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193B1 - Non-bearing reinforced concrete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Non-bearing reinforced concrete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193B1
KR101362193B1 KR1020120132952A KR20120132952A KR101362193B1 KR 101362193 B1 KR101362193 B1 KR 101362193B1 KR 1020120132952 A KR1020120132952 A KR 1020120132952A KR 20120132952 A KR20120132952 A KR 20120132952A KR 101362193 B1 KR101362193 B1 KR 101362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wall
slab
concrete
formwork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9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수민
김효락
박홍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2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1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1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t-in-place concrete nonbear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cast-in-place concrete nonbearing wall capable of solving problems of generating a gap between a dry wall and a bottom slab and generating a crack and a defect of a binding part between the dry wall and the bottom slab due to the problems, such as high costs, difficulty of high cost product management, and short and long-term deflection of a bottom slab, of the conventional technology constructing a nonbearing wall using a dry wall by construct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ottom slabs on each floor of a double storied building, a nonbearing wall (non-structural wall) which is not applied with vertical load. In the present invention, a nonbearing wall (1) is manufactured by cast-in-place concrete (4). An isolation damping material (2) capable of absorbing strain by elasticity is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slabs (10, 20) in an upper and a low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The vertical deflection generated in the bottom slabs (10, 20) is absorbed by the compression strain of the isolation damping material (2), thereby making the vertical load not to be applied to the nonbearing wall (1).

Description

현장타설 콘크리트 비내력벽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Non-bearing Reinforced Concrete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Non-bearing Reinforced Concrete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본 발명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비내력벽 설치구조 및 설치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아파트와 같은 복층의 공동주택, 빌라 또는 빌딩 등의 복층 건물에서 각 층의 상,하 바닥슬래브 사이에 연직하중을 받지 않는 비내력벽(비구조벽)을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하여 구축함으로써, 건식벽체를 이용하여 비내력벽을 구축하는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 즉, 고비용 및 품질관리의 어려움, 그리고 바닥슬래브의 장,단기 처짐으로 인한 건식 벽체와 바닥슬래브 사이의 유격발생, 건식 벽체간의 접합부 균열 및 하자 발생 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비내력벽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concrete non-bearing wall cast concrete, specifically, the vertical loa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 slabs of each floor in a multi-storey building, such as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villa or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By constructing non-bearing walls (non-structural walls) that are not subjected to on-site casting concret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of constructing non-bearing walls using drywall, namely, high cost and difficulty in quality control, and short and short-term deflection of floor slab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 concrete non-bearing wall to solve the occurrence of play between drywall and floor slab, cracks and defects between junctions between drywall.

아파트와 같은 복층의 공동주택, 빌라 또는 빌딩 등의 복층 건물에서 각 층의 상,하부 바닥슬래브 사이에 연직하중을 받지 않는 비내력벽이 존재하게 된다. 종래에는 비내력벽으로서, 건식 벽체를 이용하였다. 즉, 종래에는 경량 패널이나 경량 콘크리트 등에 의해 사전에 제작된 건식 벽체를, 해당 층으로 운반하여 이미 설치되어 있던 해당 층의 상,하부 바닥슬래브 사이에 연직하게 설치함으로써 비내력벽을 구축하였던 것이다. 비내력벽으로 사용되는 경량 벽체의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7930호에 개시되어 있다. In multi-storey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villas or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there is a non-bearing wall that does not receive vertical load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 slabs of each floor. Conventionally, drywall was used as a non-bearing wall. In other words, in the past, a non-bearing wall was constructed by vertically installing a dry wall made of lightweight panels, lightweight concrete, or the like, verticall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 slabs of the floor, which was already installed. An example of a lightweight wall used as a non-bearing wall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27930.

그런데 이와 같이 건식 벽체를 이용하여 비내력벽을 구축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는 우선 시공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건식 벽체의 경우, 제품 자체의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완성된 제품의 형태로 각 층으로 운반해야 하는데, 고층의 경우, 운반에 따른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운반 과정에서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취급도 매우 어려우며 그에 따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 By the way,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of building a non-bearing wall using a dry wall in this way is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a lot of first. In the case of drywall, not only is the price of the product itself expensive, but it must be transported to each floor in the form of a finished product. In the case of a high-rise, the cost of transportation may be increased, and damage may occur in the transportation process. Because of this, handling is very difficult and expensive accordingly.

특히, 이러한 건식 벽체를 이용하는 경우, 바닥슬래브의 장,단기 처짐으로 인한 문제점도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바닥슬래브에서는 단기 처짐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단기 처짐의 문제점은, 횡보의 설치 없이 기둥으로만 상부 바닥슬래브를 지지하게 되는 기둥식 무량판구조에서 더욱 심각하다. 해당 층의 상,하부 바닥슬래브가 설치된 후에 건식 벽체를 상,하부 바닥슬래브 사이에 연직하게 세워서 설치할 때, 위와 같은 바닥슬래브의 단기 처짐으로 인하여 건식 벽체와 상,하부 바닥슬래브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when using such a drywall, problems caused by the long and short-term deflection of the floor slab also occurs seriously. Short-term deflection inevitably occurs in floor slabs. The problem of this short-term deflection is more serious in the columnar flat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floor slab is supported only by the pillars without the sideways installation. When the drywall is installed verticall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 slabs after the upper and lower floor slabs of the floor are installed, there is a gap between the drywall and the upper and lower floor slabs due to the short-term deflection of the floor slabs. There is a problem.

장기 처짐 또한 큰 문제를 야기하는데, 상,하부 바닥슬래브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장기 처짐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하부 바닥슬래브 사이에 건식 벽체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부 바닥슬래브에 장기 처짐이 발생하는 경우, 건식 벽체에는 연직 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되며, 그로 인하여 건식 벽체끼리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접합부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건식 벽체의 표면에 부착된 벽지 등이 찢어지는 현상 또는, 상,하부 바닥슬래브와 건식 벽체의 상,하 측면 사이에 또다시 유격이 발생하는 현상 등이 발생하게 된다. Long-term deflection also causes a big problem. Long-term deflection occurs in the upper and lower floor slabs over time. With drywall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 slabs, long-term deflection in the upper and lower floor slabs When it occurs, the vertical wall force acts on the drywall, so that cracks occur at the joints connected to the drywal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 the wallpaper, which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rywall, is torn, or the like. The gap between the lower floor slab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rywall is generated again.

그 뿐만 아니라, 종래의 건식 벽체는 경량의 재질로 사전 제작되기 때문에, 텔레비전 등과 같은 가정용 물품을 건식 벽체에 걸어서 설치하기가 어려우며, 외부의 충격에도 매우 취약할 뿐만 아니라, 누수 및 화재에도 매우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 drywall is pre-fabricated with lightweight materials, making it difficult to install household items such as televisions on the drywall, which is not only susceptible to external shocks, but also to leaks and fires. There are disadvantage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7930호(2012. 03. 23. 공고) 참조.Se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27930 (announced on March 23, 2012).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사전에 공장 제작된 건식 벽체를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각 층에 비내력벽을 설치하는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비내력벽을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운반 및 취급상의 어려움도 없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시공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of installing a non-bearing wall on each floor of a multi-family house using a factory-produced drywall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o build a non-bearing wall It is aimed at reducing costs, having no transport and handling difficulties, and making it easy to install and install.

특히, 본 발명은 상,하부 바닥슬래브에 장,단기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비내력벽과 상,하부 바닥슬래브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비내력벽에 상,하부 바닥슬래브의 처짐으로 인한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비내력벽 자체가 파손되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내력벽을 구축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play between the non-bearing wall and the upper and lower floor slab, and the upper and lower floor slab due to the defl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floor slab, even if the short and short sagging occurs in the upper, lower floor slab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for constructing a non-bearing wall that can prevent the load-bearing wall from breaking or cracking.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텔레비전 등과 같은 가정용 물품을 걸어서 설치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외부의 충격이나 누수 또는 화재에도 강한 비내력벽을 구축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for constructing a non-bearing wall having sufficient strength to hang a household article such as a television or the like, and resistant to external shocks, leaks or fires.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건물의 상부 바닥슬래브와 하부 바닥슬래브 사이에 비내력벽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 비내력벽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하여 제작되며; 상기 비내력벽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상기 바닥슬래브 사이에는, 신축에 의해 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격리재가 설치되어 있어서; 바닥슬래브에 발생하는 연직방향의 처짐은 완충격리재의 압축 변형에 의해 모두 흡수되어 비내력벽에는 연직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비내력벽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 non-bearing wall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floor slab and the lower floor slab of the building, the non-bearing wall is manufactured by cast-in-place concrete; Between the bottom slab at the top or bottom of the non-bearing wall, a buffer isolator that can absorb the deformation by stretching is provided; In the vertical slab generated in the floor slab is all absorbed by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buffer isolator is provided cast-in-place concrete non-bear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load is not applied to the non-bearing wall.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건물의 상부 바닥슬래브와 하부 바닥슬래브 사이에 비내력벽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비내력벽의 양측 면을 형성하기 위한 판형의 수직거푸집의 한 쌍을 비내력벽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두고 하부 바닥슬래브 위에 직립하여 설치하고, 상기 수직거푸집의 상단에는 상부 바닥슬래브의 시공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을 수평하게 설치한 후, 수직거푸집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비내력벽을 형성하되; 상기 비내력벽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상기 바닥슬래브 사이에는, 신축에 의해 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격리재를 설치한 상태로 비내력벽을 형성함으로써, 바닥슬래브에 발생하는 연직방향의 처짐은 완충격리재의 압축 변형에 의해 모두 흡수되어 비내력벽에는 연직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비내력벽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of constructing a non-bearing wall between the upper floor slab and the lower floor slab of the building, a pair of vertical formwork for forming both sides of the non-bearing wall is spaced apart by the thickness of the non-bearing wall It is installed upright on the floor slab, and the slab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floor slab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vertical formwork, and then cast concrete in the inner space of the vertical formwork to form a non-bearing wall; Between the bottom slab at the top or bottom of the non-bearing wall, a non-bearing wall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lab with a buffer isolator capable of absorbing deformation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Provided is a site-cast concrete non-bearing wall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bsorbed by the compression deformation so that the non-bearing wall is a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load does not act.

상기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 바닥슬래브 위에 부착방지재를 포설한 후 수직거푸집을 상기 부착방지재 위에 설치하고, 상기 수직거푸집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완충격리재가 설치될 높이는 남겨둔 상태까지만 수직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상기 수직거푸집에 채워진 콘크리트의 상면 위에 완충격리재를 삽입 설치한 후, 상기 완충격리재의 상부와 슬래브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슬래브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완충격리재는 비내력벽의 상단과 상부 바닥슬래브 사이에 설치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하부 바닥슬래브와 비내력벽 사이에는 부착방지재가 포설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fter installing the anti-stick material on the bottom floor slab, the vertical formwork is installed on the anti-stick material, and when placing concrete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rtical formwork, the height of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is left to be installed Filling concrete between vertical formwork only;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buffer isolat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filled in the vertical formwork, and then placing the concrete on the upper and the slab formwork of the buffer isolator to form an upper slab; The cushioning isolation material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and the upper floor slab, and the anti-sticking material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floor slab and the non-bearing wall.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직거푸집의 상단에 슬래브 거푸집이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거푸집과 슬래브 거푸집이 서로 연결되는 모서리에는 한 쌍의 가이드 앵글을 설치하고; 완충격리재가 설치될 부분이 잔류하는 높이까지 수직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채울 때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앵글의 연직한 부분 사이에 비내력벽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콘크리트를 채우며; 상기 완충격리재는 수직거푸집 사이에 채워진 콘크리트의 상면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앵글 사이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slab formwork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vertical formwork, a pair of guide angles are installed at the corners where the vertical formwork and the slab formwor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illing the concrete such that the upp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is positioned between the vertical portions of the pair of guide angles when the concrete is filled between the vertical molds to the height where the portion to which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is to be installed remains; The cushioning isolation material may be installed to be fit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and the pair of guide angles filled between the vertical formwork.

한편, 위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앵글 사이에는 비내력벽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재가 존재하고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 앵글이 연결재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완충격리재는, 연질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격리재는 콘크리트가 부어질 때 절취선을 따라 하향으로 구부러지고,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되면 탄성에 의해 다시 수평하게 복원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connecting member dispo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bearing wall between the pair of guide angles, a pair of guide angles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one member by the connecting member , The buffer isolator is made of a plate-like member made of a soft elastic material and the cutting line is formed in the center; The buffer isolator may be bent downward along the cutting line when the concrete is poured, it may have a configuration that is restored horizontally again by the elasticity when the concrete is complet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부 바닥슬래브 위에 수직거푸집을 직립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완충격리재를 상기 수직거푸집의 하단에서 하부 바닥슬래브 위에 놓이도록 배치하고; 상기 완충격리재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비내력벽과 상부 바닥슬래브를 시공함으로써, 비내력벽의 하단과 하부 바닥슬래브 사이에 상기 완충격리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비내력벽의 상단과 상부 바닥슬래브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formwork is installed upright on the bottom floor slab, the buffer isolator is arranged to be placed on the bottom floor slab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formwork; By placing concrete on the cushioning isolation material and constructing the non-bearing wall and the upper floor slab, the buffer isolating material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lower floor slab of the non-bearing wall, and the upper and upper floor slabs of the non-bearing wall are integrally formed. You can also stay connected.

본 발명에 의하면, 비내력벽이 현장타설 철근 콘크리트의 형식으로 구축되므로, 종래의 건식 벽체로 이루어진 비내력벽과는 전혀 다르게, 텔레비전 등과 같은 가정용 물품뿐만 아니라 무거운 중량물도 벽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외부의 충격에도 매우 강할 뿐만 아니라. 누수 및 화재에 대한 내구성도 우수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on-bearing wall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cast-in-place reinforced concrete, it is possible to install not only household articles such as televisions but also heavy weights by hanging on the walls, unlike the non-bearing walls made of conventional drywall. Not only very strong impact.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durability against leakage and fire.

또한 본 발명에 다른 비내력벽은, 종래의 건식 벽체에 비하여 저렴하기 때문에 비내력벽을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기둥을 구축하거나 또는 상,하부 바닥슬래브를 구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비내력벽도 동시에 구축할 수 있게 되므로, 운반 및 취급상의 어려움도 없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시공하여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non-bear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material cost required to build a non-bearing wall because it is cheaper than the conventional dry wall, it is possible to pour concrete to build a column or to build an upper and lower floor slab At this time, since the non-bearing wall can be constructed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difficulty in carrying and handling as well as i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installe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비내력벽에서는, 바닥슬래브에 발생하는 연직방향의 장,단기 처짐이, 완충격리재의 압축 변형에 의해 모두 흡수되므로, 바닥슬래브의 처짐으로 인한 힘이 비내력벽에는 작용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비내력벽의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되고, 비내력벽과 바닥슬래브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particular, in the non-bear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long and short sag in the vertical direction occurring in the bottom slab is absorbed by the compressive deformation of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the force due to the sagging of the bottom slab does not act on the non-bearing wall. Therefore, the breakage or damage of the non-bearing wall is prevented from occurring, and the play does not occur between the non-bearing wall and the floor slab.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비내력벽이 시공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비내력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수직거푸집과 슬래브 거푸집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도 1의 선 A-A의 위치에서 절단하여 바라본 상태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후속하여 수직거푸집 사이의 간격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원 B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후속하여 수직거푸집 상부에 완충격리재가 삽입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원 C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상태에 후속하여 상부 바닥슬래브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수직거푸집과 그 상단의 슬래브 거푸집이 결합되는 부분에 대한 도 8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각각 가이드 앵글을 이용하여 비내력벽을 시공하게 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수직거푸집의 상단에 슬래브 거푸집이 연결되는 부분에 대한 도 5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따라 비내력벽이 만들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 1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7은 제3실시예에서 연결재의 위쪽으로 완충격리재가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 1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상부 바닥판슬래브가 타설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한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각각 도 19의 원 E 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23은 완충격리재가 비내력벽과 하부 바닥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는 제5실시예에 대한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선 F-F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5는 가이드 앵글을 이용한 경우에 대한 도 24의 원 G 부분 위치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1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on-bearing wall i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rtical formwork and the slab formwork is cut and viewed from the position of the line AA of Figure 1 in order to construct a non-bearing wal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poured in the gap between vertical molds subsequent to FIG. 3. FIG.
FIG. 5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4.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uffer isolation material is inserted into an upper portion of a vertical formwork after FIG. 5.
FIG. 7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of FIG. 6.
FIG.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bottom slab is formed following the state of FIG. 6.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8 for the portion where the vertical formwork and the slab formwork at the top thereof are coupled.
10 to 14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corresponding to FIG. 5 for the portion where the slab formwork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ormwork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non-bearing wall is constructed using the guide angle, respectively.
FIG. 15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corresponding to FIG. 10 for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6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corresponding to FIG. 11 showing a state in which a non-bearing wall is mad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15.
FIG. 17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corresponding to FIG. 12 showing a state where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is fitted above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third embodiment.
FIG. 18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corresponding to FIG. 13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ttom plate slab is poured subsequent to the state shown in FIG. 17.
1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3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to 22 are schematic enlarged views of a circle E portion of FIG. 19, respectively.
FIG. 23 is a schematic front view corresponding to FIG. 1 for the fifth embodiment in which the shock absorber is installed between the non-bearing wall and the lower floor slab.
2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 23.
25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the circle G portion position of FIG. 24 for the case of using the guide ang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도 1에는 건물의 한 층에서 상부 바닥슬래브(10)와 하부 바닥슬래브(20) 사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비내력벽(1)이 시공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 shows a state in which a non-bearing wall 1 is constructed between the upper floor slab 10 and the lower floor slab 20 using a site-cast concre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floor of a building. A schematic front view is shown and FIG. 2 shows a schematic cross 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of FIG. 1.

본 발명에 따른 비내력벽(1)은 콘크리트로 제작되는데, 그 내부에는 보강을 위하여 철근이나 철망 같은 보강철물(13)이 배근될 수 있다. 상부 바닥슬래브(10) 또는 하부 바닥슬래브(20)의 처짐으로 인하여 하중이 비내력벽(1)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비내력벽(1)과 바닥슬래브(10, 2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내력벽(1)의 상부측면 또는 하부측면에는 완충격리재(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비내력벽(1)과 상부 바닥슬래브(10)를 서로 불연속 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비내력벽(1)과 하부 바닥슬래브(20)를 서로 불연속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비내력벽(1)의 상부측면 또는 하부측면에는 상부 바닥슬래브(10) 또는 하부 바닥슬래브(20)와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부착방지재(3)가 설치될 수도 있다. Non-bearing wal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concrete, the inside of the reinforcing steel 13, such as reinforcing bars or wire mesh for reinforcement can be reinforced. Due to the deflection of the upper floor slab 10 or the lower floor slab 20, a play is generated between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floor slabs 10 and 20 while preventing the load from being applied to the non-bearing wall 1.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is provided in the upper side surface or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of this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ake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upper floor slab 10 discontinuous with each other, or to make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lower floor slab 20 discontinuous with each other, the non-bearing wall 1 An attachment preventing material 3 for preventing attachment to the upper bottom slab 10 or the lower bottom slab 2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slab 1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비내력벽(1)의 상단면에는 완충격리재(2)가 구비되어 있고, 비내력벽(1)의 하단면에는 부착방지재(3)가 구비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비내력벽(1)의 상단면과 상부 바닥슬래브(10) 사이에는 완충격리재(2)가 존재하고 있으며, 비내력벽(1)의 하단면과 하부 바닥슬래브(10) 사이에 부착방지재(3)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완충격리재(2)는 신축에 의해 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발포수지나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며 압축변형에 의해 바닥슬래브의 처짐량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두께를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비내력벽(1)의 폭을 따라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Looking a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1 and 2 in more detail, the upper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is provided with a buffer isolator (2),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The prevention material 3 is provided. That i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isolator 2 is present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upper floor slab 10, and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floor slab of the non-bearing wall 1 are present. The adhesion preventing material 3 exists between (10). The buffer isolator (2)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absorb deformation by stretching, for example, made of foamed resin, synthetic resin, rubber, etc. to sufficiently absorb the deflection of the floor slab by compression deformation. It is made of a member having a thickness so that it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width of the non-bearing wall (1).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내력벽(1)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비내력벽(1)의 상단과 상부 바닥슬래브(10)는 완충격리재(2)에 의해 불연속 상태에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바닥슬래브(10)에 발생하는 연직방향의 장,단기 처짐은 완충격리재(2)의 압축 변형에 의해 모두 흡수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서 상부 바닥슬래브(10)에 작용하는 하중은 기둥(30)을 통해서 아래층으로 전달되고 비내력벽(1)에는 연직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하중 작용으로 인한 비내력벽(1)의 파손이나 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충격리재(2)에 의해 상부 바닥슬래브(10)의 연직 처짐이 흡수되므로, 비록 비내력벽(1)의 상단면은 일직선을 유지하는데 반하여 상부 바닥슬래브(10)의 하면은 처짐으로 인해 곡선을 이루게 되지만, 비내력벽(1)과 상부 바닥슬래브(10)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non-bearing wal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upper end and the top floor slab 10 of the non-bearing wall 1 are not only in a discontinuous state by the buffer containment material 2, but also the top floor slab. The long and short deflec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occurring in (10) are all absorbed by the compressive deformation of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Therefore, the load acting on the upper floor slab 10 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through the column 30 and the vertical load does not act on the non-bearing wall (1), according to the load a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r cracking of the non-bearing wall 1. In addition, since the vertical sag of the upper bottom slab 10 is absorbed by the buffer isolator 2, alth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maintains a straight line,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ttom slab 10 is curved due to the sag. However, the play does not occur between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upper floor slab 10.

한편, 비내력벽(1)의 상단면에 완충격리재(2)가 구비되는 경우, 비내력벽(1)의 하단면은 하부 바닥슬래브(20)와 연속하여 일체를 이룰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비내력벽(1)의 하부측면과 하부 바닥슬래브(20)가 연속하여 일체를 이루는 경우에는, 하부 바닥슬래브(20)와 비내력벽(1)을 위한 콘크리트를 한 번에 타설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is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bottom slab 20 in seri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lower floor slab 20 are continuously integrated, the concrete for the lower floor slab 20 and the non-bearing wall 1 can be poured at a time.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그러나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처럼, 부착방지재(3)에 의해 비내력벽(1)의 하단면과 하부 바닥슬래브(20)가 서로 불연속한 상태에 존재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공간활용 필요에 따라 비내력벽을 철거하려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이에 대비하여 비내력벽의 철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비내력벽(1)의 하단면과 하부 바닥슬래브(20)를 서로 불연속한 상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비내력벽(1)의 하단면과 하부 바닥슬래브(20)의 상면이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부착방지재(3)가 비내력벽(1)에서 하부측면과 하부 바닥슬래브(20) 사이에 설치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비내력벽(1)의 하단면과 하부 바닥슬래브(20)의 상면에 부착방지재(3)가 존재함으로써 비내력벽(1)의 하단면과 하부 바닥슬래브(20)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다. Howev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floor slab 20 of the non-bearing wall 1 may be in a discontinuous state by the adhesion preventing material 3. Recently, since the non-bearing wall is often dismantled according to the user's space utilization needs, the lower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bottom floor slab 20 are discontinuous in order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the non-bearing wall. It is desirable to bring it to a state. To this end,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anti-sticking material 3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surfac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non-bearing wall 1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oor slab 20 do not adhere to each other. It is installed between the floor slab 20. That is,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anti-stick material 3 is presen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oor slab 20 so that the lower surface and the bottom of the non-bearing wall 1 are present. The slab 20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비내력벽(1)로의 연직 하중 전달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도록 비내력벽(1)의 상단면이 완충격리재(2)에 의해 상부 바닥슬래브(10)와 완전히 격리되어 있으므로, 비내력벽(1)의 자중은 결국 비내력벽(1)의 하단면을 통해 하부 바닥슬래브(20)로 전달되어야 한다. 부착방지재(3)는 위와 같이 비내력벽(1)의 하단면과 하부 바닥슬래브(20)를 서로 불연속한 상태로 만들면서도 비내력벽(1)의 하중이 하부 바닥슬래브(20)로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며, 따라서 부착방지재(3)는 비압축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예로는 비닐, 필름, 시트지 등이 있다.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is completely isolated from the upper bottom slab 10 by the buffer isolator 2 so that the vertical load transfer to the non-bearing wall 1 is not performed at all, the self-weight of the non-bearing wall 1 Should eventually be transferred to the bottom floor slab 20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The attachment preventing material 3 makes the lower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bottom slab 20 discontinuous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while allowing the load of the non-bearing wall 1 to be transferred to the bottom floor slab 20. Therefore, the anti-sticking material 3 is preferably made of an incompressible material,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vinyl, film, sheet paper, and the like.

한편, 비내력벽(1)의 횡방향 측면(횡측면)이 기둥(30)에 인접한 경우,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비내력벽(1)은 기둥(30)과 연속하여 일체화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비내력벽(1)과 기둥(30)이 서로 일체화되지 않고 불연속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비내력벽(1)과 기둥(30)이 불연속한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비내력벽(1)의 횡측면과 기둥(30) 사이에도 부착방지재(3)를 설치하면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ateral side (lateral side) of the non-bearing wall 1 is adjacent to the pillar 30, as shown in FIG. 1, the non-bearing wall 1 may be integrated with the pillar 30 continuously. However,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pillar 30 may be in a discontinuous state without being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us, in order to make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pillar 30 discontinuous, the adhesion preventing material 3 may be provided also between the transverse side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pillar 30.

다음에서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1)을 시공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한다. 도 3은 비내력벽(1)의 시공을 위한 판형의 수직거푸집(5)과 슬래브 거푸집(6)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도 1의 선 A-A의 위치에서 수직거푸집(5)과 슬래브 거푸집(6)을 절단하여 바라본 사시도이다. Next, each step of 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non-bearing wall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late-shaped vertical formwork 5 and the slab formwork 6 are install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vertical formwork 5 at the position AA of FIG.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slab formwork 6 cut away.

우선, 비내력벽(1)의 양측 면을 형성하기 위한 판형의 수직거푸집(5) 한 쌍을 비내력벽(1)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두고 하부 바닥슬래브 위에 직립하여 설치한다. 이 때, 앞서 언급한 것처럼 비내력벽(1)의 하부측면과 하부 바닥슬래브(20) 간의 부착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하부 바닥슬래브(20) 위에 필름 등의 부착방지재(3)를 포설한 후, 그 위에 수직거푸집(5)을 세우게 된다. 또한, 비내력벽(1)의 보강을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수직거푸집(5) 사이의 간격에는 보강철물(13)을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비내력벽(1)을 기둥(30)과 연속시켜 일체화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이 수직거푸집(5)을 설치함에 있어서, 수직거푸집(5)의 횡방향 일측을 기둥(30) 제작을 위한 거푸집(도시하지 않음)과 연결시켜서, 상기 수직거푸집(5) 사이의 공간(비내력벽이 형성되는 공간)과 기둥이 형성될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그러나 비내력벽(1)을 기둥(30)과 연속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기둥쪽을 향하는 수직거푸집(5)의 횡방향 일측에 부착방지재를 설치하게 된다. 이 때 사용되는 부착방지재(3)로는 연직하게 세워질 수 있는 목재 등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서 수직거푸집(5)의 횡방향 타측에도 마감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First, a pair of plate-shaped vertical formwork 5 for forming both sides of the non-bearing wall 1 is installed upright on the lower floor slab at interval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non-bearing wall 1. At this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adhesion betwee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lower floor slab 20, as described above, an anti-stick material 3 such as a film is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slab 20. After that, the vertical formwork 5 is erected thereon. In addition, to reinforce the non-bearing wall 1, the reinforcing steel 13 may be disposed in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formwork (5).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non-bearing wall 1 is continuous with the pillar 30 and is constructed integrally, in order to install the vertical formwork 5 as above, one side of the vertical formwork 5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produced. By connecting to the formwork (not shown) for the space,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formwork (the non-bearing wall is formed) and the space in which the column is to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non-bearing wall 1 is not continuous with the pillar 30, the anti-stick material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ormwork 5 facing the pillar. At this time, the anti-sticking material (3) used is preferably wood that can be erected vertically. Finishing plates (not shown) are also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formwork 5 in order to pour concrete.

이와 같이 수직거푸집(5)이 설치되면, 상부 바닥슬래브의 시공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6)이 수직거푸집(5)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설치되고, 후속하여 수직거푸집(5)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비내력벽(1)을 만들게 된다. 도 4에는 도 3에 후속하여 한 쌍의 수직거푸집(5) 사이의 간격에 콘크리트(4)를 타설한 상태가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원 B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수직거푸집(5)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있어서는, 슬래브 거푸집(6)의 상면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가득 채우는 것이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완충격리재(2)가 설치될 높이는 남겨둔 상태까지만 채워진다. When the vertical formwork 5 is installed in this way, the slab formwork 6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floor slab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the top of the vertical formwork 5, and subsequently the concrete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rtical formwork 5 It is poured to create a non-bearing wall (1).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concrete 4 is poured at the interval between a pair of vertical formwork 5 subsequent to FIG. 3, and FIG. 5 is a schematic enlargement of the circle B portion of FIG. 4. The figure is shown. In pouring concrete into the vertical formwork 5, the concrete is not filled up to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formwork 6, but is filled only up to the height in which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is to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후속하여 상기 수직거푸집(5)에 채워진 콘크리트(4)의 상면 위에 완충격리재(2)를 삽입 설치한다. 도 6에는 도 5에 후속하여 한 쌍의 수직거푸집(5) 상부에 완충격리재(2)가 삽입 설치된 상태가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원 C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거푸집(5)에 채워진 콘크리트의 상면 위에 완충격리재(2)를 삽입 설치할 때, 상기 완충격리재(2)는 슬래브 거푸집(6)의 상면 위로 돌출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격리재(2)가 설치된 부분에서 완충격리재(2)로 인하여 상부 바닥슬래브의 두께가 줄어드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Subsequently,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is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4 filled in the vertical formwork 5.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vertical molds 5 after FIG. 5, and FIG. 7 is a schematic enlargement of the circle C portion of FIG. 6. The figure is shown. As shown in the figure, when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buffer isolator 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filled in the vertical formwork (5), it is preferable that the buffer isolator 2 does not protrude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formwork (6). Do. This is to avoid a de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upper bottom slab due to the buffer isolator 2 in the portion where the buffer isolator 2 is installed.

도 8에는 도 6의 상태에 후속하여 슬래브 거푸집(6) 위에 설계된 두께에 맞추어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부 바닥슬래브(10)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수직거푸집(5)과 그 상단의 슬래브 거푸집(6)이 결합되는 부분에 대한 도 8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비내력벽(1)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거푸집(5)에 채워진 콘크리트(9)의 상면 위로 연결 철근(91)이 돌출되어 있다. 즉, 하부는 비내력벽(1)의 콘크리트(4)에 매립된 상태로 연결 철근(91)이 슬래브 거푸집(6)의 상면 높이 이상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이며, 이러한 상기 연결 철근(91)의 돌출된 상단은 상부 바닥슬래브(10)의 콘크리트에 매립된다. 이러한 연결 철근(91)은 비내력벽(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비록 비내력벽(1)이 상단에서는 완충격리재(2)에 의해 상부 바닥슬래브(10)와 격리되어 있고 하단에서는 부착방지재(3)에 의해 하부 바닥슬래브(20)와 단절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연결 철근(91)이 구비되는 경우, 상부 바닥슬래브(10)와 비내력벽(1) 사이에는 비내력벽(1)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최소한은 연결이 이루어진다. 즉, 비내력벽(1)의 전도를 유발하는 전단력에 대한 저항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연결 철근(91)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생략할 수 있다. FIG.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floor slab 10 is formed by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the thickness designed on the slab formwork 6 following the state of FIG. 6, and FIG. 9 shows a vertical formwork 5. ) And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DD of FIG. 8 for the portion where the slab formwork 6 at the top is join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 to 9, in order to prevent the fall of the non-bearing wall 1,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91 protrudes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9 filled in the vertical formwork 5.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non-bearing wall 1 is embedded in the concrete 4,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91 is further protruded above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formwork 6, the protrusion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91 Top is embedded in the concrete of the upper floor slab 10.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91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non-bearing wall 1. Although the non-bearing wall 1 is separated from the upper bottom slab 10 by the buffer containment material 2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bottom slab 20 by the attachment preventing material 3 at the lower part, When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91 is provid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bottom slab 10 and the non-bearing wall 1 is made to a minimum to prevent the fall of the non-bearing wall 1. That is, it is possible to exert a resistance to the shear force causing the conduction of the non-bearing wall (1). However,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91 is not essential and may be omitted.

수직거푸집(5)에 타설된 콘크리트(4)가 양생되어 비내력벽(1)이 만들어지고, 슬래브 거푸집(6)의 상면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상부 바닥슬래브(10)의 시공이 완료되면 수직거푸집(5)과 슬래브 거푸집(6)을 탈형하게 된다. When the concrete (4) poured into the vertical formwork (5) is cured to produce a non-bearing wall (1), and the concrete pou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formwork (6) is cured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floor slab (10) Formwork (5) and slab formwork (6) will be demolded.

한편,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해 비내력벽(1)을 시공함에 있어서, 가이드 앵글(8)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각각 도 5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가이드 앵글(8)을 이용하여 비내력벽(1)을 시공하게 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수직거푸집(5)의 상단에 슬래브 거푸집(6)이 연결되는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거푸집(5)의 상단에 슬래브 거푸집(6)이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거푸집(5)과 슬래브 거푸집(6)이 서로 연결되는 모서리에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가이드 앵글(8)을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 앵글(8)은 2개가 한 쌍을 이루어서, 각각의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가이드 앵글(8)이 모서리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완충격리재(2)가 설치될 부분이 잔류하는 높이까지 수직거푸집(5)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비내력벽(1)을 만들고,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거푸집(5)에 채워진 콘크리트의 상부에 완충격리재(2)를 삽입 설치한다. 따라서, 한 쌍의 가이드 앵글(8)의 연직한 부분 사이에 비내력벽(1)의 상단과 완충격리재(2)가 끼워져 위치한 상태에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struction of the non-bearing wall 1 by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guide angle (8). 10 to 14 are views corresponding to FIG. 5, respectively, the slab formwork on the top of the vertical formwork 5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non-bearing wall 1 is constructed using the guide angle 8. It is an enlarged view of the part to which (6) is connected. As shown in FIG. 10, in the state where the slab formwork 6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ormwork 5, the vertical formwork 5 and the slab formwork 6 are bent in an L-shape at the corners connected to each other. Install the guide angle (8). The guide angle 8 may be installed in pairs of two, and each pair may be installed at each corner. As shown in FIG. 11 in the state where the guide angle 8 is installed at the corner, the shock absorber 2 is Placing concrete in the vertical formwork (5) to the height remaining portion to be installed to make a non-bearing wall (1), as shown in Figure 12, the buffer isolator (2) on the top of the concrete filled in the vertical formwork (5) Install it. Therefore, the upp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are in between the vertical portions of the pair of guide angles 8.

완충격리재(2)가 설치된 후에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슬래브 거푸집(6) 위로 설계된 두께에 맞추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바닥슬래브(10)를 형성하고,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거푸집을 탈형한다. 도 13에는 상부 바닥슬래브(10)의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의 상태에 후속하여 거푸집이 탈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After the buffer isolator 2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floor slab 10 is formed by pouring concrete to the thickness designed on the slab formwork 6, and when the concrete is hardened, the formwork is demolded. FIG. 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crete of the upper floor slab is poured, and 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formwork is demoulded following the state of FIG. 13.

이와 같이 가이드 앵글(8)을 이용하게 되면 비내력벽(1)의 전도 방지에 매우 유리하다. 완충격리재(2)에 의해 비내력벽(1)이 상부 바닥슬래브(10)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 있는데, 위와 같은 구성에서는 비내력벽(1)의 상단과 상부 바닥슬래브(10) 사이의 모서리부분에는 가이드 앵글(8)이 부착 배치되고, 상기한 비내력벽(1)의 상단 일부가 한 쌍의 가이드 앵글(8)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 있으므로, 제2실시예에서는 비내력벽(1)에 전도 모멘트가 작용하더라도, 이에 대항하는 저항 모멘트가 생기게 되고, 따라서 비내력벽(1)은 전도에 대해 매우 안정한 상태에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가이드 앵글(8)의 사용은, 완충격리재(2)가 공기 중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완충격리재(2)의 열화를 최소화시키는데도 매우 유용하다. The use of the guide angle 8 in this way is very advantageous for the fall prevention of the non-bearing wall 1. The non-bearing wall 1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upper floor slab 10 by the buffer containment material 2.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rner portion between the top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upper floor slab 10 is provided. Since the guide angle 8 is attached and disposed, and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is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guide angles 8,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duction moment is applied to the non-bearing wall 1. Even if, the resistance moment against it is generated, the non-bearing wall 1 is in a very stable state to conduction. In particular, the use of the guide angle 8 is very useful for minimizing the deterioration of the buffer isolator 2 because it prevents the buffer isolator 2 from being exposed to air.

한편, 앞서 언급한 것처럼, 공간 활용을 위해서 비내력벽(1)을 철거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가이드 앵글(8)의 연직 부분 상단 즉, 상부 바닥슬래브(10)의 하면이 닿게 되는 가이드 앵글(8) 부분을 절단하게 되면, 쉽게 완충격리재(2)가 노출되고, 이러한 완충격리재(2)를 절단하거나 제거하게 되면 비내력벽(2)이 상부 바닥슬래브(10)와 물리적으로 완전하게 분리된 상태가 되므로 쉽게 비내력벽(1)을 철거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가이드 앵글(8)을 사용할 경우에도, 필요하다면 앞서 설명한 것처럼 연결 철근(91)을 더 설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above, when it is necessary to dismantle the non-bearing wall 1 for space utilization, the guide angle 8 th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guide angle 8,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ttom slab 10 touches. Cutting the part, the buffer isolator 2 is easily exposed, and cutting or removing the buffer isolator 2 allows the non-bearing wall 2 to be physically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upper floor slab 10. Since it becomes a state, it will be in the state which can demolish the non-bearing wall 1 easily. Even when using the guide angle (8) as described above,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further install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91 as described above.

한편, 이와 같이 가이드 앵글(8)을 설치함에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 ㄱ자로 절곡된 가이드 앵글(8)이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 한 쌍으로 이용되었으나, 가이드 앵글(8) 사이에 연결재(81)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연결재(81)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앵글(8)이 하나의 부재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15에는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서, ㄱ자로 절곡된 2개의 가이드 앵글(8) 사이에는 비내력벽(1)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재(81)가 존재하고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 앵글(8)이 연결재(81)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연결재(81)의 위쪽으로는 완충격리재(2)가 끼워질 수 있는 높이가 확보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nstallation of the guide angle (8) in this way,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guide angle (8) bent by the letter "A" was used in pairs, each independently existed, but the connecting member (8) between the guide angle (8) By arranging 81, a pair of guide angles 8 may be made of one member by the connecting member 81. FIG. 15 shows a schematic enlarged view corresponding to FIG. 10. Specifically, in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15, the thickness of the non-bearing wall 1 between two guide angles 8 bent in the letter “A” is shown. The connection member 81 arrange | positioned in the direction exists, and the pair of guide angles 8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member 81 to one member. At this time, a height at which the cushioning isolation material 2 can be fitted must be secured above the connection member 81.

상기 연결재(81)는 막대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비내력벽(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81)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연결부재(81)가 판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위에서 부어지는 콘크리트(4)가 수직거푸집(5)의 사이로 용이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관통공(82)이 형성되어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81 may be formed of a rod member. In this case, the connecting member 81 is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non-bearing wall 1. The connecting member 81 may be formed of a plate member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in this case, when the connecting member 81 is formed of a plate member, the concrete 4 poured from the top of the vertical formwork 5 The through hole 82 is formed to be easily filled in between.

이와 같이 연결재(81)에 의해 2개의 가이드 앵글(8)이 서로 연결된 하나의 부재를 이루고 있는 경우, 수직거푸집(5)과 슬래브 거푸집(6) 간의 연결 모서리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즉,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거푸집(5) 사이에 연결재(81)가 위치하도록 가이드 앵글(8)을 설치하면 되기 때문이다. 도 16에는 위와 같이 연결재(81)를 구비한 가이드 앵글(8)이 수직거푸집(5) 상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4)가 채워져서 비내력벽(1)이 만들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 11에 대응되는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재(81)가 설치된 후에는 콘크리트(4)가 수직거푸집(5) 내에 부어져서 비내력벽(1)이 만들어지는데, 이 때 연결재(81)는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비내력벽(1)의 콘크리트(4)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가이드 앵글(8)이 비내력벽(1)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연결재(81)가 비내력벽(1)의 콘크리트에 매립되면, 결국 비내력벽(1)의 상단은 두 개의 가이드 앵글(8) 사이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고, 그에 따라 앞서 설명하였듯이, 전도 모멘트에 대항하는 저항 모멘트가 생기게 되어 전도에 대해 매우 안정한 상태에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7에는 연결재(81)의 위쪽으로 완충격리재(2)가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 12에 대응되는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8에는 상부 바닥판슬래브(10)가 타설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3에 대응되는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앵글(8)을 설치하고 비내력벽(1)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의 과정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When the two guide angles 8 form one member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member 81 as described above, it is very easy to install at the connection corner between the vertical formwork 5 and the slab formwork 6. That is, as shown in Figure 15, it is because the guide angle 8 is to be provided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81 is located between the vertical formwork (5). FIG. 16 corresponds to FIG. 11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n-bearing wall 1 is made by filling the concrete 4 in a state where the guide angle 8 having the connecting member 81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formwork 5 as described above. An enlarged view is shown. After the connecting member 81 is installed, the concrete 4 is poured into the vertical formwork 5 so that the non-bearing wall 1 is formed, at which time the connecting member 81 is formed of the non-bearing wall 1. It is preferable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4. This is for the guide angle 8 to exert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non-bearing wall 1 from being conducted as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connecting member 81 is embedded in the concrete of the non-bearing wall 1, the upp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is eventually sandwiched between two guide angles 8, and thu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opposing moment of resistance that results in an extremely stable state of conduction. FIG. 17 is an enlarged view corresponding to FIG. 12 showing a state where the cushioning isolation material 2 is fitted above the connecting member 81, and FIG. 1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ttom plate slab 10 is poured. An enlarged view corresponding to 13 is shown. Since the process after installing the guide angle 8 and placing concrete for the non-bearing wall 1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 앵글(8)은 수평한 부분에 스터드(8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터드(84)는 상부 바닥슬래브(10)에 매립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스터드(84)가 구비되면 가이드 앵글(8)과 상부 바닥슬래브(10)가 견고하게 일체화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러한 스터드(84)는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개별적인 ㄱ자 절곡 부재로 이루어진 가이드 앵글(8)에서도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5 to 18, the guide angle 8 is shown as having a stud 84 is further provided in the horizontal portion. The studs 84 are embedded in the upper bottom slab 10. When the studs 84 are provided, the guide angle 8 and the upper bottom slab 10 are firmly integrated. These studs 84 may be equally provided in the guide angle 8, which consists of the individual 자 bending members shown in FIGS. 10 to 14.

다음에서는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비내력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수직거푸집(5)과 슬래브 거푸집(6)이 설치되고, 슬래브 거푸집(6)의 상면에 완충격리재(2)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각각 도 19의 원 E 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2. 19 is a vertical formwork (5) and the slab formwork (6) is installed in order to construct a non-bearing wal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formwork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3. 20 to 22 are schematic enlarged views of a circle E portion of FIG. 19, respectively.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경우, 완충격리재(2)가 비내력벽(1)을 위한 콘크리트(4)를 쉽게 관통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경우, 완충격리재(2)가 고무판과 같은 연질의 탄성재료로 제작되며, 중앙에 절취선(27)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절취선(27)은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톱니 형상이 될 수도 있지만, 파형 형상이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취선(27)이 형성된 완충격리재(2)를 이용하는 경우, 비내력벽(1)을 시공함에 있어서, 수직거푸집(5)과 슬래브 거푸집(6)의 설치하고, 상기 슬래브 거푸집(6)의 상면에서 상기 수직거푸집(5) 사이의 공간을 덮도록, 상기한 절취선(27)이 존재하는 완충격리재(2)가 설치된다.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비내력벽(1)을 위한 콘크리트(4)를 슬래브 거푸집(6)의 상부에서부터 타설하게 되면, 콘크리트(4)의 무게에 의해 완충격리재(2)가 절취선(27)을 따라 하향으로 구부러지면서 콘크리트(4)가 완충격리재(2)를 통과하여 수직거푸집(5)으로 부어지게 된다. 콘크리트(4)의 타설이 완료되면 완충격리재(2)는 탄성에 의해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수평하게 복원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완충격리재(2)와 슬래브 거푸집(6)의 상면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부 바닥슬래브(10)가 제작된다. 슬래브 거푸집(6)의 상면으로 상부 바닥슬래브용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완충격리재(2)는 그 하부에 위치하는 비내력벽용 콘크리트(4)에 의해 지지되므로, 수평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9 내지 도 22의 실시예와 같이 콘크리트(4)의 타설 완료 후 자동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는 완충격리재(2)를 이용하는 경우, 비내력벽(1)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미리 거푸집에 완충격리재(2)를 설치해둘 수 있으며, 따라서 완충격리재(2)를 설치한 상태에서 수직거푸집(5)에 콘크리트를 부어서 비내력벽(1)을 형성하는 것에 연속하여 슬래브 거푸집(6)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바닥슬래브(1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비내력벽(1)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작업과 상부 바닥슬래브(10)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작업 사이에 완충격리재(2)의 설치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내력벽(1)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과 상부 바닥슬래브(10)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이 중간의 작업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In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9 to 22, the buffer isolator 2 is configured to easily penetrate the concrete (4) for the non-bearing wall (1). Specifically, in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buffer isolator 2 is made of a soft elastic material such as a rubber plate, and consists of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perforation line 27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he perforation line 27 may be saw-toothed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but may be made in a wave shape or various other shapes. In this way, in the case of using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having the cut line 27 formed therein, the vertical formwork 5 and the slab formwork 6 are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slab formwork 6 In order to cover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formwork 5 on the upper surface, a buffer isolator 2 having the above cut line 27 is provided. As shown in FIG. 20, when the concrete 4 for the non-bearing wall 1 is poured from the top of the slab formwork 6, the buffer isolator 2 is cut out by the weight of the concrete 4. As it is bent downward along the concrete 4 is passed through the buffer isolator 2 is poured into the vertical formwork (5). When the casting of the concrete 4 is completed, the buffer isolator 2 is restored horizontally again as shown in FIG. 21 by elasticity, and in this state, the buffer isolator 2 and the slab formwork ( 6) concrete is pour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oor slab 10 is produced. When the upper floor slab concrete is pour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formwork 6, the buffer isolator 2 is supported by the non-bearing wall concrete 4 located below it, so that it can maintain a horizontal shape. do. 19 to 22, when using the buffer isolator (2) that automatically maintains the horizontal level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ouring of the concrete (4), before the concrete for the non-bearing wall (1) is buffered in the formwork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isolator (2), so that concrete is poured over the slab formwork (6) in succession to form concrete bearing walls (1) by pouring concrete into the vertical formwork (5) with the buffer containment material (2) installed. By pouring the upper floor slab 10 can be formed. That is,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buffer isolator 2 between the concrete pouring work for the formation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concrete pouring work for the formation of the upper floor slab 10, the non-bearing wall 1 Concrete pouring for the formation of) and concrete pouring for the formation of the upper floor slab 10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without interrupting the work in the middle, thus exhibiting the advantage that the work can proceed quickly and efficiently.

위에서 제1실시예부터 제4실시예를 참조하여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비내력벽(1)이 콘크리트에 의해 구축된다. 따라서 종래의 건식 벽체로 이루어진 비내력벽과는 전혀 다르게, 텔레비전 등과 같은 가정용 물품뿐만 아니라 무거운 중량물도 벽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외부의 충격에도 매우 강할 뿐만 아니라. 누수 및 화재에 대한 내구성도 우수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bearing wall 1 is constructed by concrete. 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non-bearing wall made of drywall, not only household goods such as televisions but also heavy weights can be installed on the walls, and not only very strong against external shocks.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durability against leakage and fire.

또한 본 발명에 다른 비내력벽(1)은, 종래의 건식 벽체에 비하여 저렴하기 때문에 비내력벽을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기둥을 구축하거나 또는 상,하부 바닥슬래브를 구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비내력벽도 동시에 구축할 수 있게 되므로, 운반 및 취급상의 어려움도 없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시공하여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non-bearing wal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material cost required to build a non-bearing wall because it is inexpensiv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rywall, concrete to build a column or to build an upper, lower floor slab When placing the non-bearing wall can be built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difficulty in transport and handling, as well as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installed.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른 비내력벽(1)에서는, 상,하부 바닥슬래브의 장,단기 처짐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에서는 상부 바닥슬래브(10)에 발생하는 연직방향의 장,단기 처짐이, 비내력벽(1)의 상단과 상부 바닥슬래브(10) 사이에 존재하는 완충격리재(2)의 압축 변형에 의해 모두 흡수된다. 따라서 상부 바닥슬래브(10)에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그에 따른 힘이 비내력벽(1)에는 작용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비내력벽(1)의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된다. 특히, 상부 바닥슬래브(10)의 하면이 처짐으로 인해 곡선을 이루고 있고 이에 반하여 비내력벽(1)의 상단면은 일직선을 유지하고 있더라도 비내력벽(1)과 상부 바닥슬래브(10)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bove all, in the non-bearing wal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roblem due to the short and long defl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floor slabs.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ng and short sagging of the vertical direction occurring in the upper bottom slab 10 is formed of the buffer isolator 2 existing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upper bottom slab 10. All are absorbed by compressive deformation. Therefore, even if deflection occurs in the upper bottom slab 10, the force thereof does not act on the non-bearing wall 1, thereby preventing damage or damage of the non-bearing wall 1 to occur. In particular,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oor slab 10 is curved due to deflection, 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non-bearing wall 1 maintains a straight line, even though the clearance between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upper floor slab 10 is maintained. The effect which does not occur is exhibited.

이상의 설명에서는 완충격리재(2)가 비내력벽(1)의 상단과 상부 바닥슬래브(1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서 비내력벽(1)이 상부 바닥슬래브(10)와 완전히 분리된 실시예를 소개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상기 완충격리재(2)는 비내력벽(1)의 하단과 하부 바닥슬래브(20)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비내력벽(1)의 상단은 상부 바닥슬래브(10)와 연속되어 있고, 비내력벽(1)의 하단이 완충격리재(2)에 의해 하부 바닥슬래브(20)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격리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upper bottom slab 10, the non-bearing wall 1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upper bottom slab 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may have a structure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lower bottom slab 20.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is continuous with the upper bottom slab 10, and the low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is completely isolated from the lower bottom slab 20 by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It may have a structure.

도 23 내지 도 25에는 위와 같이 비내력벽(1)의 상단은 상부 바닥슬래브(10)와 연속되어 있고, 비내력벽(1)의 하단이 완충격리재(2)에 의해 하부 바닥슬래브(20)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격리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23은 도 1에 대응되는 정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선 F-F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5는 가이드 앵글을 이용한 경우에 대한 도 24의 원 G 부분 위치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편의상 도 25에는 수직거푸집(5)이 설치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23 to 25, the upp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is continuous with the upper bottom slab 10, and the low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is connected to the lower bottom slab 20 by the buffer isolator 2. FIG. 23 is a front view corresponding to FIG. 1, FIG. 2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 23, and FIG. 25 is shown in FIG. Fig. 24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the position of the circle G portion of Fig. 24 for the case of using the guide angle. For convenience, Figure 25 is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formwork 5 is installed for convenience.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비내력벽(1)의 상단은 상부 바닥슬래브(10)와 연속되어 있고, 비내력벽(1)의 하단이 완충격리재(2)에 의해 하부 바닥슬래브(20)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격리되어 있는 구조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하부 바닥슬래브(20) 위에 완충격리재(2)를 설치하고, 비내력벽(1)을 위한 수직거푸집(5)과 상부 바닥슬래브(10)를 위한 슬래브 거푸집(6)을 각각 설치한다. 상기 완충격리재(2)의 횡방향 폭은 결국 비내력벽(1)의 두께에 해당하므로, 한 쌍의 수직거푸집(5) 사이에 완충격리재(2)가 끼워지도록 수직거푸집(5)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완충격리재(2), 수직거푸집(5) 및 슬래브 거푸집(6)을 설치한 후에는 상부에서부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비내력벽(1)과 상부 바닥슬래브(10)가 연속된 형태의 일체 구조물이 되도록 시공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수직거푸집(5) 내부에 보강철물(13)을 배치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S. 23 and 24, the upp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is continuous with the upper bottom slab 10, and the low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is lowered by the buffer isolator 2. In order to construct a structure that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 to install a buffer isolator (2) on the bottom floor slab 20, the vertical formwork (5) and the top floor slab (10) for the non-bearing wall (1) Install the slab formwork (6) for each. Since the transverse width of the buffer isolator 2 eventually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non-bearing wall 1, the vertical formwork 5 is installed so that the buffer isolator 2 is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vertical formwork 5. do. Thus, after installing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the vertical formwork (5) and the slab formwork (6), the concrete structure is poured from the top,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upper floor slab (10) is a continuous structure It will be constructed to be. If necessary, as show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einforcement 13 may be disposed in the vertical formwork 5.

한편,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도, 비내력벽(1)은 기둥(30)과 연속하여 일체화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비내력벽(1)의 횡측면과 기둥(30) 사이에 부착방지재(3)가 설치됨으로써 비내력벽(1)과 기둥(30)이 서로 일체화되지 않고 불연속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비내력벽(1)의 횡측면과 기둥(30) 사이에 설치되는 부착방지재(3)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두께를 가지는 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3 and 24, the non-bearing wall 1 may be integrated with the column 30 continuously, but as shown in the figure, the transverse side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column (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pillar 30 may be in a discontinuous state without being integrated with each other by providing the anti-sticking material 3 between them. In this case, the anti-sticking material 3 installed between the lateral side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pillar 30 may be made of wood having a thickness or the like, as shown in the drawing.

위와 같은 비내력벽(1)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 앵글(8)의 수평부분은 하부 바닥슬래브(20)에 놓이고 가이드 앵글(8)의 연직한 부분은 수직거푸집(5)의 내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하부 바닥슬래브(20) 위에 한 쌍의 가이드 앵글(8)을 배치하고, 수직거푸집(5)을 세우고 상기 가이드 앵글(8) 사이에 완충격리재(2)를 설치한 후, 수직거푸집(5) 사이에 콘크리트(4)를 타설하여 비내력벽(1)을 시공할 수도 있다. In the construction of the non-bearing wall 1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25,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guide angle 8 is placed on the lower floor slab 20,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guide angle 8 is vertical formwork 5. A pair of guide angles 8 are disposed on the bottom floor slab 20 in a form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thereof, the vertical formwork 5 is set up, and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is installed between the guide angles 8. Afterwards, the concrete 4 may be poured between the vertical formwork 5 to construct the non-bearing wall 1.

이와 같이 비내력벽(1)의 상단은 상부 바닥슬래브(10)와 연속되어 있고, 비내력벽(1)의 하단이 완충격리재(2)에 의해 하부 바닥슬래브(20)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격리되어 있는 구조에서는, 비내력벽(1)이 상부 바닥슬래브(10)에 매달린 상태가 되지만, 하부 바닥슬래브(20)와는 완충격리재(2)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므로, 상부 바닥슬래브(10)의 장,단기 처짐에 의해 비내력벽(1)에도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비내력벽(1)의 처짐이 완충격리재(2)에 의해 흡수되므로, 하부 바닥슬래브(20)에는 힘이 전달되지 아니하며, 따라서 비내력벽(1)에도 불리한 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비내력벽(1)과 하부 바닥슬래브(20)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is continuous with the upper bottom slab 10, and the low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is completely isolated from the lower bottom slab 20 by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In this structure, the non-bearing wall 1 is suspended from the upper floor slab 10, but is separated from the lower floor slab 20 by the buffer containment material 2, so that the upper floor slab 10 Even if deflection occurs in the non-bearing wall 1 due to the short-term deflection, the deflection of the non-bearing wall 1 is absorbed by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so that no force is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slab 20. Unfavorable loads also do not act on the non-bearing wall 1. Also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play does not occur between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lower floor slab 20.

1: 비내력벽
2: 완충격리재
3: 부착방지재
1: non-bearing wall
2: buffer isolation
3: anti-sticking material

Claims (11)

건물의 상부 바닥슬래브(10)와 하부 바닥슬래브(20) 사이에 비내력벽(1)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 비내력벽(1)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4)에 의하여 제작되며;
상기 비내력벽(1)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상기 바닥슬래브(10, 20) 사이에는, 신축에 의해 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격리재(2)가 설치되어 있어서;
바닥슬래브(10, 20)에 발생하는 연직방향의 처짐은 완충격리재(2)의 압축 변형에 의해 모두 흡수되어 비내력벽(1)에는 연직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비내력벽 설치구조.
As a structure in which a non-bearing wall 1 is provided between an upper floor slab 10 and a lower floor slab 20 of a building,
The non-bearing wall 1 is manufactured by in-situ concrete 4;
Between the bottom slab (10, 20) at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a buffer isolator (2) that can absorb deformation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provided;
The vertical deflection occurring in the bottom slabs 10 and 20 is absorbed by the compressive deformation of the buffer isolator 2 so that the vertical load does not act on the non-bearing wall 1. Bear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격리재(2)는 비내력벽(1)의 상단과 상부 바닥슬래브(10)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바닥슬래브(20)와 비내력벽(1) 사이에는 부착방지재(3)가 포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비내력벽 설치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buffer isolator 2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upper bottom slab 10;
An installation structure concrete non-bear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achment prevention material (3) is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floor slab 20 and the non-bearing wall (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내력벽(1)의 상단과 상부 바닥슬래브(10) 사이의 모서리부분에는 한 쌍의 가이드 앵글(8)이 각각 부착 배치되고, 상기한 비내력벽(1)의 상단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앵글(8)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 있으며;
상기 완충격리재(2)도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앵글(8)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비내력벽 설치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A pair of guide angles 8 are attached to an edge portion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upper bottom slab 10, and the upp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is a pair of guide angles. (8) sandwiched between;
The shock-absorbing isolation material (2) is also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guide angles (8) site cast concrete non-bear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앵글(8) 사이에는 비내력벽(1)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재(81)가 존재하고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 앵글(8)이 연결재(81)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비내력벽 설치구조.
The method of claim 3,
A connection member 81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guide angles 8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bearing wall 1, so that the pair of guide angles 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one member. Site-cast concrete non-bear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격리재(2)는, 연질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절취선(27)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격리재(2)는 콘크리트(4)가 부어질 때 절취선(27)을 따라 하향으로 구부러지고, 콘크리트(4)의 타설이 완료되면 탄성에 의해 다시 수평하게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비내력벽 설치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uffer isolator (2) is made of a flexible member and a plate-like member having a perforation line (27)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he cushioning isolation material 2 is bent downward along the perforation line 27 when the concrete 4 is poured, and when the casting of the concrete 4 is completed, the site casting is restored horizontally by elasticity again. Concrete non bear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격리재(2)는 비내력벽(1)의 하단과 하부 바닥슬래브(20)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비내력벽(1)의 상단과 상부 바닥슬래브(10)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비내력벽 설치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buffer isolator 2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lower floor slab 20;
The site-cast concrete non-bear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and the top floor slab 10 of the non-bearing wall (1) is integrally connected.
건물의 상부 바닥슬래브(10)와 하부 바닥슬래브(20) 사이에 비내력벽(1)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비내력벽(1)의 양측 면을 형성하기 위한 판형의 수직거푸집(5)의 한 쌍을 비내력벽(1)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두고 하부 바닥슬래브(20) 위에 직립하여 설치하고, 상기 수직거푸집(5)의 상단에는 상부 바닥슬래브(10)의 시공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6)을 수평하게 설치한 후, 수직거푸집(5)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4)를 타설하여 비내력벽(1)을 형성하되;
상기 비내력벽(1)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상기 바닥슬래브(10, 20) 사이에는, 신축에 의해 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격리재(2)를 설치한 상태로 비내력벽(1)을 형성함으로써, 바닥슬래브(10, 20)에 발생하는 연직방향의 처짐은 완충격리재(2)의 압축 변형에 의해 모두 흡수되어 비내력벽(1)에는 연직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비내력벽 시공방법.
As a method of constructing a non-bearing wall 1 between an upper floor slab 10 and a lower floor slab 20 of a building,
A pair of plate-shaped vertical formwork 5 for forming both sides of the non-bearing wall 1 is installed upright on the lower floor slab 20 at a distance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vertical formwork After installing the slab formwork (6) horizontall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floor slab 10 on the upper end of the (5), the concrete (4) is poured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rtical formwork (5) to the non-bearing wall (1) Form;
By forming the non-bearing wall 1 between the bottom slabs 10 and 20 at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in a state where a buffer isolator 2 capable of absorbing deformation due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provided. In the vertical slab generated in the bottom slab (10, 20) is absorbed by the compressive deformation of the buffer isolator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such that the vertical load does not act on the non-bearing wall (1). Method of constructing concrete non-bearing wal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닥슬래브(20) 위에 부착방지재(3)를 포설한 후 수직거푸집(5)을 상기 부착방지재(3) 위에 설치하고,
상기 수직거푸집(5)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완충격리재(2)가 설치될 높이는 남겨둔 상태까지만 수직거푸집(5) 사이에 콘크리트(4)를 채우고;
상기 수직거푸집(5)에 채워진 콘크리트(4)의 상면 위에 완충격리재(2)를 삽입 설치한 후, 상기 완충격리재(2)의 상부와 슬래브 거푸집(6)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슬래브(1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완충격리재(2)가 비내력벽(1)의 상단과 상부 바닥슬래브(1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비내력벽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fter installing the anti-stick material (3) on the lower bottom slab 20, the vertical formwork (5) is installed on the anti-stick material (3),
When placing concrete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rtical formwork (5), filling the concrete (4) between the vertical formwork (5) only to the height of the height where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is to be installed;
After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buffer isolator (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4) filled in the vertical formwork (5), the upper slab and the upper slab (6) by pouring concrete into the upper slab ( By forming 10);
Method for constructing a site-in-place concrete non-bear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isolator (2) to be installed between the top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upper floor slab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거푸집(5)의 상단에 슬래브 거푸집(6)이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거푸집(5)과 슬래브 거푸집(6)이 서로 연결되는 모서리에는 한 쌍의 가이드 앵글(8)을 설치하고;
완충격리재(2)가 설치될 부분이 잔류하는 높이까지 수직거푸집(5) 사이에 콘크리트(4)를 채울 때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앵글(8)의 연직한 부분 사이에 비내력벽(1)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콘크리트(4)를 채우며;
상기 완충격리재(2)는 수직거푸집(5) 사이에 채워진 콘크리트(4)의 상면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앵글(8) 사이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비내력벽 시공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state where the slab formwork 6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ormwork 5, a pair of guide angles 8 are installed at the corners where the vertical formwork 5 and the slab formwork 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When filling the concrete 4 between the vertical formwork 5 to the height where the portion where the buffer isolation material 2 is to be installed remains, the non-bearing wall 1 is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portions of the pair of guide angles 8. Filling the concrete 4 so that the top is located;
The cushioning isolation material (2)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4) and the pair of guide angles (8) filled between the vertical formwork (5) on site cast concrete non-bearing wall construction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앵글(8) 사이에는 비내력벽(1)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재(81)가 존재하고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 앵글(8)이 연결재(81)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비내력벽 시공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 connection member 81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guide angles 8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bearing wall 1, so that the pair of guide angles 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one member. Site-cast concrete non-bearing wall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제7항에 있어서,
하부 바닥슬래브(20) 위에 수직거푸집(5)을 직립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완충격리재(2)를 상기 수직거푸집(5)의 하단에서 하부 바닥슬래브(20) 위에 놓이도록 배치하고;
상기 완충격리재(2)위로 콘크리트(4)를 타설하여 상기 비내력벽(1)과 상부 바닥슬래브(10)를 시공함으로써,
비내력벽(1)의 하단과 하부 바닥슬래브(20) 사이에 상기 완충격리재(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비내력벽(1)의 상단과 상부 바닥슬래브(10)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비내력벽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formwork (5) is installed upright on the lower bottom slab (20), the buffer isolator (2) is disposed so as to be placed on the lower bottom slab (20)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formwork (5);
By pouring concrete 4 onto the buffer isolator 2 to construct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upper floor slab 10,
The buffer isolator 2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non-bearing wall 1 and the lower bottom slab 20, and the upper end and the upper bottom slab 10 of the non-bearing wall 1 are integrally connected. Site-cast concrete non-bearing wall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20132952A 2012-11-22 2012-11-22 Non-bearing reinforced concrete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3621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952A KR101362193B1 (en) 2012-11-22 2012-11-22 Non-bearing reinforced concrete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952A KR101362193B1 (en) 2012-11-22 2012-11-22 Non-bearing reinforced concrete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193B1 true KR101362193B1 (en) 2014-02-12

Family

ID=5027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952A KR101362193B1 (en) 2012-11-22 2012-11-22 Non-bearing reinforced concrete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19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805A (en) 2018-11-02 2020-05-1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non-bearing wall system of reinforced concrete wall apartment to prevent cracks and damage by earthquake
KR20200135269A (en) 2020-11-25 2020-12-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Non-bearing wall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wall-type structure that can prevent load transmission
CN114215220A (en) * 2022-01-21 2022-03-22 广东名大集团有限公司 Green energy-saving integrated cast-in-place lightweight concret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699813B1 (en) 2023-06-20 2024-08-27 이인영 Inter-floor bear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157U (en) * 1996-09-06 1998-06-25 이광선 Partition support
JP2004084179A (en) 2002-08-23 2004-03-18 Fujita Corp Connecting structure of storey section of building and prefabricated wall body
KR20060067067A (en) * 2004-12-14 2006-06-19 (주) 한승아이앤디에이 Plaster board assembly for partition
KR20120026723A (en) * 2010-09-10 2012-03-20 윤병주 Corner mol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157U (en) * 1996-09-06 1998-06-25 이광선 Partition support
JP2004084179A (en) 2002-08-23 2004-03-18 Fujita Corp Connecting structure of storey section of building and prefabricated wall body
KR20060067067A (en) * 2004-12-14 2006-06-19 (주) 한승아이앤디에이 Plaster board assembly for partition
KR20120026723A (en) * 2010-09-10 2012-03-20 윤병주 Corner mol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805A (en) 2018-11-02 2020-05-1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non-bearing wall system of reinforced concrete wall apartment to prevent cracks and damage by earthquake
KR20200135269A (en) 2020-11-25 2020-12-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Non-bearing wall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wall-type structure that can prevent load transmission
CN114215220A (en) * 2022-01-21 2022-03-22 广东名大集团有限公司 Green energy-saving integrated cast-in-place lightweight concret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699813B1 (en) 2023-06-20 2024-08-27 이인영 Inter-floor bear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5186B2 (en) Thermal-insulated exterior wall boards, dedicated molds and making methods thereof
US20140123583A1 (en) Block for construc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with said block
KR101362193B1 (en) Non-bearing reinforced concrete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20180347221A1 (en) A method of constructing earthquake resistant structure with reinforced foundation and wall structure
KR101277752B1 (en) Remodelling Construction Method by Inserting External Precast Concrete Wall Panel into the Internal Area of Beam-column Frame of Building and that Precast Concrete Panel
KR101727817B1 (en) Of a Substitute of Building of Shear-Keyed Half Slab Using Seismic Isolation.
Cheng et al. A new construction technology suitable for frame partitioned infill walls with sliding nodes and large openings: test results
CN103061451A (en) Horizontally-sliced composite coupling beam with cave opening concrete wall bod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yu et al. In-plane cyclic testing of full-scale reinforced concrete frames with innovative isolated infill walls strengthened by highly ductile concrete
CN215211690U (en) Buckling-restrained steel plate shear wall
US3683577A (en) Building construction systems
EA014814B1 (en) External wall for multistorey frame building arkos
KR101407502B1 (en) Joint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 and method thereof
KR100977275B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form-less column and deck beam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233120B1 (en) Found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231779B1 (en) Extended precast concrete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of it
WO2021109181A1 (en) High-strength lightweight composite floor slab and floor slab layer system thereof
KR100992038B1 (en) Architectural beam by filled concrete
US20160122998A1 (en) Formwork of reducing thickness due to loading of slab cast in-situ
JP5079640B2 (en) Seismic fram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160034136A (en) High-speed construction method for quake-proof building structure using beam and super light concrete
CN103469952A (en) Reinforced concrete hollow floor and construction method
CN117403806B (en) Prefabricating method of laminated wall capable of nondestructively integrating ceramic tiles and heat preservation layers
KR101531786B1 (en) Seismic retrofit method using seismic control device
CN110130521B (en) Grillage-integrated exterior wall panel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