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569B1 - 은행껍질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은행껍질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569B1
KR101363569B1 KR1020120093817A KR20120093817A KR101363569B1 KR 101363569 B1 KR101363569 B1 KR 101363569B1 KR 1020120093817 A KR1020120093817 A KR 1020120093817A KR 20120093817 A KR20120093817 A KR 20120093817A KR 101363569 B1 KR101363569 B1 KR 101363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conveyor
bank
unit
conveyor uni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호진
최익순
Original Assignee
최익순
황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익순, 황호진 filed Critical 최익순
Priority to KR1020120093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A23N5/08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for removing fleshy or fibrous hulls of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껍질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 상면에 은행이 투입되는 호퍼가 형성되고 타측 일면에 탈피된 은행 알과 껍질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박스 형태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호퍼의 투입구에 설치되어 투입구를 통해 케이스의 내부로 공급되는 은행을 낱개로 공급하는 정렬부와, 상기 정렬부를 통해 낱개로 공급된 은행을 케이스의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과,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며 은행과 접촉하는 면에 요철이 형성된 접촉부와,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이 상부 타측면에 접촉부의 요철과 대면하도록 설치되며 은행의 측면과 접촉한 상태로 은행을 케이스의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과,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과 접촉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은행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판 및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과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컨베이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껍질 탈피장치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서, 은행껍질 탈피장치가 소형화되어 운반이 용이하고 은행이 낱개로 공급되면서 껍질과 알이 분리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탈피를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은행껍질 탈피장치{AN NUTSHELL PEELING OFF APPARATUS OF GINKGO NUT}
본 발명은 은행껍질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두 개의 이송 컨베이어 유닛을 작동시키는 구조를 갖으며, 호퍼에서 이송 컨베이어 유닛으로 은행이 공급될 때 낱개로 공급될 수 있고, 은행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압력이 은행에 가해질 수 있게 은행이 지나는 통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은행으로부터 껍질과 알을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운반이 용이한 은행껍질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나무에서 수확한 은행열매에서 황갈색의 연한 외종피(外種疲)를 제거하여 중종피 즉, 은행을 얻을 수 있게 되는데 은행은 예로부터 약제로도 활용되고 있는 식품이다.
이러한 은행을 얻기 위해서는 수확한 은행열매에서 외부에 쌓인 황갈색의 연한 외종피(外種疲)를 제거하여야 하는데, 주로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수작업에 의해 탈피시킨다.
또한, 외종피가 제거된 중종피, 은행에서 껍질을 제거하여 은행 알을 얻고자 할 때에는 주로 펜치(마루펜치)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은행의 외주에 형성된 모서리를 눌러 줌으로서 모서리가 개방되면서 껍질은 2개로 양분되고, 양분된 껍질에서 은행 알을 인출함으로써 은행 알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펜치(마루펜치)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껍질을 분리시켜 탈피시킴으로써 은행의 껍질을 탈피하는 방법은 껍질을 양분하기 위하여 은행의 양면을 일측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을 이용하여 도구에 압력을 가할 때에 은행이 도구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용이하게 탈피시킬 수 없어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압력을 가하여 분리시킬 때에 압착되는 도구에 의해 은행을 파지하고 있는 손을 집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은행 껍질의 탈피는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매우 비경제적이며, 요즘과 같이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실정에 비추어 볼 때 비현실적이다.
또한, 수작업에 의한 탈피시 은행 껍질의 독성으로 인해 인체에 옻이 오르거나 피부염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작업자는 심한 악취와 피부염의 고통을 감수하면서 탈피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9672호가 개시되었다. 이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은행껍질 탈피장치를 보인 정면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은행껍질 탈피장치는 크게 공급컨베이어(2)와 투입가이드(6)와 이송체인컨베이어(10)와 압착탈피구(2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공급컨베이어(2)는 공전되는 벨트(3)의 외면에 지지돌기(4)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벨트(3)의 양측으로 가이드판(5)이 세워져 이탈되지 않도록 은행(A)을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투입가이드(6)는, 상기 공급컨베이어(2)에 의해 공급되는 은행(A)을 이송체인컨베이어(10)에 장착된 받침편(15)에 투입시켜 주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이송체인컨베이어(10)는 상기 투입가이드(6)의 배출부 하측에 설치되어 감속모터(13)에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이송체인(12)에 설치된 받침편(15)에 의해 은행(A)을 이송시켜 주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탈피구(20)는 상기 이송체인컨베이어(10)의 전방 외측에서 지지틀(28)에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이송체인컨베이어(10)에 의해 억류되어 이송되는 은행(A)의 전방 상측을 억류 압착시켜 은행(A)의 양측 모서리를 개방시켜 껍질을 분리시키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은행껍질 탈피장치는 이송체인컨베이어(10)의 상부에 압착탈피구(20)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부피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이송체인컨베이어(10)와 공급컨베이어(2)가 분리되어 투입가이드(6)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은행열매가 일렬의 처리과정을 거치는 연속 공정에 적합한 구조이다.
즉, 종래의 은행껍질 탈피장치는 식품가공 공장 등에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은행에 대한 선별공정과 세척공정을 끝낸 은행이 공급컨베이어(2)를 타고 이송체인컨베이어(10)로 이송된 후 이송체인컨베이어(10)에 설치된 받침편(15)에 은행이 위치된다. 이렇게 받침편(15)에 위치한 은행은 이송체인컨베이어(10)의 상부에 설치된 압착탈피구(20)에 의해 가압되어 은행껍질이 탈피됨으로써 은행 알과 껍질을 분리시키기 때문에 공장의 소정 영역에 공급컨베이어(2)와 이송체인컨베이어(10) 및 압착탈피구(20)가 설치된 후에는 이를 이동시킬 수 없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압착탈피구(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체인컨베이어(10)의 상부에 여러 개가 설치되기 때문에 압착탈피구(20)와 압착탈피구(2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선행 압착탈피구(20)를 통과한 은행이 다음번 압착탈피구(20)로 이송되는 과정 중에 빈 공간에서 압착탈피구에 걸려 이송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압착탈피구(20)에 걸려 은행이 이송되지 않게 되면 연속적인 탈피가 이루어지지 않아 신속한 탈피가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은행의 크기에 따른 가압력을 조절할 수 없어 부피가 큰 은행이 압착탈피구(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은행 알이 깨져 상품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9672호(2006.6.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화되어 운반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은행껍질 탈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투입구에 투입된 은행에 병목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원활하게 낱개로 이송될 수 있는 은행껍질 탈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은행의 크기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여 무리한 압력에 의해 은행 알이 깨져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은행껍질 탈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일측 상면에 은행이 투입되는 호퍼가 형성되고 타측 일면에 탈피된 은행 알과 껍질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박스 형태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호퍼의 투입구에 설치되어 투입구를 통해 케이스의 내부로 공급되는 은행을 낱개로 공급하는 정렬부와, 상기 정렬부를 통해 낱개로 공급된 은행을 케이스의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과,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며 은행과 접촉하는 면에 요철이 형성된 접촉부와,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이 상부 타측면에 접촉부의 요철과 대면하도록 설치되며 은행의 측면과 접촉한 상태로 은행을 케이스의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과,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과 접촉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은행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판 및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과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컨베이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껍질 탈피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호퍼에 형성된 투입구를 가로질러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형성되어 낱개의 은행이 안치되는 안치 홈과, 상기 안치 홈을 향해 몰려드는 은행을 솎아 하나의 은행만이 안치 홈에 안치될 수 있게 안치 홈의 양측에 형성되는 정렬 휠 및 상기 투입구의 일부를 가로막되 탄성력이 발휘되어 안치 홈에 안치된 은행만이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으로 공급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투입구를 가로막는 개폐 판과, 상기 개폐 판이 투입구에서 피벗되도록 상기 개폐 판과 호퍼를 연결하는 힌지 핀 및 상기 개폐 판의 일측과 호퍼의 외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며 요철이 형성된 푸시 바 및 상기 푸시 바의 후방에 설치되어 제 1 컨베이어 유닛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푸시 바를 밀어 푸시 바와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 부재는 상기 푸시 바의 후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며 푸시 바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케이스를 관통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케이스를 관통한 로드의 끝단에 설치되는 조절 핸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 동력으로 변환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의 벨트를 회전시키는 원동 베벨기어와 종동 베벨기어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의 벨트를 회전시키는 원동 스퍼기어와 종동 스퍼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접촉부의 푸시 바와 대면하는 양 끝단에 설치되며 컨베이어 구동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와 종동 풀리와,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와 종동 풀리에 걸쳐지며 은행과 접촉하여 이송시키는 이송 벨트 및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 풀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접촉부의 푸시 바와 대면하는 양 끝단에 설치되며 컨베이어 구동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스프로킷 휠과 종동 스프로킷 휠과,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스프로킷 휠과 종동 스프로킷 휠에 걸쳐지며 은행과 접촉하여 이송시키는 체인 벨트 및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스프로킷 휠과 종동 스프로킷 휠 사이에 설치되어 체인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 스프로킷 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인 벨트의 측면에 은행과 접촉하는 격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은행껍질 탈피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구동모터로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과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화시킬 수 있고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케이스에 마련된 호퍼의 투입구에 은행을 낱개로 공급하는 정렬부가 설치됨으로써, 호퍼의 투입구에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 은행껍질의 탈피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은행의 크기에 따라 접촉부와 제 2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벨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적정 압력을 가할 수 있어 은행 알이 상해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은행껍질 탈피장치를 보인 정면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 중 케이스를 분리하여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 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 중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 중 케이스를 분리하여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 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100)는 크게 외형을 이루며 호퍼(112)와 배출구(114)가 형성된 케이스(110)와, 상기 호퍼(112)에 담긴 은행을 낱개로 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하는 정렬부(120)와, 상기 정렬부(120)를 통해 공급된 은행을 케이스(110)의 배출구(114)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과,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에 의해 이송되는 은행을 가압하는 요철(146)이 형성된 접촉부(140)와,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과 함께 은행을 케이스(110)의 배출구(114)로 이송시키는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과,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과 접촉부(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은행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판(160) 및 상기 제 1,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150)에 동력을 제공하는 컨베이어 구동부(17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케이스(110)는 그 내부에 제 1,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150)과 차단판(160) 및 컨베이어 구동부(170)가 내설될 수 있는 박스의 형태를 갖고,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상면과 타측 일면에 각각 호퍼(112)와 배출구(1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정면에는 은행껍질 탈피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02) 및 작동 표시램프(103)가 마련된 제어 패널(101)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상면에 형성되는 호퍼(112)는 케이스(110)의 내부를 향해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이 끝나는 부분에 투입구(112a)가 형성되어 은행이 상기 호퍼(112)의 경사면에 미끄러져 투입구(112a)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투입구(112a)를 통해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으로 공급된 은행은 일렬의 과정을 거친 후 은행의 껍질이 깨어져 케이스(110)의 타측 일면에 형성된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된다.
특히, 상기 호퍼(112)의 투입구(112a)에는 정렬부(120)가 설치되어 호퍼(112)에 저장된 은행이 하나씩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단속하게 된다. 이를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6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정렬부(120)는 상기 케이스(110)에 형성된 호퍼(112)의 투입구(112a)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투입구(112a)를 통해 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은행이 하나씩 공급될 수 있도록 단속하게 된다.
즉, 상기 정렬부(120)는 호퍼(112)에 설치되는 회전축(122)과 상기 회전축(122)에 형성되는 안치 홈(124)과 상기 회전축(122)의 양측에 형성되는 정렬 휠(126) 및 탄성력이 발휘되는 스토퍼(128)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회전축(122)은 호퍼(112)에 형성된 투입구(112a)를 가로질러 형성되되 호퍼(112)에서 투입구(112a)로 안내되는 은행이 낱개로 안치될 수 있도록 대략 반달의 형상을 갖는 안치 홈(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112a)에 설치된 회전축(122)의 기단은 전기 에너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모터(121)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121)에 의해 회전축(122)이 투입구(112a)에서 회전하게 되면서 호퍼(112)에서 투입구(112a)로 안내되는 은행이 회전축(122)의 안치 홈(124)에 안치된다.
이렇게, 안치 홈(124)에 은행이 안치되면 회전축(122)이 회전모터(121)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호퍼(112)에 저장된 다수의 은행이 투입구(112a)에 일시에 몰려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22)에 형성된 안치 홈(124)의 양측에는 투입구(112a)로 일시에 몰려든 은행을 쳐주어 은행을 흔들어 솎아주는 정렬 휠(126)이 마련된다. 상기 정렬 휠(126)은 대략 스프로킷 휠과 같은 형태로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22)이 회전함에 따라 정렬 휠(126)도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투입구(112a)로 몰려든 은행들을 쳐주어 한 개의 은행만이 회전축(122)의 안치 홈(124)에 안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투입구(112a)에 설치된 회전축(122)과 인접하게 투입구(112a)의 일부를 가로막는 스토퍼(128)가 설치되어 은행이 무단으로 투입구(112a)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단속하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128)는 투입구(112a)를 가로막는 개폐 판(128a)과, 상기 개폐 판(128a)이 투입구(112a)에서 피벗되도록 상기 개폐 판(128a)과 호퍼(112)를 연결하는 힌지 핀(128b) 및 상기 개폐 판(128a)의 일측과 호퍼(112)의 외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128c)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안치 홈(124)에 안치된 은행이 회전축(122)에 의해 회전되면서 개폐 판(128a)을 밀어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으로 공급되고, 안치 홈(124)의 은행이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으로 공급된 후에는 탄성 부재(128c)에서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개폐 판(128a)이 투입구(112a)를 가로막아 호퍼(112)에 담긴 은행이 무단으로 투입구(112a)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단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호퍼(112)의 투입구(112a)에 설치된 정렬부(120)를 통과한 낱개의 은행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으로 공급된다. 즉,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마련된 지지블록(144b)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컨베이어 벨트(136)가 지지블록(144b)에 형성된 노출 홈(145)을 통해 노출된다.
즉,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은 크게 호퍼(112)의 투입구(112a)와 케이스(110)의 배출구(114)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132)와 종동 풀리(134) 및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132)와 종동 풀리(134)에 걸쳐지며 호퍼(112)의 투입구(112a)를 통해 공급된 은행이 안치되는 컨베이어 벨트(13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132)와 종동 풀리(134)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컨베이어 구동부(17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컨베이어 벨트(136)를 회전시켜 호퍼의 투입구(112a)에서 공급된 은행을 케이스(110)의 배출구(114)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상부 일측면과 타측면 각각에는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컨베이어 벨트(136)에 의해 이송되는 은행을 가압하기 위한 접촉부(140)와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이 설치된다. 이를 도 5 및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접촉부(140)는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접촉부(140)는 크게 푸시 바(142) 및 간격조절 부재(144)로 이루어진다.
특히,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과 대면하는 상기 푸시 바(142)의 일면에는 요철(146)이 형성되는데 상기 요철(14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지그재그와 같은 산과 골이 반복 형성된다.
또한, 상기 푸시 바(142)의 후방에는 푸시 바(142)를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간격조절 부재(144)가 마련된다. 상기 간격조절 부재(14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푸시 바(142)의 후방에 설치되어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즉,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을 향해 푸시 바(142)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푸시 바(142)의 일면과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간격조절 부재(144)는, 상기 푸시 바(142)의 후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며 푸시 바(142)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로드(144a)와, 상기 로드(144a)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블록(144b) 및 상기 케이스(110)를 관통한 로드(144a)의 끝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조작되는 조절 핸들(144c)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조절 핸들(144c)을 사용자가 회전조작하게 되면 조절 핸들(144c)과 일체로 형성된 로드(144a)가 지지블록(144b)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여 푸시 바(142)를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를 향해 전진시키거나 또는 후진시켜 푸시 바(142)의 일면과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특히, 상기 푸시 바(142)는 양측으로 분할된 전방 푸시 바(142a)와 후방 푸시 바(142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 푸시 바(142a)와 후방 푸시 바(142b) 사이에 코일 스프링(142c)이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전방 푸시 바(142a)의 일면에는 앞서 설명한 요철(146)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 푸시 바(142b)의 후면에는 로드(144a)가 지지된 상태에서 공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방 푸시 바(142a)와 후방 푸시 바(142b)가 이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가이드 레일(142d)이 마련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푸시 바(142)가 전방 푸시 바(142a)와 후방 푸시 바(14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푸시 바(142a)와 후방 푸시 바(142b) 사이에 코일 스프링(142c)이 설치되면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을 통해 은행이 이송되는 중에 푸시 바(142)와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 사이의 간격이 너무 가까워 은행껍질이 탈피(껍질이 용이하게 탈피될 수 있도록 껍질에 크랙을 형성)된 이후에도 무리한 압력이 가해져 은행 알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코일 스프링(142c)의 탄성력에 의해 무리한 압력이 완충된다.
한편,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은, 앞서 설명한 접촉부(140)와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은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152a)와 종동 풀리(152b), 이송 벨트(154), 장력조절 풀리(156)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152a)와 종동 풀리(152b)는 접촉부(140)의 푸시 바(142)와 대면하는 양 끝단에 각각 설치되며 아래에서 설명되는 컨베이어 구동부(170)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152a)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152a)와 종동 풀리(152b)에는 이송 벨트(154)가 걸쳐져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152a)의 회전에 따라 이송 벨트(154)가 회전하여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컨베이어 벨트(136)와 더불어 은행을 케이스(110)의 타측 일면에 형성된 배출구(114)로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152a)와 종동 풀리(152b)에 걸쳐지는 이송 벨트(154)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152a)와 종동 풀리(152b) 사이에는 장력조절 풀리(156)가 더 마련된다.
이와 같이 장력조절 풀리(156)가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152a)와 종동 풀리(152b) 사이에 마련되면,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152a)와 종동 풀리(152b) 및 장력조절 풀리(156)에 이송 벨트(154)가 걸쳐지게 되며, 상기 장력조절 풀리(156)의 이동에 따라 이송 벨트(154)를 팽팽하게 하거나 느슨하게 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140)와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상부에는 차단판(160)이 설치되어 제 1,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150)에 의해 이송되는 은행이 상부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즉, 상기 차단판(160)은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과 대면하도록 접촉부(140)와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 사이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차단판(160)은 지지블록(144b)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차단판(160)은 일측이 접촉부(140)의 상면으로 연장되고 타측이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을 향해 연장된 절곡된 판의 형상을 갖게 되는데, 상기 차단판(160)은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이송 벨트(154)의 높이보다 높게 수직면(16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162)의 상단에 접촉부(140)를 향하는 상부 수평면(164) 및 상기 수직면(162)의 하단에 지지블록(144b)의 상면과 접촉되는 하부 수평면(166)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차단판(160)의 상부 수평면(164)의 하부에는 완충면(164a)이 위치되는데, 상기 완충면(164a)의 상면에는 가이드 봉(148)이 연장되고 상기 상부 수평면(164)에는 가이드 봉(148)이 관통하는 관통 홀(16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160)과 상부 수평면(164) 사이에는 탄성력이 발휘되는 코일 스프링(149)이 마련되며, 상부 수평면(164)을 관통한 가이드 봉(148)의 끝단은 너트가 체결되어 은행이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과 접촉부(140) 사이로 이송되는 중에 상부를 향해 튀어오르더라도 차단판(160)의 완충면(164a)에 막혀 은행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촉부(140)와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이송 벨트(154) 높이보다 큰 은행이 투입되더라도 완충면(164a)과 상부 수평면(164) 사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149)의 완충에 의해 완충면(164a)이 상부로 이격되어 다양한 크기의 은행을 탈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호퍼(112)의 투입구(112a)를 통해 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급된 은행을 케이스(110)의 타측 일면에 형성된 배출구(114)로 이송시키게 되는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과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은 컨베이어 구동부(17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작동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170)는 크게 구동모터(172)와 상기 구동모터(172)의 구동축(173)에 설치되는 원동 베벨기어(174a)와 상기 원동 베벨기어(174a)와 맞물려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원동 풀리(132)를 회전시키는 종동 베벨기어(174b)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173)에 설치되는 원동 스퍼기어(176a)와 상기 원동 스퍼기어(176a)와 맞물려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원동 풀리(152a)를 회전시키는 종동 스퍼기어(176b)로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172)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 동력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172)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블록(144b)에 내설되어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모터(172)의 구동축(173)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고, 이러한 구동모터(172)의 구동축(173) 끝단에는 원동 베벨기어(174a)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원동 베벨기어(174a)는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원동 풀리(132)와 축으로 연결된 종동 베벨기어(174b)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172)의 작동에 따라 원동 베벨기어(174a)와 종동 베벨기어(174b)를 통해 동력이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으로 전달된다.
이와 함께, 상기 구동모터(172)의 구동축(173)에는 원동 스퍼기어(176a)가 마련되며, 상기 원동 스퍼기어(176a)는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원동 풀리(152a)와 축으로 연결된 종동 스퍼기어(176b)와 맞물려 구동모터(172)에서 제공되는 동력이 원동 스퍼기어(176a)와 종동 스퍼기어(176b)를 통해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170)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력전달 구조를 갖게 되면 구동모터(172)의 작동에 따라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과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을 동시에 작동시켜 은행을 이송시킬 수 있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원동 베벨기어(174a)와 종동 베벨기어(174b) 사이, 그리고 원동 스퍼기어(176a)와 종동 스퍼기어(176b) 사이에 기어박스(미도시)가 설치되어 최종적으로 입력되는 종동 베벨기어(174b)와 종동 스퍼기어(176b)의 회전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시켜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컨베이어 벨트(136)와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이송 벨트(154)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100)의 작동을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은행의 껍질을 벗겨 그 안에 있는 은행 알을 취하기 위해 은행을 케이스(110)의 일측 상면에 형성된 호퍼(112)에 넣은 후 회전모터(121)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모터(121)가 작동하게 됨에 따라 호퍼(112)의 투입구(112a)에 형성된 회전축(122)이 회전하게 되어 회전축(122)에 형성된 안치 홈(124)에 은행이 안치된다. 이때, 상기 호퍼(112)의 투입구(112a)에 다수의 은행이 한꺼번에 몰려들어 안치 홈(124)에 은행이 하나씩 안치되는 것을 방해하게 되지만 상기 회전축(122)의 양측에 형성된 정렬 휠(126)이 투입구(112a)로 몰려드는 은행을 쳐주어 솎아주기 때문에 하나의 은행만이 회전축(122)의 안치 홈(124)에 안치된다.
이렇게, 상기 회전축(122)의 안치 홈(124)에 하나의 은행만이 안치된 상태에서 회전축(122)이 회전하게 되면 안치 홈(124)에 안치된 은행이 스토퍼(128)의 개폐 판(128a)을 밀고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컨베이어 벨트(136)의 상면으로 공급된다.
이렇게, 안치 홈(124)에 은행이 이탈하게 되면 개방되었던 스토퍼(128)의 개폐 판(128a)이 탄성 부재(128c)에서 발휘되는 탄성력에 위해 투입구(112a)를 닫아 은행이 무단으로 투입구(112a)를 통과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호퍼(112)의 투입구(112a)에 설치된 정렬부(120)를 통과한 낱개의 은행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과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기단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공급된 낱개의 은행은 컨베이어 구동부(17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과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에 의해 배출구(114)가 형성된 케이스(110)의 타측 일면으로 이송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과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기단에서 선단으로 낱개의 은행이 이송되는 과정 중에 은행은 접촉부(140)와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이송 벨트(154)에 압착된 상태로 통과하게 되면서 은행의 껍질이 깨지게 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접촉부(140)의 푸시 바(142) 일면에는 산과 골로 이루어진 요철(14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은행이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을 통과하는 중에 푸시 바(142)와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이송 벨트(154) 사이에 압착된 상태로 이송하게 되며, 이때 요철(146)의 산과 골에 은행의 껍질이 반복적으로 충돌하게 된다.
이와 같이 푸시 바(142)의 요철(146)에 은행의 껍질이 반복적으로 충돌하게 되면 은행의 껍질에 크랙과 같은 금이 형성되어 은행을 싸고 있던 껍질이 탈피되어 은행 알이 노출되어 케이스(110)에 형성된 배출구(114)를 통해 은행 알과 탈피된 껍질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이송 벨트(154)와 푸시 바(142) 사이의 간격보다 은행이 크거나 작은 경우 상기 푸시 바(142)에 설치된 간격조절 부재(144)를 조작하여 이송 벨트(154)와 푸시 바(14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은행 알을 싸고 있는 은행껍질에 크랙이 발생할 정도의 적정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푸시 바(142)의 후방에 설치된 간격조절 부재(144)의 조절 핸들(144c)을 사용자가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푸시 바(142)가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이송 벨트(154)를 향해 전진 또는 후진하여 은행의 껍질이 깨질 수 있는 적정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이송 벨트(154)와 푸시 바(14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100)는 하나의 구동모터(172)로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과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화시킬 수 있고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케이스(110)에 마련된 호퍼(112)의 투입구(112a)에 은행을 낱개로 공급하는 정렬부(120)가 설치됨으로써, 호퍼(112)의 투입구(112a)에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 은행껍질의 탈피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은행의 크기에 따라 접촉부(140)와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이송 벨트(15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은행에 적정 압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은행 알이 상해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이송 벨트(154)가 체인 벨트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탈피장치 중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이송 벨트(154)를 대체하여 체인 벨트(154-1)가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이송 벨트(154)는 대부분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컨베이어 벨트(136)와 같은 직물 또는 구부려지거나 휘어지는 성질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송 벨트(154)가 장시간 은행껍질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 경우 이송 벨트(154)가 마모되면서 절단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 벨트(154)를 대체하여 금속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체인 벨트(154-1)가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에 설치됨으로써 은행껍질의 탈피 중에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이 고장나 멈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 벨트(154)를 체인 벨트(154-1)로 대체하기 위해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은, 상기 접촉부(140)의 푸시 바(142)와 대면하는 양 끝단에 설치되며 컨베이어 구동부(170)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스프로킷 휠(152a-1)과 종동 스프로킷 휠(152b-1)과,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스프로킷 휠(152a-1)과 종동 스프로킷 휠(152b-1)에 걸쳐지며 은행과 접촉하여 이송시키는 체인 벨트(154-1) 및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스프로킷 휠(152a-1)과 종동 스프로킷 휠(152b-1) 사이에 설치되어 체인 벨트(154-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 스프로킷 휠(156-1)로 구성된다(도 5 참조).
특히, 상기 체인 벨트(154-1)의 측면에는 은행과 접촉하는 격벽(154-2)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체인 벨트(154-1)는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컨베이어 벨트(136)의 평면과 유사한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체인 벨트(154-1)의 측면에 접촉부(140)의 푸시 바(142) 일면과 대면하도록 격벽(154-2)이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격벽(154-2)의 높이는 푸시 바(142)의 일면 높이와 대등하게 형성되어 은행이 이송되는 중에 가압되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00 : 은행껍질 탈피장치 110 : 케이스
112 : 호퍼 112a : 투입구
114 : 배출구 120 : 정렬부
121 : 회전모터 122 : 회전축
124 : 안치 홈 126 : 정렬 휠
128 : 스토퍼 128a : 개폐 판
128b : 힌지 핀 128c : 탄성 부재
130 :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 140 : 접촉부
142 : 푸시 바 142a : 전방 푸시 바
142b : 후방 푸시 바 144 : 간격조절 부재
144a : 로드 144b : 지지블록
144c : 조절 핸들 146 : 요철
148 : 가이드 봉 150 :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
152a : 원동 풀리 152b : 종동 풀리
154 : 이송 벨트 156 : 장력조절 풀리
160 : 차단판 162 : 수직면
164 : 상부 수평면 166 : 하부 수평면
168 : 관통 홀 170 : 컨베이어 구동부
172 : 구동모터 173 : 구동축
174a : 원동 베벨기어 174b : 종동 베벨기어
176a : 원동 스퍼기어 176b : 종동 스퍼기어

Claims (9)

  1. 일측 상면에 은행이 투입되는 호퍼(112)가 형성되고 타측 일면에 탈피된 은행 알과 껍질을 배출하는 배출구(114)가 형성된 박스 형태의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에 형성된 호퍼(112)의 투입구(112a)에 설치되어 투입구(112a)를 통해 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은행을 낱개로 공급하는 정렬부(120);
    상기 정렬부(120)를 통해 낱개로 공급된 은행을 케이스(110)의 배출구(114)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며 은행과 접촉하는 면에 요철(146)이 형성된 접촉부(140);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이 상부 타측에 접촉부(140)의 요철(146)과 대면하도록 설치되며 은행의 측면과 접촉한 상태로 은행을 케이스(110)의 배출구(114)로 이송시키는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과 접촉부(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은행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판(160); 및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과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에 동력을 제공하는 컨베이어 구동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껍질 탈피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120)는,
    상기 호퍼(112)에 형성된 투입구(112a)를 가로질러 회전하는 회전축(122);
    상기 회전축(122) 상에 형성되어 낱개의 은행이 안치되는 안치 홈(124);
    상기 안치 홈(124)을 향해 몰려드는 은행을 솎아 하나의 은행만이 안치 홈(124)에 안치될 수 있게 안치 홈(124)의 양측에 형성되는 정렬 휠(126); 및
    상기 투입구(112a)의 일부를 가로막되 탄성력이 발휘되어 안치 홈(124)에 안치된 은행만이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으로 공급시키는 스토퍼(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껍질 탈피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28)는,
    상기 투입구(112a)를 가로막는 개폐 판(128a);
    상기 개폐 판(128a)이 투입구(112a)에서 피벗되도록 상기 개폐 판(128a)과 호퍼(112)를 연결하는 힌지 핀(128b);
    상기 개폐 판(128a)의 일측과 호퍼(112)의 외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128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껍질 탈피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140)는,
    상기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며 요철(146)이 형성된 푸시 바(142); 및
    상기 푸시 바(142)의 후방에 설치되어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푸시 바(142)를 밀어 푸시 바(142)와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 부재(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껍질 탈피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 부재(144)는,
    상기 푸시 바(142)의 후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며 푸시 바(142)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케이스(110)를 관통하는 로드(144a);
    상기 로드(144a)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케이스(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블록(144b); 및
    상기 케이스(110)를 관통한 로드(144a)의 끝단에 설치되는 조절 핸들(14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껍질 탈피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170)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 동력으로 변환하는 구동모터(172);
    상기 구동모터(172)의 구동축(173)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제 1 이송 컨베이어 유닛(130)의 컨베이어 벨트(136)를 회전시키는 원동 베벨기어(174a)와 종동 베벨기어(174b); 및
    상기 구동모터(172)의 구동축(173)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173)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의 이송 벨트(154)를 회전시키는 원동 스퍼기어(176a)와 종동 스퍼기어(17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껍질 탈피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은,
    상기 접촉부(140)의 푸시 바(142)와 대면하는 양 끝단에 설치되며 컨베이어 구동부(170)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152a)와 종동 풀리(152b);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152a)와 종동 풀리(152b)에 걸쳐지며 은행과 접촉하여 이송시키는 이송 벨트(154); 및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풀리(152a)와 종동 풀리(152b)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 벨트(154)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 풀리(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껍질 탈피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150)은,
    상기 접촉부(140)의 푸시 바(142)와 대면하는 양 끝단에 설치되며 컨베이어 구동부(170)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스프로킷 휠(152a-1)과 종동 스프로킷 휠(152b-1);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스프로킷 휠(152a-1)과 종동 스프로킷 휠(152b-1)에 걸쳐지며 은행과 접촉하여 이송시키는 체인 벨트(154-1); 및
    상기 제 2 이송 컨베이어 유닛측 원동 스프로킷 휠(152a-1)과 종동 스프로킷 휠(152b-1) 사이에 설치되어 체인 벨트(154-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 스프로킷 휠(15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껍질 탈피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체인 벨트(154-1)의 측면에 은행과 접촉하는 격벽(15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껍질 탈피장치.
KR1020120093817A 2012-08-27 2012-08-27 은행껍질 탈피장치 KR101363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817A KR101363569B1 (ko) 2012-08-27 2012-08-27 은행껍질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817A KR101363569B1 (ko) 2012-08-27 2012-08-27 은행껍질 탈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569B1 true KR101363569B1 (ko) 2014-02-18

Family

ID=5027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817A KR101363569B1 (ko) 2012-08-27 2012-08-27 은행껍질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5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6062A (zh) * 2015-09-23 2016-02-17 浙江大学 一种挤压式手剥山核桃破壳机
KR20180090540A (ko) * 2017-02-03 2018-08-13 윤기석 은행 탈피장치
KR20230052852A (ko) * 2021-10-13 2023-04-20 신영식 부추 탈피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521Y1 (ko) 2001-08-31 2001-11-24 이홍곤 밤톨 박피장치
KR200419672Y1 (ko) 2006-03-30 2006-06-23 윤창중 은행껍질 탈피장치
KR100638389B1 (ko) 2006-03-28 2006-10-27 박재명 은행껍질 파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521Y1 (ko) 2001-08-31 2001-11-24 이홍곤 밤톨 박피장치
KR100638389B1 (ko) 2006-03-28 2006-10-27 박재명 은행껍질 파쇄기
KR200419672Y1 (ko) 2006-03-30 2006-06-23 윤창중 은행껍질 탈피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6062A (zh) * 2015-09-23 2016-02-17 浙江大学 一种挤压式手剥山核桃破壳机
KR20180090540A (ko) * 2017-02-03 2018-08-13 윤기석 은행 탈피장치
KR102083850B1 (ko) * 2017-02-03 2020-03-03 윤기석 은행 탈피장치
KR20230052852A (ko) * 2021-10-13 2023-04-20 신영식 부추 탈피기
KR102640108B1 (ko) 2021-10-13 2024-02-23 신영식 부추 탈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521B1 (ko) 은행껍질 탈피기
US2897536A (en) Poultry boning machine
KR101363569B1 (ko) 은행껍질 탈피장치
KR20190021119A (ko) 전복 세척장치
WO2002063268A3 (en) Bulk vessel feeder
US20110001290A9 (en) Counter sorting device
US4630725A (en) Apparatus for arranging articles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162465B1 (ko) 양파껍질 탈피장치
KR101257019B1 (ko) 밤껍질 가공장치
KR200419672Y1 (ko) 은행껍질 탈피장치
PL1570919T3 (pl) Urządzenie do sortowania zwłaszcza stałych materiałów
JP6501328B1 (ja) バナナの皮剥き方法及びバナナの皮剥き装置
US2319757A (en) Nut-cracking apparatus
KR100849483B1 (ko) 고추 분리기
KR101695730B1 (ko) 마늘꼭지 절단기의 절단장치
US3847070A (en) Machine to cut the ends off onions or the like
US6409007B1 (en) Mechanism for automatically directing and dispensing parts
US2714411A (en) Cherry stemming and sorting machine and method
US4789055A (en) Apparatus for arranging articles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7280027B (zh) 自动葡萄去皮机
US3515188A (en) Prepared citrus fruit processing apparatus
US1982742A (en) Fruit juice extractor
US1878099A (en) Apparatus for producing citrous fruit juices
US4934028A (en) Apparatus for deheading and grading shrimp
US200902694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green on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