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001B1 -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001B1
KR101359001B1 KR1020130119032A KR20130119032A KR101359001B1 KR 101359001 B1 KR101359001 B1 KR 101359001B1 KR 1020130119032 A KR1020130119032 A KR 1020130119032A KR 20130119032 A KR20130119032 A KR 20130119032A KR 101359001 B1 KR101359001 B1 KR 101359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edimentation basin
sewage inlet
floating unit
flow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남
Original Assignee
태일환경관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일환경관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일환경관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9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유입 관거의 말단에 설치되는 펌프조; 상기 펌프조에 내장되는 유입 펌프; 바닥면은 상기 펌프조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하수 유입 관거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유입 펌프에 의하여 상기 펌프조를 거쳐 유입되는 하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며, 일정 시간의 체류 시간을 거쳐 상기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침전되는 유량조절 침전지;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에 수용된 하수의 수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바닥에 침전된 상기 슬러지의 대부분을 제외한 상기 하수가 유입되도록,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하수유입부; 상기 하수유입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수유입부를 상기 수면상에 부유시키는 부유 유닛; 상기 하수유입부와 상기 부유 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부유 유닛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 및 상기 부유 유닛과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하부측을 상호 연결하며,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와 이웃한 무산소조를 향하여 상기 수면 부근의 상기 하수를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시간대별 하수 유입량 및 유입되는 하수의 종류 등 다양한 변화요인에 폭넓게 대응하여 안정적인 시설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SETTLING POND ASSEMBLY OF SEWAGE DISPOSAL PLANT HAVING FLOW REGU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간대별 하수 유입량 및 유입되는 하수의 종류 등 다양한 변화요인에 폭넓게 대응하여 안정적인 시설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인구가 증가하고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하수의 배출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이에 따라 하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 또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방류수질의 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하수처리시설은 더 높은 처리효율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하수처리시설의 하수 유입특성은 처리구역의 인구분포, 면적, 하수관거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고 계절적 요인에 따른 변화가 크게 발생되며, 즉 저농도 저유량에서 고농도 고유량까지 변화의 폭이 대단히 크고 넓으므로, 하수처리시설의 안정적인 수질 유지가 힘든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
특히, 동절기에는 일반적으로 유입농도가 높고 유량이 적은상태로 유입되는데 온도저하에 따라 미생물의 활성이 저하되어 안정적인 수질을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난분해성 물질의 처리를 위한 하수처리공정은 1차처리(최초침전지 또는 부상분리 등)시설을 도입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생활패턴에 따른 하수 슬러지의 유입 농도와 유량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유량조정조를 적용하고 있다.
기존시설의 경우 통상, 유량조정조는 3 내지 5시간, 1차 침전지(settling pond)는 3시간 등, 대략 6 내지 8시간 이상의 체류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기존의 유량조정조는 바닥면에 설치된 펌프를 이용하여 하수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므로 침전지의 기능을 할 수 없으며, 기존의 1차 침전지는 고정식 월류위어를 이용하므로 유량조절의 기능을 가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기존의 유량조정조에서 유량을 조절하는 방식은 수위에 따라 펌프 운영 대수를 조정하거나 인버터를 이용한 유량계 연동운전으로 유량조절펌프를 이용하는 등의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여기서, 펌프 운영 대수를 조정하는 방식은 반응조의 유입부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인버터를 이용한 유량계 연동운전 방식은 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운영하므로 펌프의 효율 저하로 인한 동력 낭비의 우려가 있는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00-0040373호 특허출원 제10-2004-0108264호 특허출원 제10-2007-01258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시간대별 하수 유입량 및 유입되는 하수의 종류 등 다양한 변화요인에 폭넓게 대응하여 안정적인 시설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수 유입 관거의 말단에 설치되는 펌프조; 상기 펌프조에 내장되는 유입 펌프; 바닥면은 상기 펌프조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하수 유입 관거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유입 펌프에 의하여 상기 펌프조를 거쳐 유입되는 하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며, 일정 시간의 체류 시간을 거쳐 상기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침전되는 유량조절 침전지;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에 수용된 하수의 수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바닥에 침전된 상기 슬러지의 대부분을 제외한 상기 하수가 유입되도록,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하수유입부; 상기 하수유입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수유입부를 상기 수면상에 부유시키는 부유 유닛; 상기 하수유입부와 상기 부유 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부유 유닛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 및 상기 부유 유닛과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하부측을 상호 연결하며,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와 이웃한 무산소조를 향하여 상기 수면 부근의 상기 하수를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유 유닛은, 상기 하수유입부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단부에 구비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수면에 부유하는 부구를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연결봉과 상기 하수유입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부유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하수유입부의 외면을 따라 승강하는 이동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부유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하수유입부의 외면을 따라 승강하는 이동 브라켓과, 상기 하수유입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받침 브라켓과, 상기 이동 브라켓과 연결되는 상기 부유 유닛의 연결봉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받침 브라켓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신축하는 제1 유체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유체 실린더가 신장하면서 상기 하수유입부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부유 유닛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하수유입부의 상면을 통하여 유입되는 시간당 하수의 유입량은, 상기 제1 유체 실린더가 신축하면서 상기 하수유입부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부유 유닛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하수유입부의 상면을 통하여 유입되는 시간당 하수의 유입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하수유입부의 외면 상측에 구비되는 제1 지지 브라켓과, 상기 하수유입부의 외면 하측에 구비되는 제2 지지 브라켓과, 상기 제1 지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부유 유닛의 연결봉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에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하는 제2 유체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유체 실린더가 신장하면서 상기 하수유입부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부유 유닛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하수유입부의 상면을 통하여 유입되는 시간당 하수의 유입량은, 상기 제2 유체 실린더가 신축하면서 상기 하수유입부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부유 유닛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하수유입부의 상면을 통하여 유입되는 시간당 하수의 유입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는,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 역회전하는 윈치와, 일단부는 상기 하수유입부의 외면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윈치에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는 와이어와,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기 윈치를 정, 역회전시키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하수의 수면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상기 윈치로 정, 역회전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바닥면은 상기 무산소조의 바닥면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배관은, 플렉시블 호스 또는 벨로우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기존의 유량조정조와 1차 침전지를 통합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부유수단과 높낮이 조절수단을 유량조절 침전지 내에 구비하여 가변하는 수위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유량조정의 기능을 통합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수유입부와 연결되는 연결봉의 단부에 부구를 구비함으로써 하수유입부의 상면을 통하여 일정 시간 체류후 슬러지가 침전된 하수를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수유입부의 상면이 항상 수면 부근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 브라켓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수단을 채용하여 시간대별 하수 유입량 및 배출량의 극단적인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이동 브라켓과 연결되는 상기 부유 유닛의 연결봉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받침 브라켓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신축하는 제1 유체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조를 통하여 시간대별 하수 유입량 및 배출량의 극단적인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유체 실린더의 신축에 따라 시간당 하수 유입량의 극단적인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지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부유 유닛의 연결봉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에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하는 제2 유체 실린더를 포함하는구조를 통하여도 시간대별 하수 유입량 및 배출량의 극단적인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2 유체 실린더의 신축에 따라 시간당 하수 유입량의 극단적인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하수유입부의 외면과 연결되어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바닥면에 설치된 윈치의 정, 역회전에 따라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는 와이어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하수의 수면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상기 윈치로 정, 역회전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수위센서와 연계함으로써, 상기 배출배관이 꼬이거나 뒤틀리지 않고 원활하게 형상 변형을 하면서도 하수가 무산소조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바닥면을 상기 무산소조의 바닥면보다 높게 배치시킴으로써 하수 및 침전된 슬러지가 중력 방향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 배관을 플렉시블 호스 또는 벨로우즈 등과 같은 부재로 사용함으로써 꼬이거나 뒤틀리지 않고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하수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 침전조가 포함된 하수처리장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하수유입부와 부유 유닛과 높낮이 조절수단 및 배출배관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높낮이 조절수단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의 구조 및 운용 실시 형태를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 침전조가 포함된 하수처리장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로 240은 교반기, 900은 협잡물 처리기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조(100)와 유입 펌프(110)와 유량조절 침전지(200)와 하수유입부(300)와 부유 유닛(400)과 높낮이 조절수단(500)과 배출배관(6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도 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주요부인 유량조절 침전지(200)가 포함된 하수처리장의 하수 처리 흐름에 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①협잡물 처리기(900)를 통하여 유입된 하수는 ②최종적으로 자외선 소독기(760)를 거쳐 정화된 상태로 하천에 방류된다.
여기서, 하수는 슬러지와 함께 펌프조(100)를 거쳐 유량조절 침전지(200)에 유입되고, 유입된 하수의 슬러지는 일정 시간후 침전되고, 남은 하수는 무산소조(710)와 폭기조(720)와 침전조(730)와 처리수조(740) 및 여과기(750)를 거쳐 자외선 소독기(760)를 통하여 멸균 처리되어 방류되는 것이다.
이때, 유량조절 침전지(200)로부터 슬러지 배출밸브(201)를 통하여 배출된 슬러지는 저류조(850)로 이송되고, 슬러지는 저류조(850)로부터 탈수기(822)를 통하여 수분이 제거되며, 제거된 수분은 반류수조(820)로 이송된다.
반류수조(820)의 물 중 일부는 탈인조(810)로 이송되어 물 속에 포함된 인 성분이 제거되며, 반류수조(820)의 물 중 일부는 응집조(830)와 부상조(840)를 거쳐 다시 펌프조(100)로 보내진다.
여기서, 응집제 공급기(832)는 응집조(830)에 응집제를 공급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에 관하여 설명한다.
펌프조(100)는 하수 유입 관거의 말단에 설치되고, 하수 유입 관거의 말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를 일시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한 것이다.
유입 펌프(110)는 펌프조(100)에 내장되는 것으로, 후술할 유량조절 침전지(200)에 슬러지가 포함한 하수를 이송한다.
유량조절 침전지(200)는 바닥면은 펌프조(100)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되고, 하수 유입 관거의 말단으로부터 유입 펌프(110)에 의하여 펌프조(100)를 거쳐 유입되는 하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며, 일정 시간의 체류 시간을 거쳐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침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통상, 체류 시간은 5시간 내외가 적절하다.
하수유입부(300)는 유량조절 침전지(200)에 수용된 하수의 수면에 배치되고, 유량조절 침전지(200)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의 대부분을 제외한 하수가 유입되도록,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부유 유닛(400)은 하수유입부(300)와 결합되어 하수유입부(300)를 수면상에 부유시키는 부력을 발생하는 것이다.
높낮이 조절수단(500)은 하수유입부(300)와 부유 유닛(400) 사이에 설치되어 부유 유닛(40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시간대별 하수 유입량 및 배출량의 극단적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배출배관(600)은 부유 유닛(400)과 유량조절 침전지(200)의 하부측을 상호 연결하며,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유량조절 침전지(200)와 이웃한 무산소조(710)를 향하여 수면 부근의 하수를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유량조정조와 1차 침전지를 통합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유량조절 침전지(200) 내의 가변하는 수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유량조정의 기능을 통합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유량조절 침전지(200)의 바닥면은 무산소조(710)의 바닥면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유량조절 침전지(200)의 하부측에 구비된 슬러지 배출밸브(201)로부터 슬러지가 중력 방향인 무산소조(710)측으로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부유 유닛(400)은 도 2와 같이 하수유입부(300)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봉(410)과, 연결봉(410)의 단부에 구비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며 수면에 부유하는 부구(4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높낮이 조절수단(500)은 연결봉(410)과 하수유입부(300)에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높낮이 조절수단(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대별 하수 유입량 및 배출량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도 3과 같이 부유 유닛(400)과 연결되어 하수유입부(300)의 외면을 따라 승강하는 이동 브라켓(51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높낮이 조절수단(500)은 도 4와 같이 부유 유닛(400)과 연결되어 하수유입부(300)의 외면을 따라 승강하는 이동 브라켓(510)과 함께, 받침 브라켓(520)과 제1 유체 실린더(53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즉, 받침 브라켓(520)은 하수유입부(30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제1 유체 실린더(530)는 이동 브라켓(510)과 연결되는 부유 유닛(400)의 연결봉(41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받침 브라켓(520)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신축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유체 실린더(530)의 제1 로드(532)가 신장하면서 하수유입부(300)의 상면에 대하여 부유 유닛(400)이 상승하였을 때 하수유입부(300)의 상면을 통하여 유입되는 시간당 하수의 유입량은, 제1 유체 실린더(530)의 제1 로드(532)가 신축하면서 하수유입부(300)의 상면에 대하여 부유 유닛(400)이 하강하였을 때 하수유입부(300)의 상면을 통하여 유입되는 시간당 하수의 유입량보다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유체 실린더(530)로부터 제1 로드(532)를 적절히 신축함으로써 하수유입부(300)의 상면을 통하여 유입되는 시간당 하수의 유입량의 적절히 조절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높낮이 조절수단(500)은 도 5와 같이 하수유입부(300)의 외면 상측에 구비되는 제1 지지 브라켓(540)과, 하수유입부(300)의 외면 하측에 구비되는 제2 지지 브라켓(550)과, 제1 지지 브라켓(5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유 유닛(400)의 연결봉(410)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지지 브라켓(550)에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하는 제2 유체 실린더(56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유체 실린더(560)의 제2 로드(562)가 신장하면서 하수유입부(300)의 상면에 대하여 부유 유닛(400)이 상승하였을 때 하수유입부(300)의 상면을 통하여 유입되는 시간당 하수의 유입량은, 제2 유체 실린더(560)의 제2 로드(562)가 신축하면서 하수유입부(300)의 상면에 대하여 부유 유닛(400)이 하강하였을 때 하수유입부(300)의 상면을 통하여 유입되는 시간당 하수의 유입량보다 많아지게 된다.
한편, 배출배관(6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하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 호스 또는 벨로우즈와 같은 것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유량조절 침전지(200)에 윈치(210)와 와이어(220) 및 수위센서(230)를 더 구비하여 수위 가변에 따라 배출 배관(600)의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꼬이거나 뒤틀림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윈치(210)는 유량조절 침전지(20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 역회전하는 것이며, 와이어(220)는 일단부가 하수유입부(300)의 외면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윈치(210)에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는 것이다.
수위센서(230)는 유량조절 침전지(20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윈치(210)를 정, 역회전시키면서 와이어(22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유량조절 침전지(200)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수의 수면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윈치(210)로 정, 역회전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호스 또는 벨로우즈와 같은 배출배관(600)이 구부러지거나 줄어드는 등의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꼬이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수위센서(230)가 윈치(210)에 정, 역회전 구동신호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면 윈치(210)의 정, 역회전에 연동하여 와이어(220)가 항상 일정한 정도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배출배관(600)을 일정한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와이어(220)는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면서 수면으로부터 유량조절 침전지(200)의 바닥면까지 직교 상태를 유지하며 배출배관(600)이 플렉시블 호스일 경우, 일정한 패턴으로 구부러지도록 하고, 배출배관(600)이 벨로우즈일 경우, 중력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배출배관(600)의 꼬임이나 뒤틀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시간대별 하수 유입량 및 유입되는 하수의 종류 등 다양한 변화요인에 폭넓게 대응하여 안정적인 시설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펌프조
110...유입 펌프
200...유량조절 침전지
201...슬러지 배출밸브
210...윈치
220...와이어
230...수위센서
240...교반기
250...컨트롤러
300...하수유입부
400...부유 유닛
410...연결봉
420...부구
500...높낮이 조절수단
510...이동 브라켓
520...받침 브라켓
530...제1 유체 실린더
532...제1 로드
540...제1 지지 브라켓
550...제2 지지 브라켓
560...제2 유체 실린더
562...제2 로드
600...배출배관
710...무산소조
720...폭기조
730...침전조
740...처리수조
750...여과기
760...자외선 소독기
810...탈인조
820...반류수조
822...탈수기
830...응집조
832...응집제 공급기
840...부상조
850...저류조
900...협잡물 처리기

Claims (10)

  1. 하수 유입 관거의 말단에 설치되는 펌프조;
    상기 펌프조에 내장되는 유입 펌프;
    바닥면은 상기 펌프조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하수 유입 관거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유입 펌프에 의하여 상기 펌프조를 거쳐 유입되는 하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며, 일정 시간의 체류 시간을 거쳐 상기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침전되는 유량조절 침전지;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에 수용된 하수의 수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바닥에 침전된 상기 슬러지의 대부분을 제외한 상기 하수가 유입되도록,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하수유입부;
    상기 하수유입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수유입부를 상기 수면상에 부유시키는 부유 유닛;
    상기 하수유입부와 상기 부유 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부유 유닛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수단; 및
    상기 부유 유닛과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하부측을 상호 연결하며,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와 이웃한 무산소조를 향하여 상기 수면 부근의 상기 하수를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 유닛은,
    상기 하수유입부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단부에 구비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수면에 부유하는 부구를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연결봉과 상기 하수유입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부유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하수유입부의 외면을 따라 승강하는 이동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부유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하수유입부의 외면을 따라 승강하는 이동 브라켓과,
    상기 하수유입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받침 브라켓과,
    상기 이동 브라켓과 연결되는 상기 부유 유닛의 연결봉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받침 브라켓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신축하는 제1 유체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실린더가 신장하면서 상기 하수유입부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부유 유닛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하수유입부의 상면을 통하여 유입되는 시간당 하수의 유입량은,
    상기 제1 유체 실린더가 신축하면서 상기 하수유입부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부유 유닛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하수유입부의 상면을 통하여 유입되는 시간당 하수의 유입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하수유입부의 외면 상측에 구비되는 제1 지지 브라켓과,
    상기 하수유입부의 외면 하측에 구비되는 제2 지지 브라켓과,
    상기 제1 지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부유 유닛의 연결봉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 브라켓에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하는 제2 유체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 실린더가 신장하면서 상기 하수유입부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부유 유닛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하수유입부의 상면을 통하여 유입되는 시간당 하수의 유입량은,
    상기 제2 유체 실린더가 신축하면서 상기 하수유입부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부유 유닛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하수유입부의 상면을 통하여 유입되는 시간당 하수의 유입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는,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 역회전하는 윈치와,
    일단부는 상기 하수유입부의 외면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윈치에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는 와이어와,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기 윈치를 정, 역회전시키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하수의 수면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상기 윈치로 정, 역회전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 침전지의 바닥면은 상기 무산소조의 바닥면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은,
    플렉시블 호스 또는 벨로우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KR1020130119032A 2013-10-07 2013-10-07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KR101359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032A KR101359001B1 (ko) 2013-10-07 2013-10-07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032A KR101359001B1 (ko) 2013-10-07 2013-10-07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001B1 true KR101359001B1 (ko) 2014-02-07

Family

ID=50269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032A KR101359001B1 (ko) 2013-10-07 2013-10-07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0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885B1 (ko) 2002-11-13 2005-03-11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자연부상식 상등수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KR200393314Y1 (ko) 2005-05-23 2005-08-22 보문기공 주식회사 폐수 처리 장치
KR200426848Y1 (ko) 2006-06-16 2006-09-20 이형구 상등수 처리장치의 플렉시블 드레인 튜브
KR100917473B1 (ko) 2008-10-16 2009-09-17 최광철 무동력 자동 상등수 집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885B1 (ko) 2002-11-13 2005-03-11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자연부상식 상등수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KR200393314Y1 (ko) 2005-05-23 2005-08-22 보문기공 주식회사 폐수 처리 장치
KR200426848Y1 (ko) 2006-06-16 2006-09-20 이형구 상등수 처리장치의 플렉시블 드레인 튜브
KR100917473B1 (ko) 2008-10-16 2009-09-17 최광철 무동력 자동 상등수 집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0038B2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design
EP28890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tical lift decanter system in a water treatment system
CN103936148B (zh) 一种恒定出流变负荷svbr污水处理工艺
CN101362032A (zh) 一种周边进水连续出水的辐流式沉淀池
KR20050043855A (ko) 자동제어 수처리공정
KR101359001B1 (ko) 하수처리장의 유량조절 침전지 어셈블리
JP6479507B2 (ja) 有機性排水の処理装置
CN202124515U (zh) 一种轻质滤料曝气生物滤池的反冲洗装置
KR100917473B1 (ko) 무동력 자동 상등수 집수장치
CN102276052B (zh) 一种轻质滤料曝气生物滤池的反冲洗装置及其方法
CN108083551A (zh) 农村生活污水分散式处理系统
CN202116372U (zh) 一种无动力可调式滗水器
CN202430051U (zh) 高效复合厌氧反应器
CN208234624U (zh) 一种潜流人工湿地水位调节设备及系统
CN111170593A (zh) 一种适用于农村小流域的生态清洁一体机
CN206219303U (zh) 化粪池污水sbr一体处理装置
KR101644966B1 (ko)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JP2004188255A (ja) オキシデーションディッチ
GB2526848A (en) Siphon decanter for a sequencing batch reactor
CN202465375U (zh) 一种水解酸化池
CN106277322A (zh) 一种生态型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07265782A (zh) 一种可拆卸的污水处理设备
RU2004120207A (ru) Унифицированная моду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и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JPH0372997A (ja) 水処理装置
CN106219886B (zh) 一种综合型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