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633B1 - 보드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보드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633B1
KR101368633B1 KR1020120084130A KR20120084130A KR101368633B1 KR 101368633 B1 KR101368633 B1 KR 101368633B1 KR 1020120084130 A KR1020120084130 A KR 1020120084130A KR 20120084130 A KR20120084130 A KR 20120084130A KR 101368633 B1 KR101368633 B1 KR 101368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fixing bracket
support
detachable devi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767A (ko
Inventor
김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테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테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테스트
Priority to KR1020120084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63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9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lever-typ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15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manual gr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드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중,대형의 보드(board)를 전자통신장비에 용이하게 장착시키거나 탈거시킬 수 있도록 한 보드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는, 전자통신장비의 랙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동일 수평상에 배치되도록 보드의 측면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단을 내측으로 밀어줌과 동시에 상기 보드를 밀어주는 제1 회동지지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후단을 외측으로 당겨줌과 동시에 상기 보드를 당겨주는 제2 회동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드 착탈장치{Apparatus for inserting and removing of board}
본 발명은 보드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중,대형의 보드(board)를 전자통신장비에 용이하게 장착시키거나 탈거시킬 수 있도록 한 보드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전자장비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고밀도화 되면서 기능보드의 커넥터 핀 수의 증가로 인하여, 기능보드에 수용되는 소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기능보드 및 랙(rack)의 크기가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중,대형 크기의 보드를 통신전자장비에 장착과 탈거를 하기 위해서 큰 힘을 필요로 함에 따라 작업자 혼자서는 보드 착탈 작업을 수행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현재까지 동력장치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지그(jig)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동력장치나 지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드의 장착과 탈거를 위해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탈착작업을 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으며, 장치가 크기 때문에 이동이 어렵고 장소의 제한을 받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고가이므로 구매 비용에 대한 부담이 매우 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고 하나의 장치에 장착 및 탈거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중,대형의 보드를 전자통신장비에 용이하게 장착시키거나 탈거시킬 수 있는 보드 착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장치의 크기가 소형이므로 이동 및 사용이 편리하고 보드의 장착과 탈거 시 별도의 추가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보드 착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는, 전자통신장비의 랙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동일 수평상에 배치되도록 보드의 측면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단을 내측으로 밀어줌과 동시에 상기 보드를 밀어주는 제1 회동지지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후단을 외측으로 당겨줌과 동시에 상기 보드를 당겨주는 제2 회동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 작업할 수 있으며, 하나의 장치에 장착 및 탈거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중,대형의 보드를 전자통신장비에 용이하게 장착시키거나 탈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의 크기가 소형이므로 작업자가 쉽게 소지할 수 있고 이동 및 사용이 편리하며, 보드의 장착과 탈거 시 별도의 추가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비용 절감은 물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를 도시한 후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의 보드 장착 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5a는 보드 장착 전 상태이고,
도 5b는 보드 장착 후 상태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의 보드 탈거 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저면도로서,
도 6a는 보드 탈거 전 상태이고,
도 6b는 보드 탈거 후 상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는, 전자통신장비의 랙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동일 수평상에 배치되도록 보드의 측면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단을 내측으로 밀어줌과 동시에 상기 보드를 밀어주는 제1 회동지지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후단을 외측으로 당겨줌과 동시에 상기 보드를 당겨주는 제2 회동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랙의 수직면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수직고정부와, 상기 수직고정부의 중간에 외부로 돌출되되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수평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1 회동지지대와 결합되도록 제1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회동지지대와 결합되도록 제2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 상기 제1 회동지지대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에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되며, 하부 타측에 상기 볼트공과 연통되도록 반원호 형태의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회동지지대는 상기 제1 체결공에 대응되는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에 제1 연결핀이 삽입되며, 선단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회동지지대는 상기 제2 체결공에 대응되는 핀공이 형성되고 상기 핀공에 제2 연결핀이 삽입되며, 선단에 단차지게 받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에 자석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 회동지지대 및 제2 회동지지대의 일측에는 상기 자석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철심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를 도시한 후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의 보드 장착 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5a는 보드 장착 전 상태이고, 도 5b는 보드 장착 후 상태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의 보드 탈거 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저면도로서, 도 6a는 보드 탈거 전 상태이고, 도 6b는 보드 탈거 후 상태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는 고정브라켓(1), 몸체(2), 제1 회동지지대(3) 및 제2 회동지지대(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각 구성의 모서리부에 모따기 또는 라운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드 착탈장치는, 하나의 몸체(2)에 상기 제1 회동지지대(3) 및 제2 회동지지대(4)를 결합하여 상기 제1 회동지지대(3)는 보드(6)를 장착시키고 상기 제2 회동지지대(4)는 보드(6)를 탈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힘을 들이지 않고 중,대형의 보드(6)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1)은 전자통신장비의 랙(5)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랙(5)의 수직면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공(111)이 형성되는 수직고정부(11)와, 상기 수직고정부(11)의 중간에 외부로 돌출되되 내부에 삽입홈(121)이 형성되는 수평돌출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직고정부(11)에 형성되는 체결공(111)은 상기 수직고정부(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평돌출부(12)는 직시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부(12)에 형성된 삽입홈(121) 또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21)의 넓이는 상기 제1 회동지지대(3)가 상기 삽입홈(1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지지대(3)의 선단 크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돌출부(12)의 내측벽에는 상기 제1 회동지지대(3)가 삽입되어 좌우로 회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경사면(122)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2)는 상기 고정브라켓(1)과 동일 수평상에 배치되도록 보드(6)의 측면에 고정되며,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에는 상기 제1 회동지지대(3)와 결합되도록 제1 체결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회동지지대(4)와 결합되도록 제2 체결공(22)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 상기 제1 회동지지대(3)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3)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돌출부(24)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24)에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볼트공(241)이 형성되며, 하부 타측에 상기 볼트공(241)과 연통되도록 반원호 형태의 안내홈(25)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3)의 선후단에는 상기 제1 회동지지대(3)의 좌우 회동 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된 제1 회동지지대(3)를 안내하도록 경사면(23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회동지지대(3)는 상기 몸체(2)의 상부에 형성된 스토퍼(23)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2 회동지지대(4)는 상기 몸체(2)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24)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다. 즉, 상기 몸체(2)는 상기 제2 회동지지대(4)의 회동 제한을 위해 형성된 돌출부(24)에 의해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2)는 상기 고정브라켓(1)과 동일 수평상에 배치되되 상기 몸체(2)의 상부면이 상기 고정브라켓(1)의 삽입홈(121) 하부와 일치되게 배치한다.
상기 볼트공(241) 및 안내홈(25)은 상기 몸체(2)를 상기 보드(6)의 측면에 고정시키도록 볼트 또는 핀 등의 체결수단이 안내되어 체결된다.
상기 제1 회동지지대(3)는 상기 몸체(2)의 상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이 상기 고정브라켓(1)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단을 내측으로 밀어줌과 동시에 상기 보드(6)를 밀어주게 된다.
상기 제1 회동지지대(3)는 상기 제1 체결공(21)에 대응되는 장홀(31)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31)에 제1 연결핀(7)이 삽입되며, 선단에 돌기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회동지지대(3)는 상기 장홀(31)을 통해 전후진은 물론 좌우 회동이 가능하며, 상기 돌기부(32)는 상기 제1 회동지지대(3)가 상기 고정브라켓(1)의 삽입홈(121)에 삽입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힘을 가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회동지지대(3)의 선단이 상기 고정브라켓(1)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회동지지대(4)는 상기 몸체(2)의 하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이 상기 고정브라켓(1)의 하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후단을 외측으로 당겨줌과 동시에 상기 보드(6)를 당겨주게 된다.
상기 제2 회동지지대(4)는 상기 제2 체결공(22)에 대응되는 핀공(41)이 형성되고 상기 핀공(41)에 제2 연결핀(8)이 삽입되며, 선단에 단차지게 받침부(4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회동지지대(4)는 상기 고정브라켓(1)의 수직고정부(11) 하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받침부(42)를 수직고정부(11)에 접하도록 배치시킨다.
한편, 상기 몸체(2)에는 복수개의 통공(26)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26)에 자석(9)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 회동지지대(3) 및 제2 회동지지대(4)의 일측에는 상기 자석(9)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철심(10)이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보드 착탈장치의 이용 시 상기 자석(9)에 철심(10)이 부착되면서 상기 제1 회동지지대(3) 및 제2 회동지지대(4)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1,2 회동지지대(3,4)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 간 충돌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착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브라켓(1)을 보드(6)의 설치 위치와 근접한 랙(5)의 수직면에 고정 설치한 후 보드(6)의 측면에 제1,2 회동지지대(3,4)가 결합되어 있는 몸체(2)를 볼트에 의해 체결 고정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장착 시에는 먼저 작업자가 보드(6)에 힘을 가하여 장비 내부로 일정 깊이만큼 삽입시킨다.
보드(6)의 측면에 설치된 몸체(2)가 고정브라켓(1)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보드(6)를 삽입한 후 제1 회동지지대(3)를 외측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제1 회동지지대(3)의 선단을 고정브라켓(1)의 삽입홈(121)에 삽입한다.
그리고, 제1 회동지지대(3)를 내측 방향으로 밀어주어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이때 삽입된 제1 연결핀(7)이 작용점이 되고 고정브라켓(1)이 받침점이 되어 보드(6)를 장비 내부로 밀어주어 장착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탈거 시에는 먼저 제2 회동지지대(4)가 몸체(2)의 길이방향과 일치된 상태에서 제2 회동지지대(4)를 외측 방향으로 당긴다. 이때, 삽입된 제2 연결핀(8)이 작용점이 되고 고정브라켓(1)이 받침점이 되어 보드(6)를 당겨주어 탈거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고정브라켓
11 : 수직고정부
111 : 체결공
12 : 수평돌출부
121 : 삽입홈, 122 : 경사면
2 : 몸체
21 : 제1 체결공
22 : 제2 체결공
23 : 스토퍼
231 : 경사면
24 : 돌출부
241 : 볼트공
25 : 안내홈
26 : 통공
3 : 제1 회동지지대
31 : 장홀
32 : 돌기부
4 : 제2 회동지지대
41 : 핀공
42 : 받침부
5 : 랙
6 : 보드
7 : 제1 연결핀
8 : 제2 연결핀
9 : 자석
10 : 철심

Claims (6)

  1. 전자통신장비의 랙(5)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과;
    상기 고정브라켓(1)과 동일 수평상에 배치되도록 보드(6)의 측면에 고정되는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상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이 상기 고정브라켓(1)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단을 내측으로 밀어줌과 동시에 상기 보드(6)를 밀어주는 제1 회동지지대(3)와;
    상기 몸체(2)의 하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이 상기 고정브라켓(1)의 하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후단을 외측으로 당겨줌과 동시에 상기 보드(6)를 당겨주는 제2 회동지지대(4)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2)에는 복수개의 통공(26)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26)에 자석(9)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 회동지지대(3) 및 제2 회동지지대(4)의 일측에는 상기 자석(9)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철심(10)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착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은 상기 랙(5)의 수직면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공(111)이 형성되는 수직고정부(11)와, 상기 수직고정부(11)의 중간에 외부로 돌출되되 내부에 삽입홈(121)이 형성되는 수평돌출부(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착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에는 상기 제1 회동지지대(3)와 결합되도록 제1 체결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회동지지대(4)와 결합되도록 제2 체결공(22)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 상기 제1 회동지지대(3)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3)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돌출부(24)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24)에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볼트공(241)이 형성되며, 하부 타측에 상기 볼트공(241)과 연통되도록 반원호 형태의 안내홈(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착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지지대(3)는 상기 제1 체결공(21)에 대응되는 장홀(31)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31)에 제1 연결핀(7)이 삽입되며, 선단에 돌기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착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지지대(4)는 상기 제2 체결공(22)에 대응되는 핀공(41)이 형성되고 상기 핀공(41)에 제2 연결핀(8)이 삽입되며, 선단에 단차지게 받침부(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착탈장치.
  6. 삭제
KR1020120084130A 2012-07-31 2012-07-31 보드 착탈장치 KR101368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130A KR101368633B1 (ko) 2012-07-31 2012-07-31 보드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130A KR101368633B1 (ko) 2012-07-31 2012-07-31 보드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767A KR20140016767A (ko) 2014-02-10
KR101368633B1 true KR101368633B1 (ko) 2014-03-04

Family

ID=5026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130A KR101368633B1 (ko) 2012-07-31 2012-07-31 보드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616A (ko) 2022-08-31 2024-03-07 한국철도공사 고속철도차량의 전자제어카드 취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421B1 (ko) * 2020-02-12 2022-09-08 배석규 실험용 교반장치의 랙크 착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500A (ko) * 2001-06-09 2002-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쉘프에 안착된 인쇄회로기판의 착탈장치
KR20040026441A (ko) * 2002-09-24 2004-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장비의 피씨비 착탈장치
KR20050077205A (ko) * 2004-01-27 2005-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회로보드의 착탈장치
KR200436266Y1 (ko) 2007-02-20 2007-07-16 강승욱 메모리모듈 테스트용 착탈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500A (ko) * 2001-06-09 2002-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쉘프에 안착된 인쇄회로기판의 착탈장치
KR20040026441A (ko) * 2002-09-24 2004-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장비의 피씨비 착탈장치
KR20050077205A (ko) * 2004-01-27 2005-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회로보드의 착탈장치
KR200436266Y1 (ko) 2007-02-20 2007-07-16 강승욱 메모리모듈 테스트용 착탈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616A (ko) 2022-08-31 2024-03-07 한국철도공사 고속철도차량의 전자제어카드 취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767A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45836B (zh) 托盘、设有该托盘的硬盘固定装置及电子设备
JP2016038897A (ja) 搭載装置及びサーバー
RU2007103239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с извлекаемым электричес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1368633B1 (ko) 보드 착탈장치
JP2006228340A (ja) 磁気ディスク搭載装置
CN104244657B (zh) 电子装置及其电源固定装置
CN103677146A (zh) 扩充卡固定装置
CN100405256C (zh) 数据存储器固定装置
KR200446630Y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트레이
US6259607B1 (en) Ejector device for a mobile module
JP5237404B2 (ja) サーバーキャビネット
KR101631490B1 (ko) 악세사리용 거치장치
CN209982852U (zh) 一种用于显影或蚀刻生产线的烘干组件
CN218240810U (zh) 一种显卡位置可调解式机箱
KR101061060B1 (ko) 커넥터 이탈방지용 성형지그
CN213904215U (zh) 一种计算机机箱面板连接结构
KR200268946Y1 (ko) 정보통신기기용 셸프의 블랭크판넬 고정구조
CN203761715U (zh) 连接电子设备的装置
CN216752511U (zh) 板卡插拔装置
JP5281613B2 (ja) 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CN108983928B (zh) 一种热插拔风扇模组
KR100609376B1 (ko) 외장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수납장치
JP5861173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
JP2006237487A (ja) ユニット位置決め装置
JP2014192378A (ja) 基板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