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975B1 - Toy using balloon - Google Patents

Toy using ballo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975B1
KR101362975B1 KR1020130069915A KR20130069915A KR101362975B1 KR 101362975 B1 KR101362975 B1 KR 101362975B1 KR 1020130069915 A KR1020130069915 A KR 1020130069915A KR 20130069915 A KR20130069915 A KR 20130069915A KR 101362975 B1 KR101362975 B1 KR 101362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main body
toy
fitting por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9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용환
Original Assignee
오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용환 filed Critical 오용환
Priority to KR102013006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9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9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10Driving mechanisms actuated by flowing media
    • A63H29/16Driving mechanisms actuated by flowing media by steam or compressed 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made of parts to be assemb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75Special shape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oon-powered toy capable of self-movement such as a car and more specifically, to a balloon-powered toy, which can allow the air discharge pressure of a balloon to be applied to a main body with wheel units to be operated to enable an infant to easily control and move a car, thereby causing fun, and can simplify a structural design,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failure or damage, being easy to manufacture, and lowering manufacturing costs.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e balloon-powered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with wheel units, and a thruster provided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supply thrust, wherein the thruster is coupled to a balloon such that the air discharge pressure of the balloon can be used as thrust.

Description

풍선 동력 장난감{TOY USING BALLOON}Inflatable motorized toy {TOY USING BALLOON}

본 발명은 풍선 동력 장난감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latable motorized toy,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와 같이 자가 이동이 가능한 유아용 장난감에 관한 것으로 바퀴부를 갖는 본체에 풍선의 공기 배출압을 이용하여 작동하게 함으로써, 유아가 손쉽게 조작하여 자동차를 움직일 수 있어 재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 설계를 통해 고장이나 파손 위험성이 적으면서 제작이 쉽고, 제조 단가를 저감할 수 있는 풍선 동력 장난감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toy that is self-moving, such as a car, and operates by using the air discharge pressure of a balloon on a body having a wheel part, so that an infant can easily operate the car and cause fun and simp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oon-powered toy that is easy to manufacture with a low risk of breakdown or damage through a structural design and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유아나 어린이가 놀이용으로 사용하는 장난감은 매우 다양한데, 그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것이 자동차 장난감이다.There are a variety of toys used by infants and children for play, and one of them is a car toy.

자동차 장난감은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면서 유아나 어린이에게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만큼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데,Car toys are presented in various forms and are gaining in popularity as they are essential for infants and children.

이러한 자동차 장난감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써,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0015호(2013-01.02.)가 있는데,As a related art related to such a car toy, there is 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3-0000015 (2013-01.02.)

상기 고안은 퍼즐조각을 회전시키거나 퍼즐을 완성하였을 때 다양한 효과음과 빛을 발생함으로써 호기심을 유발하고, 사고력과 판단력을 킬 수 있도록 한 퍼즐 기능을 포함하는 유아용 자동차완구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된 환형(環形)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삼각기둥 형상의 퍼즐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퍼즐블록이 상기 프레임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로 이루어진 유아용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car toy that includes a puzzle function to induce curiosity and generate thinking and judgment by rotating various pieces of the puzzle or generating various sound effects and light when the puzzle is completed. And an annular frame coupled to the body, and a triangular prism-shaped puzzle block rotatably installed in the frame, wherein the puzzle block is in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frame. It relates to a baby car toy consisting of a plurality arranged.

상기 고안은 자동차의 형상을 본 떠 퍼즐을 통한 재미를 유발하는 자동차 장난감인데, 자동차 본연의 기능 즉, 자가 이동이 되지 않으므로 유아나 어린이가 직접 손으로 조작하여 가지고 놀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The above invention is a car toy that induces fun through puzzles based on the shape of a car, and thus the car's original function, that is, self-movement, has limitations that only infants and children can play with their own hands.

이에 유아나 어린이가 놀이용으로 조작, 사용할 수 있도록 자가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 장난감과 관련된 많은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데, Many technologies related to car toys that can be self-moving so that infants and children can manipulate and use them for play have been proposed.

이러한 자동차 장난감은 모두 공통적으로 본체 하부에 바퀴를 구비하고, 동력수단을 내장하여 바퀴를 작동시킴으로서 자가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All of these car toys are provided with wheels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in common, and built-in power means to operate the wheels to enable self-movement.

종래 대표적인 자동차 장난감으로 태엽을 동력수단으로 이용하여 자동차가 움직이도록 하는 장난감이 있는데, 이러한 태엽 장난감은 반복 사용 시 태엽이 쉽게 늘어나 장기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Conventionally, as a typical car toy, there is a toy to move a car by using the mainspring as a power means. Such a mainspring toy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 not b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s the mainspring is easily increas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다른 장난감으로써, 자동차에 모터를 장착하여 실제 자동차와 같이 움직이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장난감이 있다.As another conventional toy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toy that can be operated by wire or wireless by mounting a motor in a car and moving like a real car.

상기한 무선 조종 장난감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1-0113870호(2011.10.19.)가 있는데,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radio control toy i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13870 (2011.10.19.)

상기 발명은 우측면과 좌측면의 전후에 각각 하나의 아이들 바퀴가 끼워져서 회동되도록 되어 있고, 우측면과 좌측면에서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복수의 기어들로 구성된 기어박스를 매개로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된 구동바퀴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충전식 배터리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그 중앙부분에는 공기 흡입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공기 흡입구멍상에는 팬장치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뒷쪽 상면에는 인쇄회로기판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이 인쇄회로기판의 뒷쪽에는 수직하게 고정된 지지대를 매개로 원격제어기의 무선통신을 위한 수신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면에는 바닥면에 끌리는 정도로 설치되어 측면으로부터의 공기유입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는 얇은 재질로 이루어진 공기차단부재가 복수의 결합클립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의 공기 흐름을 최대한 밀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얇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그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상기 베이스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 결합 고정된 중간 커버와; 상기 중간 커버 위에서 상기 베이스와 고정 결합되는 상부 커버를 구비하는 원격제어 전동식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idle wheel is inserted and rotated before and after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respectively, and is rotatably driven by a motor through a gearbox composed of a plurality of gears at positions displaced from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The driving wheel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rechargeable battery is fixed on the upper surface, and an air intake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hereof, and a fan device is fixed on the air intake hol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on the rear upper surface. It is fixedly installed, and on the back side of this printed circuit board, a re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is installed through a vertically fixed support, and 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to be attracted to the floor so as to block air inflow from the side as much as possible. Air blocking member made of thin material A base coupled to each other; An intermediate cover which is made of thin plastic so as to seal the air flow upward from the base as much as possible, and coupling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re screwed with coupling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 A remote control electric vehicle toy having an upper cover fixedly coupled to the base on the intermediate cover.

상기 발명은 종래 통상적인 무선 자동차 완구와 대동소이한 구조로 구성되는데, 무선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인 만큼 제조 시 많은 부품이 소요되어 제조 단가가 비싸며,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tructure similar to the conventional wireless vehicle toy, a lot of parts are required to manufacture as a wireless moving car is expensive manufacturing cost, there is a problem that often occurs due to a complicated structure.

특히 두뇌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유아와 같은 경우, 상기 발명과 같은 무선 자동차 완구를 접했을 때 장난감이 자가 이동을 하는 것에 호기심을 느끼며 재미를 유발할 수 있으나, 복잡한 구조만큼 조작이 쉽지 않으므로 유아가 직접 조작하여 놀기엔 무리가 있으며,Especially in the case of infants who have not completed the brain development, the toys may be intrigued by self-movement when they come in contact with the wireless car toy as described above. It is hard to play

장난감에 쉽게 실증을 느끼고, 취급에 주의를 기울이기 힘은 유아를 감안하였을 때 그만큼 고장이나 파손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고가의 비용 부담에 대비하여 대체로 장기간 사용이 불가능하여 유아에게 자동차 장난감을 사주는 소비자에게 많은 부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Consumers who buy car toys for infants are not able to use them for a long time in preparation for the high cost, because they are easily empirical and have the power to pay attention to handling.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burden occurs.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매우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어 소비자에게 비용 부담을 덜게 하고, 고장이나 파손 발생 위험성이 적으면서도 유아가 손쉽게 조작 가능하여 재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바퀴를 통해 움직일 수 있는 본체에 풍선의 공기 배출압을 추진력으로 이용한 풍선 동력 장난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s very simple structure reduces manufacturing costs, reducing the burden on consumers, and reducing the risk of breakdowns or breakages, while allowing infants to easily operate and create fun air in the body that can be moved through the wheel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lloon-powered toy using discharge pressure as a driving force.

또 본 발명은 저가의 비용 부담으로 주변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풍선을 이용하여 장난감이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등의 소비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풍선의 주둥이가 끼워지는 끼움부와, 이 끼움부와 연결되어 풍선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풍선의 공기가 배출되는 추진체를 구비한 풍선 동력 장난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balloon that can be easily purchased around at a low cost to move the toy, without the need for consumer goods such as batteries, the fit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pout of the balloon so that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lloon-powered toy having a propellant in which air is injected into the balloon or discharged from the balloon.

나아가 본 발명은 다양한 캐릭터, 색상, 모양의 풍선을 이용하여 장난감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유아나 어린이가 싫증을 느끼지 않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 후방에 추진체가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풍선의 교체를 매우 쉽게 할 수 있는 풍선 동력 장난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toy to move by using balloons of various characters, colors, and shapes so that infants or children do not feel tired, and the propellant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so that the replacement of the balloon is very easy.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balloon-powered toy that can be done.

또 본 발명은 풍선에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풍선의 주둥이가 추진체의 끼움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와 추진체 결합 후 장난감 이용 시 추진체가 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 방지수단을 구비한 풍선 동력 장난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escape prevention means for preventing the spout of the balloon is not separated from the fitting portion of the propellant w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balloon, and at the same time the propellant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when the toy is used after the main body and the propellant are combined. An object is to provide an inflatable motorized to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선 동력 장난감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flatable power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바퀴부를 구비한 본체;A main body having a wheel;

상기 본체 후방에 형성되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Is formed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driving force;

상기 추진체는 풍선과 결합되어 추진력으로써 풍선의 공기 배출압력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opellant is coupled to the ball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discharge pressure of the balloon is used as the driving force.

또 본 발명에 따른 풍선 동력 장난감에서 상기 추진체는 풍선의 주둥이가 끼워지며 중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끼움부와, In addition, in the balloon-powered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ellant is fitted with a snout of the balloon and a hollow formed therethrough;

상기 끼움부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중공과 연통된 공기소통로를 갖고, 풍선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풍선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fitting portion has an air communication path communicated with the hollo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portion for injecting air into the balloon or the air of the balloon is discharg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풍선 동력 장난감에서 상기 본체 후방에는 상기 추진체의 끼움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in the balloon-powered toy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portion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fitting portion of the propellant detachab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선 동력 장난감은 상기 끼움부에 끼워진 풍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와 상기 추진체의 결합 후 추진체가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 방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In addition, the balloon-powered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ease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balloon inserted in the fitting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the propellan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fter the coupling of the main body and the propellant. But

상기 이탈 방지수단은 상기 본체의 측벽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의 결합 시 끼움부의 외주면과 접촉되면서 끼움부를 고정시키는 끼움돌출부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is formed by protruding inwardly formed from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and the fitting protrusions for fixing the fitt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when the fitting portion is coupled.

본 발명에 따른 풍선 동력 장난감은 풍선을 장난감 본체의 추진력으로 사용함으로써, 조작이 쉽고, 반영구적이이라 오랜 시간 사용이 가능하여 소비자에게 추가 구매에 다른 부담을 덜 수 있다.
The balloon-powered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operate and semi-permanent by using the balloon as the driving force of the toy body,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additional purchase to the consumer.

또 본 발명에 따른 풍선 동력 장난감은 단순 구조를 통해 장난감이 움직이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시에도 고장이나 파손 발생 위험이 적다.
In addition, the balloon-powered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 risk of failure or damage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because the toy moves through a simple structur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풍선 동력 장난감은 풍선의 주둥이가 끼워지는 끼움부를 이용하여 추진체를 본체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어,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며, 풍선의 교체가 용이하여 다양한 캐릭터나 색상, 형상을 갖는 풍선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저가의 비용부담에도 불구하고, 유아나 어린이가 쉽게 싫증을 느끼지 않는 장점이 있다.
Furthermore, the balloon-powered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ach the propellant from the main body by using a fitting portion into which the spout of the balloon is inserted, and its structure is very simple, and the balloon can be easily replaced, thereby having various characters, colors, and shapes. Because it can be used, despite the low co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nfants and children do not get tired easily.

또 본 발명에 따른 풍선 동력 장난감은 조작이 매우 쉬워 유아나 어린이, 특히 두뇌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영유아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유용성이 뛰어나며, 유아가 조작하더라도 장난감이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유아 또한 장난감 이용 시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balloon-powered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asy to operate, so it is easy to operate even infants and children, especially infants who have not completed brain development is excellent in usefulness, the toy is not easily broken even if the infant operates, infants also use the to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injury to the city.

또 본 발명에 따른 풍선 동력 장난감은 추진체의 끼움부와 본체의 절개부에 이탈 방지수단을 도입하여, 풍선이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풍선이 끼움부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장난감 이용 시 장난감이 벽체 등에 부딪히더라도 추진체가 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balloon-powered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separation prevention means to the fitting portion of the propellant and the incision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balloon is not detached from the fitting portion when the balloon is injected with air, and the toy hits a wall or the like when the toy is used. Even if it does, the propellant does not escape from the main bod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선 동력 장난감의 결합관계 및 작동 상태 설명을 위한 샘플 사진도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선 동력 장난감 설명을 위한 샘플 사진 평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풍선 동력 장난감을 도시각을 달리하여 도시한 도면들 및 단면도.
1 is a sample photograph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flatable power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a sample photograph for explaining the inflatable power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balloon-powered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different angle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embodimen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aggerated in size (or thickness), in size (or thickness), in size (or thickness), or in a simplified form or simplified in view of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에 따른 풍선 동력 장난감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를 정한다.In describing the balloon-powered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approximate direction of the rigidity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FIG. 1 for convenience, the direction of gravity is set downward,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determined as shown.

특히 도 1 내지 도 5에서 추진체가 결합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본체의 이동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Particularly in FIGS. 1 to 5,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pellant is engaged is rearward,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is forward, 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d to other drawings, the direction is specified and described according to this criter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풍선 동력 장난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balloon-powered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선 동력 장난감은First, 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inflatable power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바퀴부(17)를 구비한 본체(10);A main body 10 having a wheel portion 17;

상기 본체(10) 후방에 형성되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Protruding body 20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to provide a driving force;

상기 추진체(20)는 풍선(B)과 결합되어 추진력으로써 풍선(B)의 공기 배출압력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pellant 20 is coupled to the balloon (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discharge pressure of the balloon (B) is used as the driving force.

상기 본체(1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대표적으로 자동차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써, 자동차 형태뿐만 아니라, 비행기, 헬리콥터, 동물 등 다양한 종류, 형상으로 상기 본체(10)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에 바퀴(19)들로 구성되는 바퀴부(17)를 구비하여 추진력을 통해 자가 이동 가능한 모든 본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representatively illustrated as having an automobile form, which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 well as an automobile form, an airplane, a helicopter, an animal, and the like.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in various kinds and shapes, and includes a main body 10 which is self-moving through propulsion by having a wheel 17 formed of wheels 19 at a lower portion thereof.

또 도 3에서 상기 바퀴부(17)는 본체(10)의 바닥 하부에 회전축(18)을 통해 한 쌍의 바퀴(19)가 전, 후방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이 역시 바퀴(19)를 통한 자가 이동의 구성을 구현하기 대표적인 실시예로써,In addition, in FIG. 3, the wheel part 17 is illustrated as a pair of wheels 19 arranged rearwardly and rearwardly through a rotating shaft 18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which is also a wheel ( As a representativ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lf-moving through 19),

상기 바퀴부(17)는 외발 바퀴, 세발 바퀴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본체(10)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구성이면 족하다.The wheel unit 17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unicycles, tricycles, and the basic configuration is sufficient to move the body 10.

그리고 본 발명은 유아나 어린이를 위한 장난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상기 본체(10)와 상기 추진체(20)는 인체에 무해한 엘라스토머 계열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약간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유아나 어린이의 건강에 유해하지 않으면서, 이용 시 파손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becaus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toy for infants or children, the main body 10 and the propellant 2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elastomer-based or synthetic resin harmless to the human body, with a material having some elasticity It is preferably made so as not to be damaged during use, while not harmful to the health of the infant or chil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풍선 동력 장난감은 추진체(20)에 풍선(B)이 결합되어 풍선(B)의 공기 배출압력을 추진력으로 이용하는 바,And the balloon-powered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r (B) is coupled to the propellant 20 to use the air discharge pressure of the balloon (B) as a driving force,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진체(20)는 풍선(B)의 주둥이(B1; 도 1 참고)가 끼워지며 중공(21A)이 관통하여 형성된 끼움부(21)와,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ure 5, the propellant 20 is fitted with a spout (B1; see Fig. 1) of the balloon (B) (21) formed through the hollow 21A,

상기 끼움부(21)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중공(21A)과 연통된 공기소통로(25A)를 갖고, 풍선(B)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풍선(B)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ischarge portion 25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fitting portion 21 has an air communication path (25A) in communication with the hollow 21A, injecting air into the balloon (B) or the air of the balloon (B) is discharged It is made, including.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후방에 결합되는 추진체(20)의 전방 끼움부(21)에 후방을 향하도록 풍선(B)의 주둥이(B1; 도 1 참고)가 끼워지고, 풍선(B) 내부에 들어있는 공기가 상기 중공(21A)과 공기소통로(25A)를 통해 본체(10) 후방으로 분사됨으로써 본체(10)의 추진력이 제공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spout B1 of the balloon (B) (see Fig. 1) is inserted into the front fitting portion 21 of the propellant 20 coupl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to the rear and , The air in the balloon (B) is inject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hollow 21A and the air communication path (25A) is provided with a driving force of the main body (10).

이때 풍선(B) 내로 공기가 주입되면 그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상기 본체(10)는 바닥의 외측 단부에서 차체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풍선(B)이 수용되는 수용부(11)를 형성하며 상측 개구부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In this case, w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balloon B, the volume thereof becomes large, and thus the main body 10 forms an accommodating part 11 in which the balloon B is accommodated while the vehicle body protrudes up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bottom. Made to have an opening,

공기가 주입되는 풍선(B)은 수용부(11)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노출되면서 풍선(B)이 부풀어 올라 공기가 저장된다.The balloon B, into which air is injecte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and the balloon B is inflated to store air.

그리고 풍선(B)이 소정 크기 이상 부풀어 오른 후 사용자가 장난감을 바닥면에 내려놓게 되면 풍선(B) 내의 공기가 후방으로 분사되면서 전방 추진력이 발생하여 본체(10)는 자가 이동을 하게 된다.And after the balloon (B) swells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user puts the toy down on the floor surface, the air in the balloon (B) is ejected to the rear as the forward driving force is generated, the body 10 is self-moving.

상기 풍선(B)에 공기 주입 방법은 별도의 공기 주입 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가정 등에서 유아가 손쉽게 조작하여 가지고 놀 수 있는 장난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상기 배출부(25)를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직접 공기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injecting method to the balloon (B) may be made through a separate air injecting devi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toy that can be easily played with infants at home, the discharge unit 25 It is desirable to inject air directly into the mouth of the user through.

따라서 본 발명의 배출부(25)는 사용자가 입으로 공기 주입 시 입술이나 치아로 배출부(25)를 고정하여 공기 주입을 원활하게 하고, 공기 배출 시 분사되는 공기를 후방 일측 방향으로 집중되면서 배출되도록 하여 보다 높은 추진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후술하는 덮개(26)와 연결되어 돌출 형성되는 배출보조부재(28)를 더 구비한다.Therefore, the discharge part 25 of the present invention smoothly injects air by fixing the discharge part 25 to the lips or teeth when the user injects air into the mouth, and discharges the air injected during the air discharge toward the rear one side.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scharge auxiliary member 28 which is connected to the cover 26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be provided with a higher driving force so as to protrud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배출보조부재(28)를 통해 입술이나 치아 등으로 배출부(25)를 물은 상태이서 공기 주입이 가능하여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prevent air leakage by injecting air while the discharge part 25 is bited by the lips or teeth through the discharge assisting member 28.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소통로(25A)는 끼움부(21)의 중공(21A)과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덮개(26) 단부를 통해 공기가 바로 분사되면 압력차에 의하여 공기가 집중되지 못한 채 분산되면서 배출되어 추진력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air communication path (25A)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hollow 21A of the fitting portion 21, when the air is injected directly through the cover 26 end pressure There is a fear that the propulsion is lowered by being discharged while the air is not concentrated by the car.

따라서 상기 배출보조부재(28)의 중공이 상기 공기소통로(25A)를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후방 일점 방향을 항하여 공기 배출이 집중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추진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propulsion force may be increased by allowing the hollow of the discharge assisting member 28 to extend the air communication path 25A so that the air discharge is concentrated along the rear one point direction.

이어서 본 발명은 저가에 주변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풍선(B)을 동력수단으로 사용하므로 풍선(B)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반영구적으로 장난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Subsequentl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balloon (B) that can be easily purchased at low cost as a power means, thereby facilitating the replacement of the balloon (B), allowing the toy to be used semi-permanently,

또한 다양한 캐릭터가 인쇄된 풍선(B)이나 다양한 색상, 모양의 풍선(B)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취향에 맞는 풍선(B)을 선택하여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고, 풍선(B)의 교체를 통해 유아가 쉽게 싫증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characters can be used to replace the printed balloon (B) or a balloon (B) of various colors and shapes, to select the balloon (B)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infant to induce the interest of the infant, the balloon (B) ), You can prevent the baby from getting tired easily.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 후방에 상기 추진체(20)의 끼움부(21)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절개부(13)가 형성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cutout portion 13 to which the fitting portion 21 of the propellant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is formed.

상기 절개부(13)를 통해 상기 추진체(20)가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풍선(B)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By allowing the propellant 20 to be detachable through the cutout 13, the user can easily replace and use the balloon B.

상기 절개부(13)는 상기 추진체(20)에 끼움부(21) 후방에 형성되는 덮개(26)에 의하여 폐쇄가 되며, 상기 공기소통로(25A)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 상기 덮개(26)가 상기 본체(10)를 전방으로 가압하면서 추진력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The cutout 13 is closed by a cover 26 formed behind the fitting portion 21 on the propellant 20, and w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communication path 25A, the cover 26. Has a structure in which a driving force can be generated while pressing the main body 10 forward.

그리고 상기 끼움부(21)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풍선(B)에 공기 주입 시 내부 압력 팽창으로 풍선(B)이 끼움부(21)로부터 이탈될 위험이 있다. And since the fitting portion 21 is made of a tubular shape, there is a risk that the balloon (B) is separated from the fitting portion 21 by the internal pressure expansion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balloon (B).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끼움부(21)에 끼워진 풍선(B)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와 상기 추진체(20)의 결합 후 추진체(20)가 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 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balloon B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21 from being detached and at the same time, the propellant 20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after the main body 10 and the propellant 20 are coupled. It includes a departure prevention means that can be prevented.

제조 용이성 확보 및 제조 단가 저감을 위하여 상기 이탈 방지수단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측벽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21)의 결합 시 끼움부(21)의 외주면과 접촉되면서 끼움부(21)를 고정시키는 끼움돌출부(14)들로 이루어진다.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10 to secure the manufacturing ease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the fitting portion when the fitting portion 21 is coupled It consists of fitting projections 14 for fixing the fitting portion 21 whil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21).

상기 끼움돌출부(14)는 상기 본체의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조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tting protrusion 14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to ensure ease of manufacture.

또 상기 이탈 방지수단으로써, 도 3의 하부 일점쇄선 내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21)는 전방 말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걸림턱(21a)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th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in the lower dashed line of Figure 3, the fitting portion 21 further comprises a locking step (21a) protruding along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in the front end portion.

상기 걸림턱(21a)의 직경은 상기 끼움돌출부(14)의 너비보다 소정 간격 넓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10) 및 상기 추진체(20)는 약간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Since the diameter of the latching jaw 21a is formed to be wid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an the width of the fitting protrusion 14, and the main body 10 and the propellant 20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light elasticity,

추진체(20)의 끼움부(21) 결합 시 약간의 가압으로 상기 걸림턱(21a)이 억지끼움됨으로써, 추진체(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fitting portion 21 of the propelling body 20 is coupled, the locking jaw 21a is pressed by a slight pressure, thereby preventing the propelling body 20 from being separated.

또, 상기 끼움부(21)가 상기 끼움돌출부(14) 사이로 형성되는 통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21a)이 상기 끼움돌출부(14)의 전면에 걸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tting portion 21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assage formed between the fitting projections 14 may be made so that the locking jaw 21a is caugh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tting projections (14).

그리고 풍선(B)의 주둥이(B1; 도 1 참고)는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므로 상기 걸림턱(21a)에 의하여 주둥이(B1; 도 1 참고)의 끝단부가 걸림턱(21a)에 걸리면서 주둥이(B1; 도 1 참고)의 일부가 상기 끼움부(21)와 상기 끼움돌출부(14) 사이에 끼워지므로 풍선(B)의 이탈 역시 방지할 수 있다.And since the spout B1 (see FIG. 1) of the balloon B exerts an elastic force in the inward direction, the end of the spout B1 (see FIG. 1) is caught by the catching jaw 21a by the catching jaw 21a. Since a part of B1 (see FIG. 1) is fitted between the fitting portion 21 and the fitting protrusion 14, separation of the balloon B may also be prevented.

본 발명은 유아용 장난감으로써 사용 시 유아가 입에 넣을 수 있으므로 상기 걸림턱(21a)은 만곡되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ant can be put into the mouth when used as an infant toy, the locking jaw 21a is preferably protruded to be curved.

상기 끼움돌출부(1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The fitting protrusion 14 is not only made of a pair as shown in Figure 2 and 3,

차체 지붕을 통해 하나로 연결되어 상기 끼움부(21)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It may be connected to one through the body roof to surround the entir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21. (not shown)

그리고 상기 이탈 방지수단으로써, 도 5의 상부 일점쇄선 원내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6)는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말단부에 걸림돌기(27a)를 구비한 걸림편(2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nd as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as shown in the enlarged upper dashed circle in Fig. 5, the cover 26 is protruded forwar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cking piece 27 having a locking projection (27a) at the distal end It may be made to include more.

상기 걸림편(27)은 상기 차체의 후방 지붕과 동일 각도로 형성되며, 상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되어,The locking piece 27 is formed at the same angle as the rear roof of the vehicle body, is formed to exert an elastic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추진체(20)를 절개부(13)에 결합 시 상기 걸림편(27)의 걸림돌기(27a)가 상기 상측 개구부로 노출되면서 지붕에 걸리도록 하고,When the propellant 20 is coupled to the cutout 13, the locking protrusion 27a of the locking piece 27 is exposed to the upper opening and caught on the roof.

추진체(20)의 분리 시에는 상기 걸림돌기(27a)를 하측으로 밀어 탄성력에 의한 걸림동작을 해제한 후 추진체(20)를 후방으로 밀거나 잡아당겨 추진체(20) 분리를 완료할 수 있다.When the propellant 20 is separated, the locking protrusion 27a may be pushed downward to release the locking operation by the elastic force, and then the propellant 20 may be pushed backward or pulled to complete the separation of the propellant 20.

상기 걸림돌기는 유아가 입에 물거나, 취급 시 상해를 입지 않도록 만곡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protrusion is preferably formed to be curved so that the infant does not bite into the mouth, or injuries during handling.

이어서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선(B) 동력 장난감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using the balloon B-powered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우선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체(10)에서 추진체(20)를 분리한 후 추진체(20)의 끼움부(21)에 풍선(B)의 주둥이(B1)를 결합시킨다.First, as shown in [A] and [B] of FIG. 1, the user separates the propellant 20 from the main body 10, and then the spout of the balloon B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21 of the propellant 20. Combine B1).

그리고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선(B)이 결합된 끼움부(21)를 본체(10)의 절개부(13)에 결합시킨다.As shown in [C] of FIG. 1, the fitting portion 21 to which the balloon B is coupled is coupled to the cutout portion 13 of the main body 10.

이때 상기 풍선(B)을 상기 절개부(13)를 통해 수용부(11)에 먼저 삽입한 후, 상기 끼움부(21)를 절개부(13), 즉 상기 끼움돌출부(14; 도 2 참고) 사이로 삽입 결합시킨다.At this time, the balloon B is first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1 through the cutout 13, and then the fitting portion 21 is cut out, that is, the fitting protrusion 14 (see FIG. 2). Insert into the coupling.

상기 추진체(20)가 결합될 때, 상기 끼움돌출부(14)와 상기 끼움부(21)가 접촉되면서 상기 끼움부(21)와 상기 끼움돌출부(14) 사이에 끼워진 풍선(B)의 주둥이(B1; 도 1 참고)는 후방을 향하여 밀리면서 끼움부(21) 전체를 감싸게 되므로 풍선(B)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When the propellant 20 is coupled, the spout B1 of the balloon B inserted between the fitting portion 21 and the fitting protrusion 14 while the fitting protrusion 14 and the fitting portion 2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ee FIG. 1) is tightly coupled to the balloon (B) because it covers the whole fitting portion 21 while pushing toward the rear.

이어서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체(20)의 결합을 완료한 후 사용자는 상기 배출부(25)의 배출보조부재(28)를 문 상태에서 공기를 불어 넣으면 수용부(11)의 풍선(B)이 상측 개구부로 밀리면서 부풀어 오르게 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D] of FIG. 1, after the coupling of the propellant 20 is completed, the user blows air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assisting member 28 of the discharge unit 25 is opened. The balloon B of the) is pushed into the upper opening and inflates.

그리고 도 1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선(B)이 소정 크기 이상으로 부풀어 오르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공기소통로(25A)를 막은 상태에서 본체(10)를 바닥면에 내려놓은 후 공기소통로(25A)를 개방하면 풍선(B) 내부의 공기가 후방으로 배출되면서, 그 압력에 의하여 본체(10)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추진력을 얻게 된다.As shown in [E] of FIG. 1, when the balloon B is inflated to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he user lowers the main body 10 to the bottom surface while blocking the air passage 25A, and then air When the communication path 25A is opened, the air inside the balloon B is discharged to the rear, and the main body 10 obtains the driving force to move forward by the pressure.

이때 상기 공기소통로(25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21A)보다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공기 배출 압력에 의하여 바퀴(19)와 바닥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면서 추진력을 제공하도록 하여 본체(10)의 전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air communication path 25A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than the hollow 21A to provide driving force while increasing friction between the wheel 19 and the bottom surface by air discharge pressure. By doing so, the main body 10 can be moved more smoothly.

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덮개(26)를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21)가 상기 덮개(26)의 중앙에 형성되도록 제조하게 되면,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cover 26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fitting portion 21 is manufactured to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ver 26,

사용자는 상기 추진체(20) 결합 시, 상기 경사진 공기소통로(25A)를 좌, 우 일측 방향으로 약 80도 내지 90도 정도 회전시킨 후 공기를 주입하고,When the user is coupled to the propellant 20, the injecting air after rotating the inclined air passage (25A) about 80 to 90 degrees in one direction left, right,

이후 본체(10)를 바닥에 내려놓게 되면 상기 공기소통로(25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배출압이 좌, 우 일측 방향으로 쏠리게 되므로 상기 본체(10)는 직선 이동뿐만 아니라 좌, 우 회전 이동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fter the main body 10 is placed on the floor, since the air discharge pressure discharged through the air communication path 25A is directed in one directio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main body 10 is not only linear but also left and right rotational movements. You can do that.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풍선 동력 장난감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as been described mainly with respect to the inflatable power toy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 : 풍선
10 : 본체 11 : 수용부
13 : 절개부 14 : 끼움돌출부
17 : 바퀴부
20 : 추진체 21 : 끼움부
21A : 중공 25 : 배출부
25A : 공기소통로 26 : 덮개
27 : 걸림편 28 : 배출보조부재
B: balloon
10: main body 11: accommodating portion
13: incision 14: fitting protrusion
17: wheel
20: propellant 21: fitting
21A: hollow 25: discharge part
25A: air path 26: cover
27: engaging piece 28: exhaust auxiliary member

Claims (4)

바퀴부(17)와, 후방 절개부(13)를 구비한 본체(10);
상기 본체(10) 후방에 형성되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추진체(20)는 풍선의 주둥이가 끼워지며 중공(21A)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본체(10) 후방에 결합되는 끼움부(21)와,
풍선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풍선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끼움부(21)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중공(21A)과 연통된 공기소통로(25A)를 갖고 상기 절개부(13)를 폐쇄하는 덮개(26)와, 상기 덮개(26) 후방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공기소통로(25A)가 연장하여 형성된 배출보조부재(28)로 구성되는 배출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지며,
상기 끼움부(21)에 끼워진 풍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와 상기 추진체(20)의 결합 후 추진체(20)가 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탈 방지수단은 상기 본체(10)의 양측벽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21)의 결합 시 끼움부(21)의 외주면과 접촉되면서 끼움부(21)를 고정시키는 끼움돌출부(14)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부(25)의 공기소통로(25A)는 상기 끼움부(21)의 중공(21A)보다 상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됨으로써,
풍선의 공기 배출압력을 본체(10)의 추진력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동력 장난감.
A main body 10 having a wheel portion 17 and a rear cutout portion 13;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is made to include a propellant 20 to provide a driving force,
The propellant 20 is fitted with a spout 21 of the balloon is inserted through the hollow 21A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A cover 26 which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fitting portion 21 to inject air into the balloon or discharges air of the balloon, has an air communication path 25A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21A, and closes the cutout 13. ), And a discharge part 25 which is formed to protrude behind the cover 26 and comprises an exhaust auxiliary member 28 formed by extending the air communication path 25A,
At the same time preventing the balloon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21 from being separated, the release body which can prevent the propellant 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after the coupling of the main body 10 and the propellant 20. It further comprises a prevention means,
The detachment preventing means is formed to protrude inwardly from both side walls of the main body 10 and the fitting protrusions for fixing the fitting portion 21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21 when the fitting portion 21 is coupled ( 14)
The air communication path 25A of the discharge part 25 is provided to be inclined upwardly than the hollow 21A of the fitting part 21,
Inflatable power toy, characterized in that for using the air discharge pressure of the balloon as the driving force of the main body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21)의 전방 말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걸림턱(21a)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동력 장난감.
The method of claim 1,
Inflatable power toy,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of the fitting portion 21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21a) protruding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21)는 상기 끼움돌출부(14) 사이로 형성되는 통로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턱(21a)이 상기 끼움돌출부(14)의 전면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동력 장난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tting portion 21 is provid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assage formed between the fitting projections 14 is the inflatable jaw toy,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jaw (21a)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itting projection (14)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덮개(26)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측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구비되며, 말단부에 걸림돌기(27a)를 구비하여 상기 걸림돌기(27a)가 본체의 상측 개구부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걸림편(2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동력 장난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departure-
It is provided so as to exert an elastic force in the upper direction while protruding forwar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26, and a locking piece 27a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27a is coupl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Balloon-powered toy,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27).
KR1020130069915A 2013-06-18 2013-06-18 Toy using balloon KR1013629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915A KR101362975B1 (en) 2013-06-18 2013-06-18 Toy using ballo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915A KR101362975B1 (en) 2013-06-18 2013-06-18 Toy using ballo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975B1 true KR101362975B1 (en) 2014-02-17

Family

ID=5027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915A KR101362975B1 (en) 2013-06-18 2013-06-18 Toy using ballo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97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0195U (en) * 1979-11-22 1981-06-29
KR200443106Y1 (en) * 2007-10-17 2009-01-09 황덕형 A balloon-type to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0195U (en) * 1979-11-22 1981-06-29
KR200443106Y1 (en) * 2007-10-17 2009-01-09 황덕형 A balloon-type to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55536A (en) Toy skateboard
CA2984159C (en) Functional mat racer
CN101837196B (en) Inertia walking toy car and emitter for transmitting same
KR101362975B1 (en) Toy using balloon
CN110800624B (en) Multifunctional pet house
CN206853127U (en) The harvester toy of building blocks splicing
CN203736844U (en) Splicing type toy sports car assembly and splicing type toy sports car
CN203235250U (en) Fighting toy car
CN105346641A (en) Scooter with dust collector
US20070270076A1 (en) Tricyle carriage toy with dual drive wheels and characterized cover
CN207085344U (en) A kind of hand pulling type inertia rotary type lighting toy
CN205817878U (en) A kind of sports class countering type amusement robot
CN204580650U (en) Rocking-chair for child
CN202410156U (en) Remote-control variable-speed car
CN202446795U (en) Replaceable facial makeup combination
CN211427657U (en) Infant teaching material with wind power airflow driving module
CN204037747U (en) A kind of anti-skidding perambulator safety seat
KR101591479B1 (en) Prefabricated moveable toys for education
CN103386203A (en) Toy
CN202932491U (en) Multifunctional child seat
CN204120646U (en) A kind of babywalker
US20140220857A1 (en) Swing-type removable toy
CN209037747U (en) Wind motorcycle is dazzled in a kind of highly-safe low energy consumption emulation
CN201879245U (en) Multifunctional sponge-body safe go-cart series
CN208406081U (en) A kind of absorption type toy for children troll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