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567B1 - 수류탄 브레이크 및 그 투척 방법 - Google Patents

수류탄 브레이크 및 그 투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567B1
KR101359567B1 KR1020130068041A KR20130068041A KR101359567B1 KR 101359567 B1 KR101359567 B1 KR 101359567B1 KR 1020130068041 A KR1020130068041 A KR 1020130068041A KR 20130068041 A KR20130068041 A KR 20130068041A KR 101359567 B1 KR101359567 B1 KR 101359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nade
safety
safety pin
grenades
thr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27/00Hand grenades
    • F42B27/08Hand grenades with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류탄 투척시에 수류탄이 굴러가 목표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기존의 수류탄에 제2안전핀(131), 제2안전핀 결합용 구멍(112), 제2걸림 고리(122), 스프링(123)을 부가하여 수류탄 투척 시 안전손잡이(120)가 신관(110)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전손잡이(120)가 개방된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류탄 브레이크 및 그 투척 방법{Brake of Hand Grenade}
본 발명은 수류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류탄이 투척지역으로부터 안전한 거리이상이 확보되었을 때에 폭발하도록 하는 수류탄에 관한 것이다.
수류탄은 투척수의 팔 힘에 의해 투척되는 무기로 투척수의 안전을 보장하고 표적까지 비행시간을 고려하여 살상반경이 좁고 지연 폭발하는 근접전투 무기이다. 따라서 투척수의 능력에 의해 수류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하지만 구조적인 제한사항이 있다면 결과는 달라진다. 현재 운용중인 구형(球形)수류탄은 근본적으로 목표에 투척 시 관성력과 구조적으로 굴러가게 되며 이 때문에 목표를 이탈하게 된다. 근접전투에서 개인이 사용하는 가장 효과적이고 위협적인 무기인 수류탄이 목표에 정확히 투척되어 표적을 제압할 수 있다면, 이 수류탄은 사람에 의해 던져지는 단순하면서도 확실한 정밀타격 무기가 될 수 있다.
현재 수류탄은 계란형(Mills Bomb)을 중심으로 경량화하여 구형(球形)으로 제작하여 기존 수류탄 투척거리를 초과하여 안전하게 표적방향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한 파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재래식 자연형 파편에서 파편 수, 형태를 조절하여 적정크기로 제작하여 투척거리와 효과는 증가했으나, 목표지역에 정확히 떨어졌을 때 관성력과 지형조건에 의해 계속 굴러가 목표를 이탈해 버리게 된다. 고지를 향해 상향 투척시 목표지역에서 역으로 굴러 떨어져 적에게는 피해가 없고 아군에게 피해를 주거나 효과가 감소한다. 그러나 이것을 역이용하여 목표보다 멀리 투척된 수류탄이 굴러 진지에 들어가게 할 경우는 그만큼 가까이 다가가야 하므로 투척수의 생존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또한 구형(球形) 수류탄은 진지 내에 떨어졌을 때 쉽게 발로 찰 수 있어 수류탄 처치 공에 넣어 처리하기 쉽다.
방어 시에는 하향투척을 하게 되는데 수류탄이 경사지에서 굴러가 목표를 이탈하여 예상된 표적을 벗어나 적에게 피해를 주기에 제한된다.
본 발명은 수류탄이 가지는 근본적인 구조적 문제를 보완하여 목표에 정확히 투척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 구형(球形)수류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독일군이 사용한 감자혼합기(Potato Masher)형 수류탄의 특징을 이용한다. 감자혼합기형은 일명 방망이수류탄으로 더욱 익숙한 수류탄으로 수류탄 몸체에 방망이처럼 손잡이가 달려 있어 잡고 던지면 굴러가 목표를 이탈하지 않아 적을 제압하는 데 효과적인 수류탄이다.
감자혼합기(Potato Masher)형의 수류탄은 많은 제한사항이 있지만 방망이 수류탄의 손잡이인 방망이는 목표에 떨어지면서 수류탄이 구르지 않게 하는 브레이크 역할을 하여 수류탄을 원하는 목표에 멈추게 하여 명중률에 있어서는 다른 수류탄에 비해 뛰어나다.
따라서 수류탄을 투척 시 표적에 명중하는 것과 멀리 던지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기존 구형(球型)세열수류탄의 구조를 살펴보면 안전핀과 안전고리를 제거하고 수류탄을 투척하면 안전손잡이가 탈거되면서 투척된다.
수류탄의 명중률을 높이기 위해서 수류탄의 구조의 변형 없이 감자혼합기형의 장점을 살릴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안전손잡이의 역할을 단순히 신관의 공이의 작용을 도와주는 것에서 투척되었을 때 브레이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래서 수류탄의 안전손잡이가 신관에서 선택적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제작하여, 안전핀과 안전고리를 제거한 후 투척하면 안전손잡이가 개방되면서 공이가 뇌관을 쳐서 신관을 작동시키면서 안전손잡이는 벌어진 상태에서 던져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수류탄은 멀리 던져지면서 동시에 목표에서는 안전손잡이가 브레이크로 작용하여 굴러가는 것을 방지하여 목표에서 터짐으로써 명중률을 향상시키게 된다.
현재 운용중인 구형(球形)수류탄의 가장 큰 단점인 목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류탄이 목표에 정확히 도달함과 동시에 터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 목표에 도달과 동시에 터지기 위해서는 숙련도가 높은 투척수가 대담성을 가지고 신관의 지연시간과 거리를 고려하여 투척해야 한다. 그래서 현재의 수류탄은 일반폭탄과 다르게 목표에 명중하기에는 많은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류탄의 안전손잡이가 미 탈거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역활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실험을 통해서 타당성을 입증하기로 하였다. 현재 운용중인 구형(球形)수류탄과 본 발명의 수류탄을 자체 제작하여 투척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경사지와 평지를 선정하여 동일조건에서 구형(球形)수류탄과 본 발명의 수류탄을 투척하였다. 한반도 지형은 경사도가 심한 산악지형, 야지, 도심지역 등 다양한 작전지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실험을 위해 비교가 가능하도록 수류탄이 사용되는 지형을 10∼35°경사도가 있는 잔디 지형과 평지는 마사토 흙으로 되어있는 곳을 선정하여 구형(球形)수류탄과 본 발명의 수류탄의 투척 실험을 하였다.
구 분 구형(球型)수류탄 본 발명의 수류탄
10∼15° 307/350회(87%) 15/350회(4%)
30∼35° 337/350회(96%) 35/350회(10%)
표 1 은 경사도를 두 가지(10~15°, 30~35°)로 구분하여 잔디로 되어있는 지형에 구형수류탄과 본 발명의 수류탄을 각각 350회씩 투척하여 나온 결과 값이다. 기존 구형(球形)수류탄은 10∼15°경사지에서 350회를 투척하였을 때 307회(87%)는 목표지역을 벗어나 경사가 끝나는 평지에서도 계속 굴러가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본 발명의 수류탄은 350회를 투척하였을 때 15회(4%)만이 목표지역을 이탈하였다. 또한 경사도가 높은 30∼35°지형에서 구형(球形)수류탄은 350회 투척하여 337회(96%)가 목표를 벗어나 수류탄의 효과를 볼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나, 본 발명의 수류탄은 35회(10%)가 목표를 벗어났다. 경사도에 따라 굴러가는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지만, 안전손잡이의 브레이크가 수류탄이 굴러가는 것을 방지하여 구형(球形)수류탄을 정지시켜 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경사도가 60°이상인 지형에서는 대부분의 수류탄이 굴러가 높은 경사도에서는 브레이크 역할이 제한됨을 알 수 있었다.
구 분 구형[球型]수류탄 본 발명의 수류탄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25m 4.85 7.13 3.63 2.45 3.15 1.52
35m 9.23 10.37 7.40 5.64 6.20 3.51
표 2 는 투척 된 수류탄이 목표에 떨어져 멈추지 않고 관성력에 의해 얼마나 굴러가 목표지역을 이탈하는지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평지 지형은 실험의 동일조건에서 자료를 얻기 위해 마사토 흙으로 된 일반부대 연병장에서 실시하였다. 평지에서 투척된 구형(球形)수류탄과 본 발명의 수류탄이 굴러가 목표를 이격하는 거리를 표적거리 25m와 35m로 구분하여 각각 350회를 투척하여 비교하였다. 25m에서 구형(球形)수류탄의 평균이탈거리는 4.85m로 최소 3.63m에서 최대 7.13m를 보였으며, 본 발명의 수류탄은 평균2.45m로 최소 1.52m에서 최대 3.15m를 보였다. 35m에서 구형(球形)수류탄의 평균이탈거리는 9.23m로 최소 7.40m에서 최대 10.37m를 보였으며, 본 발명의 수류탄은 평균 7.64m로 최소 5.23m에서 최대 8.20m를 보였다. 따라서 투척된 수류탄의 정확도를 확인한 실험에서 현재 운용중인 구형(球形)수류탄보다는 수류탄에 브레이크 장치를 한 본 발명의 수류탄이 명중률이 높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1은 제1안전핀(130)과 제2안전핀(131)이 결합된 수류탄의 사시도
도2는 제1안전핀(130)과 고정쇠(132)가 결합된 수류탄의 사시도
도3은 몸체(101)와 신관(110)이 결합된 모습의 정면도
도4는 걸림고리가 원형으로 제작된 안전손잡이(120)의 사시도
도5는 기존의 안전손잡이의 사시도
도6은 신관(110)에 스프링(124)과 안전손잡이(120)가 결합된 모습의 단면도
도7은 안전손잡이(120)가 개방 및 고정된 모습의 단면도
도8은 안전손잡이(120)가 개방 및 고정된 모습의 확대 단면도
도9는 수류탄 투척을 위한 순서도
기존의 수류탄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수류탄은 제1안전핀(130)이 제1안전핀 결합용 구멍(111)에 삽입되어 제1걸림 고리(121)를 통과한다. 신관(110)은 몸체(101)와 결합되어 있으며, 수류탄에서 제1안전핀(130)을 제거한 뒤 투척하면 안전손잡이가 개방되면서 상기 몸체(101)안의 공이가 뇌관을 친 뒤 수 초 후 폭발한다.
기존 수류탄의 안전손잡이는 안전손잡이가 신관에서 쉽게 탈거되도록 도5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U자형 걸림 고리(123)는 안전손잡이 개방과 동시에 안전손잡이가 신관으로부터 바로 탈거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U자형 걸림 고리(123)를 도4의 제2걸림 고리(122)와 같이 원형의 걸림 고리로 바꾸어 안전손잡이(120) 개방 시 안전손잡이(120)가 신관(110)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도3과 같이 기존 수류탄의 신관의 측면에 제2안전핀 결합용 구멍(112)을 형성하여 안전손잡이(120)를 고정할 수 있는 제2안전핀(131) 또는 고정쇠(132)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안전핀(131)의 경우 제거가 가능하지만 고정쇠(132)의 경우 제거가 불가능하다.
도6과 같이 신관(110)과 안전손잡이(120) 사이에는 스프링(124)을 위치시키고 도7과 같이 제2안전핀(131) 또는 고정쇠(132)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스프링(124)으로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안전핀(131)을 통해 도8과 같이 안전손잡이(120)의 미탈거 및 탈거를 선택할 수 있다. 고정쇠(13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전손잡이(120)를 탈거 시킬 수 없다.
목표 지역을 확인하여 수류탄 투척 시 안전손잡이(120)의 미탈거 또는 탈거 여부를 선택한다. 안전손잡이를 미탈거시킬 경우, 제1안전핀(130)과 제2안전핀(131) 중 제1안전핀(130) 만 제거하고 수류탄을 투척하면 도7과 같이 스프링(124)이 신축하면서 안전손잡이(120)를 고정시킨다. 이때 제2안전핀(131)은 스프링(124) 및 안전손잡이(120)가 신관(110)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안전손잡이를 탈거시킬 경우, 제1안전핀(130)과 제2안전핀(131)을 모두 제거하고 투척하면 안전손잡이(120)가 신관(110)으로부터 탈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기존의 수류탄과 같이 투척 후 굴러가게 할 수 있다.
100: 수류탄
101: 몸체
110: 신관
111: 제1안전핀 결합용 구멍
112: 제2안전핀 결합용 구멍
120: 안전손잡이
121: 제1걸림 고리
122: 제2걸림 고리
123: U자형 걸림 고리
124: 스프링
130: 제1안전핀
131: 제2안전핀
132: 고정쇠
200: 수류탄투척방법
201: 목표 확인 단계
202: 제1안전핀 제거 단계
203: 제2안전핀 제거 단계
204: 투척 단계

Claims (6)

  1. 제1안전핀 결합용 구멍(111)에 삽입되어 제1걸림 고리(121)를 통과하는 제1안전핀(130)을 제거하고 투척할 시 안전손잡이(120)가 개방되면서 공이가 뇌관을 친 후 수 초 뒤 폭발하는 수류탄에 있어서,
    상기 안전손잡이(120) 말단에 위치하는 원형의 제2걸림 고리(122);
    안전핀결합을 위해 신관(110)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안전핀 결합용 구멍(112);
    상기 신관(110)과 상기 안전손잡이(120)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124); 및
    상기 제2안전핀 결합용 구멍(112), 상기 제2걸림 고리(122), 상기 스프링(124)을 통과하여 결합시키는 제2안전핀(131); 을 포함하는 수류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24)은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24)은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탄.
  5. 제 1항의 수류탄을 투척함에 있어서,
    목표 지역을 확인하는 단계(201);
    제1안전핀(130)을 제거하는 단계(202); 및
    수류탄을 목표 지역으로 투척하는 단계(204); 를 포함하는 수류탄 투척방법.
  6. 제 1항의 수류탄을 투척함에 있어서,
    목표 지역을 확인하는 단계(201);
    제2안전핀(131)을 제거하는 단계(203);
    제1안전핀(130)을 제거하는 단계(202); 및,
    수류탄을 목표 지역으로 투척하는 단계(204); 를 포함하는 수류탄 투척방법.
KR1020130068041A 2013-05-02 2013-06-13 수류탄 브레이크 및 그 투척 방법 KR101359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128 2013-05-02
KR20130049128 2013-05-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567B1 true KR101359567B1 (ko) 2014-02-07

Family

ID=50270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041A KR101359567B1 (ko) 2013-05-02 2013-06-13 수류탄 브레이크 및 그 투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5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2142A (ja) * 2007-04-25 2008-12-04 Howa Mach Ltd スタングレネー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2142A (ja) * 2007-04-25 2008-12-04 Howa Mach Ltd スタングレネー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85786A1 (en) Triple tap target system
Scoville Flexible madness?
KR101359567B1 (ko) 수류탄 브레이크 및 그 투척 방법
KR102022825B1 (ko) 도탄 방지용 피탄패널
CN210533190U (zh) 一种新型无破片式强光爆震弹
US10866067B2 (en) Armor system for the groin
CN104236397B (zh) 一种地面拦截钻地导弹防御装置的制造方法
Tucker Eminence over efficacy: social status and cavalry service in sixteenth-century France
CN206618330U (zh) 一种多功能的w型盾牌
CN106885494A (zh) 一种多功能的w型盾牌
CN206683491U (zh) 一种带捕捉装置的圆型警盾
CN206618328U (zh) 一种带导向槽的圆型警盾
Corkery Dangerous sports and obvious risks-anyone for cricket?
Goose Cluster munitions: toward a global solution
Raccuia The Convention on Cluster Munitions: An Incomplete Solution to the Cluster Munition Problem
Robinson A Right to Bear Firearms but Not to Use Them-Defensive Force Rules and the Increasing Effectiveness of Non-Lethal Weapons
Butt A hypersonic nuclear war is coming
CN106871725A (zh) 一种带导向槽的圆型警盾
KR20120053252A (ko) 연습용 포탄
Smith Golden Eagle Insider Podcast Season 2, Episode 9: Dan Weisse
Plante Golden Eagles Use Huge Plays Down the Stretch to Down Concordia-St. Paul 78-76
Varga Hand-to-hand Combat in World War I as the Royal Hungarian Defence Forces’ Soldiers saw it
Griffith The Origins of Contact Mines
Griffith The Military Need for Contact Mines
Mitchell A DETTERENCE BY DENIAL STRATEGY FOR THE BAL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