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580B1 - 팽창 면봉 - Google Patents

팽창 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580B1
KR101361580B1 KR1020120139054A KR20120139054A KR101361580B1 KR 101361580 B1 KR101361580 B1 KR 101361580B1 KR 1020120139054 A KR1020120139054 A KR 1020120139054A KR 20120139054 A KR20120139054 A KR 20120139054A KR 101361580 B1 KR101361580 B1 KR 10136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b
rod
distal end
expansion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일
김진우
김창욱
전민승
박혜선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9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8Swabs having a stick-type handle, e.g. cott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06Ear cleaners, e.g. cur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61M35/006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using sponges, foams, absorbent pads or swabs as spread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창 면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압력에 의하여 면봉 솜 부분이 이공에 맞게 팽창시킬 수 있는 팽창 면봉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소정의 길이로 중공의 튜브 형태를 가지며, 중심에 누름부가 구비되는 봉대; 봉대의 말단에 중공의 원형으로 구비되는 말단부; 및 말단부를 감싸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면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팽창 면봉{INFLATOR SWAB}
본 발명은 팽창 면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압력에 의하여 면봉 솜 부분이 이공에 맞게 팽창시킬 수 있는 팽창 면봉에 관한 것이다.
면봉이란 끝에 손을 말아 붙인 가느다란 막대로 흔히 귀나 코, 입 따위의 속에 약을 바를때 사용하는 도구를 말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면봉의 사시도이다.
면봉(100)은 가공의 편의성 때문에 주로 얇은 나무로 이루어진 봉대(110)와, 봉대(110)의 양 말단에 살균 처리된 탈지솜(120)이 권취되어 결합된다.
사용 방법은 면봉(100)의 봉대(110)를 잡고 면봉부를 인체나 원하는 부위에 대고 문질러서 이물질을 세정하거나, 탈지솜(120)에 약을 발라서 상처 부위에 약을 위생적으로 바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면봉의 봉대는 연성이 약한 나무 재질로 형성되고 봉대의 말단에 형성된 솜 부분으로 이공의 이물질을 제거할 때 솜 부분이 이공의 크기보다 작고 봉대의 휘는 정도가 작기 때문에, 힘을 주어 사용하면 쉽게 부러져 피부에 상처를 유발하고 그에 따른 2차 감염 등의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169990(등록일자 2012년 7월 25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면봉의 봉대 중심부에 누름부를 구비하여 누름부에 압력에 의해 면봉의 솜 부분이 이공 크기에 맞게 팽창하여 이공의 이물질을 제거할 때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팽창 면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솜 부분이 이공 크기에 맞게 팽창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이공 내 상처 유발 및 감염 등의 안전 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팽창 면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로 중공의 튜브 형태를 가지며, 중심에 누름부가 구비되는 봉대; 봉대의 말단에 중공의 원형으로 구비되는 말단부; 및 말단부를 감싸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면봉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누름부 양단에 기체 차단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말단부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누름부의 지름은 상기 봉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말단부는 상기 봉대 말단에서 동일 재질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패드부는 상기 말단부의 주변을 둘러싸는 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팽창 면봉에 따르면, 면봉의 중심에 주름 형태의 누름부를 형성하고, 면봉의 양 말단에 솜부분의 내피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누름부에 압력을 가하면 면봉 내부에 있던 기체가 면봉 봉대의 말단에 구비된 솜부분으로 이동하여 솜을 이공 크기에 맞도록 팽창시킴으로써, 이공의 이물질을 제거할 때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솜 부분이 이공 크기에 맞게 팽창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이공 내 상처 유발 및 감염 등의 안전 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면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 면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팽창 면봉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팽창 면봉을 도시한 단면도; 및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 면봉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 면봉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팽창 면봉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의 팽창 면봉을 A-A'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팽창 면봉(200)은 누름부(212)가 구비되는 봉대(210)와, 봉대(210)의 양 말단에 구비되는 말단부(222)와, 및 말단부(222)를 감싸는 패드부(224)로 구성된다.
누름부(212)는 소정의 길이로 중공의 튜브 형태를 가지며, 말단부(222)와 패드부(224)의 팽창을 위하여 봉대(210)의 중심에서 격자 모양의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고, 누름부(212)의 지름은 봉대(210)의 가장자리(214)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말단부(222)는 중공의 원형 형상으로 봉대(210)의 양 가장자리(214) 말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패드부(224)는 말단부(22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솜 부분에 해당된다.
여기서, 팽창 면봉(200)의 봉대(210)는 부드럽고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기 위하여, 소정의 탄력성을 갖는 PVC(Polyvinyl Chlorid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팽창 면봉(200)의 봉대(210)에서 연장되는 말단부(222)는 내부 기체에 의해 팽창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력성을 갖는 PVC(Poly vinyl Chloride), PVC 필름, 및 라텍스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팽창 면봉(200)을 형성하기 위하여, 봉대(210)의 재질 두께와 말단부(222)의 재질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봉대(21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탄력성이 높으면 파지하여 사용하기 용이하지 않게 되고, 말단부(222)는 패드부(224)가 둘러싸여 내부 기체에 의해 팽창되는 것이 용이해야 하기 때문에, 봉대(210)의 두께와 말단부(222)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봉대(210)의 두께는 말단부(222)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봉대(210)와 말단부(222)는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은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플라스틱 제품 제조 방법으로,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을 통한 제품의 제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라스틱에 안료, 안정제, 가소제, 충전제 등을 첨가하여 만든 컴파운드를 호퍼에 넣어 이를 전열 또는 고압 수증기 등으로 가열하여 용융상태로 만든다. 그리고 이 수지액을 피스톤으로 투입부를 통해 사출 성형용 금형 속으로 주입하고, 금형 내에 수지액이 충전 완료되면 이를 냉각시켜 응고시킨다. 계속해서, 사출 성형용 금형 내의 수지액이 응고되고 나면 이를 사출 성형용 금형으로부터 추출한 후, 사출물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면 사출제품, 즉 봉대(210)와 말단부(222)가 완성된다.
여기서, 봉대(210)와 말단부(222)는 사출성형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봉대(210)와 말단부(222)가 각각 사출성형으로 형성되어 추후에 결합될 수 있으며, 봉대(210)와 말단부(222)는 사출 성형 외에 다른 방법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중공의 튜브 형태인 봉대(210)와 말단부(222)가 사출성형 또는 그 외의 방법으로 팽창 면봉(200)이 제작될 때, 팽창 면봉(200) 내에 내부 기체(230)가 모여지게 되고, 봉대(210)의 누름부(212) 지름이 봉대(210)의 가장자리(214)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누름부(212) 내에 봉대(210)의 가장자리(214) 보다 더 많은 내부 기체가 모여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팽창 면봉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팽창 면봉(3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누름부(312)가 구비되는 봉대(310)와, 봉대(310)의 양 말단에 구비되는 말단부(322)와, 및 말단부(322)를 감싸는 패드부(324)로 구성되며, 누름부(312)의 양단에 내부 기체가 봉대(310)의 가장자리(314)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체 차단막(3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누름부(312)의 양단에 기체 차단막(316)이 구비됨으로써, 누름부(312) 내에 많은 내부 기체들이 모여있게 된다.
누름부(312)는 소정의 길이로 중공의 튜브 형태를 가지며, 말단부(322)와 패드부(324)의 팽창을 위하여 봉대(310)의 중심에서 격자 모양의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고, 누름부(312)의 지름은 봉대(310)의 가장자리(314)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말단부(322)는 중공의 원형 형상으로 봉대(310)의 양 가장자리(314) 말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패드부(324)는 말단부(32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솜 부분에 해당된다.
팽창 면봉(300)의 봉대(310)와 말단부(322)의 재질과 형성 방법은 도 2 및 도 3의 제 1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 면봉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면봉(200, 300)이 사출성형 또는 그 외의 방법으로 제작될 때, 중공의 튜브 형태인 봉대(210, 310)와 말단부(222, 322)의 내부에는 기체(230)가 모여지게 된다.
봉대(210, 310)의 누름부(212, 312) 지름과 봉대(210, 310)의 가장자리(214, 314) 지름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에 모여져 있는 내부 기체(230)의 양도 차이가 있으며,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누름부(212, 312) 내에 내부 기체(230)의 양이 더 많이 모여져 있게 된다.
사용자가 이공에 면봉(200, 300)을 삽입 후 봉대(210, 310)의 중심에 형성된 누름부(212, 312)를 사용자의 손으로 눌러 압력(화살표 B 참조)을 가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212, 312) 내에 모여있던 내부 기체(230)는 압력에 의하여 봉대(210, 310)의 가장자리로 이동(화살표 C 참조)하게 된다.
여기서, 제 2 실시예에서는 누름부(312) 양단에 기체 차단막(3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분을 설명하면, 누름부(312) 내에 모여있던 내부 기체(230)가 압력에 의해 봉대(310)로 이동할 때, 누름부(312) 양단에 구비된 기체 차단막(316)이 압력에 의해 손상되어, 누름부(312) 내에 모여있던 내부 기체(230)가 봉대(310)의 가장자리로 이동하게 된다.
내부 기체(230)가 가장 자리로 이동하면서 가장자리의 압력이 높아지며, 높아진 압력은 누름부(212, 312)의 격자 주름을 통하여 봉대(210, 310)를 팽창시키며, 팽창된 가장자리부(214, 314)의 내부 기체는 말단부(222b, 322b)로 이동하게 되고, 내부 기체(230)는 말단부(222b, 322b)의 내면을 화살표 C 방향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말단부(222a, 322a)가 팽창하여 이공에 맞게 커지게 된다.
이렇게 팽창하여 지름이 커진 말단부(222b, 322b)에 의해 이공에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면봉의 중심에 주름 형태의 누름부를 형성하고, 면봉의 봉대와 면봉의 양 말단에 말단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누름부에 압력을 가하면 면봉 내부에 있던 기체가 면봉 봉대의 말단에 구비된 말단부로 이동하여 이공 크기에 맞도록 솜을 팽창시킴으로써, 봉대가 연성의 재질이기 때문에 쉽게 부러지지 않으며, 이공 크기에 맞게 솜이 팽창되어 이공의 이물질을 제거할 때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솜 부분이 이공 크기에 맞게 팽창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이공 내 상처 유발 및 감염 등의 안전 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팽창 면봉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200, 300 : 팽창 면봉
210, 310 : 봉대
212, 312 : 누름부
214, 314 : 가장자리부
222, 322 : 말단부
224, 324 : 패드부
230 : 내부 기체

Claims (6)

  1. 소정의 길이로 중공의 튜브 형태를 가지며, 중심에 누름부가 구비되는 봉대;
    상기 봉대의 말단에 중공의 원형으로 구비되는 말단부; 및
    상기 말단부를 감싸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면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 양단에 기체 차단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면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면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의 지름은 상기 봉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면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는 상기 봉대 말단에서 동일 재질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면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말단부의 주변을 둘러싸는 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면봉.







KR1020120139054A 2012-12-03 2012-12-03 팽창 면봉 KR10136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054A KR101361580B1 (ko) 2012-12-03 2012-12-03 팽창 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054A KR101361580B1 (ko) 2012-12-03 2012-12-03 팽창 면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580B1 true KR101361580B1 (ko) 2014-02-12

Family

ID=5027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054A KR101361580B1 (ko) 2012-12-03 2012-12-03 팽창 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5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0259A (en) 1987-06-01 1989-04-11 Stevens Robert B External ear cleaning device
KR20030093400A (ko) * 2002-06-03 2003-12-11 백수곤 탄성 변형이 가능한 면봉
JP2004337284A (ja) 2003-05-14 2004-12-02 Sanritsu Kk 綿棒
JP2006006690A (ja) 2004-06-28 2006-01-12 Atom Kosan Kk スティック型塵埃除去具及び軽量物品の吸着移送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0259A (en) 1987-06-01 1989-04-11 Stevens Robert B External ear cleaning device
KR20030093400A (ko) * 2002-06-03 2003-12-11 백수곤 탄성 변형이 가능한 면봉
JP2004337284A (ja) 2003-05-14 2004-12-02 Sanritsu Kk 綿棒
JP2006006690A (ja) 2004-06-28 2006-01-12 Atom Kosan Kk スティック型塵埃除去具及び軽量物品の吸着移送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5365B2 (ja) タンポン
AU763897B2 (en) A method of making applicators having improved finger grip features
EP2723287B1 (en) Tubular bandage
BR112015000593A2 (pt)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protetor de ouvido
TW201722361A (zh) 包含微織構型表面之低法向力的退縮裝置
US20150209120A1 (en) Orthodontic Protection Device
JP5740068B2 (ja) 哺乳瓶用乳首
JP2015039613A5 (ko)
RU2016108830A (ru)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получения рентгеноконтрастных медицинских баллонов
JP2016512713A5 (ko)
KR101361580B1 (ko) 팽창 면봉
CN101484112A (zh) 清洁按钮
ES2685247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formar mediante moldeo por soplado un tubo de soplado
JP2018524636A5 (ko)
WO2007005229A3 (en) Novel enhanced products and processes for removing cavity tissue
KR101272317B1 (ko) 일회용 멸균 부항장치
CN204734556U (zh) 安防外科手套组件
JP2018501068A5 (ko)
CN109454811B (zh) 一种定高切口保护扩张器的制作方法
CN202859457U (zh) 一种新型防护贴
RU2687628C2 (ru) Устойчивые к разрыву воздушные шарики
TWI523755B (zh) 用於製造環狀管件之氣袋與環狀管件之製造方法
KR20160128827A (ko) 고무장갑 손가락 끝 부분의 보호캡
CN211131416U (zh) 一种用于抽脂手术的切口保护套
BE1021216B1 (nl) Tampon met aangepast vernauwd terugtrekkingsein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