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334B1 - 휴대 폰과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의 통합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폰과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의 통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334B1
KR101361334B1 KR1020080093570A KR20080093570A KR101361334B1 KR 101361334 B1 KR101361334 B1 KR 101361334B1 KR 1020080093570 A KR1020080093570 A KR 1020080093570A KR 20080093570 A KR20080093570 A KR 20080093570A KR 101361334 B1 KR101361334 B1 KR 10136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mobile phone
computer
integrating
hea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1657A (ko
Inventor
오메르 보야시
파라메쉬와란 크리쉬난
안주르 순다레산 크리쉬나쿠마르
샬리니 야즈닉
Original Assignee
아바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바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바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31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3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an address exchange platform which sets up a session between two nodes, e.g. rendezvous servers, session initiation protocols [SIP] registrars or H.323 gatekee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퍼스널 컴퓨터와 무선 전화기의 쌍을 이루는 조합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되, 액세스는 블루투스 헤드셋 또는 다른 타입의 무선 헤드셋으로부터의 음성 명령을 통하여 제공되는 방법이 개시된다. 헤드셋을 통하여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가 쌍을 이루는 휴대 폰을 포함하는 진행 중 호에 스피치 인식 엔진을 구동시킬 수 있다. 구문 세트(set of phrases)들은 쌍을 이루는 휴대 폰에 의해 처리되고 있는 호의 현재 호 처리 상태에 근거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상주하는 엔진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몇몇 구문들은 예컨데 휴대 폰에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엔트리를 검색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한다. 하나 이상의 명령은 휴대 폰 또는 퍼스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폰과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의 통합 방법{INTEGRATING A CELLULAR PHONE WITH A SPEECH-ENABLED SOFTPHONE}
하기 케이스의 중요 개념(반드시 언어적인 것은 아님)은 참조로서 인용된다.
2007년 9월 24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번호 60/974,817
본 출원과 참조로서 인용된 상기 케이스 간에 본 출원의 청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상의 어떠한 모순과 불일치가 있다면, 본 출원의 청구범위는 본 출원의 언어와 일치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격 통신(telecommunications)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전화기를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speech-enabled softphone)과 통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는 사업가(business enterprise personnel)에 의하여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장치이다. 원격 통신의 입구(portal)로, 휴대 전화기(또는 휴대 폰)는 사용자에게 이동 통신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라도 연락될 수 있게(reached) 한다.
퍼스널 컴퓨터는 사업가에게 널리 사용되는 또 다른 통신 장치이다. 데이터 통신의 입구로, 컴퓨터는 이메일 및 긴급 메시지(instant message)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컴퓨터에는 컴퓨터를 전화기로 동작시키는 "소프트 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노트북 컴퓨터, 또는 다른 형태의 휴대용 컴퓨터는 언제, 어디서나 다른 사람과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블루투스 헤드셋과 같은 유선 헤드셋은 휴대 전화기 또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통신 장치와 쌍을 이룰 수 있다. 예컨대, 휴대 전화기와 쌍을 이루는 경우, 헤드셋은 오디오 신호를 전화기와 교환할 수 있으며, 헤드셋 사용자가 헤드셋을 통하여 호(call)의 다른 측과 통화할 수 있게 한다. 부가적으로, 헤드셋은 사용자가 호에 응답 또는 걸 수(hang-up) 있도록 하거나, 헤드셋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제어 버튼을 포함한다.
휴대 폰, 퍼스널 컴퓨터에서의 소프트 폰 및 무선 헤드셋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이 세 가지 장치의 적어도 몇몇 특징을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및 휴대 전화기의 쌍으로 된 조합(paired combination)에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며, 이 액세스는 블루투스 헤드셋 또는 다른 타입의 무선 헤드셋으로부터의 음성 명령을 통하여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폰 또는 퍼스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 폰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처리되고 있는 현재 진행 중인 호 상에서, 헤드셋을 통하여 제공된 음성 명령은 손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hand-free manner)으로 사용자가 다양한 호 상호 작용(call interactions)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음성 명령을 인식하는 스피치 인식 엔진은 퍼스널 컴퓨터에 상주한다. 엔진은 요구시에 작동되며(invoked in demand), 그 이점은, 스피치 인식이 결과적으로, 목적으로 되며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엔진에 의해 인식 가능한 구문(句文)들의 세트(set of phrases)는, 예컨대 쌍으로 된 휴대 폰에 의하여 처리되고 있는, 호의 현재 호 처리 상태에 근거한다. 몇몇 구문은 예컨대, 호 로그(call log) 또는 폰 북 데이터 베이스와 같은 휴대 폰 또는 네트워크의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엔트리를 검색하기 위한 명령어에 대응한다.
예시적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는, 컴퓨터가 휴대 폰 및 헤드셋 각각과 직접 통신하는데 사용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 PAN)를 특징으로 한다. PAN은 퍼스널 컴퓨터가 다른 두 개의 장치 각각과 직접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공유 컴퓨터 네트워크(shared computer network)이다. PAN이 포괄하 는 영역은, 전형적으로 불과 몇 미터에만 걸친다는 면에서 근거리(short-range)라 여겨진다.
예시적 실시예의 네트워크 구성과 종래 기술의 몇몇 네트워크 구성 간의 주된 차이는, 예시적 실시예의 네트워크 구성은 퍼스널 컴퓨터와 쌍으로 되는 헤드셋과 휴대 폰과 쌍으로 되는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나, 헤드셋이 휴대 폰과는 쌍으로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시적 실시예의 네트워크 구성은 퍼스널 컴퓨터가 본질적으로 헤드셋과 휴대 폰간의 매개자로 동작할 수 있게 하여, 결과적으로 온 디맨드(on-demand) 스피치 인식 및 인식된 음성 명령의 실행과 같은 부가 가치적(value added) 특징을 제공한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는, 휴대 폰 또는 소프트 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되고 있는 호의 호 처리 상태에 근거하는 몇몇 실시예에서, 헤드셋으로부터 도착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상이한 타입의 자극들(stimuli) 및 지시들(indications)로 해석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퍼스널 컴퓨터는 헤드셋으로부터 일련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인식할 수 있다. 제어 신호의 기설정된 조합을, 소프트 폰에 의해 인식되는 음성 명령의 발생과 같이, 헤드셋 사용자가 소프트 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이후의 액세스를 할 수 있게 하는 패스 구문(pass phrse)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수신된 일련의 제어 신호가 퍼스널 컴퓨터에서의 사용자에 대한 기설정된 조합에 대응(matching)되면, 컴퓨터는 사용자의 소프트 폰에 대한 이후의 액세스를 허용한다.
예시적 실시예는 휴대 전화기와 쌍을 이루는 퍼스널 컴퓨터에서의 소프트 폰 터미널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테스크(task)의 수행이 가능한 다른 타입의 터미널 및 이 터미널에 의해 인식되는 음성 명령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원격 통신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다른 실시예의 제작 방법 및 이용 방법은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또한, 예시적 실시예의 PAN은 블루투스 명세서와 일치하여 동작하나, PAN이 다른 프로토콜 세트에 일치하여 동작하는 다른 실시예의 제작 방법 및 사용 방법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는, ⅰ)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원격 통신 장치와 헤드셋 장치 간의 제 1 접속 및 ⅱ) 제 1 원격 통신 장치와 제 2 원격 통신 장치 간의 제 2 접속을 설립하는 단계와, 제 2 원격 통신 장치가 제 1 전화 호를 처리하고 있다는 표시(indication)를 제 1 원격 통신 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헤드셋 장치로부터 ⅰ) 헤드셋 장치에서의 응답(answer)/종료(end) 호 버튼의 작동 결과로서 헤드셋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제어 신호, 뒤 이어, ⅱ) 헤드셋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형성된 발언(utterance)을 운반하는 음성 신호를 제 1 원격 통신 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상술한 ⅰ) 표시 및 ⅱ) 제어 신호의 수신에 근거하여, 수신된 발언에 관한 스피치 인식 기능을 제 1 원격 통신 장치에서 실행하는(invoking)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퍼스널 컴퓨터와 무선 전화기의 쌍을 이루는 조합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되, 액세스를 블루투스 헤드셋 또는 다른 타입의 무선 헤드셋으로부터의 음성 명령을 통하여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신 시스템(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퍼스널 컴퓨터(101), 무선 헤드셋(102), 휴대 전화기(103), 원격 통신 네트워크(106) 및 데이터 베이스(109)를 포함한다.
퍼스널 컴퓨터(101)는 종단 사용자(end user)에 의해 직접적으로 동작되도록 한 예컨대,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또는 타블렛 컴퓨터와 같은 컴퓨터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101)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소프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는 면에서 소프트 폰 터미널의 기능을 제공한다. 소프트 폰 터미널은 범용(general purpose)의, 퍼스널 컴퓨터 및 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 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조합이다. 상주하는 소프트 폰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터(101)의 사용자가 컴퓨터를 통하여 전화기 호를 생성하고 수신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컴퓨터(101)가 예시적 실시예의 적어도 몇몇 테스크(task)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팜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장치 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작 방법 및 사용 방법은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예컨대, 컴퓨터(101)는 SIP 또는 IP-케이블 데스크세트(deskset), 블루투스 가능 자동차 기반 구성 요소(automobile-based component) 또는 휴대 폰으로 대치될 수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된 컴퓨터(101)의 주요 구성 요소들은 예시적 실시예의 테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10)에 의해 수행되는 주요 테스크는 도 3 내지 도 5에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무선 헤드셋(102)은 퍼스널 컴퓨터(101)와 같은, 다른 무선 가능 장치와 제어 신호 및 음성 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 장치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헤드셋(102)은 "응답/종료 호" 버튼(또는 "주" 버튼), "볼륨 증가" 버튼 및 "볼륨 감소" 버튼과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작동 버튼(user-actuated button)을 포함한다. 각 버튼은 작동시에, 상이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은 다른 무선 가능 장치(본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101))에 전송된다. 부가적으로, ⅰ) 컴퓨터(101)의 소프트 폰 애플리케이션 또는 ⅱ) 휴대 전화기(103)를 포함하는 호 중에, 헤드셋(102)은 그 사용자의 음성을 컴퓨터(101)에 전송하고 컴퓨터(101)로부터의 다른 측의 음성을 수신한다.
휴대 전화기(103)는 셀 기반 네트워크(cellular-based network)를 통한 사용자에 대한 전화기 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전화기(103)는 원격 통신 시스템(100)의 다른 장치를/에 의해 호출하거나 호출될 수 있다. 예컨대, 호출측은 전화기(103)로 전달되는(route) 전화기 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전화기(103)를 호출함으로써, 전화 기(103)는 호출측으로부터의 인입 호(incoming call)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전화기(103)는 휴대 전화기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를 읽은 후, 전화기(103)가 휴대 폰이 아닌 다른 타입의 장치인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작 방법 및 사용 방법은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101)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선 헤드셋(102) 및 무선 전화기(103)와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컴퓨터(101)와 헤드셋(102) 그리고 컴퓨터(101)와 전화기(103)간의 각 쌍은 개인 영역 네트워크 내에 독립적으로 설립되며, 여기서 두 개의 쌍은 각각 접속(104) 및 (105)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듯이,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는 장치(101) 내지 (103)과 같이 사용자 근처에 있는 컴퓨터 장치 및 원격 통신 장치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PAN이 포괄하는 영역은, 전형적으로 불과 몇 미터에만 걸친다는 면에서 근거리(short-range)로 여겨진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01) 및 (102)가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하는데 사용될 뿐 아니라 장치(101) 및 (103)가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PAN은 블루투스 명세서에 따라 동작한다. 부가적으로, 각 쌍들의 장치의 직접 통신은 2.4GHz범위 내의 안전한 광역의 비면허(secure, globally unlicensed)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라디오 주파수 대역 상에서 행해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 쌍(즉, 장치(101) 및 (102), 장치(101) 및(103))은 IrDA, UWB 또는 ZigBee 명세서에 근거한 것과 같은, 예시적 실시예에서의 것과는 상이한 타입의 무선 PAN 및/또는 라디오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서로 통신한다. 몇 몇 다른 실시예에서, 쌍으로 되는 장치는 USB 또는 FireWire와 같은 유선 PAN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통신한다.
원격 통신 네트워크(106)는 시스템(100) 내의 다양한 원격 통신 터미널 간의 접속을 제공하며, 각 셀에 대하여 두 개 이상의 터미널 간의 통신 신호에 대한 전송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통신 신호는 오디오, 비디오 등과 같은 인코딩된 매체의 비트 스트림을 운반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네트워크(106)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스위치, 서버,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와 같은 하나 이상의 상호 접속된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interconnected data-processing system)을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106)는 그 구성 장치들에 대해 접속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서브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예컨대, 네트워크(106)는 컴퓨터(101)에 대해 접속을 제공하기 위하여 LAN(Local Network Area)을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101)는 유선 이더넷 접속(107)을 통해 LAN에 접속하나,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는 LAN에 대한 접속은 무선이다. 부가적으로, 네트워크(106)는 전화기(103)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기 위하여 셀 네트워크(cellular network)를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전화기(103)는 특정 순간에(at any particular moment) 네트워크 내에서 전화기(103)를 처리(handled)하기 위하여 할당된 어떠한 라디오 베이스 스테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라디오 주파수 링크(108)를 통하여 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데이터 베이스(109)는 호 로그(call logs) 및 전화 디렉토리(즉 "폰 북(phone book)")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휴대 전화기(103)가 접속(105)을 통하여 호 로그 또는 폰 북 검색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컴퓨터(101)는 예컨대, 웹 억세스를 통하여 데이터 베이스(109)를 통하여 이러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컴퓨터(101)의 주요 구성 요소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접속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101)는
ⅰ. 개인 영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1)
ⅱ. 구내 정보 통신망 인터페이스(local area network interface)(202)
ⅲ. 프로세서(203)
ⅳ. 메모리(204)
ⅴ. 마이크로폰(205)
ⅵ. 디스플레이(206)
ⅶ. 확성기(loudspeaker)(207)
ⅷ. 키보드/포인터(208)
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원격 통신 컴퓨터가 상술한 리스트된 구성 요소들의 모든 부조합(subcombination)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작 방법 및 사용 방법은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 인터페이스(201)는, 공지된 방법으로, 컴퓨터(101) 가 신호를 헤드셋(102) 및 전화기(103)로/부터 직접적으로 수신 및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인퍼페이스(201)는 컴퓨터(101) 내부에 존재하거나 컴퓨터에 부가되는(예컨대 USB 인터페이스 등을 통하여) 주변 장치인 하나 이상의 무선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101)는 공지된 방법으로 PAN 인터페이스(201)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수신 및 전송한다. 예컨대, PAN 인터페이스(201)는 헤드셋(102)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인입 호의 전화기(103)로부터 통지(notification)를 수신한다. 컴퓨터(101)는 컴퓨터(101)와 쌍이 되는 어느 하나의 장치(즉 헤드셋(102) 및 전화기(103))에/로부터 마찬가지로 PAN 인터페이스(201)를 통하여 음성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당업자에게는 PAN 인터페이스(201)의 제작 방법 및 사용 방법은 명확할 것이다.
LAN 인터페이스(202)는 컴퓨터(101)가 원격 통신 네트워크(106) 내의 하나 이상의 장치 및 데이터 베이스(109)에/로부터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101)는 공지된 방법으로 LAN 인터페이스(202)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수신 및 전송한다. 부가적으로, LAN 인터페이스(202)는 예컨대, ITU G.729 표준(또는 다른 표준)으로 인코딩되고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패킷 스트림 데이터로 표현되는 오디오 신호와 같이 매체 파형 신호를 공지된 방식으로 수신 및 전송한다. 당업자는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는 다른 포맷으로 인코딩되고/되거나 표현되는 매체 파형 신호를 수신 및 전송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는 LAN 인터페이스(202)의 제작 방법 및 사용 방법이 명확할 것이다.
프로세서(203)는 PAN 인터페이스(201), LAN 인터페이스(202), 마이크로 폰((205) 및 키보드/포인터(208)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고, 예컨대, 예시적 실시예의 몇몇 또는 모든 테스크에 대응하는, 메모리(204)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며, 메모리(204)로부터/에 데이터를 독출 및 저장하고, PAN 인터페이스(201) 및 LAN 인터페이스(202)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범용(general-purpose) 프로세서이다. 부가적으로 프로세서(203)는 디스플레이(206) 및 확성기(207)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03)는 또한 마이크로 폰(205)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PAN 인터페이스(201) 또는 LAN 인터페이스(20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스피치 대 텍스트 변환(speech to text conversion)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3)는 특수 목적 컴퓨터일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3)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다수의 프로세서(multiple processor)간에 분할하여 수행될 수 있다(예컨대, 하나는 스피치 인식용 다른 것은 범용 프로세서 등).
메모리(204)는 공지된 방법으로, 프로세서(203)에서 사용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04)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메모리 등의 모든 조합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04)는 전화기(103) 또는 데이터 베이스(109)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베이스 엔트리들 역시 저장할 수 있다.
마이크로 폰(205)은 전송 및/또는 저장을 위해 음향 신호(acoustic signal) 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변환기(transducer)이다. 당업자에게는 마이크로 폰(205)의 제작 방법 및 사용 방법이 명확할 것이다.
디스플레이(206)는 전화기(103) 또는 데이터 베이스(109)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베이스 엔트리를 포함하여, 정보의 시각적 표현을 컴퓨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확성기(207)는 정보의 청각적 표현(audible representation)을 컴퓨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전기-음향 변환기이다. 당업자에게는, 컴퓨터(101)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확성기(207)가 예컨대 이어폰(earpiece)과 같은, 확성기가 아닌 타입의 전기-음향 변환기로 대치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어떠한 경우에도, 당업자에게는 확성기(207)의 제작 방법 및 사용 방법이 명확할 것이다.
키보드/포인터(208)는 컴퓨터의 다른 요소(element)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하여(accept)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키보드 기반 및/또는 포인터 기반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는 키보드/포인터(208)의 제작 방법 및 사용 방법이 명확할 것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101)의 프로세서(203)는 도 3 내지 5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기술된 테스크를 수행한다. 당업자는,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컴퓨터(101) 내의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기술된 테스크의 다른 서브셋(subset)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의 동작에 관련된 주된 테스크(task)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당업자는,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테스크의 서브셋 만이 수행됨을 알 것이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몇몇의 테스크는 동시에 또는 도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된다.
실시예에서, 컴퓨터(101) 사용자, 헤드셋(102) 사용자 및 전화기(103) 사용자는 동일한 자이다. 컴퓨터(101)는 소프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노트북 컴퓨터이며, 전화기(103)는 휴대 전화기이다. 상술한 3개 장치의 사용자는 헤드셋(102) 및 전화기(103)를 컴퓨터(101)에 충분히 근접한 구역(close)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장치들이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개인 영역 네트워크는 초기 상태로 되어(initialized), 장치(101) 및 (102)는 서로 직접적으로 정보를 교환하며, 장치(101) 및 (103) 역시 마찬가지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셋(102) 및 전화기(103)는 대신에 각각 컴퓨터(101)와 쌍으로 되기 때문에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터(101)는 테스크(301)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소프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로부터 계속 진행하여, 소프트 폰은 컴퓨터(101)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접속(107)을 통하여 인입 및 인출 전화기 호를 처리(handle)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103)와 쌍을 이룬다면, 소프트 폰은 이하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접속(105)을 통하여 호를 역시 처리할 수 있다.
테스크(302)에서, 컴퓨터(101)는 공지된 방법으로,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를 통하여 컴퓨터(즉, "제 1 원격 통신 장치") 와 무선 헤드셋(102)(즉, 헤드셋 장치)간의 제 1 접속을 설립한다. 당업자에게는 PAN 내에서 장치들이 어떻게 서로 "쌍"이 되는지 명확할 것이다.
테스크(303)에서, 컴퓨터(101)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컴퓨터와 휴대 전화기(103)(즉, "제 2 원격 통신 장치")간의 제 2 접속을 설립한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터는 단독 전화기(separate telephone)와 직접적으로 신호를 교환하거나 제어하지 않으며, 대신에 컴퓨터의 소프트 폰 애플리케이션만으로 전화기에 액세스하므로, 컴퓨터(101)는 제 2 접속을 설립하지 않는다.
테스크(304)에서, 컴퓨터(101)는 전화기(103) 또는 소프트 폰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전화기 호가 처리되고 있는지 판정한다. 제 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컴퓨터(101)는 전화기(103)가 전화기 호를 처리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 판정은 테스크(504)에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호가 인입되는(call is in) 특정 호 처리 상태에 관한 표시(indication)의 컴퓨터 수신 또는 헤드셋(102) 및/또는 전화기(103)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신호에 근거한 습득에 근거한다. 이하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컴퓨터가 인식하여 동작하는 명령 세트는 현재의 호 처리 상태에 의존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는 전화기(103)로의 인입 호가 그 사용자에 의해 응답되고 있음을 알린다. 이러한 제 1 케이스에서, 이 표시는 ⅰ) 전화기(103)로부터의 인입 호 통지, 이어진 ⅱ) 헤드셋(102)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의 수신을 포함하며; 제어 신호는 헤드셋에서의 응답/종료 버튼의 작동의 결과로 헤드셋에 의해 생성되며, 이러한 제 1 케이스에서는, 호에 응답하기 위한 자극물(stimulus)로 해석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는 전화기(103)으로부터의 인출 호가 원단측(far end pary)에 의해 응답됨을 알린다. 이러한 제 2 케이스에서, 표시는 전화기(103)로부터의 호 응답 표시의 수신 결과이다. 당업자는 전화기(103)가 호를 처리하고 있다는 표시는 상술한 것과는 상이한 신호들의 다른 조합에 근거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제 2 실시예에서, 컴퓨터(101)는 그 소프트 폰 애플리케이션이 원단측과 더불어(즉, 접속(107)을 통하여) 전화기 호를 처리하고 있음을 판정한다. 컴퓨터(101)는 이를 전화기(103)와 쌍을 이루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판정한다. 이러한 판정은 테스크(504)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호가 인입되는 특정 호 처리 상태에 관한 표시의 컴퓨터(101) 수신 - 또는 또는 헤드셋(102) 및/또는 원단측 전화기(103) 설비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신호에 근거한 습득-에 근거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컴퓨터가 인식하여 동작하는 명령 세트는 현재의 호 처리 상태에 의존한다.
테스크(305)에서, 컴퓨터(101)는 헤드셋(102)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석한다. 제어 신호는 헤드셋에서의 버튼 중의 하나의 작동 결과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신호는 특히 응답/종료 호 버튼의 작동 결과이다. 실제로, 각 시간마다 헤드셋으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며 - 호에 관련된 간격(interval) 동안 다수의 제어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 컴퓨터(101)는 제어 신호의 수신을 ⅰ) 호의 인출을 시작(initiate an outgoing call)하는 자극물, ⅱ) 인입 호에 응답하는 자극물, ⅲ) 발언(utterance)이 수신되면, 헤드셋(102)으로부터 수신된 발언에 관한 스피치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자극물 또는 ⅵ) 다른 것들의 표시로 해석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해석은 현재 호 처리 상태 즉,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때의 호의 호 처리 상태에 근거한다.
테스크(306)에서, 컴퓨터(101)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테스크(306)는 도 4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기술된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테스크(306)는 전체적으로 스킵된다(skipped).
테스크(307)에서, 컴퓨터(101)는 테스크(305)에서의 제어 신호의 수신에 근거하여 사용자에 의한 발언에 대한 스피치 인식을 수행한다. 테스크(307)는 도 5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기술된다.
테스크 실행이 이후 종료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컴퓨터가 부가적 제어 신호를 모니터하고 이러한 제어 신호에 의하여 발동된 기능을 그에 따라 수행하는 것을 계속하는 실시예의 제작 방법 및 사용 방법은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컴퓨터(101)가 휴대 전화기(103) 및/또는 소프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이후의 인입 및 인출 호에 관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적어도 몇몇 테스크를 수행하는 실시예의 제작 방법 및 사용 방법은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도 4는 테스크(306)의 수행에 관련된 주요 테스크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테스크(401)에서, 컴퓨터(101)는, 헤드셋(102)으로부터 일련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일련의 제어 신호의 각각은 헤드셋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볼륨 제어 버튼 또는 응답/종료-호 버튼의 작동 결과로서 헤드셋(102)에 의해 생성된다.
테스크(402)에서, 컴퓨터(101)는 수신된 일련의 제어 신호가 컴퓨터(101)에서의 사용자의 인증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작동 조합(predetermined combination of actuations)에 대응(matches)하는지를 체크한다. 예컨대, 기업체 시스템 내의 각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패스 구문(pass phrase)으로 작동하는, 그(그녀)만의 유일한 작동 조합이 사전에 할당될 수 있다.
일련의 신호가 대응하면, 테스크 실행은 테스크(403)으로 진행하나, 그렇지 않다면 테스크 실행은 테스크(404)로 진행한다.
테스크(403)에서, 컴퓨터(101)는 헤드셋(102) 사용자가 이후에 소프트 폰 터미널에 이 액세스 및/또는 스피치 인식 기능 및 음성 명령 능력으로의 액세스를 포함하는 다른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테스크 실행은 이후 테스크(307)로 진행한다.
테스크(404)에서, 컴퓨터(101)는 일련의 제어 신호가 특정 소프트 폰 터미널의 특정 사용자의 인증을 구성하지 않는 경우, 수신된 일련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테스크 수행은 발생 가능한 부가적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이후 테스크(401)로 진행한다.
도 5는 테스크(307)의 실행에 관련된 주요 테스크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테스크(501)에서 컴퓨터(101)는 헤드셋(102)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발언을 운반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원단측이 발언을 청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컴퓨터(101)는 음성 신호를 헤드셋(102)으로부터 원단측(즉, 호에 포함되면, 전화기(103)를 통하여)에 전송하는 것을 사전에 중단한다. 컴퓨터(101)가 음성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면, 이것은 ⅰ) 테스크(305)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응답/종료-호" 버튼에 대응) 및 이후의 테스크(307)에서의 스피치 인식 또는 ⅱ) 테스크(306)에서 발생되는 사용자의 인증의 결과로 행해진다.
테스크(502)에서, 컴퓨터(101)는 테스크(501)에서 수신된 발언에 대한 스피치 인식 기능을 작동시킨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피치 인식 기능은, 스피치 인식 기능이 항시 온되는 대신에, 요구시(on demand) 및 테스크(305)에서 헤드셋(102)으로부터 제어 신호의 수신에만 응답하여 작동한다.
테스크(503)에서, 컴퓨터(101)는 발언이, 전화기(103)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내의 적어도 하나의 엔트리를 검색하는 명령어에 대응하는 것으로 인식되는지를 체크한다. 예컨대, 검색될 엔트리는 호 로그 데이터 베이스 또는 폰 북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된다. 발언이 상술한 바와 같이 인식되면, 테스크 수행은 테스크(505)로 진행한다.
테스크(504)에서, 컴퓨터(101)는 명령이 데이터베이스 내의 엔트리를 검색하기 위한 것이 아니면, 인식된 명령을 수행한다.
호의 호 처리 상태에 따라, 인식 가능한 명령은 다음의 구문 또는 대응 구문을 포함하나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ⅰ. "옵션 표시(show option)"- 임의의 호 처리 상태에서 수신되는 경우,
ⅱ. "호 이름/번호(call name/number)"; "리다이얼(redial)"; "잘못된[또는 수신된 또는 다이얼링된] 호 표시(show missed[or received or dialed] calls)" -인입 호 통지의 수신 전에 수신된 경우(즉, 호 중이 아닌 경우),
ⅲ. "뮤트(mute)"; "행업(hang up)"; "볼륨 증가 [또는 감소](volume up[or down])"; "홀드(hold)"; "전송(transfer)"-호가 응답된 후에 호 중에 수신된 경우,
몇몇 실시예에서, 컴퓨터(101)는 또한 호가 인입되었으나 호가 응답되기 전 에는 제어 신호 자체를 응답 호 표시로 인식하는 대신에 구문(phrase) "응답(answear)" 및 "무시(ignore)"를 인식한다.
테스크(505)에서, 컴퓨터(101)는 PAN을 통해 명령을 전화기(103)에 전송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101)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AT 명령을 사용하여 명령을 전송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대신에 다른 명령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테스크(506)에서, 컴퓨터(101)는 검색된 엔트리를 운반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테스크(507)에서 컴퓨터(101)는 수신된 엔트리를 디스플레이(206)에 디스플레이한다.
테스크(508)에서, 컴퓨터(101)는 검색된 엔트리를 메모리(204)에 저장한다.
테스크(509)에서, 컴퓨터(101)는 수신된 엔트리에 근거하여 피호측(a part to be called)을 결정하고, 소프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피호측에 전화기 호를 전달한다.
본 명세서는 예시적 실시예의 하나의 예만을 교시하며,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이 용이하게 안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신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시스템(100) 내 퍼스널 컴퓨터(101)의 주요 구성 요소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의 동작에 관련된 주요 테스크의 흐름도,
도 4는 도 3의 테스크(307)의 수행과 관련된 주요 테스크의 흐름도,
도 5는 도 4의 테스크(307)의 수행과 관련된 주요 테스크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원격 통신 시스템 101 : 퍼스널 컴퓨터
102 : 무선 헤드셋 103 : 휴대 전화기
104, 105 : 접속 106 : 원격 통신 네트워크
109 : 데이터 베이스

Claims (10)

  1. 휴대 전화기와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ⅰ) 제 1 원격 통신 장치와 헤드셋 장치 간의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접속 및 ⅱ) 상기 제 1 원격 통신 장치와 제 2 원격 통신 장치 간의 제 2 접속을 수립하는 단계(302, 303)와,
    상기 제 2 원격 통신 장치가 제 1 전화기 호를 처리하고 있다는 표시(indication)를 상기 제 1 원격 통신 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304)와,
    상기 헤드셋 장치로부터 ⅰ) 상기 헤드셋 장치에서의 응답(answer)/종료(end) 호 버튼의 작동 결과로서 상기 헤드셋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 신호와, 뒤 이어, ⅱ) 상기 헤드셋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형성된 발언(utterance)을 전달하는 음성 신호를, 상기 제 1 원격 통신 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401, 501)와,
    ⅰ) 상기 표시 및 ⅱ)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에 근거하여, 수신된 상기 발언에 관한 스피치 인식 기능을 상기 제 1 원격 통신 장치에서 호출하는(invoking) 단계(502)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와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격 통신 장치는 블루투스 사양(specification)에 따라 상기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헤드셋 장치 및 상기 제 2 원격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휴대 전화기와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격 통신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이며, 상기 제 2 원격 통신 장치는 무선 전화기인
    휴대 전화기와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제 1 전화기 호가 응답되었음을 나타내는
    휴대 전화기와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을 상기 제 2 원격 통신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내의 적어도 하나의 엔트리를 검색하라는 명령으로서 인식하는 단계(503)와,
    상기 명령을 전달하는 제 1 메시지를 상기 제 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원격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505)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엔트리를 전달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제 1 원격 통신 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506)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와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호 로그(call log)의 데이터 베이스인
    휴대 전화기와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폰 북의 데이터 베이스인
    휴대 전화기와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은 하나 이상의 AT 명령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휴대 전화기와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격 통신 장치에서 소프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301)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와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엔트리에 근거하여, 피호측(a party to be called)을 결정하는 단계(509)와,
    상기 소프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제 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피호측에 제 2 전화기 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와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
KR1020080093570A 2007-09-24 2008-09-24 휴대 폰과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의 통합 방법 KR101361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7481707P 2007-09-24 2007-09-24
US60/974,817 2007-09-24
US12/207,230 US8626237B2 (en) 2007-09-24 2008-09-09 Integrating a cellular phone with a speech-enabled softphone
US12/207,230 2008-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657A KR20090031657A (ko) 2009-03-27
KR101361334B1 true KR101361334B1 (ko) 2014-02-10

Family

ID=4026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570A KR101361334B1 (ko) 2007-09-24 2008-09-24 휴대 폰과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의 통합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26237B2 (ko)
EP (1) EP2040444A1 (ko)
KR (1) KR1013613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330A (ko) * 2018-09-21 2020-03-31 (주)모임스톤 인터넷 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5626B2 (en) * 2007-01-22 2015-03-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ified and consistent user experience for server and client-based services
KR100913902B1 (ko) * 2007-05-25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지그비 개인영역 네트워크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시스템
US8055307B2 (en) 2008-01-18 2011-11-08 Aliphcom, Inc. Wireless handsfree headset method and system with handsfree applications
US8121547B2 (en) * 2008-12-24 2012-02-21 Plantronics, Inc. In-headset conference calling
US8428053B2 (en) * 2009-02-26 2013-04-23 Plantronics, Inc. Presence based telephony call signaling
US8219146B2 (en) * 2009-11-06 2012-07-10 Sony Corporation Audio-only user interface mobile phone pairing
US8949159B2 (en) * 2012-01-20 2015-02-03 Avaya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merging of real and virtual environments
US8903360B2 (en) * 2012-05-17 2014-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device validation
US20180151182A1 (en) * 2016-11-29 2018-05-31 Interactive Intelligence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ing voice biometric verification
US11595509B2 (en) * 2020-03-05 2023-02-28 Avaya Management L.P. Telecommunications soft client having a GUI-less operating mo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7282A1 (en) 2003-01-29 2004-07-29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ng with at least two device
US20050272415A1 (en) 2002-10-01 2005-12-08 Mcconnell Christopher F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with a computer
US20070004473A1 (en) 2005-07-01 2007-01-04 Plantronics, Inc. Wireless softphone headset system with incoming call alert and headset hookswitch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9706B1 (en) 1999-11-12 2002-01-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Wireless voice-activated remote control device
CN1173498C (zh) 2000-10-13 2004-10-27 国际商业机器公司 语音允许的蓝牙设备管理和访问装置及有关控制方法
JP3696192B2 (ja) * 2002-09-27 2005-09-1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同電子機器の接続先切替え方法
US7171242B2 (en) 2003-07-18 2007-01-30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noise control in a telematics system
WO2005117524A2 (en) * 2004-06-02 2005-12-15 Mobilemax Inc. System for optimizing cellular telephone call placement with minimal user overhead
US7315521B2 (en) * 2004-06-29 2008-01-01 Intel Corporation Mobile computing device to provide virtual office usage model
US7523035B2 (en) * 2004-07-26 2009-04-21 Motorola, Inc. Hands-free circuit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device
US20080037727A1 (en) * 2006-07-13 2008-02-14 Clas Sivertsen Audio appliance with speech recognition, voice command control, and speech generation
US8036366B2 (en) * 2006-08-04 2011-10-11 Microsoft Corporation Intelligent formatting of VoIP telephone numb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2415A1 (en) 2002-10-01 2005-12-08 Mcconnell Christopher F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with a computer
US20040147282A1 (en) 2003-01-29 2004-07-29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ng with at least two device
US20070004473A1 (en) 2005-07-01 2007-01-04 Plantronics, Inc. Wireless softphone headset system with incoming call alert and headset hookswitch contr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330A (ko) * 2018-09-21 2020-03-31 (주)모임스톤 인터넷 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7864B1 (ko) * 2018-09-21 2020-06-29 (주)모임스톤 인터넷 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657A (ko) 2009-03-27
EP2040444A1 (en) 2009-03-25
US20090082062A1 (en) 2009-03-26
US8626237B2 (en)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334B1 (ko) 휴대 폰과 스피치 가능 소프트 폰의 통합 방법
US7650168B2 (en) Voice activated dialing for wireless headsets
US90425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oice activated dialing from a home phone
US8213910B2 (en) Telephone using a connection network for processing data remotely from the telephone
US8208854B2 (en) Bluetooth control for VoIP telephony using headset profile
EP1643778A2 (en) Push-to-talk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oice transmitting method
US7630330B2 (en) System and process using simplex and duplex communication protocols
EP2294801B1 (en) A wireless headset with voice announcement means
US20220377166A1 (en) Wireless headset
US20080037456A1 (en) System of establishing VoIP connection by mobile phone
JP2004159335A (ja) 3者通話方式の自動通訳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50049879A1 (en)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interworking between voice communications and text communications
CN2891520Y (zh) 具远端拨号操控的无线装置
US20080118054A1 (en) Telephone system and method
US200200820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mobile conmunication terminal as wireless headset
CN1897608A (zh) 由蓝芽耳机声控拨号的系统及其方法
US74717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n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
JPH09116940A (ja) コンピュータ・電話統合システム
CN101645951A (zh) 自适应网络电话装置及其控制方法
CN111884886A (zh) 一种基于话机的智能家居的通信方法和通信系统
US8260264B2 (en) Automated retrieval and handling of a second telecommunications terminal's voicemail by a first terminal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KR20030097347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문자메시지 전송 방법
US11223714B2 (en)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dia streams
US20220407952A1 (en) Dual-mode voice communication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