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178B1 -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178B1
KR101366178B1 KR1020110112687A KR20110112687A KR101366178B1 KR 101366178 B1 KR101366178 B1 KR 101366178B1 KR 1020110112687 A KR1020110112687 A KR 1020110112687A KR 20110112687 A KR20110112687 A KR 20110112687A KR 101366178 B1 KR101366178 B1 KR 101366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e
web page
search
screen
web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882A (ko
Inventor
장현국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10112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1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웹 페이지 구성 및 출력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동일한 검색어로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하는 경우, 첫 번째 사이트에서의 한 차례의 검색어 입력만으로도 다른 사이트에서의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METHOD,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OUTPUT OF WEB PAGE}
본 발명은 웹 페이지 구성 및 출력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사이트에서 특정 검색어로 검색한 검색결과를 보고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다른 사이트에 접속하여 동일한 특정 검색어를 다시 입력하여 검색결과를 보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동일한 검색어를 여러 사이트에서 매번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모바일 단말기와 같이 문자 입력이 불편한 단말기의 경우, 빈번한 검색어 입력은 사용자에게 더욱 큰 불편함을 가져다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검색어로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하는 경우, 검색어의 입력을 줄여주어 신속하고 편리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기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요청을 상기 제1사이트의 제1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1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상기 제1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제1사이트 웹 페이지 출력 단계; 상기 제1사이트의 웹 페이지에서의 검색어 입력창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 검색어 입력 단계;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제1검색요청을 상기 제1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따른 제1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상기 제1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제1사이트 검색결과 웹 페이지 출력 단계;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검색어 저장 단계;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입력받는 제2사이트 접속요청 입력 단계;및 상기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된 검색어 및 상기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제2검색요청을 상기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저장된 검색어에 따른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상기 제2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제2사이트 웹 페이지 출력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1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요청을 상기 제1사이트의 제1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1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상기 제1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과, 상기 제1사이트의 웹 페이지에서의 검색어 입력창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 기능과,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제1검색요청을 상기 제1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따른 제1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상기 제1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과,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과,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입력받는 기능과, 상기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된 검색어 및 상기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제2검색요청을 상기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저장된 검색어에 따른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상기 제2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사이트에서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의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검색어를 통한 상기 제1사이트에서의 검색에 따른 제1검색결과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검색어를 통한 제2사이트에서의 검색에 따른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가 상기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입력받는 사이트 접속 요청부; 상기 접속요청을 입력받기 전에 이전 사이트 접속 시 미리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정보 확인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웹 페이지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기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접속요청을 입력받기 전에 이전 사이트 접속 시 미리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입력받는 기능과, 상기 접속요청을 입력받기 전에 이전 사이트 접속 시 미리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확인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검색어로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하는 경우, 검색어의 입력을 줄여주어 신속하고 편리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검색어로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하는 경우, 첫번째 사이트에서의 한 차례의 검색어 입력만으로도 다른 사이트에서의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관련하여, 단말기와 웹서버 간의 웹 페이지 요청 응답 절차와 단말기가 웹서버로부터 메인 웹 페이지를 수신하지 않게 됨으로써, 단말기와 웹서버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량이 많이 줄어들어 단말기 및 서버의 처리 부하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검색어로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하는 경우, 첫번째 사이트에서의 한 차례의 검색어 입력만으로도 다른 사이트에서의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관련하여, 단말기와 웹서버 간의 웹 페이지 요청 응답 절차와 단말기가 웹서버로부터 메인 웹 페이지를 수신하지 않게 됨으로써, 데이터량에 따라 과금되는 통신요금을 크게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 제어를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절차를 브라우저 관점에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따라 화면에 출력되는 웹 페이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절차를 브라우저 관점에서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 제어를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웹 페이지 출력 제어는, 이전 웹 페이지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정보를 활용하여 다음 웹 페이지를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이전 웹 페이지와 다음 웹 페이지는 각기 다른 사이트의 웹 페이지이다.
이러한 웹 페이지 출력 제어는, 일 예로, 동일한 검색어로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하는 경우, 첫 번째 사이트에서의 한 차례의 검색어 입력만으로도 다른 사이트에서의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웹 페이지 출력 제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제1사이트(또는 이전 사이트)에 먼저 접속하여 웹 페이지를 열어서 보고 열어본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 입력정보(예: 검색어)를 입력하여 이에 따른 웹 페이지를 확인한 이후, 제2사이트(또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 제어를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말기(100), 제1사이트의 제1웹서버(110) 및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의 단말기(100)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를 포함하고, 이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뿐만 아니라, 웹 브라우징 기능이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단말기(100)는, 운영체제와 연동되는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브라우저는 운영체제와 함께 기본적으로 설치된 기본 브라우저이거나, 기본 브라우저와는 별도로 사용자에 의해 추가로 설치된 브라우저일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운영체제는, 데스크탑 등의 일반 PC에 설치되는 윈도우(Window),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이거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iOS, 안드로이드(Android) 등의 모바일 전용 운영체제일 수도 있다.
웹서버(110, 12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도 2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바와 같이, C, C++, Java, PHP, .Net, Python, Ruby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또한, 웹서버(110, 120)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등의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단말기(120)를 포함)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 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또한, 서버(110)는, 전술한 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서버(110)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웹서버(110, 120)는 웹 서비스를 위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웹서버(110, 120)는 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웹서버(110, 12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 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Apache, Nginx, Light HTTP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30)는 웹서버(110, 120)와 단말기(100)를 연결해주고 웹 페이지 전송 경로가 되는 망(Network)으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이거나 스마트 폰 등인 경우, 네트워크(130)는 이동통신망이나 와이파이망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100)는, 제1사이트에서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의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210)와, 입력장치(210)를 통해 입력된 검색어를 저장하는 메모리(220)와, 입력장치(210)를 통해 입력된 검색어를 통한 제1사이트에서의 검색에 따른 제1검색결과 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입력장치(210)를 통해 입력된 검색어를 메모리(220)에 저장시키고, 메모리(220)에 저장된 검색어를 통한 제2사이트에서의 검색에 따른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장치(23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0)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제어부(20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검색어와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120)에 웹 페이지 요청을 통신부(240)를 통해 송신함으로써, 메모리(220)에 저장된 검색어를 통한 제2사이트에서의 검색에 따른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부(20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검색어를 통한 제2사이트에서의 검색에 따른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장치(23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획득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주소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또는 북마크(Bookmark, "즐겨찾기"라고도 함)에 등록된 주소정보 리스트 중 사용자 또는 프로그램적으로 선택된 주소정보로부터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사이트 자동 선정 모듈을 통해 제2사이트를 자동으로 선정하여 자동 선정된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사이트 자동 선정 모듈을 통해, 미리 저장된 사이트 카테고리 정보 및 사이트 연관성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제1사이트와 동일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2사이트를 자동 선정하거나, 제1사이트와 연관성이 있는 제2사이트를 자동 선정하여, 자동 선정된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이트 카테고리 정보는, 사이트들의 성격이나 종류에 따라 동일한 성격이나 종류를 갖는 사이트를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어 놓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이트 카테고리 정보는, 카테고리 식별정보와, 카테고리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사이트 주소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몰 카테고리에 2개의 쇼핑몰 사이트가 포함된 경우, 사이트 카테고리 정보는, 쇼핑몰 카테고리와 2개의 쇼핑몰 사이트 간의 대응정보와, 2개의 쇼핑몰 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트 카테고리 정보의 생성과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쇼핑 카테고리가 생성되고, 생성된 쇼핑 카테고리에 특정 사이트가 사용자 요청에 따라 포함됨으로써, 사이트 카테고리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의 특정 프로그램이나 브라우저에 의해 기본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의 특정 프로그램이나 브라우저에 의해 사이트 검색 기능을 통해 사이트 카테고리의 추가 및 삭제 등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이트 카테고리에 사이트의 추가 및 삭제 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사이트 연관성 정보는, 사이트들의 성격이나 종류에 따라 서로 연관된 사이트를 대응시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트 연관성 정보는 검색 사이트와 쇼핑몰 사이트를 대응시켜 연관성 있는 사이트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이트 연관성 정보는, 검색 사이트 리스트와 쇼핑몰 사이트 리스트에 대한 주소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트 연관성 정보의 생성과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연관되는 사이트의 추가, 삭제, 편집 등을 통해 사이트 연관성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의 특정 프로그램이나 브라우저에 의해 기본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의 특정 프로그램이나 브라우저에 의해 사이트 검색 기능을 통해 연관되는 사이트의 추가, 삭제, 편집 등을 통해 사이트 연관성 정보가 생성 저장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100)에서 제어부(2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프로세서(Processor)이고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브라우저(Browser)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100)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를 포함하고, 이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뿐만 아니라, 웹 브라우징 기능이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가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제1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의 입력에 따라, 제1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요청을 제1사이트의 제1웹서버(110)로 송신하고, 제1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제1웹서버(11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제1사이트 웹 페이지 출력 단계(S300)와, 제1사이트의 웹 페이지에서의 검색어 입력창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 검색어 입력 단계(S302)와,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제1검색요청을 제1웹서버(110)로 송신하고, 제1웹서버(110)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 따른 제1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제1웹서버(11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제1사이트 검색결과 웹 페이지 출력 단계(S304)와, 입력된 검색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검색어 저장 단계(S306)와,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입력받는 제2사이트 접속요청 입력 단계(S308)와,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의 입력에 따라, 저장된 검색어 및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제2검색요청을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120)로 송신하고, 저장된 검색어에 따른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제2웹서버(12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제2사이트 웹 페이지 출력 제어 단계(S310)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검색어 저장 단계(S306)는, 사용자가 제1사이트에서 검색에 이용된 검색어를 동일하게 이용하여 제2사이트에서 검색결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검색어 입력 단계(S302)에서 입력된 검색어를 저장해두는 단계이다.
이러한 검색어 저장 단계(S306)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사이트 검색결과 웹 페이지 출력 단계(S304)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되었으나, 구현 방식에 따라서는, 검색어 입력 단계(S302)에 함께 수행되거나, 검색어 입력 단계(S302) 이후에 수행되거나, 제1사이트 검색결과 웹 페이지 출력 단계(S304)와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전술한 제2사이트 접속요청 입력 단계(S308)는, 주소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 또는 북마크에 등록된 주소정보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2사이트 접속요청 입력 단계(S308)는, 사이트 자동 선정 모듈을 통해 자동 선정된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사이트 자동 선정 모듈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사이트 자동 선정 모듈은 브라우저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모듈이거나 브라우저와는 별도로 단말기(100)에서 설치된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이트 자동 선정 모듈은 제1사이트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2사이트를 선정할 수 있고, 성격이나 종류 등에 있어서 제1사이트와 연관성이 있는 제2사이트를 선정할 수도 있다.
전술한 검색어 저장 단계(S306), 제2사이트 접속요청 입력 단계(S308) 및 제2사이트 웹 페이지 출력 제어 단계(S310)는, 사용자가 제1사이트에서 검색에 이용된 검색어를 동일하게 이용하여 제2사이트에서 검색결과를 알아보고, 또한 제2사이트의 메인 페이지를 열어보고 동일한 검색어를 재입력할 필요없이, 제2사이트에서의 검색결과를 신속하게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계들이다.
따라서, 제2사이트 웹 페이지 출력 제어 단계(S310)에서는,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의 입력에 따라,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송신하는 대신, 저장된 검색어 및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제2검색요청을 제2웹서버(12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제2사이트 웹 페이지 출력 제어 단계(S310)에서는, 미리 저장된 사이트 카테고리 정보를 참조하여, 제1사이트 및 제2사이트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사이트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제1사이트 및 제2사이트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사이트이면 저장된 검색어 및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제2검색요청을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120)로 송신하고 저장된 검색어에 따른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제2웹서버(12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고, 판단 결과, 제1사이트 및 제2사이트가 각기 다른 카테고리에 포함된 사이트이면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요청을 제2웹서버(120)로 송신하고 제2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제2웹서버(12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 한편, 제2사이트 웹 페이지 출력 제어 단계(S310)에서는, 미리 저장된 사이트 연관성 정보를 참조하여, 제1사이트와 제2사이트가 연관성 있는 사이트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연관성 있는 사이트로 판단되면 저장된 검색어 및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제2검색요청을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120)로 송신하고 저장된 검색어에 따른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제2웹서버(12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고, 판단 결과, 연관성 없는 사이트로 판단되면,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요청을 제2웹서버(120)로 송신하고 제2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제2웹서버(12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사이트 웹 페이지 출력 제어 단계(S310)에서, 저장된 검색어 및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토대로 제2검색요청을 위한 새로운 주소정보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새로운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제2검색요청을 제2웹서버(120)로 송신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사이트 웹 페이지 출력 제어 단계(S310)에서는, 사이트별 주소정보 생성 규칙에 따라, 저장된 검색어 및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결합하여 제2검색요청을 위한 새로운 주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가 "http://www.site2.com"이고, 검색어가 "게임"인 경우, 제2검색요청을 위해 생성된 주소정보는 아래와 같을 수 있다.
http://search.site2.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A%B2%8C%EC%9E%84&sm=top_hty&fbm=1&ie=utf8
위의 예시에서, 이텔릭체로 표시된 부분은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와 코드로 변환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부분이고, 나머지 부분은 제2사이트 주소정보 생성 규칙에 따라 추가된 부분이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단말기(100)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에 포함되거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되거나 호환되는 브라우저 프로그램일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100)의 운영체제와 호환 가능하고 단말기(100)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브라우저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단말기(100)의 운영체제는, 데스크탑 등의 일반 PC에 설치되는 윈도우(Window),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이거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iOS, 안드로이드(Android) 등의 모바일 전용 운영체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단말기(100)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브라우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100)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은, 제1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의 입력에 따라, 제1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요청을 제1사이트의 제1웹서버(110)로 송신하고, 제1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제1웹서버(11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과, 제1사이트의 웹 페이지에서의 검색어 입력창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 기능과,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제1검색요청을 제1웹서버(110)로 송신하고, 입력된 검색어에 따른 제1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제1웹서버(11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과, 입력된 검색어를 메모리(220)에 저장하는 기능과,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입력받는 기능과,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의 입력에 따라, 저장된 검색어 및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제2검색요청을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120)로 송신하고, 저장된 검색어에 따른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제2웹서버(12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 등을 실행한다.
이러한 프로그램(브라우저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브라우저(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절차와 웹 페이지 출력의 예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절차를 브라우저(400) 관점에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우저(400)는, 주소 입력창을 통해 제1사이트의 주소정보 또는 북마크에서 선택된 제1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제1사이트의 제1웹서버(110)로 접속요청을 송신한다(S400).
이에 따라, 브라우저(400)는, 제1사이트의 웹 페이지(예: 메인 페이지이거나 북마크된 웹 페이지)를 제1웹서버(110)로부터 수신하고 화면에 출력한다(S402).
이후, 사용자가 제1사이트에서 특정 검색어로 검색을 하기 위하여 검색어를 입력하면, 브라우저(4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를 입력받는다(S404). 이때, 브라우저(400)는 입력된 검색어를 저장해둘 수 있다.
이후, 브라우저(400)는 입력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제1검색요청을 송신하여(S406), 입력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된 검색결과를 포함하는 제1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제1웹서버(110)로부터 수신하고 화면에 출력한다(S408).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제1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보고 검색결과가 마음에 안 들거나 다른 사이트에서 동일한 검색어로 추가 검색을 더 해보고자 하는 경우, 또는 다른 사이트에서 동일한 검색어로 추가 검색을 수행하는 기능이 브라우저(400)에 구현되어 있는 경우에는, 브라우저(400)는,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제2사이트의 메인 웹 페이지를 여는 것이 아니라, S404 단계에서 저장해둔 검색어와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120)로 제2검색요청을 바로 송신할 수 있다(S410).
이에 따라, 브라우저(400)는, 검색어 입력 절차 없이 제1사이트에서의 검색에 이용되었던 검색어를 동일하게 이용하여 제2사이트에서의 검색결과를 포함하는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S412).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따라 화면에 출력되는 웹 페이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사이트에서 "game"이란 검색어로 검색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직접 입력하게 되면, 브라우저(400)는 "game"이란 검색어를 입력받는다.
브라우저(400)는 "game"이란 검색어를 메모리(220)에 저장해둔다.
이에 따라, 브라우저(400)는, "game"이란 검색어를 제1웹서버(110)로 송신하고, 도 5의 (b)와 같이, "game"에 대한 검색결과를 포함하는 제1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제1웹서버(11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이후,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제1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보고 검색결과가 마음에 안 들거나 다른 사이트에서 동일한 검색어로 추가 검색을 더 해보고자 하는 경우, 또는 다른 사이트에서 동일한 검색어로 추가 검색을 수행하는 기능이 브라우저(400)에 구현되어 있는 경우에는, 브라우저(400)는,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제2사이트의 메인 웹 페이지를 여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220)에 저장해둔 검색어인 "game"와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120)로 제2검색요청을 바로 송신하고, 도 5의 (c)와 같이, "game"에 대한 검색결과를 포함하는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제2웹서버(12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브라우저(400)가,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제2사이트의 메인 웹 페이지를 여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220)에 저장해둔 검색어인 "game"와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120)로 제2검색요청을 바로 송신하는 경우는, 항상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설정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제1사이트와 제2사이트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사이트이거나, 연관성이 있는 사이트인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절차를 브라우저(400) 관점에서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6은 제1사이트와 제2사이트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사이트가 아니거나, 연관성이 없는 사이트인 경우, 브라우저(400)가, 메모리(220)에 저장해둔 검색어인 "game"와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120)로 제2검색요청을 바로 송신하여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바로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제2사이트에 접속요청을 송신하여 제2사이트의 메인 웹 페이지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경우에 대한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라우저(400)는, 주소 입력창을 통해 제1사이트의 주소정보 또는 북마크에서 선택된 제1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제1사이트의 제1웹서버(110)로 접속요청을 송신한다(S600).
이에 따라, 브라우저(400)는, 제1사이트의 웹 페이지(예: 메인 페이지이거나 북마크된 웹 페이지)를 제1웹서버(110)로부터 수신하고 화면에 출력한다(S602).
이후, 사용자가 제1사이트에서 특정 검색어로 검색을 하기 위하여 검색어를 입력하면, 브라우저(4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를 입력받는다(S604). 이때, 브라우저(400)는 입력된 검색어를 저장해둘 수 있다.
이후, 브라우저(400)는 입력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제1검색요청을 송신하여(S606), 입력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된 검색결과를 포함하는 제1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제1웹서버(110)로부터 수신하고 화면에 출력한다(S608).
이후, 사용자가 제2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주소 입력창에 입력하거나 북마크에서 제2사이트를 선택하는 경우, 브라우저(400)는, 제1사이트와 제2사이트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사이트인지, 또는 연관성이 있는 사이트인지를 판단하고, 제1사이트와 제2사이트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사이트가 아니거나, 연관성이 없는 사이트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제2사이트의 웹서버(120)로 송신한다(S610).
이에 따라, 브라우저(400)는, 제2사이트의 웹 페이지(예: 메인 페이지이거나 북마크된 웹 페이지)를 제2웹서버(120)로부터 수신하고 화면에 출력한다(S612).
이후, 사용자가 제2사이트에서 S604 단계에서 입력된 검색어와 동일하거나 다른 검색어로 검색을 하기 위하여 검색어를 입력하면, 브라우저(4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를 재입력받는다(S614). 이때, 브라우저(400)는 재입력된 검색어를 저장해둘 수 있다.
이후, 브라우저(400)는 재입력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제2검색요청을 송신하여(S616), 재입력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된 검색결과를 포함하는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제2웹서버(120)로부터 수신하고 화면에 출력한다(S618).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도 4의 경우가 검색어 입력 절차가 줄어들고 브라우저(400)와 제2웹서버(120) 간의 요청-응답 절차도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검색어로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하는 경우, 검색어의 입력을 줄여주어 신속하고 편리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검색어로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하는 경우, 첫번째 사이트에서의 한 차례의 검색어 입력만으로도 다른 사이트에서의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관련하여, 단말기와 웹서버 간의 웹 페이지 요청 응답 절차와 단말기가 웹서버로부터 메인 웹 페이지를 수신하지 않게 됨으로써, 단말기와 웹서버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량이 많이 줄어들어 단말기 및 서버의 처리 부하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검색어로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하는 경우, 첫번째 사이트에서의 한 차례의 검색어 입력만으로도 다른 사이트에서의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관련하여, 단말기와 웹서버 간의 웹 페이지 요청 응답 절차와 단말기가 웹서버로부터 메인 웹 페이지를 수신하지 않게 됨으로써, 데이터량에 따라 과금되는 통신요금을 크게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본 발명은, 단말기(100)가 일반 PC에 비해 사용자 입력이 상대적으로 불편하고 성능이 상대적으로 열악하며 인터넷 사용에 따른 과금에 대한 부담을 많이 가지기 되는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에, 전술한 효과가 더욱 크게 작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100)는, 사이트(전술한 제2사이트에 해당함)에 대한 접속요청을 입력받는 사이트 접속 요청부(710)와, 접속요청을 입력받기 전에 이전 사이트(전술한 제1사이트에 해당함) 접속 시 미리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정보 확인부(720)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웹 페이지 출력 제어부(730) 등을 포함한다.
이전 사이트 접속 시 미리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정보는, 일 예로, 이전 사이트 접속 시, 이전 사이트에서의 검색을 위해 입력되었던 검색어일 수 있다. 이 경우, 웹 페이지 출력 제어부(730)는, 사용자 입력정보로서 이전 사이트 접속 시 미리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검색어를 통한 사이트의 검색에 따른 검색결과 웹 페이지가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로서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웹 페이지 출력 제어부(730)는, 사이트의 주소정보와 이전 사이트에서의 검색을 위해 입력되어 미리 저장되어 있던 검색어를 토대로 새로운 주소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새로운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 요청을 사이트의 웹 서버(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120)에 해당함)로 송신하고,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로서 이전 사이트에서의 검색을 위해 입력되어 미리 저장되어 있던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결과를 포함하는 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웹 페이지 출력 제어부(730)는, 사이트 카테고리 정보를 참조하여, 사이트 및 이전 사이트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사이트인지를 판단하고, 사이트 및 이전 사이트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사이트이면, 사용자 입력정보 및 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사이트 및 이전 사이트가 각각 다른 카테고리에 포함된 사이트이면, 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사이트의 메인 웹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웹 페이지 출력 제어부(730)는, 사이트 연관성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이트 및 상기 이전 사이트가 연관성 있는 사이트인지를 판단하고, 사이트 및 이전 사이트가 연관성 있는 사이트이면, 사용자 입력정보 및 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사이트 및 이전 사이트가 연관성 없는 사이트이면, 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사이트의 메인 웹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가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입력받는 단계(S800)와, 접속요청을 입력받기 전에 이전 사이트 접속 시 미리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802)와,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804)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단말기(100)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에 포함되거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되거나 호환되는 브라우저 프로그램일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100)의 운영체제와 호환 가능하고 단말기(100)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브라우저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단말기(100)의 운영체제는, 데스크탑 등의 일반 PC에 설치되는 윈도우(Window),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이거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iOS, 안드로이드(Android) 등의 모바일 전용 운영체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단말기(100)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브라우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100)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은,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입력받는 기능과, 접속요청을 입력받기 전에 이전 사이트 접속 시 미리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확인하는 기능과,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 등을 실행한다.
이러한 프로그램(브라우저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검색어로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하는 경우, 검색어의 입력을 줄여주어 신속하고 편리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검색어로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하는 경우, 첫번째 사이트에서의 한 차례의 검색어 입력만으로도 다른 사이트에서의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관련하여, 단말기와 웹서버 간의 웹 페이지 요청 응답 절차와 단말기가 웹서버로부터 메인 웹 페이지를 수신하지 않게 됨으로써, 단말기와 웹서버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량이 많이 줄어들어 단말기 및 서버의 처리 부하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검색어로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하는 경우, 첫번째 사이트에서의 한 차례의 검색어 입력만으로도 다른 사이트에서의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관련하여, 단말기와 웹서버 간의 웹 페이지 요청 응답 절차와 단말기가 웹서버로부터 메인 웹 페이지를 수신하지 않게 됨으로써, 데이터량에 따라 과금되는 통신요금을 크게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단말기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요청을 상기 제1사이트의 제1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1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상기 제1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제1사이트 웹 페이지 출력 단계;
    상기 제1사이트의 웹 페이지에서의 검색어 입력창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 검색어 입력 단계;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제1검색요청을 상기 제1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따른 제1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상기 제1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제1사이트 검색결과 웹 페이지 출력 단계;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검색어 저장 단계;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입력받는 제2사이트 접속요청 입력 단계;및
    상기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된 검색어에 대한 추가적인 제2검색을 상기 제2사이트를 통해 수행해야 하는지를 미리 저장된 사이트 카테고리 정보 또는 사이트 연관성 정보를 참조하여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인 제2검색을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저장된 검색어를 포함시킨 상기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에 해당하는 제2검색요청을 상기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저장된 검색어에 따른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상기 제2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인 제2검색을 미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저장된 검색어를 미포함시킨 상기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상기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제2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상기 제2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제2사이트 웹 페이지 출력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트 접속요청 입력 단계는,
    주소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 또는 북마크에 등록된 주소정보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상기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트 웹 페이지 출력 제어 단계는,
    상기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송신하는 대신, 상기 저장된 검색어 및 상기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제2검색요청을 상기 제2웹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트 웹 페이지 출력 제어 단계는,
    미리 저장된 사이트 카테고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사이트 및 상기 제2사이트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사이트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1사이트 및 상기 제2사이트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사이트이면, 상기 저장된 검색어 및 상기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제2검색요청을 상기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저장된 검색어에 따른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상기 제2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1사이트 및 상기 제2사이트가 각기 다른 카테고리에 포함된 사이트이면, 상기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요청을 상기 제2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2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상기 제2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트 웹 페이지 출력 제어 단계는,
    미리 저장된 사이트 연관성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사이트와 상기 제2사이트가 연관성 있는 사이트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연관성 있는 사이트로 판단되면, 상기 저장된 검색어 및 상기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제2검색요청을 상기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저장된 검색어에 따른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상기 제2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고,
    판단 결과, 연관성 없는 사이트로 판단되면, 상기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요청을 상기 제2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2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상기 제2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6.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1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요청을 상기 제1사이트의 제1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1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상기 제1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과,
    상기 제1사이트의 웹 페이지에서의 검색어 입력창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 기능과,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제1검색요청을 상기 제1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따른 제1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상기 제1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과,
    상기 입력된 검색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과,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입력받는 기능과,
    상기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된 검색어에 대한 추가적인 제2검색을 상기 제2사이트를 통해 수행해야 하는지를 미리 저장된 사이트 카테고리 정보 또는 사이트 연관성 정보를 참조하여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인 제2검색을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저장된 검색어를 포함시킨 상기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에 해당하는 제2검색요청을 상기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저장된 검색어에 따른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상기 제2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인 제2검색을 미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저장된 검색어를 미포함시킨 상기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상기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제2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상기 제2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제1사이트에서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의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검색어를 통한 상기 제1사이트에서의 검색에 따른 제1검색결과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이후,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이 입력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검색어에 대한 추가적인 제2검색을 상기 제2사이트를 통해 수행해야 하는지를 미리 저장된 사이트 카테고리 정보 또는 사이트 연관성 정보를 참조하여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인 제2검색을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검색어를 포함시킨 상기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에 해당하는 제2검색요청을 상기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저장된 검색어에 따른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를 상기 제2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인 제2검색을 미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검색어를 미포함시킨 상기 제2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상기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제2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상기 제2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검색어와 상기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사이트의 제2웹서버에 웹 페이지 요청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검색어를 통한 제2사이트에서의 검색에 따른 제2검색결과 웹 페이지가 상기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소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 또는 북마크에 등록된 주소정보 리스트 중 선택된 주소정보로부터 상기 제2사이트의 주소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10.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입력받는 사이트 접속 요청부;
    상기 접속요청을 입력받기 전에 이전 사이트 접속 시 미리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정보 확인부; 및
    상기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이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사이트 카테고리 정보 또는 사이트 연관성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포함시킨 상기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상기 사이트의 웹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와 다른 일반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저장된 검색어를 미포함시킨 상기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상기 사이트의 웹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사이트의 일반 웹 페이지가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웹 페이지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 출력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로서 상기 이전 사이트 접속 시 미리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검색어를 통한 상기 사이트의 검색에 따른 검색결과 웹 페이지가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로서 상기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 출력 제어부는,
    사이트 카테고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이트 및 상기 이전 사이트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사이트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이트 및 상기 이전 사이트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사이트이면,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 및 상기 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이트 및 상기 이전 사이트가 각각 다른 카테고리에 포함된 사이트이면, 상기 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의 메인 웹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 출력 제어부는,
    사이트 연관성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이트 및 상기 이전 사이트가 연관성 있는 사이트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이트 및 상기 이전 사이트가 연관성 있는 사이트이면,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 및 상기 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이트 및 상기 이전 사이트가 연관성 없는 사이트이면, 상기 사이트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의 메인 웹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14. 단말기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접속요청을 입력받기 전에 이전 사이트 접속 시 미리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이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사이트 카테고리 정보 또는 사이트 연관성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포함시킨 상기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상기 사이트의 웹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와 다른 일반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저장된 검색어를 미포함시킨 상기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상기 사이트의 웹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사이트의 일반 웹 페이지가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15.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입력받는 기능과,
    상기 접속요청을 입력받기 전에 이전 사이트 접속 시 미리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확인하는 기능과,
    상기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이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사이트 카테고리 정보 또는 사이트 연관성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포함시킨 상기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상기 사이트의 웹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가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트의 재구성된 웹 페이지와 다른 일반 웹 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저장된 검색어를 미포함시킨 상기 사이트에 대한 접속요청을 상기 사이트의 웹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사이트의 일반 웹 페이지가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112687A 2011-11-01 2011-11-01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101366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687A KR101366178B1 (ko) 2011-11-01 2011-11-01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687A KR101366178B1 (ko) 2011-11-01 2011-11-01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882A KR20130047882A (ko) 2013-05-09
KR101366178B1 true KR101366178B1 (ko) 2014-02-24

Family

ID=4865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687A KR101366178B1 (ko) 2011-11-01 2011-11-01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1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384A (ko) 2018-01-22 2019-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색어 처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094A (ko) * 2006-11-24 2008-05-28 이승후 탭브라우징 기반의 다중검색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094A (ko) * 2006-11-24 2008-05-28 이승후 탭브라우징 기반의 다중검색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882A (ko)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53389A1 (zh) 页面转译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US8499099B1 (en) Converting data into addresses
US9952848B2 (en) Dependency-aware transformation of multi-function applications for on-demand execution
CN107015996A (zh) 一种资源访问方法、装置及系统
US201903402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websites from predefined templates
KR20140014132A (ko) 컨텐츠 제공자-특이 url 키워드 검색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0266661A (zh) 一种授权方法、装置及设备
US11004054B2 (en) Updating account data for multiple account providers
CN104954363A (zh) 用于生成接口文档的方法和装置
KR101184809B1 (ko)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070053B1 (ko) Url을 이용하여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US20220050885A1 (en) Favorites management and information search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favorites management and information search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1366178B1 (ko) 웹 페이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US107426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ogin and registration efficiency to network-accessed data
CN110866196A (zh) 一种打印机网络信息采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060108206A (ko) Url을 이용하여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CN114817794A (zh) 网页内容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7045549B (zh) 一种电子书页数获取方法和装置
CN111597059A (zh) 接口调用请求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100024370A (ko)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027411A (ko) 오픈 api 제공 프록시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위젯 서비스 제공방법
US20220051581A1 (en) Personalized user education system
KR20130058459A (ko)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및 서버
CN114338240B (zh) 漏洞扫描方法以及装置
KR20100031119A (ko) Url을 이용하여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