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374B1 - 가축 분뇨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축 분뇨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374B1
KR101366374B1 KR1020130137493A KR20130137493A KR101366374B1 KR 101366374 B1 KR101366374 B1 KR 101366374B1 KR 1020130137493 A KR1020130137493 A KR 1020130137493A KR 20130137493 A KR20130137493 A KR 20130137493A KR 101366374 B1 KR101366374 B1 KR 101366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liquid
organic waste
unit
proce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윤병
장진우
임송미
오영한
Original Assignee
씨아이바이오텍(주)
강원도 철원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아이바이오텍(주), 강원도 철원군 filed Critical 씨아이바이오텍(주)
Priority to KR1020130137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40Treatment of liquids or slur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80Separation, elimination or disposal of harmful substances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89Flow sheets for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xic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Fertilize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와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와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에서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을 나누어 처리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는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을 고액 분리하여 남은 폐수를 처리하는 탈질조와 질산화조를 차례로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는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바이오 가스와 소화수액으로 분리하기 위한 산발효조 및 메탄발효조와, 상기 메탄발효조로부터 나온 소화수액을 받아 처리하는 액비화 시설을 포함하며, 상기 액비화 시설은 상기 메탄발효조로부터 나온 소화수액과 상기 질산화조로부터 받은 액상 NO3-N을 이용하여 액비화한다.

Description

가축 분뇨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ORGANIC WASTE INCLUDING LIVESTOCK NIGHT SOIL INTO ENERGY}
본 발명은 가축 분뇨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여 자원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부산물로 퇴비를 얻는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들과, 부산물로 액비를 얻는 바이오 가스 공정을 연동하여 운영하는 한편, 이를 통해, 약품 슬러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축사육 기술의 발전과 여건 변화로 축산 농가로부터 많은 양의 가축 분뇨가 발생하고 있으며 가축분뇨 성상 또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많은 양의 가축 분뇨를 처리하기 위해, 축산 농가가 밀집한 지자체에서는 가축 분뇨 공공 처리 시설을 운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가축 분뇨 공공 처리 시설은 가축 분뇨를 고액 분리하고, 생물학적 처리 및 물리화학적으로 정화처리하는데 그치고 있다. 자원화와 관련해서는, 정화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부산물을 퇴비로 이용하는데 그치고 있다. 근래 들어, 가축 분뇨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바이오 가스 또는 액비를 생산하려는 에너지 자원화 시도가 있기는 하나, 소화조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수액 처리 등의 문제로 시설투자 대비 효용성이 떨어져 운영을 중단하거나 가동율이 낮은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가축 분뇨 공공 처리 시설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입, 고액 분리, 폭기, 탈수 및 방류의 순서로 가축 분뇨를 정화처리한다. 이때, 고액 분리 과정에서는 유기 응집제를 이용하여 고형물 중 대략 60∼70%를 분리하고 탈수 과정에서는 유기 또는 무기 응집제를 이용하여 고형물 중 대략 30∼40%를 분리한다. 공공 처리 시설과 유입되는 대략 BOD 30,000 ppm, SS 30,000 ppm의 유기성 폐기물에 대하여 슬러지는 약 10∼15% 발생한다. 그러나, 가축 분뇨의 정화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약품 슬러지의 경우, 유해 성분 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일반 퇴비 원료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더 나아가, 현 농촌진흥청 고시 제2013-5호 "비료 공정규격 설정 및 지정"에 따라 유기성 응집제를 포함하는 약품을 사용한 가축분은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적합성을 사전에 승인받아야 한다.
한편, 현재 농림부에서는, 액상의 돈분을 일괄 수거하여 고액 분리 후 고상분은 퇴비로 액상분은 액비로 자원화는 방식으로, 가축 분뇨를 이용한 자원화(액비화, 퇴비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가축 분뇨 공공 처리 시설에서 가축분(특히, 고상의 돈분)만을 수거하여 퇴비를 생산할 경우, 수거 체계의 2원화로 등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시설이 운영될 소지가 있다. 또한 정화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전량 위탁 처리해야 한다는 점에서 경제적 부담이 크고, 환경 순환형 모델 수립이라는 본연의 취지와도 대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거 체계의 2원화 없이, 부산물로 퇴비를 얻는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들과, 부산물로 액비를 얻는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을 연동하여 운영함으로써, 자원화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처리 과정에서 약품 슬러지의 발생을 최대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와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와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에서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을 나누어 처리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시스템은,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는 가축 분뇨 폐기물을 고액 분리하여 남은 폐수를 처리하는 탈질조와 질산화조를 차례로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는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바이오 가스와 소화수액으로 분리하기 위한 산발효조 및 메탄발효조와, 상기 메탄발효조로부터 나온 소화수액을 받아 처리하는 액비화 시설을 포함하며, 상기 액비화 시설은 상기 메탄발효조로부터 나온 소화수액과 상기 질산화조로부터 받은 액상 NO3-N을 이용하여 액비화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는 상기 질산화조의 상류 측에 협잡물 종합 처리기에서 처리된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을 저류하는 제1 저류조와, 상기 제1 저류조로부터의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을 고액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기와 상기 원심분리기를 거쳐 나온 폐수 중의 부유물을 가압부상 방식으로 분리하는 가압부상조와 상기 가압부상조를 거쳐 나온 폐수의 pH를 조정하기 위한 중화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상조에서 발생한 액상 NH4-N을 농축조를 거쳐 상기 액비화에 더 이용하고 상기 원심분리기에서 분리된 슬러지는 퇴비화 시설로 공급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는 상기 질산화조 하류측에 UF 막분리부, Fenton 산화부, 모래 및 A/C 필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질산화조로부터 상기 액비화 시설로의 액상 NO3-N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부상조에서 분리된 액상 NH4-N과 상기 질산화조로부터 받은 액상 NO3-N이 농축조, 탈수설비 및 퇴비화 시설을 차례로 포함하는 퇴비화 공정부로 공급되고, 상기 질산화조를 거친 폐수는 상기 질산화조 하류측에 UF 막분리부, Fenton 산화부, 모래 및 A/C 필터부를 차례대로 거쳐 방류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는 상기 산발효조의 상류 측에 협잡물 종합 처리기에서 처리된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 및 파쇄된 음식물쓰레기, 가축사체, 도축폐기물을 저류하는 제2 저류조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는 상기 질산화조의 상류 측에 협잡물 종합 처리기에서 처리된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을 저류하는 제1 저류조와, 상기 제1 저류조로부터의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을 고액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기와 상기 원심분리기를 거쳐 나온 폐수 중의 부유물을 가압부상 방식으로 분리하는 가압부상조와 상기 가압부상조를 거쳐 나온 폐수의 pH를 조정하기 위한 중화조를 포함하고 상기 질산화조의 하류측에 UF 막분리부, Fenton 산화부, 모래 및 A/C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는 상기 산발효조의 상류 측에 협잡물 종합 처리기에서 처리된 가축 분뇨 및 파쇄된 음식물쓰레기, 가축사체, 도축폐기물을 저류하는 제2 저류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비화 시설은 상기 메탄발효조로부터 나온 소화수액과, 상기 가압부상조에서 공급된 액상 NH4-N과, 상기 질산화조로부터 받은 액상 NO3-N을 이용하여 액비화하며, 상기 액상 NH4-N과 상기 액상 NO3-N는, 상기 액비화 시설로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농축조, 탈수설비 및 퇴비화 시설을 차례로 포함하는 퇴비화 공정부로 공급되어 퇴비화되고, 상기 질산화조를 거친 폐수는 상기 질산화조 하류측에 UF 막분리부, Fenton 산화부, 모래 및 A/C 필터부를 차례대로 거쳐 방류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 내로 투입되는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은 상기 가축 분뇨 60∼70wt%, 상기 음식물 쓰레기 20∼30wt% 및 상기 가축 사체 또는 상기 도축 폐기물 10wt%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와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로 나누어 투입되는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의 비는 2 ∼ 4 : 1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시스템 및 방법은, 수거 체계의 2원화 없이, 부산물로 퇴비를 얻는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들과, 부산물로 액비를 얻는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을 연동하여 운영함으로써, 자원화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처리 과정에서 약품 슬러지의 발생을 최대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분뇨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분뇨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자원화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화 처리 시스템은, 가축 분뇨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바람직하게는, 가축 분뇨 60∼70wt%, 음식물 쓰레기 20∼30wt% 및 동물 사체(또는, 도축 폐기물) 10wt%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여 퇴비, 액비 및 바이오 가스로 자원화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원화 시스템은 크게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2)와,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4)를 포함한다. 또한,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은 협잡물 종합 처리기(1)를 거쳐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2)의 제1 저류조(201)와, 바이스 생산 공정부(4)의 제2 저류조(401)에 투입된다.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4)의 제2 저류조(401)에 투입되는 유기성 폐기물의 양은, 바이오 가스 생산 및 액비화 능력을 고려하여,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2)에 투입되는 유기성 폐기물의 양의 대략 1/2∼1/4로 정해진다. 예컨대,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2)에 투입되는 유기성 폐기물이 200톤인 경우,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4)에 투입되는 유기성 폐기물의 양은 대략 50∼100톤이 된다.
또한,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2)는 정화처리 공정부(200)과 퇴비화 공정부(210)를 포함하며, 퇴비화 공정부(210)는 상기 정화처리 공정부(200)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의 정화처리 공정 중 분리된 고상물을 이용하여 퇴비화한다.
상기 정화처리 공정부(200)는 상기 제1 저류조(201)로부터 원심분리기(202), 가압부상조(203), 중화조(204), 탈질조(205), 질산화조(206), UF 막분리부(207), Fenton 산화부(208), 모래 및 A/C 필터부(209)를 차례로 포함한다. 상기 제1 저류조(201)에는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이 저류되고, 원심분리기(202)는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을 고액 분리하여 고상의 유기 슬러지를 분리하고, 상기 가압부상조(203)는 액상의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고상의 부유물을 분리한다. 원심분리기(202)에서 분리된 유기 슬러지는 퇴비화 시설로 공급되고, 가압부상조(203)에서 분리된 부유물은 농축조(211)를 거쳐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4) 내 액비화 시설로 보내져 액비화에 이용되며, 액비화시설로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퇴비화 공정부(210)로 보내져 그곳에서 퇴비로 자원화된다.
또한 중화조(204)는 선행하는 공정에서의 약품 이용으로 인해 낮아진 pH를 알칼리 약품을 이용하여 조정한다. 중화조(204)에서의 pH 조정은 후행하는 탈질조(205) 및 질산화조(206)에서의 탈질 및 질산화를 위해 수행된다. 탈질조(250) 및 질산화조(206)에서 폐수 중의 유기물 분해가 이루어지며 폐수 내 질소 및/또는 인이 제거된다. 질산화조(206)에서는 액상의 NO3-N이 얻어지며 이 액상 NO3-N은 농축조(211)를 거쳐 선택적으로 전술한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4) 내 액비화 시설로 보내져 액비화에 이용된다. 질산화조(206)에 후행하는 설비들은, 계절에 따른 액비화 시설의 선택적 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들로서, UF 막분리부(207), Fenton 산화부(208), 모래 및 A/C 필터부(209)들을 차례로 포함하며, 이들을 차례대로 거치면서 정화된 폐수는 방류될 수 있다.
상기 퇴비화 공정부(210)는 정화처리 공정부(200) 내의 가압부상조(203) 및 질산화조(206)로부터 나온 부유물 및/또는 슬러지를 농축하는 농축조(211)와, 농축조(211) 후단에서 고상물을 탈수하는 탈수설비(212), 그리고, 탈수설비(212)를 거친 고상물을 퇴비화하여 저장하는 퇴비화 시설(213)을 포함한다. 퇴비화 시설(213)에서 생산, 저장된 자원, 즉, 퇴비는 농가로 보급된다.
한편,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4)는 상기 제2 저류조(401)로부터 차례로 산발효조(402), 메탄발효조(403)를 포함한다. 또한, 가축 분뇨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은 산발효조(401)와 메탄발효조(403)를 거치면서 소화 수액이 되고, 그 과정에서, 메탄발효조(403)에서는 바이오 가스가 생산된다.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4)는 상기 메탄발효조(403)에서 생산된 바이오 가스를 받아 저장, 이용, 전기 생산하는 시설들을 포함하며, 이 시설들은 바이오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 저장조(411)과, 그 바이오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 이용시설(412)와, 그 바이오 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생산 시설(413)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메탄발효조(403)에서 나온 소화수액은 액비화 시설(404)을 거쳐 농가(405)로 보급된다.
상기 액비화 시설(404)은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2) 내 질산화조(206) 후단부터로부터 액상의 질산화물, 즉, NO3-N과 가압부상조(203)부터 액상 NH4-N을 농축조(211)를 거쳐 공급받아 이를 액비화에 이용한다. 액비화 시설(404)에서 생산된 액비는 대략 3일 정도의 숙성과정과 악취를 제거한 후 농가로 보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2)에서 제거되는 질산성 질소 또는 암모니아성 질소를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4)에서 받아 액비화에 이용하고 이를 통해 얻은 액비를 농가에 보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자원화가 가능하다. 한편 액비화 시설(404)의 액비 저장 용량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겨울철 땅이 얼거나 하는 이유로 액비 살포가 어려워 상기 액비화 시설(404)의 활용을 멈추거나 줄이는 경우, 액비화 시설(404)로의 액상 NO3-N 및/또는 액상 NH4-N의 공급을 차단하고, 퇴비화 공정부(210)로 보내져 그곳에서 퇴비로 자원화되며, 남은 폐수는 UF 막분리부(207), Fenton 산화부(208), 모래 및 A/C 필터부(209)로 정화처리하여 방류한다.
이제 전술한 시스템을 이용한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을 협잡물 종합 처리기(1)에서 1차로 처리한다.
다음, 협잡물 종합 처리기(1)에서 나온 유기성 폐기물을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2) 내 제1 저류조(201)과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4) 내 제2 저류조(401)에 대략 2∼4 : 1의 비율로 나누어 투입한다.
다음,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2) 내에서는 원심분리기(202)와 가압부상조(203)을 차례로 이용하여,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을 폐수와 슬러지 및 부유물로 분리한 후, 폐수는 중화조(204)에서 pH 조정한 후, 탈질조(205)와 질산화조(206)를 이용해 부산물로 액상 NO3-N을 발생시켜 이를 농축조(211)를 거쳐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4) 내 액비화 시설(404)로 보낸다. 탈질조(206) 상류 측, 특히, 가압부상조(203)에서 발생한 액상 NH4-N 또한 농축조(211)를 거쳐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4) 내 액비화 시설(404)로 보낸다. 이때, 원심분리기(202)에서 폐수와 분리된 슬러지는 퇴비화 시설(213)을 거치면서 퇴비화 되어 저장된다.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2) 내에서의 여러 공정들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4)에서는 바이오 가스 생산과 액비화를 위한 공정들이 수행된다.
먼저, 상기 제2 저류조(401)에 유입된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 60∼70wt%과, 작게 파쇄되어 별도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20∼30wt% 및 동물 사체(또는, 도축 폐기물) 10wt%을 발효조(401)와 메탄발효조(403)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상기 메탄발효조(403)에서는 바이오 가스를 생산함과 동시에, 소화수액을 방출한다. 다음 액비화 시설(404)에서는 소화수액과 더불어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2)의 농축조(211)에서 받은 액상 NO3-N 및 액상 NH4-N을 이용하여 액비화하고 이를 저장한다. 저장된 액비는 농가로 보급된다. 최종적으로 메탄발효조(403)에서 생산된 바이오 가스(또는, 메탄가스)는 가스 저장조(411)에 저장되어, 직접 자원화 시스템의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로 이용되거나 또는 전기로 변환되어 자원화 시스템의 운영에 이용된다. 남는 가스 원료 또는 전기는 판매될 수도 있다.
액비 수요가 없는 계절 또는 액비화 시설(404)의 액비 저장량 초과의 경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2)로부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4)로의 질산성 질소 또는 암모니아성 질소 공급을 제한한다. 이 때 남은 폐수는 약품으로 처리한 후 방류하고 가압부상조(203)에서 폐수와 분리된 부유물 및 질산화조(206)에서 공급된 액상 NO3-N은 농축조(211), 탈수설비(212), 및 퇴비화 시설(213)을 거치면서 퇴비화하여 저장한다.
1: 협잡물 종합 처리기 2: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
200: 정화처리 공정부 210: 퇴비화 공정부
201: 제1 저류조 202: 원심분리기
203: 가압부상조 204: 중화조
205: 탈질조 206: 질산화조
207: UF 막분리부 208: Fenton 산화부
209: 모래 및 A/C 필터부 211: 농축조
212: 탈수설비 213: 퇴비화 시설
401: 제2 저류조 402: 산발효조
403: 메탈발효조 404: 액비화 시설
411: 가스 저장초 412: 가스 이용시설
413: 전기 생산시설

Claims (7)

  1.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와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와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에서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을 나누어 처리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는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을 고액 분리하여 남은 폐수를 처리하는 탈질조와 질산화조를 차례로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는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바이오 가스와 소화수액으로 분리하기 위한 산발효조 및 메탄발효조와, 상기 메탄발효조로부터 나온 소화수액을 받아 처리하는 액비화 시설을 포함하며,
    상기 액비화 시설은 상기 메탄발효조로부터 나온 소화수액과 상기 질산화조로부터 받은 액상 NO3-N을 이용하여 액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는 상기 질산화조의 상류 측에 협잡물 종합 처리기에서 처리된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을 저류하는 제1 저류조와, 상기 제1 저류조로부터의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을 고액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기와 상기 원심분리기를 거쳐 나온 폐수 중의 부유물을 가압부상 방식으로 분리하는 가압부상조와 상기 가압부상조를 거쳐 나온 폐수의 pH를 조정하기 위한 중화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상조에서 발생한 액상 NH4-N을 농축조를 거쳐 상기 액비화에 더 이용하고 상기 원심분리기에서 분리된 슬러지는 퇴비화 시설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는 상기 질산화조 하류측에 UF 막분리부, Fenton 산화부, 모래 및 A/C 필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질산화조로부터 상기 액비화 시설로의 액상 NO3-N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부상조에서 분리된 액상 NH4-N과 상기 질산화조로부터 받은 액상 NO3-N이 농축조, 탈수설비 및 퇴비화 시설을 차례로 포함하는 퇴비화 공정부로 공급되고, 상기 질산화조를 거친 폐수는 상기 질산화조 하류측에서 UF 막분리부, Fenton 산화부, 모래 및 A/C 필터부를 차례대로 거쳐 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는 상기 산발효조의 상류 측에 협잡물 종합 처리기에서 처리된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 및 파쇄된 음식물쓰레기, 가축사체, 도축폐기물을 저류하는 제2 저류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는 상기 질산화조의 상류 측에 협잡물 종합 처리기에서 처리된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을 저류하는 제1 저류조와, 상기 제1 저류조로부터의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을 고액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기와 상기 원심분리기를 거쳐 나온 폐수 중의 부유물을 가압부상 방식으로 분리하는 가압부상조와 상기 가압부상조를 거쳐 나온 폐수의 pH를 조정하기 위한 중화조를 포함하고 상기 질산화조의 하류측에 UF 막분리부, Fenton 산화부, 모래 및 A/C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는 상기 산발효조의 상류 측에 협잡물 종합 처리기에서 처리된 가축 분뇨 및 파쇄된 음식물쓰레기, 가축사체, 도축폐기물을 저류하는 제2 저류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비화 시설은 상기 메탄발효조로부터 나온 소화수액과, 상기 가압부상조에서 공급된 액상 NH4-N과, 상기 질산화조로부터 받은 액상 NO3-N을 이용하여 액비화하며, 상기 액상 NH4-N과 상기 액상 NO3-N는, 상기 액비화 시설로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농축조, 탈수설비 및 퇴비화 시설을 차례로 포함하는 퇴비화 공정부로 공급되어 퇴비화되고, 상기 질산화조를 거친 폐수는 UF 막분리부, Fenton 산화부, 모래 및 A/C 필터부를 차례대로 거쳐 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 내로 투입되는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은 상기 가축 분뇨 60∼70wt%, 상기 음식물 쓰레기 20∼30wt% 및 상기 가축 사체 또는 상기 도축 폐기물 10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정화처리 및 퇴비화 공정부와 상기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부로 나누어 투입되는 가축 분뇨 유기성 폐기물의 비는 2 ∼ 4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시스템.
KR1020130137493A 2013-11-13 2013-11-13 가축 분뇨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66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493A KR101366374B1 (ko) 2013-11-13 2013-11-13 가축 분뇨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493A KR101366374B1 (ko) 2013-11-13 2013-11-13 가축 분뇨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374B1 true KR101366374B1 (ko) 2014-02-24

Family

ID=5027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493A KR101366374B1 (ko) 2013-11-13 2013-11-13 가축 분뇨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37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066A (ko) 2014-07-21 2016-01-29 (주)제이엔지니어링 유기성 폐수의 자원화 시스템
KR101878401B1 (ko) * 2016-05-24 2018-07-13 이준호 당나귀를 이용한 발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테마파크 시스템
CN111423072A (zh) * 2020-05-07 2020-07-17 上海环境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果蔬垃圾压榨液或发酵沼液的处理系统及工作方法
KR102155524B1 (ko) * 2020-05-07 2020-09-16 대한민국 가축분뇨 통합처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230100800A (ko) 2021-12-28 2023-07-06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생활형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연료전지 시스템
KR20230100802A (ko) 2021-12-28 2023-07-06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생활형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연료전지 기반의 에너지 시스템
KR20230100801A (ko) 2021-12-28 2023-07-06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생활형 순바이오가스 전용 연료전지 시스템
KR102587711B1 (ko) * 2022-11-15 2023-10-10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축산분뇨의 악취 저감 액비 생산 및 순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방법
KR102587714B1 (ko) * 2022-11-15 2023-10-10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축산분뇨의 악취 저감 액비 생산 및 순환 콤팩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6597A (ja) * 2001-05-24 2002-12-03 Kawasaki Heavy Ind Ltd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80021571A (ko) * 2007-11-06 2008-03-07 (주)한국환경기술 유기성폐기물을 이용한 자원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55442A (ko) * 2009-11-17 2011-05-25 (주)동광이앤아이 유기성폐기물 자원화 처리시스템
KR101201865B1 (ko) * 2011-12-21 2012-11-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분뇨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6597A (ja) * 2001-05-24 2002-12-03 Kawasaki Heavy Ind Ltd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80021571A (ko) * 2007-11-06 2008-03-07 (주)한국환경기술 유기성폐기물을 이용한 자원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55442A (ko) * 2009-11-17 2011-05-25 (주)동광이앤아이 유기성폐기물 자원화 처리시스템
KR101201865B1 (ko) * 2011-12-21 2012-11-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분뇨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066A (ko) 2014-07-21 2016-01-29 (주)제이엔지니어링 유기성 폐수의 자원화 시스템
KR101878401B1 (ko) * 2016-05-24 2018-07-13 이준호 당나귀를 이용한 발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테마파크 시스템
CN111423072A (zh) * 2020-05-07 2020-07-17 上海环境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果蔬垃圾压榨液或发酵沼液的处理系统及工作方法
KR102155524B1 (ko) * 2020-05-07 2020-09-16 대한민국 가축분뇨 통합처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230100800A (ko) 2021-12-28 2023-07-06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생활형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연료전지 시스템
KR20230100802A (ko) 2021-12-28 2023-07-06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생활형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연료전지 기반의 에너지 시스템
KR20230100801A (ko) 2021-12-28 2023-07-06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생활형 순바이오가스 전용 연료전지 시스템
KR102587711B1 (ko) * 2022-11-15 2023-10-10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축산분뇨의 악취 저감 액비 생산 및 순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방법
KR102587714B1 (ko) * 2022-11-15 2023-10-10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축산분뇨의 악취 저감 액비 생산 및 순환 콤팩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374B1 (ko) 가축 분뇨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10781143B2 (en) Method and plant for treatment of organic waste
JP3452439B2 (ja) 有機性廃棄物からの有用物質の回収と資源化方法
US7468132B2 (en) Method for treatment of animal waste
RU2692731C1 (ru)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фосфата
WO2017173708A1 (zh) 一种一体式养殖场废水生物处理反应器
KR100723338B1 (ko) 가축분뇨 자원화 처리시설
CN101970360A (zh) 废弃活性污泥磷和镁脱除方法和鸟粪石生产系统
JP2005522399A (ja) 動物肥料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US20090193863A1 (en) Process for Removing and Recovering Phosphorus from Animal Waste
CN107759036B (zh) 一种污泥制复合肥料的处理方法与装置
Manh Khai et al. Chemical precipitation of ammonia and phosphate from Nam Son Landfill leachate, Hanoi
KR20140004989A (ko) 남은음식물 및 축산폐수를 병합처리하기 위한 복합고온혐기성소화공법
US202201271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wastewater
JP3554689B2 (ja) 廃棄物処理方法
JP4002603B2 (ja) 重金属を硫化水素で除去するためのバイオマスの処理方法
JP3570888B2 (ja) 廃棄物処理方法
ES2968085T3 (es) Método para la conversión de estiércol de aves de corral
JPH11300311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
EP2279153B1 (en) Method for treating and/or pretreating liquid manure or biogas plant reject for the elimination of harmful substances, particularly nitrogen, phosphorus, and odor molecules
JP3835930B2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
CN110734199A (zh) 一种大蒜加工废水处理工艺
CN110615579A (zh) 一种针对有机物厌氧消化后产生的沼液的处理方法
JP2012239972A (ja) 有機性廃棄物の生物学的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4160343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