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784B1 -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 Google Patents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784B1
KR101366784B1 KR1020130016466A KR20130016466A KR101366784B1 KR 101366784 B1 KR101366784 B1 KR 101366784B1 KR 1020130016466 A KR1020130016466 A KR 1020130016466A KR 20130016466 A KR20130016466 A KR 20130016466A KR 101366784 B1 KR101366784 B1 KR 101366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band
radiator
frequency band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성
박찬익
유병길
장호준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30016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784B1/ko
Priority to US14/011,875 priority patent/US936887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44Resonant antennas with a plurality of divergent straight elements, e.g. V-dipole, X-antenna; with a plurality of elements having mutually inclined substantially straight por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01Q11/10Logperiodic antennas
    • H01Q11/105Logperiodic antennas using a dielectric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8Adaptation for use in or on aircraft, missiles, satellites, or ballo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8Adaptation for use in or on aircraft, missiles, satellites, or balloons
    • H01Q1/286Adaptation for use in or on aircraft, missiles, satellites, or balloons substantially flush mounted with the skin of the cra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2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prism
    • H01Q15/10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prism comprising three-dimensional array of impedance discontinuities, e.g. holes in conductive surfaces or conductive discs forming artificial di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는, 유전체 기판과,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도록,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라인들이 상기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유전체 기판 상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각 라인들이 중앙 또는 외측에서 교대로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급전되는 상측으로부터 하측까지 일정 대수 주기의 비로 상기 라인들이 길이가 점진적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되는 방사체 및 상기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사이의 대역에서 안테나의 이득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라인들을 서로 연결하는 일 지점에 형성되는 대역 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는 전압/전류로 표현되는 전기적 신호와 전기장/자기장으로 표현되는 전자기파를 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안테나의 종류에는 다이폴 안테나, 모노폴 안테나, 패치 안테나, 혼 안테나, 파라볼릭 안테나, 헬리컬 안테나, 슬롯 안테나,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등이 있다.
여기서,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log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는 임피던스와 복사특성이 주파수에 대해 대수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형태를 가지는 안테나로서, 주파수 대역에 따른 특성 변화가 크지 않아 주파수 독립적인 안테나인데, 광대역 특성과 적당한 이득으로 TV 수신용이나 통신용 안테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IMT-2000, 무선 랜, 휴대 무선 인터넷 등을 비롯하여 방송 및 통신 서비스 등의 종류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광대역 혹은 이중, 삼중 대역 등을 커버할 수 있는 안테나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활용도가 더욱 증가되고 있다.
대주 수기 안테나는 그 반복되는 구조 형태에 따라, 톱니형 평면 안테나, 톱니형 사다리꼴 안테나, 사다리꼴 도선 안테나, 지그재그형 도선 안테나 등이 있다. 종래의 대수주기 슬롯 다이폴 배열 안테나는 광대역 특성을 가지며 현재의 안테나 크기보다 약 2배 이상 커야 현재 안테나의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대수주기 안테나의 광대역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를 선택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필터 회로를 장착해야 한다. 이것은 추가적인 가격 상승과 시스템의 무게와 크기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과는 다른 구조를 갖는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향상된 구조를 갖으며, 보다 나은 안테나 성능을 구비하는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는, 유전체 기판과,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도록,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라인들이 상기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유전체 기판 상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각 라인들이 중앙 또는 외측에서 교대로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급전되는 상측으로부터 하측까지 일정 대수 주기의 비로 상기 라인들이 길이가 점진적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되는 방사체 및 상기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사이의 대역에서 안테나의 이득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라인들을 서로 연결하는 일 지점에 형성되는 대역 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방사체는 상기 방사체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라인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방사체의 외측에서 상기 라인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역 저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대역 저지부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대역 저지부는 상기 방사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 근접한 신호에 대한 안테나의 이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대역 저지부는 상기 방사체의 상측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근접한 신호에 대한 안테나의 이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대역 저지부는 상기 방사체의 하측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유전체 기판의 일면에 상기 방사체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방사체로부터 방사되는 무선신호의 패턴을 조절하도록 반사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는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반사손실과 이득 특성등과 관련된 신호의 질을 향상시키고 별도의 추가 필터회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의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대수주기 안테나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반사판을 구비한 대수주기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반사판을 구비한 대수주기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방사체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대역 저지부를 구비하지 않은 안테나와 대역 저지부를 구비한 안테나의 반사손실을 비교한 그래프.
도 7은 대역 저지부를 구비하지 않은 안테나와 대역 저지부를 구비한 안테나의 이득을 비교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스마트 스킨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는 일반적인 대수주기 다이폴 안테나의 구조와 설계 파리미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대수주기 다이폴 안테나는 기판 상에 방사체가 형성된다. 보다 자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대수주기 다이폴 안테나(Single Log-Periodic Dipole Antenna)는 N개의 다이폴 소자(3-1~3-8)가 대수주기 비 τ 와 간격정수 σ 에 의해서 일정 간격으로 수직 배열되어 있고, 다이폴 소자(3-1~3-8)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가면서 길이가 점차 길어지도록 배열되어 있다. 정점의 급전점(1)으로부터 각 이폴 소자로 급전이 이루어지고, 급전신호는 평해 전송선로(Boom : 5)를 통해 전달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k는 다이폴 소자(3-1~3-8)의 반경을 나타내고, Lk는 다이폴 소자(3-1~3-8)의 길이, dk는 다이폴 소자(3-1~3-8)간의 간격, YT 는 종단 어드미턴스를 나타낸다. 대수주기 특성을 갖도록 하는 구조정수에는 다이폴 소자(3-1~3-8)의 길이를 결정하는 대수주기 비(Scaling constant) τ 와 간격을 결정하는 간격정수(Scaling constant)σ 가 있으며, 이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3013860118-pat00001
(단, k=1,2,3, .... n-1)
Figure 112013013860118-pat00002
여기서, Rk 는 대수주기 다이폴 안테나의 정점으로부터 k번째 소자까지의 거리이고, ak 는 대수주기 다이폴 안테나의 반개각(Half-flare angle)이다.
이러한 안테나는, 안테나의 광대역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를 선택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필터 회로를 장착해야 한다. 이로 인해, 안테나를 구현하는 비용이 상승하고, 안테나의 크기와 무게가 증가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안테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역 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는 항공기에 장착되는데, 보다 자세하게는 항공기의 표면을 형성하는 스킨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를 살펴보고,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안테나를 구비하는 항공기의 스마트 스킨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반사판을 구비한 대수주기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반사판을 구비한 대수주기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방사체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대역 저지부를 구비하지 않은 대수주기 안테나이고, 도 3은 대역 저지부를 구비한 대수주기 안테나이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유전체 기판 위에 방사체(12)가 형성된다. 유전체 기판은 일정 유전율을 갖도록 형성되는 데, 에폭시레진 접합제를 함침시킨 여러겹의 종이로 이루어진 FR-3, 에폭시레진을 함침시킨 종이코어를 가진 합성체인 CEM-1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면에는 직조된 유리섬유가 에폭시레진이 함침되어 있고, 코어는 직조되지 않은 유리섬유에 에폭시레진이 함침되어 있는 CEM-3, 에폭시레진이 함침된 유리섬유가 여러겹 쌓여 있는 FR-4, 다기능 에폭시 레진을 함침시킨 직조 유리섬유를 여러겹 쌓은 FR-5, 폴리이미드 레진을 함침시킨 여러 겹의 직조된 유리섬유로 이루어져 있는 GI, 인쇄회로기판(PCB)의 일부와 같은 재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기판의 일면에는 방사체(12)가 형성되고, 타면에 방사체(12)로부터 방사되는 무선신호의 패턴을 조절하도록 반사판(11)이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사체(12)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데,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사체(12)의 형상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중앙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라인(12a)들을 중앙 또는 외측에서 교대로 서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방사체(12)는 상기 방사체(12)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라인(12a)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12b)와 상기 방사체(12)의 외측에서 상기 라인(12a)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12c)를 포함한다. 그리고, 라인(12a)들의 길이는 대수 주기의 비로 상측에서 하측까지 점진적으로 늘어난다. 라인(12a)들과 연결부(12b, 12c)들에 의해 슬롯(12e, 12f)이 한정된다. 슬롯(12e, 12f)의 크기나 위치 등은 안테나(10)의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슬롯(12e, 12f)은 대수주기 슬롯(12e)과 대역 저지 슬롯(12f)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방사체(12)의 상측에 상기 방사체(12)를 송수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급전 연결하는 급전 연결부(13)가 형성된다. 급전 연결부(13)는 급전부와 방사체(12)를 전기적 연결 또는 EM(Electro-Magnetic)급전 방식으로 급전시킨다. 이러한 연결을 위하여 급전 연결부(13)는 급전판, 급전용 클립 또는 급전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급전판, 급전용 클립 또는 급전선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급전 장치를 통해 급전되는 전류(또는 전압)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사체(12)로 전달한다. 여기서, 급전선은 기판 상에 인쇄되는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급전부는 발룬, 이상기, 분배기, 감쇠기, 증폭기 등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방사체(12)는 급전되어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저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제1 주파수 대역이라고 하고, 고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제2 주파수 대역이라고 하면, 상기 방사체(12)는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에서 각각 동작할 수 있다.
대수주기 안테나(10)는 광대역 특성을 갖지만, 특정 주파수에서는 원하는 안테나의 이득과 방사효율을 갖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를 선택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테나(10)에 추가적인 필터 회로를 장착해야 한다.
하지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역 저지부(12d)를 형성하여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사이의 신호들을 차단하면, 인접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10)의 이득과 방사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대역 저지부(12d)를 형성하면 안테나(10)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위한 튜닝이 가능하다. 즉, 임피던스의 실수부인 저항값(resistance)을 조절하거나, 임피던스의 허수부인 리액턴스 값(reactance)을 조절하여,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사이의 대역에서 임피던스를 부정합시킨다. 즉,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사이에서 안테나(10)의 손실을 높이고, 이득을 떨어뜨려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향상시키고 반사효율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대역 저지부(12d)는 방사체(12)의 제1 연결부(12b)에서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도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방사체(12)를 구성하는 라인(12a)들 사이에 도전성 부재가 연장배치됨으로 인하여, 안테나(10)의 커패시턴스가 변경되는데, 변경되는 커패시턴스에 의해 리액턴스가 낮아지게 되므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사이에서 임피던스가 부정합된다. 즉,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사이에서 안테나(10)의 손실이 높아지므로 대역 저지 효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대역 저지부(12d)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대역 저지부(12d)는 방사체(12)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역 저지부(12d)의 위치는 어느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특성을 향상시키느냐에 따라 방사체(12)의 상측 또는 하측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측에 배치되는 경우 저주파수 대역인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 고주파수 대역인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역 저지부(12d)를 구성하는 도전성 부재의 길이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인덕턴스 값이나 커패시턴스 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즉, 도전성 부재를 길게하면 인덕턴스 값이 커지고, 도전성 부재의 위치를 라인(12a)들에 근접시키면 커패시턴스 값이 커질 수 있다.
도 6은 대역 저지부(12d)를 구비하지 않은 안테나(10)와 대역 저지부(12d)를 구비한 안테나(10)의 반사손실을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대역 저지부(12d)를 구비하지 않은 안테나(10)와 대역 저지부(12d)를 구비한 안테나(10)의 이득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대역 저지부(12d)를 구비한 안테나(10)의 경우 대역 저지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10)의 반사손실이 늘어나고 이득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대역 저지 주파수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는 반사손실이 감소하고 이득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안테나(10)는 슬롯을 한정하는 라인(12a)들의 위치나 길이 그리고, 대역 저지부(12d)를 구성하는 도전성 부재의 길이나 위치 등을 조절하여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10)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광대역 안테나(10)의 다중 대역화와 대역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10)를 구비하는 스마트 스킨(100)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스마트 스킨(100)의 전면부는 항공기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으로 항공기에서 스마트 스킨(100)이 장착되는 부분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마트 스킨(100)의 후면부는 항공기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안테나(10)의 커넥터와 항공기에 장착된 안테나용 전자장비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스킨(100)은 레이돔부(110)와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안테나(10)가 레이돔부(110)와 지지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돔부(110)는 스마트 스킨(100)의 최외곽에 위치하고 항공기 외표면과 동일한 윤곽을 가지고 있으며, 제1 층(111)과 제1 층 상에 적층되는 제2층(112)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층(111)은 항공기 표면으로 도출되는 외부에는 낙뢰로부터 스마트 스킨(100)과 안테나(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금속 메쉬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층(112)은 레이돔의 역할과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된 유리섬유 복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메쉬는 항공기 동체를 향하는 낙뢰가 상기 동체 표면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인접한 항공기 동체의 표면에 형성된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리 섬유 복합재는 복합재 내에 함유된 섬유가 일정 배향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섬유들이 일정 배향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면 비틀림 힘에 대해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안테나(10)는 기존의 항공기 안테나를 대치하는 스마트 스킨(100)의 전자적 성능요소로서, 다중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형성되는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10)가 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안테나(10)의 전기적 성능 극대화 및 스마트 스킨(100)의 구조적 역할을 위하여 형성된다. 지지부(120)는 그 일부가 안테나(10)가 안착되도록 상기 안테나(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항공기 동체의 내부를 향하여 리세스된다. 지지부(120)는 허니콤 코어, 제1 금속 메쉬, 유리섬유 복합재 및 제2 금속 메쉬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층(121)에 배치된 허니컴 코어는 스마트 스킨(100)의 굽힘강성을 증가시키는 구조적 역할을 한다. 그리고, 안테나(10)의 성능에 필요한 공간 확보를 하도록 형성되는데, 공기의 유전률과 유사한 노멕스코어(Nomex core)를 사용하여 전자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층(122)에 제1 금속 메쉬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금속 메쉬는 안테나(10)에서 후방을 향하여 방사되는 무선(RF)신호를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금속 메쉬는 안테나(10) 성능을 항상 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그리고, 제3 층(123)에 스마트 스킨(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구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탄소섬유강화 복합재가 배치된다. 또한, 제4 층(124)에 제2 금속 메쉬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금속 메쉬는 안테나(10)에서 후방을 향하여 방사되는 무선(RF)신호를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2 금속 메쉬는 안테나(10) 성능을 항상 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제1 금속 메쉬와 제2 금속 메쉬는 구리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7)

  1. 유전체 기판;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도록,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라인들이 상기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유전체 기판 상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각 라인들이 중앙 또는 외측에서 교대로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급전되는 상측으로부터 하측까지 일정 대수 주기의 비로 상기 라인들이 길이가 점진적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되는 방사체; 및
    상기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사이의 대역에서 안테나의 이득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라인들을 서로 연결하는 일 지점에 형성되는 대역 저지부를 포함하는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는
    상기 방사체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라인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방사체의 외측에서 상기 라인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역 저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저지부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저지부는 상기 방사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 근접한 신호에 대한 안테나의 이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대역 저지부는 상기 방사체의 상측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근접한 신호에 대한 안테나의 이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대역 저지부는 상기 방사체의 하측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판의 일면에 상기 방사체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방사체로부터 방사되는 무선신호의 패턴을 조절하도록 반사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KR1020130016466A 2013-02-15 2013-02-15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KR101366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466A KR101366784B1 (ko) 2013-02-15 2013-02-15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US14/011,875 US9368874B2 (en) 2013-02-15 2013-08-28 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nd smart skin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466A KR101366784B1 (ko) 2013-02-15 2013-02-15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784B1 true KR101366784B1 (ko) 2014-02-21

Family

ID=5027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466A KR101366784B1 (ko) 2013-02-15 2013-02-15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68874B2 (ko)
KR (1) KR101366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85512A1 (en) * 2019-05-22 2022-03-17 Vivo Mobile Communication Co.,Ltd. Antenna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37169A1 (en) * 2016-02-16 2017-08-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Antenna system having a set of inverted-f antenna elements
WO2019143275A1 (en) * 2018-01-18 2019-07-25 Saab Ab A dual directional log-periodic antenna and an antenna arrangement
CN110148828B (zh) * 2019-05-22 2021-06-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单元和电子设备
JP7140721B2 (ja) * 2019-07-11 2022-09-21 株式会社Soken 広帯域平面アレイアンテ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121A (ko) * 2003-04-16 2004-10-22 최학근 이중밴드 대수주기 다이폴 안테나
KR20110071847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수 주기 안테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6206A (en) * 1960-10-19 1963-04-16 Channel Master Corp End fire planar dipole array with line transposition between dipoles and impedance increase towards feed
US3369243A (en) * 1965-01-18 1968-02-13 Univ Illinois Log-periodic antenna structure
US5323170A (en) * 1992-10-09 1994-06-21 M & N Aerospace, Inc. Radomes having vinyl foam core construction
US6175336B1 (en) * 1999-12-27 2001-01-16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Structural endcap antenna
DE10356395A1 (de) * 2003-12-03 2005-09-15 Eads Deutschland Gmbh Außenstruktur-konforme Antenne in einer Trägerstruktur eines Fahrzeugs
DE102005050204A1 (de) * 2005-10-20 2007-04-26 Ead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rukturintegrierten Anten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121A (ko) * 2003-04-16 2004-10-22 최학근 이중밴드 대수주기 다이폴 안테나
KR20110071847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수 주기 안테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85512A1 (en) * 2019-05-22 2022-03-17 Vivo Mobile Communication Co.,Ltd. Antenna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US11769952B2 (en) * 2019-05-22 2023-09-26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Antenna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68874B2 (en) 2016-06-14
US20140232605A1 (en)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96086B (zh) 一种天线及移动终端
EP2774216B1 (en) Capacitively coupled compound loop antenna
TWI411160B (zh) 天線及具有該天線之通訊裝置
KR101431724B1 (ko) 방사효율을 향상시키고 신호간섭을 방지하는 차량용 방송안테나 및 이를 내부에 구비하는 차량용 샤크핀 안테나 장치
US8723751B2 (en) Antenna system with planar dipole antennas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477073B2 (en) Internal wide band antenna using slow wave structure
US8711039B2 (en) Antenna modu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20110260925A1 (en) Multiband internal patch antenna for mobile terminals
JP2005086801A (ja) 送/受信用高利得広帯域マイクロストリップパッチアンテナ及びこれを配列した配列アンテナ
KR101366784B1 (ko) 대수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WO2014009697A1 (en) Antennas
CN109728413B (zh) 天线结构及终端
KR101424039B1 (ko) 스마트 스킨
US9484628B2 (en) Multiband frequency antenna
JP2017530614A (ja) 無線通信用の減結合アンテナ
KR101448258B1 (ko) 주파수 가변이 가능한 내장형 안테나
KR101388126B1 (ko) 차량용 샤크핀 안테나 장치의 내부에 장착되는 다중대역 차량용 방송안테나
JP4691054B2 (ja)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US9419327B2 (en) System for radiating radio frequency signals
CN106848577A (zh) 一种对数周期单极子天线
Goyal et al. A compact monopole fractal antenna for TV white space energy harvesting applications
KR100924126B1 (ko) 프랙탈 구조를 이용한 다중 대역 안테나
CN102142608A (zh) 基于分形理论的角反射器天线
CN214313533U (zh) 偶极子天线及通信设备
CN201438502U (zh) 双频宽带双偶极子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