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274B1 -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274B1
KR101363274B1 KR1020110143505A KR20110143505A KR101363274B1 KR 101363274 B1 KR101363274 B1 KR 101363274B1 KR 1020110143505 A KR1020110143505 A KR 1020110143505A KR 20110143505 A KR20110143505 A KR 20110143505A KR 101363274 B1 KR101363274 B1 KR 101363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ojectile
solvent
fir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5212A (ko
Inventor
송민규
Original Assignee
휴먼스화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먼스화공(주) filed Critical 휴먼스화공(주)
Priority to KR1020110143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2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4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 F42B12/48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smoke-producing, e.g. infrared clou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9/00Equipment for attack or defence by spreading flame, gas or smoke or leurres; Chemical warfare equipment
    • F41H9/06Apparatus for generating artificial fog or smoke 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3/00Manufacture of ammunition; Dismantling of ammunition;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에 관한 것으로, 발사체의 외관을 형성하고, 완전 연소되는 발사 본체, 상기 발사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발사 본체의 연소를 가속시키기 위한 본체 홀, 상기 발사 본체의 일측에서 상기 본체 홀을 덮도록 장착되어 발사 본체의 점화 시간을 조절하는 지연수단 및 상기 지연수단에 부착되어 발사 본체를 점화하기 위한 착화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Projectile without empty cartrid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사체를 발사한 후에 발사체의 잔존물이 남지 않도록 발사체 자체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막탄은 점화시에 연막을 생성함으로써 시야를 방해하는 스크린으로서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막탄은 군용, 밀리터리 게임, 폭죽 또는 자기 방어용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상기 연막탄은 연막수류탄 등의 투척식과 신호탄식의 발사식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연막탄은 발사 방식에 따라 뇌관에 의한 타격식, 도화선에 의한 직접 점화식 또는 전기뇌관을 이용한 전기점화식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연막탄은 연료, 산화제, 냉각제, 염료 및 결합제로 구성되어 있는데, 연료로는 유황, 산화제로는 염소산칼륨, 냉각제로는 중탄산나트륨, 염료로는 벤젠스톤 외의 4종 및 결합제로는 용제인 아세톤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연막탄은 산화제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연료가 연소함으로써 열과 가스를 발생시키고, 염료는 반응열을 흡수해 기체화하는 과정에서 가스를 방출하여 연막을 분출한다.
상기 연막탄에 대한 기술의 일례가 한국등록특허 제10-0418651호(2004. 02. 02 등록)에 건상충전 연막탄(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이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은 투척식 연막탄(10)에 관한 것으로, 탄체(1), 자당을 주재료로 한 건상 입자상태의 연막제(2), 건상 입자상태의 착화제(3), 상기 착화제(3)를 점화시키기 위한 격발수단 및 신관(4)으로 구성된 연막탄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발사식 연막탄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24855호(2001.03.12 등록)에 주간 행사용 연막탄(이하, '종래기술2'라 함)이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2는 축하 행사시 연막탄을 공중에 쏘아 올려 비행하는 과정에서 각종 색상의 연막을 발사 초기부터 목적지까지 분출하도록 하여 주간에 연막 식별을 용이하게 하여 축하객들의 축하 분위기를 고조시킬 수 있고, 연막 완료 후 연막통을 공중에서 자체폭발시켜 종이 조각편이 날리면서 내려오도록 하여 관중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주간 행사용 연막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2는 내부 중앙에 점화 폭발하여 추진력을 가할 수 있는 추진제(11)가 충진된 추진컵(12), 상기 추진컵(12)의 상부에는 내부에 전달도화선과 폭발탄이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막제(13)를 충진하고 상·하측으로 연막제(13) 연소시 화염분출을 억제시킬 수 있는 화염차단망(14)이 설치되며 양측단부에 연막분출공(15)이 천공된 연막통 마개(16)를 끼워 고정하되 상측의 연막통 마개(16) 중앙에는 내부도화선과 간섭할 수 있는 초기점화 도화선(17)을 고정한 지관으로 된 연막통(18), 추진컵(12)과 연막통(18) 사이에는 전달도화선(19)에 의해 전달된 화염이 추진컵의 추진제(11)를 점화할 수 있도록 연결 도화선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은 연막탄이 모두 연소한 후에 탄체가 남는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2는 연막통이 공중에서 자체폭발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대로 땅으로 떨어져 안전사고 또는 화재의 염려가 있고, 연막통이 자체폭발하더라도 종이 조각편이 땅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연막탄의 잔존물이 남는다는 단점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발사 후에 발사 본체의 잔존물이 남지 않도록 발사 본체 자체를 연소시켜 종래 탄피의 낙하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성을 없앨 수 있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반드시 제조되었던 탄피제조 공정을 제거함으로써 발사체의 제조공정, 발사체의 무게 및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사체를 발사하는 동안 가해지는 고압에도 발사 본체의 외형을 유지하면서 공중으로 발사할 수 있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사체를 원활하게 연소시킬 수 있는 연소 공간을 발사체 내부에 마련함으로써 종래 연소 잔존물의 발생으로 연막 분출구가 막혀 발생하는 연막 분출의 성능 저하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사체의 연소 공간 내측에 발음제를 충전하여 효과음을 생성할 수 있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에 의하면, 발사체의 외관을 형성하고, 연막을 분출하는 동안 완전연소되는 발사 본체, 상기 발사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발사 본체의 연소를 가속시키기 위한 본체 홀, 상기 발사 본체의 일측에서 상기 본체 홀을 덮도록 장착되어 발사 본체의 점화 시간을 조절하는 지연수단 및 상기 지연수단에 부착되어 발사 본체를 점화하기 위한 착화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에 의하면, 상기 발사 본체는 염료 40중량%, 산화제 8중량% 내지 35중량%, 가연제 1중량% 내지 25중량% 및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용제의 무게 비는 상기 염료, 상기 산화제 및 상기 가연제 전체의 무게 비에 대해 1중량% 내지 20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에 의하면, 상기 염료는 무기염료 또는 염색약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제는 염소산칼륨 또는 질산칼륨을 포함하며, 상기 가연제는 유황 또는 전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에 의하면, 상기 지연수단은 질산칼륨 65중량% 내지 85중량%, 유황 5중량% 내지 25중량%, 삼유화안티몬 1중량% 내지 8중량% 및 전분 1중량%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에 의하면, 상기 착화수단은 질산칼륨 65중량% 내지 85중량%, 유황 5중량% 내지 25중량% 및 숯 1중량%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에 의하면, 상기 본체 홀은 상기 발사 본체의 연소를 촉진하고, 상기 발사 본체의 연소로부터 방출된 연막을 상기 발사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에 의하면, 상기 본체 홀의 일부 영역에 장착되어 효과음을 생성하기 위한 발음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에 의하면, 상기 발음수단은 산화제 20중량% 내지 40중량%, 안정제 3중량% 내지 15중량%, 위력증대제 20중량% 내지 40중량%, 접착제 1중량% 내지 10중량%, 제1용제 5중량% 내지 17중량% 및 제2용제 3중량% 내지 2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발음수단의 산화제는 과염소산칼륨 또는 염소산칼륨, 상기 발음수단의 안정제는 붕사, 상기 위력증대제는 알루미늄, 상기 접착제는 전분, 상기 제1용제는 용수 및 상기 제2용제는 알코올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에 의하면, 상기 본체 홀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 홀 및 상기 발음수단을 이격하는 제1밀봉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 홀 및 상기 지연수단 사이에는 상기 본체 홀을 한정하는 제2밀봉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에 의하면, 발사 본체를 형성하기 위한 원료를 개량 및 사분하는 단계, 상기 원료를 1차 혼화제로 형성하는 1차 혼화 단계, 상기 1차 혼화제에 용제를 혼화하는 2차 혼화 단계, 상기 발사 본체를 압축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발사 본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발사 본체를 압축 성형한 후에, 상기 발사 본체에 지연수단, 착화수단 및 발음수단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원료는 염료 40중량%, 산화제 8중량% 내지 35중량%, 가연제 1중량% 내지 2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염료는 무기염료 또는 염색약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제는 염소산칼륨 또는 질산칼륨을 포함하며, 상기 가연제는 유황 또는 전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용제의 무게 비는 상기 염료, 상기 산화제 및 상기 가연제 전체의 무게 비에 대해 1중량% 내지 20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지연수단은 질산칼륨 65중량% 내지 85중량%, 유황 5중량% 내지 25중량%, 삼유화안티몬 1중량% 내지 8중량% 및 전분 1중량% 내지 1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착화수단은 질산칼륨 65중량% 내지 85중량%, 유황 5중량% 내지 25중량% 및 숯 1중량%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발음수단은 산화제 20중량% 내지 40중량%, 안정제 3중량% 내지 15중량%, 위력증대제 20중량% 내지 40중량%, 접착제 1중량% 내지 10중량%, 제1용제 5중량% 내지 17중량% 및 제2용제 3중량%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발음수단의 산화제는 과염소산칼륨 또는 염소산칼륨, 상기 발음수단의 안정제는 붕사, 상기 위력증대제는 알루미늄, 상기 접착제는 전분, 상기 제1용제는 용수 및 상기 제2용제는 알코올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압축 성형 단계는 50톤 내지 100톤의 무게 및 1초 내지 120초의 시간 범위 내에서 고압프레스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건조 단계는 50℃ 내지 100℃의 온도 및 12 시간 내지 100 시간의 시간 범위에서 열풍에 의해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발사 후에 발사 본체의 잔존물이 남지 않도록 발사 본체 자체를 연소시켜 종래 탄피의 낙하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성을 없애고 발사체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종래에 반드시 제조되었던 탄피제조 공정을 제거함으로써 발사체의 제조공정, 발사체의 무게 및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발사체를 발사하는 동안 가해지는 고압에도 발사 본체의 외형을 유지하면서 공중으로 발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발사체를 원활하게 연소시킬 수 있는 연소 공간을 발사체 내부에 마련함으로써 종래 연소 잔존물의 발생으로 연막 분출구가 막혀 발생하는 연막 분출의 성능 저하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상충전 연막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발사식 연막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취하여 그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취하여 그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체(100)는 발사체(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연막을 분출하는 동안 완전연소되는 발사 본체(31)를 구비한다. 상기 발사 본체(31)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사 본체(31)는 공중으로 발사되어 소정 시간 후에 완전 연소함으로써 발사체(100)의 잔존물, 예를 들어 탄피가 낙하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 탄피의 낙하로 인한 사상자 발생 또는 화재 등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사 본체(31)는 뇌관에 의한 타격식, 도화선에 의한 직접 점화식 및 전기 뇌관을 이용한 전기 점화식 등 모든 종류의 발사 방식에 의해 발사될 수 있다.
상기 발사 본체(31)는 연막의 색깔을 형성하는 염료, 연소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연소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산화제, 연소를 돕기 위한 가연제 및 발사 본체(31)를 단단하게 하기 위한 용제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발사 본체(31)는 염료 40중량%, 산화제 8중량% 내지 35중량%, 가연제 1중량% 내지 25중량%의 무게 비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료는 무기염료 또는 염색약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제는 염소산칼륨 또는 질산칼륨을 포함하며, 상기 가연제는 유황 또는 전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제의 무게 비는 염료, 산화제 및 가연제 전체의 무게 비에 대해 1중량% 내지 20중량%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사 본체(31)의 내측에는 발사 본체(31)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본체 홀(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 홀(33)은 연소시 산소를 공급하여 발사 본체(31)의 연소를 촉진하고, 상기 발사 본체(31)의 연소로부터 방출된 연막을 발사체(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막 배출홀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사체(100)는 본체 홀(33)을 통해서 발사체(100)의 연막 분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 홀(33)의 내부 일측 끝단에는 발사체(100)의 연소시 효과음을 생성하기 위한 발음수단(35)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발음수단(35)은 산화제 20중량% 내지 40중량%, 안정제 3중량% 내지 15중량%, 위력증대제 20중량% 내지 40중량%, 접착제 1중량% 내지 10중량%, 제1용제 5중량% 내지 17중량% 및 제2용제 3중량% 내지 2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제는 연소시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안정제는 발음수단(35)의 화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위력증대제는 연소 연료 및 파워의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접착제는 발사 본체(31)의 압축성형 및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용제는 접착제의 용제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제2용제는 연료의 용제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발음수단(35)의 산화제는 과염소산칼륨 또는 염소산칼륨, 상기 발음수단(35)의 안정제는 붕사, 상기 위력증대제는 알루미늄, 상기 접착제는 전분, 상기 제1용제는 용수 및 상기 제2용제는 알코올을 포함한다. 상기 발음수단(35)은 본체 홀(33)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밀봉부재(37)에 의해 본체 홀(33)과 분리된다. 상기 제1밀봉부재(37)는 연소 및 분리에 적합한 재질, 예를 들어 종이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사 본체(31)의 상부에 본체 홀(33)을 덮는 지연수단(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연수단(39)은 발사 본체(31)의 점화 시간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연수단(39)은 발사체(100)가 공중으로 발사되고, 소정시간이 흐른 뒤에 발사 본체(31)가 연소하도록 발사체(100)의 고도를 조절한다. 상기 지연수단(39)은 질산칼륨 65중량% 내지 85중량%, 유황 5중량% 내지 25중량%, 삼유화안티몬 1중량% 내지 8중량% 및 전분 1중량%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발사체(100)는 지연수단(39)이 장착된 발사 본체(31)의 일단이 단차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발사 본체(31)를 균일하게 연소시킬 수 있다.
상기 지연수단(39) 및 본체 홀(33) 사이에는 본체 홀(33)을 한정하는 제2밀봉부재(4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밀봉부재(41)는 제1밀봉부재(37)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연수단(39)의 표면에는 발사 본체(31)를 점화하기 위한 착화수단(43)이 구비된다. 상기 착화수단(43)은 질산칼륨 65중량% 내지 85중량%, 유황 5중량% 내지 25중량% 및 숯 1중량% 내지 2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은 발사 본체(31)를 형성하기 위한 원료를 개량 및 사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51). 상기 단계 S51은 원료, 즉 염료, 산화제 및 가연제의 각각을 정량으로 계량하고, 상기 원료의 각각을 50메시 내지 150메시로 분쇄하여 사분한다.
상기 염료는 무기염료 또는 염색약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제는 염소산칼륨 또는 질산칼륨을 포함하며, 상기 가연제는 유황 또는 전분을 포함한다. 상기 염료는 발사 본체(31)의 연소시 생성되는 연막의 색깔을 형성하고, 상기 산화제는 발사 본체(31)의 연소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연소 속도를 조절한다.
상기 단계 S51 후에, 상기 염료, 산화제 및 가연제의 각각을 정량으로 혼화하는 1차 혼화 단계를 수행한다(S52). 이 경우, 상기 원료는 염료, 산화제 및 가연제를 염료 40중량%, 산화제 8중량% 내지 35중량%, 가연제 1중량% 내지 25중량%의 범위 내에서 1차 혼화제를 혼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계 S52는 원료를 혼화하기 전에 통상의 건조과정을 거친 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S52 후에, 상기 1차 혼화제 및 발사 본체(31)를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용제를 혼화하여 제2혼화제로 형성하는 2차 혼화 단계를 수행한다(S53). 상기 단계S53에서, 상기 용제의 무게 비는 염료, 산화제 및 가연제 전체의 무게 비에 대해 1중량% 내지 20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S53 후에, 2차 혼화제를 정량 계량한 후에 압축 성형하여 발사 본체(31)를 형성한다(S54). 상기 발사 본체(31)는 50톤 내지 100톤의 무게 및 1초 내지 120초의 시간 범위 내에서 고압프레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사 본체(3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사 본체(31)의 내측에는 발사 본체(31)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본체 홀(33)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2차 혼화제를 고압프레스로 압축하여 발사체를 형성함으로써 발사 후에 발사 본체(31)의 잔존물, 예를 들어 탄피가 남지 않도록 발사 본체(31) 자체를 연소시켜 종래 탄피의 낙하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성을 없애고 발사체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사체는 종래에 반드시 제조되었던 탄피제조 공정을 제거함으로써 발사체의 제조공정, 발사체의 무게 및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고, 발사체를 발사하는 동안 가해지는 고압에도 발사 본체(31)의 외형을 유지하면서 공중으로 발사될 수 있다.
상기 단계 S54 후에, 상기 발사 본체(31)에 지연수단(39), 착화수단(43) 및 발음수단(35)이 차례로 장착된다(S55, S56, S57). 이 경우, 상기 발음수단(35)은 발사 본체(31) 상에 지연수단(39)을 형성하기 전에 먼저 형성될 수도 있다(S65).
상기 발음수단(35)은 본체 홀(33)의 내부 일측 끝단에는 발사체(100)의 연소시 효과음을 생성시킨다. 상기 발음수단(35)은 산화제 20중량% 내지 40중량%, 안정제 3중량% 내지 15중량%, 위력증대제 20중량% 내지 40중량%, 접착제 1중량% 내지 10중량%, 제1용제 5중량% 내지 17중량% 및 제2용제 3중량% 내지 2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제는 연소시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안정제는 발음수단(35)의 화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위력증대제는 연소 연료 및 파워의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접착제는 발사 본체(31)의 압축성형 및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용제는 접착제의 용제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제2용제는 연료의 용제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발음수단(35)의 산화제는 과염소산칼륨 또는 염소산칼륨, 상기 발음수단(35)의 안정제는 붕사, 상기 위력증대제는 알루미늄, 상기 접착제는 전분, 상기 제1용제는 용수 및 상기 제2용제는 알코올을 포함한다. 상기 발음수단(35)을 형성하기 전에 본체 홀(33)의 내측에 제1밀봉부재(37)를 먼저 형성하여 발음수단(35) 및 본체 홀(33)을 서로 이격할 수 있다.
상기 지연수단(39)은 발사 본체(31)의 상부에 본체 홀(33)을 덮도록 형성되어 발사 본체(31)의 점화 시간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연수단(39)은 발사체(100)가 공중으로 발사되고, 소정시간이 흐른 뒤에 60m 내지 80m 상공에서 발사 본체(31)가 연소하도록 발사체(100)의 고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연수단(39)은 질산칼륨 65중량% 내지 85중량%, 유황 5중량% 내지 25중량%, 삼유화안티몬 1중량% 내지 8중량% 및 전분 1중량%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발사체(100)는 지연수단(39)이 장착된 발사 본체(31)의 일단이 단차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발사 본체(31)를 균일하게 연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연수단(39)을 본체 홀(33) 상에 형성하기 전에 지연수단(39)이 본체 홀(33)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본체 홀(33)을 보호하기 위한 제2밀봉부재(41)가 본체 홀(33) 상에 먼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연수단(39)의 표면에는 발사체(100)가 발사된 후 상공에서 발사 본체(31)를 점화히기 위한 착화수단(43)이 형성된다(S56). 상기 착화수단(43)은 질산칼륨 65중량% 내지 85중량%, 유황 5중량% 내지 25중량% 및 숯 1중량% 내지 20중량%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연수단(39), 착화수단(43) 및 발음수단(35)이 형성된 후에, 발사체(100)를 건조하는 건조 단계가 수행된다(S58). 상기 단계 S58은 50℃ 내지 100℃의 온도 및 12 시간 내지 100 시간의 시간 범위에서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지 않은 단계 S61 내지 단계 S64 및 단계 S66 내지 S68은 단계 S51 내지 단계 S56 및 단계 S58과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31: 발사 본체 33: 본체 홀
35: 발음수단 39: 지연수단
43: 착화수단 100: 발사체

Claims (17)

  1. 발사체의 외관을 형성하고, 연막을 분출하는 동안 완전연소되는 발사 본체;
    상기 발사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발사 본체의 연소를 가속시키기 위한 본체 홀;
    상기 발사 본체의 일측에서 상기 본체 홀을 덮도록 장착되어 발사 본체의 점화 시간을 조절하는 지연수단; 및
    상기 지연수단에 부착되어 발사 본체를 점화하기 위한 착화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지연수단은 질산칼륨 65중량% 내지 85중량%, 유황 5중량% 내지 25중량%, 삼유화안티몬 1중량% 내지 8중량% 및 전분 1중량%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 본체는 염료 40중량%, 산화제 8중량% 내지 35중량%, 가연제 1중량% 내지 25중량% 및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용제의 무게 비는 상기 염료, 상기 산화제 및 상기 가연제 전체의 무게 비에 대해 1중량% 내지 20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무기염료 또는 염색약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제는 염소산칼륨 또는 질산칼륨을 포함하며, 상기 가연제는 유황 또는 전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수단은 질산칼륨 65중량% 내지 85중량%, 유황 5중량% 내지 25중량% 및 숯 1중량%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홀은 상기 발사 본체의 연소를 촉진하고, 상기 발사 본체의 연소로부터 방출된 연막을 상기 발사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7. 발사체의 외관을 형성하고, 연막을 분출하는 동안 완전연소되는 발사 본체;
    상기 발사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발사 본체의 연소를 가속시키기 위한 본체 홀;
    상기 발사 본체의 일측에서 상기 본체 홀을 덮도록 장착되어 발사 본체의 점화 시간을 조절하는 지연수단; 및
    상기 지연수단에 부착되어 발사 본체를 점화하기 위한 착화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본체 홀의 일부 영역에 장착되어 효과음을 생성하기 위한 발음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홀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 홀 및 상기 발음수단을 이격하는 제1밀봉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본체 홀 및 상기 지연수단 사이에는 상기 본체 홀을 한정하는 제2밀봉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수단은 산화제 20중량% 내지 40중량%, 안정제 3중량% 내지 15중량%, 위력증대제 20중량% 내지 40중량%, 접착제 1중량% 내지 10중량%, 제1용제 5중량% 내지 17중량% 및 제2용제 3중량% 내지 2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발음수단의 산화제는 과염소산칼륨 또는 염소산칼륨, 상기 발음수단의 안정제는 붕사, 상기 위력증대제는 알루미늄, 상기 접착제는 전분, 상기 제1용제는 용수 및 상기 제2용제는 알코올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9. 삭제
  10. 발사 본체를 형성하기 위한 원료를 개량 및 사분하는 단계;
    상기 원료를 1차 혼화제로 형성하는 1차 혼화 단계;
    상기 1차 혼화제에 용제를 혼화하는 2차 혼화 단계;
    상기 발사 본체를 압축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발사 본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사 본체를 압축 성형한 후에,
    상기 발사 본체에 지연수단, 착화수단 및 발음수단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염료 40중량%, 산화제 8중량% 내지 35중량%, 가연제 1중량% 내지 2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무기염료 또는 염색약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제는 염소산칼륨 또는 질산칼륨을 포함하며, 상기 가연제는 유황 또는 전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의 무게 비는 염료, 산화제 및 가연제 전체의 무게 비에 대해 1중량% 내지 20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
  15. 발사 본체를 형성하기 위한 원료를 개량 및 사분하는 단계;
    상기 원료를 1차 혼화제로 형성하는 1차 혼화 단계;
    상기 1차 혼화제에 용제를 혼화하는 2차 혼화 단계;
    상기 발사 본체를 압축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발사 본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사 본체를 압축 성형한 후에,
    상기 발사 본체에 지연수단, 착화수단 및 발음수단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연수단은 질산칼륨 65중량% 내지 85중량%, 유황 5중량% 내지 25중량%, 삼유화안티몬 1중량% 내지 8중량% 및 전분 1중량% 내지 1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착화수단은 질산칼륨 65중량% 내지 85중량%, 유황 5중량% 내지 25중량% 및 숯 1중량%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발음수단은 산화제 20중량% 내지 40중량%, 안정제 3중량% 내지 15중량%, 위력증대제 20중량% 내지 40중량%, 접착제 1중량% 내지 10중량%, 제1용제 5중량% 내지 17중량% 및 제2용제 3중량%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발음수단의 산화제는 과염소산칼륨 또는 염소산칼륨, 상기 발음수단의 안정제는 붕사, 상기 위력증대제는 알루미늄, 상기 접착제는 전분, 상기 제1용제는 용수 및 상기 제2용제는 알코올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성형 단계는 50톤 내지 100톤의 무게 및 1초 내지 120초의 시간 범위 내에서 고압프레스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는 50℃ 내지 100℃의 온도 및 12 시간 내지 100 시간의 시간 범위에서 열풍에 의해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의 제조방법.
KR1020110143505A 2011-12-27 2011-12-27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63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505A KR101363274B1 (ko) 2011-12-27 2011-12-27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505A KR101363274B1 (ko) 2011-12-27 2011-12-27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212A KR20130075212A (ko) 2013-07-05
KR101363274B1 true KR101363274B1 (ko) 2014-02-13

Family

ID=4898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505A KR101363274B1 (ko) 2011-12-27 2011-12-27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2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6750A (en) * 1992-01-07 1996-06-18 The Walt Disney Company Fireworks projectile having combustible shell
US6332403B1 (en) * 1999-05-11 2001-12-25 TZN FORSCHUNGS- UND ENTWICKLUNGSZENTRUM UNTERLüSS GMBH Ammunition cartridge with electrically ignited propellant charge
KR100418651B1 (ko) * 2001-02-06 2004-02-11 주식회사 한화 건상충전 연막탄
JP2008275280A (ja) * 2007-05-03 2008-11-13 Katsuragi Enka Kk 香料成分を有するクラ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6750A (en) * 1992-01-07 1996-06-18 The Walt Disney Company Fireworks projectile having combustible shell
US6332403B1 (en) * 1999-05-11 2001-12-25 TZN FORSCHUNGS- UND ENTWICKLUNGSZENTRUM UNTERLüSS GMBH Ammunition cartridge with electrically ignited propellant charge
KR100418651B1 (ko) * 2001-02-06 2004-02-11 주식회사 한화 건상충전 연막탄
JP2008275280A (ja) * 2007-05-03 2008-11-13 Katsuragi Enka Kk 香料成分を有するクラ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212A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8421B2 (ja) カートリッジ式弾薬、特に中口径カートリッジ式弾薬
US5783768A (en) Fire starting flare
US6354222B1 (en) Projectile for the destruction of large explosive targets
US2703960A (en) Rocket
US10775139B2 (en) Debris-free combustible aerial shell with improved pyrotechnic dispersion
US20130319278A1 (en) Launched Smoke Grenade
US4015355A (en) Incendiary projectile and manual launcher
EP1962047B1 (en) A launching system for launching fireworks projectiles
US2759419A (en) Igniter cartridge
US71041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okeless pyrotechnic display
KR20070101676A (ko) 중거리 화재 진화용 소화탄
US8677904B2 (en) Tricolor flare projectile
KR101363274B1 (ko) 탄피가 제거된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EP3377844B1 (en) Munition having penetrator casing with fuel-oxidizer mixture therein
KR101253784B1 (ko) 카트리지 탄약, 특히 중간 구경의 카트리지 탄약
RU2398181C1 (ru) Дымовая граната
GB191305338A (en) Improvements in Projectiles.
US4140059A (en) Safety device for projectiles
NO135294B (ko)
KR20110136538A (ko) 155mm 연습탄
RU184278U1 (ru) Имитатор подствольной гранаты
RU2413163C1 (ru) Пиротехнический воспламенитель огнесмеси
KR100602521B1 (ko) 이중 추진제를 갖는 다연발 폭죽
KR20150071164A (ko) 복수의 자탄을 갖는 발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RU2524405C1 (ru) Ракета для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обла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