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754B1 - Cultivator having light emitting function with excellent distinguishability for full width using piezoelectric energy havesting - Google Patents

Cultivator having light emitting function with excellent distinguishability for full width using piezoelectric energy haves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754B1
KR101362754B1 KR1020120019337A KR20120019337A KR101362754B1 KR 101362754 B1 KR101362754 B1 KR 101362754B1 KR 1020120019337 A KR1020120019337 A KR 1020120019337A KR 20120019337 A KR20120019337 A KR 20120019337A KR 101362754 B1 KR101362754 B1 KR 101362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unit
light emitting
driving whee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3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97584A (en
Inventor
김원석
윤병용
백종후
이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윤병용
김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윤병용, 김원석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1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754B1/en
Publication of KR20130097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5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7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0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generators driven by a machine different from the vehicle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50Arrangements to reconfigure features of lighting or signalling devices, or to choose from a list of pre-defined se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Abstract

자가 발전하는 발광소자를 탑재함으로써 야간에 경운기의 운행시 타 차량이 용이하게 경운기의 전폭을 식별할 수 있음과 더불어 압전 시트를 이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경운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운기는 동력을 생성하는 기관이 탑재되는 몸체와, 상기 기관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는 구동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미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바퀴의 회전 운동에 따라 견인되는 견인 바퀴와, 상기 견인 바퀴의 상부에 장착되어 화물을 적재시키는 적재함을 구비하는 적재부; 상기 본체부와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며, 탑승 좌석을 구비하는 탑승부; 상기 본체부와 탑승부 사이에 배치되어 주행 방향을 조작하는 조향부; 상기 본체부의 전폭이 식별되도록 전방을 향해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적재부에 탑재되며, 상기 기관의 구동에 의하여 생성되는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발광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압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isclosed is a cultivator capable of easily identifying the full width of the cultivator when the cultivator is operated at night by mounting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is self-generated and semi-permanently generating electric energy using a piezoelectric sheet.
The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body on which an engine generating power is mounted, and a driving wheel that receives rotational power from the engine and rotates; A loading unit having a traction wheel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and tow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ing wheel, and a loading box mounted on the traction wheel to load cargo; A board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tacking unit and having a boarding seat; A steer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boarding unit to manipulate a driving direction; A light emitting part emitting light toward the front so that the full width of the main body part is identified; And a piezoelectric unit mounted on the loading unit and converting vibration energy generated by driving of the engine into electrical energy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light emitting unit.

Description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하여 전폭 식별이 가능한 발광 기능을 구비한 경운기{CULTIVATOR HAVING LIGHT EMITTING FUNCTION WITH EXCELLENT DISTINGUISHABILITY FOR FULL WIDTH USING PIEZOELECTRIC ENERGY HAVESTING}Cultivator with light emission function that can be identified using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본 발명은 경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이나 악천후시에도 전폭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하여 자가 발전하는 발광 기능을 구비한 경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ti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ltivator having a light emitting function that is easy to identify the full width even at night or in bad weather, and which uses a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to self-generate.

경운기는 농촌 등지에서 이용되는 대표적인 운송 수단 중 하나이다. 이러한 경운기는 주행속도가 일반 차량에 비해 현저히 낮으나, 안전 장치가 미흡한 관계로 농기계 관련 교통 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야간에 그 비율이 현저하게 높은 상황이다.Cultivator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means of transportation used in rural areas. Such a cultivator has a significantly lower driving speed than a general vehicle, but due to the lack of safety devices, the cultivator occupies most of the traffic accidents related to farm machinery, and the ratio is particularly high at night.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경운기의 후방에 야광 반사판, 야광 페인트, 저속차량 표시판 등을 장착하였으나, 이는 경운기의 후방 차량에 대한 식별력을 갖추고 있는 데 불과하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ast, a luminous reflector, luminous paint, a low-speed vehicle display panel, and the like were mounted on the rear of the tiller, but this is merely provided with a discriminating power for the rear vehicle of the tiller.

즉, 종래의 경우기는 전방에 표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마주오는 차량이 이를 식별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최근, 도로 교통 여건의 발전에 힘입어 도로 주행의 빈도 수가 급격히 높아지고는 있으나, 저속 주행하는 경운기의 특성상 야간이나 악천후의 상황에서 고속 주행하는 일반 차량이 안전 거리 내에서 이를 용이하게 식별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상황이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se, since the display means is not provided in the front, the oncoming vehicle has difficulty in identifying it.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road traffic conditions, the frequency of road driving is rapidly increasing, but due to the nature of the low speed driving tiller, it is difficult for a general vehicle that runs at high speed at night or in bad weather to easily identify it within a safe distance. The situation is following.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1995-0001829호(1995.03.16 공고)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경운기용 후방표시등 절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Related prior art documents ar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1995-0001829 (1995.03.16 published), which discloses a rear light folding device for tiller.

본 발명의 목적은 조향부의 양단 또는 탑승부의 양측 상단에 발광 소자를 탑재함으로써 야간에 타 차량이나 사람이 전폭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적재부에 탑재된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 에너지를 실시간으로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발광 기능을 구비한 경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unt the light emitting elements on both ends of the steering portion or the upper end of the both sides of the boarding part to easily identify the full width at night and other vehicles or people, and also occurs during operation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mounted on the loading section. It is to provide a cultivator having a light emitting function that can convert the vibration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in real ti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전 시트를 구동 바퀴에 장착하여 구동 바퀴와 도로면 간의 기계적 마찰력을 극대화함으로써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 기능을 구비한 경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ltivator with a light emitting function that can improv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efficiency by maximizing the mechanical friction between the driving wheel and the road surface by mounting the piezoelectric sheet to the driving whee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하여 전폭 식별이 가능한 발광 기능을 구비한 경운기는 동력을 생성하는 기관이 탑재되는 몸체와, 상기 기관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는 구동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미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바퀴의 회전 운동에 따라 견인되는 견인 바퀴와, 상기 견인 바퀴의 상부에 장착되어 화물을 적재시키는 적재함을 구비하는 적재부; 상기 본체부와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며, 탑승 좌석을 구비하는 탑승부; 상기 본체부와 탑승부 사이에 배치되어 주행 방향을 조작하는 조향부; 상기 본체부의 전폭이 식별되도록 전방을 향해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적재부에 탑재되며, 상기 기관의 구동에 의하여 생성되는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발광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압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ultivator having a light emitting function capable of full-width identification using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ody on which an engine generating power is mounted, and power from the engine. A main body unit having a driving wheel that receives and rotates; A loading unit having a traction wheel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and tow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ing wheel, and a loading box mounted on the traction wheel to load cargo; A board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tacking unit and having a boarding seat; A steer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boarding unit to manipulate a driving direction; A light emitting part emitting light toward the front so that the full width of the main body part is identified; And a piezoelectric unit mounted on the loading unit and converting vibration energy generated by driving of the engine into electrical energy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하여 전폭 식별이 가능한 발광 기능을 구비한 경운기는 동력을 생성하는 기관이 탑재되는 몸체와, 상기 기관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는 구동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미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바퀴의 회전 운동에 따라 견인되는 견인 바퀴와, 상기 견인 바퀴의 상부에 장착되어 화물을 적재시키는 적재함을 구비하는 적재부; 상기 본체부와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며, 탑승 좌석을 구비하는 탑승부; 상기 본체부와 탑승부 사이에 배치되어 주행 방향을 조작하는 조향부; 상기 본체부의 전폭이 식별되도록 전방을 향해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구동 바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바퀴의 구동 휠에 가해지는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발광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압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ultivator having a light emitting function capable of full-width identification using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another object has a body on which an engine generating power is mounted, and power from the engine.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drive wheel for receiving the rotation movement; A loading unit having a traction wheel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and tow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ing wheel, and a loading box mounted on the traction wheel to load cargo; A board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tacking unit and having a boarding seat; A steer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boarding unit to manipulate a driving direction; A light emitting part emitting light toward the front so that the full width of the main body part is identified; And a piezoelectric unit mounted inside the driving wheel and converting vibration energy applied to the driving wheel of the driving wheel into electrical energy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light emitt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경운기는 조향부의 양단 또는 탑승 좌석의 양측 상단에 발광 소자를 각각 탑재함으로써 야간이나 악천후에서도 운행중인 경운기의 전폭을 타 차량이나 사람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음과 더불어,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하여 반영구적으로 발광 소자를 자체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ti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light emitting elements at both ends of the steering unit or both sides of the boarding seat, respectively, so that other vehicles or people can easily identify the full width of the tiller in operation at night or in bad weather, and also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By using the semi-permanent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driven by itself.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용 압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압전부와 발광부의 구동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용 구동 바퀴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용 압전 소자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til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ti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iezoelectric part for the ti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riv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iezoelectric part and the light emitting part.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iving wheel for a til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in detail the piezoelectric element for the cultiv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하여 전폭 식별이 가능한 발광 기능을 구비한 경운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ultivator having a light emitting function capable of full width identification using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실시예)(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culti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ulti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100)는 본체부(110), 적재부(120), 탑승부(130), 조향부(140) 및 발광부(15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till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loading part 120, a boarding part 130, a steering part 140, and a light emitting part ( 150).

본체부(110)는 동력을 생성하는 기관(미도시)이 탑재되는 몸체(112)와, 상기 기관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는 구동 바퀴(114)를 구비한다. 이때, 기관은 디젤 기관 또는 가솔린 기관이 이용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body 112 on which an engine (not shown) generating power is mounted, and a driving wheel 114 that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engine. At this time, the engine may be a diesel engine or gasoline engine.

적재부(120)는 본체부(110)의 후미에 연결되어 구동 바퀴(114)의 회전 운동에 따라 견인되는 견인 바퀴(122)와, 상기 견인 바퀴(122)의 상부에 장착되어 화물을 적재시키는 적재함(124)을 구비한다. 견인 바퀴(122)는 구동 바퀴(11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The loading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10, the traction wheel 122 is tow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e wheel 114, and the loading box mounted on the traction wheel 122 to load the cargo 124. Traction wheel 122 may have a relatively large diameter compared to the drive wheel 114,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탑승부(130)는 본체부(110)와 적재부(120) 사이에 배치되며, 운전자가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탑승 좌석(132)이 마련된다. 탑승 좌석(132)은 안장(132a)과 안장(132a)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등받이(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등받이(132b)는 적재부(120)와 탑승부(130)를 구분하는 칸막이 역할을 한다.
The boarding unit 130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stacking unit 120, and a boarding seat 132 is provided to allow the driver to easily board. The boarding seat 132 may include a saddle 132a and a backrest 132b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addle 132a. The backrest 132b serves as a partition to separate the loading unit 120 and the boarding unit 130.

조향부(140)는 본체부(110)와 탑승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주행 방향을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
The steering unit 140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boarding unit 130 to operate a driving direction.

발광부(150)는 본체부(110)의 전폭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도록 전방을 향해 광을 발산한다. 이때, 발광부(150)는 조향부(140)의 양측 단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광부(150)는 조향부(140)에 직접 고정 결합되거나, 또는 홀더 등과 같은 홀딩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발광부(150)는 탑승 좌석(132)의 양측 상단, 구체적으로는 탑승 좌석(132)의 등받이(132b) 양측 상단에 직접 고정 결합되거나, 또는 홀더 등과 같은 홀딩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150 emits light toward the front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of the full width of the main body unit 110.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unit 150 may be mounted at both ends of the steering unit 140, in which case the light emitting unit 150 is directly fixed to the steering unit 140, or holding means such as a holder (not shown) It can be fixedly coupled by). Alternatively, the light emitting unit 150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upper end of both sides of the boarding seat 132,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both sides of the backrest 132b of the boarding seat 132, or to a hold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holder. Can be fixedly coupled.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용 압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압전부와 발광부의 구동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iezoelectric part for a til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riv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iezoelectric part and the light emitting part.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는 압전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 and 4, the ti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iezoelectric part 160.

상기 압전부(160)는 적재부(도 1의 120)에 탑재되며, 경운기의 운행시 기관의 구동에 의하여 생성되는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발광부(15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piezoelectric part 160 is mounted on the loading part (120 of FIG. 1), and serves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light emitting part 150 by converting vibration energy generated by driving of the engine during operation of the tiller to electrical energy. Do it.

이러한 압전부(160)는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압전 소자(200)와, 상기 압전 소자(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압전 소자(200)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정류하여 정전류를 생성하는 정류회로 및 각종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제어 소자(300)와, 상기 정류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정류회로에 의하여 정류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 소자(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소자(400)는 제어 소자(300)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커패시터(capacitor)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압전부(160)는 압전 소자(200), 제어 소자(300) 및 충전 소자(400)를 동봉하는 보호 케이스(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unit 1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00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 200 to convert vibration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rectifies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200 to generate a constant current. The control device 300 includes a rectifying circuit to be generated and various driving circuits, and a charging device 4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tifying circuit and storing electric energy rectified by the rectifying circuit. In this case, the charging device 400 may be installed around the control device 300, and for example, a capacitor may be used. 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part 160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ase 500 enclo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200, the control element 300, and the charging element 4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부(160)는 적재부 상에 탑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박스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 형상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압전부(160)는 적재부에 박스 형태로 직접 장착되는 하베스터 구조(harvester structure)를 갖는다.
As shown in Fig. 3, the piezoelectric portion 160 preferably has a box shape to facilitate mounting on the loading por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shape. Thus, the piezoelectric portion 160 has a harvester structure that is directly mounted in a box shape on the loading portion.

이때, 발광부(150)는 조향부의 양단 또는 탑승 좌석의 양측 상단에 장착되어, 맞은 편에서 다가 오는 타 차량이나 사람 등을 향해 광을 발산함으로써, 경운기의 전폭이 식별되도록 인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발광부(150)는 도시하지 않은 전선 등의 수단에 의하여 압전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unit 150 is mounted on both ends of the steering unit or the upper end of both sides of the boarding seat, and emits light toward other vehicles or people coming from the opposite side, so as to recognize the full width of the tiller. The light emitting unit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iezoelectric unit 160 by a means such as a wire (not shown).

상기 발광부(150)는 발광 소자(152) 및 구동 스위치(154)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152)는 압전부(160)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광을 발산한다. 이러한 발광 소자(152)는 점멸 방식으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점멸 방식이 점등 방식에 비하여 식별력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발광 소자(152)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스위치(154)는 압전부(160)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발광 소자(152)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발광 소자(152)는 구동 스위치(154)에 의하여 온(on) 및 오프(off)가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스위치(154)는 조향부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경운기의 운전 중 탑승자가 간편하게 조작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The light emitting unit 15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element 152 and a driving switch 154. The light emitting device 152 emits light by receiving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unit 160.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152 is driven in a blinking method because the blinking method has better discrimination power than the lighting method. Although it does not restrict | limit especially as the light emitting element 152, It is preferable to use an LED (Light Emitting Diode). The driving switch 154 serves to supply or block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unit 160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152. 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device 152 may be controlled on and off by the driving switch 154. This drive switch 154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steering unit, which is intended to induce the passenger to easily operate during operation of the tiller.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폭 식별이 가능한 경운기는 조향부의 양단 또는 탑승 좌석의 양측 상단에 발광 소자를 각각 탑재함으로써 야간이나 악천후에서도 운행중인 경운기의 전폭을 마주오는 타 차량이나 사람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적재부에 탑재된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운행 중 생성되는 진동 에너지를 실시간으로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원 장치 없이 발광 소자를 자체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ller capable of identifying the full width is provided with light emitting elements at both ends of the steering unit or at both upper ends of the passenger seat, so that other vehicles or people facing the full width of the tiller running at night or in bad weather 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element mounted on the loading unit can be easily identified and the vibration energy generated during operation can be converted into electric energy in real time, so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driven by itself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제2 실시예) (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바, 동일 명칭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함과 더불어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Since the till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o the same name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nd explanations will be made based on differences.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는 제1 실시예와 다르게, 압전부가 구동 바퀴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till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ezoelectric part is mounted inside the driving wheel.

이에 대해서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용 구동 바퀴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wheel for a culti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5, and FIG. 7 is a second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an Example.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는 압전부(160)가 구동 바퀴(도 1의 114)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따른 경운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5, the till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i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piezoelectric part 160 is mounted inside the driving wheel (114 of FIG. 1). It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이때, 구동 바퀴는 구동 휠(115)과, 상기 구동 휠(115)을 감싸는 구동 타이어(도 1의 116)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iving wheel may include a driving wheel 115 and a driving tire (116 of FIG. 1) surrounding the driving wheel 115.

구동 휠(115)은 구동 바퀴의 뼈대를 이루는 부분으로, 그 재질로는 티타늄(Ti), 알루미늄(Al)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driving wheel 115 forms a skeleton of the driving wheel, and a material thereof may be selected from titanium (Ti), aluminum (Al), and the like.

압전부(160)는 구동 휠(115)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구동 휠(115)에 가해지는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발광부(도 2의 15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The piezoelectric unit 160 is moun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115 to convert the vibration energy applied to the driving wheel 115 into electrical energy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light emitting unit 150 of FIG. 2.

구동 타이어는 구동 휠(115) 및 압전부(160)를 감싸도록 장착되어, 구동 휠(115)과 압전부(16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The driving tire is mounted to surround the driving wheel 115 and the piezoelectric part 160 to protect the driving wheel 115 and the piezoelectric part 160 from external impact.

상기 압전부(160)는,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전 소자(200), 제어 소자(300) 및 충전 소자(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부(160)는 보호 케이스(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the piezoelectric part 160 may include a piezoelectric element 200, a control element 300, and a charging element 400. 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part 160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ase 500.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압전 소자(200)는 압전 시트(210) 및 결합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시트(210)는 구동 휠(115)의 외주면을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220)는 구동 휠(115)과 압전 시트(210) 사이에 배치되어 압전 시트(210)를 구동 휠(115)에 고정되도록 결합시킴과 더불어, 구동 휠(115)과 압전 시트(210)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킨다. 이러한 결합 부재(220)로는 나사 등이 이용될 수 있다.5 and 6, the piezoelectric element 200 may include a piezoelectric sheet 210 and a coupling member 220. The piezoelectric sheet 2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tructure integral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115. The coupling member 220 is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wheel 115 and the piezoelectric sheet 210 to couple the piezoelectric sheet 210 to the driving wheel 115 so as to be fixed to the driving wheel 115 and the piezoelectric sheet 210. )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 screw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coupling member 220.

상기 일정 간격은 1 ~ 10cm로 각각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휠(115)과 압전 시트(210) 간의 이격 거리가 1cm 미만일 경우에는 이격 거리가 미미한 관계로 구동 휠(115)과 도로 면과의 기계적 마찰에 의한 진동 에너지를 압전 시트(210)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구동 휠(115)과 압전 시트(210) 간의 이격 거리가 10cm를 초과할 경우에는 탄성력은 증가하는 반면, 결합력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interval is preferably designed to each 1 ~ 10cm.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wheel 115 and the piezoelectric sheet 210 is less than 1 cm,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is insignificant, vibration energy due to mechanical friction between the driving wheel 115 and the road surface is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piezoelectric sheet 210. Difficulties can follow. On the contrary,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wheel 115 and the piezoelectric sheet 210 exceeds 10 cm, the elastic force may be increased while the bonding force may be sharply lowered.

이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200)는 압전 시트(210) 및 탄성 부재(221)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시트(210)는 구동 휠(115)의 외주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4 등분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2 등분, 6 등분, 8 등분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221)는 구동 휠(115)과 압전 시트(210) 사이에 배치되어, 압전 시트(210)를 구동 휠(115)에 고정되도록 결합함과 더불어, 구동 휠(115)과 압전 시트(210)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킨다. 탄성 부재(221)는 압전 시트(210)에 부착되거나, 또는 압전 시트(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contrast, as illustrated in FIG. 7, the piezoelectric element 200 may include a piezoelectric sheet 210 and an elastic member 221. The piezoelectric sheet 210 may be formed in four equal parts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115,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two equal parts, six equal parts, and eight equal parts. have. The elastic member 221 is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wheel 115 and the piezoelectric sheet 210 to couple the piezoelectric sheet 210 to the driving wheel 115 so as to be fixed to the driving wheel 115 and the piezoelectric sheet 210. 210 i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The elastic member 221 may be attached to the piezoelectric sheet 210 or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piezoelectric sheet 210.

탄성 부재(221)는 코일 및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체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부재(221)를 이용할 경우, 기관의 구동시 기관이 탑재된 몸체의 자체 진동과 더불어, 구동 타이어와 도로면 간의 기계적 마찰에 의한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바, 에너지 하베스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elastic member 221 may be selected from an elastic body including a coil and a coil spring. As such, when the elastic member 221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used, the vibration caused by the mechanical friction between the driving tire and the road surface can be more effectively transmitted along with the vibration of the body on which the engine is mounted when the engine is driven. This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energy harvesting efficiency.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용 압전 소자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들이다.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in detail the piezoelectric element for the till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200)는 압전 시트(210) 및 결합 부재(도 6의 220)와 더불어, 압전추(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piezoelectric element 200 may further include a piezoelectric weight 230 in addition to the piezoelectric sheet 210 and the coupling member 220 (see FIG. 6).

압전 시트(210)는 구동 타이어(도 1의 116)와 도로 면과의 기계적 마찰에 의한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압전 시트(210)는 지지판(212)과, 상기 지지판(212)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압전판(214) 및 제2 압전판(216)을 포함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sheet 210 converts vibration energy due to mechanical friction between the driving tire 116 of FIG. 1 and the road surface into electrical energy. The piezoelectric sheet 210 may include a support plate 212 and a first piezoelectric plate 214 and a second piezoelectric plate 216 attached to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12, respectively.

상기 지지판(212)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재질로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지지판(212)의 재질로는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금(Au) 및 SUS(stainless steel) 중 1종 이상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212 may have a plate shape, and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may be used as the material. The support plate 212 may be selected from one or more of copper (Cu), aluminum (Al), silver (Ag), gold (Au), and stainless steel (SUS).

제1 압전판(214)은 지지판(212)의 일면에 부착되고, 제2 압전판(216)은 지지판(212)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압전판(214, 216)은 지지판(212)에 비하여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상호 간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압전판(214, 216)은 각각 Pb(Zr,Ti)O3+Pb(Zn,Nb)O3, Pb(Zr,Ti)O3+Pb(Ni,Nb)O3, Pb(Zr,Ti)O3+PVDF 폴리머, Pb(Zr,Ti)O3+실리콘 폴리머 및 Pb(Zr,Ti)O3+에폭시 폴리머 중 선택된 하나의 제1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및 제2 압전판(214, 216)은 각각 (Na, K)NbO3, (Na, K, Li)NbO3, BiFeO3 및 BaTiO3 중 선택된 하나의 제2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piezoelectric plate 214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12,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plate 216 may b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12.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plates 214 and 216 may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support plate 212 and may b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plates 214 and 216 have Pb (Zr, Ti) O 3 + Pb (Zn, Nb) O 3 , Pb (Zr, Ti) O 3 + Pb (Ni, Nb) O 3 , Pb ( Zr, Ti) O 3 + PVDF polymer, Pb (Zr, Ti) O 3 + silicon polymer and Pb (Zr, Ti) O 3 + epoxy polymer may be formed of a first material selected from one of the first material. Alternatively,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plates 214 and 216 may be formed of a second material selected from (Na, K) NbO 3 , (Na, K, Li) NbO 3 , BiFeO 3, and BaTiO 3 , respectively. It may be.

이 중, 제1 및 제2 압전판(214, 216)으로는 환경 규제로 인하여 사용에 제약이 따르고 있는 납을 함유하는 제1 재질보다는 제2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mong these, it is preferable to use a second material as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plates 214 and 216, rather than a first material containing lead which is restricted in use due to environmental regulations.

압전추(230)는 압전 시트(210)의 마주보는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형성되어 지지판(212)의 수평을 유지시킴과 더불어, 경운기의 구동시 몸체의 자체 진동과 구동 휠과 도로 면과의 기계적 마찰에 의한 진동을 지지판(212)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판(212)의 진동은 제1 및 제2 압전판(214, 216)에 전달되어 에너지 변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전추(230)는 지지판(21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링 형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Piezoelectric 230 is formed along the opposite side edges of the piezoelectric sheet 210, respectively, to maintain the horizontal of the support plate 212, the mechanical vibration of the body and the driving wheel and the road surface of the body when driving the cultivator It serves to more effectively transmit the vibration caused by friction to the support plate (212). The vibration of the support plate 212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plates 214 and 216 to maximize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The piezoelectric 230 may be fixedly coupled in a ring shape at both edges of the support plate 212.

이때, 도 8에는 압전추(230)가 지지판(212)의 양측 가장자리에 1열로 배열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 것은 아니며, 에너지 변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2열 또는 그 이상으로 배열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무방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추(230)는 지지판(21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스크류 형상으로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in Fig. 8 is shown that the piezoelectric 230 is arranged in one row at both edges of the support plate 212, but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designed to be arranged in two rows or mor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It is okay to do it.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9, the piezoelectric 230 may be fixedly coupled in a screw shape at both edges of the support plate 212.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또는 스크류 형상으로 압전추(230)를 형성할 경우, 상기 압전추(230)가 구동 타이어와 도로 면과의 기계적 마찰에 의한 흔들림에 의하여 지지판(212)과 연쇄적인 충돌을 발생시켜 제1 및 제2 압전판(214, 216)에 충분한 진동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변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shown in FIGS. 8 and 9, when the piezoelectric weight 230 is formed in a ring or screw shape, the piezoelectric weight 23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212 by shaking due to mechanical friction between the driving tire and the road surface. ) And sufficient vibr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plates 214 and 216 by generating a chain collision, thereby maximizing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운기는 조향부의 양단 또는 탑승 좌석의 양측 상단에 발광 소자를 각각 탑재함으로써 야간이나 악천후에서도 운행중인 경운기의 전폭을 타 차량이나 사람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 바퀴의 내부에 장착된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운행 중 생성되는 진동 에너지를 실시간으로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원 장치 없이 발광 소자를 자체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till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light emitting elements at both ends of the steering unit or at both upper ends of the seat, so that other vehicles or people can easily identify the full width of the tiller in operation at night or in bad weather. In addition, since the vibration energy generated during operation may be converted into electric energy in real time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mounted inside the driving whee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driven by itself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device.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구동 바퀴에 대해서만 압전부를 장착한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구동 바퀴와 더불어 후방 바퀴에도 추가적인 압전부를 장착하고, 전기적으로 상호 간을 연결하는 구조로 설계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ase where the piezoelectric unit is mounted only on the driving wheel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additional piezoelectric units are mounted on the rear wheels together with the driving wheels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can also be designed to connect the structur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These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경운기 110 : 본체부
112 : 기관 114 : 구동 바퀴
115 : 구동 휠 116 : 구동 타이어
120 : 적재부 122 : 견인 바퀴
124 : 적재함 130 : 탑승부
132 : 탑승 좌석 140 : 조향부
150 : 발광부 160 : 압전부
100: tiller 110: main body
112: engine 114: drive wheels
115: driving wheel 116: driving tire
120: loading portion 122: towing wheels
124: loading box 130: the boarding portion
132: boarding seat 140: steering unit
150 light emitting unit 160 piezoelectric unit

Claims (10)

동력을 생성하는 기관이 탑재되는 몸체와, 상기 기관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는 구동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미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바퀴의 회전 운동에 따라 견인되는 견인 바퀴와, 상기 견인 바퀴의 상부에 장착되어 화물을 적재시키는 적재함을 구비하는 적재부;
상기 본체부와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며, 탑승 좌석을 구비하는 탑승부;
상기 본체부와 탑승부 사이에 배치되어 주행 방향을 조작하는 조향부;
상기 본체부의 전폭이 식별되도록 전방을 향해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구동 바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바퀴의 구동 휠에 가해지는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발광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압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부는 상기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압전 소자와, 상기 압전 소자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정류하여 정전류를 생성하는 정류회로를 구비하는 제어 소자와, 상기 정류회로에 의하여 정류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 소자와, 상기 적재부에 박스 형태로 장착되어, 상기 압전 소자, 제어 소자 및 충전 소자를 동봉하는 보호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압전부는 상기 구동 바퀴의 구동 휠과 도로 면 간의 기계적 마찰에 의한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압전 시트와, 상기 구동 휠과 압전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압전 시트를 구동 휠에 1 ~ 10cm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와, 상기 압전 시트의 마주보는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형성되는 압전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전추는 상기 압전 시트의 상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링 또는 스크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A main body having a body on which an engine generating power is mounted, and a driving wheel for receiving rotational power from the engine;
A loading unit having a traction wheel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and tow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ing wheel, and a loading box mounted on the traction wheel to load cargo;
A board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tacking unit and having a boarding seat;
A steer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boarding unit to manipulate a driving direction;
A light emitting part emitting light toward the front so that the full width of the main body part is identified; And
And a piezoelectric unit mounted inside the driving wheel to convert vibration energy applied to the driving wheel of the driving wheel into electrical energy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light emitting unit.
The piezoelectric unit includes a control element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for converting the vibration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 rectifying circuit for rectifying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to generate a constant current, and the electric energy rectified by the rectifying circuit. It includes a charging element for storing a, and a mounting portion mounted in the box portion in the form of a box, enclo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 control element and the charging element,
The piezoelectric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piezoelectric sheet for converting the vibration energy due to mechanical friction between the driving wheel of the driving wheel and the road surface into electrical energy, and the driving wheel and the piezoelectric sheet so that the piezoelectric sheet has a diameter of 1 to 10 cm. A coupling member configured to be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iezoelectric weights respectively formed along opposite edges of the piezoelectric sheet, wherein the piezoelectric weights are formed to penetrate along both edges of the piezoelectric sheet. Cultivator having a ring or screw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조향부의 양측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Cultivator,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both ends of the steer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탑승 좌석의 양측 상단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Cultivator,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each of the top of both sides of the boarding se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압전부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전방으로 광을 발산하는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A light emitting device emitting light forward by receiving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unit;
And a cultivation switch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시트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1 압전판과,
상기 지지판의 타면에 부착되는 제2 압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iezoelectric sheet is
Support plate,
A first piezoelectric plat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a second piezoelectric plat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KR1020120019337A 2012-02-24 2012-02-24 Cultivator having light emitting function with excellent distinguishability for full width using piezoelectric energy havesting KR1013627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337A KR101362754B1 (en) 2012-02-24 2012-02-24 Cultivator having light emitting function with excellent distinguishability for full width using piezoelectric energy have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337A KR101362754B1 (en) 2012-02-24 2012-02-24 Cultivator having light emitting function with excellent distinguishability for full width using piezoelectric energy haves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584A KR20130097584A (en) 2013-09-03
KR101362754B1 true KR101362754B1 (en) 2014-02-14

Family

ID=4944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337A KR101362754B1 (en) 2012-02-24 2012-02-24 Cultivator having light emitting function with excellent distinguishability for full width using piezoelectric energy haves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75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536A (en) * 2018-12-04 2020-06-12 한국세라믹기술원 Farm machinery driving safety light device of self generation type
KR20220107711A (en) 2021-01-26 2022-08-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Harvesting System for Agricultural Machinery Using Piezoelectric Devi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160Y1 (en) * 2003-07-16 2003-12-31 (주)액트 The indication light using piezoelectric ceramics
KR20060059861A (en) * 2003-01-03 2006-06-02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A tire having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0692890B1 (en) 2007-01-11 2007-03-12 권기원 Operation method of safety lamp for cultivator and safety lamp for cultivat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861A (en) * 2003-01-03 2006-06-02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A tire having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KR200337160Y1 (en) * 2003-07-16 2003-12-31 (주)액트 The indication light using piezoelectric ceramics
KR100692890B1 (en) 2007-01-11 2007-03-12 권기원 Operation method of safety lamp for cultivator and safety lamp for cultivator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536A (en) * 2018-12-04 2020-06-12 한국세라믹기술원 Farm machinery driving safety light device of self generation type
KR102132670B1 (en) * 2018-12-04 2020-07-10 한국세라믹기술원 Farm machinery driving safety light device of self generation type
KR20220107711A (en) 2021-01-26 2022-08-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Harvesting System for Agricultural Machinery Using Piezoelectr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584A (en)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36446A (en) Road fence
CN201220643Y (en) Gas-filled automobile
KR101362754B1 (en) Cultivator having light emitting function with excellent distinguishability for full width using piezoelectric energy havesting
US20070081350A1 (en) Rearview mirror and signal light arrangement
KR20120004062U (en) Self energy-generating road speed bump that distinguish is practicable night
CN109736233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speedway guardrail
KR102106637B1 (en) Smart bump
KR101330150B1 (en) Bicycle with excellent distinguishability for full width
CN109572755A (en) Rolling stock including lamp bar
CN201738258U (en) Piezoelectric LED warning speed bump
CN104401250A (en) Automobile door opening warning device
KR20080109143A (en) Safety signal robot equipment
CN209051349U (en) A kind of device convenient for tearing off top fabric
CN201257943Y (en) Novel automotive anticollision device
CN109703343A (en) Vehicle
KR102132670B1 (en) Farm machinery driving safety light device of self generation type
KR200494050Y1 (en) multipurpose safety indicator lens
JP3188119U (en) Warning light for solar vehicles
KR100895698B1 (en) Road light for vehicle
JP2021083279A (en) Non-contact charging system
CN205348055U (en) Novel convenient municipal administration anticollision of removing device
CN216232089U (en) Energy-saving hybrid all-terrain vehicle based on road information analysis
CN213228898U (en) Miniaturized large-load 1T one-way tractor
CN201890185U (en) Vehicle tail lamp
CN201348147Y (en) Mining signal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