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536B1 -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 - Google Patents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536B1
KR101357536B1 KR1020110130632A KR20110130632A KR101357536B1 KR 101357536 B1 KR101357536 B1 KR 101357536B1 KR 1020110130632 A KR1020110130632 A KR 1020110130632A KR 20110130632 A KR20110130632 A KR 20110130632A KR 101357536 B1 KR101357536 B1 KR 101357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recompression
bar
tank
chamb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164A (ko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해양스포츠개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해양스포츠개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해양스포츠개발원
Priority to KR1020110130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5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64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61G10/026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for hyperbaric oxyge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4Oxygen tents ; Oxygen ho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14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10/0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 A61G2210/3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for intensive ca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14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 A61H2033/143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with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5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the user being at least partly surrounded by a pressure different from the atmospheric pressure
    • A63B2208/053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the user being at least partly surrounded by a pressure different from the atmospheric pressure high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5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the user being at least partly surrounded by a pressure different from the atmospheric pressure
    • A63B2208/056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the user being at least partly surrounded by a pressure different from the atmospheric pressure lower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수병에 걸렸을 경우 이를 치료할 수 있는 재압 챔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 영역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 둘레에 한 부분이 삽입통로가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챔버본체와, 상기 챔버본체의 하부 또는 둘레에 복수의 체결고리를 구비하는 챔버부;와, 상기 삽입통로에 끼워져 상기 개구의 형상을 유지하는 폴대;와, 상기 체결고리에 각각 연결되는 바(bar) 고정편;과, 상기 바 고정편에 끼워지는 재압 바(bar);와, 상기 재압 바에 설치되고 산소탱크 및 에어탱크 중 하나 이상을 고정하는 탱크고정부; 및 상기 챔버부 또는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되, 수중에서 상기 챔버본체의 내부에 산소 또는 공기를 채워 상기 챔버본체를 부풀려서 챔버본체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다이빙 시 다이버에게 잠수병이 발생하면, 가까운 수중에서 챔버본체를 부풀려서 감압 챔버룸을 형성한 후 다이버를 챔버본체 내부에 이동시켜 체온 유지와 음식물 및 음료 등을 섭취하고 잠수병을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Portable recompression chamber}
본 발명은 잠수병에 걸렸을 경우 이를 치료할 수 있는 재압 챔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고 감압 챔버룸을 수중에서 형성하여 잠수병을 치료할 수 있으며, 체온 유지, 음식물 및 음료 등을 섭취하고 감압할 수 있는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스쿠버다이빙 시 잠수병이 걸렸을 경우 감압 챔버룸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매우 한정적이다. 그 이유는 통영, 진해, 제주, 부산, 울진 지역에만 고압산소치료실이 배치되어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동형 감압챔버는 가격이 매우 비싸고 휴대가 곤란하며 운반이 어렵기 때문에 실제로 대형 공사현장 이외에는 사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잠수병을 고치기 위해서 고압산소치료실이 있는 장소로 환자를 수송하는 도중에 환자에게 호흡기, 림프계, 근골격계 및 중추신경계 등에 이상증상이 나타나서 만성 두통, 관절통, 어지럼증, 난청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고, 극심한 피로감 및 무기력감, 저림 또는 무감각증, 피부 질환 등이 발생하거나, 심하면 환자가 사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가능한 챔버본체를 포함하는 도구를 제작하여 다이빙 시 다이버에게 잠수병이 발생하면, 가까운 수중에서 챔버본체를 부풀려서 감압 챔버룸을 형성한 후 다이버를 챔버본체 내부에 이동시켜 체온 유지와 음식물 및 음료 등을 섭취하고 잠수병을 치료할 수 있는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영역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 둘레에 한 부분이 삽입통로가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챔버본체와, 상기 챔버본체의 하부 또는 둘레에 복수의 체결고리를 구비하는 챔버부;와,
상기 삽입통로에 끼워져 상기 개구의 형상을 유지하는 폴대;와,
상기 체결고리에 각각 연결되는 바(bar) 고정편;과,
상기 바 고정편에 끼워지는 재압 바(bar);와,
상기 재압 바에 설치되고 산소탱크 및 에어탱크 중 하나 이상을 고정하는 탱크고정부; 및
상기 챔버부 또는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되,
수중에서 상기 챔버본체의 내부에 산소 또는 공기를 채워 상기 챔버본체를 부풀려서 챔버본체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기 탱크고정부는,
가장자리가 상기 재압 바의 상단에 끼워지되 상기 재압 바에 대응하도록 절곡되고, 양단에 상기 산소탱크 및 상기 에어탱크가 끼워지는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탱크고정부는,
상기 산소탱크 및 상기 에어탱크가 상기 탱크고정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구의 끝단에 이탈방지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폴대는,
상기 챔버본체의 개구가 일정한 형태로 유지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폴대의 양단이 서로 끼워질 수 있다.
또, 상기 중량체는,
내부에 물을 채울 수 있는 박스, 병 또는 주머니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피가 작고 휴대가 용이하여 언제든지 수중에서 감압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이버에게 잠수병이 발생할 경우 즉시 대처가 가능하며 잠수병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중에서 형성된 공간에 머물러서 체온 유지를 통한 저체온증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물 및 음료 등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작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설치 및 해체가 빠르고 용이하여 수중에서 감압공간을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의 일부를 분해하여 저면이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는, 챔버부(1), 폴대(7), 바 고정편(2), 재압 바(3)(bar), 탱크고정부(4) 및 중량체(6)를 포함한다.
챔버부(1)는, 챔버본체(11) 및 체결고리(12)를 포함한다.
챔버본체(11)는, 대략 외력이 가해지면 쉽게 구부러지는 재질로 접히지만 늘어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고, 대략 하단이 개구된 구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 둘레에는 삽입통로(111)가 형성된다. 또한, 챔버본체(11)는 밖에서 안쪽이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통로(111)의 한 부분은 후술할 폴대(7)가 끼워지도록 절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챔버본체(11)는 내부에 산소 또는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려 사용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체결고리(12)는, 주지된 것으로 공공연히 실시되고 있는 가방 끈에 사용하는 고리 등이 사용되며, 챔버본체(11)의 하부 둘레에 체결고리(12) 2개가 각각 고정된다. 이에 따라, 후술할 바 고정편(2)의 연결고리(21)를 체결고리(12)에 걸어서 사용한다. 여기서, 체결고리(12)는 재압 바(3)의 위치가 챔버본체(11)와 가까워지도록 챔버본체(11)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정도 높이에 배치시켜 챔버본체(11)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폴대(7)는, 대략 원통형으로 탄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카본으로 형성되고, 둥근 고리형태가 되도록 어느 한쪽 끝단이 다른 쪽 끝단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폴대(7)는, 챔버본체(11)의 삽입통로(111)에 끼워져 챔버본체(11)의 하단이 둥근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바 고정편(2)은, 대략 가장자리가 관통되어 사각의 구멍이 형성된 직육면체로 2개의 세트가 마련되고, 상단 및 하단에는 연결고리(21)가 형성되며, 상단의 연결고리(21)가 체결고리(12)에 각각 끼워진다. 이에 따라, 바 고정편(2)은 연결고리(21)가 체결고리(12)에 끼워짐으로써 챔버본체(11)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재압 바(3)는, 대략 직육면체의 기다란 바(bar) 형태로, 바 고정편(2)이 챔버본체(11)에 설치된 상태에서 바 고정편(2)의 구멍에 각각 끼워서 고정한다. 이에 따라, 재압 바(3)는 바 고정편(2)에 끼워짐으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탱크고정부(4)는, 2세트가 마련되며, 재압 바(3)가 바 고정편(2)에 끼워진 상태에서 재압 바(3)의 상단에 끼워지도록 저면의 가장자리가 하향 개구된 "ㄷ"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단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이게 돌출된다. 그리고 탱크고정부(4)는, 하단 내측에는 걸림턱(42)이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단 전후에는 산소탱크(O.T) 및 에어탱크(A.T)가 끼워지도록 삽입구(41)가 형성되며, 삽입구(41)의 양 측단에는 이탈방지편(43)이 상향 돌출된다. 이에 따라, 탱크고정부(4)는 재압 바(3)가 설치된 상태에서, 탱크고정부(4)를 재압 바(3)의 상단에 끼운 후, 산소탱크(O.T) 및 에어탱크(A.T)를 삽입구(41)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탱크고정부(4)의 상단은 챔버본체(1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높게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중량체(6)는, 챔버본체(11)가 수중에서 부풀려진 상태에서 챔버본체(11)가 수면으로 떠오르지 않도록, 이에 대응하는 무게추 또는 물을 담을 수 있는 박스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바 고정편(2)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고리(21)와 연결하도록 중량체(6)의 상단에는 와이어(5)가 설치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서, 바 고정편(2)의 연결고리(21)와, 와이어(5)의 양 끝단에는 상술한 체결고리(12)와 같은 주지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중량체(6)와 와이어(5), 와이어(5)와 바 고정편(2)을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구들을 대략 수심 6m가 되는 해저로 본 발명의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와 산소탱크(O.T) 및 에어탱크(A.T)를 가지고 하강한다.
수심 6m의 해저에서 본 발명을 설하는 것은 산소 호흡 시 최대허용치인 산소 부분압(1.6pp)을 휴지하는 것이 재압 산소치료에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중량체(6)를 바닥에 배치한 후 폴대(7)를 챔버본체(11)의 삽입통로(111)에 끼운다.
폴대(7)가 설치되면 챔버부(1)의 체결고리(12)에 바 고정편(2)을 각각 연결한다.
바 고정편(2)이 체결고리(12)에 연결되면 중량체(6)의 와이어(5)를 바 고정편(2)에 각각 연결한다.
중량체(6)와 바 고정편(2)이 서로 연결되면 재압 바(3)를 바 고정편(2)의 구멍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을 조립하기 위해서 설치 순서는 상술한 순서로만 행하지 않고 조립순서는 바뀔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이 끝나면 바 고정편(2)에 2개의 산소탱크(O.T) 및 2개의 에어탱크(A.T)를 각각 설치한다. 이때, 산소탱크(O.T) 및 에어탱크(A.T)가 바 고정편(2)의 삽입구(41)에 끼워지면 산소탱크(O.T) 및 에어탱크(A.T)가 자중에 의해 내려가고, 이탈방지편(43)에 걸려서 산소탱크(O.T) 및 에어탱크(A.T)가 바 고정편(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산소탱크(O.T) 및 에어탱크(A.T)의 설치가 끝나면 산소탱크(O.T)의 밸브를 열고 산소를 챔버본체(11)의 내부로 주입시켜 챔버본체(11)를 부풀린다.
이때, 산소탱크(O.T) 및 에어탱크(A.T)가 챔버본체(11)의 외부에 배치되면 산소탱크(O.T) 및 에어탱크(A.T)로부터 배출되는 산소 및 공기가 챔버본체(11)의 밖으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산소탱크(O.T) 및 에어탱크(A.T)의 상단을 챔버본체(11)의 내부에 배치하기 위해서, 탱크고정부(4)의 상단을 높이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챔버본체(11)의 내부체적에 따라 챔버본체(11)의 부력이 상승하는데, 이를 중량체(6)가 잡고 있어서 챔버본체(11)가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중량체(6)는 챔버본체(11)의 부력에 대응하는 그 이상의 중량체(6)를 이용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중량체(6)는 배를 이용하여 무게추를 내려서 이용할 수 있거나, 수중에서 박스에 물을 담아서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챔버본체(11)의 내부에 주입되는 산소량은 보통 성인 호흡의 1.2배의 용량만큼 주입시킨다. 여기서, 보통 성인 호흡량은 14ℓ ~ 20ℓ/10분 정도이다.
본 발명의 설치가 완성되면 수중 재압 및 감압이 필요한 다이버를 챔버본체(11)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다이버를 재압 바(3)에 앉힌다.
최대한 다이버의 몸에 물의 접촉부위를 최소화시키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한 채 안정적인 호흡을 시킨다. 여기서, 다이버의 몸에 물의 접촉부위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압 바(3)가 챔버본체(11)와 가까워지도록 체결고리(12)의 위치를 변경하여 챔버본체(11)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체온이 내려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25분 동안 산소를 배출한 후 에어탱크(A.T)의 밸브를 열어서 5분 동안 공기를 배출시킨다. 즉, 산소배출 25분, 공기배출 5분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는, 에어브레이크고, 폐산소중독이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전방법이다.
다이버의 감압병 증세가 사라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산소탱크(O.T)를 교체하며 호흡을 시킨다. 그리고, 다이버의 체력을 보충하도록 음료와 음식물을 투여하여 다이버의 체력을 보강한다.
이때, 챔버본체(11)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밖에서 안쪽에 있는 다이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이버의 감압병 증세가 사라지면 다이버를 수면 위로 이동시키고, 본 발명을 해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배에 항상 휴대함으로써, 다이버에게 잠수병과 같은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본 발명을 수중에 설치하여 안전사고에 즉시 대처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챔버부
11; 챔버본체
111; 삽입통로
12; 체결고리
2; 바 고정편
21; 연결고리
3; 재압 바
4; 탱크고정부
41; 삽입구
42; 걸림턱
43; 이탈방지편
5; 와이어
6; 중량체
7; 폴대
O.T; 산소탱크
A.T; 에어탱크

Claims (5)

  1. 일 영역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 둘레에 한 부분이 삽입통로가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챔버본체와, 상기 챔버본체의 하부 또는 둘레에 복수의 체결고리를 구비하는 챔버부;
    상기 삽입통로에 끼워져 상기 개구의 형상을 유지하는 폴대;
    상기 체결고리에 각각 연결되는 바(bar) 고정편;
    상기 바 고정편에 끼워지는 재압 바(bar);
    상기 재압 바에 설치되고 산소탱크 및 에어탱크 중 하나 이상을 고정하는 탱크고정부; 및
    상기 챔버부 또는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되,
    수중에서 상기 챔버본체의 내부에 산소 또는 공기를 채워 상기 챔버본체를 부풀려서 챔버본체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탱크고정부는,
    가장자리가 상기 재압 바의 상단에 끼워지되 상기 재압 바에 대응하도록 절곡되고, 양단에 상기 산소탱크 및 상기 에어탱크가 끼워지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탱크고정부는,
    상기 산소탱크 및 상기 에어탱크가 상기 탱크고정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구의 끝단에 이탈방지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대는,
    상기 챔버본체의 개구가 일정한 형태로 유지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폴대의 양단이 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내부에 물을 채울 수 있는 박스, 병 또는 주머니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
KR1020110130632A 2011-12-08 2011-12-08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 KR101357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632A KR101357536B1 (ko) 2011-12-08 2011-12-08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632A KR101357536B1 (ko) 2011-12-08 2011-12-08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164A KR20130064164A (ko) 2013-06-18
KR101357536B1 true KR101357536B1 (ko) 2014-01-29

Family

ID=4886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632A KR101357536B1 (ko) 2011-12-08 2011-12-08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5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7002962A1 (en) 1985-11-07 1987-05-21 Ocean Technical Services Limited Diving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4974829A (en) 1985-06-10 1990-12-04 Portable Hyperbarics, Inc. Hyperbaric chamber
KR20070092769A (ko) * 2006-03-09 2007-09-14 조용수 수중에 기체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물.
JP2009545411A (ja) 2006-08-04 2009-12-24 グループ メディカル ゴーモ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圧/低酸素チャンバ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4829A (en) 1985-06-10 1990-12-04 Portable Hyperbarics, Inc. Hyperbaric chamber
WO1987002962A1 (en) 1985-11-07 1987-05-21 Ocean Technical Services Limited Diving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KR20070092769A (ko) * 2006-03-09 2007-09-14 조용수 수중에 기체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물.
JP2009545411A (ja) 2006-08-04 2009-12-24 グループ メディカル ゴーモ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圧/低酸素チャン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164A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52318A1 (en) Buoyant mattress for snorkeler
US20120156951A1 (en) Underwater viewing facility
CN205602077U (zh) 鼻吸式游泳潜水呼吸器
KR101357536B1 (ko) 휴대용 수중 재압 챔버
CN108216528A (zh) 一种穿戴式潜水装备
JP2013022979A (ja) 救命胴衣
CN206552232U (zh) 鼻吸式潜水装置
US10064522B2 (en) Portable bathtub safety device
US3024465A (en) Inflatable underwater swimming and diving suits
AU2018284200A1 (en) Collar life preserver for water sports
CN210681099U (zh) 便携式潜水呼吸器
CN106864705A (zh) 鼻吸式潜水装置
JP5986867B2 (ja) 津波用シェルター
KR20140118937A (ko) 상승하강 안전 에어 스테이션이 장착된 다이빙 전용선
CN206087237U (zh) 水中安全自救设备以及水中安全自救泳衣
CN104773128B (zh) 一种车载救生装置
CN203958570U (zh) 防倾覆幼儿游泳漂浮气垫
US9422038B2 (en) Submersible personal flotation device
CN207328784U (zh) 一种新型救生组合圈
JP7234473B1 (ja) 搬送器材
KR102603056B1 (ko) 수중용 호흡장치
KR101608468B1 (ko) 저체온증 방지용 구명기구
CN202783739U (zh) 一种新型儿童救生圈
KR20140090304A (ko) 상승하강 안전 에어 스테이션이 장착된 다이빙 전용선
CN104802961A (zh) 一种水中呼吸器及具有该水中呼吸器的呼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