) after about 6 hours at 60-70 ℃ reaction showed 43-44% deproteination rate, B activated carbon treatment (2g powder activated carbon) / 20% DWP solution L) showed a 40% deproteination rate when reacted at 60-70 ° C. for about 6 hours. In addition, it is shown in Figure 5 that the A-activated carbon treatment has a decolorizing effect.

실시예 5 : 탈염 전기투석 (Electrodialysis)Example 5 Desalting Electrodialysis

실시예 4의 탈단백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유당 가수분해액을 탈염 전기투석 장치를 통하여 정제하였을 경우, 이온(salt)의 탈염율 및 유기물(sugar)의 손실율 등 탈염 전기투석 공정의 경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에너지 소모량, 오염 정도 등을 조사하였다.
When the lactose hydrolyzate prepared by the deproteinization process of Example 4 was purified through a desalination electrodialysis apparatus,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desalination electrodialysis process such as the desalination rate of ions and the loss rate of organic sugars was examined. For this purpose, energy consumption and pollution level were investigated.

전기투석기는 3-콤파트먼트 (3-compartment) 형태의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세부적인 전기투석기의 사양 및 운전조건은 아래 표 4과 같다. The electrodialysis machine uses a 3-compartment type device, and detailed electrodialysis machine specifications and operating conditions are shown in Table 4 below.

구분division 내용Contents 장치 Device Micro Acilyzer S3Micro acilyzer s3 총유효막면적 Total effective film area 0.55 dm2/cell0.55 dm2 / cell 카트리지cartridge AC-220-550AC-220-550 전극electrode Ti/Pt (Anode)
SUS316L(Cathode)
Ti / Pt (Anode)
SUS316L (Cathode)
운전전압Operating voltage 9V-12V9V-12V 운전온도Operating temperature 23℃-32℃23 ℃ -32 ℃ 샘플액Sample liquid 500 ml500 ml 전극액 Electrode solution 5% Na2SO4 5% Na 2 SO 4

이온교환막은 상용화된 제품(CMX, AMX, 아스톰사, 일본)을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에 사용된 이온교환막의 특성은 아래 표 5와 같다. As the ion exchange membrane, commercialized products (CMX, AMX, Astom, Japan) were us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able 5 below.

항목Item 양이온교환막(CMX)Cation Exchange Membrane (CMX) 음이온교환막(AMX)Anion exchange membrane (AMX) 종류Kinds 강산성 양이온 투과성Strongly acidic cation permeability 강염기성 음이온 투과성Strong basic anion permeability 특징Characteristic 높은 기계강도 (Na-form)High mechanical strength (Na-form) 높은 기계강도 (Cl-form)High mechanical strength (Cl-form) 전기 저항(Ω)Electrical resistance (Ω) 1.8~3.81.8 to 3.8 2.0~3.52.0-3.5 브랏(Burat) 강도Burt strength ≥0.40≥0.40 ≥0.30≥0.30 두께 (mm)Thickness (mm) 0.14~0.200.14-0.20 0.12~0.150.12-0.15

실시간으로 전기투석장치의 전도도값을 측정하면서 원수의 전도도값이 목표하는 값으로 떨어지면 전기투석장치의 스택에 대한 전원공급을 중단하는 회분(batch)운전 조건으로 화학세정 없이 연속적으로 수행하였다 [표 6(원수 및 처리수의 수질 데이터), 도 6].While measuring the conductivity value of the electrodialysis device in real time, when the conductivity value of the raw water falls to the desired value, the batch operation was performed continuously without chemical cleaning as a batch operation condition to stop the power supply to the stack of the electrodialysis device. (Water quality data of raw water and treated water), FIG. 6].

항목Item 원수enemy 처리수Treated water 제거율(%)Removal rate (%) pHpH 6.8 6.8 6.26.2 - - Brix (%)Brix (%) 15.815.8 12.612.6 20.020.0 전기 전도도 (㎲/㎝)Electrical conductivity (㎲ / ㎝) 1560015600 300300 98.10 98.10 단백 함량 (%)Protein content (%) 0.230.23 0.180.18 21.74 21.74 조지방 함량 (%)Crude Fat Content (%) 0.20 0.20 0.150.15 25.00 25.00

연속운전
[batch수]
Continuous operation
[batch count]
운전전압
[V]
Operating voltage
[V]
탈염시간
[min]
Desalination Time
[min]
당회수율
[%]
Yield
[%]
이온제거율
[%]
Ion removal rate
[%]
탈염제거속도
[LMH]
Desalination Rate
[LMH]
에너지소비량
[Wh]
Energy consumption
[Wh]
1회1 time 9~129-12 5656 7777 98.1 98.1 9.9 9.9 6.9 6.9 2회Episode 2 9~129-12 5050 8080 97.6 97.6 11.3 11.3 4.6 4.6 3회3rd time 9~129-12 5050 7979 98.0 98.0 11.2 11.2 4.3 4.3 4회4 times 9~129-12 5050 8282 97.8 97.8 11.3 11.3 4.8 4.8 5회5 times 9~129-12 5050 8181 98.1 98.1 11.2 11.2 4.9 4.9

상기 표 7은 탈단백 유당가수분해액을 화학 세정없이 연속적으로 운전한 실시결과를 나타낸다. Table 7 shows the results of continuously operating the deproteinated lactose hydrolyzate without chemical cleaning.

이온 제거율 = 100-{(원수 전기 전도도값/처리수 전기 전도도값)*100}Ion removal rate = 100-{(raw water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 / treated water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 * 100}

상기 결과, 이온의 탈염율은 평균 98% 였으며, 당(sugar)의 회수율은 평균 80% 였다.
As a result, the desalination rate of ions was 98% on average and the recovery rate of sugar was 80% on averag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 all respect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Claims (12)

유청 분리 단백질의 제조 공정 중 부산물로 발생하는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으로부터 고형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고형 침전물이 제거된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으로부터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백질이 제거된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으로부터 회분, 염 또는 이 둘 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 용해액으로부터 갈락토스를 제조하는 방법.
Removing a solid precipitate from a solution of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generated as a by-product during the production of whey isolate protein;
Removing the protein from the whey membrane permeate or the solution of the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from which the solid precipitate is removed; And
A method for producing galactose from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solution, comprising removing ash, salt or both from the protein-removed whey membrane permeate solution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sol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침전물의 제거 단계가 40 내지 90℃의 열처리 공정, pH 3 내지 9로 조정, 또는 이 둘 다에 의해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으로부터 고형 침전물을 생성시키고 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solid precipitate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removing the solid precipitate is carried out from a solution of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by a heat treatment process of 40 to 90 ° C., adjustment to pH 3 to 9, or both. Generating and removing 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침전물은 단백질, 지방, 염, 중금속, 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당을 제외한 불용성 물질이 침전된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olid precipitate is an insoluble substance other than sugar in the group consisting of proteins, fats, salts, heavy metals, and suga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제거 단계가 활성탄을 처리하고 10분 내지 8시간 동안 20 내지 90℃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removing the protein comprises treating activated carbon and reacting at 20 to 90 ° C. for 10 minutes to 8 hou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제거 단계에서 추가로 탈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further decolorization is performed in the protein removal ste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이 분말 활성탄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ctivated carbon is powdered activated carb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분, 염 또는 이 둘 다의 제거 단계가 전기투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moval of ash, salt, or both comprises performing by electrodialysis.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유청 막 투과액 또는 유청 막 투과 분말의 용해액에 유당 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갈락토스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7, further comprising adding lactose degrading enzyme to the solution of whey membrane permeate or whey membrane permeate powder to produce galactos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갈락토스 생성 단계의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이 각각 35 내지 39℃, 및 50 내지 60시간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of the galactose production step are 35 to 39 ° C., and 50 to 60 hours, respectively.
제8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갈락토스를 이성화시켜 타가토스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가토스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tagatose, comprising the step of isomerizing galactose produc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o obtain tagatos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회분, 염 또는 이 둘 다를 제거하는 단계 후에 이온 정제, 농축 및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ion purification, concentration, and chromatographic separation processes after removing the ash, salt, or both.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갈락토스를 이성화시켜 타가토스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가토스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tagatose, comprising the step of isomerizing galactose produc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o obtain tagatose.
KR1020120006262A 2012-01-19 2012-01-19 A method of manufacturing D-galactose for use of the production of D-tagatose from whey permeate or dried whey permeate KR1013687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262A KR101368731B1 (en) 2012-01-19 2012-01-19 A method of manufacturing D-galactose for use of the production of D-tagatose from whey permeate or dried whey perme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262A KR101368731B1 (en) 2012-01-19 2012-01-19 A method of manufacturing D-galactose for use of the production of D-tagatose from whey permeate or dried whey perme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240A KR20130085240A (en) 2013-07-29
KR101368731B1 true KR101368731B1 (en) 2014-03-06

Family

ID=4899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262A KR101368731B1 (en) 2012-01-19 2012-01-19 A method of manufacturing D-galactose for use of the production of D-tagatose from whey permeate or dried whey perme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73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345A1 (en) 2017-03-31 2018-10-04 씨제이제일제당(주) Composition for tagatose production and method for tagatose production using same
WO2018182354A1 (en) 2017-03-31 2018-10-04 씨제이제일제당(주) Composition for tagatose production and method for tagatose production using same
WO2018182355A1 (en) 2017-03-31 2018-10-04 씨제이제일제당(주) Composition for producing tagatose and production method of tagatose using same
WO2019045510A1 (en) 2017-08-31 2019-03-07 씨제이제일제당 (주) Fructose-4-epimerase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tagatose, using same
WO2020067649A1 (en) 2018-09-27 2020-04-02 씨제이제일제당 (주) Novel fructose-4-epimerase and method for preparing tagatose using same
WO2020080658A1 (en) 2018-10-19 2020-04-23 씨제이제일제당 (주) Novel fructose-4-epimerase and method for preparing tagatose u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8333A (en) * 2017-12-08 2018-03-09 山东福田药业有限公司 A kind of combination decoloration process of fermentation liquor of xylose mother liqui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 J. Guy 등. Journal of Dairy Science. Vol. 62, No. 5, 페이지 446-780 (1979.) *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7/0134373호(2007.06.14.) *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8017B2 (en) 2017-03-31 2022-08-09 Cj Cheiljedang Corporation Composition for producing tagatose and method of producing tagatose using the same
WO2018182354A1 (en) 2017-03-31 2018-10-04 씨제이제일제당(주) Composition for tagatose production and method for tagatose production using same
WO2018182355A1 (en) 2017-03-31 2018-10-04 씨제이제일제당(주) Composition for producing tagatose and production method of tagatose using same
KR20180111679A (en) 2017-03-31 2018-10-11 씨제이제일제당 (주) A composition for preparing tagatose and Methods for producing tagatose using The Same
KR20180111678A (en) 2017-03-31 2018-10-11 씨제이제일제당 (주) A composition for preparing tagatose and Methods for producing tagatose using The Same
US11180785B2 (en) 2017-03-31 2021-11-23 Cj Cheiljedang Corporation Composition for producing tagatose and method of producing tagatose using the same
WO2018182345A1 (en) 2017-03-31 2018-10-04 씨제이제일제당(주) Composition for tagatose production and method for tagatose production using same
US11795444B2 (en) 2017-03-31 2023-10-24 Cj Cheiljedang Corporation Composition for producing tagatose and method of producing tagatose using the same
WO2019045510A1 (en) 2017-08-31 2019-03-07 씨제이제일제당 (주) Fructose-4-epimerase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tagatose, using same
US11408018B2 (en) 2017-08-31 2022-08-09 Cj Cheiljedang Corporation Fructose-C4-epimerase and preparation method for producing tagatose using the same
WO2020067649A1 (en) 2018-09-27 2020-04-02 씨제이제일제당 (주) Novel fructose-4-epimerase and method for preparing tagatose using same
US11697832B2 (en) 2018-09-27 2023-07-11 Cj Cheiljedang Corporation Fructose-C4-epimerase and method of producing tagatose using the same
WO2020080658A1 (en) 2018-10-19 2020-04-23 씨제이제일제당 (주) Novel fructose-4-epimerase and method for preparing tagatose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240A (en) 201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731B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D-galactose for use of the production of D-tagatose from whey permeate or dried whey permeate
US11661435B2 (en) Spray-dried, high-purity, neutral human milk oligosaccharides (HMOs) from microbial fermentation
AU2018322785B2 (en) Process for purifying sialylated oligosaccharides
US11834691B2 (en) Process for purification of a sialic acid from a fermentation broth
CN111447844A (en) Spray-dried tetrasaccharides
AU2019276095B2 (en) A simple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a sialyllactose
US1019641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galactose for use of the production of D-tagatose from whey permeate or dried whey permeate
JP4087890B1 (en) Salt made from oyster mea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RU2793469C2 (en) Simple method of sialillactose pur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