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595B1 - 전지의 요철모양의 전극구조 및 이를 연결하는 전극연결단자 - Google Patents

전지의 요철모양의 전극구조 및 이를 연결하는 전극연결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595B1
KR101364595B1 KR1020110028959A KR20110028959A KR101364595B1 KR 101364595 B1 KR101364595 B1 KR 101364595B1 KR 1020110028959 A KR1020110028959 A KR 1020110028959A KR 20110028959 A KR20110028959 A KR 20110028959A KR 101364595 B1 KR101364595 B1 KR 101364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attery
concave
convex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827A (ko
Inventor
손현솔
Original Assignee
손현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현솔 filed Critical 손현솔
Priority to KR1020110028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59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전지의 전극에 있어서, 양극은 복록하게 형성하고, 음극은 양극의 볼록한 형상에 맞추어 오목하게 구성하는 전지의 요철형 전극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요철모양의 전극구조는 전극의 연결을 복수개로 케이스의 용량에 관계없이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학교나 연구실의 실험실뿐만 아니라 전시장의 용도에 맞추어 전지를 연결할 수 있어 케이스를 건전지의 갯수에 맞추어 마련하고 연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요철모양의 전극구조에 맞는 전지의 연결단자는 전지의 갯수에 제한을 받지 않고 연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지의 요철모양의 전극구조 및 이를 연결하는 전극연결단자{Battery's Electrode structure of Concave-Convex Shape and Electrode Connection Socket Connect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전지를 비롯한 전지의 전극을 요철모양으로 개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의 전극구조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전극을 수납하여 연결할 수 있는 전극연결단자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전지의 대부분은 양극은 튀어 나오고 음극은 평면으로 된 구조를 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凸모양의 구조로 된 전지는 여러개를 사용할 경우 건전지 홀더를 결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추가적인 금액과 재료 및 배치공간이 필요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현재 사용되는 전지는 사용 후 교체시에도 배열이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실용신안공보 실1999-0028903호에서는 건전지마다 칸막이를 갖춘 건전지 케이스를 일렬로 하여 중간에 사용하던 건전지를 교체하더라도 나머지 건전지가 흐트러지지 않는 건전지 케이스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직렬연결을 하여도 흐트러지지 않고 케이스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병렬연결시에도 전지의 케이스를 극히 간단하게 효율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요철모양으로 개선된 전지의 전극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전지는 그 크기와 규격이 통일되어 있으나, 학교나 연구실에서 실험 실습용으로 사용되는 전지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전극구조를 가진 전지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건전지가 철(凸)모양으로 되어 있어 발생되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양극의 모양은 종래와 같이 볼록하게 하나, 음극의 모양은 오목하게 제작하여 별도의 케이스가 없더라도 직렬과 병렬의 복수개의 전지를 손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모양의 전지의 전극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볼록한 모양의 양극과 평면 모양의 음극구조의 전지 구조를 양극은 볼록하게 하되 음극은 양극의 볼록한 모양에 맞도록 오목하게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전지를 케이스의 유무에 관계없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요철모양의 전극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요철모양의 전극구조의 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요철모양의 전지의 전극연결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요철모양의 전극구조는 전극의 연결을 케이스의 용량에 관계없이 복수개로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학교나 연구실의 실험실뿐만 아니라 전시장의 용도에 맞추어 전지를 연결할 수 있어 케이스를 건전지의 갯수에 맞추어 마련하고 연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요철모양의 전극구조에 맞는 전지의 연결단자는 전지의 갯수에 제한을 받지 않고 연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 본 발명의 전지를 직렬연결한 측면도
도2. 본 발명의 연결단자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전지를 직렬연결한 도면
도3. 본 발명의 연결단자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전지를 병렬연결한 도면
도4. 본 발명의 연결단자의 측면도
도5. 본 발명의 연결단자의 다른 실시예로서 위에서 내려다 본 정면도
도6. 본 발명의 연결단자의 다른 실시예로서 옆에서 바라 본 측면도
도7. 본 발명의 건전지의 모습
도8. 본 발명의 연결단자의 종류 및 단면
도9. 본 발명의 건전지의 직렬연결 단면
도10. 본 발명의 건전지의 직렬연결 도면
도11. 본 발명의 건전지의 직렬연결 원리
도12. 본 발명의 건전지의 병렬사용 도면
도13. 본 발명의 건전지의 병렬사용 이미지 도면
도14. 본 발명의 건전지의 병렬사용 단자 원리
도15. 본 발명의 건전지의 혼합연결 단자 도면
도16. 본 발명의 건전지의 혼합연결 단자 원리
도17. 본 발명의 건전지의 홀더 도면
전지의 전극에 있어서, 양극은 복록하게 형성하고, 음극은 양극의 볼록한 형상에 맞추어 오목하게 구성하는 전지의 요철형 전극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1 은 건전지의 볼록한 양극과 양극의 볼록한 구조에 맞도록 음극을 오목하게 형성한 구조의 전지가 직렬로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의 볼록한 양극전극과 오목한 음극의 구조에 맞게 양극전극 연결단자(1) 및 음극전극 연결단자(2)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전지를 직렬로 연결한 도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전극의 양극과 음극이 끼워져 맞추어 지므로 간단한 지지대나 고무밴드와 같은 결합보조구를 사용하여도 전지의 갯수에 제한을 두지 않고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전지를 병렬로 연결한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병렬연결도 직렬연결과 같이 연결단자의 위치를 변경한 것 외에는 전지의 갯수에 제한을 두지 않고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4는 본 발명 연결단자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가 전극과 접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며, 부도체는 플라스틱류로 제조되어 유연성을 가지면서 전극을 연결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전극의 단자로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말거나 접거나 하여 보관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철 형태의 전극구조의 전극 및 전극연결 단자는 그 단순한 요철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전극의 단면이 네모, 세모, 별표형, 일직선 나사모양의 산으로 전극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전극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맞추어 전극의 연결단자도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극을 연결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철형 전극을 연결하는 단자는 전극과 접하는 부분에는 도체를 이 도체를 포함하는 부분은 부도체의 플라스틱류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본원 발명의 요철형 전극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의 형태를 가진 연결단자라면 그 재질 및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예시한 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요철형 전극 연결단자에 있어서, 전극을 지지하는 부분이 뚜껑형이거나 고리형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극과 전극간 연결은 실형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5는 양극의 전극을 고리모양으로 연결한 것으로 전극이 둥근 모양으로 볼록한 경우는 원형의 고리를 사용하고, 전극이 네모 모양으로 볼록한 경우는 사각형의 고리를 사용하여 실형의 연결단자로 고리를 연결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경우도 전극과 닫는 부분은 도체를 이 도체를 포함하여 전극을 감싸는 부분은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성 재질로 제조하는 것은 동일하다. 도6은 음극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오목한 구조로 형성된 음극단자의 측면을 도시한 것으로 네모 모양은 음극의 오목한 전극의 형상에 맞추어 볼록한 형상으로 제작된 연결단자로서 음극의 오목한 부분에 끼워져 장착되며 음극의 오목한 부분에 장착된 연결단자는 실형의 연결단자로 음극전극의 장착부분을 연결하여 음극 연결단자를 구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전지의 요철형 전극의 실시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예시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한 실시예라면 균등의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실시예로 실시된다.
(1) 본 발명의 볼록한 전극의 연결단자
(2) 본 발명의 오목한 전극의 연결단자
(3) 도체(전선)
(4) 절연체(플라스틱)

Claims (4)

  1. 건전지의 전극에 있어서, 양극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별모양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모양으로 볼록하게 형성하고, 음극은 양극의 볼록한 형상에 맞추어 오목하게 구성하여 볼록한 양극전극 연결단자와 오목한 음극전극 연결단자로 직렬 또는 병렬연결하는 건전지의 요철형 전극구조.
  2. 제1항의 건전지의 요철형 전극을 연결하는 도체(3)와 부도체(4)로 구성되는 볼록한 양극전극 연결단자(1)와 오목한 음극전극 연결단자(2)인 요철형 전극 연결단자.
  3. 삭제
  4. 제2항의 요철형 전극 연결단자에 있어서, 전극을 지지하는 부분이 뚜껑형이거나 고리형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극과 전극간 연결은 실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형 전극 연결단자
KR1020110028959A 2011-03-30 2011-03-30 전지의 요철모양의 전극구조 및 이를 연결하는 전극연결단자 KR101364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959A KR101364595B1 (ko) 2011-03-30 2011-03-30 전지의 요철모양의 전극구조 및 이를 연결하는 전극연결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959A KR101364595B1 (ko) 2011-03-30 2011-03-30 전지의 요철모양의 전극구조 및 이를 연결하는 전극연결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827A KR20120110827A (ko) 2012-10-10
KR101364595B1 true KR101364595B1 (ko) 2014-02-21

Family

ID=4728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959A KR101364595B1 (ko) 2011-03-30 2011-03-30 전지의 요철모양의 전극구조 및 이를 연결하는 전극연결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3918B2 (en) 2016-12-21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protrusion and depression with resilient support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169B1 (ko) 2018-01-23 2023-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통체형 전지의 단자 접속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7620B2 (en) * 2000-04-28 2006-05-02 Apollo Energy Systems, Incorporated Multi-cellular electrical battery
KR20100005743A (ko) * 2008-07-08 2010-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전극 접속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7620B2 (en) * 2000-04-28 2006-05-02 Apollo Energy Systems, Incorporated Multi-cellular electrical battery
KR20100005743A (ko) * 2008-07-08 2010-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전극 접속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3918B2 (en) 2016-12-21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protrusion and depression with resilient support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827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635B1 (ko) 실 형태 전지 및 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TW200742148A (en) Battery suitable for preparation of battery module
WO2009154855A3 (en) Flexible voltage nested battery module design
JP2018073663A5 (ja) 電池パック及び電気機器
KR101364595B1 (ko) 전지의 요철모양의 전극구조 및 이를 연결하는 전극연결단자
CN108933221A (zh) 导电模块
US10170768B2 (en) Grid assembly for a plate-shaped battery electrode of an electrochemical accumulator battery
CN108232050A (zh) 一种电池、电池组及电动车
JP2019186001A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電池モジュール、電池パック及び電池セル接続方法
US20180026253A1 (en) Lead Acid Battery Cell Connecting Assembly
US20040142233A1 (en) Battery holder
CN208706698U (zh) 一种新型锂离子电池组
CN203859200U (zh) 24v铅酸蓄电池
CN201904389U (zh) 万能电池盒结构
US10418637B2 (en) Grid arrangement for plate-shaped battery electrode and accumulator
CN207250610U (zh) 一种供电装置
CN208655704U (zh) 一种电池、电池组及电动车
CN208478433U (zh) 一种可自由拼接的锂电池
CN102734755B (zh) 导电结构及含有该导电结构的手电筒
US20130143094A1 (en) Lithium ion battery
CN208674896U (zh) 一种纽扣电池迷你充电器
CN219677641U (zh) 立式防水电连接器及电子设备
CN211265528U (zh) 一种壳体结构、电池结构和电子设备
CN210040344U (zh) 一体化电池模组结构
KR20160001030A (ko) 플렉서블 전극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