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285B1 -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285B1
KR101362285B1 KR1020130086878A KR20130086878A KR101362285B1 KR 101362285 B1 KR101362285 B1 KR 101362285B1 KR 1020130086878 A KR1020130086878 A KR 1020130086878A KR 20130086878 A KR20130086878 A KR 20130086878A KR 101362285 B1 KR101362285 B1 KR 101362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nion
scalp
spray gun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욱
Original Assignee
(주)한창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창테크노 filed Critical (주)한창테크노
Priority to KR1020130086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16Surface treatment of hair by steam, oi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5Shampooing; Conditioning; Washing hair for hairdress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bstract

모발 또는 두피 관리용 약품을 효과적으로 두부(頭部)로 분무하고 오존으로 약품 경로 배출 경로를 세척하고, 미용용품의 트레이(tray)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가 제공된다. 상기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는 거품이송공기에 의해 약액용기에 담겨지는 외부로 분무하는 거품기와; 약품이송공기에 의해 약품탱크에 저장된 약품을 외부로 분무하는 스프레이건과; 거품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거품기 센서와; 상기 스프레이건의 작동에 의한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음이온 또는 오존 발생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챔버에 음이온 또는 오존을 발생시키는 음이온·오존 발생장치와; 거품기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이온·오존 발생장치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상기 챔버에 채워진 공기를 펌핑하여 거품이송공기를 상기 거품기로 공급하는 거품기 공기발생장치와; 스프레이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이온·오존 발생장치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상기 챔버에 채워진 공기를 펌핑하여 약품이송공기를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공급하는 스프레이 공기발생장치와; 설정된 모드에 따라 음이온·오존발생장치의 음이온 또는 오존의 발생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거품기 센서의 검출신호와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변화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거품기구동신호, 스프레이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Multi-function scalp and hair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모발·두피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발 또는 두피 관리용 약품을 효과적으로 두부(頭部)에 분무하고 오존으로 약품 배출 경로를 세척·살균하며, 온열치료 및 두피 관리용 갈바닉 이온을 발생하는 온열기, 두피봉 등으로 두피 마사지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미용용품의 트레이(tray)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모발 관리기는 머리카락에 중화제, 샴푸, 트리트먼트 등 각종 액상타입의 약품을 각각의 용기에 넣어 보관 하면서, 사용 시에 두피나 모발에 발라 사용하는 미용 기구이다. 이와 같은 모발 관리기는 액상타입의 약품을 분무하기 위한 분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분무장치는 아래 특허문헌 1(공개특허번호 10-2011-0027451)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액액부분장치는 약액을 담는 용기와, 용기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과, 뚜껑의 상부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포터와 압축공기와 약액이 분무되는 분무공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본체 내부에는 유입포터와 분무공이 연결된 내부 공간인 벤츄리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벤츄리 공간에는 용기에 담긴약액을 흡입하는 약액 튜브가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입포트 또는 유입포트에 연결된 공기 튜브에 공기를 차단하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분무기는 다양한 약액을 각각 별도로 담고, 다수개의 분무기를 하나의 장치에 설치되어, 퍼머나 염색 등에 필요한 약액을 두피나 모발에 분무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위 특허문헌 1의 모발관리기는 약액을 분무하는 기술적 구성만이 개시(開示)되어 있을 뿐, 분무기를 세척하고 살균하는 기술적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고 있고, 물과 샴푸 등을 혼합하여 압축공기에 의해 거품을 발생하는 거품기의 세정 및 살균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약액이 저장된 용기와 분무기가 청결하지 못하여 지속 반복적으로 사용 시에는 분무기와 거품기를 별도로 일일이 소속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두피를 관리하는 두피관리기는 이온 온열기에 갈바닉(galvanic) 전류 마사지를 위한 갈바닉 마사지봉과 온도조절기에 의해 설정된 온열을 발생하는 온열기 등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갈바닉 마사지봉에서 발생하는 갈바닉 전류로 두피를 마사지 하기 위해서는 전류 루프 형성을 위하여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피부에 한 손을 접촉한 상태에서 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시술자 및 피시술자 양자가 다같이 불편하였다. 이러한 갈바닉 마사지 기능을 갖는 아래 특허문헌 2(등록실용신안 제20-0467161)에 개시되어 있다.
위 특허문헌 1과 2에 개시된 모발관리기와 두피관리기 등은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벽 또는 바닥에 매설된 콘센트에 끼워져 전기를 받아들이는 플러그 코드(plug code/code cable)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전원케이블에 의해 시술 행동반경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시술자가 있는 위치에 따라 전원케이블을 옮겨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모발관리기 또는 두피관리기는 미용실 또는 피부 관리실, 두피치료를 전문적으로 하는 피부과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데, 위와 같은 서비스업체에는 다수의 작업용 트레이 등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샴퓨, 각종 약품, 미용도구 및 치료용구 등이 놓아진 또는 담아진 작업대가 그 예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작업대를 갖는 서비스업체에 독립적으로 만들어진 모발관리기와 두피관리기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작업공간이 협소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7451호(2011. 3. 16. 공개) "모발 관리용 분무기" 실용신안등록 제20-0467161호(2013. 05. 23. 등록) "모발 또는 두피 관리용 갈바닉 기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용용구 또는 치료용구 등이 담겨진 작업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서 시술자의 위치에 구애 받지 않고 이동이 자유로우며, 약품 스프레이건 및 거품발생기 등의 이송경로에 오존이 함유된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세척 및 소독을 할 수 있는 다기능 모발·두피 관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레이건 및 거품발생기로 음이온의 압축공기를 이송시켜 음이온이 함유된 약품과 거품을 시술자의 두부방향으로 분무하거나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 다기능 모발·두피 관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에 서비스업체에 보유하고 있는 작업대에 간단히 탑재 또는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의 구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는, 약액용기에 담겨진 약품을 거품이송공기에 의해 상기 약액용기에 담겨지는 외부로 분무하는 거품기와; 약품이 저장되는 약품탱크와 일체로 제작되며, 약품이송공기에 의해 상기 약품탱크에 저장된 약품을 외부로 분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레이건과; 거품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거품기 센서와; 상기 스프레이건의 작동에 의한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외부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챔버를 가지며, 음이온 또는 오존 발생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챔버에 음이온 또는 오존을 발생시키는 음이온·오존 발생장치와; 거품기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이온·오존 발생장치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상기 챔버에 채워진 공기를 펌핑하여 거품이송공기를 상기 거품기로 공급하는 거품공기발생기와; 스프레이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이온·오존 발생장치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상기 챔버에 채워진 공기를 펌핑하여 약품이송공기를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공급하는 스프레이 공기발생장치와; 동작모드신호에 따라 거품기모드, 스프레이모드, 세정·소독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모드에 따라 음이온·오존발생장치의 음이온 또는 오존의 발생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거품기 센서의 검출신호와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변화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거품기구동신호, 스프레이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는, 발열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발열되는 온열기와; 마사지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갈바닉 전류를 발생하여 접촉전극으로 공급하는 갈바닉 마사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신호에 따라 거품기모드, 스프레이모드, 세정·소독모드, 온열모드, 갈바닉 마사지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온열기와 갈바닉 마사지부로 상기 발열제어신호와 상기 마사지 제어신호를 공급하거나 상기 거품기 센서의 검출신호와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변화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거품기구동신호, 스프레이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는 상기 온열기, 갈바닉 마사지부 및 제어부의 공통접지에 연결되며, 피시술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접착패드의 전위를 공통접지전위로 유지하는 접지전위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는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와, 상용교류전압의 입력과 차단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압을 충전시키거나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의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충전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는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하우징은 캐스터(caster)가 저면에 설치되어 그 상면에 약품병, 미용용구, 치료용구가 놓아지는 자성체의 물품 보관대가 설치된 작업대에 넣어지거나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물품 보관대의 좌우측면에는 상기 거품기와 스프레이건이 각각 걸어지는 거품기 걸이대와 스프레이 걸이대가 자석에 의해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의 동작모드신호는 원격지의 리모컨(remote controller) 또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패널에 위치된 작동제어패널 상에 설치된 작동스위치들의 선택에 의해 설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는 미용실, 피부과 등에서 널리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작업대의 물품보관대의 좌우측면에 스프레이건 걸이대와 거품기, 갈바닉 마사지부, 두피시술봉 등을 거치시킬 수 있는 거품기 걸이대가 쉽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작업대에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의 메인보드가 탑재된 하우징을 탑재하도록 함으로써 모발·두피관리기를 독립된 장치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어 경제적이다. 또한,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발·두피관리기는 음이온과 오존발생시기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약품 또는 샴푸 등의 거품을 두부에 분사 시에는 약품이송공기와 거품이송공기에 음이온이 함유되도록 하고, 세척 시에는 오존이 함유된 세척용 공기를 거품기와 스프레이건으로 공급하여 거품 및 약품 이송라인을 세정·소독함으로써 모발·두피관리를 보다 위생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에 의해 거품기와 스프레이건으로 거품과 약품을 공급하여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시술자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다른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음이온, 오존 발생장치 및 펌프들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의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10)는 저면에 캐스터(caster)가 부착되어 이동이 자유롭게 만들어진 작업대(T)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업대(T)의 상부에는 약품병, 샴푸, 미용용구, 치료용구 등의 용기(23a, 23b)이 넣어지는 안착홈(21, 22)이 형성된 물품 보관대(20)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다양한 용품, 물품 등이 얹어지는 박스형태의 받침대(BOX)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BOX)의 윗부분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만들어진 다기능 모발·두발 관리기(10)의 프린트보드(PCB) 및 펌프 등이 설치된 기구장치(PM) 등이 설치된 하우징(HG)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물품보관대(20)의 좌우측면 각각에는 거품기(40), 온열기(60), 마사지봉(70), 두피시술봉(80) 등이 거치되는 거품기 걸이대(30)와, 스프레이건(50)이 거치되거나 놓어지는 스프레이 걸이대(32)가 도 3과 같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물품보관대(20)의 양측단의 격벽(W)의 상단은 안착홈(21)이 형성된 용기고정판(24)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로 돌출되어 있고, 거품기 걸이대(30)와 스프레이 걸이대(32)는 각각 디귿자 형상의 걸이부(31)의 일측 상단에 걸고리 형상의 래치용 고정홈(LG)이 형성된 플레이트(33)가 나사 등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물품보관대(20)를 철판 등과 같은 자성체로 하고, 상기 플레이트(33)를 자석으로 구성하는 경우, 플레이트(33)의 자성에 의하여 물품보관대(20)에 거품기 걸이대(30)와 스프레이 걸이대(32)를 용이하게 부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33)의 상단에 걸고리 형성을 갖는 래치용 고정홈(LG)의 홈이 상기 격벽(W)의 상단부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중량감 있는 무게의 하중도 견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플레이트(33)를 자석으로 구성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플레이트(33)에 자석을 부착하여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거품기 걸이대(30)에 거치된 거품기(40)는 물과 샴푸 등과 같은 약품을 섞어 용기에 넣으면 자체적으로 거품이 되어 나오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적 구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거품기(40)의 저면에는 자석(41)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거품기(40)가 거치되는 거품기 걸이대(30)의 해당 위치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기 센서(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거품기 센서(44)는 거품기 걸이대(30)에 거치된 거품기(40)가 들어지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마그네트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거품기(40)에는 거품이송공기가 유입되는 거품이송공기라인(42)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거품기(40)의 상부에는 거품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량 조절밸브과 거품을 배출하기 위한 거품배출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거품배출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공기량 조절밸브에 의해 조절된 양만큼 상기 거품이송공기라인(42)으로 음이온이 함유된 거품배출공기가 공급되어 거품기(40)의 약액용기에 저장된 약액 거품이 거품분무노즐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거품기(40)의 분부노즐을 두부의 머리을 향하면 머리에 음이온이 함유된 샴푸 거품 등과 같은 약액이 공급된다.
상기 거픔기 걸이대(30)에 거치되는 온열기(60)는 발열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로 발열되는 것으로, 두피를 온열치료하는데 사용되며, 두피시술봉(70)은 마사지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갈바닉 전류를 발생하는 접촉전극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두피를 갈바닉 시술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마사지봉(70)은 마사지 전류의 입력에 의해 두피를 전기마사지하는 것이다.
또한, 스프레이 걸이대(32)에 거치 또는 부착된 스프레이건(핸드피이스)(50)은 이미 주지된 바와 같이 약품 주입구로 주입되는 약품을 저장하는 약품탱크와, 상기 약품탱크에 저장된 약품을 약품이송공기라인(52)으로 유입되는 이송공기의 유입공기량에 따라 배출하는 분무노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50)에는 분무되는 약품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양 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거품기 걸이대(30)와 스프레이건 걸이대(32)가 물품 보관대(20)의 좌우측면에 분리 가능도록 결합된 작업대(T)의 받침대(BOX)의 윗분에 설치된 하우징(HG)의 내부에는 다기능 모발·두발 관리기(10)의 프린트보드(PCB) 및 펌프 등이 설치된 기구장치(PM) 등이 내장되어 있고, 하우징(HG)의 전면에는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동작을 제어하는 다수의 작동스위치들이 설치되어 있고, 외부의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수신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음이온, 오존발생장치 및 펌프들의 기구장치(PM)의 마운트(90)에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참조부호 16은 일측면에 음이온 필터 및 공기필터가 구비된 공기유입구(16a)와 공기배출구(16b, 16c)가 형성된 챔버를 가지며, 음이온 또는 오존 발생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챔버에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16e)와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기(16f)를 갖는 음이온·오존 발생장치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17은 스프레이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이온·오존 발생장치(16)의 공기배출구(16b)를 통해 상기 챔버에 채워진 공기를 펌핑하여 음이온 또는 오존이 함유된 약품이송공기를 에어챔버(92)를 경유하여 상기 스프레이건(50)의 약품이송공기라인(52)으로 공급하는 스프레이 공기발생장치이며, 18은 거품기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이온·오존 발생장치(16)의 공기배출구(16c)를 통해 상기 챔버에 채워진 공기를 펌핑하여 음이온 또는 오존이 함유된 거품이송공기를 상기 거품기(40)의 거품이송공기라인(42)으로 공급하는 거품기 공기발생장치이다. 이때, 상기 에어챔버(92)의 유입구와 상기 스프레이 공기발생장치(17)의 사이에는 솔레노이드밸브(91)가 연결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벨브(91)와 상기 에어챔버(92)의 유입구 사이에는 T형 연결관을 통해 공기압력센서(공기압센서)(19)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기압센서(19)는 스프레이건(50)의 작동에 의해 에어챔버(92)에 채워진 공기압력의 감압 상태를 검출하여 스프레이건(50)이 작동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위와 같은 구성 중, 스프레이 공기발생장치(17)와 거품기 공기발생장치(18)는 진공펌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이온·오존 발생장치(16)와 두 개의 공기발생장치(17, 18) 및 솔레노이드밸브(91)의 작동은 후술하는 제어부(15)에 의해 적기에 구동된다. 즉, 상기 제어부(15)는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10)의 동작모드를 거품기모드, 스프레이모드, 세정·소독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모드에 따라 음이온·오존발생장치(16)의 음이온 또는 오존의 발생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거품기 센서(44)의 검출신호와 상기 공기압센서(19)의 압력변화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거품기구동신호, 스프레이건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온열기(60)의 내부에는 제어부(15)로부터 출력되는 발열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발열되는 히터(13a), 상기 히터(13b)에 의해 가열되는 온열패드(13b)의 가열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5)로 피이드-백(feed back)하는 온도센서(13c)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온열부(60)는 제어부(15)에서 온도가 설정된 발열제어신호를 출력하면 발열되며, 제어부(15)는 상기 온도센서(13c)에서 감지된 현재의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 값을 갖도록 발열제어신호를 제어한다.
두피시술봉(80)은 마사지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갈바닉 전류를 발생하는 갈바닉 발생기기(12a)와, 상기 갈바닉 전류를 피부로 전달하는 접촉전극, 즉 시술봉(12b)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마사지봉(70)의 구성 역시 두피시술봉(80)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하거나, 저주파전류를 발생하는 저주파전류발생기(도시하지 않았음)의 출력전극에 상기 마사지봉(70)을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서 참조부호 14는 접지전위 연결부로서, 공통전위 즉, 접지전압을 피시술자의 피부에 부착/착용되는 접지패드이다. 이는 상기 두피시술봉(80)과 마사지봉(70)에는 양전류만이 흐름으로써 전기마사지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두피시술봉(80)과 마사지봉(70)에는 양전류가 피시술자의 신체로 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구성된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10)는 도 5에 도시된 전원장치(11)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전원장치(11)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상용교류전압의 입력과 차단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압을 충전시키거나 상기 교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의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충전장치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10)의 동작모드에 따른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거품기모드]
거품기모드는 거품기(40)에서 발생된 거품에 음이온을 함유시겨 두발로 샴푸 등과 같은 약제를 거품형태로 공급하는 모드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거품기(40)가 거품기 걸이대(30)에서 들어지면, 그 하부에 설치된 자석(41)이 거품기센서(44)에 떨어짐으로써 거품기 사용감지신호가 제어부(15)로 공급된다. 상기 제어부(15)는 음이온 발생제어신호를 음이온·오존발생장치(16)로 출력하고, 거품기 공기발생장치(18)를 구동한다. 이때, 상기 음이온·오존발생장치(16)는 음이온발생기(16f)을 작동시켜 음이온을 내부 챔버에 채우며, 상기 거품기 공기발생장치(18)는 상기 음이온·오존발생장치(16)의 챔버에 채워진 음이온을 펌핑하여 음이온이 함유된 거품이송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배출한다. 상기 거품기 공기발생장치(18)에서 배출되는 음이온이 함유 거품이송공기는 거품이송공기라인(42)을 통해 거품기(40)로 공급된다. 이때 거품기(40)는 상부에 마련된 공기량 조절밸브와 거품배출버튼의 설정에 대응한 거품량을 분사노즐을 통해 배출한다. 따라서, 상기 거품기(40)로부터는 음이온이 함유된 거품기 배출된다.
[스프레이모드]
스프레이모드는 스프레이건(50)의 약품탱크에 채워진 약품을 두부로 공급하는 모드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스프레이건(50)에 설치된 배출밸브가 눌려져 작동되면, 에어챔버(92)에 채워진 공기가 약품이송공기라인(52)과 상기 스프레이건(50)의 분무노즐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에어챔버(92)에 채워진 공기가 배출되면 공기압센서(19)가 이를 검출하여 제어부(15)로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공기압센서(19)의 출력에 의해 스프레이건(50)의 작동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5)는 공기압센서(19)로부터 출력되는 공기압변화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음이온 발생제어신호를 음이온·오존발생장치(16)로 출력하고, 스프레이 공기발생장치(17)를 구동한다. 이때, 상기 음이온·오존발생장치(16)는 음이온발생기(16f)을 작동시켜 음이온을 내부 챔버에 채우며, 상기 스프레이 공기발생장치(17)는 상기 음이온·오존발생장치(16)의 챔버에 채워진 음이온을 펌핑하여 음이온이 함유된 약품이송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배출한다. 상기 스프레이 공기발생장치(17)에서 배출되는 음이온이 함유 약품이송공기는 약품이송공기라인(52)을 통해 스프레이건(50)로 공급된다. 이때 스프레이건(50)는 상부에 마련된 배출량 조절밸브의 조절에 따른 분사량으로 약품을 외부로 분사한다.
[거품기 또는 스프레이 세척·소독모드]
세척·소독모드는 상기 거품기 모드 또는 스프레이모드를 통해 모발 또는 두피 관리용 약품을 효과적으로 두부(頭部)로 분무하고 오존으로 약품 경로 배출 경로를 소독·세척하는 모드이다. 이러한 모드의 설명은 하우징(HG)의 전면패널에 마련된 세척모드스위치의 선택에 의해 설정되거나 원격지의 리모콘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다. 거품기 세척·소독모드 또는 스프레이 세척·소독모드의 공기이송경로를 앞서 설명한 거품기모드와 스프레이모드와 동일하나, 음이온·오존발생장치(16)로 제공되는 제어신호가 오존발생제어신호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세척모드로 설정되면, 제어부(15)는 음이온·오존발생장치(16) 내의 음이온발생기(16f)의 구동을 차단하고, 오존발생기(16e)만을 동작시켜 음이온·오존발생장치(16)의 내부 챔버에 오존을 채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거품기(40)가 거품기 걸이대(30)에서 들어지거나 스프레이건(50)의 배출밸브가 작동되면, 상기 발생된 오존이 거품기이송공기란(42) 또는 약품이송공기라인(5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해당 공기이송라인은 물론 거품기(40)와 스프레이건(50)의 배출경로가 세척되고 오존 살균된다.
[온열모드]
온열모드는 모발이나 두피를 열에 의해 마사지하는 온열 치료 기능으로서, 이러한 온열모드는 하우징(HG)의 전면패널에 마련된 온열모드스위치의 선택에 의해 설정되거나 원격지의 리모콘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다. 이때 온열모드에는 온열기(60)의 발열온도를 설정하여야 한다. 시술자가 발열온도를 설정하면, 제어부(15)는 온열패드(13b)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발열제어신호를 전원라인(62)을 통해 히터(13a)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히터(13a)가 발열되어 온열패드(13b)을 가열함으로써 온열기(60)를 이용하여 두피 등을 온열치료 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5)는 온도센서(13c)에서 감지된 현재의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을 갖도록 상기 발열제어신호를 제어한다.
[갈바닉 마사지 모드]
갈바닉 마사지모드는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갈바닉이온을 두피에 공급하여 두피 이온 마사지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갈바닉 마사지모드는 하우징(HG)의 전면패널에 마련된 갈바닉 모드스위치의 선택에 의해 설정되거나 원격지의 리모콘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다. 이러한 갈바닉 마사지를 하기 위해서는 접지전원 연결부(14)의 패드, 바람직하기론 손목에 착용되는 밴드 형태의 패드가 피시술자의 신체에 접속되어야 한다. 갈바닉 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15)는 전원라인(82)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갈바닉 발생기기(12a)에서 갈바닉 전류가 생성되도록 한다. 상기 갈바닉 전류가 시술봉(82)으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시술봉(82)이 피시술자의 두피 등의 신체에 접촉되면, 상기 갈바닉 전류가 피시술자의 인체로 흐르게 됨으로써 갈바닉 이온이 피술자의 두피 등에 공급되어 피부마사지기 이루어진다.
10 :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 11 : 전원장치,
12a : 갈바닉 발생기기, 12b: 시술봉,
13a : 히터, 13b : 온열패드,
13c : 온도센서, 14 : 접지전위 연결부,
15 : 제어부, 16 : 음이온·오존발생장치,
16a : 공기유입구, 16b, 16c : 공기배출구,
16e : 오존발생기, 16f : 음이온발생기,
17 : : 스프레이 공기발생장치, 18 : : 거품기 공기발생장치,
19 : 공기압센서, 20 : 물품보관대,
21, 22 : 안착홈, 23a, 23b : 용기,
24 : 용기고정판, 30 : 거품기 걸이대,
31 : 디귿자 형상의 걸이부, 32 : 스프레이건(핸드피스) 걸이대,
33 : 플레이트, 40 : 거품기,
41 : 자석, 42 : 거품이송공기라인,
44 : 거품기 센서, 50 : 스프레이건,
52 : 약품이송공기라인, 60 : 온열기,
62, 82 : 전원라인, 70 : 마사지봉,
80 : 두피시술봉 90 : 기구장치마운트,
91 : 솔레노이드밸브, 92 : 에어챔버,
REC : 리모컨, HG : 하우징,
T : 작업대, W : 격벽(barrier wall),
LG : 고정홈(latch groove), PCB : 프린트 회로 보드,
PM : 기구장치,

Claims (6)

  1.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는, 약액용기에 담겨진 약품을 거품이송공기에 의해 상기 약액용기에 담겨지는 외부로 분무하는 거품기와; 약품이 저장되는 약품탱크와 일체로 제작되며, 약품이송공기에 의해 상기 약품탱크에 저장된 약품을 외부로 분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레이건과; 거품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거품기 센서와; 상기 스프레이건의 작동에 의한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외부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챔버를 가지며, 음이온 또는 오존 발생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챔버에 음이온 또는 오존을 발생시키는 음이온·오존 발생장치와; 거품기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이온·오존 발생장치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상기 챔버에 채워진 공기를 펌핑하여 거품이송공기를 상기 거품기로 공급하는 거품기 공기발생장치와; 스프레이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이온·오존 발생장치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상기 챔버에 채워진 공기를 펌핑하여 약품이송공기를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공급하는 스프레이 공기발생장치와; 동작모드신호에 따라 거품기모드, 스프레이모드, 세정·소독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모드에 따라 음이온·오존발생장치의 음이온 또는 오존의 발생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거품기 센서의 검출신호와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변화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거품기구동신호, 스프레이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발·두피 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는, 발열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발열되는 온열기와; 마사지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갈바닉 전류를 발생하여 접촉전극으로 공급하는 갈바닉 마사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신호에 따라 거품기모드, 스프레이모드, 세정·소독모드, 온열모드, 갈바닉 마사지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온열기와 갈바닉 마사지부로 상기 발열제어신호와 상기 마사지 제어신호를 공급하거나 상기 거품기 센서의 검출신호와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변화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거품기구동신호, 스프레이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발·두피 관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는 상기 온열기, 갈바닉 마사지부 및 제어부의 공통접지에 연결되며, 피시술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접착패드의 전위를 공통접지전위로 유지하는 접지전위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발·두피 관리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는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와, 상용교류전압의 입력과 차단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압을 충전시키거나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의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충전장치를 구비하는 전원장치를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발·두피 관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 음이온·오존 발생장치, 거품기 공기발생장치, 스프레이 공기발생장치 및 전원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하우징은 캐스터가 저면에 설치되어 그 상면에 약품병, 미용용구, 치료용구가 놓아지는 자성체의 물품 보관대가 설치된 작업대에 넣어지거나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물품 보관대의 좌우측면에는 상기 거품기와 스프레이건이 각각 걸어지는 거품기 걸이대와 스프레이 걸이대가 자석에 의해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발·두피 관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동작모드신호는 원격지의 리모컨 또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 패널에 위치된 작동제어패널 상에 설치된 작동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의해 설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발·두피 관리기.
KR1020130086878A 2013-07-23 2013-07-23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 KR101362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878A KR101362285B1 (ko) 2013-07-23 2013-07-23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878A KR101362285B1 (ko) 2013-07-23 2013-07-23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285B1 true KR101362285B1 (ko) 2014-02-12

Family

ID=5027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878A KR101362285B1 (ko) 2013-07-23 2013-07-23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2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700B1 (ko) * 2016-01-28 2017-08-18 이상민 두피 및 모발 종합 관리장치
KR101948903B1 (ko) * 2017-08-25 2019-02-18 송병희 모발 및 피부용 부자재 공급 스프레이 장치
WO2019039897A1 (ko) * 2017-08-25 2019-02-28 송병희 모발 및 피부용 부자재 공급 스프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829Y1 (ko) * 2007-01-19 2008-05-07 김덕성 다기능 두피/모발관리기
KR20090080214A (ko) * 2008-01-21 2009-07-24 주식회사 이엔다솜 모발 관리용 분무기
KR20100035443A (ko) * 2008-09-26 2010-04-05 이성근 모발 관리기
KR20110027451A (ko) * 2009-09-10 2011-03-16 동주대학 산학협력단 모발 관리용 분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829Y1 (ko) * 2007-01-19 2008-05-07 김덕성 다기능 두피/모발관리기
KR20090080214A (ko) * 2008-01-21 2009-07-24 주식회사 이엔다솜 모발 관리용 분무기
KR20100035443A (ko) * 2008-09-26 2010-04-05 이성근 모발 관리기
KR20110027451A (ko) * 2009-09-10 2011-03-16 동주대학 산학협력단 모발 관리용 분무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700B1 (ko) * 2016-01-28 2017-08-18 이상민 두피 및 모발 종합 관리장치
KR101948903B1 (ko) * 2017-08-25 2019-02-18 송병희 모발 및 피부용 부자재 공급 스프레이 장치
WO2019039897A1 (ko) * 2017-08-25 2019-02-28 송병희 모발 및 피부용 부자재 공급 스프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0282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ытья рук
US20200216335A1 (en) Portable apparatus for creating mist using sterilized water
KR101362285B1 (ko) 다기능 모발·두피관리기
KR20020071903A (ko) 개량된 손 세척 장치
US20120272952A1 (en) Ophthalmic ultrasonic nebulizer device
KR101997045B1 (ko) 살균이 가능한 피부 관리 미용 기기
KR20200005131A (ko) 자동살균기능을 구비한 의자
JP6526393B2 (ja) 電動ディスペンサー
KR20150103914A (ko) 조명부를 포함하고 살균력이 증가된 휴대용 미용 살균 보습기
KR200482450Y1 (ko) 휴대용 가습 및 살균기
CN204637288U (zh) 双面喷雾式自动手消毒器
US9808547B2 (en) Sanitizer
ES2764679T3 (es) Nebulizador de aerosol aséptico
KR20110101450A (ko) 휴대용 소독기
KR100826944B1 (ko) 손 소독기
US9700643B2 (en) Sanitizer with an ion generator
KR100496882B1 (ko) 에어 샤워 시스템
KR101433117B1 (ko) 충전식 휴대용 미용 살균 보습기
KR20170000219U (ko) 온열 수정을 이용한 질 세정기
JP3234047U (ja) 除菌装置
KR20120002691A (ko) 스팀발생장치
CN208464724U (zh) 一种输液消毒架
CN212679634U (zh) 餐具消毒柜
KR20160003822U (ko) 휴대용 살균수 분사기
CN215875650U (zh) 一种用于门把手的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