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595B1 - Device for harvesting fruit - Google Patents
Device for harvesting fru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8595B1 KR101358595B1 KR1020120092061A KR20120092061A KR101358595B1 KR 101358595 B1 KR101358595 B1 KR 101358595B1 KR 1020120092061 A KR1020120092061 A KR 1020120092061A KR 20120092061 A KR20120092061 A KR 20120092061A KR 101358595 B1 KR101358595 B1 KR 1013585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uit
- inlet
- storage unit
- worker
-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1/00—Devices for hanging-up harvested frui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실 수확기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과실을 다량으로 수확할 때 과실의 수집과 일시 저장이 용이하게 되는 과실 수확기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harvester. More specifically,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fruit harvester that facilitates the collection and temporary storage of fruit when the worker harvests a large amount of fruit.
과실 수확에 투여되는 인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과실을 수확하는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높아야 한다. 작업자는 여러 작업 동작을 거쳐 하나의 과실을 수확하게 되는데,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작업자의 작업 동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To reduce the manpower for fruit harvesting, the worker harvesting fruit must be efficient. The worker harvests a single fruit through several working oper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of the worker, the working operation of the worker must be efficiently performed.
작업자의 작업 동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서는 긴 장대가 부착된 수확용 가위와 같은 채과 장치 기술이 있다. 과실이 통상 높은 곳에 맺히게 되고, 이를 수확하기 위해 작업자는 사다리를 설치하고 이를 오르고 내리는 불편이 있는데, 이러한 긴 장대가 부착된 수확용 가위를 사용하게 되면 사다리를 이용하지 않고 빠르게 높은 곳의 과실을 채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a technique for efficiently operating a worker's work, there is a device device such as a harvesting shear with a long pole attached. The fruit is usually formed in a high place, and in order to harvest it, the worker is inconvenient to install a ladder and climb it up and down. When using the harvesting scissors with such a long pole, the fruit is quickly picked up without using a ladder.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그런데, 이러한 기술들은 대부분 과실을 채집하는 동작에서의 효율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고 채집한 과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혹은 이렇게 일시 저장한 과실을 원하는 곳에 이동시키기 위한 기술은 많지 않다. 이런 것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들은 대부분 일시 저장 용기로서 단순한 바구니와 같은 형태의 것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을 사용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채집한 과실을 바구니로 낙하시키면 바구니와의 충격으로 과실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과실이 바구니 밖으로 튕겨져나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주의를 기울여서 과실을 바구니에 담아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그만큼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6975에 개시되어 있다.However, these techniques are mostly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in the operation of collecting fruit, and there are not many techniques for temporarily storing the collected fruit or moving the temporarily stored fruit to a desired place. Most commonly used techniques in this regard provide temporary storage containers in the form of simple baskets. In this technique, when the worker drops the collected fruit into the basket, the damage to the fruit is caused by the impact of the basket. There may be a problem that occurs or the fruit is thrown out of the basket because the worker has to pay attention to the fruit in the bask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is less.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36975.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채집한 과실이 작업자의 손에서 자연스럽게 낙하하여 일시적으로 한 곳에 저장되고 또한 작업자가 일시 저장되는 과실을 용이하게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과실 수확기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n this contex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for a fruit harvester in which the collected fruit falls naturally from the worker's hand and is temporarily stored in one place and the worker can easily hold the temporarily stored fruit. .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보다 하부가 좁은 기둥 모양을 이루면서 과실이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를 고정하면서 상기 유입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과실을 일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저장부가 작업자의 몸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해 주는 끈부; 및 상기 유입부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낙하되는 상기 과실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과실이 유입부 몸체로 흘러들어가도록 아래가 좁은 뿔 형태를 이루는 모움망을 포함하는 과실 수확기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let for providing a path through which fruit is formed while forming a pillar shape narrower than an upper part; A storage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the fruit delivered through the inlet while fixing the inlet; A strap portion which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reservoir and allows the reservoir to be attached to a body of an operator; And a mesh for protecting the fruit fall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let to be dropped from the impact, and having a collecting net having a narrow horn shape so that the fruit flows into the inlet bod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자연스럽게 낙하시킨 과실이 일시적으로 한 곳에 저장되고 더욱 많은 과실을 작업자가 보유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uit naturally dropped by the worker is temporarily stored in one place and the worker can hold more fruits, there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확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확기의 배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관의 내부 구조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와 유입부의 결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uit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eft side view of the fruit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the fruit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n illustr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ischarge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upling diagram of the storage unit and the inl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확기(100)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1을 참조하면, 과실 수확기(100)는 저장부(110), 유입부(120), 끈부(130, 1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과실 수확기(100)는 압력 완화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각각의 구성의 연결 관계를 살펴 보면, 유입부(120)의 일부는 저장부(110) 내부로 삽입되면서 저장부(11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압력 완화판(150)은 저장부(110)와 연결되면서 저장부(110)와 작업자 사이에 설치된다. 끈부를 구성하는 어깨끈(130)과 허리끈(140)은 압력 완화판(150)에 연결됨으로써 저장부(110)와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Looking at the connection of each configuration, a portion of the
압력 완화판(150)은 저장부(110) 혹은 유입부(120)로부터 작업자의 몸으로 전달되는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실시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압력 완화판(150)이 생략되는 경우, 끈부를 구성하는 어깨끈(130)과 허리끈(140)은 저장부(1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The
이렇게 끈부는 저장부(110)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면서 저장부(110)가 작업자의 몸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해 준다.In this way, the strap portion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도 1에서 끈부(130, 140)는 어깨끈(130)과 허리끈(140)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실시 형태에 따라 끈부는 어깨끈(130)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허리끈(140)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FIG. 1,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확기의 좌측면도이다.2 is a left side view of the fruit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압력 완화판(150)의 몸체와 저장부(110)의 몸체 사이에 이격 거리가 있는데, 본 발명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압력 완화판(150)의 몸체와 저장부(110)의 몸체가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re is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ody of the
압력 완화판(150)이 탈부착될 수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와 같이 압력 완화판(150)의 몸체와 저장부(110)의 몸체 사이에 약간의 이격 거리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압력 완화판(150)에는 어깨끈(130)이 연결되어 있고, 압력 완화판(150)은 저장부(110)의 하부에 탈부착되게 된다. 작업자가 단순히 허리끈(140)만을 이용하여 저장부(110)의 무게를 지탱하고 작업을 하고자 할 때 압력 완화판(150)을 탈착시킬 수 있는 실시예이다.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과실이 많아지면 그 무게를 작업자의 몸에 균형 있게 분포시키는 것이 좋다. 그러한 측면에서는 어깨끈(130)과 허리끈(140)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어깨끈(130)으로 많은 하중이 전달되는 경우 도 2와 같이 압력 완화판(150)의 몸체와 저장부(110)의 몸체가 이격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압력 완화판(150)에 저장부(110)를 밀착시켜 배낭과 같은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fruit stored i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확기의 배면도이다.3 is a rear view of the fruit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압력 완화판(150)은 작업자의 몸과 맞닿는 부분에 가슴판(151)을 더 부착하고 있을 수 있다. 가슴판은 압력완화부재로 구성되며, 압력완화부재는 스펀지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완화해주는 것으로서 스펀지 뿐만 아니라 고무, 공기가 들어 있는 에어캡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어깨끈(130)도 작업자의 어깨와 맞닿는 부분에 어깨판(131)을 더 부착하여 작업자의 어깨로 전달되는 압력이 완화되도록 할 수 있다.
어깨끈(130)은 또한 끈 길이 조절 장치(132)를 더 포함하여 작업자가 체형에 맞게 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허리끈(140)도 마찬가지로 끈 길이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10)의 사시도이다.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저장부(110)는 유입부(120)를 고정하면서 유입부(120)를 통해 전달되는 과실을 일시 저장하는 것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저장부(110)는 몸체(410), 배출통(420), 저장망(430), 개폐구(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몸체(410)는 유입부(120)를 통해 전달되는 과실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과실 저장 공간을 형성한다. 몸체(410)는 플라스틱과 같은 다소 견고한 소재로 구성되면서 저장부(110)가 항상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10)로 유입부(120)를 투입하기 용이해 진다. 이와 달리 몸체(410)는 천과 같이 유연한 소재로 구성될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천과 같이 유연한 소재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에 비해 가볍기 때문에 이 경우 저장부(110) 자제의 무게가 가벼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부(110)의 몸체(4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력 완화판(150)에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천과 같은 유연한 소재를 사용하더라도 견고한 틀을 유지하는 압력 완화판(150)과 결합하여 저장부(110)가 일정한 형태의 저장 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몸체(410)의 하부에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저장부(110) 몸체(410)에 일시 저장된 과실을 원하는 용기로 낙하 유도하는 배출통(420)이 연결될 수 있다. 배출통(420)의 상부는 깔대기 모양으로 되어 있고, 하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몸체(410)에 일시 저장된 과실을 배출통(420) 하부의 파이프로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The lower part of the
배출통(420)에는 배출관(450)이 더 연결될 수 있다. 배출관(450)은 긴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과실이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용기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배출통(420)을 통해 전달되는 과실을 원하는 용기로 최종 전달하게 된다. 배출관(450)을 구성하는 유연한 소재로는 천이 사용될 수 있고, 합성수지류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관(450)은 PVC(Polyvinyl chloride)로 구성되어 과실이 배출되는 견고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배출관(450)은 천으로 구성되어 과실이 배출되는 과정에서의 낙하 충격을 완화시키는 유연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관(450)의 내부 구조 예시도이다.Figure 4b is an illustr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도 4b를 참조하면, 배출관(450) 안에 대나무 마디처럼 충격 흡수판(451a, 451b, 451c)이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 흡수판(451a, 451b, 451c)을 통해 낙하하는 과실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a plurality of
충격 흡수판(451a, 451b, 451c)은 배출관(450) 안쪽에 일정 거리를 두고 관의 직경과 같은 원형의 천을 오려서 배출관 하단으로 일정한 각(예, 70-80도)을 두고 직경의 절반 정도(예, 1/2에서 2/3사이) 둘레를 바느질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충격 흡수판(451a, 451b, 451c)에 의해 낙하되는 과실은 마디(충격 흡수판)에 잠깐 머물면서 충격이 흡수된다. 다음 마디에는 반대방향에 마디를 만들면 과실이 지그재그로 떨어지면서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The
저장망(430)은 유연한 망을 소재로 하여 구성되어 유입부(120)의 하부를 통해 낙하하는 과실의 충격이 완화되도록 한다.
저장망(430)에는 개폐구(44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개폐구(440)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개폐가 조절되는 것으로서 개폐구(440)가 닫힌 상태에서 저장망(430) 상단에 과실이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게 하고, 개폐구(440)가 열린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저장된 과실이 배출통(420)을 통해 용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Opening and
이러한 개폐구(440)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다른 개폐구(425)가 배출통(420) 말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장망(430)에 형성되어 있는 개폐구(440)는 항시 열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출통(420)을 통해 과실이 배출되는 것은 배출통(420) 말단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개폐구(425)를 통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ther openings and
배출통(420)은 유연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유연한 소재로는 합성수지로서 고무, 플라스틱 또는 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배출통(420)이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면 배출통(420)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개폐구(425)는 배출통(420) 말단을 구부리거나 비틀어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배출통(420)이 유연한 소재 중에 섬유로 구성되는 경우 배출통(420)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개폐구(425)는 배출통(420) 말단을 묶어서 개폐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10)와 유입부(120)의 결합도이다.5 is a coupling diagram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유입부(120)는 저장부(1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유입부(120)의 외면 중 일부가 저장부(110)의 내면 중 일부와 맞닿으면서 저장부(110) 내부에서 고정된다. 유입부(120)의 하부는 저장부(110)의 저장망(430)과 맞닿게 설치되면서 유입부(120)의 하부를 통해 저장망(430)으로 전달되는 과실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아준다.
Referring to FIG. 5,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120)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도 6을 참조하면, 유입부(120)는 모움망(610), 몸체(620), 압축 스프링(630), 높이조절 끈(6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모움망(610)은 유입부(120)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낙하되는 과실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망으로 구성되며 과실이 유입부(120) 몸체(620)로 흘러 들어 가도록 아래가 좁은 뿔 형태를 이룬다.Gathering net 610 is composed of a net for protecting the fruit falling from being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작업자가 수확한 과실을 자연스럽게 모움망(610)으로 낙하시키면 과실은 모움망(610)과 부딪치면서 낙하 충격이 흡수되고 모움망(610)의 뿔 형태를 따라 유입부(120)의 몸체(620)로 흘러 들러가게 된다. 이러한 모움망(610)의 구조로 인해 작업자는 수확한 과실을 일일이 바구니에 담을 필요없이 수확한 위치에서 과실을 자연스럽게 아래로 낙하시키면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향상되게 된다.When the worker drops the harvested fruit to the collecting net 610 naturally, the fruit hits the collecting net 610 and the drop shock is absorbed and the
유입부(120)의 몸체(620)는 상부보다 하부가 좁은 기둥 모양을 이루면서 과실이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몸체(620)의 상부와 하부의 테두리를 따라 고정틀이 형성되면서 입구와 출구를 일정 형상으로 유지시켜 준다.The
몸체(620)는 천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압축 스프링(630)이 천에 바느질된 형태로 몸체(620)의 내부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몸체(620)는 스스로 기둥 모양을 이루게 된다. 물론, 유입부(120)의 몸체(620)의 소재가 천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압축 스프링(630)으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몸체(620)가 신축적이고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높이조절 끈(640)은 유입부(1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높이조절 끈(640)을 풀어주면 압축 스프링(630)이 팽창하면서 유입부(120)의 높이를 높혀주고 높이조절 끈(640)을 줄여주면 압축 스프링(630)이 압축되면서 유입부(120)의 높이를 낮춰준다. 이러한 구조로 작업자는 쉽게 유입부(120)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높이조절 끈(640)이 하나 있는 걸로 도시되고 있으나, 몸체(620)의 반대편으로 대칭되는 높이조절 끈(640)이 하나 더 설치되어 유입부(120)가 좌우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igure 6 is shown that there is a
유입부(120)의 상부는 작업자의 손의 움직임 범위에서 낙하하는 과실을 받을 수 있어야 하므로, 앞뒤축보다 좌우축이 긴 타원형의 구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확기(100)의 사용예를 살펴 보면, 작업자는 저장부(110)가 가슴 앞 쪽으로 위치하도록 어깨끈(130)과 허리끈(140)을 착용한다. 유입부(110)는 작업자의 배꼽 부분과 가슴 부분의 사이에 해당되는 높이 중에서 수확한 과실의 양을 고려하여 그 높이를 조절한 후 저장부(110) 내부로 삽입시키고 고정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과실 나무에서 과실을 수확하면서 자연스럽게 수확한 과실을 유입부(120)의 상부에 부착된 모움망(610)으로 낙하시켜 과실이 저장부(110)의 저장망(430)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도록 한다. 이러한 채과 작업을 반복 수행하여 다수의 과실이 저장부(110)에 저장되면, 저장부(110)의 저장망(430) 혹은 배출통(420)에 형성된 개폐구(440)를 조절하여 과실을 용기로 이동시킨다. 이때, 배출통(420)에는 배출관(450)을 연결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Looking at the use example of the
이러한 사용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과실을 수확함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과실을 낙하시키기만 하면 과실이 저장부(110)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게 된다. 또한, 저장부(110)에 저장된 과실은 배출통(420) 및 배출관(450)을 통해 용기로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결국 작업자는 수확한 과실의 낙하시키는 단순한 동작으로 과실을 원하는 용기에 담을 수 있어 작업 능률이 월등하게 향상되게 된다.As can be seen in this use example, the worker harvests the fruit and, at the same time, simply drops the fruit, and the fruit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또한 과실 수확기(100)는 어깨끈(130) 및 허리끈(140) 구비한 배낭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작업자는 수확한 과실의 무게를 몸으로 지탱하게 됨으로써 더욱 많은 과실을 더욱 쉽게 보유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In addition, th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상기 유입부를 고정하면서 상기 유입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과실을 일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저장부가 작업자의 몸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해 주는 끈부; 및
상기 유입부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낙하되는 상기 과실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과실이 유입부 몸체로 흘러들어가도록 아래가 좁은 뿔 형태를 이루는 모움망을 포함하되,
상기 유입부에서,
몸체는 천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압축 스프링이 설치되어 스스로 기둥 모양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확기.
An inlet that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fruit is introduced while forming a pillar shape narrower than an upper part;
A storage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the fruit delivered through the inlet while fixing the inlet;
A strap portion which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reservoir and allows the reservoir to be attached to a body of an operator; And
It is composed of a net for protecting the fruit falling from being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let from impact and forming a narrow horn-shaped net so that the fruit flows into the inlet body,
At the inlet,
The body is composed of a cloth and the inside of the body is a compression spring is installed, the fruit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column by itself.
상기 저장부 혹은 상기 유입부로부터 작업자의 몸으로 전달되는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저장부와 상기 작업자 사이에 설치되는 압력 완화판을 더 포함하는 과실 수확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ressure relief plate installed between the storage unit and the worker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to relieve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storage unit or the inlet to the body of the worker.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연결되면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저장부 몸체에 일시 저장된 상기 과실을 원하는 용기로 낙하 유도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과실 수확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ischarge pip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storage part and configured to have a pipe shape to drop the fruit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body to a desired container.
상기 배출관은 내부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충격 흡수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확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charge pipe is a fruit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hock absorbing plat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in.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몸체에는 두 개의 높이조절 끈이 더 설치되어 상기 유입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확기.
The method of claim 1,
At the inlet,
Two height adjustment straps are further installed on the bod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inlet.
상기 유입부의 상부는 앞뒤축보다 좌우축이 긴 타원형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확기.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portion of the inlet is a fruit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axes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axis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2061A KR101358595B1 (en) | 2012-08-23 | 2012-08-23 | Device for harvesting fru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2061A KR101358595B1 (en) | 2012-08-23 | 2012-08-23 | Device for harvesting fru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8595B1 true KR101358595B1 (en) | 2014-02-04 |
Family
ID=5026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2061A KR101358595B1 (en) | 2012-08-23 | 2012-08-23 | Device for harvesting fru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8595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31024U (en) * | 1984-07-31 | 1986-02-25 | 克正 黒木 | Citrus harvest transportation equipment |
JPH0365112A (en) * | 1989-08-02 | 1991-03-20 | Torao Inoue | Harvesting and conveying tool for fruit |
JP2010522682A (en) | 2007-03-26 | 2010-07-08 | ピッカー・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 Transport system for fruits and similar objects |
-
2012
- 2012-08-23 KR KR1020120092061A patent/KR10135859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31024U (en) * | 1984-07-31 | 1986-02-25 | 克正 黒木 | Citrus harvest transportation equipment |
JPH0365112A (en) * | 1989-08-02 | 1991-03-20 | Torao Inoue | Harvesting and conveying tool for fruit |
JP2010522682A (en) | 2007-03-26 | 2010-07-08 | ピッカー・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 Transport system for fruits and similar objec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1964B1 (en) | Apron for yielding fruit | |
BR102016013629B1 (en) | FRUIT PICKER | |
KR101358595B1 (en) | Device for harvesting fruit | |
CN206760107U (en) | A kind of fruit picker and fruit picking equipment | |
KR20130035632A (en) | Fruit harvester | |
JP2015144577A (en) | Seed collecting device and seed collecting method and greening method using it | |
US3494116A (en) | Grass catcher with tensionable suspension means | |
KR102266597B1 (en) | A bag module for fruit harvesting apparatus | |
US719810A (en) | Fruit-picker's receptacle. | |
CN206402724U (en) | A kind of cotton pollen harvester | |
KR101252754B1 (en) | Bag for protecting a fluits | |
KR20120045975A (en) | Pulley fence with net against typhoon | |
CN110959382A (en) | Forest fruit mechanical vibration harvester | |
CN207118478U (en) | A kind of swarmming group negative pressure catching equipment | |
CN213074156U (en) | Protector is used in gardens maintenance | |
CN210726440U (en) | Collecting device for mature larvae of Bactrocera dorsalis | |
KR102050905B1 (en) | Shovel loader type apron basket for yielding agricultural products | |
CN207706714U (en) | A kind of anti-block apparatus of groundnut picker | |
CN209185075U (en) | A kind of high fruit plucker | |
CN108718696A (en) | Various fruits acquire auxiliary device | |
KR101157085B1 (en) | Halving the raspberry harvest unit having a structure | |
RU86388U1 (en) | DEVICE FOR MANUALLY COLLECTING FRUITS AND BERRIES | |
KR101300932B1 (en) | fruit harvester | |
KR200495393Y1 (en) | Integrated threshing mat | |
KR102204445B1 (en) | Multi-functional convenience basket for agricul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