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041B1 - Exhaust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Exhaust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041B1
KR101360041B1 KR1020110127966A KR20110127966A KR101360041B1 KR 101360041 B1 KR101360041 B1 KR 101360041B1 KR 1020110127966 A KR1020110127966 A KR 1020110127966A KR 20110127966 A KR20110127966 A KR 20110127966A KR 101360041 B1 KR101360041 B1 KR 101360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ail
exhaust gas
flap member
tai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9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1580A (en
Inventor
서창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7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041B1/en
Publication of KR20130061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5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0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01N1/161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for adjusting resonance or dead chambers or passages to resonance or dead chambers
    • F01N1/163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for adjusting resonance or dead chambers or passages to resonance or dead chambers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06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mproving exhaust evacuation or circulation, or reducing back-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90/00Movable parts or members in exhaust systems for other than for control purposes
    • F01N2290/08Movable parts or members in exhaust systems for other than for control purposes with oscillating or vibrating movement
    • F01N2290/10Movable parts or members in exhaust systems for other than for control purposes with oscillating or vibrating movement actuated by pressure of exhaust gases, e.g. exhaust pul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차량용 배기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배기 장치는, ⅰ)차량의 리어 범퍼에 설치되는 테일 트림과, ⅱ)머플러에 연결되며 배기 가스를 배출하고, 테일 트림으로 배기 가스의 배출단이 삽입되는 테일 파이프와, ⅲ)테일 파이프에 설치되며 테일 파이프와 테일 트림 사이의 노출 공간을 막고, 차량의 주행 시 공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동홀이 구비된 가림판과, ⅳ)가림판에 설치되며, 공기의 저항에 의해 공기 유동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n exhaust device for a vehicle is disclosed. The disclosed vehicle exhaust apparatus includes: (i) a tail trim installed on a rear bumper of a vehicle, ii) a tail pipe connected to a muffler to discharge the exhaust gas, and an exhaust end of the exhaust gas is inserted into the tail trim; Is installed in the screening plate and the screening plate provided with at least one air flow hole through which air passes through when the vehicle is driven, and is installed in the screening plate. It may include a flap memb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hole.

Description

차량용 배기 장치 {EXHAUST DEVICE FOR VEHICLE}Automotive Exhaust System {EXHAUST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용 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범퍼 일체형 테일 트림을 적용한 차량의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haust device of a vehicle to which a rear bumper integrated tail trim is applied.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은 연료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배기 가스를 배출하게 되고, 이렇게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배기 계통에 마련된 촉매 컨버터와 머플러를 통과하면서 차량의 후방으로 배기된다. In general, the engine of the vehicle emits a lot of exhaust gas in the process of burning fuel, and the exhaust gas is exhaust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while passing through the catalytic converter and the muffler provided in the exhaust system.

따라서, 배기 가스는 촉매 컨버터를 거치면서 인체 및 환경에 해가 되는 유해 성분이 산화되거나 환원되며 제거될 수 있고, 배기 라인을 통해 머플러를 거치면서 유동 소음이 감쇄된 상태로 대기 중에 배출될 수 있다. Therefore, the exhaust gas can be oxidized, reduced and removed while harmful substances to the human body and the environment are passed through the catalytic converter,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with flow noise attenu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muffler through the exhaust line. .

한편, 배기 소음을 상쇄시키는 머플러의 후측으로는 배기 가스를 차량의 후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테일 파이프가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a tail pipe for guiding the exhaust gas to the rear of the vehicle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muffler that cancels the exhaust noise.

특히, 승용 차량 및 승합 차량의 경우, 머플러의 후측에 연결되는 테일 파이프는 차량 후방의 안전을 위한 범퍼의 하측까지 위치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assenger cars and vans, the tail pipe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muffler is loca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umper for safety at the rear of the vehicle.

그런데, 최근에는 차량의 성능 못지 않게 차량의 외관이 중요시되고 있어 테일 파이프가 차량의 후방에서 보여지게 되는 것을 꺼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in recent years, the appearance of the vehicle is as important as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and the situation is that the tail pipe is reluctant to be seen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이를 감안하여, 최근의 차량에 적용되는 테일 파이프는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뿐만 아니라, 범퍼와의 갭이 짧고, 가능한 한 직경이 작은 파이프가 사용되도록 설계되고 있다. In view of this, the tail pipes applied to recent vehicles are not only designed in various shapes, but also designed to use pipes with a short gap with the bumper and as small as possible.

그러나, 차량의 후방에서 범퍼의 하측으로 테일 파이프가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파이프의 직경을 줄일 경우에는 배기 가스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유동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diameter of the pipe is reduced so that the tail pipe cannot be seen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to the lower side of the bumper, the exhaust gas is not smoothly discharged, and the flow noise is severely generated during the exhaust gas discharge. There was this.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차량의 리어 범퍼 내측에 테일 트림을 일체로 설치한 후, 그 테일 트림의 내측으로 머플러의 테일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테일 파이프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fter the tail trim is integrally installed inside the rear bumper of the vehicle, a technique has been disclosed in which the tail pipe of the muffler is inserted into the tail trim so that the tail pipe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have.

한편, 테일 트림은 내측으로 삽입된 테일 파이프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테일 파이프의 외경 보다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는 바, 테일 트림의 내주면과 테일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노출 공간이 형성될 수밖에 없다.On the other hand, the tail trim is formed with a siz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ail pipe so that the tail pipe inserted inwardly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and an exposed space is inevitably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ail trim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ail pipe. .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테일 트림의 내주면과 테일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에 노출 공간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테일 파이프를 통해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에 테일 트림의 내외부 압력 차로 인해 배기 가스의 일부가 테일 트림과 테일 파이프 사이의 노출 공간으로 역류되면서 트렁크를 통해 실내(차내)로 유입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since the exposur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il trim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il pipe, a part of the exhaust gas is separated from the tail trim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s of the tail trim in the process of exhausting the exhaust gas through the tail pipe. As it flows back into the exposed space between the tail pipes, it can enter the interior (in the vehicle) through the trunk.

이러한 배기 가스 중에는 일산화탄소가 함유되어 있는데, 일산화탄소는 무색무취여서 탑승객들이 쉽사리 알아차리지 못할 뿐 아니라, 일정 수치 이상의 일산화탄소를 들이마시면 중추신경 장애 및 최악의 경우 사망에까지 이르게 되는 유독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Carbon monoxide is contained in these exhaust gases. Carbon monoxide is colorless and odorless, making it difficult for passengers to notice, and inhaling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carbon monoxide is known as a toxic substance that can lead to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and worst-case death.

특히, 테일 트림과 테일 파이프 사이의 노출 공간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배기 가스의 양은 고배기량 차량 또는 차량의 고속/고부하 구간에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particular, the amount of exhaust gas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exposed space between the tail trim and the tail pipe is known to increase in the high-speed vehicle or the high speed / high load section of the vehicle.

그러나, 국내 자동차 법규에는 실내 배기가스 유입에 관한 별다른 기준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동차 성능 연구소 측에서도 이와 관련한 사례나 기준에 대한 자료가 전혀 없는 것으로 언론 매체 또는 인터넷 매체를 통해 보고되고 있다.However, it is known that there are no standards for indoor exhaust gas in domestic automobile regulations, and the automobile performance research institute is reported through the media or internet media as there is no data on cases or standards.

이 중 어느 한 인터넷 매체에서는 차량의 주행 중 테일 트림과 테일 파이프 사이의 노출 공간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배기 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였는데, 운전을 시작할 당시 1ppm이던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운전 시작 10 여분만에 30ppm까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In one of the Internet media,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in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room was measured through the exposure space between the tail trim and the tail pipe while the vehicle was running. I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e to 30ppm.

이와 같은 30ppm의 일산화탄소 농도는 운전자와 탑승자가 차내에서 2시간 정도 노출될 경우에 중추신경 장애와 시각 장애, 정신 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는 수치로 알려져 있다.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of 30ppm is known to cause central nervous disorders, visual impairment, and mental disorders when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are exposed in the car for about 2 hours.

한편, 본 출원인은 한국특허출원 제2009-0118679호에 차량용 노출 차단판을 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테일 파이프와 테일 트림 사이의 노출 공간을 막아서 가려 줄 수 있는 가림판을 테일 파이프에 고정되게 부착한 구조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applicant has disclosed a vehicle exposure blocking plate in Korea Patent Application No. 2009-0118679. This prior art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a shielding plate is fixedly attached to the tail pipe, which can cover and hide the exposed space between the tail pipe and the tail trim.

종래 기술에서는 테일 파이프에 가림판을 설치하여 차량의 외관미와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나, 테일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며 테일 트림과 테일 파이프 사이의 노출 공간으로 역류되는 배기 가스를 가림판으로 막아 배기 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the prior art, the purpose is to install a screening plate on the tail pipe to improve the appearance and merchandise of the vehicle. However,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tail pipe and flows back to the exposed space between the tail trim and the tail pipe. May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room.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차량의 저중속 주행이나 정차 시 배기 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가림판으로 막을 수는 있으나, 차량의 고속 주행 시, 가림판에 공기의 유동이 방해되어 와류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배기 가스가 테일 트림과 테일 파이프 사이의 노출 공간으로 확산되면서 리어 범퍼와 차체 판넬 내측을 통해 배기 가스가 실내로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다.By the way,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haust gas from entering the room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t low speed or stop, but the air flow is interrupted in the shielding plate to generate the vortex during the high speed driving of the vehicle. As the exhaust gas diffuses into the exposed space between the tail trim and the tail pipe, the exhaust gas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rear bumper and the body pane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고속 주행 시 가림판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방해되어 배기 가스가 테일 트림과 테일 파이프 사이의 노출 공간으로 확산되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배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vehicle exhaust device that can prevent the flow of air by the obstruction plate during high-speed driving of the vehicle to prevent the exhaust gas from flowing into the exposed space between the tail trim and the tail pipe to enter the room To prov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장치는, ⅰ)차량의 리어 범퍼에 설치되는 테일 트림과, ⅱ)머플러에 연결되며 배기 가스를 배출하고, 상기 테일 트림으로 배기 가스의 배출단이 삽입되는 테일 파이프와, ⅲ)상기 테일 파이프에 설치되며 상기 테일 파이프와 테일 트림 사이의 노출 공간을 막고, 차량의 주행 시 공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동홀이 구비된 가림판과, ⅳ)상기 가림판에 설치되며, 공기의 저항에 의해 상기 공기 유동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haust device for a vehicle includes: (i) a tail trim installed on a rear bumper of a vehicle, and ii) a tail connected to a muffler to discharge exhaust gas, and an exhaust end of the exhaust gas is inserted into the tail trim. A shielding plate installed on the tail pipe and iii) the tail pipe and blocking an exposed space between the tail pipe and the tail trim, and having at least one air flow hole through which air passes when the vehicle runs; Is installed in, may include a flap memb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air flow hole by the resistance of the ai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재는 공기의 저항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공기 유동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exhau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p member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he air flow hole whil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resistance of the ai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재는 유연성을 지닌 내열 고무 소재의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exhau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p member may be made of a pad of a heat-resistant rubber material having flexibil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재는 상기 공기 유동홀을 막는 마감판과, 상기 가림판에 끼워지며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exhau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p member may include a closing plate for blocking the air flow hole, and at least one hook protrusion is fitted to the shielding pl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재는 상기 마감판과 일체로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exhau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p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closing pl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손잡이부와 마감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exhau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rib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lap member between the handle portion and the closing pl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 돌기는 상기 플랩부재의 후면에서 손잡이부와 마감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exhau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protrus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handle portion and the closing plate at the rear of the flap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고속 주행 시 공기가 가림판의 공기 유동홀을 통과하면서 가림판에 의한 공기의 와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배기 가스가 테일 트림과 테일 파이프 사이의 노출 공간으로 확산되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the vortex generation of air by the shielding plate while the air passes through the air flow hole of the shielding plate at high speed of the vehicle, exhaust gas diffuses into the exposed space between the tail trim and the tail pipe It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roo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테일 트림과 테일 파이프 사이의 노출 공간으로 공기를 유도하므로, 검은 배기 가스를 배출하지 않게 되고, 테일 트림에서 배기 가스와의 온도차에 의한 응축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리어 범퍼 또는 테일 트림의 주위에 그을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is guided to the exposed space between the tail trim and the tail pipe, black exhaust gas is not discharged, and condensate generation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exhaust gas in the tail trim can be reduced, and rear Soo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around the bumper or tail trim.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장치에 적용되는 플랩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hese drawings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exhau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4 is a view showing a flap member applied to the vehicle exhau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exhau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 구성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ehicle exhau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coupl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장치(100)는 차량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배기 가스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기 위한 엔진 배기 계통에 적용될 수 있다.1 to 3, the vehicle exhau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n engine exhaust system for discharging exhaust gas generated from an engine of a vehicle to the atmosphere.

예를 들면, 상기 차량용 배기 계통은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의 유해 물질을 촉매 작용으로 저감시키기 위한 배기 가스 후처리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For example, the vehicle exhaust system includes an exhaust gas aftertreatment device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atalytically reducing harmful substances in exhaust gas discharged from an exhaust manifold of an engine.

그리고, 상기 차량용 배기 계통은 배기 가스 후처리장치를 거친 배기 가스를 차량의 후방 측으로 유도하는 배기 라인과, 그 배기 라인에 구성되며 배기 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낯추며 배기 소음을 저하시키는 머플러(1)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exhaust system includes an exhaust line for guiding exhaust gas passed through an exhaust gas aftertreatment device to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and a muffler configured to reduce exhaust noise by reduc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exhaust gas. ) May be included.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차량용 배기 장치(100)는 머플러(1)의 출구 측에 연결되며, 머플러(1)를 거친 배기 가스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Here, the vehicle exhaus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of the muffler 1 and is for discharging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muffler 1 to the atmosphe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배기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테일 트림(10)과, 테일 파이프(30)와, 가림판(50)을 포함하고 있다.The vehicle exhau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tail trim 10, a tail pipe 30, and a shielding plate 50.

상기에서, 테일 트림(10)은 주로 중대형의 고급 승용 차량에 채용되는 것으로, 뒤에서 더욱 설명될 테일 파이프(30)가 차량의 리어 범퍼(3: 이하 도 6 참조) 하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차량의 외관미와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디자인의 세련함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above, the tail trim 10 is mainly employed in a medium-large luxury passenger vehicle, and the tail pipe 30, which will be described further below, is not exposed below the rear bumper 3 (see FIG. 6) of the vehicle.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appearance and commerciality and to promote the refinement of the design.

이러한 테일 트림(10)은 테일 파이프(3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배기가스 배출 통로를 형성하며 리어 범퍼(3)에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바, 예를 들면 어퍼 트림(11)과 로어 트림(12)이 상호 용접되어 구성되고, 상기한 배기 가스 배출 통로로서 양단이 개방된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The tail trim 10 forms an exhaust gas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tail pipe 30 to the atmosphere and is integrally mounted to the rear bumper 3, for example, the upper trim 11 and the upper trim 11. The lower trim 12 is constructed by welding each other, and a hollow is formed at both ends as the exhaust gas discharge passage.

상기 테일 트림(10)의 중공은 테일 파이프(30)를 통한 열전달 문제나 테일 파이프(30)의 설치 작업성을 고려하여 테일 파이프(30)의 외경 보다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다.The hollow of the tail trim 10 is formed to have a sufficient size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ail pipe 30 in consideration of heat transfer problems through the tail pipe 30 or installation workability of the tail pipe 30.

그리고, 상기 테일 파이프(30)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머플러(1)에 연결되며 그 머플러(1)를 통과한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것으로,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단이 테일 트림(10)의 중공으로 인입(삽입)되게 설치될 수 있다.And, the tail pipe 30 is connected to the muffler (1) mentioned above to discharge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muffler (1), the discharge end for discharging the exhaust gas of the tail trim 10 It can be installed to be inserted (inserted) into a hollow.

즉, 상기 테일 파이프(30)의 배출단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테일 트림(10)의 배기가스 배출 통로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다.That is, the exhaust ga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end of the tail pipe 30 may be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exhaust gas discharge passage of the tail trim 10.

이 경우, 상기 테일 파이프(30)는 배기 가스의 열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 변위로 팽창 및 수축 변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ail pipe 30 may be expanded and contract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displacement along the length direction by the heat of the exhaust gas.

또한, 상기 테일 트림(10)의 중공이 테일 파이프(30)의 외경 보다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테일 트림(10)의 내주면과 테일 파이프(30)의 외주면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노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llow of the tail trim 10 is formed to have a sufficient size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ail pipe 30, an exposure space is inevitably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il trim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il pipe 30. Can be.

상기에서 가림판(50)은 테일 파이프(30)를 통해 배출되며 테일 트림(10)과 테일 파이프(30) 사이의 노출 공간으로 역류되는 배기 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shield plate 50 is discharged through the tail pipe 30 to prevent the exhaust gas flowing back into the exposed space between the tail trim 10 and the tail pipe 30 to be introduced into the room.

상기 가림판(50)은 테일 파이프(30)에 끼워지며 고정되는 대략 원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가림판(50)은 테일 트림(10)의 테일 파이프(30)가 삽입되는 단부(이하에서는 편의 상 "테일 트림의 파이프 삽입단" 이라고 한다)와 일정 간격을 두고 테일 파이프(30)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The shield plate 50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circular plate that is fitted to and fixed to the tail pipe 30. In this case, the shielding plate 50 has a tail pipe 30 spaced apart from an end portion at which the tail pipe 30 of the tail trim 10 is inser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ipe insertion end of the tail trim” for convenience). It can be fixedly installed on.

상기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배기 장치(100)는 차량의 고속 주행 시, 가림판(50)에 공기의 유동이 방해되어 와류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배기 가스가 테일 트림(10)과 테일 파이프(30) 사이의 노출 공간으로 확산되면서 리어 범퍼(3)와 차체 판넬 내측을 통해 배기 가스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In the vehicle exhau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low of air is interrupted in the screening plate 50 to generate vortices when the vehicle travels at a high speed, the exhaust gas is a tail trim 10. As it diffuses into the exposed space between the tail pipe 30 and the tail pipe 30, exhaust gas may be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rear bumper 3 and the vehicle body pane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배기 장치(100)는 차량의 고속 주행 시 가림판(50)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방해되어 배기 가스가 테일 트림(10)과 테일 파이프(30) 사이의 노출 공간으로 확산되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In the vehicle exhau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of air is disturbed by the screen plate 50 when the vehicle travels at high speed, so that the exhaust gas is exposed between the tail trim 10 and the tail pipe 30. It is made as a structure that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room while being diffused into the spac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배기 장치(100)는 가림판(50)에 차량의 주행 시 공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동홀(51)을 구성하고, 그 공기 유동홀(5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랩부재(70)를 포함하고 있다.To this end, the vehicle exhaus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air flow hole 51 through which air passes when the vehicle travels on the shield plate 50, and the air flow hole ( The flap member 70 which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51 is included.

상기에서 공기 유동홀(51)은 가림판(50)에 있어 테일 파이프(30)의 외측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air flow hole 51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outer side of the tail pipe 30 in the shielding plate (5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랩부재(70)는 차량의 고속 주행 시 공기의 유동 저항에 의해 공기 유동홀(5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공기 유동홀(51)을 막으며 가림판(50)에 설치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p member 7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air flow hole 51 by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during high-speed running of the vehicle, blocking the air flow hole 51 and the screen plate ( 50) can be installed.

이러한 플랩부재(70)는 공기의 저항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가림판(50)의 공기 유동홀(51)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유연성을 지닌 내열 고무 소재의 패드로 이루어진다.The flap member 70 is made of a pad of a heat-resistant rubber material having flexibility to open and close the air flow hole 51 of the shielding plate 50 whil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resistance of the air.

여기서, 상기 플랩부재(70)의 내열 고무 소재는 배기 가스의 열에 변형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 배기 가스의 다양한 온도에 따라 그 재질의 조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특정한 소재로 한정하지 않는다.Here, the heat-resistant rubber material of the flap member 7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deformed by the heat of the exhaust gas,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 may vary depending on the various temperatures of the exhaust gas, so that in an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상기와 같은 플랩부재(70)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랩부재(70)는 도 4에서와 같이, 마감판(71)과 손잡이부(73)를 포함하는 바, 마감판(71)은 원형의 패드 형태로서 공기 유동홀(51)을 막는 기능을 한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lap member 70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the flap member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including a closing plate 71 and the handle portion 73 Bar and the closing plate 71 is in the form of a circular pad serves to block the air flow hole (51).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73)는 가림판(50)에 대하여 플랩부재(70)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마감판(71)과 일체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73 is for easily installing the flap member 70 with respect to the shielding plate 50, it is connected integrally with the closing plate (71).

따라서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73)를 잡은 상태에서 플랩부재(70)를 가림판(50)에 장착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or or the user can mount the flap member 70 to the shielding plate 50 while holding the handle portion (73).

여기서, 상기 플랩부재(70)는 후면 즉, 공기 유동홀(51)을 막는 마감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후크 돌기들(75)을 포함하고 있다.Here, the flap member 70 includes a plurality of hook protrusions 75 formed on a rear surface, that is, a closing surface blocking the air flow hole 51.

상기 후크 돌기들(75)은 마감판(71)에서 공기 유동홀(51)의 가장자리 측에 형성된 고정홈(55)에 끼워지며 결합되는 것으로, 손잡이부(73)와 마감판(7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hook protrusions 75 are fit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55 formed at the edge of the air flow hole 51 in the closing plate 71, between the handle portion 73 and the closing plate 71. Can be formed.

그리고, 상기 플랩부재(70)의 전면에서 손잡이부(73)와 마감판(71) 사이에는 한 쌍의 리브(77)가 형성되는 바, 상기 리브(77)는 손잡이부(73)와 마감판(71)의 연결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 pair of ribs 77 are formed between the handle portion 73 and the closing plate 71 at the front surface of the flap member 70, and the ribs 77 have the handle portion 73 and the closing plate. It is for preventing the connection part of 71 from being deform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장치(100)에 의하면, 테일 트림(10)의 파이프 삽입단에 대응하여 테일 파이프(30)에 가림판(50)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차량의 저중속 주행이나 정차 시 테일 트림(10)의 내외부 압력 차에 의해 배기 가스가 테일 트림(10)과 테일 파이프(30) 사이의 노출 공간으로 역류되면서 실내(차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vehicle exhau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hielding plate 50 is provided in the tail pipe 30 corresponding to the pipe insertion end of the tail trim 10. The exhaust gas flows back into the exposed space between the tail trim 10 and the tail pipe 30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s of the tail trim 10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t low speed or stops. can do.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랩부재(70)는 가림판(50)에 대하여 공기의 유동 저항이 비교적 작으므로, 마감판(71)에 의해 가림판(50)의 공기 유동홀(51)을 폐쇄한 상태에 있다(도 3 참조).At this time, since the flap member 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small flow resistance of air with respect to the shielding plate 50, the air flow hole 51 of the shielding plate 50 by the closing plate 71. ) Is in a closed state (see FIG. 3).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랩부재(70)는 차량의 고속 주행 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공기가 차량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유동하기 때문에(도면에 점선 화살표로 표시), 공기의 유동 저항에 의해 마감판(71)이 탄성 변형되면서 공기 유동홀(51)을 개방한다.On the other hand, the flap member 7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air flows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to the rear as shown in Figs. The closing plate 71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flow resistance to open the air flow hole 51.

여기서, 상기 플랩부재(70)는 마감판(71)이 손잡이부(73)에 연결된 상태로 그 손잡이부(73)와 마감판(71) 사이의 후크 돌기(75)로서 가림판(50)에 고정되므로, 공기의 유동 저항에 의해 마감판(71)이 들어올려지며 공기 유동홀(51)을 개방할 수 있다. Here, the flap member 70 is a hook projection 75 between the handle portion 73 and the closing plate 71 in the state that the closing plate 71 is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73 to the shielding plate 50. Since it is fixed, the closing plate 71 is lifted by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can open the air flow hole (51).

그리고, 플랩부재(70)의 전면에는 손잡이부(73)와 마감판(71) 사이에 한 쌍의 리브(7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감판(71)의 손잡이부(73)에 연결된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air of ribs 77 are formed between the handle portion 73 and the closing plate 71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lap member 70, a portion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73 of the closing plate 71. Thi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고속 주행 시 전방에서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마감판(71)에 의해 방해되지 않고 공기 유동홀(51)을 통해 테일 트림(10)과 테일 파이프(30) 사이의 노출 공간으로 유입되며, 배기 가스(도면에 실선 화살표로 표시)와 함께 테일 트림(10)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low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during the high speed driving of the vehicle is not hindered by the closing plate 71 and the tail trim 10 and the tail pipe 30 through the air flow hole 51. It is introduced into the exposed space between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tail trim 10 together with the exhaust gas (indicated by the solid arrow in the figure).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고속 주행 시 공기가 가림판(50)의 공기 유동홀(51)을 통과하면서 가림판(50)에 의한 공기의 와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배기 가스가 테일 트림(10)과 테일 파이프(30) 사이의 노출 공간으로 확산되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lows through the air flow hole 51 of the shielding plate 50 while the vehicle travels at a high speed, thereby suppressing the vortex generation of the air by the shielding plate 50. As it diffuses into the exposed space between the tail trim 10 and the tail pipe 30, it may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roo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테일 트림(10)과 테일 파이프(30) 사이의 노출 공간으로 공기를 유도하므로, 검은 배기 가스를 배출하지 않게 되고, 테일 트림(10)에서 배기 가스와의 온도차에 의한 응축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리어 범퍼(3) 또는 테일 트림(10)의 주위에 그을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air is guided to the exposed space between the tail trim 10 and the tail pipe 30, the black exhaust gas is not discharged, and the tail trim 10 has a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exhaust ga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condensed water, and to prevent soot from being generated around the rear bumper 3 or the tail trim 10.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이 중저속으로 주행하거나 정차할 경우, 플랩부재(70)는 자체의 탄성력으로 마감판(71)이 복원되면서 가림판(50)의 공기 유동홀(51)을 폐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travels or stops at a low to medium speed in the above state, the flap member 70 closes the air flow hole 51 of the shielding plate 50 while the closing plate 71 is restored by its elastic force. can do.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머플러 3... 리어 범퍼
10... 테일 트림 11... 어퍼 트림
12... 로어 트림 30... 테일 파이프
50... 가림판 51... 공기 유동홀
55... 고정홈 70... 플랩부재
71... 마감판 73... 손잡이부
75... 후크 돌기 77... 리브
1 ... muffler 3 ... rear bumper
10 ... tail trim 11 ... upper trim
12 ... lower trim 30 ... tail pipe
50 ... blind plate 51 ... air flow hole
55. Retaining groove 70 ... Flap member
71. Finishing plate 73 ... Handle
75 ... hook turning 77 ... rib

Claims (7)

차량의 리어 범퍼에 설치되는 테일 트림;
머플러에 연결되며 배기 가스를 배출하고, 상기 테일 트림으로 배기 가스의 배출단이 삽입되는 테일 파이프;
상기 테일 파이프에 설치되며 상기 테일 파이프와 테일 트림 사이의 노출 공간을 막고, 차량의 주행 시 공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동홀이 구비된 가림판; 및
상기 가림판에 설치되며, 공기의 저항에 의해 상기 공기 유동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랩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플랩부재는 상기 공기 유동홀을 막는 마감판과, 상기 가림판에 끼워지며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 돌기와, 상기 마감판과 일체로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랩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손잡이부와 마감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마감판의 연결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 장치.
A tail trim installed on the rear bumper of the vehicle;
A tail pipe connected to a muffler and discharging exhaust gas and into which the exhaust end of the exhaust gas is inserted into the tail trim;
A shielding plate installed on the tail pipe and blocking an exposed space between the tail pipe and the tail trim and having at least one air flow hole through which air passes when the vehicle is driven; And
The flap member is installed on the shielding plate, and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air flow hole by air resistance.
Including;
The flap member includes a closing plate which blocks the air flow hole, at least one hook protrusion fitted to and coupled to the shielding plate, and a handle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ing plate,
At least one rib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lap member between the handle and the closing plate to preven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closing plate is deform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재는 공기의 저항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공기 유동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량용 배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ap member is a vehicle exhaust devic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air flow hole whil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resistance of the ai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재는 유연성을 지닌 내열 고무 소재의 패드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배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ap member is a vehicle exhaust device made of a pad of a heat-resistant rubber material having flexibil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돌기는 상기 플랩부재의 후면에서 손잡이부와 마감판 사이에 형성되는 차량용 배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ok protrusion is a vehicle exhaust device formed between the handle portion and the closing plate in the back of the flap member.
KR1020110127966A 2011-12-01 2011-12-01 Exhaust device for vehicle KR1013600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966A KR101360041B1 (en) 2011-12-01 2011-12-01 Exhaust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966A KR101360041B1 (en) 2011-12-01 2011-12-01 Exhaust devic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580A KR20130061580A (en) 2013-06-11
KR101360041B1 true KR101360041B1 (en) 2014-02-10

Family

ID=48859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966A KR101360041B1 (en) 2011-12-01 2011-12-01 Exhaust devic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0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1512B1 (en) 2015-07-24 2016-09-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ffler shell body with integral aerodynamic shield
US11959406B2 (en) * 2020-12-30 2024-04-16 Ferrari S.P.A. Car provided with an exhaust system with aerodynamic effec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764U (en) * 1998-05-19 1999-12-27 배길훈 Temperature control door for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50033724A (en) * 2003-10-07 200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tail-trim structure in a car
KR20070029567A (en) * 2005-09-09 2007-03-14 이턴 코포레이션 Two-piece valv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764U (en) * 1998-05-19 1999-12-27 배길훈 Temperature control door for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50033724A (en) * 2003-10-07 200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tail-trim structure in a car
KR20070029567A (en) * 2005-09-09 2007-03-14 이턴 코포레이션 Two-piece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580A (en)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2713B1 (en) Vehicle exhaust system support structure
CN101121381B (en) Automobile rear structure
CA2675005A1 (en) Automotive vehicle having engine air guide passage
JP2004278519A (en) Muffler having variable damping characteristic
JP2009108850A (en) Exhaust-gas purification device disposition structure of vehicle
KR100335871B1 (en) Automotive bumper and muffler combination
ITRM20000067A1 (en) MOTOR VEHICLE OPEN.
JP5267089B2 (en) Exhaust system cooling structure
KR101360041B1 (en) Exhaust device for vehicle
KR200459849Y1 (en) Exhaust device for vehicle
EP2205479B1 (en) Bonnet with integrated air duct
US20110253090A1 (en) Air purifier having resonator installed in the air outlet
US8683792B2 (en) Burnt gas exhaust pipe extender
JP2019043274A (en) Rear part structure of rear engine vehicle
US8997922B1 (en) Exhaust muffler for vehicle
KR100877857B1 (en) Exhaust pipe connecting structure in vehicle
KR100981980B1 (en) Muffler moudle
KR200165834Y1 (en) Canister structure
KR20030072987A (en) automobile interior room ventilator structure
KR200266934Y1 (en) Vehicle exhaust filter
WO2020067415A1 (en) Exhaust structure and vehicle
KR100726729B1 (en) Ventilating apparatus of the rear bumpur using the under cover
CN108223198B (en) Device for reducing fuel evaporation gas using closable path structure
JP2010030327A (en) Automobile hood structure
KR101349410B1 (en) Trunk plug for preventing exhaust gas inflow into room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