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963B1 -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963B1
KR101365963B1 KR1020120125321A KR20120125321A KR101365963B1 KR 101365963 B1 KR101365963 B1 KR 101365963B1 KR 1020120125321 A KR1020120125321 A KR 1020120125321A KR 20120125321 A KR20120125321 A KR 20120125321A KR 101365963 B1 KR101365963 B1 KR 101365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lp
drum
separation
air
r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영
허상철
한상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농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농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농심
Priority to KR1020120125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면을 포장하기 전 라면에 다시마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량의 다시마를 겹치지 않게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는, 내부에 다수의 다시마가 투입되며, 회전하는 과정에서 투입된 다시마를 겹침 없이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드럼; 및 드럼의 외부에 설치되며, 드럼에 형성된 복수 개의 진공홀을 통해 드럼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홀 측에 위치한 다시마가 드럼의 내측면에 부착되도록 하고, 드럼에 진공홀과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리젝트홀를 통해 드럼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리젝트홀 측에 위치한 다시마를 드럼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에어소통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SEA TANGLE SUPPLIER}
본 발명은 라면을 포장하기 전 라면에 다시마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량의 다시마를 겹치지 않게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라면은 현대사회로 들어오면서 편리성, 신속성, 경제성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그 수요가 세계적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라면은 일반적으로 끓는 물에서 단시간 가열하여 취식 가능하도록 제조되는 봉지라면 형태와, 뜨거운 물을 부어 복원시켜 먹는 컵라면 타입이 보편적인 형태이다.
최근에 와서는 소비자의 기호도가 다양화되고, 개식화(個食化: 혼자 식사하는 것)되는 현상과 함께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켜 주는 다양한 종류의 라면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정 계층의 소비자를 위한 라면 개발도 끊임없이 진행 중에 있다.
라면은 포장지 내에 면과 함께 포장된 양념스프 및 분말스프 등이 첨가된다. 이러한 라면의 포장작업은 생산성의 향상 등을 위하여 면을 이송시키면서 그 위에 포장스프를 낙하시켜 연속적으로 자동 포장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라면 이송 포장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62611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 따른 라면 이송 포장장치의 경우에는 이동하고 있는 면의 중앙에 포장스프를 정밀하게 낙하시켜 라면 포장의 작업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라면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가운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포장스프 외에도 다시마를 함께 포장하는 라면도 출시되고 있다. 다시마의 경우에는 별도의 포장을 하지 않고 일정한 크기로 커팅된 건조된 것을 공급하여 라면 및 포장스프와 함께 포장한다.
다시마의 공급은 호퍼를 통해 다량으로 이루어지며 다시마 자체가 얇기 때문에 공급과정에서 다시마가 겹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그런데, 선행문헌에 따른 라면 이송 포장장치를 포함하여 현재 적용되고 있는 라면 포장장치들의 경우에는 다시마가 겹치는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정한 크기로 커팅된 다시마를 겹치지 않고 정량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는, 내부에 다수의 다시마가 투입되며, 회전하는 과정에서 투입된 다시마를 겹침 없이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드럼; 및 드럼의 외부에 설치되며, 드럼에 형성된 복수 개의 진공홀을 통해 드럼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홀 측에 위치한 다시마가 드럼의 내측면에 부착되도록 하고, 드럼에 진공홀과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리젝트홀를 통해 드럼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리젝트홀 측에 위치한 다시마를 드럼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에어소통수단;을 포함한다.
드럼의 내측면에는 에어소통수단에 의한 공기의 흡입과 주입이 각각 이루어지면서 다시마의 겹침 분리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분리열이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분리열들은 칸막이링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드럼은 회전하고 에어소통수단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는, 드럼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분리열들에 대응되는 배출로가 분리 형성되어 분리열들에서 겹침 없이 분리되어 낙하하는 다시마를 겹침 없이 외부로 배출하는 다시마 배출 컨베이어를 더 포함한다.
드럼의 각 분리열들에는 다시마의 후퇴를 방지하는 다수의 후퇴 방지 칸막이가 이격 형성되며, 후퇴 방지 칸막이 사이에 진공홀과 리젝트홀이 각각 이격 형성된다.
후퇴 방지 칸막이 사이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드럼의 내측면은 전체적으로 다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는 각 칸막이링으로부터 돌출되어 다시마들이 이웃하는 분리열들에 걸쳐져 뭉치는 것을 방지하는 뭉침방지돌기를 더 포함한다.
에어소통수단은 각 분리열로부터 각각 공기를 흡입하고 분리열에 각각 공기를 주입하도록 이루어지며, 각 분리열 별로 공기를 흡입하는 구간을 달리하여 각 분리열에서 분리되는 다시마가 서로 다른 지점에서 낙하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에 의하면, 라면을 포장하기 전 다시마를 라면에 공급함에 있어서 일정 크기로 커팅된 다시마가 겹치지 않고 정량이 연속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라면의 포장공정에 있어서 다시마의 겹침으로 인한 불량의 우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를 이용해 다시마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드럼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드럼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드럼에서 진공에 의해 다시마를 흡입하는 구간과 다시마를 리젝트시키는 구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드럼의 내부에서 다시마의 겹침 분리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를 이용해 다시마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를 이용해 다시마를 공급하는 시스템은 ① 일정크기로 커팅된 다시마가 호퍼(10)에서 뭉치 형태로 낙하하여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20)로 투입되는 공정, ②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20)에서 매초 정량(예컨대, 3~4개)의 다시마가 겹침 없이 1차 컨베이어(30)로 배출되는 공정, ③ 1차 컨베이어(30)를 통해 이송되는 다시마가 2차 컨베이어(40)로 옮겨져 이송되는 공정, ④ 2차 컨베이어(40)를 통해 겹침 없이 이송되는 다시마를 로봇(50)으로 흡입하여 라면 위로 공급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2차 컨베이어(40)를 통해 이송되는 다시마 중 로봇(50)에 의해 흡입되지 못하고 그대로 통과되는 다시마는 재차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20)로 보내지기 위해 회송로(60)를 통해 다시마 투입 경로로 이송된다.
도 2는 본 발명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20)는 받침대(210), 드럼(220), 에어소통수단(230), 다시마 배출 컨베이어(240) 및 구동부(250)를 포함한다.
받침대(210)는 드럼(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에어소통수단(230), 다시마 배출 컨베이어(240) 및 구동부(250)를 고정 지지한다. 이러한 받침대(210)는 바닥에 접면되는 바닥판(211), 및 바닥판(21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설되어 드럼(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판(212)을 포함한다.
드럼(220)은 수직판(2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다수의 다시마가 투입되고 투입된 다시마를 겹침 없이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드럼(220)의 전면은 개방되며 배면은 폐쇄된다.
에어소통수단(230)은 드럼(220)의 외부에 설치되며, 드럼(2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후술할 진공홀을 통해 드럼(22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홀 측에 위치한 다시마가 드럼(220)의 내측면에 부착되도록 하고, 드럼(220)의 내측면에서 진공홀과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후술할 리젝트홀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드럼(220)으로 주입하여 리젝트홀 측에 위치한 다시마를 드럼(220)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에어소통수단(230)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공기를 흡입하고 주입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공기덕트로 구성된다. 에어소통수단(230)을 구성하는 공기덕트들은 드럼(220)의 외부에서 드럼(2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드럼(220)의 외측면에 최대한 근접 설치되어 공기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한다.
다시마 배출 컨베이어(240)는 드럼(22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후술할 분리열들에 대응되는 배출로(241)가 분리 형성되어 분리열들에서 겹침 없이 분리되어 낙하하는 다시마를 겹침 없이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다시마 배출 컨베이어(240)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242)와, 컨베이어벨트(242)의 위쪽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배출로(241)를 구획 형성하는 복수 개의 칸막이(243)로 구성된다. 다시마 배출 컨베이어(240)는 받침대(210)의 바닥판(211)에 지지대(213)를 이용해 지지된다.
구동부(250)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드럼(22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받침대(210)의 바닥판(21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51), 받침대(210)의 수직판(212)의 배면에 설치되고 구동모터(251)의 회전방향을 변환시켜 드럼(220)을 회전시키는 회전 변환부(252)를 포함한다. 회전 변환부(252)의 회전축(254)은 수직판(212)에 베어링(253)에 의해 지지되며, 그 전단은 드럼(220)의 배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51) 작동시 발생되는 회전력은 회전 변환부(252)로 전달되어 회전방향이 변환되고, 회전축(254)을 통해 드럼(220)으로 전달되어 드럼(220)을 회전시킨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드럼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드럼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드럼(220)은 외측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드럼몸체(221), 드럼몸체(221)의 개방된 전면부에 결합되어 드럼몸체(221)의 전면부로 다시마의 이탈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전면판(222), 드럼몸체(221)의 개방된 배면부에 결합되고 구동부(250)의 회전축(254)이 결합되는 원형판 형태의 배면판(223), 및 드럼몸체(221)의 내측면을 복수 개로 분할하는 칸막이링(224)으로 구성된다.
드럼몸체(221)의 내측면은 제작과정에서 스테인레스스틸(SUS)을 22각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며, 드럼몸체(221)의 외측면은 평판의 스테인레스스틸(SUS)로 내측면의 바깥면을 원형으로 감싼 후 용접하여 형성된다.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간극은 실리콘에 의해 충진된다. 드럼몸체(221)의 내측면은 22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칸막이링(224)은 드럼몸체(221)의 내측면 형상과 대응되게 22각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드럼몸체(221)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용접됨으로써, 드럼몸체(221)의 내측면을 동일폭을 갖는 복수 개의 분리열(225)로 분할해준다. 도면에는 두 개의 칸막이링(224)이 구비되어 드럼몸체(221)의 내측면에 세 개의 분리열(225)을 형성하였다.
분리열(225)은 드럼몸체(221)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에어소통수단(230)에 의한 공기의 흡입과 주입이 각각 이루어지면서 다시마의 겹침 분리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드럼몸체(221) 내로 투입되는 다시마들은 드럼(2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각 분리열(225)들로 분할된 후 겹침 분리가 이루어진다.
복수 개의 분리열(225)들 중 전방에 위치되는 분리열(225)은 전면판(222)과 칸막이링(224)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고, 후방에 위치되는 분리열(225)은 배면판(223)과 칸막이링(224)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며, 중간에 위치되는 분리열(225)은 칸막이링(224)들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다.
각 분리열(225)을 형성하는 드럼몸체(221)의 내측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즉, 복수 개의 평면(221a)이 서로 각을 이루면서 접하게 된다. 각 분리열(225)을 구성하는 평면(221a)과 평면(221a) 사이의 각진 부분에는 드럼(220)의 회전시 평면(221a)에 위치된 다시마의 후퇴를 방지하기 위한 후퇴 방지 칸막이(226)가 각각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22각형의 평면(221a)을 갖는 분리열(225)들의 경우에는 22개의 후퇴 방지 칸막이(226)가 구비된다. 후퇴 방지 칸막이(226)의 설치위치는 드럼몸체(221)의 내측면 중 각진 부분 외에도 평면(221a) 부분일 수도 있다.
각 분리열(225)의 후퇴 방지 칸막이(226) 사이에는 진공홀(221b)과 리젝트홀(221c)이 이격 형성된다. 진공홀(221b)은 드럼몸체(221) 내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여 후퇴 방지 칸막이(226)에 위치된 다시마가 진공에 의해 드럼몸체(221)의 내측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리젝트홀(221c)은 외부의 공기를 드럼몸체(221) 내로 주입하여 드럼몸체(221)의 내측면에 부착된 다시마가 분리되도록 한다.
각 칸막이링(224)에는 드럼몸체(221) 내로 투입된 다시마들이 분리열(225)들에 걸쳐져 뭉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뭉침방지돌기(227)가 드럼몸체(221)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뭉침방지돌기(227)들은 드럼(2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드럼몸체(221) 내로 투입된 다시마들이 각 분리열(225)들로 나누어지도록 한다.
도 7은 드럼에서 진공에 의해 다시마를 흡입하는 구간과 다시마를 리젝트시키는 구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드럼의 내부에서 다시마의 겹침 분리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소통수단(230)은 복수 개의 공기덕트로 구성되어 각 분리열(225)로부터 각각 공기를 흡입하고 각 분리열(225)에 각각 공기를 주입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각 분리열(225) 별로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구간(a1, a2, a3)을 달리하여 각 분리열(225)을 통해 겹침이 방지된 다시마가 서로 다른 지점(A1, A2, A3)에서 낙하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각 분리열(225)에서 공기 흡입을 통해 다시마를 드럼몸체(221)의 내측면에 부착시키는 시점은 동일하다. 물론, 달리 실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공기 흡입이 종료되는 지점은 각각 다르게 실시되어야만 다시마 배출 컨베이어(240)로 낙하하는 지점이 달라진다. 만일, 낙하하는 지점이 같아지면 다시마 배출 컨베이어(240)의 배출로(241) 중에서 동일 배출로(241)에 복수 개가 한꺼번에 낙하되어 배출로(241) 상에서 다시마가 서로 겹쳐질 우려가 있다.
각 분리열(225)에서 다시마가 낙하하는 지점과 다시마 배출 컨베이어(240)의 각 배출로(241)는 서로 일대일로 대응된다. 따라서, 하나의 배출로(241)에는 하나의 다시마만 낙하하게 된다.
드럼(2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두 개 이상의 다시마가 드럼몸체(221)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다시마의 낙하가 시작되는 지점 이전구간(r)에서 리젝트홀(221c)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드럼몸체(221) 내로 주입함으로써 리젝트홀(221c) 측에 부착된 다시마가 분리되어 낙하된다. 이 때 낙하되는 다시마는 다시마 배출 컨베이어(240)로 낙하되지 않고 드럼몸체(221)의 내측 하부로 낙하된 후 다시 겹침이 방지되게 분리되는 과정을 거친다. 즉, 리젝트홀(221c)로 공기를 주입하기 이전에는 진공홀(221b)과 리젝트홀(221c) 모두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므로 진공홀(221b)과 리젝트홀(221c) 모두에 다시마가 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20 :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 210 : 받침대
220 : 드럼 221 : 드럼몸체
222 : 전면판 223 : 배면판
224 : 칸막이링 225 : 분리열
226 : 후퇴 방지 칸막이 227 : 뭉침방지돌기
230 : 에어소통수단 240 : 다시마 배출 컨베이어
241 : 배출로 242 : 컨베이어벨트
243 : 칸막이 250 : 구동부
251 : 구동모터 252 : 회전 변환부

Claims (8)

  1. 내부에 다수의 다시마가 투입되며, 회전하는 과정에서 투입된 다시마를 겹침 없이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에 형성된 복수 개의 진공홀을 통해 드럼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홀 측에 위치한 다시마가 드럼의 내측면에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드럼에 상기 진공홀과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리젝트홀를 통해 드럼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리젝트홀 측에 위치한 다시마를 드럼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에어소통수단;을 포함하는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내측면에는 상기 에어소통수단에 의한 공기의 흡입과 주입이 각각 이루어지면서 다시마의 겹침 분리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분리열이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분리열들은 칸막이링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회전하고 상기 에어소통수단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분리열들에 대응되는 배출로가 분리 형성되어 상기 분리열들에서 겹침 없이 분리되어 낙하하는 다시마를 겹침 없이 외부로 배출하는 다시마 배출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각 분리열들에는 다시마의 후퇴를 방지하는 다수의 후퇴 방지 칸막이가 이격 형성되며, 상기 후퇴 방지 칸막이 사이에 상기 진공홀과 리젝트홀이 각각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 방지 칸막이 사이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럼의 내측면은 전체적으로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칸막이링으로부터 돌출되어 다시마들이 이웃하는 분리열들에 걸쳐져 뭉치는 것을 방지하는 뭉침방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소통수단은 상기 각 분리열로부터 각각 공기를 흡입하고 분리열에 각각 공기를 주입하도록 이루어지며, 각 분리열 별로 공기를 흡입하는 구간을 달리하여 각 분리열에서 분리되는 다시마가 서로 다른 지점에서 낙하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
KR1020120125321A 2012-11-07 2012-11-07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 KR101365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321A KR101365963B1 (ko) 2012-11-07 2012-11-07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321A KR101365963B1 (ko) 2012-11-07 2012-11-07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963B1 true KR101365963B1 (ko) 2014-03-12

Family

ID=5064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321A KR101365963B1 (ko) 2012-11-07 2012-11-07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9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155B1 (ko) 2016-05-26 2017-03-31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회전형 다시마 정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시마 공급시스템
KR101722154B1 (ko) 2016-06-30 2017-04-03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회전형 다시마 정렬장치가 포함된 다시마 공급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106U (ko) * 1990-01-11 1991-09-25
JPH03104926U (ko) * 1990-02-16 1991-10-30
JPH11341969A (ja) * 1998-06-01 1999-12-14 Kuniyasu Okamura 糸状海藻類の定量輸送装置及び定量充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106U (ko) * 1990-01-11 1991-09-25
JPH03104926U (ko) * 1990-02-16 1991-10-30
JPH11341969A (ja) * 1998-06-01 1999-12-14 Kuniyasu Okamura 糸状海藻類の定量輸送装置及び定量充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155B1 (ko) 2016-05-26 2017-03-31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회전형 다시마 정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시마 공급시스템
KR101722154B1 (ko) 2016-06-30 2017-04-03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회전형 다시마 정렬장치가 포함된 다시마 공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21174B (zh) 高速预型件供给装置
US6357495B1 (en) Device for filling a blister band with products
CN203698738U (zh) 暖包机的暖包排列输送机构
CN102849256B (zh) 面包整理排列装置及面包包装方法
CN104271284B (zh) 线性衬垫机和相关方法
KR101365963B1 (ko) 다시마 겹침 분리 연속 공급장치
CN103625686A (zh) 糖果包装机的供料输送设备的装载盘
KR101722154B1 (ko) 회전형 다시마 정렬장치가 포함된 다시마 공급시스템
JP2007145415A (ja) フィーダ及び計数充填機
CN205239950U (zh) 一种茶叶自动包装机
ITBO20090388A1 (it) Gruppo di alimentazione per il dosaggio di compresse in capsule
CN203544448U (zh) 多通道自动理料系统
EP1522302B1 (en) Unit for feeding solid drug forms to a conveyor line of a machine for filling capsules
CN105667863B (zh) 一种自动糖果包装机
CN103625688A (zh) 用于棒棒糖包装机供料输送设备的输送装置
KR101216534B1 (ko) 정제검사기용 정제 공급장치
US6748719B2 (en) Product wrapping machine
MX2014009545A (es) Aparato de llenado de envases.
AU2003214500A1 (en) Wrapping machine
JP2016135714A (ja) 製剤搬送装置
CN204279995U (zh) 小袋包装机粉剂物料充填装置
KR101722155B1 (ko) 회전형 다시마 정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시마 공급시스템
CN109570727A (zh) 一种螺套底盖焊接机
JP7191462B2 (ja) シャリ玉処理装置
CN206537561U (zh) 一种立转卧进料加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