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800B1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800B1
KR101663800B1 KR1020160081506A KR20160081506A KR101663800B1 KR 101663800 B1 KR101663800 B1 KR 101663800B1 KR 1020160081506 A KR1020160081506 A KR 1020160081506A KR 20160081506 A KR20160081506 A KR 20160081506A KR 101663800 B1 KR101663800 B1 KR 101663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ransmission
operation confirmation
partial data
confirm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340A (ko
Inventor
김지훈
정인장
전진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8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47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nditions of the access network or the infrastructur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을 개시한다. 즉,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을 위해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동작확인메시지를 수신하는지 확인하는 수신확인단계;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상기 수신장치에 전달하는 응답메시지전송단계; 및 상기 수신장치에서의 상기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 및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송신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의 전송 성능을 보장 및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업링크(Uplink) 대상으로 지정된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접속상태 확인을 위해 전달되는 동작확인메시지(Keep Alive)의 수신상태를 기초로 해당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업링크 상태를 확인하여, 이상 판단 여부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업자는 다수의 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의 경우 주요 사업자는 WCDMA, CDMA, WiBro 및 최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Fi) 기술까지 도입하여 네트워크를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현재 방식은, 단말장치 사용자의 직접적인 변경에 의한 네트워크 선택 방식으로 사업자 측의 개입(controllability)이 배제된 방식이기 때문에 사업자 입장을 고려할 때 소극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렛 PC 등 다양한 무선 기기들이 증가하고 데이터 요금이 저렴해지며 동시에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업자의 네트워크 부하율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망 투자비 과다 지출 및 서비스 안정성 측면에서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단말장치의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업링크(Uplink) 대상으로 지정된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접속상태 확인을 위해 전달되는 동작확인메시지(Keep Alive)의 수신상태를 기초로 해당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업링크 상태를 확인하여, 이상 판단 여부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신장치는,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확인메시지의 수신이 확인될 경우, 상기 수신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가 상기 수신장치에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수신장치에서의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송신상태 및 상기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부분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거나,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장치는,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 확인을 위한 동작확인메시지를 상기 송신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송신상태 및 상기 송신된 동작확인메시지 중 상기 송신장치에 수신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하는 수신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는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이며,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송신상태는 상기 송신장치에 송신되는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 개수이며, 상기 수신제어부는,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 개수와 상기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확인메시지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와의 네트워크 상태 확인을 위한 메시지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을 위해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동작확인메시지를 수신하는지 확인하는 수신확인단계;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상기 수신장치에 전달하는 응답메시지전송단계; 및 상기 수신장치에서의 상기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 및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송신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부분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거나,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단계;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 확인을 위한 동작확인메시지를 상기 송신장치에 송신하는 메시지전송단계; 및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송신상태 및 상기 송신된 동작확인메시지 중 상기 송신장치에 수신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는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이며,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송신상태는 상기 송신장치에 송신되는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 개수이며, 상기 상태판단단계는,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 개수와 상기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업링크(Uplink) 대상으로 지정된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접속상태 확인을 위해 전달되는 동작확인메시지(Keep Alive)의 수신상태를 기초로 해당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업링크(Uplink) 상태를 빠르게 확인하고 이상 판단 여부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거나, 접속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을 변경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의 전송 성능을 보장 및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은,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며,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에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에 상기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는 송신장치서의 관리장치(400)와, 관리장치(400)로부터 상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관리장치(400)로부터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상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은, 전송대상 데이터를 관리장치(400)에 전달하여 단말장치(100)로의 전달을 요청하는 외부장치(5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는, 단말장치(100)와 외부장치(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구성을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관리장치(400)에서 세션 분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 각각과 연결되기 때문에 관리장치(400) 입장에서는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각각에 대하여 하나의 단말장치(100)의 링크라는 것을 인지하고 하나의 단말장치(100) 즉 하나의 주체로 관리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단말장치(100)에 대응하여 동신 전송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예: 가상 IP)를 할당 및 관리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요구될 것이다.
외부장치(500)는 관리장치(400)를 통해 단말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관리장치(40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예컨대, 포털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기종 네트워크는 예컨대, WCDMA, CDMA, WiBro, WLAN(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를 포함하는 다양한 네트워크가 해당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WCDMA)를 지칭하는 제1네트워크(이하, "3G 네트워크"라 칭함)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iFi)를 지칭하는 제2네트워크(이하, "WiFi 네트워크"라 칭함)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3G 네트워크 즉,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장비를 지칭하게 되며,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WiFi 네트워크 즉,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엑세스포인트(AP)를 지칭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플로우 즉,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체에 따라 다시 말해 업링크 과정 및 다운링크 과정에 따라, 송신장치도 될 수 있으며, 수신장치도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위치하여 단말장치(100)에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송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를 상정하여 설명하고, 상기 관리장치(4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분할 전송되는 부분데이터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관리장치(4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들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동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근거하여 분할 순서에 따라 재정렬하고, 정상적으로 재정렬된 부분데이터들을 결합함으로써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부분데이터 수신에 기초한 네트워크상태 관련정보를 관리장치(400)에 전송하기 위해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를 지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근거하여 네트워크상태 관련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경로 즉, 전송네트워크를 지정하게 된다. 예컨대, 관리장치(400)가 3G 네트워크를 통해 순서정보1의 부분데이터 패킷, 순서정보4,5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고,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순서정보2,3의 부분데이터 패킷, 순서정보6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였을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순서정보1의 부분데이터 패킷, 순서정보4,5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순서정보2,3의 부분데이터 패킷, 순서정보6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게 된다. 이때,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순서정보1의 부분데이터 패킷보다,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순서정보2,3의 부분데이터 패킷이 먼저 수신될 경우, 단말장치(100)는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3G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보다 우수하다고 판단함으로써, WiFi 네트워크를 네트워크상태 관련정보를 관리장치(400)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네트워크로서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지정된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확인메시지를 관리장치(400)에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상술한 업링크 전송성능 판단을 통해 WiFi 네트워크를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로서 지정한 상태에서, 업링크 이벤트 발생 예컨대, 부분데이터 패킷 수신에 따른 응답메시지(ACK), 중간에 수신되지 않은 부분데이터 패킷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의미하는 요청메시지(Duplicate ACK), 및 세션 유지를 위한 세션유지메시지(SYN/FIN)의 전송이 요구될 경우, 해당 메시지를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인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전송하게 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상술한 업링크 메시지 전송 이후, 상기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인 WiFi 네트워크와의 접속상태 확인을 위한 동작확인메시지(Keep Alive)를 설정개수만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관리장치(400)에 전달되는 동작확인메시지의 경우,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형태로 전달되게 되며, 이와 같은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에는 동작확인메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①, 0: 일반 업링크 패킷, 1: 동작확인메시지), 업링크 패킷의 전송순서를 기록하는 순서정보(①, 동작확인메시지 번호), 네트워크 일시정지 요청정보(③, 0: 전송 요청, 1: 중단 요청), 동작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 수신 개수정보(④)가 삽입된 상태로 관리장치(400)에 전달되게 된다.
나아가, 단말장치(100)는 상기 전송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 즉,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동작확인메시지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전송한 이후, 전송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관리장치(400)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 분석을 통해 동작확인메시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는 응답메시지의 경우,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형태로 전달되게 되며, 이와 같은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에는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①, 0: 일반 다운링크 패킷, 1: 응답메시지), 다운링크 패킷의 전송순서를 기록하는 순서정보(①, 응답메시지 번호)가 삽입된 상태로 단말장치(100)에 전달되게 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동작확인메시지의 수신상태를 기초로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 분석을 통해 동작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식별하고, 수신된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를 기초로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개수에 대응하여 관리장치(400)로부터 연속적으로 응답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양호하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단말장치(100)는 일정시간 동안 동작확인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전혀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좋지 않음을 판단하고 WiFi 네트워크의 사용을 일시정지한 후 관리장치(400)에 이를 알려주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 개수 대비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가 적을 경우에도 해당 수신상태를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하여 관리장치(400)에 전달함으로써,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WiFi 네트워크의 전송성능을 인지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장치(400)는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에 따라 네트워크 별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장치(400)는 동시전송모드 활성화에 따라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한다. 나아가 관리장치(400)는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외부장치(500)로부터 수신되는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 별 특성, 현재 부하상태, 및 전송대상 데이터의 종류 등 다양한 요소를 기초로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비율을 동적으로 가변 설정하고,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에 따라 접속 네트워크 별로 부분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아울러, 관리장치(400)는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해당 접속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장치(400)는 전송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다시 말해,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하여금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 동시에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제2부분데이터를 송신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하여금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나아가,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동작확인메시지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의 업링크 이벤트 발생, 예컨대, 부분데이터 패킷 수신에 따른 응답메시지(ACK), 중간에 수신되지 않은 부분데이터 패킷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의미하는 요청메시지(Duplicate ACK), 및 세션 유지를 위한 세션유지메시지(SYN/FIN)의 전송이 요구될 경우, 해당 메시지를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인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아울러, 관리장치(400)는 상술한 업링크 메시지 수신 이후,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인 WiFi 네트워크와의 접속상태 확인을 위한 동작확인메시지(Keep Alive)를 설정개수만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동작확인메시지의 경우,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형태로 전달되게 되며, 이와 같은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에는 동작확인메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①, 0: 일반 업링크 패킷, 1: 동작확인메시지), 업링크 패킷의 전송순서를 기록하는 순서정보(①, 동작확인메시지 번호), 네트워크 일시정지 요청정보(③, 0: 전송 요청, 1: 중단 요청), 동작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 수신 개수정보(④)가 삽입된 상태로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된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상기 수신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장치(400)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 분석을 통해 동작확인메시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는 응답메시지의 경우,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형태로 전달되게 되며, 이와 같은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에는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①, 0: 일반 다운링크 패킷, 1: 응답메시지), 다운링크 패킷의 전송순서를 기록하는 순서정보(①, 응답메시지 번호)가 삽입된 상태로 단말장치(100)에 전달되게 된다.
이후,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의 응답메시지 수신상태를 인지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장치(400)는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를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WiFi 네트워크의 전송성능을 인지함으로써, 이를 기초로 접속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을 변경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 분석을 통해 동작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식별하고, 수신된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를 기초로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개수에 대응하여 관리장치(400)로부터 연속적으로 응답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양호하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단말장치(100)는 일정시간 동안 동작확인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전혀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좋지 않음을 판단하고 WiFi 네트워크의 사용을 일시정지한 후 관리장치(400)에 이를 알려주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 개수 대비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가 적을 경우에도 해당 수신상태를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하여 관리장치(400)에 전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분할 전송되는 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110), 및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 수신상태를 기초로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하는 수신제어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통신부(1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분할 전송되는 부분데이터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이에, 수신제어부(120)는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관리장치(4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이때, 수신제어부(12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들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동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근거하여 분할 순서에 따라 재정렬하고, 정상적으로 재정렬된 부분데이터들을 결합함으로써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이때, 수신제어부(120)는 부분데이터 수신에 기초한 네트워크상태 관련정보를 관리장치(400)에 전송하기 위해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를 지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제어부(12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근거하여 네트워크상태 관련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경로 즉, 전송네트워크를 지정하게 된다. 예컨대, 관리장치(400)가 3G 네트워크를 통해 순서정보1의 부분데이터 패킷, 순서정보4,5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고,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순서정보2,3의 부분데이터 패킷, 순서정보6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였을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통신부(11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순서정보1의 부분데이터 패킷, 순서정보4,5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순서정보2,3의 부분데이터 패킷, 순서정보6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게 된다. 이때,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순서정보1의 부분데이터 패킷보다,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순서정보2,3의 부분데이터 패킷이 먼저 수신될 경우, 수신제어부(120)는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3G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보다 우수하다고 판단함으로써, WiFi 네트워크를 네트워크상태 관련정보를 관리장치(400)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네트워크로서 지정할 수 있다.
이에, 통신부(110)는 지정된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확인메시지를 관리장치(400)에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상술한 업링크 전송성능 판단을 통해 WiFi 네트워크를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로서 지정한 상태에서, 업링크 이벤트 발생 예컨대, 부분데이터 패킷 수신에 따른 응답메시지(ACK), 중간에 수신되지 않은 부분데이터 패킷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의미하는 요청메시지(Duplicate ACK), 및 세션 유지를 위한 세션유지메시지(SYN/FIN)의 전송이 요구될 경우, 해당 메시지를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인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수신제어부(120)는 상술한 업링크 메시지 전송 이후, 상기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인 WiFi 네트워크와의 접속상태 확인을 위한 동작확인메시지(Keep Alive)를 설정개수만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관리장치(400)에 전달되는 동작확인메시지의 경우,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형태로 전달되게 되며, 이와 같은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에는 동작확인메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①, 0: 일반 업링크 패킷, 1: 동작확인메시지), 업링크 패킷의 전송순서를 기록하는 순서정보(①, 동작확인메시지 번호), 네트워크 일시정지 요청정보(③, 0: 전송 요청, 1: 중단 요청), 동작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 수신 개수정보(④)가 삽입된 상태로 관리장치(400)에 전달되게 된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상기 전송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 즉,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동작확인메시지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전송한 이후, 전송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수신제어부(120)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 분석을 통해 동작확인메시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는 응답메시지의 경우,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형태로 전달되게 되며, 이와 같은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에는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①, 0: 일반 다운링크 패킷, 1: 응답메시지), 다운링크 패킷의 전송순서를 기록하는 순서정보(①, 응답메시지 번호)가 삽입된 상태로 단말장치(100)에 전달되게 된다.
이에, 수신제어부(120)는 동작확인메시지의 수신상태를 기초로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제어부(12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 분석을 통해 동작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식별하고, 수신된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를 기초로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수신제어부(120)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개수에 대응하여 관리장치(400)로부터 연속적으로 응답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양호하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수신제어부(120)는 일정시간 동안 동작확인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전혀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좋지 않음을 판단하고 WiFi 네트워크의 사용을 일시정지한 후 관리장치(400)에 이를 알려주게 된다. 또한, 수신제어부(120)는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 개수 대비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가 적을 경우에도 해당 수신상태를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하여 관리장치(4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WiFi 네트워크의 전송성능을 인지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4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분할 전송되는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410), 및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를 기초로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하는 송신제어부(4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송신제어부(420)는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에 따라 네트워크 별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신제어부(420)는 동시전송모드 활성화에 따라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한다. 나아가 송신제어부(420)는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외부장치(500)로부터 수신되는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송신제어부(420)는 접속 네트워크 별 특성, 현재 부하상태, 및 전송대상 데이터의 종류 등 다양한 요소를 기초로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비율을 동적으로 가변 설정하고,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에 따라 접속 네트워크 별로 부분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통신부(410)는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해당 접속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10)는 전송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다시 말해,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하여금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 동시에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제2부분데이터를 송신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하여금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나아가, 통신부(4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동작확인메시지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10)는 단말장치(100)의 업링크 이벤트 발생, 예컨대, 부분데이터 패킷 수신에 따른 응답메시지(ACK), 중간에 수신되지 않은 부분데이터 패킷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의미하는 요청메시지(Duplicate ACK), 및 세션 유지를 위한 세션유지메시지(SYN/FIN)의 전송이 요구될 경우, 해당 메시지를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인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아울러, 통신부(410)는 상술한 업링크 메시지 수신 이후,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인 WiFi 네트워크와의 접속상태 확인을 위한 동작확인메시지(Keep Alive)를 설정개수만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동작확인메시지의 경우,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형태로 전달되게 되며, 이와 같은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에는 동작확인메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①, 0: 일반 업링크 패킷, 1: 동작확인메시지), 업링크 패킷의 전송순서를 기록하는 순서정보(①, 동작확인메시지 번호), 네트워크 일시정지 요청정보(③, 0: 전송 요청, 1: 중단 요청), 동작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 수신 개수정보(④)가 삽입된 상태로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된다.
이에, 송신제어부(420)는 상기 수신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가 전달 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신제어부(420)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 분석을 통해 동작확인메시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는 응답메시지의 경우,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형태로 전달되게 되며, 이와 같은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에는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①, 0: 일반 다운링크 패킷, 1: 응답메시지), 다운링크 패킷의 전송순서를 기록하는 순서정보(①, 응답메시지 번호)가 삽입된 상태로 단말장치(100)에 전달되게 된다.
이후, 송신제어부(420)는 단말장치(100)의 응답메시지 수신상태를 인지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신제어부(420)는 통신부(4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를 기초로 WiFi 네트워크의 전송성능을 인지함으로써, 이를 기초로 접속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을 변경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 분석을 통해 동작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식별하고, 수신된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를 기초로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개수에 대응하여 관리장치(400)로부터 연속적으로 응답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양호하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단말장치(100)는 일정시간 동안 동작확인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전혀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좋지 않음을 판단하고 WiFi 네트워크의 사용을 일시정지한 후 관리장치(400)에 이를 알려주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 개수 대비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가 적을 경우에도 해당 수신상태를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하여 관리장치(400)에 전달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에 따르면,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업링크(Uplink) 대상으로 지정된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접속상태 확인을 위해 전달되는 동작확인메시지(Keep Alive)의 수신상태를 기초로 해당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업링크(Uplink) 상태를 빠르게 확인하고 이상 판단 여부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거나, 접속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동작확인메시지를 통하여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을 판단하며, WiFi 네트워크의 품질이 좋지 않을 때 비신뢰적인 WiFi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배제함으로써, 송/수신단이 수신되지 않은 패킷들을 기다리거나 재전송 요청을 하지 않게 되어 동시전송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 상태 판단에 있어서, 업링크 패킷까지 고려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네트워크 품질에 보다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을 토대로 다운링크 전송비율을 결정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의 전송 성능을 보장 및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관리장치(400)가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에 따라 네트워크 별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한다(S10).
바람직하게는, 관리장치(400)는 동시전송모드 활성화에 따라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한다. 나아가 관리장치(400)는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외부장치(500)로부터 수신되는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 별 특성, 현재 부하상태, 및 전송대상 데이터의 종류 등 다양한 요소를 기초로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비율을 동적으로 가변 설정하고,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에 따라 접속 네트워크 별로 부분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관리장치(400)가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해당 접속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S20).
바람직하게는, 관리장치(400)는 전송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다시 말해,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하여금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 동시에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제2부분데이터를 송신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하여금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0)가 부분데이터 수신에 기초한 네트워크상태 관련정보를 관리장치(400)에 전송하기 위해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를 지정한다(S3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근거하여 네트워크상태 관련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경로 즉, 전송네트워크를 지정하게 된다. 예컨대, 관리장치(400)가 3G 네트워크를 통해 순서정보1의 부분데이터 패킷, 순서정보4,5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고,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순서정보2,3의 부분데이터 패킷, 순서정보6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였을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순서정보1의 부분데이터 패킷, 순서정보4,5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순서정보2,3의 부분데이터 패킷, 순서정보6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게 된다. 이때,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순서정보1의 부분데이터 패킷보다,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순서정보2,3의 부분데이터 패킷이 먼저 수신될 경우, 단말장치(100)는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3G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보다 우수하다고 판단함으로써, WiFi 네트워크를 네트워크상태 관련정보를 관리장치(400)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네트워크로서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가 지정된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확인메시지를 관리장치(400)에 전송한다(S4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상술한 업링크 전송성능 판단을 통해 WiFi 네트워크를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로서 지정한 상태에서, 업링크 이벤트 발생 예컨대, 부분데이터 패킷 수신에 따른 응답메시지(ACK), 중간에 수신되지 않은 부분데이터 패킷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의미하는 요청메시지(Duplicate ACK), 및 세션 유지를 위한 세션유지메시지(SYN/FIN)의 전송이 요구될 경우, 해당 메시지를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인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전송하게 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상술한 업링크 메시지 전송 이후, 상기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인 WiFi 네트워크와의 접속상태 확인을 위한 동작확인메시지(Keep Alive)를 설정개수만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관리장치(400)에 전달되는 동작확인메시지의 경우,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형태로 전달되게 되며, 이와 같은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에는 동작확인메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①, 0: 일반 업링크 패킷, 1: 동작확인메시지), 업링크 패킷의 전송순서를 기록하는 순서정보(①, 동작확인메시지 번호), 네트워크 일시정지 요청정보(③, 0: 전송 요청, 1: 중단 요청), 동작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 수신 개수정보(④)가 삽입된 상태로 관리장치(400)에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나서, 관리장치(400)가 상기 수신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전달한다(S50-S60).
바람직하게는, 관리장치(400)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 분석을 통해 동작확인메시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는 응답메시지의 경우,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형태로 전달되게 되며, 이와 같은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에는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①, 0: 일반 다운링크 패킷, 1: 응답메시지), 다운링크 패킷의 전송순서를 기록하는 순서정보(①, 응답메시지 번호)가 삽입된 상태로 단말장치(100)에 전달되게 된다.
이에, 단말장치(100)가 동작확인메시지의 수신상태를 기초로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한다(S70-10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 분석을 통해 동작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식별하고, 수신된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를 기초로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개수에 대응하여 관리장치(400)로부터 연속적으로 응답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양호하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단말장치(100)는 일정시간 동안 동작확인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전혀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좋지 않음을 판단하고 WiFi 네트워크의 사용을 일시정지한 후 관리장치(400)에 이를 알려주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 개수 대비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가 적을 경우에도 해당 수신상태를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하여 관리장치(400)에 전달함으로써,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WiFi 네트워크의 전송성능을 인지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분할 전송되는 부분데이터를 수신한다(S110).
바람직하게는, 통신부(11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이에, 수신제어부(120)는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관리장치(4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이때, 수신제어부(12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들에 포함된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동일 가상네트워크 접속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근거하여 분할 순서에 따라 재정렬하고, 정상적으로 재정렬된 부분데이터들을 결합함으로써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이때, 부분데이터 수신에 기초한 네트워크상태 관련정보를 관리장치(400)에 전송하기 위해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를 지정한다(S120).
바람직하게는, 수신제어부(12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근거하여 네트워크상태 관련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경로 즉, 전송네트워크를 지정하게 된다. 예컨대, 관리장치(400)가 3G 네트워크를 통해 순서정보1의 부분데이터 패킷, 순서정보4,5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고,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순서정보2,3의 부분데이터 패킷, 순서정보6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였을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통신부(11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순서정보1의 부분데이터 패킷, 순서정보4,5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순서정보2,3의 부분데이터 패킷, 순서정보6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게 된다. 이때,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순서정보1의 부분데이터 패킷보다,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순서정보2,3의 부분데이터 패킷이 먼저 수신될 경우, 수신제어부(120)는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3G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보다 우수하다고 판단함으로써, WiFi 네트워크를 네트워크상태 관련정보를 관리장치(400)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네트워크로서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지정된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확인메시지를 관리장치(400)에 전송한다(S130-S140).
바람직하게는, 통신부(110)는 상술한 업링크 전송성능 판단을 통해 WiFi 네트워크를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로서 지정한 상태에서, 업링크 이벤트 발생 예컨대, 부분데이터 패킷 수신에 따른 응답메시지(ACK), 중간에 수신되지 않은 부분데이터 패킷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의미하는 요청메시지(Duplicate ACK), 및 세션 유지를 위한 세션유지메시지(SYN/FIN)의 전송이 요구될 경우, 해당 메시지를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인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수신제어부(120)는 상술한 업링크 메시지 전송 이후, 상기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인 WiFi 네트워크와의 접속상태 확인을 위한 동작확인메시지(Keep Alive)를 설정개수만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관리장치(400)에 전달되는 동작확인메시지의 경우,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형태로 전달되게 되며, 이와 같은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에는 동작확인메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①, 0: 일반 업링크 패킷, 1: 동작확인메시지), 업링크 패킷의 전송순서를 기록하는 순서정보(①, 동작확인메시지 번호), 네트워크 일시정지 요청정보(③, 0: 전송 요청, 1: 중단 요청), 동작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 수신 개수정보(④)가 삽입된 상태로 관리장치(400)에 전달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전송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수신한다(S150).
바람직하게는, 통신부(110)는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 즉,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동작확인메시지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전송한 이후, 전송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수신제어부(120)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 분석을 통해 동작확인메시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는 응답메시지의 경우,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형태로 전달되게 되며, 이와 같은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에는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①, 0: 일반 다운링크 패킷, 1: 응답메시지), 다운링크 패킷의 전송순서를 기록하는 순서정보(①, 응답메시지 번호)가 삽입된 상태로 단말장치(100)에 전달되게 된다.
이에, 동작확인메시지의 수신상태를 기초로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한다(S160-S180).
바람직하게는, 수신제어부(12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 분석을 통해 동작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식별하고, 수신된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를 기초로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수신제어부(120)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개수에 대응하여 관리장치(400)로부터 연속적으로 응답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양호하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수신제어부(120)는 일정시간 동안 동작확인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전혀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좋지 않음을 판단하고 WiFi 네트워크의 사용을 일시정지한 후 관리장치(400)에 이를 알려주게 된다. 또한, 수신제어부(120)는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 개수 대비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가 적을 경우에도 해당 수신상태를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하여 관리장치(4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WiFi 네트워크의 전송성능을 인지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에 따라 네트워크 별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선택한다(S210).
바람직하게는, 송신제어부(420)는 동시전송모드 활성화에 따라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한다. 나아가 송신제어부(420)는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외부장치(500)로부터 수신되는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송신제어부(420)는 접속 네트워크 별 특성, 현재 부하상태, 및 전송대상 데이터의 종류 등 다양한 요소를 기초로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비율을 동적으로 가변 설정하고,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에 따라 접속 네트워크 별로 부분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해당 접속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S220).
바람직하게는, 통신부(410)는 전송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다시 말해,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하여금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 동시에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제2부분데이터를 송신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하여금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나아가, 단말장치(100)로부터 동작확인메시지를 수신한다(S230).
바람직하게는, 통신부(410)는 단말장치(100)의 업링크 이벤트 발생, 예컨대, 부분데이터 패킷 수신에 따른 응답메시지(ACK), 중간에 수신되지 않은 부분데이터 패킷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의미하는 요청메시지(Duplicate ACK), 및 세션 유지를 위한 세션유지메시지(SYN/FIN)의 전송이 요구될 경우, 해당 메시지를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인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아울러, 통신부(410)는 상술한 업링크 메시지 수신 이후,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인 WiFi 네트워크와의 접속상태 확인을 위한 동작확인메시지(Keep Alive)를 설정개수만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동작확인메시지의 경우,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형태로 전달되게 되며, 이와 같은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에는 동작확인메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①, 0: 일반 업링크 패킷, 1: 동작확인메시지), 업링크 패킷의 전송순서를 기록하는 순서정보(①, 동작확인메시지 번호), 네트워크 일시정지 요청정보(③, 0: 전송 요청, 1: 중단 요청), 동작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 수신 개수정보(④)가 삽입된 상태로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된다.
이에, 상기 수신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가 전달 되도록 한다(S240-S250).
바람직하게는, 송신제어부(420)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 분석을 통해 동작확인메시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는 응답메시지의 경우,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형태로 전달되게 되며, 이와 같은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에는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①, 0: 일반 다운링크 패킷, 1: 응답메시지), 다운링크 패킷의 전송순서를 기록하는 순서정보(①, 응답메시지 번호)가 삽입된 상태로 단말장치(100)에 전달되게 된다.
이후, 단말장치(100)의 응답메시지 수신상태를 인지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한다(S260-S270).
바람직하게는, 송신제어부(420)는 통신부(4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를 기초로 WiFi 네트워크의 전송성능을 인지함으로써, 이를 기초로 접속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을 변경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의 헤더 분석을 통해 동작확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식별하고, 수신된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를 기초로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개수에 대응하여 관리장치(400)로부터 연속적으로 응답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양호하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단말장치(100)는 일정시간 동안 동작확인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전혀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이 좋지 않음을 판단하고 WiFi 네트워크의 사용을 일시정지한 후 관리장치(400)에 이를 알려주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 개수 대비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가 적을 경우에도 해당 수신상태를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업링크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하여 관리장치(400)에 전달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에 따르면,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업링크(Uplink) 대상으로 지정된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접속상태 확인을 위해 전달되는 동작확인메시지(Keep Alive)의 수신상태를 기초로 해당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업링크(Uplink) 상태를 빠르게 확인하고 이상 판단 여부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거나, 접속 네트워크 별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동작확인메시지를 통하여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을 판단하며, WiFi 네트워크의 품질이 좋지 않을 때 비신뢰적인 WiFi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배제함으로써, 송/수신단이 수신되지 않은 패킷들을 기다리거나 재전송 요청을 하지 않게 되어 동시전송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 상태 판단에 있어서, 업링크 패킷까지 고려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네트워크 품질에 보다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WiFi 네트워크의 업링크 전송성능을 토대로 다운링크 전송비율을 결정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의 전송 성능을 보장 및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업링크(Uplink) 대상으로 지정된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접속상태 확인을 위해 전달되는 동작확인메시지(Keep Alive)의 수신상태를 기초로 해당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업링크 상태를 확인하여, 이상 판단 여부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통신부 120: 수신제어부
200: 제1네트워크장치
300: 제2네트워크장치
400: 관리장치
410: 통신부 420: 송신제어부
500: 외부장치

Claims (9)

  1.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확인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수신이 확인될 경우 상기 수신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가 상기 수신장치에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수신장치에서의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송신상태 및 상기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는,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에 수신되는 각 부분데이터의 순서정보를 기초로 판단되는 업링크 전송성능에 근거하여 지정되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부분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거나,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신장치.
  3.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 확인을 위한 동작확인메시지를 상기 송신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송신상태 및 상기 송신된 동작확인메시지 중 상기 송신장치에 수신된 것으로 확인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하는 수신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는,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각 부분데이터의 순서정보를 기초로 판단되는 업링크 전송성능에 근거하여 지정되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수신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는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이며,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송신상태는 상기 송신장치에 송신되는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 개수이며,
    상기 수신제어부는,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 개수와 상기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수신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상태 관련정보를 상기 송신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대상 네트워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수신장치.
  6.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을 위해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동작확인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수신확인단계;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것으로 확인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상기 수신장치에 전달하는 응답메시지전송단계; 및
    상기 수신장치에서의 상기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 및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송신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는,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에 수신되는 각 부분데이터의 순서정보를 기초로 판단되는 업링크 전송성능에 근거하여 지정되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부분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거나,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8.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단계;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 확인을 위한 동작확인메시지를 상기 송신장치에 송신하는 메시지전송단계; 및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송신상태 및 상기 송신된 동작확인메시지 중 상기 송신장치에 수신된 것으로 확인된 동작확인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는,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각 부분데이터의 순서정보를 기초로 판단되는 업링크 전송성능에 근거하여 지정되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수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의 수신상태는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이며,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송신상태는 상기 송신장치에 송신되는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 개수이며,
    상기 상태판단단계는,
    상기 동작확인메시지의 전송 개수와 상기 응답메시지의 수신 개수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수신 방법.
KR1020160081506A 2016-06-29 2016-06-29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63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506A KR101663800B1 (ko) 2016-06-29 2016-06-29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506A KR101663800B1 (ko) 2016-06-29 2016-06-29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024A Division KR20130102865A (ko) 2012-03-08 2012-03-08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530A Division KR101689718B1 (ko) 2016-09-29 2016-09-29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340A KR20160084340A (ko) 2016-07-13
KR101663800B1 true KR101663800B1 (ko) 2016-10-10

Family

ID=56505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506A KR101663800B1 (ko) 2016-06-29 2016-06-29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8708A1 (de) * 2016-07-16 2018-01-18 Audi Ag Rückmeldekanal zur sicheren Datenübertrag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89471A2 (en) 1996-02-06 1997-08-13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Network data distribution system
KR100874152B1 (ko) 2005-10-14 2008-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이종 무선망들을 이용한 동시 데이터 서비스 장치및 방법
JP2009004855A (ja) 2007-06-19 2009-01-08 Yokogawa Electric Corp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647B1 (ko) * 2008-01-24 2015-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무선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트래픽을 분산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89471A2 (en) 1996-02-06 1997-08-13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Network data distribution system
KR100874152B1 (ko) 2005-10-14 2008-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이종 무선망들을 이용한 동시 데이터 서비스 장치및 방법
JP2009004855A (ja) 2007-06-19 2009-01-08 Yokogawa Electric Corp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340A (ko)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778B1 (ko)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US10973071B2 (en) Improving communication reliability
KR101278722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AU2018409096B2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070133470A1 (en) Method for recovering ARQ data in wireless portable internet system
KR101689718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63800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003195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43463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574280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49254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00403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209926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407598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23933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371546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574294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353438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293303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02865A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29953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101601873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WO2020034465A1 (en) Method of communication for service framework
KR20130017880A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21170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