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434B1 - Removing apparatus for particle - Google Patents

Removing apparatus for p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434B1
KR101368434B1 KR1020120081950A KR20120081950A KR101368434B1 KR 101368434 B1 KR101368434 B1 KR 101368434B1 KR 1020120081950 A KR1020120081950 A KR 1020120081950A KR 20120081950 A KR20120081950 A KR 20120081950A KR 101368434 B1 KR101368434 B1 KR 101368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trolley
elastic member
hitt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9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14844A (en
Inventor
강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81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434B1/en
Publication of KR20140014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8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4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2Sintering grates or t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C22B1/20Sintering; Agglomerating in sintering machines with movable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1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comprising breaking tools, e.g. hammers, drills,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대차의 상부에 상기 대차와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대차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여 상기 대차를 타격하는 타격부;를 포함하여, 소결기의 대차와 흡입박스 사이의 기밀성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소결광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bris removal device, comprising: a driving unit disposed to rotate in contact with the bogie on an upper portion of a bogie moving along a movement path; And a striking part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and striking the trolley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trolley and the suction box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sintered or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이물질 제거장치{Removing apparatus for particle}Removing apparatus for particle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차와 흡입박스 사이의 기밀성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소결광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bris remov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bris removal device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sintered ore by maintaining a constant airtightness between the bogie and the suction box.

일반적으로 소결광 제조공정은 분철광석과 부원료인 석회석, 규사, 사문암 등의 융제와 연료인 분공장에서는 소결원료를 장입장치를 이용하여 소결기의 소결대차로 장입하여 소결광을 제조하고 있다.In general, in the sintering ore manufacturing process, sintered ore is manufactured by melting the raw materials such as limestone, silica, and serpentine, and in the powder mill, which is a fuel, by charging the sintered raw material into a sintering truck of a sintering machine using a charging device.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소결기(10)는 좌,우 구동부(13a,13b)에 의한 작용력으로 복수의 대차(20)가 레일(12)을 따라 이동하면서 무한 순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연속적인 소결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sintering machine 10 is configured to allow infinite circulation while the plurality of trucks 20 move along the rails 12 by the action force of the left and right driving units 13a and 13b. It is configured to enable continuous sintering work.

이와 같은 소결기(10)는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부영역은 소결이 이루어지는 영역이고, 하부영역은 다시 소결광을 제조하기 위한 위치로 되돌아가는 영역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부에 위치하는 영역에서는 호퍼(14)로부터 원료광석이 대차(20)로 공급되어 점화로(15)를 거치면서 코크스 가스의 연소열로 착화되어 소결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sintering machine 10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region and a lower region, wherein the upper region is a region where sintering is performed, and the lower region is a region which returns to a position for producing sintered ores. In this configuration, the raw material ore is supplied from the hopper 14 to the trolley 20 and ignited by the heat of combustion of coke gas while passing through the ignition furnace 15.

그리고, 상부영역에 위치하게 되는 대차(20)의 하부에는 흡입관(16a)에 의해 블로워(16)와 연결되는 흡입박스(17)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원료광석이 코크스의 연소열에 의해 소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가스는 흡입박스(17)를 통해 흡입되어 배출된다. 즉, 원료광석이 용융 환원되어 소결광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대차(20)의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있는데, 이 경우, 레일(12)과 대차(20)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공기 흐름이 발생되면 연소열의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조되는 소결광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또는 미소성광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In addition, a suction box 17 connected to the blower 16 by the suction pipe 16a is disposed below the trolley 20 positioned in the upper region. With this configuration, the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intering the raw ore by the combustion heat of the coke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box 17 and discharged. That is, the raw material ore is suck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trolley 20 in order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flowing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intered ore by melting and reducing, in this case, between the rail 12 and the trolley 20 When outside air flows into the existing space and air flow is generated, not only the efficiency of combustion heat is lowered, but also the quality of the manufactured sintered ore is reduced or unbaked light is generated.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12)과 대차(20)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실바(24)가 구비되고 있다. 실바(24)는 대차(20)의 양쪽 바퀴(22) 내측에 배치되며, 대차(20)가 레일(12)을 따라 이동할 때 흡입박스(17)와 밀착된다. 이에 외부 공기가 흡입박스(17)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있으므로 블로워(16)에 의한 공기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sealer 24 is provided to block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space existing between the rail 12 and the trolley 20. The Silva 24 is disposed inside both wheels 22 of the trolley 20,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ction box 17 when the trolley 20 moves along the rail 12. Accordingly, since the outside air may be blocked from entering the suction box 17, the air suction by the blower 16 may be smoothly performed.

그런데 대차(20)는 구동부에 의해 하부영역으로 이동하면서 소결광을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배출되는 소결광이 실바(24)로 유입 및 부착되어 실바(24)의 원활한 작동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By the way, the trolley 20 discharges the sintered ore while moving to the lower region by the driving unit. At this time, the discharged sintered ore is introduced into and attached to the Silva 24, thereby preventing the smooth operation of the Silva 24.

KRKR 1995-89331995-8933 YY KRKR 1999-1251999-125 UU

본 발명은 대차와 공기 흡입박스 간의 기밀성을 유지하여 누풍을 억제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bris removal device that can suppress leakage by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bogie and the air intake box.

본 발명은 실바에 부착된 이물질을 실시간으로 제거함으로써 소결광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eign matter removal apparatu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the sintered ore by removing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Silva in real time.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대차의 상부에 상기 대차와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대차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여 상기 대차를 타격하는 타격부;를 포함한다. A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disposed to rotate in contact with the bogie on an upper portion of a bogie that moves along a movement path; And a striking part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and hitting the trolley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상기 구동부는 상기 대차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고,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1윙이 구비되는 제1휠과; 상기 제1회전축의 타단에 상기 제1휠과 평행하게 연결되고,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2윙이 구비되는 제2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윙은 상기 대차에 접촉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drive unit includes a first rotary shaft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olley; A first whee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provided with a first radially formed wing; And a second whee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shaft in parallel with the first wheel and having a second wing formed radially, wherein the first wing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in contact with the bogie. .

상기 타격부는 상기 제1회전축의 일측에 상기 제1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되며, 일측은 상기 제2윙과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대차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타격바; 및 상기 타격바의 상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타격바를 상승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타격바의 일측에는 롤러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타격바의 타측은 상기 대차의 실바(seal bar)에 접촉될 수도 있고, 상기 타격바의 타측에는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타격돌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The striking part includes a second rotating shaft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first rotating shaft on one side of the first rotating shaft; A strike bar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one side of which is disposed to partially overlap with the second wing,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disposed to contact the bogie;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one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triking bar, respectively, to raise the striking bar.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hitting bar may be provided with a roller. The other side of the hitting bar may be in contact with a seal bar of the trolley, and the other side of the hitting bar may be provided with a hitt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상기 타격바의 상부에는 상기 타격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타격바의 상부 일측과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타격바의 상부 타측과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제2탄성부재보다 탄성이 클 수도 있다. The upper part of the striking bar is provided with a fra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king bar, the elastic member is a first elastic member for connecting the frame and the upper one side of the striking bar around the second rotation axis, and the striking It may also include a second elastic member for connecting the upper other side of the bar and the frame. The first elastic member may be larger in elasticity than the second elastic member.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타격바의 타측을 상기 대차의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도 있다.The second elastic member may separate the other side of the hitting bar from the surface of the bogie.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실바에 부착된 소결광을 실시간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대차와 흡입박스 간의 기밀성을 유지하여 흡입박스로의 공기 유입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소결광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설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설비의 유지보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The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the sintered ore adhering to the Silva in real ti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flow of air into the suction box by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bogie and the suction box can improve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the sintered o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life of the equipment,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of the equipment.

그리고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대차의 운동을 이용하여 실바에 부착된 소결광을 제거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억제할 수 있고, 작업자의 업무를 경감시켜 줄 수 있다. And by removing the sintered ore attached to the Silva by using the movement of the trolley without a separate drive device can suppress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can reduce the work of the operator.

도 1은 일반적인 소결기의 작업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도.
1 is a working state diagram of a typical sintering machine.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tate of use of the foreign mat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2 is a front view of a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a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대차(20)의 상부에 대차(20)와 접촉하여 설치되어 대차(20)에 구비된 실바(24)를 타격하여 실바(24)에 부착된 이물질, 예컨대 소결광을 제거한다.Referring to FIG. 2,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trolley 20 at an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moving along the movement path, and strikes the silva 24 provided in the trolley 20. Remove any foreign matter attached to it, such as sintered ore.

대차(20)가 이동하는 이동경로, 예컨대 레일(미도시)의 양쪽에 지지대(100)가 설치되고, 이물질 제거장치(200)는 고정수단(300)을 이용하여 지지대(100)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대차(20)는 소결광을 배출하고 소결광을 제조하기 위한 영역으로 되돌아가기 위해 하부영역(도 1 참조)을 이동하는 상태이다. 이물질 제거장치(200)는 이와 같이 하부영역을 이동하는 대차(20)의 상부, 즉 대차(20)의 바닥 부분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이물질 제거장치(200)는 대차(20)의 양쪽 가장자리 쪽 상부에 배치되며, 구체적으로는 대차(20)의 폭방향에서 몸체 가장자리 및 바퀴(22) 사이에서 몸체와 바퀴(22)를 연결하는 샤프트(23)과 몸체 가장자리에 실바(24) 상부에 배치된다. The support 1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ovement path, for example, a rail (not shown) in which the trolley 20 moves, and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200 is fixed to the support 100 by using the fixing means 300. . At this time, the trolley 20 is in a state of moving the lower region (see Fig. 1) in order to discharge the sintered ore and return to the region for producing the sintered ore.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200 is installed to face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that moves the lower region, that is, the bottom portion of the trolley 20. At this time,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both edges of the trolley 20, specifically connecting the body and the wheel 22 between the body edge and the wheel 22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olley 20 The shaft 23 and the body edge is disposed on the Silva 24 above.

이물질 제거장치는 고정수단(300)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210)과, 지지프레임(210)에 연결되어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대차(20)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여 대차(20)를 타격하는 타격부를 포함한다. The debris removing device includes a support frame 210 connected to the fixing means 300, a drive unit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210 to rotate in contact with the trolley 20 moving along the movement path, and the rotation of the drive unit. It includes a blower hitting the cart 20 to rise and fall.

지지프레임(210)은 대차(20)의 이동방향 및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때, 지지프레임(210)의 형상은 설비 형태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The support frame 210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frames arranged i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olley 20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support frame 210 may be changed by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shape of the installation, it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구동부는 대차(20)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회전축(220)과, 제1회전축(220)의 일단에 연결되고,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1윙이 구비되는 제1휠(222)과, 제1회전축(220)의 타단에 제1휠(220)과 평행하게 연결되고,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2윙이 구비되는 제2휠(224)을 포함한다.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wheel connected to a first rotation shaft 220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olley 20 and one end of the first rotation shaft 220, and having a first wing formed radially. 222 and a second wheel 224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shaft 220 in parallel with the first wheel 220 and having a second wing formed radially.

제1회전축(220)은 대차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프레임에 베어링 등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The first rotating shaft 2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am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olley using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bearing.

제1휠(222)은 제1회전축(220)의 일측에 제1회전축(220)과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제1휠(222)은 대차(20)의 몸체와 바퀴(22)를 연결하는 샤프트(23)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휠(222)의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윙이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제1윙이 4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제1윙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차(20)의 이동속도, 대차(20)의 바퀴(22) 간격 및 직경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윙은 대차(20)의 몸체에 바퀴(22)를 연결하는 샤프트(23)에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wheel 222 is connected to rotate with the first rotating shaft 220 on one side of the first rotating shaft 220. In this case, the first wheel 222 may b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haft 23 connecting the body and the wheel 22 of the trolley 20, and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ing outer surfaces of the first wheel 222. 1 wing is formed. Although the drawings show that four first wings are formed, the number of first wings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by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moving speed of the trolley 20 and the spacing and diameter of the wheels 22 of the trolley 20. Can be. And the first wing may be formed to a length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shaft 23 connecting the wheels 22 to the body of the trolley 20.

제2휠(224)은 제1회전축(220)의 타측에 제1회전축(220)과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제2휠(224)은 대차(20) 바닥에 구비된 실바(24)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휠(224)의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윙이 형성된다. 이때, 제2윙은 제1윙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회전시 실바(24)에 접촉되지 않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제2윙이 제1윙과 같은 개수로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된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 또한 다양한 변수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The second wheel 224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tary shaft 22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rotary shaft 220. The second wheel 224 may be disposed above the Silva 24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trolley 20, and a plurality of second wings extending radially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heel 224. In this case, the second wing may be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wing, and the second wing may have a length tha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lva 24 during rotation. In the drawings, the second wings are shown to be staggered with each other by the same number as the first wing, but this may also be changed by various variables.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대차(20)가 이동경로인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 제1휠(2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윙이 대차(20)의 샤프트(23)에 접촉되어 대차(2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휠(222)이 연결되어 있는 제1회전축(220)이 회전하게 되고, 제1회전축(220)에 연결된 제2휠(224)이 연동하여 회전한다.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trolley 20 moves along a rail, which is a movement path, the first wing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heel 222 contacts the shaft 23 of the trolley 20 to allow the trolley 20 to be moved. Ro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direction, thereby rotating the first rotary shaft 220 to which the first wheel 222 is connected, the second wheel 224 connected to the first rotary shaft 220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do.

타격부는 제1회전축(220)의 일측에 제1회전축(22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회전축(230)과, 제2회전축(2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일측은 제2윙과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타측은 대차(20) 바닥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타격바(240) 및 타격바(240)의 상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되어 타격바(240)를 상승시키는 탄성부재(250, 252)를 포함한다. The striking pa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shaft 230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otating shaft 220 on one side of the first rotating shaft 220 and to the second rotating shaft 230, and one side of the second wing and a portion thereof. The elastic members 250 and 252 which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the hitting bar 240 and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itting bar 240 respectively disposed to contact the bottom of the trolley 20 to raise the hitting bar 240, respectively. ).

제2회전축(230)은 제1회전축(220)과 동일한 높이로 프레임에 나란하게 연결된다. 제2회전축(230)은 프레임에 베어링 등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rotary shaft 230 is connected to the frame side by side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rotary shaft 220. The second rotating shaft 230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to be rotatable using a bearing or the like.

타격바(240)는 대차(20)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2회전축(230)에 연결된다. 이때, 타격바(240)는 제2회전축(2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제2회전축(230)에 회전하지 않게 연결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제2회전축(230)이 프레임에 회전하지 않게 연결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제2회전축(230)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전자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The striking bar 240 is dispos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olley 2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ry shaft 230. In this case, the striking bar 2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230 so as to be rotatable, or may not be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230. In the former case, the second rotation shaft 230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so as not to rotate. In the latter case, the second rotation shaft 230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so as to be rotatable. Here, the former cas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타격바(240)는 제2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제2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양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타격바(240)는 일측이 제2휠(224)과 상하방향으로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타격바(240)는 제2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제2휠(224)에 인접한 일측보다 타측의 길이가 더 길도록 제2회전축(230)에 연결되어, 타격바(240)의 타측은 하중에 의해 하강하고 일측은 상승한 상태로 된다. 타격바(240)는 제2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하방을 향하기 때문에 타격바(240)의 이동 범위를 감소시켜 비교적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하다. The striking bar 240 is connected to be rotatable about the second rotation shaft 230, and both ends thereof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the second rotation shaft 230. The striking bar 240 is disposed such that one side thereof partially overlaps the second wheel 224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triking bar 2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ry shaft 230 so that the length of the other side is longer than one side adjacent to the second wheel 224 around the second rotary shaft 230, the other of the striking bar 240 The side is lowered by the load, and one side is raised. Strike bar 2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ry shaft 230, since both ends are directed downward to reduce the moving range of the strike bar 240 is installed in a relatively narrow space It is easy.

타격바(240)는 제1휠(222)의 회전에 의해 제2휠(224)이 회전하면 제2휠(224)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윙에 접촉되어 제2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양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타격바(240)의 일측은 제2휠(224)과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제2휠(224)이 회전하면 제2윙에 의해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하고, 그 타측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윙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타격바(240)의 타측은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고, 일측은 상승하는 시소운동을 반복해서 수행한다. 이때, 타격바(240)의 일측에는 제2휠(224)의 표면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롤러(242)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타격바(240)의 타측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타격돌기(244)를 형성하여 타격바(240)의 타측이 실바(24)를 타격할 때 발생하는 압력이 집중되도록 할 수도 있다. When the second wheel 224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wheel 222, the striking bar 24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wing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heel 224 to the center of the second rotary shaft 230. Both ends move upward and downward. That is, one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is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wheel 224, when the second wheel 224 is rotated is pressed by the second wing to move downward, the other side is moved upward. . And when the pressure by the second wing is released, the other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is moved downward by the load, one side repeatedly performs an increasing seesaw movement.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may be provided with a roller 242 to facilitate the movement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wheel 224.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may be formed by forming a striking projection 244 protruding downward so that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other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hits the Silva 24 may be concentrated.

그리고 제2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타격바(240)의 상부 일측에는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탄성부재(252)가 구비되고, 타격바(240)의 상부 타측에는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탄성부재(25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52)는 타격바(240)의 일측이 제2휠(224)에 의해 가압되어 하강했을 때 신장되어 있다가, 제2휠(224)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수축되어 타격바(240)의 상승 속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타격바(240)는 제2휠(224)에 의해 일측이 하강 및 상승하고, 이에 그 타측이 반대방향, 즉 상승 및 하강하면서 실바(24)를 타격하여 실바(24) 상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 및 제거하는데, 제1탄성부재(252)에 의해 타격바(240) 일측의 상승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타격바(240) 타측이 실바(24)를 타격하는 정도를 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타격바(240)의 타측이 실바(24)에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타격바(240)와 실바(24) 간의 마찰로 인해 실바(24)가 마모되거나 손상될 수 있으므로, 타격바(240)와 실바(24)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제2탄성부재(250)는 타격바(240)의 타측이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 실바(24)에 접촉되지 않도록 타격바(240)의 타측과 실바(24)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탄성부재(252)는 제2탄성부재(250)에 비해 더 큰 탄성을 갖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제1탄성부재(252) 및 제2탄성부재(250)의 탄성 정도는 제1탄성부재(252) 및 제2탄성부재(250)를 프레임에 연결하는 볼트 등과 같은 조절장치(256, 254)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elastic member 252 connected to the frame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around the second rotating shaft 230, and a second elastic side connected to the frame at the other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The member 250 may be provided. The first elastic member 252 is elongated when one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is pressed by the second wheel 224 and lowered, and is contracted when the pressurization by the second wheel 224 is released. Serves to increase the rate of ascent of 240. That is, the striking bar 240 is lowered and raised by one side of the second wheel 224,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attached to the Silva 24 by striking the Silva 24 while the other side is raised or lower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order to separate and remove the foreign matter, the first elastic member 252 increases the rising speed of one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serves to strengthen the extent that the other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strikes the Silva 24. And when the other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ilva 24, because the friction between the striking bar 240 and the Silva 24 may be worn or damaged, the striking bar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240 and the Silva 24. Therefore, the second elastic member 250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impact bar 240 and the seal 24 so that the second elastic member 25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al 24 when the other side of the impact bar 240 moves downward by a load. It serves to maintain. Therefore, the first elastic member 252 is preferably set to have a greater elasticity than the second elastic member 250. The elasticity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52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50 is adjusted to the first elastic member 252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50, such as bolts for adjusting the frame (256, 254) Can be adjusted b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이물질 제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 foreign material remov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를 참조하면, 소결공정을 마친 대차(20)가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면, 대차(20)는 바닥이 상부를 향하는 형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경로에는 이물질 제거장치(200)가 설치되어 있고, 이때 이물질 제거장치(200)의 타격바(240)는 타측이 실바(24) 상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도 5의 (a)). 대차(20)가 이동하면서 소정 영역, 즉 이물질 제거장치가 설치된 영역을 지나가면 대차(20)의 샤프트(23)가 제1휠(222)의 제1윙과 접촉되어 제1휠(222)이 대차(20)의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제1휠(222)에 연결된 제1회전축(220)이 제1휠(222)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회전축(220)에 연결된 제2휠(224)이 제1휠(22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휠(224)은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형성된 제2윙을 통해 타격바(240)의 일측을 가압(도 5의 (b))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trolley 20 that has completed the sintering process moves along the movement path, the trolley 20 moves in a form in which the bottom thereof faces upward.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200 is installed in the movement path, and at this time, the striking bar 240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200 is disposed with the oth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Silva 2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ee FIG. a)). When the trolley 20 moves and passes a predetermined region, that is, a region in which a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is installed, the shaft 23 of the trolley 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wing of the first wheel 222 so that the first wheel 222 is moved. It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olley 20. Accordingly, the first rotation shaft 220 connected to the first wheel 222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wheel 222, and the second wheel 224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220 is the first wheel. I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222. As the second wheel 224 rotates, one side of the hitting bar 240 is pressed through the second wing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 of FIG. 5).

제2휠(224)에 의해 가압된 타격바(240)의 일측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타격바(240)의 타측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타격바(24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1탄성부재(252)는 신장된다. 이어서 대차(20)가 이동하면서 제1휠(222)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제2휠(224)과 타격바(240) 간의 접촉도 해제된다. 타격바(240)과 제2휠(224)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신장되어 있던 제1탄성부재(252)는 수축되면서 타격바(240)의 일측을 강하게 상승시키게 된다. 이에 타격바(240)의 타측은 실바(24)의 표면을 강하게 타격(도 5의 (c))하고, 그 충격으로 실바(24) 표면에 부착된 소결광 등의 이물질이 실바(24) 표면으로부터 분리 및 제거된다. One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pressurized by the second wheel 224 is moved downward, the other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is moved upward. At this time, the first elastic member 252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is extended. Subsequently, as the trolley 20 moves, the contact with the first wheel 222 is released, and the contact between the second wheel 224 and the striking bar 240 is also released.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striking bar 240 and the second wheel 224 is released, the first elastic member 252 which is extended contracts the one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while being contracted. Accordingly, the other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hits the surface of the Silva 24 strongly (FIG. 5C), and foreign matters such as sintered ore adhered to the Silva 24 surface by the impact from the surface of the Silva 24. Separated and removed.

이후, 타격바(240)의 타측은 제2탄성부재(250)에 의해 상승하여 실바(24)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도 5의 (d)).
Thereafter, the other side of the striking bar 240 is lifted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25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Silva 24 (FIG. 5 (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지지대 200 : 이물질 제거장치
210 : 지지프레임 220 : 제1회전축
222 : 제1휠 224 : 제2휠
230 : 제2회전축 240 : 타격바
250, 252 : 탄성부재
100: support 200: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210: support frame 220: first rotating shaft
222: first wheel 224: second wheel
230: second axis of rotation 240: blow bar
250, 252: elastic member

Claims (9)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대차의 상부에 상기 대차와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대차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여 상기 대차를 타격하는 타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대차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고,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1윙이 구비되는 제1휠과;
상기 제1회전축의 타단에 상기 제1휠과 평행하게 연결되고,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2윙이 구비되는 제2휠;을 포함하며,
상기 제1윙은 상기 대차에 접촉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이물질 제거장치.
A driving unit disposed to rotate in contact with the bogie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gie that moves along a movement path; And
It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and the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hitting the trolley; includes;
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rotating shaft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olley;
A first whee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provided with a first radially formed wing;
And a second whee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on shaft in parallel with the first wheel and having a second wing formed radially.
The first wing is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is formed to a length in contact with the bogi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제1회전축의 일측에 상기 제1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회전축;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되며, 일측은 상기 제2윙과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대차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타격바; 및
상기 타격바의 상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타격바를 상승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tting part,
A second rotating shaft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first rotating shaft on one side of the first rotating shaft;
A strike bar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one side of which is disposed to partially overlap with the second wing,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disposed to contact the bogie; And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uppe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itting bar, respectively, to raise the hitting bar. And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타격바의 일측에는 롤러가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ne side of the hitting bar is a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provided with a roll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타격바의 타측은 상기 대차의 실바(seal bar)에 접촉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other side of the hitting bar is in contact with the seal bar (sealing bar) of the balance.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타격바의 타측에는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타격돌기가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The other side of the hitting bar is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is provided with a hitt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타격바의 상부에는 상기 타격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타격바의 상부 일측과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타격바의 상부 타측과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upper part of the striking bar is provided with a fra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king bar, the elastic member is a first elastic member for connecting the frame and the upper one side of the striking bar around the second rotation axis, and the striking And a second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frame with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a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제2탄성부재보다 탄성이 큰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elastic member is a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having a greater elasticity than the second elastic memb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타격바의 타측을 상기 대차의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a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for separating the other side of the hitting bar from the surface of the bogie.
KR1020120081950A 2012-07-26 2012-07-26 Removing apparatus for particle KR1013684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950A KR101368434B1 (en) 2012-07-26 2012-07-26 Removing apparatus for part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950A KR101368434B1 (en) 2012-07-26 2012-07-26 Removing apparatus for p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844A KR20140014844A (en) 2014-02-06
KR101368434B1 true KR101368434B1 (en) 2014-03-03

Family

ID=50264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950A KR101368434B1 (en) 2012-07-26 2012-07-26 Removing apparatus for part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43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933Y1 (en) * 1993-12-29 1995-10-18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Striking device of sintering m/c seal bar
KR19990000125U (en) * 1997-06-03 1999-01-15 김종진 Automatic Spectral Removal Device of Great Bar
KR200204017Y1 (en) 2000-06-10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Seal bar revising device in sinter pallet supplying port
KR20010064938A (en) * 1999-12-20 2001-07-11 이구택 Apparatus for returning seal bar in pall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933Y1 (en) * 1993-12-29 1995-10-18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Striking device of sintering m/c seal bar
KR19990000125U (en) * 1997-06-03 1999-01-15 김종진 Automatic Spectral Removal Device of Great Bar
KR20010064938A (en) * 1999-12-20 2001-07-11 이구택 Apparatus for returning seal bar in pallet
KR200204017Y1 (en) 2000-06-10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Seal bar revising device in sinter pallet supplying 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844A (en)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6809B1 (en) Ultrafine powder sieving machine with bi-directional airflow
CN102897553B (en) Efficient and energy-saving linkage dust collection device of moving dumper
CN104985494A (en) Cast iron pipe outer wall grinding device
CN105170666B (en) A kind of straightening descaling mill
CN105364723A (en) Blast treatment device and blast treatment method
CN111451945B (en) Adjustable impeller spraying bin
KR20130131688A (en) Cleaning and suction equipment of line of warhead
KR101368434B1 (en) Removing apparatus for particle
CN106670980A (en) Shot blasting machine
CN204748354U (en) Crawler -type stone material single face shot -blasting machine
CN206855275U (en) Apron type airless shot blasting machine
CN206105632U (en) Ball device is thrown to steel construction production line steel member
CN205342836U (en) Car -type abrator
CN202491183U (en) Steel mesh crawler-type shot blasting machine
CN205342830U (en) Tank car abrator
CN204076031U (en) Hook-type shot-blast cleaner
CN207043992U (en) A kind of spring workpiece Special shot blast machine
CN211940487U (en) Wide-surface shot blasting mechanism
CN106978656A (en) A kind of roller for spinning machine cleaning device
KR102006772B1 (en) Cleaning device of tunnel luminaire
CN111300282A (en) Wide-surface shot blasting mechanism
CN206951747U (en) Glass processing device
CN202952166U (en) Wave type steel plate sanding device
CN218476527U (en) Shot blasting machine for producing parts of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CN204264929U (en) Coal belt conveyor two-wheel presses formula swabbing pi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