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433B1 - 전자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433B1
KR101366433B1 KR1020110131955A KR20110131955A KR101366433B1 KR 101366433 B1 KR101366433 B1 KR 101366433B1 KR 1020110131955 A KR1020110131955 A KR 1020110131955A KR 20110131955 A KR20110131955 A KR 20110131955A KR 101366433 B1 KR101366433 B1 KR 101366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filtered
distance
detected
touch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3057A (ko
Inventor
미콜라 골로브첸코
Original Assignee
블랙베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랙베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블랙베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93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를 검출하고, 제1 순간의 제1의 검출된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확립된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제2 순간의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로부터 잡음을 필터링하여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하는 것은 상기 거리에 기초한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본 개시는 터치 감지형(touch-sensitive)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어를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portable electronic device)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한 전자 디바이스는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고, 예를 들어 전화, 전자 메시징 및 기타 개인 정보 관리자(PIM; personal information manage)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블루투스(Bluetooth®) 능력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near-field communications) 접속을 구비한, 단순한 셀룰러 전화, 스마트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컴퓨터, 및 랩톱 컴퓨터와 같은 이동국을 포함한 여러 가지 유형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PDA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핸드헬드(handheld) 사용과 휴대 용이성을 위한 것이다. 휴대성을 위해서는 더 작은 디바이스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도 알려져 있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는, 작고 사용자 입력 및 출력에 제한된 공간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에 특히 유용하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수행되고 있는 기능 및 동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의 개선이 바람직하다.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를 검출하고, 제1 순간의 제1의 검출된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확립된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제2 순간의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로부터 잡음을 필터링하여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필터링하는 것은 거리에 기초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및 제1 순간의 제1의 검출된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확립된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제2 순간의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로부터 잡음을 필터링하여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결정하도록,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필터링하는 것은 거리에 기초한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된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 및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 상의 터치를 검출하고, 제1 순간의 제1의 검출된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확립된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제2 순간의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로부터 잡음을 필터링하여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결정하도록,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필터링하는 것은 거리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라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터치 움직임 속도와 필터 값 사이의 관계의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다음은,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를 검출하고, 제1 순간의 제1의 검출된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확립된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제2 순간의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로부터 잡음을 필터링하여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필터링하는 것은 거리에 기초하는 것인,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에 대해 기재한다.
설명을 단순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들 간에 대응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도록 참조 번호들이 반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상세사항이 설명된다. 실시예들은 이들 상세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 다른 경우로, 기재된 실시예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도록, 잘 알려져 있는 방법, 절차 및 컴포넌트는 상세하게 기재되지 않았다. 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인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예로는, 페이저, 셀룰러 폰, 셀룰러 스마트폰, 무선 조직자, PDA, 무선 가능형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 또는 핸드헬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또한, 핸드헬드 전자 게임 디바이스, 디지털 사진 앨범, 디지털 카메라, 또는 기타 디바이스와 같이 무선 통신 능력이 없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예의 블록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02)와 같은 다수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곧 기재되는 전자 디바이스(100)는 선택적으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포함한 다양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통신 서브시스템(104) 및 단거리 통신(132) 모듈을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는 디코더(106)에 의해 압축 해제 및 암호 해독된다. 통신 서브시스템(104)은 무선 네트워크(15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무선 네트워크(150)에 메시지를 보낸다. 무선 네트워크(150)는 데이터 무선 네트워크, 음성 무선 네트워크, 그리고 음성 및 데이터 통신 둘 다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유형의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같은 전원(142), 또는 외부 전원에의 포트가 전자 디바이스(100)에 전력을 공급한다.
프로세서(102)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8), 메모리(110), 전자 컨트롤러(116)에 동작적으로 연결된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114)를 구비하여 함께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112),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120), 하나 이상의 힘 센서(122), 보조 입력/출력(I/O) 서브시스템(124), 데이터 포트(126), 스피커(128), 마이크로폰(130), 단거리 통신(132) 및 기타 디바이스 서브시스템(134)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은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114)를 통하여 수행된다. 프로세서(102)는 전자 컨트롤러(116)를 통하여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114)와 상호작용한다. 전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거나 렌더링될 수 있는 텍스트, 문자, 부호, 이미지, 아이콘, 및 기타 항목과 같은 정보가 프로세서(102)를 통하여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프로세서(102)는,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해, 중력 또는 중력이 유도한 반응력의 방향을 검출하도록 가속도계(136)와 같은 배향 센서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단일 프로세서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액세스에 대한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100)는 무선 네트워크(150)와 같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해 SIM/RUIM(Subscriber Identity Module/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카드(138)를 사용한다. 대안으로서, 사용자 식별 정보가 메모리(110)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운영 체제(146)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컴포넌트(148)를 포함하며, 이들은 프로세서(102)에 의해 실행되고 통상적으로 메모리(110)와 같이 영구적이며 업데이트 가능한 저장공간에 저장된다. 추가적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무선 네트워크(150), 보조 I/O 서브시스템(124), 데이터 포트(126),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132)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서브시스템(134)을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로 로딩될 수 있다.
텍스트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또는 웹 페이지 다운로드와 같은 수신 신호는 통신 서브시스템(104)에 의해 처리되어 프로세서(102)에 입력된다. 프로세서(102)는 디스플레이(112) 및/또는 보조 I/O 서브시스템(124)에의 출력을 위해 수신 신호를 처리한다. 가입자는, 예를 들어 통신 서브시스템(104)을 통하여 무선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이메일 메시지와 같은 데이터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량성(capacitive), 저항성, 적외선, SAW(surface acoustic wave)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스트레인 게이지, 광 이미징, DST(dispersive signal technology), 음향 펄스 인식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용량성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는 용량성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114)를 포함한다. 오버레이(114)는 예를 들어, 기판, 그라운드 쉴드층, 배리어층, 기판이나 다른 배리어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용량성 터치 센서층, 및 커버를 포함할 수 있는 스택 구조의 다수 층들의 어셈블리일 수 있다. 용량성 터치 센서층은 패터닝된 인듐 주석 산화물(ITO)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일 수 있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의 디스플레이(112)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며 연장하는 비표시(non-display) 영역을 포함한다. 비표시 영역에서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며, 비표시 영역은 예를 들어 표시 영역의 에지를 둘러싸는 전자 트레이스 또는 전기 접속부, 접착제 또는 기타 밀봉제 및/또는 보호 코팅을 수용하는데 이용된다.
터치 접촉 또는 터치 이벤트로도 알려져 있는 하나 이상의 터치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터치의 위치를 포함한 터치의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터치 위치 데이터는 접촉 영역 또는 접촉 영역의 중심점이나 그 근방의 점과 같은 단일 접촉점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가 검출될 때, 신호는 터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는 컨트롤러(116)로 제공된다. 터치 위치의 변화가 검출될 수 있도록, 신호는 터치에 대하여 시간상 규칙적인 간격으로 컨트롤러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샘플링(sampling)으로도 알려져 있는 것이다. 터치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의 속성에 따라 손가락, 엄지 손가락, 부속물, 또는 기타 물체,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또는 기타 포인터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접촉 부재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컨트롤러(116) 및/또는 프로세서(102)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 상의 임의의 적합한 접촉 부재에 의해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다수의 동시 터치들이 검출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스처가 또한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플릭(flick)으로도 알려져 있는 스와이프(swipe)와 같은 제스처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 상의 특정 유형의 터치이며, 이는 원점(origin point)에서 시작하여 종점(end point)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스처는 예를 들어 원점, 종점, 진행 거리, 지속시간, 속도, 및 방향을 포함한 제스처의 속성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제스처는 거리 및/또는 지속시간이 길거나 짧을 수 있다. 제스처의 2개의 점이 제스처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선택적 힘 센서(122) 또는 힘 센서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 상의 터치에 의해 부여된 힘을 검출하도록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뒷판(back)과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 사이에 배치된다. 힘 센서(122)는 힘 감지 저항, 스트레인 게이지, 압전 또는 압저항형 소자, 압력 센서 또는 기타 적합한 소자일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이용되는 힘은, 압력, 변형, 스트레스, 스트레인, 힘 밀도, 힘-면적 관계, 추력, 토크, 및 힘이나 관련된 양을 포함한 기타 영향과 같은 힘 측정치, 추정치, 및/또는 계산치를 지칭한다.
검출된 터치와 관련된 힘 정보는 터치의 위치와 연관된 정보와 같은 정보를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 임계값을 충족시키지 않는 터치는 선택 옵션을 하이라이트시킬 수 있는 반면에, 힘 임계값을 충족시키는 터치는 그 선택 옵션을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다. 선택 옵션은 예를 들어, 키보드의 디스플레이 또는 가상 키; 선택 박스나 윈도우, 예를 들어 "취소", "삭제" 또는 "잠금해제"; 뮤직 플레이어 상의 재생이나 정지와 같은 기능 버튼 등을 포함한다. 상이한 크기의 힘이 상이한 기능 또는 입력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적은 힘은 패닝(panning)을 일으킬 수 있고, 더 높은 힘은 주밍(zooming)을 일으킬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예의 정면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가 배치되어 있는 하우징(202)을 포함한다. 하우징(202) 및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는 도 1에 도시된 컴포넌트와 같은 컴포넌트들을 동봉한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의 표시 영역(204)은 일반적으로 하우징(202)에서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206)은 표시 영역(204)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며 배치된다.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114)는 표시 영역(204)과 비표시 영역(206)을 커버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표시 영역(204)과 비표시 영역(206)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상의 터치가 검출될 수 있다. 터치 센서의 밀도는 표시 영역(204)과 비표시 영역(206) 사이에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호 용량성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에서의 노드의 밀도 또는 한 층의 전극이 다른 층의 전극과 교차하는 위치의 밀도는 표시 영역(204)과 비표시 영역(206) 사이에 상이할 수 있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 상에서 수신된 제스처(208)가 화살표로 예시되어 있으며, 원점(210)에서 시작하여 종점(212)에서 끝난다. 제스처(208)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에 의해 검출될 때 컨트롤러(116)는 신호를 수신한다. 제스처는 예를 들어 스크롤링 또는 패닝과 같은 임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116)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지터(jitter)를 야기하는 잡음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의도하지 않은 터치 위치의 변화 또는 경미한 움직임이나 감지되는 진동이 있을 수 있다. 잡음은 예를 들어, 아날로그 터치 컨트롤러에 의해 야기된 잡음, 양자화 에러, 터치가 측정 커패시턴스의 작은 변화를 일으킬 때 낮은 신호 레벨, 전력 공급 잡음, 간섭, 스캔 중앙에서 시작하는 터치로부터의 단편화 등등, 그리고 이들 요인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지터는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커서 또는 기타 위치 표시자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 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그러하다. 지터는 또한, 컨트롤러(116)에 의해 운영 체제 계층(OS 계층)으로 또는 OS 계층(102)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새로운 터치 위치가 보고되게 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파일 전송,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이메일, 데이터 등에 대한 소프트웨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서비스 및/또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새로운 또는 스퓨리어스(spurious) 터치 위치의 빈번한 보고는 처리 요건을 증가시키며 전자 디바이스(100)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동적 또는 가변 필터링으로도 지칭되는 적응형(adaptive)이 터치 움직임 속도(rate of movement of the touch)에 기초하여 오버레이(114)로부터의 터치 위치 신호를 필터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적응형 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 레이턴시가 덜 뚜렷할 수 있고 지터가 더 뚜렷하게(noticeable) 나타날 때, 낮은 터치 움직임 속도에서 더 큰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움직임에 대한 응답을 용이하게 하도록 더 높은 터치 움직임 속도에서 필터링이 거의 수행되지 않거나 아예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터치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방법은 예를 들어 컨트롤러(116)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코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방법은 프로세서(102)에 의해 예를 들어 OS 계층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대안으로서 컨트롤러(116)와 프로세서(102)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코딩은 본 명세서가 주어진다면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방법은 도시되고 그리고/또는 설명된 것보다 추가의 또는 더 적은 수의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이한 순서대로 수행될 수 있다.
터치가 검출될 경우(302), 304에서 필터 값이 리셋된다. 필터 값은 이전 터치들의 위치에 관련된 값과 이전 터치들의 움직임 속도나 속도들을 포함한 이전 터치들에 관련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 필터값은 이전 터치들로부터의 데이터가 필터링 동안 이용되지 않도록 리셋될 수 있고, 각각의 터치는 그 터치에 관련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터링된다. 시간상 중첩되는 다수의 터치들이 검출될 경우, 통상적으로 고유의 식별자가 각각의 상이한 터치에 할당된다. 터치들 각각은 유리하게 식별자를 이용하여 추적되고 그 터치의 움직임 속도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필터링될 수 있다.
터치 스피드로도 지칭되는 터치 움직임 속도가 결정된다(306). 터치 움직임 속도는 예를 들어, 이전 샘플링 시간에 취한 검출된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확립된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검출된 터치 위치 간의 거리일 수 있다. 움직임 속도를 결정하는데(306)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이용하는 것은, 스퓨리어스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부정확한 거리에 기초한 필터링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움직임 속도는 예를 들어, 단일 축에서의 움직임 속도, 둘 이상의 축 각각에서의 움직임 속도, 또는 평면 내의 움직임 속도일 수 있다. 평면 내의 움직임 속도의 결정은 원형, 둥글어진 사각형, 또는 기타 터치 궤도의 왜곡을 감소시키도록 둘 다의 축에서의 터치의 동일한 필터링을 용이하게 한다.
터치 움직임 속도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가 필터링된다(308). 움직임 속도는 필터링 크기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필터링이 306에서 결정된 거리에 기초하도록, 터치 움직임 속도는 필터링 크기와 관련된다. 낮은 움직임 속도에서는 더 큰 필터링이 수행되고, 더 높은 움직임 속도에서는 필터링이 거의 또는 아예 수행되지 않는다. 필터링은 움직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 필터링에서 최소 필터링 또는 필터링 아예 없음으로 감소한다. 필터링은 움직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으로 감소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필터링은 움직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으로 감소할 수 있다. 최대 필터링에서, 필터링된 터치 위치는 검출된 터치 위치 및 이전에 필터링된 터치 위치에 기초한다. 필터링을 감소시키면, 필터링된 터치 위치는 검출된 터치 위치에 대한 증가하는 양과 이전 필터링된 터치 위치에 대한 감소하는 양에 기초한다. 높은 움직임 속도에서, 필터링된 터치 위치는 검출된 터치 위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터치 위치는 필터링에 의해 변하지 않는다.
308에서 결정된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보고된 마지막 필터링된 터치 위치 사이의 차이가 결정된다(310). 차이는 예를 들어, 단일 축에서의 차이, 둘 이상의 축 각각에서의 거리, 또는 평면 내의 터치 위치들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312에서 차이가 임계값을 충족시킬 경우, 필터링된 터치 위치가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보고된다(314). 차이가 임계값 이상일 때 차이는 임계값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임계값은, 이전에 보고된 터치 위치와 충분히 다른 필터링된 터치 위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보고되고, 이전에 보고된 터치 위치와 같거나 매우 근접한 필터링된 터치 위치는 무시되거나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보고되지 않도록 하는, 임의의 적합한 수치 값일 수 있다. 임계값을 이용하여, 더 적은 수의 터치 위치가 보고될 수 있으며, 처리 요건을 감소시키고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 성능을 증가시킨다. 터치가 계속되면(316), 프로세스는 306으로 이어진다.
전자 디바이스에서 터치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예에서, 도 2에 예시된 제스처(208)와 같은 터치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에 의해 검출된다. 원점(210)에서 시작하는 터치가 검출될 때, 필터 값이 리셋된다. 터치 위치는 필터링된 터치 위치로서 이용되고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보고된다. 터치가 계속되면, 터치 움직임 속도가 결정된다. 터치 움직임 속도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1098051256-pat00001
여기에서,
Figure 112011098051256-pat00002
는 터치 움직임 속도이고;
Figure 112011098051256-pat00003
는 이전에 필터링된 터치 위치의 x축 좌표이고;
Figure 112011098051256-pat00004
는 이전에 필터링된 터치 위치의 y축 좌표이고;
Figure 112011098051256-pat00005
는 검출된 터치 위치의 x축 좌표이고;
Figure 112011098051256-pat00006
는 검출된 터치 위치의 y축 좌표이다.
움직임 속도
Figure 112011098051256-pat00007
는 필터 값
Figure 112011098051256-pat00008
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움직임 속도
Figure 112011098051256-pat00009
와 필터 값
Figure 112011098051256-pat00010
사이의 관계의 예를 예시한 그래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Figure 112011098051256-pat00011
는, 증가하는
Figure 112011098051256-pat00012
에 따라, 0과 1 사이의 최소값(402)으로부터 1의 최대값(410)으로 증가한다.
필터링된 터치 위치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1098051256-pat00013
Figure 112011098051256-pat00014
여기에서,
Figure 112011098051256-pat00015
는 필터링된 터치 위치의 x축 좌표이고;
Figure 112011098051256-pat00016
는 필터링된 터치 위치의 y축 좌표이고;
Figure 112011098051256-pat00017
는 검출된 터치 위치를 이용하여 결정된 K의 값이다.
이 예에서, 터치 위치의 필터링된 x축 좌표 및 터치 위치의 필터링된 y축 좌표 둘 다 결정된다.
Figure 112011098051256-pat00018
가 최소값에 있을 때, 필터링된 터치 위치는 검출된 터치 위치 및 이전에 필터링된 터치 위치에 기초한다.
Figure 112011098051256-pat00019
가 증가하면서, 필터링된 터치 위치는 검출된 터치 위치에 대한 증가하는 양과 이전에 필터링된 터치 위치에 대한 감소하는 양에 기초한다.
Figure 112011098051256-pat00020
가 1일 때, 필터링된 터치 위치는 검출된 터치 위치와 같고, 터치 위치는 필터에 의해 변하지 않는다. K의 값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 함수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1098051256-pat00021
가 1일 때, 필터링된 터치 위치는 검출된 터치 위치와 같고, 터치 위치는 필터에 의해 변하지 않는다.
필터링된 터치 위치
Figure 112011098051256-pat00022
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마지막 보고된 필터링된 터치 위치 사이의 차이가 결정된다. 임계값은 예를 들어 1일 수 있으며, 그리하여
Figure 112011098051256-pat00023
와, 필터링된 터치 위치의 이전에 보고된 x축 좌표 사이의 차이가 1의 임계값을 충족시킬 경우, 필터링된 터치 위치
Figure 112011098051256-pat00024
가 보고된다.
Figure 112011098051256-pat00025
와, 필터링된 터치 위치의 이전에 보고된 y축 좌표 사이의 차이가 1의 임계값을 충족시킬 경우, 필터링된 터치 위치
Figure 112011098051256-pat00026
가 보고된다. 따라서,
Figure 112011098051256-pat00027
와, 필터링된 터치 위치의 이전에 보고된 x축 좌표 사이의 차이 그리고
Figure 112011098051256-pat00028
와, 필터링된 터치 위치의 이전에 보고된 y축 좌표 사이의 차이 중 어느 하나가 임계값을 충족시킬 경우, 터치 필터링된 터치 위치가 보고된다.
기재된 바와 같이 적응형 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 레이턴시가 덜 뚜렷할 수 있고 지터가 더 뚜렷하게 나타날 때, 낮은 터치 움직임 속도에서 더 큰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움직임에 대한 응답을 용이하게 하도록 더 높은 터치 움직임 속도에서 필터링이 거의 수행되지 않거나 아예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새로운 터치 위치를 보고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임계값을 이용하여, 더 적은 수의 터치 위치가 보고될 수 있으며, 처리 요건을 감소시키고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성능을 증가시킨다. 적응형 저역 통과 필터의 사용은, 예를 들어 큰 전극 피치를 갖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더 낮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여기 전압, 더 두꺼운 오버레이, 낮은 유전 상수를 갖는 오버레이와 같이 더 낮은 신호 대 잡음 비를 구비한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는 정확도 또는 응답 시간의 저하 감지가 감소된 것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를 검출하고, 제1 순간의 제1의 검출된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확립된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제2 순간의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로부터 잡음을 필터링하여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필터링하는 것은 거리에 기초한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코드를 갖는다.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및 제1 순간의 제1의 검출된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확립된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제2 순간의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로부터 잡음을 필터링하여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결정하도록,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필터링하는 것은 거리에 기초한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된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 및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 상의 터치를 검출하고, 제1 순간의 제1의 검출된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확립된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제2 순간의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로부터 잡음을 필터링하여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결정하도록,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필터링하는 것은 거리에 기초한다.
본 개시는 이의 진정한 의미 또는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기재된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한정적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따라서 전술한 기재보다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나타난다. 청구항의 등가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고자 한다.
100: 전자 디바이스
116: 컨트롤러
118: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202: 하우징
204: 표시 영역
206: 비표시 영역

Claims (15)

  1.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형(touch-sensitive)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를 검출하고;
    제1 순간의 제1의 검출된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확립된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제2 순간의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로부터 잡음을 필터링하고;
    상기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상기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비교하여 차이를 결정하며,
    상기 차이가 임계값(threshold)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무시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는 단일 축에서의 차이, 둘 이상의 축 각각에서의 거리, 또는 평면 내의 상기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상기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가 임계값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애플리케이션에 보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의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계층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을 필터링하는 것은 상기 거리를 이용하여 결정된 터치의 움직임 속도에 기초하여 잡음을 필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의 필터링은 움직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인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의 필터링은 움직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으로 감소하는 것인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움직임 속도가 임계값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잡음의 필터링은 턴 오프(turn off)되는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의 필터링은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코드를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2.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감지형(touch-sensitive) 디스플레이; 및
    상기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순간의 제1의 검출된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확립된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제2 순간의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로부터 잡음을 필터링하고;
    상기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상기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비교하여 차이를 결정하며;
    상기 차이가 임계값(threshold)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무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전자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는 단일 축에서의 차이, 둘 이상의 축 각각에서의 거리, 또는 평면 내의 상기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상기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 디바이스.
  14. 터치 감지형(touch-sensitive)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된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overlay); 및
    상기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 상의 터치를 검출하고;
    제1 순간의 제1의 검출된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확립된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제2 순간의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로부터 잡음을 필터링하고;
    상기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상기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비교하여 차이를 결정하며;
    상기 차이가 임계값(threshold)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를 무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는 단일 축에서의 차이, 둘 이상의 축 각각에서의 거리, 또는 평면 내의 상기 제1의 필터링된 터치 위치와 상기 제2의 검출된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는 것인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KR1020110131955A 2011-01-05 2011-12-09 전자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366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50257A EP2474886A1 (en) 2011-01-05 2011-01-05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11150257.1 2011-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057A KR20120093057A (ko) 2012-08-22
KR101366433B1 true KR101366433B1 (ko) 2014-03-14

Family

ID=4388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955A KR101366433B1 (ko) 2011-01-05 2011-12-09 전자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474886A1 (ko)
KR (1) KR101366433B1 (ko)
CN (1) CN102592498A (ko)
CA (1) CA2756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53764A1 (en) * 2014-07-04 2017-06-01 Zte Corporation Touch Screen Contac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3757A (en) * 1987-06-04 1991-10-01 Tektronix, Inc. Touch panel with adaptive noise reduction
JPH09311752A (ja) * 1996-02-09 1997-12-02 Symbios Logic Inc 静電式デジタイジング・パネル及び静電式デジタイジング・パネルにおけるノイズ低減方法
KR20100098297A (ko) * 2009-02-27 2010-09-06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교정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9551A (en) * 1991-11-04 1993-07-20 Summagraphics Corporation Hysteresis compensation for a digitizer tablet
US5914465A (en) * 1992-06-08 1999-06-22 Synaptics, Inc. Object position detector
US7495659B2 (en) * 2003-11-25 2009-02-24 Apple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3757A (en) * 1987-06-04 1991-10-01 Tektronix, Inc. Touch panel with adaptive noise reduction
JPH09311752A (ja) * 1996-02-09 1997-12-02 Symbios Logic Inc 静電式デジタイジング・パネル及び静電式デジタイジング・パネルにおけるノイズ低減方法
KR20100098297A (ko) * 2009-02-27 2010-09-06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교정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4886A1 (en) 2012-07-11
CA2756790A1 (en) 2012-07-05
KR20120093057A (ko) 2012-08-22
CN102592498A (zh)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391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88727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2508970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2025684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2508972A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8994670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to identify touches on the touch-sensitive display
US881052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2016961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2020638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1366433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CA2773818C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2549366A1 (en) Touch-sensitiv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1346945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CA2747036C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258444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20005979A (ko) 전자 디바이스 및 표시된 정보를 추적하는 방법
WO201301242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ouch-sensitive display and a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