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297B1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297B1
KR101357297B1 KR1020120046481A KR20120046481A KR101357297B1 KR 101357297 B1 KR101357297 B1 KR 101357297B1 KR 1020120046481 A KR1020120046481 A KR 1020120046481A KR 20120046481 A KR20120046481 A KR 20120046481A KR 101357297 B1 KR101357297 B1 KR 10135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exible display
shape
lin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3211A (ko
Inventor
황성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46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297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68Signs, boards or panels with tensioned or flexible display surfa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되며,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자체 형태가 제어되는 복수 개의 단위 라인으로 이루어진, 점선 형태의 형상 표현 라인; 상기 형상 표현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형상 표현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라인 중 적어도 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주름진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형상기업금속(합금) 등과 같이, 외부의 전력 공급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나, 외부 전력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원래 형태로 회복되는 능동적인 요소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시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져 접거나 말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기술이 개발되어 상호작용 및 정보 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뜻한다. 휠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서, 가볍고 깨지지 않는 특성 때문에 휴대전화, PDA, MP3 플레이어 등에 우선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대면적화 기술이 확보되면 기존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TV 등의 모든 분야에 대체 적용이 가능해 IT산업 전반에 걸쳐 크게 확산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관련 연구는 주로 효과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조방법과 단말 응용에 대한 것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으 능동적 변형/조작 방법에 대한 기술은 개시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77020731 등은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출원번호1020077020731)” 등의 선행기술은 디스플레이의 형태변형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일어나거나 사용자들이 정보를 입력하는 기술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의 상황에 맞춰 능동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능동적인 방식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형상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플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되며,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자체 형태가 제어되는 복수 개의 단위 라인으로 이루어진, 점선 형태의 형상 표현 라인; 상기 형상 표현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형상 표현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라인 중 적어도 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주름진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위 라인의 형태는 상기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형상 표현 라인은 동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2개 부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개의 형상 표현 라인 각각의 단위 라인은 상기 동일 방향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형상 표현 라인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일 측의 형상 표현 라인과 상기 타 측의 형상 표현 라인은 서로 대칭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공급부는, 상기 일 측과 타 측의 형상 표현 라인 각각의 서로 대응되는 단위 라인에 전력을 동시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형상 표현 라인은 형상기억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형상기억금속은 상기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평행한 형태로 회복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되며,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자체 형태가 제어되는 복수 개의 단위 라인으로 이루어진 형상 표현 라인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으로, 주름이 형성되어야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위치와 방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라인이 결정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라인에 전력이 공급되는 단계; 및 상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단위 라인에 의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주름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주름이 형성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라인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는 단계; 및 상기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 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변형 전 상태로 그 형태가 회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위라인은 형상기억금속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력이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라인은 동일 방향으로 절곡 형태로 변형되며, 상기 단위 라인의 절곡 변형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도 절곡 변형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형상기업금속(합금) 등과 같이, 외부의 전력 공급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나, 외부 전력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원래 형태로 회복되는 능동적인 요소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급되는 전기적 에너지를 조절함으로써, 능동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형상 조작이 가능하다. 이로써 사용자 상황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조작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용을 극대화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점선 형태의 형상 표현 라인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형상 표현 라인의 전기적 배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응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형상기업금속(합금) 등과 같이, 외부의 전력 공급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나, 외부 전력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원래 형태로 회복되는 능동적인 요소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한다. 특히 이러한 능동적인 변형 요소를 이용하여,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일정한 주름을 형성시켜, 디스플레이에 대한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먼저, 주름 형성이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하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면적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는 각도가 소정 이상으로 구부려질 수 있는, 즉, 절곡될 수 있는 임의 형태의 모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0)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하여,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자체 형태가 제어되는 형상 표현부(120)가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은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며, 상기 변형시 발생하는 변형력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변형시키는 형상 표현부(120)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형상 표현부는 다양한 치수의 라인 형태일 수 있으며, 그 형태는 도 1에 나타난 수직 교차 방식에 제한되지 않으며, 지그재그, 사선 형태 등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형상 표현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변형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그 형태는 라인 형태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구비되며, 디스플레이부(110)의 액티브 영역 외부의 주변 부에서 라인 형태의 형상 표현부(120)가 가로-세로로 교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인 형태의 형상 표현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사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상 표현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의 표면 또는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전기적 힘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는 형상 표현부(12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130), 및 상기 전력 공급부(130)로부터 상기 형상 표현부(1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 상황 및 위치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정도와 위치가 결정되면, 그 변형 정도와 위치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여야 하는 형상 표현부(120) 및 그 전력 공급량을 결정한다. 그 결과, 전력을 공급받아 절곡되는 형상 표현부(120)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력공급에 따라, 절곡되는 정도가 제어되며, 상기 형상 표현부의 절곡 정도에 대응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0)가 절곡되어, 변형된다. 이로써, 전기적인 방식의, 능동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어가 가능하며, 사용자 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적 에너지에 따라 변형된 후, 다시 원래 형태로 회복되는 형상기억금속 등을 형상 표현부에 사용하며, 상기 형상 표현부의 형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인 형태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보다 정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형태 제어를 위하여, 상기 형상 표현부를 복수 개로 분할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며, 본 발명에 다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10) 및 도 1에서와 같이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자체 형태가 제어되는 형상 표현 라인(2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형상 표현 라인(220)에 전력을 제어된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미도시) 및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형상 표현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기억금속으로 이루어지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부재인 형상 표현 라인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단위 라인(221)로 이루어진 점선 형태로서, 단일 선 형태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 표현 라인의 단위 라인 각각에는 독립적으로 전력이 공급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위 라인 각각에 대한 절곡 정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단위 라인으로 이루어진 형상 표현 라인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주변영역(즉, 디스플레이 화면이 나타나는 액티브 영역(A) 주변 영역, B))에서, 가로 및/또는 세로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로써, 형상 표현 라인에 인가되는 전력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점선 형태의 형상 표현 라인이 도 2와 달리 겹선 형태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선 라인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형상 표현 라인(제 1 형상 표현 라인(310), 제 2 형상 표현 라인(320))이 겹선을 이룬다.
상기 형상 표현 라인 겹선의 각각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복수 개의 단위 라인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단위 라인은 동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 제 1 형상 표현 라인과 제 2 형상 표현 라인의 단위 라인이 동일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도록 구성하며, 상기 어긋한 단위 라인은 상기 동일 방향에서 일정 영역(w)에서 서로 중첩되게 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제 1 형상 표현 라인(310)은 단위 라인 a1, a2, a3를 포함하고, 제 2 형상 표현 라인(320)은 단위 라인 b1, b2, b3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라인 a1, a2, a3와 단위 라인 b1, b2, b3는 서로 어긋나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상기 동일방향(X) 전체에서, 상기 형상 표현 라인에 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부러짐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어긋나도록 구성된 2개의 형상 표현 라인의 단위 라인은 상기 동일 방향(X)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형상 표현 라인의 전기적 배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위 라인에는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라인(L)이 연결되며, 이로써 단위 라인 각각의 형상 제어를 통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형상 제어가 가능하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디스플레이부(110)의 중심이, 구부러지는 영역으로 결정된다. 상기 형상 변형이 진행되는 영역의 결정은, 사용자에 의하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구부러지는 영역에 해당되는 형상 표현 라인(c1, c2)가 결정되고, 상기 해당되는 형상 표현 라인(c1, c2)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력이 공급된 형상 표현 라인(c1, c2)은 절곡되며, 이로써 디스플레이가 상기 절곡된 라인에 따라 절곡된다.
이후, 상기 형상 표현 라인(c1, c2)에 공급된 전력은 차단되며, 이로써 상기 형상을 기억하는 형상 기억 금속으로 이루어진 형상 표현 라인(c1, c2)는 최초 형태, 즉, 펴진 형태로 회복된다. 그 결과 절곡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회복된다(도 8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급되는 전기적 에너지를 조절함으로써, 능동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형상 조작이 가능하다. 이로써 사용자 상황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조작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용을 극대화시킨다.
본 발명은 도 7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주름을 형성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면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시인성을 약화시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름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 내지 7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한다. 특히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 변형 라인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형상 변형 라인을 이루는 단위 라인은 서로 대칭한다. 만약,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형상 변형 라인의 단위 라인이 서로 대칭하지 않으면, 직선 형태로의 주름라인 형성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측과 타 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위 라인 중 적어도 둘 이상에 대칭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며, 이로써 상기 대칭되는 단위 라인은 동일한 각도로 절곡되며, 그 결과,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진 라인(L1, L2)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형성된다.
상기 주름진 라인(L1, L2)에 따라 디스플레이 표면의 마찰력이 증가하며, 아울러 외부에 대한 보안 효과, 즉, 시야각이 좁혀짐으로 인한 보안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주름진 라인(L1, L2)에 대응하는 단위 라인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평탄한 형태로 회복된다.
도 12는 도 9 내지 11을 이용하여 설명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주름이 형성되어야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위치와 방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라인이 결정된다(S110). 여기에서 상기 단위 라인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칭된다. 또한 상기 단위 라인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길이 및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라인에 전력이 공급되며(S120), 상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단위 라인의 형상은 변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 라인의 형상 변형은 절곡 형태로의 변형이 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서로 대칭되는 단위 라인에 동일한 시간으로, 동일 전력량을 공급하며, 그 결과, 상기 절곡 변형되는 단위 라인에 의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주름이 형성된다(S130).
이후, 상기 전력공급의 차단으로 형상기억금속을 포함하는 상기 단위 라인은 다시 직선 형태로 회복하며, 그 결과 상기 단위 라인의 변형 형태에 따라 변형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평탄한 상태로 회복된다(S140).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되며,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자체 형태가 제어되는 복수 개의 단위 라인으로 이루어진, 점선 형태의 형상 표현 라인;
    상기 형상 표현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형상 표현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라인 중 적어도 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주름진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라인의 형태는 상기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점선 형태의 형상 표현 라인은 동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2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인 형상 표현 라인 각각의 단위 라인은 상기 동일 방향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표현 라인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일 측의 형상 표현 라인과 상기 타 측의 형상 표현 라인은 서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부는, 상기 일 측과 타 측의 형상 표현 라인 각각의 서로 대응되는 단위 라인에 전력을 동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표현 라인은 형상기억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금속은 상기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평행한 형태로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삭제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되며,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자체 형태가 제어되는 복수 개의 단위 라인으로 이루어진 형상 표현 라인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으로,
    주름이 형성되어야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위치와 방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라인이 결정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라인에 전력이 공급되는 단계; 및
    상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단위 라인에 의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주름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주름이 형성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라인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는 단계; 및
    상기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 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변형 전 상태로 그 형태가 회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라인은 형상기억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이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라인은 동일 방향으로 절곡 형태로 변형되며, 상기 단위 라인의 절곡 변형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도 절곡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20120046481A 2012-05-02 2012-05-0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57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481A KR101357297B1 (ko) 2012-05-02 2012-05-0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481A KR101357297B1 (ko) 2012-05-02 2012-05-0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211A KR20130123211A (ko) 2013-11-12
KR101357297B1 true KR101357297B1 (ko) 2014-01-29

Family

ID=49852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481A KR101357297B1 (ko) 2012-05-02 2012-05-0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2174B2 (ja) * 2016-09-05 2020-09-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0546A (ja) * 2002-03-27 2003-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己変形型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端末
KR20110088870A (ko) * 2010-01-29 2011-08-04 주식회사 팬택 형태 변환 특성이 있는 플렉서블 전자 제품, 그 형태 변환 방법 및 형태 변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0546A (ja) * 2002-03-27 2003-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己変形型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端末
KR20110088870A (ko) * 2010-01-29 2011-08-04 주식회사 팬택 형태 변환 특성이 있는 플렉서블 전자 제품, 그 형태 변환 방법 및 형태 변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211A (ko) 201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6407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US10983687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190179425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107168468B (zh) 可变形显示装置和用于控制可变形显示装置的方法
AU2013203010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2700997B1 (en) Flexi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02512257U (zh) 光扩散部件和其显示装置
KR102254540B1 (ko) 곡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N104216556A (zh) 柔性触摸屏面板和包括该柔性触摸屏面板的柔性显示装置
US8537292B2 (en) Multi-functional liquid crystal parallax barrier device comprising a double-view vertical strip parallax barrier and a multi-view slant-and-step parallax barrier
US10411353B2 (en) Transparent antenna and transparent antenna-equipped display device
JP2019164828A (ja) 情報処理装置
US10139941B2 (en) Touch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uch device
US10054987B2 (en)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8242424B (zh) 柔性面板的制作方法、柔性面板及显示装置
KR10135301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5729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14318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203117942U (zh) 触摸显示屏及具有该触摸显示屏的电子装置
CN103092426A (zh) 触摸显示屏及具有该触摸显示屏的电子装置
CN104423919A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159641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柔性电子设备
US10371970B2 (en) Display screen having mirror function, control method, device and terminal
KR20160036154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3632632A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