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035B1 -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bipolar plat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bipolar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035B1
KR101367035B1 KR1020130026395A KR20130026395A KR101367035B1 KR 101367035 B1 KR101367035 B1 KR 101367035B1 KR 1020130026395 A KR1020130026395 A KR 1020130026395A KR 20130026395 A KR20130026395 A KR 20130026395A KR 101367035 B1 KR101367035 B1 KR 101367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polar plate
composite bipolar
film
conductive filler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3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호성
김민영
강병수
노희숙
양일신
부성재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26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0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0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13Gas-impermeable carbon-contain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1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having a low-priced high-quality film structure to fit a redox flow batter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for a redox flow battery comprises the steps of: providing a conductive filler; providing a binder resin having a polymeric binder dissolved in a solvent; forming slurry by mixing and stirring the binder resin including 30 to 40 wt% of the conductive filler, 25 to 35 wt% of the solvent and 20 to 30 wt% of the polymeric binder, and 0.5 to 1.5 wt% of a dispersant; producing a film via a tape casting method using the slurry; and stacking and laminating the film. [Reference numerals] (AA) Raw material; (BB) Prototype; (S1) Mix and stir a conductive filler (carbon, graphite, etc) and a binder resin (thermoplastic, thermosetting) (filler : resin = 8: 2); (S2) Produce a film via a tape casting method using produced slurry (ink) (thickness of the film : 5 to 200μm, drying temperature: 80°C, transfer speed: 23.6 m/min); (S3) Laminate the final composite film manufactured by stacking the produced film (lamination condition: 60MPa, 80°C)

Description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BIPOLAR PLATE}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BIPOLAR PLATE}

본 발명은 레독스 플로우 전지 또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또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전지에 적합하도록 저가 고품질의 박형 구조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separator or bipolar plate for a redox flow battery or a fuel cell, and to a method for producing a low cost, high quality thin structure composite bipolar plate suitable for a cell for a redox flow battery.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이온교환막(격막)의 양측에 다공성 전극(양극 및 음극)과 바이폴라 플레이트, 그리고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스택의 각 셀을 분리하는 판으로서 전지의 내부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전성이 요구되고, 인접하는 셀로 전해액이 새지 않고 확실히 차단되는 특성이 요구 된다. 또한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전해액에 의한 압력과 온도변화에 의한 열 수축 등도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기계적 강도(인장강도) 및 변형에 의한 파손이 발생 하지 않도록 연신 특성도 요구된다.The redox flow battery is composed of porous electrodes (anode and cathode), bipolar plates, and frames on both side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diaphragm). In this case, the bipolar plate is a plate that separates each cell of the stack, and the conductivity is required to minimize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and the electrolyte is not leaked to the adjacent cells, and thus the characteristic is surely blocked. In addition, since bipolar plates may also generate heat shrinkage due to pressure and temperature change due to electrolyte, drawing characteristics are also required to prevent breakage due to high mechanical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deformation.

기존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도전성 필러(카본 소재) 또는 구조체(카본 괴)와 바인더 수지(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 그리고 기능성 첨가제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분리판 또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이후, '바이폴라 플레이트'로 통칭 함)를 제조함에 있어서, 흑연 괴를 절단 및 황삭 가공에 의해 요구되는 치수로 절단한 후 평면연마를 실시하고, 최소 3회 이상 수지 함침 공정을 실시한 후,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제품규격으로 정밀 절삭 가공하는 공정을 가진다. 그러나 기존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절삭 가공 및 수지 함침을 수행함에 따라 제조 비용이 매우 높기 때문에 양산 적용이 곤란하며, 치공구의 마모 속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 및 치수의 균일성이 변화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bipolar plates consist of conductive fillers (carbon materials) or structures (carbon ingots), binder resins (thermoplastic or thermosetting resins), and functional additives. Conventionally, in manufacturing a separator plate or a bipolar pl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ipolar plate') of a redox flow battery, the graphite ingot is cut to a dimension required by cutting and roughing, followed by planar polishing. After the resin impregnation process is performed at least three times, there is a process of precise cutting to the required product standard. However, the conventional bipolar plate manufacturing method, it is difficult to apply mass production because the manufacturing cost is very high by performing the cutting process and resin impregn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niformity of the product quality and dimensions change according to the wear rate of the tool. .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흑연 분말과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바인더 수지의 분말을 건식 열혼합하여 흑연 복합체를 제조하고 흑연 복합체를 프레스 금형으로 압축성형 하거나, 사출 성형하여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제조하고 있다. 금형으로 압축하거나 사출하는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 제조 공정은, 성형공정에 원료를 투입하기 전에 도전성 필러(흑연 또는 카본)와 바인더 수지(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를 바인딩하여 복합화 하기 위해 적절한 고온에서 용해 및 교반하는 기술이 필요하며, 압축 및 사출 성형 시에 금형의 온도 및 압력에 대한 최적 제어기술이 필요하다. 더욱이 사출 성형 시에는 도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전성 필러(흑연 또는 카본)가 최소 30% 이상 충진되도록 함으로써 금형 내에서 복합체의 흐름성(유동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사출되어 성형되는 제품의 품질이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종래기술에 의한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제품의 두께조절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소재의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graphite powder and the powder of the thermoplastic or thermosetting binder resin by dry heat mixing to produce a graphite composite and compression molding the graphite composite into a press mold, or injection molding to produce a composite bipolar plate. The composite bipola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which compresses or injects into a mold, is a technique of dissolving and stirring at an appropriate high temperature in order to bind and compound a conductive filler (graphite or carbon) and a binder resin (thermosetting or thermoplastic) before inserting raw materials into the molding process. There is a need for optimal control of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mold during compression and injection molding. In addition, during injection molding, at least 30% or more of the conductive filler (graphite or carbon) is filled to secure conductivity, and thus the flowability (fluidity) of the composite in the mold is very low, and as a result, the quality of the product to be injected and molded is reduced. There is a problem of being uneven. In particular, the bipolar pla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the material increases because there is a limit to the thickness control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가의 절삭 가공과 수지 함침을 이용하지 않고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polar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be manufactured without using expensive cutting and resin impregnation, and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치공구의 마모 속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 및 치수의 균일성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bipolar plate which prevents the uniformity of the quality and dimensions of the product from changing with the wear rate of the too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두께가 얇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ipolar plate that is thin and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은, 도전성 필러를 제공하는 단계, 고분자 바인더를 용매에 용해한 바인더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도전성 필러 30~40wt%, 상기 용매 25~35wt%와 상기 고분자 바인더 20~30wt%를 포함하는 상기 바인더 수지 및 분산제 0.5~1.5wt%를 혼합 및 교반하여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슬러리를 이용하여 테이프 캐스팅 공정으로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을 적층하고 라미네이션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for a redox flow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oviding a conductive filler, providing a binder resin in which a polymer binder is dissolved in a solvent, the conductive filler 30 to 40 wt%, Forming a slurry by mixing and stirring the binder resin and 0.5 to 1.5 wt% of the binder resin and the dispersant containing 25 to 35wt% of the solvent and the polymer binder 20 to 30wt% to prepare a film by a tape casting process using the slurry And laminating and laminating the film.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필러는, 흑연(Graphite), 카본(Carbon),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기상 성장 탄소 섬유(Vapor Grown Carbon Fiber, VGCF), KB(Ketjen Black), 탄소 섬유(Carbon Fiber)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필러는 흑연을 포함하고, 상기 흑연은 비표면적이 3.0㎡/g 이하인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지하게는, 상기 흑연은 비표면적이 2.0㎡/g 이하인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conductive filler, graphite, carbon (Carbon), carbon nanotubes (Carbon Nano Tube, CNT), vapor grown carbon fiber (Vapor Grown Carbon Fiber, VGCF), KB (Ketjen Black), Any one or more of carbon fibers may be used. The conductive filler includes graphite, and the graphite may use particles having a specific surface area of 3.0 m 2 / g or less. Preferably, the graphite may use particles having a specific surface area of 2.0 m 2 / g or less.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필러의 함량은, 상기 라미네이션이 완료된 후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 내에서 40wt% 내지 95wt%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필러의 함량은,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 내에서 60wt% 내지 95wt%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필러의 함량은,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 내에서 80wt% 내지 90wt%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filler may have a range of 40wt% to 95wt% in the composite bipolar plate after the lamination is completed. Preferably, 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filler may be in the range of 60wt% to 95wt% in the composite bipolar plate. More preferably, 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filler may have a range of 80wt% to 90wt% in the composite bipolar plate.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바인더 수지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PVB(polyvinyl butyral)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는 PVB(polyvinyl butyral)를 10wt%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의 용해를 위한 용매는 톨루엔 또는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binder resin may comprise a thermoplastic or thermosetting resin. For example, the polymer binder may include polyvinyl butyral (PVB). In addition, the binder resin may include 10 wt% or more of polyvinyl butyral (PVB). In addition, the solvent for dissolving the binder resin may include toluene or ethanol.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200㎛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의 두께는 50㎛ 내지 200㎛로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thickness of the film may be formed to 10㎛ to 200㎛.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film may be formed to 50㎛ to 200㎛.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라미네이션 단계는 상기 적층된 필름에80℃의 온도에서 60㎫의 하중을 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lamination step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a load of 60 MPa at a temperature of 80 ℃ to the laminated film.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래의 도전성 필러와 바인더 수지의 고온 열 용융 복합화 공정을 상온 용매에서 용해 복합화 공정으로 변경하고, 종래의 압축 및 사출공정을 용액 제막법인 테이프캐스팅 공법으로 제조하여 적층하는 공정으로 변경함으로써, 고온 열용융에 의한 수지의 물성 변화와 도전성 필러의 배합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압축 및 사출성형에서 소재의 유동성(흐름성)을 해결함으로 고품질의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 제조가 가능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tional high temperature thermal melt compounding process of the conductive filler and the binder resin is changed to a melt compounding process in a solvent at room temperature, and the conventional compression and injection process is a solution film forming tape By changing to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nd laminating by casting method,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of resin and the mixing ratio of conductive filler by high temperature heat melting, and solves the fluidity (flow) of materials in compression and injection molding. It allows bipolar plate produ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 제조공정은 두께 조절이 용이하여 별도의 압축 또는 사출금형의 제작이 불필요하므로 제품의 제조공정 비용이 크게 절감하게 된다. 특히,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두께가 기존 8?10cm 에서 최근에는 3cm이하로 박막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기존 압축 및 사출성형의 경우 두께가 얇아질수록 품질문제 및 코스트 상승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측면이 있다.
In addition, the composite bipola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ontrol the thickness is not necessary to manufacture a separate compression or injection mold,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ost of the product. In particular, the thickness of the bipolar plate of the redox flow battery tends to be thinned from less than 8 cm to 10 cm in recent years. Therefore, in the case of conventional compression and injection molding, the thinner the thickness, the quality problem and the cost increase problem occu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advantageous aspect in this resp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프 캐스팅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시작품의 사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시작품의 특성을 보여주는 SEM & EDX(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및 EPMA(Electro-Probe Micro Analyzer) 분석 결과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적용된 바이폴라 플레이트 시트에서 도전성 필러의 종류별 슬러리 복합체의 SEM 표면을 관찰 한 것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ape casting proces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of a prototype of a composite bipolar plate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M & EDX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and EPMA (Electro-Probe Micro Analyzer) analysis result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totype of the composite bipolar plate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M surface of the slurry composite for each kind of conductive filler in the bipolar plate sheet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may be omitted so as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체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프 캐스팅 공정의 개략도이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or reference, 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tape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hematic diagram of the casting process.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도전성 필러와 용매에 용해된 바인더 수지 및 분산제를 상온에서 적절하게 교반하여 복합체 슬러리(잉크)를 제조한다(S1).Referring to the drawings, first, a binder slurry and a dispersant dissolved in a conductive filler and a solvent are appropriately stirred at room temperature to prepare a composite slurry (ink) (S1).

상세하게는, 도전성 필러와 바인더 수지는 8:2의 비율로 혼합된다. 여기서, 복합체 슬러리는 도전성 필러와 바인더 수지 및 분산제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에를 들어, 복합체 슬러리의 조성을 살펴보면, 도전성 필러는 30~40wt%, 용매는 25~35wt%, 고분자 바인더 20~30wt%, 분산제 0.5~1.5wt%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ductive filler and the binder resin are mixed at a ratio of 8: 2. Here, the composite slurry is formed by mixing a conductive filler, a binder resin and a dispersant. For example, looking at the composition of the composite slurry, the conductive filler may include 30 ~ 40wt%, 25 ~ 35wt% solvent, 20 ~ 30wt% polymer binder, 0.5 ~ 1.5wt% dispersant.

예를 들어, 도전성 필러는, 흑연(Graphite), 카본 (Carbon),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기상 성장 탄소 섬유(Vapor Grown Carbon Fiber, VGCF), KB(Ketjen Black), 탄소 섬유(Carbon Fiber)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인더 수지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인더 수지는,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고, PVB(polyvinyl butyral)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바인더 수지를 용해하는 용매로는 톨루엔이나 에탄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ductive filler may be graphite, carbon, carbon nanotube (CNT), vapor grown carbon fiber (VGCF), KB (Ketjen Black), carbon fiber. One or more materials of (Carbon Fiber) may be used. In addition, the binder resin may be a thermoplastic or thermosetting resin. In addition, the binder resin may include a polymer binder, and polyvinyl butyral (PVB) may be used. Toluene or ethanol may be used as the solvent for dissolving the binder resin.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슬러리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된 바이폴라 플레이트 내에서 도전성 필러의 충진율을 최소 40wt%에서 95wt%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내에서 도전성 필러의 함량을 최소 60wt% 이상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최대 95wt%까지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내에서 도전성 필러의 함량을 80wt% 내지 90wt%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복합체 슬러리 내에서 도전성 필러의 함량은 도전성 필러는 30~40wt%이고, 건조 및 제조가 완료된 바이폴라 플레이트 내에서 도전성 필러의 충진율을 40~95wt%로 유지할 수 있다.Here, the filling rate of the conductive filler in the bipolar plate finally prepared using the slurry prepa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increased from at least 40wt% to 95wt%. Preferably, 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filler in the bipolar plate can be maintained at least 60wt% or m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up to 95wt%. More preferably,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filler in the bipolar plate at 80wt% to 90wt%. That is, 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filler in the composite slurry is 30 ~ 40wt% of the conductive fill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illing rate of the conductive filler in 40 ~ 95wt% in the bipolar plate is dried and manufactured.

상세하게는, 도전성 필러는 흑연을 사용하고, 상기 흑연은 비표면적이 3.0㎡/g 이하의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흑연은 비표면적이 2.0㎡/g 이하의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흑연은 비표면적이 작을수록 동일한 바인더 수지 함량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기전도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흑연의 비표면적과 전기전도성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Specifically, the conductive filler uses graphite, and the graphite may be a powder having a specific surface area of 3.0 m 2 / g or less. Preferably, graphite may be a powder having a specific surface area of 2.0 m 2 / g or less. Here, the smaller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graphite, the highe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for the same binder resin content. A description of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graphit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이때 슬러리의 점도는 테이프 캐스팅 공정에 적합하도록 용매를 사용하여 조정하며, 바람직하게는 약 500~1000cp 수준으로 조정하여 사용된다.At this time, the viscosity of the slurry is adjusted by using a solvent to be suitable for the tape casting process, preferably adjusted to about 500 ~ 1000cp level is used.

다음으로, 제조된 슬러리를 이용하여 용액 제막법, 즉, 테이프 캐스팅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필름 형태로 제조하고, 소정 온도에서 건조하여 그린 시트 형태로 필름을 제조한다(S2).Next, using the prepared slurry is continuously produced in the form of a film of a constant thickness by a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that is, a tape casting process, and dri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produce a film in the form of a green sheet (S2).

참고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캐스팅 장치(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저장유닛(110), 이송유닛(120), 블레이드(130), 높이조절유닛(140) 및 히팅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테이프 캐스팅 장치(100)는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테이프 캐스팅 장치(100)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며, 상세한 구성 및 설명을 생략한다. For reference, the tape cas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2, large storage unit 110, transfer unit 120, blade 130, height adjusting unit 140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eating unit 150. However, since the tape casting apparatus 100 is not a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e casting apparatus 100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detailed configuration an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저장유닛(110)은 슬러리(S)를 저장하며, 하부가 개구되어 슬러리(S)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송유닛(120)은 이송필름(T)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이송유닛(120) 상에 슬러리(S)를 도포한다. 예를 들어, 이송유닛(120)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송모터와, 이들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며 슬러리(S)가 도포된 이송필름(T)이 귄취되는 귄취롤을 포함한다. 또한, 한편, 이송필름(T)은 PET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레이드(130)는, 슬러리(S)가 배출되는 경로상에 구비되며, 슬러리(S)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이송필름(T)에 도포되는 슬러리(S)의 두께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130)가 슬러리(S)의 배출 경로상에 배치된 제1블레이드(132)와 제2블레이드(134)로 구성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레이드(130)의 구성 및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높이조절유닛(140)은 블레이드(130)의 상하 방향 높이를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이송필름(T)에 도포되는 슬러리(S)의 두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히팅유닛(150)은 이송필름(T)이 이송되는 경로상에 구비되어, 이송필름(T)에 열을 공급한다.
Storage unit 110 stores the slurry (S), the lower portion is opened to serve to discharge the slurry (S) to the outside. The transfer unit 120 transfers the transfer film T in one direction and applies the slurry S on the transfer unit 120. For example, the transfer unit 120 includes a transfer motor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a gnomer roll, which is connected to them and rotates together and which is conveyed with the conveying film T coated with the slurry S. In addition, the transfer film T may be made of a PET material or the like. The blade 130 is provided on a path through which the slurry S is discharged, and serves to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slurry S applied to the transfer film T by adjust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slurry S. In this embodiment, the blade 130 is a configuration consisting of the first blade 132 and the second blade 134 disposed on the discharge path of the slurry (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figuration and shape of the blade 130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The height adjusting unit 140 adjusts the height of the blade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slurry S applied to the transfer film T can be changed. The heating unit 150 is provided on a path through which the transfer film T is transferred, and supplies heat to the transfer film T.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 캐스팅 장치(100)를 이용함으로써 한가지 공정만을 이용하여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가 가능하며, 1mm 미만의 박막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tape casting apparatus 100,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bipolar plate using only one process, and to manufacture a thin bipolar plate of less than 1 mm.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캐스팅 장치(100)에 의해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ipolar plate by the tape cas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s follows.

먼저, 복합체 슬러리(S)를 넣고 높이조절유닛(140)을 이용하여 블레이드(130)의 높이를 조절한다.First, the composite slurry (S) is put and the height of the blade 130 is adjusted using the height adjusting unit 140.

예를 들어, 테이프 캐스팅 공정에 의해서 제조되는 그린 시트 형태의 필름(P)의 두께는 10~200㎛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필름(P)의 두께는 50~200 ㎛ 두께로 제조된다. 여기서, 제조되는 필름의 두께는 테이프 캐스팅 장치(100)의 블레이드(130)의 높이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성형된다.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film P of the green sheet form manufactured by the tape casting process has a thickness of 10-200 micrometers.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film P is manufactured in 50-200 micrometer thickness. Here, the thickness of the film to be produced is molded to an appropriate thicknes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lade 130 of the tape casting device 100.

다음으로, 이송필름(T)의 이동속도가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도록 이송모터를 회전시키면 이송필름(T)이 화살표 방향으로 히팅유닛(150)의 위에서 이동하며, 이송필름(T) 위에 슬러리(S)가 일정 두께로 코팅된다. 여기서, 테이프 캐스팅 장치(100)는 필름(P) 제조 시 일정 속도로 슬러리(S)를 제공하여 필름(P)을 제조하는데, 예를 들어, 23.6㎝/min의 속도로 이송하여 제조할 수 있다.Next, when the transfer motor is rotated so that the moving speed of the transfer film T is maintained at a constant speed, the transfer film T moves on the heating unit 15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the slurry S is transferred onto the transfer film T. ) Is coated to a certain thickness. Here, the tape casting device 100 to provide a slurry (S) at a constant speed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film (P) to produce a film (P), for example, can be produced by transporting at a speed of 23.6 cm / min. .

히팅유닛(150)을 이용하여 이송필름(T)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면서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건조 및 제조한다. 예를 들어, 테이프 캐스팅 장치(100)에서 필름(P)의 건조 온도는 80℃이다. 여기서, 온도를 약 80 ℃로 유지하여 열처리나 건조를 한번에 수행하도록 하며 수축이 박리 및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The heating unit 150 is used to dry and manufacture the bipolar plate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transport film T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example, the drying temperature of the film P in the tape casting apparatus 100 is 80 占 폚. Here, the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about 80 캜 so that heat treatment or drying is performed at once, and shrinkage can prevent peeling and crack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스팅 방법은 슬러리의 점도에 대응하여 블레이드의 높이, 이송 속도, 이송 필름에 공급하는 열을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박막을 제조하는 데 사용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tape ca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height of the blade, the feed rate, and the heat supplied to the transfer film in response to the viscosity of the slurry, and thus can be used to prepare thin films of various kinds of bipolar plates.

본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프 캐스팅 공정은, 고품질의 라미네이팅 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저비용(low-cost) 공정으로 양호한 두께 조절과 원하는 표면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캐스팅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저 비용으로 양호한 두께 조절 및 원하는 표면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용매에 용해된 복합체 슬러리를 사용하여 테이프 캐스팅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시트는, 약 1mm 수준의 박막으로 제조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ape casting process can achieve good thickness control and desired surface condition with a low-cost process for producing high quality laminating parts. In addition, by using a tape casting process, good thickness control and desired surface condition can be obtained at low cost. In addition, a bipolar plate sheet for a redox flow battery manufactured by a tape casting process using a composite slurry dissolved in a solvent can be manufactured into a thin film having a level of about 1 mm.

다음으로, 제조된 필름을 필요에 따라 수장에서 수십 장을 적층하고, 적층된 필름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압축 및 라미네이션하여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제조한다(S3).Next, dozens of sheets of the produced film are laminated as needed, and a composite bipolar plate is manufactured by compressing and laminating the laminated film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S3).

예를 들어, 라미네이션은 60㎫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8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조건의 라미네이션을 5분씩 4회 실시하여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For example, lamination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80 ° C. under a load of 60 MPa. And lamination of the above conditions can be carried out four times each 5 minutes to produce a bipolar plate.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시제품 및 표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3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ototype and surface state of the bipolar plate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3은, 상술한 바이폴라 플레이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시제품의 사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테이프 캐스팅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약 1mm 수준의 박막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First, Figure 3 is a photograph of the prototype of the bipolar plate produced by the bipolar plat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 3, a bipolar plate sheet for a redox flow battery, which is a thin film having a level of about 1 mm, may be manufactured by using a tape casting process.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시제품 표면에 대해 SEM & EDX(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또는 XEDS) 및 EPMA(Electro-Probe Micro Analyzer)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들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4에서 왼쪽 도면에서 녹색은 도전성 필러(흑연)의 분포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오른쪽 도면에서 적색은 도전성 필러의 강도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왼쪽의 EDX 결과와 거의 동일한 현상으로 도전성 필러(흑연)의 분포가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다.4 are photo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SEM & EDX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or XEDS) and EPMA (Electro-Probe Micro Analyzer) analysis on the prototype surface of FIG. 3.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FIG. 4, in the left figure, green shows a distribution diagram of the conductive filler (graphite), and in the right figure, red shows the strength of the conductive filler. 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conductive filler (graphite) increases due to a phenomenon almost identical to that of the left EDX result.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바이폴라 플레이트 시트에서 도전성 필러의 종류별 슬러리 복합체의 SEM 표면 관찰 결과로서, 적용된 바이폴라 플레이트 시트에서 도전성 필러의 종류별 슬러리 복합체의 SEM 표면을 관찰 한 것이다. 도 5에서, 샘플 1 내지 4는 각각 도전성 필러로 서로 다른 종류의 흑연을 사용하여 제조된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샘플들이다. 참고적으로, 샘플 1 내지 4는, 4종류의 흑연과 수지 바인더를 동일 비율(흑연의 비율은 80 wt% 이상)을 혼합하고, 테이프 캐스팅 공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흑연의 비율은 슬러리 조성에서 용매의 중량이 제거된 상태, 즉 바이폴라 캐스팅 후 건조된 상태에서의 흑연 필러와 수지만의 조성비율에 대해 기술하였다. 즉, 동일한 수지 바인더에 흑연의 종류를 다르게 혼합하고 테이프 캐스팅 공법으로 제조된 필름을 각각 샘플 1 내지 4라 한다. 또한, 샘플 1 내지 4에서 사용된 흑연의 비표면적과 입도는 도 5에 기재된 바와 같다.5 is an SEM surface observation result of the slurry composites of each kind of conductive filler in the bipolar plate sheet prepa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 surface of the slurry composites of each type of the conductive filler in the applied bipolar plate sheet. In Figure 5, Samples 1 to 4 are samples of bipolar plates, each made using different kinds of graphite as conductive fillers. For reference, Samples 1 to 4 were prepared by mixing four kinds of graphite and a resin binder in the same ratio (the ratio of graphite is 80 wt% or more) to prepare a film by a tape casting method. In this case, the ratio of graphite wa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graphite filler and resin only in the state in which the weight of the solvent was removed from the slurry composition, that is, in a dried state after bipolar casting. That is, the films prepared by mixing different kinds of graphite in the same resin binder and using a tape casting method are referred to as Samples 1 to 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particle size of graphite used in Samples 1 to 4 are as described in FIG. 5.

그리고 샘플 1 내지 4에 의해 제조된 필름의 표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제조된 필름을 압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름 표면의 형상 및 전기저항 특성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샘플 1 내지 4의 SEM 표면 관찰 결과, 샘플 1과 2 그리고, 샘플 3과 4의 표면 상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수지 함량에서 흑연의 특성을 변수로 할 경우, 흑연의 입도와 형상보다 비표면적이 적을수록 균일한 분산과 수지의 함침이 균일하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샘플 1과 2의 경우, 수지 바인더가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흑연의 형상이 뚜렷하지만, 샘플 3과 4는 수지 바인더가 흑연 표면에 많이 뭉쳐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비표면적이 작은 흑연 일수록 동일한 수지의 함량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저항(743 mΩ.cm)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And in order to confirm the surface state of the film manufactured by the samples 1-4, the relationship of the shape and electrical resistance characteristic of the film surface was shown in the state which did not compress the manufactured film. Referring to FIG. 5, as can be seen from the drawings, SEM surface observation results of Samples 1 to 4 show that the surfaces of Samples 1 and 2 and Samples 3 and 4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pecifically, w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phite as a variable at the same resin content, it can be seen that the smaller the specific surface area than the particle size and shape of the graphite, the more uniform the dispersion and the impregnation of the resin. In the case of Samples 1 and 2, the shape of the graphite is so clear that the resin binder is hardly visible, but Samples 3 and 4 show that the resin binder is aggregated on the graphite surfac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graphite having a small specific surface area may exhibit a relatively low electrical resistance (743 mΩ.cm) despite the same resin content.

그리고 샘플 1의 흑연을 사용하여 흑연의 함량을 약 80 wt% 로 하는 슬러리를 제조하고, 상술한 테이프 캐스팅 공법 및 적층, 라미네이션 조건으로 하여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제작하여, 전기저항을 측정한 결과 약 500 mΩ.cm 수준의 수치를 확인 할 수 있었다.Then, using the graphite of Sample 1, a slurry having a graphite content of about 80 wt% was prepared, and a composite bipolar plate was manufactured under the above-described tape casting method, lamination and lamination conditions, and electrical resistance was measured. The value of mΩ.cm level could be confirmed.

참고적으로,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이온교환막(격막)의 양측에 다공성 전극(양극 및 음극)과 바이폴라 플레이트, 그리고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스택에서 각 셀을 분리하는 판으로 사용되며, 전지의 내부저항을 최소화하고, 인접하는 셀로 전해액이 새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높은 기계적 강도와 연신 특성을 가지므로 전해액에 의한 압력과 온도변화에 의한 열 수축 등과 변형에 의한 파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For reference, a redox flow battery includes a porous electrode (anode and cathode), a bipolar plate, and a frame on both sides of an ion exchange membrane (diaphragm). The bipolar plat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is used as a plate separating each cell from the stack, minimizes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and blocks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to the adjacent cells. In addition, since the bipolar plate has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stretching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due to deformation and heat shrinkage due to pressure and temperature change by the electrolyte.

본 발명은 용매 용해법에 의해 복합체(슬러리)를 제조하고, 용액 제막법(테이프 캐스팅)에 의해 저가 고품질의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This invention can manufacture a composite (slurry) by the solvent dissolution method, and can manufacture the composite bipolar plate for redox flow batteries of low cost high quality by the solution film-forming method (tape cast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전성 필러와 바인더 수지의 고온 열 용융 복합화 공정을 상온 용매에서 용해 복합화 공정으로 변경하고, 압축 및 사출공정 대신 용액 제막법인 테이프 캐스팅 공정으로 제조하여 적층하는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고온 열용융에 의한 수지의 물성 변화와 도전성 필러의 배합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압축 및 사출성형에서 소재의 유동성(흐름성)을 해결함으로 고품질의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 제조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changing the high temperature hot melt compounding process of the conductive filler and the binder resin into a solution complexing process in a normal temperature solvent, and manufacturing and laminating by a tape casting process, which is a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instead of a compression and injection process, is us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high quality composite bipolar plates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in due to high temperature heat melting and the blending ratio of the conductive filler, and solving the fluidity (flow) of the material in compression and injection mold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 제조공정은 유동성(흐름성) 문제점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또한 두께 조절이 용이하여 별도의 압축 또는 사출금형의 제작이 불필요하므로 제품의 제조공정 비용이 크게 절감하게 된다. 특히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두께가 기존 8~10cm 에서 최근에는 3cm이하로 박막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기존 압축 및 사출성형의 경우 두께가 얇아질수록 품질문제 및 비용 상승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측면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bipola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not only facilitates the fluidity (flow) problem, but also easy to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production of a product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manufacture a separate compression or injection mold The process cost is greatly reduced. In particular, the thickness of the bipolar plate of the redox flow battery tends to be thinned from less than 8 cm to 10 cm. Therefore, in the case of conventional compression and injection molding, the thinner the thickness, the quality problem and the cost increase problem occu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advantageous aspect in this respect.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4)

도전성 필러를 제공하는 단계;
고분자 바인더를 용매에 용해한 바인더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도전성 필러 30~40wt%, 상기 용매 25~35wt%와 상기 고분자 바인더 20~30wt%를 포함하는 상기 바인더 수지 및 분산제 0.5~1.5wt%를 혼합 및 교반하여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슬러리를 이용하여 테이프 캐스팅 공정으로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을 적층하고 라미네이션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Providing a conductive filler;
Providing a binder resin in which a polymer binder is dissolved in a solvent;
Forming a slurry by mixing and stirring the binder resin and the dispersant 0.5 to 1.5 wt%, including the conductive filler 30 to 40 wt%, the solvent 25 to 35 wt%, and the polymer binder 20 to 30 wt%;
Preparing a film by a tape casting process using the slurry; And
Stacking and laminating the film;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필러는, 흑연(Graphite), 카본(Carbon),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기상 성장 탄소 섬유(Vapor Grown Carbon Fiber, VGCF), KB(Ketjen Black), 탄소 섬유(Carbon Fiber)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ductive filler may be graphite, carbon, carbon nanotube (CNT), vapor grown carbon fiber (VGCF), KB (Ketjen Black), carbon fiber (Carbon Fiber).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in which at least one of)) is us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필러는 흑연을 포함하고,
상기 흑연은 비표면적이 3.0㎡/g 이하인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ductive filler comprises graphite,
The graphite has a specific surface area of 3.0 m 2 / g or less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은 비표면적이 2.0㎡/g 이하인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graphite has a specific surface area of 2.0 m 2 / g or less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필러의 함량은, 상기 라미네이션이 완료된 후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 내에서 40wt% 내지 95wt% 의 범위를 갖는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ductive filler content, the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having a range of 40wt% to 95wt% in the composite bipolar plate after the lamination is comple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필러의 함량은,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 내에서 60wt% 내지 95wt% 의 범위를 갖는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ductive filler content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having a range of 60wt% to 95wt% in the composite bipolar pl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필러의 함량은,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 내에서 80wt% 내지 90wt% 의 범위를 갖는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filler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having a range of 80wt% to 90wt% in the composite bipola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binder resi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comprising a thermoplastic or thermosetting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PVB(polyvinyl butyral)를 포함하는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olymer binder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containing polyvinyl butyral (PVB).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PVB(polyvinyl butyral)를 10wt% 이상 포함하는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inder resi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containing 10 wt% or more of polyvinyl butyral (PV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의 용해를 위한 용매는 톨루엔 또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olvent for dissolving the binder resi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containing toluene or ethan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200㎛인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of 10㎛ to 20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두께는 50㎛ 내지 200㎛인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50㎛ to 200㎛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e bipola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단계는 상기 적층된 필름에80℃의 온도에서 60㎫의 하중을 가하여 수행되는 복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lamination step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bipolar plate is carried out by applying a load of 60 MPa at a temperature of 80 ℃ to the laminated film.
KR1020130026395A 2013-03-12 2013-03-12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bipolar plate KR1013670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395A KR101367035B1 (en) 2013-03-12 2013-03-12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bipolar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395A KR101367035B1 (en) 2013-03-12 2013-03-12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bipolar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035B1 true KR101367035B1 (en) 2014-02-28

Family

ID=5027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395A KR101367035B1 (en) 2013-03-12 2013-03-12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bipolar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03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010B1 (en) * 2014-09-01 2017-05-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abricating method of bipolar plate for redox flow batteries
KR101992654B1 (en) * 2018-01-04 2019-06-25 태양쓰리시 주식회사 Conductive ink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200098952A (en) 2019-02-13 2020-08-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eparation method of parts for redox flow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210016013A (en) 2019-02-13 2021-02-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eparation method of parts for redox flow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240059902A (en) 2022-10-28 2024-05-08 남도금형(주) Flow frame double injection mold for redox flow batter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2214A (en) * 1995-04-20 1998-02-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フュール セルズ コーポレイション Graphitized composite of carbon-fiber-reinforced carb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2214A (en) * 1995-04-20 1998-02-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フュール セルズ コーポレイション Graphitized composite of carbon-fiber-reinforced carb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010B1 (en) * 2014-09-01 2017-05-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abricating method of bipolar plate for redox flow batteries
US10629916B2 (en) 2014-09-01 2020-04-21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Preparation method for bipolar plate for redox flow battery
KR101992654B1 (en) * 2018-01-04 2019-06-25 태양쓰리시 주식회사 Conductive ink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200098952A (en) 2019-02-13 2020-08-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eparation method of parts for redox flow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210016013A (en) 2019-02-13 2021-02-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eparation method of parts for redox flow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240059902A (en) 2022-10-28 2024-05-08 남도금형(주) Flow frame double injection mold for redox flow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Progress in solvent-free dry-film technology for batteries and supercapacitors
KR10136703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bipolar plate
CN105940527B (en) Method for preparing an electrode composition or a composition having magnetic properties, mixture and composition thus obtained, and such an electrode
JP6975392B2 (en) Electrode body for all-solid-state batte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3035864B (en) With the resistant to elevated temperatures coated separator of elasticity of compression Thermal shutdown
DE102018115009A1 (en) IONIC CONDUCTIVE REINFORCED GLASS CERAMIC SCALERS / FIXED ELECTROLYSTS
JP2020119899A (en) Electrode material with mixed particle size
CN102208659A (en) Manufacturing process and device of bipolar plate for fuel cell
CN112886067B (en) Preparation method of synchronous substrate-supported solid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CN110073531A (en) Conductive foil enhancing, the electrod composition of polymer stabilizing and preparation method
CN111326786A (en) Composite solid electrolyte with three-dimensional penetrating structure and all-solid-state lithium ion battery
EP3550650B1 (en) Method for producing separator for fuel cells
KR20160000547A (en) Separator, manufacturing the separator and battery using thereof
JP4645790B2 (en) Fuel cell separator an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CN104086797A (en) Preparation method of high-melting-point resin composite diaphragm
KR101279174B1 (en) Electrode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de of secondary battery
KR100781628B1 (en) Fuel cell separator using the graphite composit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1462497B1 (en) Thin type composite bipolar plate having high conductivit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1198559A (en)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electrod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electrode
Zhao et al. Preparing 3D Perovskite Li0. 33La0. 557TiO3 Nanotubes Framework Via Facile Coaxial Electro‐Spinning Towards Reinforced Solid Polymer Electrolyte
KR101741010B1 (en) Fabricating method of bipolar plate for redox flow batteries
Wang et al. Challenge-driven printing strategies toward high-performance solid-state lithium batteries
CN108270036A (en) The production method of solid state battery
KR20150043651A (en) Composite bipolar plate having high ion conductivit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2239549B (en)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electric energy storage polymer-based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