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600B1 - Apparatus For Enveloping Parts For Surface Mount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nveloping Parts For Surface Moun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600B1
KR101365600B1 KR1020120077026A KR20120077026A KR101365600B1 KR 101365600 B1 KR101365600 B1 KR 101365600B1 KR 1020120077026 A KR1020120077026 A KR 1020120077026A KR 20120077026 A KR20120077026 A KR 20120077026A KR 101365600 B1 KR101365600 B1 KR 101365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wivel
carrier tape
arm
p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10221A (en
Inventor
정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세이브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세이브너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세이브너
Priority to KR102012007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600B1/en
Publication of KR2014001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2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6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65D73/02Articles, e.g. small electrical components, attached to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H05K13/0434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with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실장용 소형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캐리어테이프(110)에 부품을 극히 용이하게 투입하게끔 하는 부품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무작위로 투입된 부품(100)을 일정하게 일정한 형태로 정렬하여 줄지어 공급하도록 하는 부품 공급부(1); 캐리어테이프 공급부(3); 공급되는 부품을 픽업하여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수용부에 투입하는 픽업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품 공급부(1)는 부품의 일측 부분이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하는 부품 취출대(7)를 포함하며; 상기 픽업부(5)는 지지대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봉형상의 회전대(19); 상기 회전대(19)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대(19)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면서 상기 부품 취출대(7)에 거치된 부품의 돌출 부위에 접촉하게 되는 픽업아암(13); 상기 회전대(19)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대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nent packaging device that makes it very easy to inject components into a carrier tape (110) for supplying small components for surface mounting. The composition is; A part supply unit 1 for arranging the parts 100 randomly inputted in a constant shape in a line; Carrier tape supply section 3; A pickup part which picks up a part to be supplied and puts it in a receiving part of the carrier tape; The component supply part (1) comprises a component take-out table (7)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component to protrude laterally; The pickup portion 5 is a rod-shaped rotary table 19 rotatably supported at a position fixed by the support; Pick-up arm 13 which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wivel table 19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component mounted on the component take-out table (7) while the rotary movement by the rotation of the swivel table (19); Swivel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swivel 19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Description

표면실장용 부품 포장장치{Apparatus For Enveloping Parts For Surface Mounting}Apparatus For Enveloping Parts For Surface Mounting}

본 발명은 부품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실장용 소형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테이프 캐리어에 부품을 극히 용이하게 투입하게끔 하는 표면실장용 부품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nent packag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face mounting component packaging apparatus which makes it very easy to inject components into a tape carrier for supplying small components for surface mounting.

인쇄회로기판에 소형 부품을 장착할 때 보통 표면실장기를 이용하게 되며, 이와 관련된 일련의 기술을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ed Technology)이라 한다. 표면실장기는 규칙적으로 공급되는 부품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 위에 올려놓은 다음 솔더링 등을 통해 부품을 장착시키게 된다. 이하 계속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설명한다. When mounting small components on a printed circuit board, a surface mounter is usually used. A series of related technologies are called surface mount technology (SMT). The surface mounter adsorbs the regularly supplied components, places them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mounts the components through soldering. Hereinafter,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소형의 표면실장용 부품을 규칙적으로 표면실장기에 공급하기 위한 부품 운반수단으로서 캐리어테이프(110)가 사용된다. 캐리어테이프(110)는 일정한 간격으로 작은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마련된 캐리어포켓(111)과, 부품을 수용한 상태에서 캐리어포켓(111)의 상면에 가접착되는 커버테이프(113)를 포함한다. 캐리어포켓(111)의 연장방향을 따라 그 가장자리에는 릴(reel)에 권취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테이프 이송공(115)이 천공되어 있다. The carrier tape 110 is used as a component carrier for regularly supplying small surface-mount components to the surface mounter. The carrier tape 110 includes a carrier pocket 111 having an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small parts at regular intervals, and a cover tape 113 which is temporarily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arrier pocket 111 in a state of accommodating parts. do. A tape conveying hole 115 is drill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wound around a reel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arrier pocket 111.

한편 도 1에는 본 발명이 안출되는 계기가 된 소형 부품(100)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이 부품(100)은 엘(L)자 형태로 절곡된 얇은 금속판이며 때에 따라서는 방향성을 갖기도 한다. 이 부품(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테이프의 각 수용부(S)마다 1개씩 투입되어야 하며 게다가 뒤집힌 상태로 투입되어도 아니 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1 is shown with a small component 100, which is an instru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he part 100 is a thin metal plate bent in an L shape and sometimes has a dir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one part 100 should be introduced into each receiving portion S of the base tape, and it may not be inserted in an inverted state.

종래에 작업자는 핀셋을 이용하여 일일이 부품 한 개씩 캐리어테이프(110)에 투입하였었다. 이 때문에 엄청난 인력이 소요되어 인건비가 큰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부품을 자동으로 정렬하여 공급하는 부품피더를 사용하지 않았던 이유는 현재의 기술로는 도 1에 도시된 부품을 도시된 형태로(다시 말하면 엘(L)자 형태로 ) 투입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In the related art, an operator inputs one part of the carrier tape 110 one by one using tweezers. Because of this, huge manpower was required, and labor costs were a big burden. The reason for not using a part feeder for automatically aligning and supplying parts is that the current technology could not insert the part shown in FIG. 1 in the form shown (that is, in the form of an L).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116643호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전자부품을 릴 형태의 포장을 하지 않더라도 표면실장기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문제의 해결 방식이 본 발명과는 상이하며 표면실장기와 함께 사용되어야 하는 등 사용상 제한이 따를 수밖에 없다.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116643 has been proposed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but it relates to a device that can b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surface mounter even if the electronic component is not packaged in a reel form. The solution is different from the present invention and must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surface mounter.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면실장용 소형 부품을 캐리어테이프에 용이하게 투입하여 포장하기 위한 표면실장용 부품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surface mounting component packaging apparatus for easily putting the packaging surface small components as shown in Figure 1 to the carrier tape.

위와 같은 목적은, 엘(L)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무작위로 투입된 부품을 일정하게 일정한 형태로 정렬하여 줄지어 공급하도록 하는 부품 공급부; The above object is, part (S) supply parts to supply a randomly arranged parts having a cross-section of the L-shape in a uniformly constant form lined;

상기 부품 공급부와는 별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상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캐리어테이프가 작업테이블 위를 연속적으로 통과되도록 하는 캐리어테이프 공급부;A carrier tape supply part which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part supply part and allows the carrier tape to continuously pass on the worktable in a state in which an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parts is opened upward;

상기 부품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부품을 픽업하여 상기 캐리어테이프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캐리어테이프의 수용부에 투입하는 픽업부를 포함하되; A pickup part which picks up a part supplied from the part supply part and puts it in a receiving part of the carrier tape supplied by the carrier tape supply part;

상기 부품 공급부는 부품의 일부분이 측방향으로 돌출되게끔 지지하는 부품 취출대를 포함하며; The component supply portion includes a component take-out that supports a portion of the component to protrude laterally;

상기 픽업부는 지지대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대; 상기 회전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대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면서 상기 부품 취출대에 거치된 부품의 돌출부위에 접촉하게 되는 픽업아암(pick-up arm); 상기 회전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대 회전수단을 포함하며; The pick-up unit is a swivel rotatably supported in a position fixed by the support; A pick-up arm fixed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wivel and contacting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part mounted on the component take-out while rotating by the swivel; A swivel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swivel;

상기 캐리어테이프 공급부는 상기 픽업아암의 선단부가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수용부의 직상부를 지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용 부품 포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The carrier tape supply unit is achieved by a surface mounting component packa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ick-up arm is installed so as to pass directly above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arrier tap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부품의 돌출부위에 접촉하게 되는 픽업아암의 선단부에는 홀딩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부품이 상기 픽업아암의 선단부와 접촉시 상기 선단부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수단은 자석체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a holding means is provided at the tip end of the pick-up arm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art of the part so that the part is attached to the tip part when it is in contact with the tip end of the pick-up arm. The holding means may be a magnet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대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대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도록 하는 핸들(handle)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wivel rotat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rear end of the swivel may be a handle (handle) to enable the operator to hold and turn by han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부품 취출대는 상기 부품의 돌출 부위, 즉 돌출단이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component take-out may be such tha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component, that is, the protruding e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단면이 엘(L)자 형태로 된 소형 부품을 캐리어테이프에 일정한 방향으로 투입하여 포장하는데 있어서, 종래와 같이 일일이 핀셋으로 부품을 집어 투입하지 않아도 되며 그보다는 월등히 빠른 속도로 작업할 수 있게 하는 부품 포장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부품의 공급가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packaging small parts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in the carrier tap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re is no need to manually insert the parts with tweezers as in the prior art, and at a much higher speed than that. A component packaging device is provided for working. This greatly improves work productivity and consequently lowers the supply price of part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캐리어테이프와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품 포장장치의 개략적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품 포장장치의 픽업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방향에서 취한 주요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a)(b)(c)는 도 1의 A-A 방향에서 취한 것으로서 사용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품 포장장치의 개략적 평면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tape and a compon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omponent pack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ckup portion of a component pack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taken in the AA direction of FIG.
5A, 5B, and 5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step by step in the direction AA of FIG.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omponent pack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2 to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pecific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drawings will be cited where necessary.

본 발명의 부품 포장장치는 크게 부품 공급부(1), 테이프 공급부(3) 및 픽업부(5)를 포함한다. The component packa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component supply part 1, a tape supply part 3, and a pickup part 5.

부품 공급부(1)는 엘(L)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무작위로 투입된 부품(100)을 일정하게 일정한 형태로 정렬하여 줄지어 공급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수동 반자동 또는 완전자동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부품 공급부(1)는 공지의 피더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116643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피더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피더 장치는 기본적으로 회전과 진동을 줌으로써 부품으로 하여금 나선형으로 된 정렬라인을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되는 과정에서 일정한 패턴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part supply part 1 is to arrange and line up the randomly input parts 100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in a constant shape and may be driven manually or semi-automatically or fully automatically. The component supply part 1 can use a well-known feeder apparatus. For example, a feeder device having a function similar to that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116643 may be used. This feeder device basically rotates and vibrates to allow parts to align in a constant pattern as they are continuously raised along a spiral alignment line.

부품 공급부(1)는 이렇게 종래의 자동화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반자동 내지 수작업으로 공급하는 방식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물론 이 경우 작업속도는 다소 느려지겠지만, 종래 핀셋으로 작업하는 것보다는 작업속도가 높을 것임이 분명하다. The component supply unit 1 may use a conventional automa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but also includes a method of supplying a semi-automatically or manually. Of course, in this case, the working speed will be somewhat slow, but it will be clear that the working speed will be higher than working with conventional tweezers.

부품 공급부(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품 취출대(7)를 포함하고 있다.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품(100)은 박형의 금속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단면이 엘(L)자 형태로 되어 있는데, 부품 취출대(7)는 부품(100)의 일측이 측방향으로 돌출되게끔 지지한다. 이하 측방향으로 돌출된 부품(100)의 일측 부분을 돌출단(101)이라 한다. 도 4는 부품(100)이 취출되는 지점에서의 부품 취출대(7)의 단면도이다. 부품 취출대(7)는 부품의 끼움단(103)이 끼워지는 좁은 틈(T)을 마련하고 있다. 부품(100)은 이 좁은 틈(T)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밀려 취출지점까지 이송 공급되는 것이다. The component supply part 1 includes a component take-out table 7 as shown in FIG. As mentioned above, the component 1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as an L-shaped cross section by bending a thin metal plate, and the component take-out table 7 protrudes laterally in one side of the component 100. I support it very much. Hereinafter, one side portion of the component 100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protruding end 101.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ponent take-out table 7 at the point where the component 100 is taken out. The component takeout stand 7 has a narrow gap T into which the fitting end 103 of the component is fitted. The component 100 is continuously fed in the narrow gap T and continuously f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awing to be fed to the take-out point.

부품 취출대(7)를 구성하는 2개의 블록(9,11)을 좁은 틈(T) 만큼 이격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킴으로써 도 4의 단면 상태가 만들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부품의 돌출단(101)은 부품 취출대(7)의 측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부품의 돌출단(101)과 끼움단(103)은 구분할 수 없도록 같은 형태일 수도 있고, 때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형태로 되어 구분의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것은 부품공급의 방향성 문제이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와는 관계가 없다. 방향성이 필요한 경우 소정의 방법에 의해 부품공급의 방향을 맞추면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The cross-sectional state of FIG. 4 can be made by fixing the two blocks 9 and 11 constituting the component take-out table 7 spaced apart by a narrow gap T. As shown, the protruding end 101 of the component protrudes toward the side of the component take-out table 7. The protruding end 101 and the fitting end 103 of the part may have the same shape so as to be in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This is a directional problem of parts supply, which is not rela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if the directionality is necessary, the component supply direction should be oriented by a predetermined method.

부품 취출대(7)의 일측 블록(9)은 상단이 얇게 되어 있으며, 이는 부품의 돌출단(101)의 저부 공간으로 후술되는 픽업아암(13)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One side block 9 of the component take-out table 7 is thin at the top, so that the pickup arm 13 to be described later can access the bottom space of the protruding end 101 of the component.

캐리어테이프 공급부(3)는 부품 공급부(3)와는 별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부품(1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R)이 상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캐리어테이프(110)가 작업테이블 위를 연속적으로 통과되도록 한다. 캐리어테이프 공급부(3)는 기존의 것과 다를 바 없다. 작업테이블(15)에는 캐리어테이프(110)를 안내하기 위한 테이프 가이드홈(17)이 마련된다. 이 테이프 가이드홈(17)은 도면상 수직 또는 수평으로 마련될 수 있다. 종래에는 핀셋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캐리어테이프(110)의 각 수용부(S)에 부품을 꽂았었던 것으로서, 캐리어테이프 공급부(3)의 구성은 공지사항이다. The carrier tape supply part 3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part supply part 3, and the carrier tape 110 is placed on the work table in a state that the receiving part R for accommodating the part 100 is opened upward. To pass continuously. The carrier tape supply part 3 is no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The work table 15 is provided with a tape guide groove 17 for guiding the carrier tape 110. The tape guide groove 17 may be provid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in the drawing. In the prior art, components wer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receiving portions S of the carrier tape 110 supplied using tweezer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arrier tape supply portion 3 is well known.

부품 공급부(1)과 캐리어테이프 공급부(3)는 단속적으로 일정한 피치(pitch)로 부품(100)과 캐리어테이프(110)를 작업테이블(15) 상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스테핑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The component supply unit 1 and the carrier tape supply unit 3 are configured to supply the component 100 and the carrier tape 110 on the worktable 15 at an intermittently constant pitch. Can be.

픽업부(5)는 부품 공급부(1)에서 공급되는 부품(100)을 픽업하여 캐리어테이프 공급부(3)에 의해 공급되는 캐리어테이프의 수용부(S)에 투입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The pickup unit 5 picks up the component 100 supplied from the component supply unit 1 and injects the component 100 into the receiving unit S of the carrier tape supplied by the carrier tape supply unit 3. Element.

회전대(19)는 작업테이블 위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20)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서 자신의 축(X, 도 3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봉형상으로 되어 있다. 회전대(19)는 작업테이블 위에 설치되며 작업자(M)의 양손이 편안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작업테이블(15)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된다. The rotary table 19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its axis X (see FIG. 3) at a position fixed by the support 20 fixedly installed on the work table, and is in the shape of a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The swivel table 19 is installed on the worktable and fixedly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worktable 15 at a position where both hands of the worker M can access comfortably.

막대 형태의 픽업아암(13)이 회전대(19)의 일측에 그와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 설치된다. 픽업아암(13)은 회전대(19)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면서 부품 취출대(7)에 거치된 부품의 돌출단(101) 저면에 접촉하게 된다. 픽업아암(13)은 평편한 판재형 막대로 되어 있으며 폭은 부품의 폭과 대응하게 되어 있다. The pick-up arm 13 in the form of a ro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wivel table 19 at right angles thereto. The pick-up arm 1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ding end 101 of the component mounted on the component take-out table 7 while the rotary arm 19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table 19. The pick-up arm 13 is made of a flat plate-shaped rod, the width of which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part.

회전대 회전수단은 회전대(19)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대(19)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기계적 장치가 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대(19)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손으로 돌릴 수 있는 핸들(21)이 될 수도 있다.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회전대 회전수단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부품 포장장치를 무인화시킬 수도 있다. Rotating means Rotating means is a means for rotating the swivel 19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wivel 19 and may be a mechanical device, as shown is installed on the rear end of the swivel 19 and the operator can turn by hand It may also be a handle 21. When the swivel rotating means is configured using a mechanical device, the parts packa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manned.

부품의 돌출단(101)에 접촉하게 되는 픽업아암(13)의 선단부에는 홀딩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홀딩수단은 부품(100)이 픽업아암(13)의 선단부와 접촉시 이 선단부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양한 홀딩수단이 예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성 물질이나 진공압을 이용한 방법이 가능하며, 보다 손쉽게는 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홀딩수단은 자석체(23)이다. 자석체(23)는 고무자석일 수 있으며 픽업아암(13)의 선단에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 설치되고 있다. 완전 자동화를 위해서라면 자석체(23)는 전자석으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부품이 자석에 붙지 않는 경우라면 다른 홀딩수단을 모색하여야 할 것임은 당연하다.
Holding means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pick-up arm 13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end 101 of the component. The holding means is such that the component 100 is attached to this tip when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pick-up arm 13. Various holding means can be exemplified. For example, a method using an adhesive material or a vacuum pressure is possible, and a magnet can be used more easily. The holding means in this embodiment is a magnet body 23. The magnet body 23 may be a rubber magnet and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pickup arm 13 by an adhesive or the like. Magnetic body 23 may be replaced by an electromagnet for complete automation. Of course, if the part does not stick to the magnet, you will have to look for other holding means.

캐리어테이프 공급부(3)는 픽업아암(13)의 선단부가 캐리어테이프의 수용부(S)의 직상부를 지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픽업아암(13)의 회전면은 작업테이블(15), 부품(100) 및 캐리어테이프(110)의 공급방향과 직각을 이루고 있다. The carrier tape supply part 3 allows the tip end of the pick-up arm 13 to pass directly above the receiving part S of the carrier tap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rotation surface of the pick-up arm 13 is perpendicular to the supply direction of the worktable 15, the component 100, and the carrier tape 110.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부품취출대(7)는 부품의 돌출 부위, 즉 돌출단(101)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A)만큼 기울어져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픽업아암(13)과 부품(100)이 접촉시 걸고리처럼 걸리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각도(A)는 10° ~ 30°가 될 수 있다. 이것은 회전대(19)가 좀 더 빠른 속도로 회전되어도 부품(100)이 안전하게 픽업아암(13)에 걸려 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 take-out stand 7 is provided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part, that is, the protruding end 101,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A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s shown in FIG. . This is to prevent the pick-up arm 13 and the component 100 from slipping while being caught like a hook when in contact. Here, the angle A may be 10 ° to 30 °. This is to ensure that the component 100 is securely attached to the pick-up arm 13 even when the turntable 19 is rotated at a higher speed.

이러한 구성에 의한 작용을 도 5(a)(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operation by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 (b).

픽업아암(13)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측에 대기중인 부품의 돌출단(101) 저면에 접촉하여 부품을 취출해낸다(도 5(a) 참조). 이후 계속하여 회전하면서 최하단에서는 부품(11)을 수용부(S) 내부로 공급한다(도 5(b) 참조). 여기서 자력으로 붙어있는 부품(100)과 픽업아암(13)은 기계적 장치 또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분리되게 된다. 예를 들어 작업자(M)는 작은 막대(25)를 이용하여 부품의 끼움단(103)을 지그시 누름으로써 부품(100)이 픽업아암(13)으로부터 분리되어 수용부(S) 내부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작업자는 연속하여 회전대(19)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시금 취출 위치에 새롭게 대기 중인 다른 부품(100')을 향하게 된다.The pick-up arm 13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nd contacts the bottom of the protruding end 101 of the component waiting on the upper side to take out the part (see Fig. 5 (a)). Subsequently, while continuing to rotate, at the bottom end, the component 11 is suppli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S (refer FIG. 5 (b)). Here, the component 100 and the pick-up arm 13 which are attached by magnetic force are separated by a manual operation of a mechanical device or an operator. For example, the operator M may use the small rod 25 to squeeze the fitting end 103 of the component so that the component 100 is separated from the pick-up arm 13 and seat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S. Can be. The operator rotates the swivel table 19 continuously to again face the other waiting part 100 'at the take-out position.

회전대(19)가 1회전을 할 때마다 1개의 부품(100)이 수용부 내에 투입되며, 부품 공급부(1)와 캐리어테이프 공급부(3)는 1스텝씩 이동하면서 부품(100)과 비어 있는 수용부(S)를 제공한다. Each time the turntable 19 makes one rotation, one component 100 i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component supplying portion 1 and the carrier tape supplying portion 3 move one step at a time and receive the empty portion 100 and the empty portion. Provide a part (S).

따라서 회전대(19)가 1회전하는 것을 감지하여 부품공급부와 캐리어테이프 공급부는 1스텝씩 이동하도록 하는 회전감지수단을 마련해도 좋을 것이다. 또한 부품(100)의 취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취출감지센서(27)를 부품 취출대(7)에 설치하여 부품 공급부(1)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Therefore, it may be provided with rotation sensing means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table 19 to move one part by one part supply unit and the carrier tape supply unit. In addition, the takeout detection sensor 27 that can detect whether the part 100 is taken out may be installed in the part taking-out stand 7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art supply part 1.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공급부(1)의 부품 공급방향이 변경될 수도 있으며, 부품 홀딩수단이 다른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회전대를 회전시키는 구성까지도 자동화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도 있다.
The configuration shown and described above is merely a preferred embodiment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component supply direction of the component supply unit 1 may be changed, the component holding means may be replaced in another manner, and a method of automating even the configuration of rotating the swivel may be considered. have.

1 : 부품 공급부 3 : 캐리어테이프 공급부
5 : 픽업부 7 : 부품 취출대
13 : 픽업아암(pick-up arm) 15 : 작업테이블
17 : 테이프 가이드홈 19 : 회전대
21 ; 핸들 23 : 자석체
25 : 막대 27 : 취출감지센서
100 : 부품 110 : 캐리어테이프
S : 수용부 T : 틈
1: Parts supply part 3: Carrier tape supply part
5 pick-up part 7 parts take-out
13 pick-up arm 15 work table
17: tape guide groove 19: swivel
21; Handle 23: Magnet
25 bar 27: extraction sensor
100: part 110: carrier tape
S: receiving part T: gap

Claims (5)

엘(L)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무작위로 투입된 부품(100)을 일정하게 일정한 형태로 정렬하여 줄지어 공급하도록 하는 부품 공급부(1);
상기 부품 공급부(1)와는 별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S)가 상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캐리어테이프(110)가 작업테이블(15) 위를 연속적으로 통과되도록 하는 캐리어테이프 공급부(3);
상기 부품 공급부(1)에서 공급되는 부품(100)을 픽업하여 상기 수용부(S)에 투입하는 픽업부(5)를 포함하되;
상기 부품 공급부(1)는 상기 부품(100)의 일측 부분이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하는 부품 취출대(7)를 포함하며;
상기 픽업부(5)는 지지대(20)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대(19); 상기 회전대(19)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대(19)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면서 상기 부품 취출대(7)에 대기하고 있는 상기 부품(100)의 돌출 부위에 접촉하게 되는 픽업아암(13, pick-up arm); 상기 회전대(19)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대 회전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캐리어테이프 공급부(3)는 상기 픽업아암(13)의 선단부가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수용부(S)의 직상부를 지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대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대(19)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도록 하는 핸들(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용 부품 포장장치.
A part supply unit 1 for arranging and supplying a randomly input part 100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in a constant fashion.
It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component supply unit 1 to allow the carrier tape 110 to continuously pass over the work table 15 in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portion S for accommodating the component is opened upward. Carrier tape supply section 3;
A pickup part 5 which picks up the part 100 supplied from the part supply part 1 and injects the part 100 into the receiving part S;
The component supply section (1) comprises a component take-out (7)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component (100) to protrude laterally;
The pick-up unit 5 is a rotating table 19 rotatably supported at a position fixed by the support 20; Pick-up arm which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wivel table 19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component 100 that is waiting on the component take-out table 7 while rotating by the rotation of the swivel table 19. (13, pick-up arm); Swivel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swivel (19);
The carrier tape supply part (3) is provided such that the leading end of the pick-up arm (13) passes directly above the receiving part (S) of the carrier tape;
The swivel rotat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rear end of the swivel (19) is a surface mounting component packa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21) for the operator to hold and turn by h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100)의 돌출 부위에 접촉하게 되는 상기 픽업아암(13)의 선단부에는 상기 부품(100)이 상기 픽업아암(13)의 선단부와 접촉시 상기 선단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홀딩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용 부품 포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ip portion of the pickup arm 1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component 100 is provided with holding means for attaching the tip portion when the component 100 is in contact with the tip portion of the pickup arm 13. Surface mounting component packag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픽업아암(13)에 고정 설치되는 자석체(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용 부품 포장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said holding means is a magnet body (23) fixed to said pick-up arm (13).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취출대(7)는 상기 부품(100)의 돌출 부위, 즉 돌출단(101)이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용 부품 포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ponent take-out table (7) is a surface mounting component packa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ng portion, that is, the projecting end 101 is install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KR1020120077026A 2012-07-16 2012-07-16 Apparatus For Enveloping Parts For Surface Mounting KR1013656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026A KR101365600B1 (en) 2012-07-16 2012-07-16 Apparatus For Enveloping Parts For Surface Moun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026A KR101365600B1 (en) 2012-07-16 2012-07-16 Apparatus For Enveloping Parts For Surface Moun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221A KR20140010221A (en) 2014-01-24
KR101365600B1 true KR101365600B1 (en) 2014-02-20

Family

ID=5014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026A KR101365600B1 (en) 2012-07-16 2012-07-16 Apparatus For Enveloping Parts For Surface Moun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60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536B1 (en) * 2017-12-31 2019-09-16 김철운 Apparatus for part inspection for printed circuit boar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6098A (en) * 1998-03-18 1999-09-28 Murata Mfg Co Ltd Chiplike electronic component supply device
JPH11348917A (en) * 1998-06-10 1999-12-21 Taiyo Yuden Co Ltd Taping device
KR20100057999A (en) * 2008-11-24 2010-06-03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Automatic feeder for electronic par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6098A (en) * 1998-03-18 1999-09-28 Murata Mfg Co Ltd Chiplike electronic component supply device
JPH11348917A (en) * 1998-06-10 1999-12-21 Taiyo Yuden Co Ltd Taping device
KR20100057999A (en) * 2008-11-24 2010-06-03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Automatic feeder for electronic p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221A (en) 201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1078B2 (en) Method for providing instruction on setup changeover work in component mounting system, and component mounting system
JP5877313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setting information i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EP3344030A1 (en) Component mounting position error amount measurement unit, automatic interchange system, and component mounting device
JP6326551B2 (en) Component mounter, component mounter control method, component mounter control program, recording medium, component mount system
JP2013222738A (en) Tape feeder and display method of setting information in tape feeder
JP2014090000A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nozzle recognition metho i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CN108622655A (en) Plate grip device and plate holding method
KR101365600B1 (en) Apparatus For Enveloping Parts For Surface Mounting
CN107006142B (en) Work machine and storage method
JPWO2016129069A1 (en) Parts supply device
JPWO2014097389A1 (en) Component mounter
CN110857194A (en) Reel holder, tape supply device, robot, and component mounting system
CN100577229C (en) Transfusion needle mechanical needle tube mount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JP6690936B2 (en) feeder
JPS62238700A (en) Jumper wire wiring apparatus for printed board
CN111108823B (en) Mounting accuracy measuring system and mounting accuracy measuring method for component mounting line
US11343948B2 (en) Mounting device and mounting method
CN105009704B (en) Electronic circuit component installation method and installation system
TW201637940A (en) Packaging system and method
EP3030067A1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mounting method
JP5606172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mounting method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JP6307278B2 (en) Surface mounter and position shift detection method
CN202206733U (en) Butting locating type buckle mechanism
JP6892764B2 (en) Board mounting machine
CN207396680U (en) Pcb board test machine and its dock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