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395B1 -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 - Google Patents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395B1
KR101358395B1 KR1020120132203A KR20120132203A KR101358395B1 KR 101358395 B1 KR101358395 B1 KR 101358395B1 KR 1020120132203 A KR1020120132203 A KR 1020120132203A KR 20120132203 A KR20120132203 A KR 20120132203A KR 101358395 B1 KR101358395 B1 KR 101358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length
variable
signal
grating
tun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기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시스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시스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시스템스
Priority to KR1020120132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01Structural aspects
    • H04B10/503Laser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H04B10/2513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due to chromatic dispersion
    • H04B10/2513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due to chromatic dispersion using pulse shaping at the transmitter, e.g. pre-chirping or dispersion supported transmission [D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72Wavelength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공진기 필터 대신, 필터의 특성을 쉽게 가변할 수 있으며, 레이저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처핑을 제거할 수 있는 열광학 폴리머 가변격자를 이용함으로써, 레이저의 선폭을 매우 용이하게 줄일 수 있는 레이저 송신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득매질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는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를 포함하는 가변파장 광원부;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중심파장 조절을 위한 파장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반사율이 최대가 되도록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변파장 광원부의 출력에서 "0" 을 나타내는 광 신호 파장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기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득매질을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가변파장 광원부의 이득매질로 "0" 과 "1" 로 구성된 디지털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구동부; 및 상기 가변파장 광원부,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 및 신호 구동부의 동작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CHIRPING REMOVING AND WAVELENGTH TUNABLE LASER TRANSMITTER USING THERMO OPTIC POLYMER TUNABLE GRATING}
본 발명은 광 통신용 레이저 송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처핑을 제거하여 광 선로를 통하여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며, 동시에 파장가변 기능도 제공하는 레이저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의 발달은 정보를 전달하는 광 통신 기술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광 통신은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바꾸어서 광 선로를 통하여 주고 받는 기술이다. 정보시대의 시작 이래,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나날이 급증하기 때문에, 초당 더 많은 데이터를 더 멀리 보내는 연구와 기술 개발이 계속 진행 중이다.
단위 시간당 더 많은 데이터를 더 멀리 보내기 위해서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바꾸어주는 레이저 송신기의 성능이 중요하다. 레이저의 성능을 나타내는 척도 중에 선폭(linewidth)이 있다. 선폭이란, 레이저가 출력 광이 얼마나 단색에 가까운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선폭의 차이가 있는 두 레이저 송신기를 사용하여 광 펄스를 광 선로에 입사했을 때 광 펄스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 1 에 도시하였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폭이 넓은 레이저 송신기(a)는 선폭이 좁은 레이저 송신기(b)에 비하여 광 펄스의 모양이 매우 퍼지는 현상을 보여준다.
이렇게 광 펄스가 광 선로를 따라 진행할 때, 광 펄스의 폭이 퍼지는 현상을 분산(dispersion)이라고 하며, 레이저 송신기의 선폭이 크면 클수록 분산 효과도 크게 나타나게 된다.
분산효과 크게 나타나면, 즉, 광 펄스의 모양이 퍼지게 된다.
도 2 는 분산효과에 의하여 광통신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분산효과에 의하여 광 펄스의 폭이 커지게 되면, 인접한 펄스와 겹치게 되기 때문에, 도 2 의 (a) 에서 데이터 "0"이 "1"로 잘못 판단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나쁜 분산 효과를 줄이기 위하여 최근에 제시된 방법으로서, 처핑관리 직접 변조 레이저(Chirp-Managed Directly Modulated Laser, '이하 CML'), (IEEE Photonics Technology Letter, Vol. 18, No. 2, January 15, 2006, pp.385-387)(이하, '선행문헌 1') 이 있다.
'처핑'은 레이저에 전기신호를 가할 때, 레이저 고유의 선폭이 커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선행문헌에서 제시하는 방식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공진기 필터(multi-cavity periodic filter)를 사용하여 데이터 "0"인 광신호의 주파수 성분과 데이터 "1"인 광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다중공진기 필터를 통과시켜서 데이터 "0"인 광신호 성분을 가능한 한 억제함으로써 광신호의 선폭을 줄이는 방식이다. 광신호의 선폭이 줄어들게 되면, 분산효과가 적어져서 장거리 전송이 가능해 진다.
선행문헌 1은 분산효과를 억제하는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산업적으로 구현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첫 번째로, 직접변조 레이저의 광파장과 다중공진기 필터의 투과파장을 일치시키기가 어렵다. 두 소자의 파장 특성을 일치시키는 가장 용이한 방법은 직접변조 레이저의 동작온도를 변화시키는 것인데, 동작온도를 바꾸어주면, 다중공진기 필터의 특성도 동시에 변하게 된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하나의 펠티어 쿨러(Peltier Cooler) 기판 위에 직접변조 레이저와 다중공진기 필터가 실장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중공진기 필터를 온도변화와 무관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나, 이것은 제작 원가 상승을 불러온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직접변조 레이저와 다중공진기 필터를 열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인데, 이것 또한 펠티어 쿨러를 두 개 이상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 원가 상승을 불러온다.
두 번째로, 선행문헌 1의 발명은 최근에 시장에서 많이 요구되는 파장 가변 레이저 송신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직접변조 레이저의 광파장을 바꾸기 위해서는 동작온도를 바꾸어야 하는데, 이것은 출력파워의 변동을 야기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파장가변 레이저 송신기 분야에서는 온도변화로 파장을 바꾸는 방식을 사용하지 못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Tunable Chirp Managed Laser(IEEE Photonics Technology Letter, Vol. 20, No. 2, January 15, 2008, pp. 108-110)(이하, '선행문헌 2') 에서는 여러 개의 레이저 소자를 하나의 패키지로 집적화하여 각각의 레이저 소자가 좁은 영역의 온도변화만 감당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 방법은 여러 개의 레이저 소자를 사용함으로 비용 증가를 피할 수 없고 전체 송신기의 크기가 커진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상기와 같은 어려움으로 인하여, CML은 실험실 환경에서는 좋은 성능을 보여 주지만, 상업적으로는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공진기 필터 대신, 필터의 특성을 쉽게 가변할 수 있으며, 레이저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처핑을 제거할 수 있는 열광학 폴리머 가변격자를 이용함으로써, 레이저의 선폭을 매우 용이하게 줄일 수 있는 레이저 송신기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레이저 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레이저 소자만을 사용하면서도, 파장 가변 및 처핑 제거에 따른 선폭 줄임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득매질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는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를 포함하는 가변파장 광원부;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중심파장 조절을 위한 파장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반사율이 최대가 되도록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변파장 광원부의 출력에서 "0" 을 나타내는 광 신호 파장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기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득매질을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가변파장 광원부의 이득매질로 "0" 과 "1" 로 구성된 디지털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구동부; 및 상기 가변파장 광원부,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 및 신호 구동부의 동작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득매질은, 한쪽 면을 무반사 코팅(Anti Reflection Coating) 되어 있거나, 이득매질 자체만으로는 레이저 발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쪽 면이 빛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이상으로 절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중심파장 조절을 위한 파장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송신기가 출력하기를 원하는 파장에서 투과율이 최저, 반사율이 최대가 되도록 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신호 구동부를 통해 입력된 "0" 과 "1" 로 구성된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 및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는, 열광학 폴리머 재료를 사용하여 브래그 격자와 도파로가 구성되며, 상기 브래그 격자 상부에 구비되어, 가해지는 전류에 따라 열을 발생시켜 가변격자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히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 및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의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가변격자의 투과특성 또는 반사특성이 변화되며, 최저 투과 지점 또는 최대 반사 지점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득매질을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도록 신호 구동부를 제어하며, 중심파장 조절을 위한 파장 제어신호를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 및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처핑 또는 분산효과를 제거하기 위해서 파장 특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열광학 폴리머 기반 가변격자를 사용함으로써 처핑 제거 과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와 광 필터의 파장특성을 맞추기 위하여 레이저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폴리머 가변격자의 온도를 바꾸기 때문에, 레이저 소자의 온도를 바꿀 때 발생하는 광 출력 세기의 변화를 피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와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를 하나의 몸체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처핑 제거 기능과 파장가변 기능이 동시에 내장된 소형 레이저 송신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처핑이 제거되면서 동시에 파장도 가변되는 기능을 얻기 위해 많은 레이저 소자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송신기 구현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 은 광 파장 선폭에 따른 펄스 퍼짐 효과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2 는 분산효과에 의하여 광 통신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과정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3 은 다중 공진기 필터를 이용하여 광 신호의 선폭을 줄이는 종래의 방식에 관한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의 구조에 관한 전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광학 폴리머 가변격자의 구조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온도 변화에 따른 가변격자의 투과특성(또는 반사특성)에 관한 그래프.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득매질, 가변 파장용 가변격자 및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를 배열한 모습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파장용 가변격자 및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의 파장 영역 배치와 광 신호의 파장 배치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구동부의 디지털 신호 인가 전, 후의 디지털 신호를 보이는 그래프.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장가변 기능이 필요 없는 송신기를 보이는 일예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에 관하여 도 4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이하, '송신기')의 구조에 관한 전체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파장 광원부(100),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200), 신호 구동부(300), 제어부(400) 및 동작조건 저장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변파장 광원부(100)는 이득매질(110)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는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득매질(110)은 한쪽 면을 무반사 코팅(Anti Reflection Coating) 되어 있거나, 이득매질 자체만으로는 레이저 발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쪽 면이 빛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이상으로 절단되어 있다.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120)는 제어부(400)로부터 수신된 중심파장 조절을 위한 파장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송신기가 출력하기를 원하는 파장에서 투과율이 최저가 되도록 즉, 반사율이 최대가 되도록 온도를 조절한다. 그 조건에서, 신호 구동부(300)를 통해 입력된 "0" 과 "1" 로 구성된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는다.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200)는 제어부(400)로부터 수신된 중심파장 조절을 위한 파장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반사율이 최대가 되도록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변파장 광원부(100)의 출력에서 "0" 을 나타내는 광 신호 파장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신호 "1" 을 나타내는 광신호의 파장에서는 가변격자의 투과율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1" 신호의 세기는 줄어들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가변격자, 즉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120)와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200)의 중심파장을 조절함으로써, 송신기의 선폭을 줄일 수 있다.
한편, 가변파장 광원부(100)의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120)와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200)는 그 구조 및 동작원리는 동일하다.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12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5 참조).
가변격자는, 온도에 따라 굴절율 변화가 큰 열광학 폴리머 재료를 사용하여 브래그 격자(Bragg Grating)(121)와 도파로(122)가 구성된다. 브래그 격자(121) 위에 위치한 히터(123)에 전류를 가해서 열이 발생하면, 가변격자의 온도가 변하게 된다. 온도가 변하면 폴리머의 물성이 바뀌어서 가변격자의 파장 특성이 바뀌게 된다.
도 6 은 히터의 온도 변화에 따른 가변격자의 투과특성(또는 반사특성)에 관한 그래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격자의 온도가 바뀌면, 그에 따라 최저 투과 지점 또는 최대 반사 지점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이러한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120)와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200)를 무반사 코팅된 이득매질(110)과 함께 배열한 모습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 의 (a) 는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120)와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200)가 분리되어 있는 형태이다. 반면, 도 7 의 (b) 는 합쳐져 있는 형태이다. 두 가지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지만, 제작 공정의 편리함과 공정의 경제성은 도 7 의 (b) 형태가 더 우수하다.
신호 구동부(3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전기 신호원(1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득매질(110)을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가변파장 광원부(100)의 이득매질(110)로 "0" 과 "1" 로 구성된 디지털 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400)는 가변파장 광원부(100),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200) 및 신호 구동부(300)의 동작조건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전기 신호원(1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득매질(110)을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도록 신호 구동부(300)를 제어하며, 중심파장 조절을 위한 파장 제어신호를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120) 및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200)로 각각 전송한다.
동작조건 저장부(500)는 상기 제어부(400)를 통해 제어되는 동작조건을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송신기의 작동양상을 바탕으로 송신기의 기능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120)와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200)의 파장 특성이 도 8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도록 각각의 가변격자의 온도를 조절한다.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120)는 송신기가 출력하기를 원하는 파장에서 투과율이 최저가 되도록, 즉 반사율이 최대가 되도록 온도를 조절한다.
그 조건에서, 이득매질(110)에 신호 구동부(300)를 통하여 통해 이득매질(110)에 "0"과 "1"로 구성된 디지털 전기신호들을 가하면,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120)의 출력에서 본 광 스펙트럼은 도 8 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120)의 투과율이 최소가 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0"과 "1"의 광 신호 파장 성분이 거의 대칭을 이루어 배치되게 된다.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120)의 출력은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200)로 입력된다.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200)는 도 8 의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0"을 나타내는 광 신호 파장이 제거될 수 있도록 반사율이 최대가 되는 지점을 맞춘다.
디지털 신호 "1"을 나타내는 광 신호의 파장에서는 가변격자의 투과율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1" 신호의 세기는 줄어들지 않는다.
이렇게 두 개의 가변격자 즉,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120)와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200)의 중심파장을 조절함으로써 송신기의 선폭을 줄일 수 있다.
이 과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 9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0"과 "1"의 디지털 신호가 신호 구동부(300)를 거쳤을 때, "0"과 "1"의 신호에 충분히 큰 바이어스 전류가 더해진 형태(20)로 되어야 한다.
이렇게 해야만 디지털 신호 "0"에서도 도 8 의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0"에서 광 신호 성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기술한 과정을 거치면, 송신기의 선폭은 매우 좁아져서 분산효과가 획기적으로 감소하여 장거리 전송을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최적 상태를 얻기 위하여 이득매질의 온도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었다. 이득매질보다 온도 변화에 따른 파장변동이 더 큰 열광학 폴리머 가변격자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선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송신기의 파장도 원하는 대로 가변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로서,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반사 코팅되지 않은 일반 레이저 소자(a)와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200)를 사용함으로써 파장가변 기능이 필요 없지만 분산효과를 제거하고자 하는 송신기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가변파장 광원부 200: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
300: 신호 구동부 400: 제어부
500: 동작조건 저장부 110: 이득매질
120: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

Claims (6)

  1. 이득매질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는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를 포함하는 가변파장 광원부;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중심파장 조절을 위한 파장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변파장 광원부의 출력에서 "0" 을 나타내는 광 신호 파장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기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득매질을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가변파장 광원부의 이득매질로 "0" 과 "1" 로 구성된 디지털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구동부; 및
    상기 가변파장 광원부,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 및 신호 구동부의 동작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매질은,
    한쪽 면을 무반사 코팅(Anti Reflection Coating) 되어 있거나, 이득매질 자체만으로는 레이저 발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쪽 면이 빛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이상으로 절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중심파장 조절을 위한 파장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송신기가 출력하기를 원하는 파장에서 투과율이 최저, 반사율이 최대가 되도록 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신호 구동부를 통해 입력된 "0" 과 "1" 로 구성된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 및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는,
    열광학 폴리머 재료를 사용하여 브래그 격자와 도파로가 구성되며, 상기 브래그 격자 상부에 구비되어, 가해지는 전류에 따라 열을 발생시켜 가변격자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히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 및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의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가변격자의 투과특성 또는 반사특성이 변화되며, 최저 투과 지점 또는 최대 반사 지점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득매질을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도록 신호 구동부를 제어하며, 중심파장 조절을 위한 파장 제어신호를 파장 가변용 가변격자 및 처핑 제거용 가변격자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
KR1020120132203A 2012-11-21 2012-11-21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 KR101358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203A KR101358395B1 (ko) 2012-11-21 2012-11-21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203A KR101358395B1 (ko) 2012-11-21 2012-11-21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395B1 true KR101358395B1 (ko) 2014-02-04

Family

ID=5026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203A KR101358395B1 (ko) 2012-11-21 2012-11-21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3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230A (ko) * 2002-04-22 2004-12-02 퀸테선스 포토닉스 코오퍼레이션 초소형, 저비용 고전력 레이저 시스템
JP2009529782A (ja) 2006-04-20 2009-08-20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ド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チチュート 波長可変外部共振レーザ
KR20100135081A (ko) * 2009-06-16 2010-1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 장치
JP2012191044A (ja) 2011-03-11 2012-10-04 Sumitomo Electric Ind Ltd 半導体レーザ駆動制御回路及び半導体レーザ装置を駆動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230A (ko) * 2002-04-22 2004-12-02 퀸테선스 포토닉스 코오퍼레이션 초소형, 저비용 고전력 레이저 시스템
JP2009529782A (ja) 2006-04-20 2009-08-20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ド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チチュート 波長可変外部共振レーザ
KR20100135081A (ko) * 2009-06-16 2010-1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통신망 장치
JP2012191044A (ja) 2011-03-11 2012-10-04 Sumitomo Electric Ind Ltd 半導体レーザ駆動制御回路及び半導体レーザ装置を駆動す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3090B2 (ja) キャリア抑圧光パルス列発生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現するモード同期半導体レーザ
US7962045B2 (en) Optical transmitter having a widely tunable directly modulated laser and periodic optical spectrum reshaping element
US7907648B2 (en) Optical FM source based on intra-cavity phase and amplitude modulation in lasers
US20150316794A1 (en) Optical modulation apparatus, optical transmitt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optical modulator
JP7462554B2 (ja) コヒーレント送信システムのためのチューナブル・レーザー
US10355451B2 (en) Laser with sampled grat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US10236657B2 (en) Device and method for tuning a ring resonator using self-heating stabilization
US8867580B2 (en) Wavelength tunable laser
US10320152B2 (en) Tunable laser
US8885679B1 (en) Mode-hop free athermal laser
US9343869B1 (en) Mode-hop tolerant semiconductor laser design
US11705692B2 (en) Laser side mode suppression ratio control
SE506798C2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överföra signaler i en optofiber
US7639910B2 (en) Optical module and method of packaging the same
US9806820B2 (en) Optical transmitter and optical transmission method
Ward et al. Monolithic integration of AlInGaAs DS-DBR tunable laser and AlInGaAs MZ modulator with small footprint, low power dissipation and long-haul 10Gb/s performance
US20120113494A1 (en) Spectrum Sliced Photonic Signal Processor
KR101358395B1 (ko) 열광학 폴리머 가변 격자를 이용하여 처핑 제거 및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송신기
JP2010245122A (ja) 波長可変光源および狭線幅化方法
US10502901B2 (en) Tunable light source and optical module
JP6076921B2 (ja) 波長多重送信器
JP2012058432A (ja) 半導体ゲイン領域集積型マッハツェンダ変調器
US20230305355A1 (en)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and optical control apparatus
Ou et al. All-optical transversal filter with tap increasing and negative coefficients based on double-pass modulation
CN117060211A (zh) 可调谐激光器及光学半导体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