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740B1 - 컴퓨터 케이스 - Google Patents

컴퓨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740B1
KR101359740B1 KR1020130115045A KR20130115045A KR101359740B1 KR 101359740 B1 KR101359740 B1 KR 101359740B1 KR 1020130115045 A KR1020130115045 A KR 1020130115045A KR 20130115045 A KR20130115045 A KR 20130115045A KR 101359740 B1 KR101359740 B1 KR 101359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surface
graphics card
case
space
compu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5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종
Original Assignee
정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종 filed Critical 정현종
Priority to KR1020130115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컴퓨터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는 계단 형상으로 복층 구조를 이루되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는 상부 설치면 및 하부 설치면을 가지며, 상부 설치면과 하부 설치면이 지면과 이루는 공간에 의하여 키보드를 실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메인보드와 그래픽 카드는 모두 수평으로 설치되되 팬과 방열판이 저면을 향하도록 거꾸로 뒤집혀 설치된다. 이때, 팬과 방열판은 하부 설치면에 형성된 저면 흡기구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저면 흡기구로부터 유입된 냉각기류가 팬으로 직접 유입된다. 팬과 방열판을 지나면서 데워진 기류는 저면 흡기구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된 토출구를 통해 컴퓨터 케이스 외부로 토출된다.

Description

컴퓨터 케이스{COMPUTER CASE}
본 발명은 컴퓨터 케이스 기술분야에 속한다.
데스크탑 컴퓨터 케이스는 다양한 사이즈와 규격의 부품들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회로 기판과 하우징이 동시에 컴팩트하게 설계되는 노트북 컴퓨터와는 달리 내부 공간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방열구조의 측면에서 보자면 타워 구조의 컴퓨터 케이스들은 외부에서 찬공기가 유입하여 CPU 또는 GPU와 같은 발열대상에 도달하기 전까지 내부의 더운 공기와 혼합되어 유입시보다 5도 이상 상승하기도 하며, 이러한 온도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고성능의 방열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공지기술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의 방열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컴퓨터 케이스의 여러 방향에서 유입된 기류는 내부에서 방향성 없이 혼합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데스크탑 컴퓨터 본체의 소형화 슬림화 추세에 따라 슬림 케이스에서부터 모니터와 본체를 통합한 일체형 컴퓨터까지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슬림 케이스 또는 일체형 컴퓨터의 경우 협소한 내부 공간으로 인하여 내부 기온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등 낮은 방열 성능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또한 부품의 호환성이 떨어져 사용자가 원하는 사양, 성능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에,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기성의 데스크탑 부품들을 범용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소형의 슬림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컴퓨터 케이스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슬림 케이스의 낮은 냉각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방열 구조의 개발이 필요하다.
문헌 1. 미국 특허 제6,122,166호 "PERSONAL COMPUTER COOLING DEVICE HAVING HINGED HEAT PIPE"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66228호 "키보드 수납장치"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2816호 "살균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케이스" 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7661호 "키보드, 마우스, 휴대폰 살균 기능을 갖는 모니터 및키보드용 수납 지지대" 문헌 5.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301017호 "키보드 부착식 컴퓨터 케이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기성의 부품들을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되, 공간절약이 가능한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간절약형 슬림 케이스이면서도 냉각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열 구조를 갖는 컴퓨터 케이스의 제공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의 일 측면은,
케이스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되, 메인보드 또는 그래픽카드가 저측 방향을 향해 설치되는 하부 설치면;
상기 하부 설치면에 메인보드 또는 그래픽 카드의 냉각팬의 크기에 해당하는 영역만큼 다수의 개구부가 천공됨으로써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저면 흡기구;
상기 하부 설치면에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지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하부 설치면이 지면으로부터 키보드의 높이 이상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
상기 케이스의 배면을 이루되, 메인보드 또는 그래픽 카드를 지지하는 브라켓 또는 브라켓 지지수단이 구비되는 백패널부; 및
상기 하부 설치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지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키보드 삽입공간부;를 구비하되,
상기 백패널부에 구비되는 브라켓 또는 브라켓 지지수단은 메인보드 또는 그래픽 카드가 저면을 향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케이스의 상기 하부 설치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가운데 적어도 한 면에, 상기 저면 흡기구보다 높은 위치에 다수의 개구부가 천공됨으로써 형성되는 토출구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의 다른 측면은,
케이스의 상면을 이루는 모니터 받침면;
상기 모니터 받침면의 전면 끝단으로부터 저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전면패널부;
상기 전면패널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상부 설치면;
상기 상부 설치면으로부터 저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하부 전면부;
상기 하부 전면부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하부 설치면;
상기 상부 설치면 및 하부 설치면에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지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상부 설치면과 하부 설치면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
상기 상부 설치면과 하부 설치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지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키보드 삽입공간부; 및
상기 케이스의 배면을 이루되, 메인보드 또는 그래픽 카드를 지지하는 브라켓이 구비되는 백패널부;를 구비하되,
상기 상부 설치면에는 기록장치의 설치를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하부 설치면에는 메인보드 또는 그래픽카드의 설치를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할 때, 기성의 부품들을 범용적으로 사용하면서도 공간절약이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공간절약형 슬림 케이스이면서도 충분한 냉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공지기술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의 방열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에 모니터를 적층하고, 키보드를 저면공간에 실장하는 모습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의 외형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의 방열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와류 차단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 내부에 메인보드 등의 구성품이 설치된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에 모니터를 적층하고, 키보드를 저면공간에 실장하는 모습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100)는 공지의 모니터 받침대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저면에는 키보드를 수납할 수 있는 키보드 삽입공간부(190)가 형성되며, 상면은 모니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지면과 평행한 평면이 구비된다.
특히, 전면에서 바라볼 때에 광학드라이브의 두께보다 근소하게 두꺼운 정도의 박형 구조를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학드라이브, 3.5인치 또는 2.5인치 데스크탑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대형 방열판과 팬이 구비된 메인보드와 비디오 카드, 대용량 파워서플라이와 같은 데스크탑용 부품들을 이와 같은 구조의 컴퓨터 케이스 내부의 소정 위치에 체결하고 조립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의 관점에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 매우 얇은 케이스 두께에도 불구하고 노트북용이 아닌 데스크탑용 메인보드와 그래픽 카드를 모두 삽입하여 설치하고, 기성의 파워 서플라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할 것.
둘째, 부품 간 간격이 좁아 방열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열 설계.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100)는 이러한 두 가지의 관점에서 설계된 것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각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의 외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컴퓨터 케이스(100)를 윗쪽에서, 도 3(b)는 컴퓨터 케이스(100)를 아래쪽에서, 도 3(c)는 컴퓨터 케이스(100)를 뒤에서 각각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100)는 서로 평행한 상부 설치면(120)과 하부 설치면(140)이 층을 이루며 구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케이스(100)를 비스듬하게 위에서 바라볼 때에는 하부 설치면(140)과 하부 설치면(140)의 전면으로 수직방향으로 꺽인 부분인 하부 전면부(150)가 시야에서 사라지며, 전면패널부(130)만이 시야에 들어온다.
이러한 까닭에 마치 노트북 컴퓨터처럼 매우 슬림해 보이는 인상을 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우선 케이스(100)의 상면을 이루는 모니터 받침면(110)이 구비된다.
모니터 받침면(110)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로 제조되며 굴곡이 없는 평판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니터 받침면(110)의 전면 끝단으로부터 저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전면패널부(130)가 구비된다.
전면패널부(130)로는 광학드라이브, 메모리카드 리더 등 외부로 노출이 필요한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패널부(13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되,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장되는 부품의 규격별로 다수 개가 미리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광학드라이브의 사용유무, 광학드라이브의 종류, 기타 전면부로 노출이 필요한 주변기기의 사용여부에 따라서 적당한 전면패널부(130)를 선택하여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a) 및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부(130)로부터 케이스(100)의 배면 방향으로 상부 설치면(120)이 소정길이 연장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설치면(120)으로부터 저측 방향으로 하부 전면부(150)가 소정길이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하부 전면부(150)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하부 설치면(140)이 소정길이 연장되어 구비된다.
즉, 전면 패널부(130)는 케이스(100)의 최전면을 구성하며, 하부 전면부(150)는 케이스(100)의 아래쪽 내측에 상기 전면 패널부(130)와 평행하게 구비되어 사용시 시야에서 가려진다.
모니터 받침면(110), 상부 설치면(120)과 하부 설치면(140)은 서로 평행하되, 하부 설치면(140)이 모니터 받침면(110)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부 설치면(120)과 하부 설치면(140)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단구조, 복층구조를 형성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상부 설치면(120)과 모니터 받침면(110)의 사이에 다소 협소한 공간과 그 뒤쪽으로 하부 설치면(140)과 모니터 받침면(110) 사이의 공간이 형성된다.
메인보드의 방열판과 팬, 그래픽 카드의 방열판과 팬, 3.5인치 하드디스크와 같이 다소 두꺼운 부품들은 하부 설치면(140)과 모니터 받침면(11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두께가 얇은 메인보드의 일 부분, 슬림형 광학드라이브는 상부 설치면(120)과 모니터 받침면(110)의 사이 공간에 실장될 수 있다.
그런데, 도 2 및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내부 공간은 배면 방향으로 갈수록 아래쪽 방향으로 공간이 넓어지지만 기존의 일반 PC z케이스에 비할 때 내부 공간이 절대적으로 협소하기 때문에 원활한 냉각기류를 만들기가 매우 까다롭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대로 메인보드와 그래픽카드를 설치한다면 컴퓨터 케이스가 기존의 부피가 큰 케이스와 같은 형상을 갖게 되며, 메인보드와 비디오카드를 분리하여 설치한다고 하여도 통상적인 메인보드 설치 방식대로 할 경우 cpu와 비디오카드의 냉각을 위한 급기구가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각 발열부를 냉각하고 더워진 공기가 부력에 의하여 상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냉각을 위한 흡입 기류에 더워진 배출공기가 혼합되어 주변공기보다 온도가 상승한 공기로 냉각을 해야 하며 또한 모니터 받침대로 인해 흡입기류가 방해받게 된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의 냉각에 있어서는 냉각을 위한 흡입공기와 냉각 후 배기되는 배기기류의 혼합을 방지하고 냉각기류가 원활한 흐름을 갖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 조립PC용 케이스의 메인보드의 설치 방법과 달리 메인보드를 뒤집어서 설치하고, CPU 냉각을 위한 냉각기의 공기 흡입구를 하부로 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뿐만 아니라, 그래픽 카드를 메인보드의 PCI Express와 같은 규격의 슬롯에 삽입하여 설치할 경우 마찬가지로 상당한 정도의 높이가 확보되어야 하는 관계로, 별도의 연장 케이블을 이용하여 메인보드와 평행하게 설치한다.
이때, 그래픽 카드 역시 뒤집어서 방열판과 팬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케이스(100)의 배면에 해당하는 백패널부(180)에는 메인보드 및 그래픽 카드를 지지하는 브라켓 또는 브라켓 지지수단이 구비되는데,
이때 메인보드와 그래픽 카드를 뒤집어서 팬과 방열판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브라켓에 의해 메인보드를 고정하거나 또는 그래픽 카드의 브라켓을 고정하여 정확한 위치와 각도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모니터 받침면(110)의 내측면 등에 메인보드와 그래픽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체결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설치면(120)과 하부 설치면(140)에 의해 계단 형상으로 층을 이루는 공간 내부에 메인보드와 그래픽 카드를 뒤집어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와 같이 협소한 공간 내부에 메인보드와 그래픽 카드를 설치할 경우, 냉각을 위한 충분한 공기의 유동량이 확보되지 않으며, 케이스(100) 내부에서 더워진 공기가 서로 혼합되면서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저면으로부터 차가운 공기를 유입시켜 방열판을 거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데워진 공기는 위쪽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유동경로를 설계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의 방열 방식을 설명한다.
찬 공기가 케이스(100)의 저면부로부터 유입되어 케이스 내부에서 데워진 다음, 케이스의 전면, 측면, 배면의 토출구로 토출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방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100)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갖는다.
1. 냉각기류 흡입구의 저면 배치
컴퓨터 케이스(100)의 주위 온도는 위쪽으로 갈수록 올라가며,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찬 공기가 존재한다. 따라서, 방열 효율의 증대를 위하여 냉각기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컴퓨터 케이스(100)의 저면에 해당하는 하단 설치면(140)에 다수개의 개구부를 천공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저면 흡기구(141)를 구비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한 쌍의 저면 흡기구(141)가 구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저면 흡기구(141)는 적어도 메인보드와 그래픽 카드의 냉각팬의 크기와 비슷한 정도의 면적을 가지며, 대응대는 위치에 구비된다.
메인보드 폼팩터에 따라서 CPU 또는 GPU가 설치되는 위치가 정해지며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저면 흡기구(141)가 구비되는 것이다.
2. 냉각기류 유입을 위한 충분한 공간 이격
컴퓨터(100)의 저면부로부터 찬 공기가 유입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방열 효과가 크게 낮아질 수 밖에 없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주변부 저면으로부터 냉각기류가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저면 흡기구(141)가 지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도록 한다.
측면 지지부(160)는 모니터 받침면(110), 상부 설치면(120), 하부 설치면(140)에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지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상부 설치면(120)과 하부 설치면(140)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한다.
특히, 하부 설치면(140)의 저면 흡기구(141)가 저면으로부터 충분한 공간을 두고서 이격될 수 있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하부 설치면(140)과 저면 사이의 공간(및 상부 설치면(120)과 저면 사이의 공간)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키보드를 넣어 보관하기 위한 키보드 삽입 공간부(190)를 형성하는데,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에는 키보드를 꺼내기 때문에 해당 공간으로 냉각기류가 용이하게 유입되어 컴퓨터의 사용에 따른 발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해당 공간에 키보드를 삽입하면 냉각기류의 유입이 키보드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나, 키보드가 상부에 밀착되지 않는 관계로 키보드 삽입 공간부(190)에 유입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큰 냉각성능 저하는 발생하지 않는다.
3. 흡입구보다 높은 토출구의 위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내부에서 데워진 공기는 위쪽을 향하여 토출된다.
이는 토출된 공기가 도로 컴퓨터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컴퓨터 케이스(100)의 측면에 측면 토출구(162), 상기 하부 전면부(150)에 하부 전면 토출구(151), 백패널부(180)에 배면 토출구(181)가 각각 구비된다. 이들 토출구는 다수의 개구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저면 흡기구(141)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다.
저면 흡기구(141)를 통해 유입되어 데워진 공기는 부력에 의해 위로 상승하며 이들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토출된다.
또한, 토출된 고온의 공기는 컴퓨터 케이스(100)의 상부를 향해 이동하므로 저면 흡기구(141)를 통해 도로 유입되는 양은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다.
4. 흡기구와 팬의 밀착 구조
공지의 컴퓨터 케이스의 경우, 기류의 유동방향에 대한 고려 없이 단순히 컴퓨터 내부의 공기가 팬으로 유입되고 빠져나가는 것을 반복하며 케이스 내부에서 섞이기 때문에 방열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다.
방열효율의 향상을 위해서는 유입되는 냉각기류가 섞이지 않고 직접 팬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저면 흡기구(141)는 저면을 향해 거꾸로 설치된 메인보드의 방열판과 팬, 저면을 향해 거꾸로 설치된 그래픽 카드의 방열판과 팬의 위치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저면 흡기구(141)로 유입되는 냉각기류가 메인보드나 그래픽 카드의 팬으로 직접 유입될 수 있게 된다.
5. 와류 차단을 위한 구조
공지의 컴퓨터 케이스 튜닝 제품 가운데, 컴퓨터 케이스의 측면부에 인테이크 덕트를 설치하거나, 측면부를 절개하여 대형 인테이크를 냉각용 팬의 전면에 부착하는 것이 있다.
인입되는 기류를 보다 직접적으로 팬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조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제품은 팬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서 인테이크의 설치 위치와 방향이 달라져야 하므로 범용성이 떨어지며, 무엇보다 컴퓨터 케이스의 측면부를 절개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100)의 경우, 저면 흡기구(141)로 유입되는 냉각기류가 메인보드나 그래픽 카드의 방열판, 그리고 방열판 중심부의 팬으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와류차단부재(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와류차단부재(10)는 냉각용 팬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와류에 의하여 뜨거워진 기류가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와류 차단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와류차단부재(10)는 상기 메인보드 또는 그래픽카드의 팬과 저면 흡기구(141)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와류차단부재(10)는 저면 흡기구(141)와 상기 메인보드 또는 그래픽카드의 냉각팬의 사이 공간을 메우는 탄성재질의 밀폐부재(11)와 냉각팬의 크기에 맞추어 개구부를 절취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절취 점선이 형성된 필름(12)으로 이루어진다.
밀폐부재(11)는 스폰지 등 탄성을 갖는 재질을 가지며, 가운데 부분을 개구하여 저면 흡기구(141)를 통해 유입되는 기류가 팬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밀폐부재(11)는 방열판 및 냉각팬과 저면 흡기구(14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입된 냉각기류가 컴퓨터 케이스(100) 내부에서 확산되는 것을 막고, 팬으로 직접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팬이 방열판의 중심부에 함몰되어 구비되는 형태인 경우 더욱 밀폐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필름(12)은 다수의 원형 절취 점선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팬의 크기에 맞는 절취 점선을 따라 잘라낸다.
즉, 필름(12)에 의하여 저면 흡기구(141)가 절취 점선을 따라 잘라낸 영역 - 즉, 팬의 크기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저면 흡기구(141)로 유입되는 냉각기류가 확산되지 않고 팬으로 직접 유입될 수 있도록 경로를 직접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메인보드 또는 그래픽 카드 방열판에 구비된 팬이 동작함에 따라 팬의 흡입구 부분은 음압이 형성되고 컴퓨터 케이스(100) 내부는 양압으로 유지된다.
필름(12)은 컴퓨터 케이스(100)의 내부 저면 흡기구(141) 영역에 양압구간이 발생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뜨거워진 공기가 컴퓨터 케이스(100) 외부의 저면 흡기구(141)를 통하여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각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6. 양흡입 원심팬
메인보드와 그래픽 카드를 직교하는 형태로 설치하는 대신 별도의 연장 케이블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메인보드의 방열판과 그래픽 카드의 방열판의 사이 공간으로 데워진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데, 이들은 서로 혼합되어 내부 기온 상승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메인보드와 그래픽 카드의 가운데에 양흡입 원심팬(20)을 설치한다.
양흡입 원심팬(20)은 바람직하게는 백패널부(180)의 배면 토출구(181)에 접하며, 그래픽 카드와 메인보드 양측으로부터 흡입한 기류를 컴퓨터 케이스(100)의 외부로 토출한다.
공지의 컴퓨터 케이스의 경우에는 기류의 유동방향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서 오로지 유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대형 팬을 달고, 케이스 내부 공간을 크게 설계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상기와 같은 몇 가지의 특징적인 요소들에 의하여 컴퓨터 케이스(100)를 설계함으로써 케이스를 초박형으로 하고, 고발열량의 데스크탑용 부품을 그대로 쓰면서도, 충분한 방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100)의 내부에 각 부품들의 배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케이스 내부에 메인보드 등의 구성품이 설치된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측면 지지부(160)의 내측면이 상기 하부 설치면(140)의 좌우측 끝단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됨으로써 측면 공간부(161)를 형성한다.
측면 공간부(161)는 바람직하게는 2.5인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세로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하기 위한 공간에 해당한다.
한편, 배면 공간부(170)는 상기 백패널부(180)의 내측으로 상기 하부 설치면(140)의 일측 배면부위를 절개하는 공간을 이룬다.
이러한 배면 공간부(17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TFX 파워서플라이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외장 어댑터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배면 공간부(170)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하부 설치면(140)에 ITX 폼팩터의 메인보드가 설치되며, 그 오른쪽에 그래픽 카드가 상기 메인보드와 평행하게 설치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광학드라이브는 상부 설치면(120)에, 그리고 그 아래에 3.5인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하부 설치면(140)에 설치된다.
도 4 또는 도 7의 예에서는 측면 지지부(160)는 컴퓨터 케이스(100)의 좌우측면을 이루며, 평판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심미감을 형성하기 위하여 측면의 일부를 천공하여 하부 설치면(140) 아래의 키보드 삽입 공간부(190) 까지 이어지도록 하는 등의 변형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측면 지지부(160)의 앞 부분이 케이스(100) 전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절곡할 수도 있다.
도 3의 (b)에 의할 때 이와 같이 측면 지지부(160)의 앞부분을 절곡함으로써 전방 절곡부(163)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방 절곡부(16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케이스(100)를 설치하여 사용할 때에, 전면 또는 측면방향에서 비스듬히 바라보았을 때 더욱 슬림해 보이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USB 단자나 리셋버튼, 오디오 인, 아웃 단자를 전방 절곡부(163)에 실장함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키며, 외부기기를 연결할 때 직각 형태로 단자를 실장하는 것에 비하여 육안으로 단자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 케이스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00 : 컴퓨터 케이스
110 : 모니터 받침면
120 : 상부 설치면
130 : 전면패널부
140 : 하부 설치면
141 : 저면 흡기구
150 : 하부 전면부
151 : 하부 전면 토출구
160 : 설치면 지지부
161 : 측면 공간부
162 : 측면 토출구
163 : 전방 절곡부
170 : 배면 공간부
180 : 백패널
181 : 배면 토출구
182 : 양흡입 원심팬 토출구
190 : 키보드 삽입 공간부
10 : 와류차단부재
11 : 밀폐부재
12 : 필름
20 : 양흡입 원심팬

Claims (7)

  1. 케이스(100)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되, 메인보드 또는 그래픽카드가 저측 방향을 향해 설치되는 하부 설치면(140);
    상기 하부 설치면(140)에 메인보드 또는 그래픽 카드의 냉각팬의 크기에 해당하는 영역만큼 다수의 개구부가 천공됨으로써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저면 흡기구(141);
    상기 하부 설치면(140)에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지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하부 설치면(140)이 지면으로부터 키보드의 높이 이상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160);
    상기 케이스(100)의 배면을 이루되, 메인보드 및 그래픽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브라켓 또는 브라켓 지지수단이 구비되는 백패널부(180); 및
    상기 하부 설치면(14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지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키보드 삽입공간부(190);를 구비하되,
    상기 백패널부(180)에 구비되는 브라켓 또는 브라켓 지지수단은 메인보드 또는 그래픽 카드가 저면을 향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케이스(100)의 상기 하부 설치면(140)을 제외한 나머지 면 가운데 적어도 한 면에, 상기 저면 흡기구(141)보다 높은 위치에 다수의 개구부가 천공됨으로써 형성되는 토출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패널부(180)에 구비되는 브라켓 또는 브라켓 지지수단은 메인보드 및 그래픽 카드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평행하게 저측을 향하여 설치되도록 고정하여 지지하며,
    상기 백패널부(180)에는 메인보드 및 그래픽 카드의 설치공간 가운데 다수의 개구부가 천공되어 형성되는 배면 토출구(181);가 더 구비되며,
    상기 하부 설치면(140)의 메인보드와 그래픽카드 설치 부위의 가운데 양흡입 원심팬(20)이 구비되되,
    상기 양흡입 원심팬(20)은 상기 배면 토출구(181)를 향해 흡입한 기류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 또는 그래픽카드의 냉각팬과 저면 흡기구(141)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와류차단부재(1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와류차단부재(10)는 저면 흡기구(141)와 상기 메인보드 또는 그래픽카드의 냉각팬의 사이 공간을 메우는 탄성재질의 밀폐부재(11); 및
    냉각팬의 크기에 맞추어 개구부를 절취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절취 점선이 형성된 필름(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160)의 내측면과 상기 하부 설치면(140)의 좌우 가운데 적어도 일측 끝단 사이의 이격되어 기록장치의 세로수납이 가능한 공간을 이루는 측면공간부(16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10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패널부(180)의 내측으로, 상기 하부 설치면(140)의 일측 배면부위를 절개하는 공간을 이루는 배면 공간부(17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100).
  6. 제 1 항에 있어서,
    모니터 받침면(110)의 전면 끝단으로부터 저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전면패널부(130);
    상기 전면패널부(130)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상부 설치면(120); 및
    상기 상부 설치면(120)으로부터 저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하부 전면부(150);을 더 구비하되,
    상기 하부 설치면(140)은 상기 하부 전면부(150)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100).
  7. 케이스(100)의 상면을 이루는 모니터 받침면(110);
    상기 모니터 받침면(110)의 전면 끝단으로부터 저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전면패널부(130);
    상기 전면패널부(130)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상부 설치면(120);
    상기 상부 설치면(120)으로부터 저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하부 전면부(150);
    상기 하부 전면부(150)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하부 설치면(140);
    상기 상부 설치면(120) 및 하부 설치면(140)에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지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상부 설치면(120)과 하부 설치면(140)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160);
    상기 상부 설치면(120)과 하부 설치면(14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지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키보드 삽입공간부(190); 및
    상기 케이스(100)의 배면을 이루되, 메인보드 또는 그래픽 카드를 지지하는 브라켓이 구비되는 백패널부(180);를 구비하되,
    상기 상부 설치면(120)에는 기록장치의 설치를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하부 설치면(140)에는 메인보드 또는 그래픽카드의 설치를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100).
KR1020130115045A 2013-09-27 2013-09-27 컴퓨터 케이스 KR101359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045A KR101359740B1 (ko) 2013-09-27 2013-09-27 컴퓨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045A KR101359740B1 (ko) 2013-09-27 2013-09-27 컴퓨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740B1 true KR101359740B1 (ko) 2014-02-06

Family

ID=5027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045A KR101359740B1 (ko) 2013-09-27 2013-09-27 컴퓨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7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365Y1 (ko) * 2014-06-30 2016-05-17 김상진 컴퓨터케이스
KR101855996B1 (ko) 2016-02-02 2018-05-09 박재성 슬림형 컴퓨터 본체
CN110338561A (zh) * 2019-07-05 2019-10-18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器增高台
WO2022021281A1 (zh) * 2020-07-31 2022-02-03 王思瑞 一种屏下桌面itx机箱及机箱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999A (ja) 2004-05-07 2005-11-17 Sony Corp 冷却用空気導入構造およびデスクトップコンピュータ
KR20090128667A (ko) * 2008-06-11 2009-12-16 (주)엘하이코 키보드, 마우스, 휴대폰 살균 기능을 갖는 모니터 및키보드용 수납 지지대
KR20110052187A (ko) * 2009-11-12 2011-05-18 (주)에스오에스 컴퓨터 모니터용 받침대
KR20110083814A (ko) * 2010-01-15 2011-07-21 (주)대우루컴즈 살균램프를 구비한 키보드 수납용 모니터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999A (ja) 2004-05-07 2005-11-17 Sony Corp 冷却用空気導入構造およびデスクトップコンピュータ
KR20090128667A (ko) * 2008-06-11 2009-12-16 (주)엘하이코 키보드, 마우스, 휴대폰 살균 기능을 갖는 모니터 및키보드용 수납 지지대
KR20110052187A (ko) * 2009-11-12 2011-05-18 (주)에스오에스 컴퓨터 모니터용 받침대
KR20110083814A (ko) * 2010-01-15 2011-07-21 (주)대우루컴즈 살균램프를 구비한 키보드 수납용 모니터 받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365Y1 (ko) * 2014-06-30 2016-05-17 김상진 컴퓨터케이스
KR101855996B1 (ko) 2016-02-02 2018-05-09 박재성 슬림형 컴퓨터 본체
CN110338561A (zh) * 2019-07-05 2019-10-18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器增高台
WO2022021281A1 (zh) * 2020-07-31 2022-02-03 王思瑞 一种屏下桌面itx机箱及机箱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1605B2 (en) Enclosure of electronic apparatus
US8416567B2 (en) Tower computer system
US8072753B2 (en) Computer system
JP4929377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電子機器
US8659891B2 (en) Heat dissipation system
KR101359740B1 (ko) 컴퓨터 케이스
US20080180910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767990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fin unit
US20070242428A1 (en) Structure for fixing fan with computer casing
WO2011147112A1 (zh) 一种计算机电源
TW202211751A (zh) 與電源供應器共用顯示器組裝支架而模組化的電腦機殼
US7580258B2 (en) Display apparatus
US2010021473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dissipating structure thereof
US20080062637A1 (en) Hard Disk Heat Dissipating Structure
CN104869790B (zh) 手持式电子装置的保护壳
CN201230436Y (zh) 散热装置组合
CN116113211A (zh) 监护仪
US788950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201538063A (zh) 電子裝置及其散熱風扇
CN200990035Y (zh) 计算机主机
US20120293957A1 (en) Heat dissipating system for computer
CN104375604A (zh) 电子装置
WO2011011909A1 (zh) 一体结构计算机及其主机箱
TWM377851U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dissipation structure thereof
JP2007058385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