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596B1 - 메쉬 통신을 이용한 지능형 경로 탐색방법과 주변 검색방법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메쉬 통신을 이용한 지능형 경로 탐색방법과 주변 검색방법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596B1
KR101358596B1 KR1020070119621A KR20070119621A KR101358596B1 KR 101358596 B1 KR101358596 B1 KR 101358596B1 KR 1020070119621 A KR1020070119621 A KR 1020070119621A KR 20070119621 A KR20070119621 A KR 20070119621A KR 101358596 B1 KR101358596 B1 KR 101358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mesh point
information
target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012A (ko
Inventor
김주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9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596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0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Abstract

메쉬 통신을 이용한 지능형 경로 탐색방법과 주변 검색방법 및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쉬 통신을 이용한 지능형 경로 탐색방법은 제1 위치 및 제2 위치가 입력되고,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의 경로 안내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메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차량과 메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속하는 다른 메쉬 포인트와 접속한 후, 다른 메쉬 포인트가 보유하고 있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의 교통 소통 상태를 확인하고, 교통 소통 상태를 반영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의 최적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메쉬 네트워크, 메쉬 포인트, 차량, 내비게이션

Description

메쉬 통신을 이용한 지능형 경로 탐색방법과 주변 검색방법 및 단말기{METHOD OF SEARCHING A ROUTE INTELLIGENTLY USING MESH COMMUNICATION, METHOD OF SEARCHING A CIRCUMFERENCE, AND TERMINAL}
본 발명은 메쉬 통신을 이용한 지능형 경로 탐색방법과 주변 검색방법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탐색시 내비게이션 단말기 자체의 경로 찾기 기능을 이용하였다. 좀 더 지능적인 경우는 '고속도로 우선', '국도 우선' 등의 사용자 선택에 따른 경로 탐색 기능이나 중앙 집중적 정보 센터를 통한 경로 탐색 등이 전부였다. 보다 지능적이고 효율적인 경로 탐색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도로를 주행하는 각각의 차량이 메쉬 포인트가 되어 서로 메쉬 통신을 수행하고, 메쉬 통신의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다 지능적인 경로 탐색을 할 수 있도록 한 메쉬 통신을 이용한 경로 탐색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메쉬 통신을 이용한 경로 탐색 방법은 제1 위치 및 제2 위치가 입력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의 경로 안내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메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차량과 메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속하는 다른 메쉬 포인트와 접속한 후,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가 보유하고 있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의 교통 소통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교통 소통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의 최적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변 검색 방법은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 검색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메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차량과 메쉬 통신이 가능한 범 위 내에 속하는 다른 메쉬 포인트와 접속한 후,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가 보유하고 있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가 입력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의 경로 안내 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메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차량과 메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속하는 다른 메쉬 포인트와 접속한 후,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가 보유하고 있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수신한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의 교통 소통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교통 소통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의 최적 경로를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 검색 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메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차량과 메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속하는 다른 메쉬 포인트와 접속한 후,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가 보유하고 있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로를 주행하는 각각의 차량 간에 메쉬 포인트가 되어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거대한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보다 지능적인 경로 탐색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실시예와 관련된 용어들을 설명한다.
- 무선랜 메쉬(WLAN Mesh): IEEE 802.11 링크를 경유하여 접속된 적어도 두 개의 메쉬 포인트를 포함하며, 무선랜 메쉬 서비스를 경유하여 통신하는 분산 시스템의 일부로서, IEEE 802.11에 기반한 무선 분산 시스템을 말한다. 무선랜 메쉬는 영 개 또는 많은 엔트리 포인트들(메쉬 포털들)과, 자동 토폴리지 학습, 및 멀티플 홉 경로를 포함하는 동적 경로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A WLAN Mesh is an IEEE 802.11-based WDS which is part of a DS, consisting of a set of two or more Mesh Points interconnected via IEEE 802.11 links and communicating via the WLAN Mesh Services. A WLAN Mesh may support zero or more entry points(Mesh Portals), automatic topology learning and dynamic path selection (including multiple hop paths))
- 무선랜 메쉬 서비스: 무선랜 메쉬 내의 메쉬 포인트들 사이의 MSDUs(MAC Service Data Units)의 전송을 포함하고, 무선랜 메쉬의 제어, 관리, 및 동작을 지원하는 무선랜 메쉬에 의해 지원되는 일련의 서비스. (The set of services provided by the WLAN Mesh that support the control,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WLAN Mesh, including the transport of MSDUs between Mesh Points within the WLAN Mesh. WLAN Mesh Services supplement DSS (Distribution System Services))
- 메쉬 포인트(Mesh Point): 무선 매체를 인터페이스하는 IEEE 802.11을 따르는 MAC 레이어와 PHY 레이어를 포함하며, 무선 랜 메쉬 내에서 무선 랜 메쉬 서비스를 지원하는 IEEE 802.11 실체(entity). (Any IEEE 802.11 entity that contains an IEEE 802.11-conformant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interface to the Wireless Medium(WM), that is within a WLAN Mesh, and that supports WLAN Mesh Services)
- 메쉬 경로(Mesh Path): 출발지 메쉬 포인트로부터 목적지 메쉬 포린트까지의 연쇄적인 일련의 메쉬 링크. (A concatenated set of connected Mesh Links from a source Mesh Point to a destination Mesh Poin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 내부의 주요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내부의 주요 구성 요소는 차속 측정부(10), 내비게이션 단말(20), 메쉬 컨트롤러(30), 중앙 처리부(40), 무선 통신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은 전체 메쉬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메쉬 포인트로서 동작한다.
차속 측정부(10)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차량의 속도 정보를 CAN(Control Area Network)을 통해 중앙 처리부(40)로 전송한다.
내비게이션 단말(20)은 차량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내비게이션 단말(20)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중앙 처리부(40)로 전송한다. 차량의 위치 정보는 차량의 위치한 도로의 명칭, 해당 도로의 ID, 차량의 진행 방향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메쉬 컨트롤러(30)는 메쉬 네트워크에 관리를 담당한다. 중앙 처리부(40)는 차량 내 주요 구성요소들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 처리부(40)는 무선 통신부(50)를 제어하여 다른 차량과 메쉬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메쉬 통신에 의해 무선 통신부(50)를 통해 다른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메쉬 통신 결과를 내비게이션 단말(20)에 제공한다.
무선 통신부(50)는 메쉬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 즉 다른 메쉬 포인트(Mesh Point)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차량으로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상기 다른 차량의 속도 정보, 진행방향, 상기 다른 차량이 위치한 도로의 명칭 또는 도로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메쉬 통신의 장점은 통신의 주체인 메쉬 포인트가 차량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로 확장될 수 있으며, 각각의 메쉬 포인트 간에는 P2P 방식으로 자유롭게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에서, 메쉬 컨트롤러(30), 중앙 처리부(40), 및 무선 통신부(50)를 각각 별개의 구성요소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메쉬 컨트롤러(30), 중앙 처리부(40) 및 무선 통신부(50)는 내비게이션 단말(20) 내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의 내비게이션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내비게이션 단말(20)는 차량에서의 설치 형태에 따라 인데시 타입(In Dash Type)과 온데시 타입(On Dash Type)으로 구분된다. 인데시 타입의 내비게이션 단말은 차량의 데시 보드(Dash Board) 내에 할당된 일정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형태이다. 온데시 타입은 차량의 데시보드 위에 거치되거나 또는 그 근처에 일정한 지지대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형태로서 탈착이 가능하므로 차량으로부터 분리되어 휴대할 수 있어 휴대용 네비게이션 장치(Portable Navigation Device)라고 칭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단말(20)은 이러한 인데시 타입과 온데시 타입의 차량용 정보 단말기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차량 내에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항법 메시지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와 연동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와 같은 교통정보의 수신 및/또는 처리가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단말(20)은 GPS 수신기(110), 방송신호 수신기(120), 제어부(130), 프로세서(140), 메모리(150), 디스플레이(160), 입력부(170) 및 음성 출력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단말(20)은 상술한 무선 통신부(10)와 메쉬 컨트롤러(30)를 포함할 수 있다.
GPS 수신기(110)는 GPS 위성(미도시)이 송신하는 위치정보신호인 GPS 데이터를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한다. 내비게이션 단말(20)은 GPS 데이터를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20)는 안테나(ANT)를 통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포맷의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수신한다. 방송신호 수신기(120)가 수신하는 방송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은 지상파 또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T, DVB-H) 등 각종 규격에 따른 비디오와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교통정보(TPEG) 서비스, BIFS(Binary Format for Scene) 데이터 서비스에 따른 교통정보 및 각종 부가 데이터와 같은 부가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내비게이션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각종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160)나 음성 출력부(180)로 출력한다.
메모리(150)는 내비게이션 단말(20)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내비게이션 단말(20)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150)는 차량의 주행 안내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 디지털 지도 데이터, 각종 아이콘 등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16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은 표시창치로 구현되어 프로세서(140)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기능 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단말(20)이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메뉴 구조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을 이용한 터치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실행하는 입력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17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동작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30)에 전송한다. 입력부(170)는 키 버튼, 리모트 컨트롤러,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주행 안내 요청, 주변 정보 검색 요청 등을 입력받아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음성 출력부(180)는 제어부(130)의 제어하에 주행 경로에 대한 음성 안내를 위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기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능형 경로 탐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차량 내의 중앙 처리부(40)는 무선 통신부(10)를 제어하여 사용자 차량과 특정 차량이 무선 메쉬 통신을 이용하여 접속되도록 한다[S310]. 여기서, 특정 차량은 사용자 차량과 무선 메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속하는 사용자 차량과 인접한 다른 차량을 의미한다. 또한, 특정 차량은 사용자 차량과 마찬가지로 무선 메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무선 메쉬 통신 모듈을 내장하여, 사용자 차량 뿐만 아니라 인접한 다른 차량과도 무선 메쉬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10)는 무선 메쉬 통신을 이용하여 접속한 특정 차량으로부터 특정 차량이 보유한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무선 통신부(10)를 통해 수신한 특정 차량이 보유한 상태 정보는 중앙 처리부(40)를 통해 내비게이션 단말(20)의 메모 리(150)에 업데이트되어 저장된다[S320].
여기서, 특정 차량이 보유한 상태 정보는, 특정 차량의 ID, 특정 차량의 진행 방향, 특정 차량이 위치한 도로명칭 또는 도로번호, 특정 차량의 속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특정 차량이 보유한 상태 정보는, 특정 차량 자신의 정보 뿐만 아니라, 특정 차량이 자신과 인접한 다른 차량과 무선 메쉬 통신을 수행하여 보유하고 있는 다른 차량의 상태 정보도 포함한다.
한편, 특정 차량과 접속된 시점 이후로 기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S325:Y], 중앙 처리부(40)는 무선 메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차량이 다른 특정 차량과 접속되도록 무선 통신부(1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사용자 차량의 내비게이션 단말(20)은 인접한 차량으로부터 해당 차량이 보유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내비게이션 단말(20)의 입력부(170)를 통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의 주행 안내 요청이 있는 경우[S330], 내비게이션 단말(20)은 메모리(15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 경로를 탐색한다[S340]. 제1 위치는 출발지 또는 차량의 현 위치일 수 있으며, 제2 위치는 목적지 또는 경유지일 수 있다.
이 때,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는 특정 차량과 메쉬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상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차량이 보유한 상태 정보로서, 특정 차량의 진행 방향, 특정 차량이 위치하고 있는 도로명 또는 도로번호, 또는 특정 차량의 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차량 간의 메쉬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사용자 차량은 도면 부호로 a로 가정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차량(a)은 자신의 바로 앞에 위치한 특정 차량(b)과 메쉬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특정 차량(b)은 주변의 다른 차량들(c, d, e)과 메쉬 통신을 수행하여 다른 차량들(c, d, e)의 상태 정보를 이미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차량 c는 주변의 또 다른 차량들(미도시)과 통신한 결과 다른 차량들(미도시)의 상태 정보를 이미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즉, 개별 차량의 상태 정보가 누적되어 하나의 거대한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차량(a)은 자신의 바로 앞에 위치한 특정 차량(b)과 메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차량(b)과 다른 차량들(c, d, e)의 상태 정보 뿐만 아니라 주변 도로의 거의 모든 교통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정보를 내비게이션 단말(20)이 획득하게 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능형 경로 탐색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쉬 통신 결과를 이용한 지능형 경로 탐색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간의 메쉬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 주차장의 정보를 검색하는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 사용자 차량(a)은 시내의 주차장 A와 주차장 B 중 어느 한 곳에 주차를 해야하는 상황이라고 가정한다. 이 때, 주차장 A와 주차장 B는 사용자 차 량(a)과 같은 메쉬 포인트에 해당한다.
사용자 차량(a)은 주변의 차량들(미도시)과 메쉬 통신을 수행하여 형성된 메쉬 네트워크 또는 메쉬 경로에 의해, 주차장 A 또는 주차장 B에 관한 각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간의 메쉬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 주차장의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8은 주변 주차장 정보의 검색을 위해 내비게이션 단말에서 제공하는 메뉴화면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70)를 통해 주변 주차장 정보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S705], 내비게이션 단말(20)은 주변 주차장 정보 검색 요청을 중앙 처리부(40)에 알리고, 중앙 처리부(40)는 무선 통신부(10)를 제어하여 사용자 차량과 주변의 특정 차량이 메쉬 통신에 의해 접속되도록 한다[S710].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력부(170)를 통해 내비게이션 단말(20)에서 제공하는 주변 검색 메뉴에 진입하고, 주변 검색 메뉴 중 주차장 메뉴를 선택한다[S810].
사용자 차량은 메쉬 통신을 통하여 주변의 특정 차량으로부터 주변 주차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715]. 이와 같이 특정 차량으로부터 주변 주차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안, 내비게이션 단말(20)의 디스플레이(160)에는 <주변 주차장 검색중>이라는 안내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S820].
사용자 차량은 특정 차량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S715], 수신한 상태 정보 중에 주변 주차장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725]. 주변 주차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S730:Y], 중앙 처리부(40)는 주변 주차장 정보로부터 주차 공간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735].
주차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S740:Y], 중앙 처리부(40)는 주변 주차장의 정보를 내비게이션 단말(20)로 전송하여 주행 안내가 시작되도록 제어한다[S745].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의 S830 단계를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단말(20)은 주변 주차장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 중 하나의 주차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8의 S830 단계에서, 로얄 주차장이 선택되면, 로얄 주차장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1) 현재 주차 가능 차량수(ex: 35대), 2) 주차 요금(ex: 1시간 당 2천원)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될 수 있다[S840].
도 8의 S840 단계에서, 주행 메뉴가 선택되면, 내비게이션 단말(20)은 메쉬 통신 결과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로얄 주차장으로 가는 최적 경로를 탐색하여 주행 안내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S840 단계에서, 예약 메뉴가 선택되면, 내비게이션 단말(20)은 이를 중앙 처리부(40)에 알리고, 중앙 처리부(40)는 무선 통신부(10)를 제어하여 메쉬 포인트인 주변 차량들과 메쉬 통신을 수행하여, '주차장 예약 요청'이 타겟 메쉬 포인트인 로얄 주차장까지 전송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을 운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특정 주차장을 예약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정보 검색 대상으로 주차장을 예로 들어 설명 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메쉬 통신이 가능한 메쉬 포인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무방하며, 예를 들어 식당, 호텔, 주유소, 은행 등도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정보 검색 대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내비게이션 단말(20)과 별도로, 무선 메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인 무선 통신부(10), 메쉬 컨트롤러(30), 중앙 처리부(40) 등이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메쉬 포인트와 무선 메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인 무선 통신부(10), 메쉬 컨트롤러(30), 중앙 처리부(40)는 내비게이션 단말(20) 내에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 내부의 주요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도 1의 내비게이션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능형 경로 탐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차량 간의 메쉬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쉬 통신 결과를 이용한 지능형 경로 탐색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간의 메쉬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 주차장의 정보를 검색하는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간의 메쉬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 주차장의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주변 주차장 정보의 검색을 위해 내비게이션 단말에서 제공하는 메뉴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 검색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메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차량과 메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속하는 다른 메쉬 포인트와 접속한 후,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가 보유하고 있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변 검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메쉬 포인트는,
    상기 사용자 차량과 직접적으로 메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검색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메쉬 포인트는,
    주차장, 은행, 호텔, 또는 주유소를 포함하며,
    상기 타겟 메쉬 포인트가 주차장인 경우,
    상기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차량수 또는 주차 요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검색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가 보유하고 있는 상태 정보는,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 자신의 상태 정보와,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가 또 다른 메쉬 포인트와 메쉬 통신을 수행하여 이미 획득한 상기 또 다른 메쉬 포인트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검색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가 보유하고 있는 상태 정보는,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의 ID,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의 속도 정보,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의 진행방향 또는,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가 위치한 도로의 명칭 또 는 도로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검색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상태 정보가 복수의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타겟 메쉬 포인트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타겟 메쉬 포인트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검색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디스플레이;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 검색 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메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차량과 메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속하는 다른 메쉬 포인트와 접속한 후,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가 보유하고 있는 상태 정보 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메쉬 포인트는,
    상기 사용자 차량과 직접적으로 메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메쉬 포인트는,
    주차장, 은행, 호텔, 또는 주유소를 포함하며,
    상기 타겟 메쉬 포인트가 주차장인 경우,
    상기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차량수 또는 주차 요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가 보유하고 있는 상태 정보는,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 자신의 상태 정보와,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가 또 다른 메쉬 포인트와 메쉬 통신을 수행하여 이미 획득한 상기 또 다른 메쉬 포인트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가 보유하고 있는 상태 정보는,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의 ID,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의 속도 정보,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의 진행방향 또는, 상기 다른 메쉬 포인트가 위치한 도로의 명칭 또는 도로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0. 제15항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상태 정보가 복수의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타겟 메쉬 포인트의 리스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타겟 메쉬 포인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타겟 메쉬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70119621A 2007-11-22 2007-11-22 메쉬 통신을 이용한 지능형 경로 탐색방법과 주변 검색방법및 단말기 KR101358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621A KR101358596B1 (ko) 2007-11-22 2007-11-22 메쉬 통신을 이용한 지능형 경로 탐색방법과 주변 검색방법및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621A KR101358596B1 (ko) 2007-11-22 2007-11-22 메쉬 통신을 이용한 지능형 경로 탐색방법과 주변 검색방법및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012A KR20090053012A (ko) 2009-05-27
KR101358596B1 true KR101358596B1 (ko) 2014-02-04

Family

ID=4086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621A KR101358596B1 (ko) 2007-11-22 2007-11-22 메쉬 통신을 이용한 지능형 경로 탐색방법과 주변 검색방법및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5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338B1 (ko) 2021-05-18 2022-12-2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설 내 길안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579A (ko) * 2004-06-25 2005-12-29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애드-혹 네트워킹을 이용한 교통정보 교환장치 및 방법
US20070032245A1 (en) * 2005-08-05 2007-02-08 Alapuranen Pertti O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KR20070057607A (ko) * 2005-12-01 2007-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타인 차량 단말기 및 기지국과 무선통신하기 위한 차량단말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579A (ko) * 2004-06-25 2005-12-29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애드-혹 네트워킹을 이용한 교통정보 교환장치 및 방법
US20070032245A1 (en) * 2005-08-05 2007-02-08 Alapuranen Pertti O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KR20070057607A (ko) * 2005-12-01 2007-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타인 차량 단말기 및 기지국과 무선통신하기 위한 차량단말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012A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2643B2 (en) Road traffic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US96645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routine driving information
US84576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satellite assistance services
KR101177386B1 (ko) 교통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장치
US8150609B2 (en) Method of selecting route and terminal thereof
US8527194B2 (en) Portable navigation device,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radio data system information therefor
KR101552932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 및 그 단말기
JP2016535277A (ja) トラフィックフローを最適化する経路の生成
US7822544B2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KR20070077020A (ko)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542851B (zh) 车载景点解说装置、景点解说系统以及车载景点解说方法
KR20060119680A (ko)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1082967A (ja) 交通情報の要求と処理のための方法
WO2008106242A2 (en) Route shaping systems and methods
JP2013118521A (ja) 車両用装置及び楽曲取得システム
WO2008047870A1 (fr) Dispositif de communication de diffusion, dispositif de terminal de réseau, dispositif de relais de distribution, procédé de communication de diffusion, programme de communication de diffusion et support d&#39;enregistrement
JP2007019920A (ja) 移動型放送受信装置、および受信状態算出装置
KR101358596B1 (ko) 메쉬 통신을 이용한 지능형 경로 탐색방법과 주변 검색방법및 단말기
JP2007183216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におけるモード制御方法
KR20060081165A (ko) 위성 디엠비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
JP3864734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情報提供装置、および通信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のサービス提供方法
WO2010081564A1 (en) Electronic apparatus, channel usage data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of setting a radio data system communications unit
JP3980770B2 (ja) 放送型情報提供システム
CN101995260A (zh) 导航装置、数据处理装置及地理图像信息应用方法
JP2004343618A (ja) 車載用電子機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