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589B1 -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589B1
KR101365589B1 KR1020120073473A KR20120073473A KR101365589B1 KR 101365589 B1 KR101365589 B1 KR 101365589B1 KR 1020120073473 A KR1020120073473 A KR 1020120073473A KR 20120073473 A KR20120073473 A KR 20120073473A KR 101365589 B1 KR101365589 B1 KR 101365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ice
network
service data
transmiss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556A (ko
Inventor
김지훈
정인장
전진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3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589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특정 서비스와 관련되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 소스주소 및 타겟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데이터정보를 기초로,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하나의 접속 네트워크만을 통해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일전송모드 또는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적어도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동시에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시전송모드 중 하나의 전송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전송모드에 따라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효과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ULTI NETWORK ENVIRONMENTS}
본 발명은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일전송모드와 2 이상의 네트워크 통해 동시 전송하는 동시전송모드를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WCDMA, CDMA, WiBro 및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Fi) 기술과 더불어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이 도입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스마트폰, 태블렛 PC 등 다양한 무선 기기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무선 기기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 또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다중 네트워크(Multi network) 환경에서 데이터 서비스는 다중 네트워크 하나의 네트워크만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일전송모드를 통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단일 전송 방식은,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의 부하율이 급격히 상승하여 원활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다중 네트워크 환경에서 원활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2 이상의 네트워크 통해 데이터 동시에 전송하는 동시전송모드가 제안되었다.
이에, 전술한 다중 네트워크 환경에서 원활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전술한 단일 전송 방식과 동시 전송 방식을 선택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새로운 서비스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다중 네트워크 환경에서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일전송모드와 2 이상의 네트워크 통해 동시 전송하는 동시전송모드를 선택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특정 서비스와 관련되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 소스주소 및 타겟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정보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부; 상기 확인된 데이터정보를 기초로,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하나의 접속 네트워크만을 통해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일전송모드 또는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적어도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동시에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시전송모드 중 하나의 전송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전송모드에 따라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선택부는,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UDP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유형인 경우, 상기 전송모드로서 상기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선택부는,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송수신 장치의 주소로 지정된 경우 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타겟주소가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의 주소로 지정된 경우로 확인되면, 상기 전송모드로서 상기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선택부는,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상기 송수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와 무관하게 할당된 가상 주소가 지정된 경우로 확인되면, 상기 전송모드로서 상기 동시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수신 장치는, 상기 동시전송모드의 선택 시, 상기 동시전송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송신장치의 주소정보를 상기 생성된 전송데이터에 삽입하여, 상기 서비스데이터가 상기 송신장치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와 송수신되도록 하는 주소정보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특정 서비스와 관련되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 소스주소 및 타겟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정보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단계; 상기 확인된 데이터정보를 기초로,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하나의 접속 네트워크만을 통해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일전송모드 또는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적어도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동시에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시전송모드 중 하나의 전송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전송모드에 따라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선택단계는,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유형이 UDP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유형인 경우, 상기 전송모드로서 상기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선택단계는,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송수신 장치의 주소로 지정된 경우 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타겟주소가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의 주소로 지정된 경우로 확인되면, 상기 전송모드로서 상기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선택단계는,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상기 송수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와 무관하게 할당된 가상 주소가 지정된 경우로 확인되면, 상기 전송모드로서 상기 동시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다중 네트워크 환경에서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일전송모드와 2 이상의 네트워크 통해 동시 전송하는 동시전송모드를 선택 적용함으로써, 데이터 또는 데이터 서비스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전송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데이터가 동시전송모드가 적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동시전송모드와 관련된 장치의 부하를 감소시켜 동시전송모드의 효율적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룰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우팅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장치(100), 상기 단말장치(100)에 인터넷 서비스, 동영상 제공 서비스, mVoIP 서비스 등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외부장치(500), 상기 단말장치(100)와 상기 외부장치(500)를 연결하기 위한, 제1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제2네트워크장치(300), 그리고 상기 단말장치(100)와 상기 외부장치(50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장치(500)가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 모두를 이용하여 제공하기 위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관리장치(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예컨대, 이동단말기, 개인용컴퓨터(PC), 노트북, 테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 모두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네트워크 및 상기 제2네트워크는 예컨대, WCDMA, CDMA, WiBro, WLAN(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무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네트워크가 3G 네트워크인 경우에는, 상기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3G 네트워크의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제2네트워크가 근거리 네트워크 중 하나인 WiFi인 경우에는, 상기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엑세스포인트(AP)에 해당된다.
 또한,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서버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제1네트워크 또는 제2네트워크 상에 위치하거나,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와는 별도의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장치(100)와 상기 외부장치(500)는 상기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상기 제2네트워크장치(300) 중 하나의 네트워크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식을 '단일전송모드'라 한다.
한편, 데이터 서비스는 상기 관리장치(400)를 경유하여 상기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상기 제2네트워크장치(300) 모두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식을 '동시전송모드'라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단말장치(100)가 송신장치인 경우, 즉 업링크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단일전송모드'에서는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데이터가 단일의 네트워크를 통해서만 단말장치(100)로부터 외부장치(500)로 전송되며, '동시전송모드'에서는 서비스데이터가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를 경유하여 외부장치(500)에 제공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데이터 전송 방식은 비록 업링크인 경우에 해당되는 것이지만 외부장치(500)에서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운링크인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동시전송모드에서는, 하나의 서비스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다중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동시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단말장치(100) 측에서는 복수개의 다중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들을 분실 없이 모두 수신하여 분할순서에 맞게 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서비스데이터로 복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네트워크마다 전송률 등의 네트워크 환경이 다른 경우에는, 부분데이터의 전송순서와 상기 단말장치(100)에서의 수신순서가 다를 수 있으므로, 분할 순서에 맞도록 서비스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TCP 프로토콜에 따르는 데이터에 대하여 동시전송모드를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TCP 프로토콜에서는 전송되는 데이터마다 전송순서를 나타내는 순서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단말장치(100)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삽입된 순서정보에 기초한 서비스데이터의 복원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TCP 프로토콜에서는, 데이터의 수신 확인을 위한 ACK 메시지를 이용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서 데이터의 유실 확인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유실된 데이터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빠른 전송 속도로 인해 실시간 동영상이나 방송 서비스에 적합한 UDP 프로토콜의 경우, TCP 프로토콜과는 상이하게 전송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정보가 삽입되지 않으며, 데이터의 수신 확인을 위한 ACK 메시지 또한 채택하지 않는다.
이에, UDP 프로토콜에 따르는 데이터를 동시전송모드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경우에는, 이를 수신하는 단말장치에서 데이터를 순서에 맞게 결합하기 곤란하게 된다.  또한, 단일전송모드와 비교할 때 동시전송모드의 경우 데이터를 순서대로 결합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므로 신속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에도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UDP 프로토콜은 ACK 메시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데이터 유실이 발생할 경우, 단말장치(100)에서 유실된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할 수 없으며,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외부장치(500) 또는 관리장치(400)가 상기 데이터의 유실 상태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UDP 프로토콜을 동시 전송 서비스에서 활용할 경우, 단말장치(100)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결합을 위한 대기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UDP 프로토콜의 장점인 빠른 속도의 서비스 또한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의 유실이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한 확인 및 재전송을 요청할 수 없으므로 동시전송 성능 품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TCP 프로토콜의 경우에는 동시전송모드가 적합하며, UDP 프로토콜인 경우에는 동시전송모드가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단지 TCP 프로토콜, UDP 프로토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서 동시전송모드가 유리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단일전송모드가 유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외부장치(500)는 단말장치(100)와의 서비스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비스서버로서, 예컨대, 포털 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외부장치(500)는 서비스 특성상 안정된 네트워크 상태가 요구되거나, 빠른 전송 속도가 요구되는 특화된 서비스의 경우에는, 단일전송모드를 채택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만을 통해 서비스데이터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만일, 위와 같은 특화된 서비스에 대해 동시전송모드를 적용할 경우, 앞서 TCP 프로토콜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정적이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이렇듯,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뿐만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의 특성 등 데이터의 정보에 따라 동시전송모드가 보다 적합하거나 또는 단일전송모드가 더 적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정보에 따라 단일전송모드 또는 동시전송모드를 선택하여 데이터 속성에 접합한 데이터 전송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고자 하며, 이하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장치(100)는 특정 서비스와 관련되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정보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특정 서비스와 관련하여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외부장치(500)에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생성된 서비스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정보 예컨대,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 서비스데이터의 소스(src)주소 및 타겟(dst)주소 등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서비스데이터의 적용된 데이터 유형이 UDP 프로토콜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시 전송이 적합하지 않으므로 단일전송모드로 전송하기 위한 마크(Mark)를 표시하게 된다.
나아가, 단말장치(100)는 서비스데이터로부터 확인된 데이터정보를 기초로 동시전송모드 또는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어 마크가 표시된 경우,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서비스데이터 소스주소가 3G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서비스데이터의 전송 네트워크로 3G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되며, 따라서 3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서비스데이터를 직접 전송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WIFI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직접 전송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서비스데이터에 마크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도, 마크가 표시된 상태와 마찬가지로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3G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3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서비스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며, 소스주소가 WIFI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직접 전송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로 확인되어 마크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지정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동시 전송 서비스에서 단말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가상주소를 가질 경우에는 서비스데이터를 관리장치(400)를 통해 외부장치(500)로 전달하기 위한 동시전송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동시 전송 서비스 이용을 위해 서비스데이터를 관리장치(400)를 통해 외부장치(500)로 전달하도록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선택된 전송모드에 따른 전송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데이터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는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한 경우, 서비스데이터를 3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또는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외부장치(500)로 직접 전송하여 특정 서비스를 요청한다.
반면, 단말장치(100)는 동시전송모드를 선택한 경우,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관리장치(400)를 통해 외부장치(500)로 전송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가 적용되는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데이터를 외부장치(500)에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가상주소를 가지며, 타겟주소가 외부장치(500)일 경우, 소스주소를 자신의 주소로 대체한다.
아울러, 관리장치(400)는 타겟주소에 해당하는 외부장치(500)에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전달함으로써, 동시 전송 모드가 적용되는 특정 서비스를 외부장치(500)에 요청하게 된다.
나아가, 외부장치(5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장치(500)는 서비스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장치(200) 또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직접 수신될 경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 또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직접 전달하게 된다.
이때, 외부장치(500)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생성되는 서비스데이터의 타겟 주소를 단말장치(100)의 3G 네트워크 주소 또는 WIFI 네트워크 주소를 지정하여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이에, 외부장치(500)는 단일전송모드 선택에 따라 서비스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 또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직접 전달하게 된다.
반면, 외부장치(500)는 서비스데이터가 관리장치(400)를 통해 수신될 경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데이터를 관리장치(400)에 전달함으로써,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단말장치(100)에 대상으로 상기 서비스데이터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외부장치(500)는 서비스데이터의 타겟주소를 관리장치(400)의 주소로 지정하여 동시전송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이에, 외부장치(500)는 동시전송모드 선택에 따라 서비스데이터를 관리장치(400)에 전송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단말장치(100)에 대상으로 상기 서비스데이터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관리장치(40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장치(40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서비스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이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서비스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그런 다음, 관리장치(400)는,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에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송하며,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수신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서비스데이터를 복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와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수신된 제2부분데이터를 분할순서에 맞게 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서비스데이터로 복원하고, 복원된 서비스데이터를 기초로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확인부(110), 확인된 데이터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전송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120),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삽입하기 위한 주소정보삽입부(130), 설정된 전송모드에 따른 서비스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140), 및 동시 전송 서비스 이용에 따라 관리장치(400)를 통해 부분데이터로 분할되어 수신되는 서비스데이터를 결합하기 위한 데이터결합부(1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정보확인부(110)는 특정 서비스와 관련되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정보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확인부(11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서비스와 관련하여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외부장치(500)에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아울러, 정보확인부(110)는 생성된 서비스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정보 예컨대,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 서비스데이터의 소스(src)주소 및 타겟(dst)주소 등을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데이터는, 페이로드와 헤더를 포함할 수 있고, 헤더에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에 적용되는 프로토콜을 지정하는 프로토콜 필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확인부(110)는 상기 프로토콜 필드에 지정된 값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데이터에 적용되는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인지 또는 UDP 프로토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정보확인부(110)는 서비스데이터에 적용된 데이터 유형이 UDP 프로토콜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시 전송이 적합하지 않으므로 단일전송모드로 전송하기 위한 마크(Mark)를 표시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정보확인부(110)는 서비스데이터의 적용된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이 아닌 경우, 해당 서비스데이터에 대한 동시 전송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단일전송모드로 전송하기 위한 마크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서비스데이터의 헤더에는 소스주소를 지정하기 위한 소스주소필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스주소필드에서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장치(500)와의 IP 바인딩(binding)을 통해 3G 네트워크 주소 또는 WIFI 네트워크 주소가 지정될 수 있다.
한편, 외부장치(500)와의 IP 바인딩을 수행하지 않은 시점에서는 상기 단말장치(100)의 주소가 지정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소스주소필드에는 상기 단말장치의 소스주소가 지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소스주소필드에는 동시 전송 서비스에서 네트워크와는 무관하게 단말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상주소가 상기 소스주소로 지정될 수 있다.
아울러, 서비스데이터의 헤더에는 타겟주소를 지정하기 위한 타겟주소필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타겟주소필드에서는, 특정 서비스 제공받기 위한 외부장치(500)의 주소로서, 3G 네트워크 주소 또는 WIFI 네트워크 주소가 지정될 수 있다.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로부터 확인된 데이터정보를 기초로 동시전송모드 또는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정보 즉, 데이터 유형, 및 소스(src)주소를 기초로 전송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설정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룰 테이블을 참조하게 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룰 테이블은 서비스데이터의 마크 여부 또는 소스주소를 기초로 도 4의 라우팅 테이블에 정의된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 확인 결과, TCP 프로토콜이 아닌 경우로 확인되어 마크가 표시된 경우, 서비스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단일전송모드로 선택하고, 이에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의 결정을 위해 도 3의 룰 테이블로부터 도 4의 메인 테이블(a)을 참조하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테이블에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WIFI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가 지정되어 있다.
또한,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3G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3G 네트워크에 지원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가 지정되어 있다.
한편, 'ALL'의 경우에는, 단말장치(100)의 WIFI 통신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기본적으로 WIFI 네트워크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서비스데이터가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가 지정되어 있다.
이에, 모드선택부(120)는 상기 메인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단일전송모드에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WIFI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가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아울러,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3G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가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이 아닌 프로토콜 예컨대, UDP 프로토콜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전송 방법으로 단일전송모드로 선택함으로써, UDP 프로토콜의 장점인 빠른 속도의 서비스 제공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이며,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로서 3G 네트워크 주소 또는 WIFI 네트워크 주소가 지정된 것으로 확인될 경우, 서비스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단일전송모드로 선택하고, 전송 네트워크 결정을 위해 도 3의 룰 테이블로부터 도 4의 테이블 2(c) 및 테이블 3(d)을 참조하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이며, 소스주소가 3G 네트워크 주소 또는 WIFI 네트워크 주소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특성에 따라 단일전송모드가 요구되는 특화된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데이터임을 의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 2에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WIFI 네트워크 주소로 설정된 경우에 WIFI 네트워크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가 지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 3에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3G 네트워크 주소로 설정된 경우에 3G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가 지정되어 있다.
이에, 모드선택부(120)는 상기 테이블 2 및 테이블 3을 참조함으로써, 단일전송모드에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WIFI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가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아울러,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3G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가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 및 소스주소가 단일전송모드가 요구되는 특화된 서비스와 관련된 것이 확인될 경우,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하고 이에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 안정적이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이며,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로서 동시 전송 서비스에서 단말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가상주소가 지정된 것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서비스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동시전송모드로 선택하고, 이에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의 결정을 위해 도 3의 룰 테이블로부터 도 4의 테이블 1(b)를 참조하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 1은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로서, 동시 전송 서비스에서 단말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가상주소(예: 7.7.7.7)가 지정되는 경우,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관리장치(400)를 통해 외부장치(5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가 지정되어 있다.
이에, 모드선택부(120)는 상기 테이블 1을 참조함으로써, 동시전송모드에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에 경유지 주소로서 삽입된 관리장치(400)의 주소가 3G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가 3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아울러, 모드선택부(120)는 확인된 관리장치(400)의 주소가 WIFI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가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지정되지 않은 상태(예: 0.0.0.0)일 경우, 동시 전송 서비스에서 단말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가상주소(예: 7.7.7.7)를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로서 지정하게 된다.
또한, 주소정보삽입부(130)는 서비스데이터에 관리장치(400)의 주소를 경유지 주소로서 삽입하기 위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데이터가 관리장치(400)를 통해 외부장치(5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주소정보삽입부(130)는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의 현재 트래픽 상태 등을 고려하기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참조함으로써, 이러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관리장치(400)의 3G 네트워크 주소 또는 WIFI 네트워크 주소를 적어도 하나를 서비스데이터에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이며 소스주소로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위한 가상주소가 지정된 것이 확인될 경우,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전송방법으로 동시전송모드를 선택하여 모든 데이터가 동시전송모드가 적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관리장치(400)의 부하를 감소시켜 동시전송모드의 효율적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부(140)는 선택된 전송모드에 따른 전송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데이터를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40)는 모드선택부(120)에 의해 단일전송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서비스데이터를 3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또는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외부장치(500)로 직접 전송하여 특정 서비스를 요청한다.
반면, 통신부(140)는 모드선택부(120)에 의해 동시전송모드가 선택된 경우,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관리장치(400)를 통해 외부장치(500)로 전송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가 적용되는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통신부(14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데이터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40)는 단일전송모드 선택을 통해 서비스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 또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직접 수신하게 된다.
반면, 통신부(140)는 동시전송모드 선택을 통해 서비스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데이터를 관리장치(400)를 통해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수신하게 된다.
데이터결합부(150)는 관리장치(400)를 통해 수신된 부분데이터를 결합함으로써 서비스데이터를 복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결합부(15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된 부분데이터와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분할순서에 맞게 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서비스데이터로 복원하고, 복원된 서비스데이터를 기초로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시스템에 따르면,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이 아닌 프로토콜 예컨대, UDP 프로토콜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전송 방법으로 단일전송모드로 선택함으로써, UDP 프로토콜의 장점인 빠른 속도의 서비스 제공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 및 소스주소가 단일전송모드가 요구되는 특화된 서비스와 관련된 것이 확인될 경우,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하고 이에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 안정적이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이며 소스주소로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위한 가상주소가 지정된 것이 확인될 경우,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전송방법으로 동시전송모드를 선택하여 모든 데이터가 동시전송모드가 적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관리장치(400)의 부하를 감소시켜 동시전송모드의 효율적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송신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단말장치(100)가 특정 서비스와 관련하여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외부장치(500)에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데이터를 생성한다(S110).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0)는 생성된 서비스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정보 예컨대,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 서비스데이터의 소스(src)주소 및 타겟(dst)주소 등을 확인하게 된다(S120).
그런 다음, 단말장치(100)는 서비스데이터의 적용된 데이터 유형이 UDP 프로토콜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시 전송이 적합하지 않으므로 단일전송모드로 전송하기 위한 마크(Mark)를 표시한다.(S130).
다음으로, 단말장치(100)는 서비스데이터로부터 확인된 데이터정보를 기초로 동시전송모드 또는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한다(S140).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어 마크가 표시된 경우,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하게 된다(S150).
이때, 단말장치(100)는 서비스데이터 소스주소가 3G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서비스데이터의 전송 네트워크로 3G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되며, 따라서 3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서비스데이터를 직접 전송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WIFI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직접 전송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서비스데이터에 마크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도, 마크가 표시된 상태와 마찬가지로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3G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3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서비스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며, 소스주소가 WIFI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직접 전송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로 확인되어 마크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지정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동시 전송 서비스에서 단말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가상주소를 가질 경우,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관리장치(400)를 통해 외부장치(500)로 전달하기 위한 동시전송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동시 전송 서비스 이용을 위해 서비스데이터를 관리장치(400)를 통해 외부장치(500)로 전달하도록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선택된 전송모드에 따른 전송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데이터를 전달한다(S150).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는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한 경우, 서비스데이터를 3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또는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외부장치(500)로 직접 전송하여 특정 서비스를 요청한다.
반면, 단말장치(100)는 동시전송모드를 선택한 경우,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관리장치(400)를 통해 외부장치(500)로 전송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가 적용되는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데이터를 외부장치(500)에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가상주소를 가지며, 타겟주소가 외부장치(500)일 경우, 소스주소를 자신의 주소로 대체한다.
아울러, 관리장치(400)는 타겟주소에 해당하는 외부장치(500)에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전달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가 적용되는 특정 서비스를 외부장치(500)에 요청하게 된다.
나아가, 외부장치(5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한다(S160).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장치(500)는 서비스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장치(200) 또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직접 수신될 경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 또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직접 전달하게 된다.
반면, 외부장치(500)는 서비스데이터가 관리장치(400)를 통해 수신될 경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데이터를 관리장치(400)에 전달함으로써,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단말장치(100)에 대상으로 상기 서비스데이터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관리장치(40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서비스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이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서비스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그런 다음,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송하며,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와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수신된 제2부분데이터를 분할순서에 맞게 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서비스데이터로 복원하고, 복원된 서비스데이터를 기초로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S17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 특히, 전송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정보확인부(110)는 특정 서비스와 관련되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정보를 확인한다(S210-S220).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확인부(11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서비스와 관련하여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외부장치(500)에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아울러, 정보확인부(110)는 생성된 서비스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정보 예컨대,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 서비스데이터의 소스(src)주소 및 타겟(dst)주소 등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정보확인부(110)는 서비스데이터에 적용된 데이터 유형이 UDP 프로토콜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시 전송이 적합하지 않으므로 단일전송모드로 전송하기 위한 마크(Mark)를 표시하게 된다(S230).
다시 말해, 정보확인부(110)는 서비스데이터의 적용된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이 아닌 경우, 해당 서비스데이터에 대한 동시 전송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단일전송모드로 전송하기 위한 마크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 확인 결과, TCP 프로토콜이 아닌 경우로 확인되어 마크가 표시된 경우, 서비스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단일전송모드로 선택하고, 이에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의 결정을 위해 도 3의 룰 테이블로부터 도 4의 메인 테이블(a)을 참조하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S240-S250).
이에, 모드선택부(120)는 상기 메인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단일전송모드에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S260).
예를 들어,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WIFI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가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아울러,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3G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가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이며,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로서 3G 네트워크 주소 또는 WIFI 네트워크 주소가 지정된 것으로 확인될 경우, 서비스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단일전송모드로 선택하고, 전송 네트워크 결정을 위해 도 3의 룰 테이블로부터 도 4의 테이블 2(c) 및 테이블 3(d)을 참조하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S220, S270-S300).
이에, 모드선택부(120)는 상기 테이블 2 및 테이블 3을 참조함으로써, 단일전송모드에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S310).
예를 들어,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WIFI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가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아울러,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3G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가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외부장치(5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이며,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로서 동시 전송 서비스에서 단말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가상주소가 지정된 것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서비스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동시전송모드로 선택하고, 이에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의 결정을 위해 도 3의 룰 테이블로부터 도 4의 테이블 1(b)를 참조하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S220, S270-S280, S320-S330).
이에, 모드선택부(120)는 상기 테이블 1을 참조함으로써, 동시전송모드에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S340).
예를 들어,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에 경유지 주소로서 삽입된 관리장치(400)의 주소가 3G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가 3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아울러, 모드선택부(120)는 확인된 관리장치(400)의 주소가 WIFI 네트워크 주소인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가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모드선택부(120)는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지정되지 않은 상태(예: 0.0.0.0)일 경우, 동시 전송 서비스에서 단말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가상주소(예: 7.7.7.7)를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로서 지정하게 된다(S270, S350).
또한, 주소정보삽입부(130)는 서비스데이터에 관리장치(400)의 주소를 경유지 주소로서 삽입하기 위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데이터가 관리장치(400)를 통해 외부장치(5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S360).
이때, 주소정보삽입부(130)는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의 현재 트래픽 상태 등을 고려하기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참조함으로써, 이러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관리장치(400)의 3G 네트워크 주소 또는 WIFI 네트워크 주소를 적어도 하나를 서비스데이터에 삽입하게 된다.
나아가, 통신부(140)는 선택된 전송모드에 따른 전송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데이터를 전달한다(S370,S380).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40)는 모드선택부(120)에 의해 단일전송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서비스데이터를 3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또는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외부장치(500)로 직접 전송하여 특정 서비스를 요청한다.
반면, 통신부(140)는 모드선택부(120)에 의해 동시전송모드가 선택된 경우,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관리장치(400)를 통해 외부장치(500)로 전송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가 적용되는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이 아닌 프로토콜 예컨대, UDP 프로토콜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전송 방법으로 단일전송모드로 선택함으로써, UDP 프로토콜의 장점인 빠른 속도의 서비스 제공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 및 소스주소가 단일전송모드가 요구되는 특화된 서비스와 관련된 것이 확인될 경우,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하고 이에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를 결정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 안정적이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TCP 프로토콜이며 소스주소로서 동시 전송 서비스를 위한 가상주소가 지정된 것이 확인될 경우,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전송방법으로 동시전송모드를 선택하여 모든 데이터가 동시전송모드가 적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관리장치(400)의 부하를 감소시켜 동시전송모드의 효율적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다중 네트워크 환경에서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일전송모드와 2 이상의 네트워크 통해 동시 전송하는 동시전송모드를 선택 적용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정보확인부   120: 모드선택부
130: 주소정보삽입부  140: 통신부
150: 데이터결합부
200: 제1네트워크장치
300: 제2네트워크장치
400: 관리장치
500: 외부장치

Claims (9)

  1. 특정 서비스와 관련되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정보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부;
    상기 확인된 데이터정보를 기초로,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하나의 접속 네트워크만을 통해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일전송모드 또는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적어도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동시에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시전송모드 중 하나의 전송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전송모드에 따라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선택부는,
    상기 데이터정보로부터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상기 송수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와 무관하게 할당된 가상 주소가 지정된 경우로 확인되면, 상기 전송모드로서 상기 동시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송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부는,
    상기 데이터정보로부터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이 UDP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유형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전송모드로서 상기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송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부는,
    상기 데이터정보로부터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송수신 장치의 주소로 지정된 경우 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타겟주소가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의 주소로 지정된 경우로 확인되면, 상기 전송모드로서 상기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송수신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장치는,
    상기 동시전송모드의 선택 시, 상기 동시전송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송신장치의 주소정보를 상기 서비스데이터에 삽입하여, 상기 서비스데이터가 상기 송신장치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와 송수신되도록 하는 주소정보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송수신 장치.
  6. 특정 서비스와 관련되는 서비스데이터의 데이터정보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단계;
    상기 확인된 데이터정보를 기초로,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하나의 접속 네트워크만을 통해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일전송모드 또는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적어도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동시에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시전송모드 중 하나의 전송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전송모드에 따라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선택단계는,
    상기 데이터정보로부터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상기 송수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와 무관하게 할당된 가상 주소가 지정된 경우로 확인되면, 상기 전송모드로서 상기 동시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단계는,
    상기 데이터정보로부터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유형이 UDP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유형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전송모드로서 상기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단계는,
    상기 데이터정보로부터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소스주소가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송수신 장치의 주소로 지정된 경우 또는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타겟주소가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의 주소로 지정된 경우로 확인되면, 상기 전송모드로서 상기 단일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

  9. 삭제
KR1020120073473A 2012-07-05 2012-07-05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365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473A KR101365589B1 (ko) 2012-07-05 2012-07-05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473A KR101365589B1 (ko) 2012-07-05 2012-07-05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556A KR20140008556A (ko) 2014-01-22
KR101365589B1 true KR101365589B1 (ko) 2014-02-21

Family

ID=50142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473A KR101365589B1 (ko) 2012-07-05 2012-07-05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5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802A (ko) * 2004-11-12 2007-10-05 나노라디오 에이비 Wlan 무선국 및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독립(ad-hoc) 모드에서 wlan 무선국을 동시에동작시키는 방법
WO2007129699A1 (ja) * 2006-05-09 2007-11-15 Nec Corporation 通信システム、ノード、端末、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90081639A (ko) * 2008-01-24 200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무선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트래픽을 분산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802A (ko) * 2004-11-12 2007-10-05 나노라디오 에이비 Wlan 무선국 및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독립(ad-hoc) 모드에서 wlan 무선국을 동시에동작시키는 방법
WO2007129699A1 (ja) * 2006-05-09 2007-11-15 Nec Corporation 通信システム、ノード、端末、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90081639A (ko) * 2008-01-24 200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무선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트래픽을 분산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556A (ko)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9614B2 (en) Digital object routing based on a service request
EP2858313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outing function activation and data transmission
US9667705B2 (en) Method of data transmission over multiple networks, and apparatus therefor
CN108270687B (zh) 一种负载均衡处理方法及装置
CN106953797B (zh) 一种基于动态连接的rdma数据传输的方法与装置
KR102182767B1 (ko) 멀티-홉 능력들의 발견 및 링크 당 기준 라우팅
CN105792359A (zh) 资源分配方法、数据映射方法及装置
CN111211933A (zh) 一种确定传输链路的质量的方法及装置
US8773990B1 (en) Detecting unauthorized tethering
CN102571963A (zh) 内容分发的方法、装置和接入网设备
KR101365589B1 (ko)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90129652A (ko) 비프록시 기반 다중 경로 전송 시스템, 그리고 이의 세션 연결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US11805464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GB2517080A (en) Mobile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209926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49254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89718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63800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574280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WO2014192836A1 (ja) 携帯端末、通信制御プロセッサ、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CN114500511B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629953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101857565B1 (ko)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101207030B1 (ko) 송수신장치 및 송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KR101328732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