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134B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134B1
KR101356134B1 KR1020100098627A KR20100098627A KR101356134B1 KR 101356134 B1 KR101356134 B1 KR 101356134B1 KR 1020100098627 A KR1020100098627 A KR 1020100098627A KR 20100098627 A KR20100098627 A KR 20100098627A KR 101356134 B1 KR101356134 B1 KR 101356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ridge
lower plate
plate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7086A (ko
Inventor
이요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탑
Priority to KR1020100098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134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면에 설치되는 앵커(20)를 매개로 교각 또는 교대 상에 설치되는 하부판(10)과; 교량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판(30)과; 하부판(10)과 상부판(3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판(30)을 통해 전달된 하중을 하부판(10)으로 전달하는 패드부재(40)로 구성된 교량받침에 있어서, 상기 앵커(20)는,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하부판(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볼트(21)와, 외면에 몰탈(M)이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몰탈유입부(22a)가 형성되며 상부볼트(21)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연결부재(22)와, 외면에 상부볼트(21)의 나사부에 역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부가 구비되며 연결부재(22)의 내측으로 체결되는 하부볼트(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판의 저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앵커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쉽고 간편하게 교량받침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의 몰탈유입부를 통해 몰탈이 유입되어 교각(또는 교대)의 설치홈에 투입되는 몰탈과 함께 채워져 타설되므로, 교량의 부반력에 의해 앵커가 빠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종래의 앵커에 비해 고정성 및 결속력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Height Adjustable And Excellent Fixing Of The Bridge Bearing}
본 발명은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교각(또는 교대)과 교량상판 사이에 배치되는 교량받침의 저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앵커를 설치하여 교량상부의 하중과 외부물리적 변화 등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응력을 완충시키고, 자유로운 높낮이조절을 통해 설치가 편리하며, 교각(또는 교대)에 타설되는 몰탈과 함께 타설되도록 하여 고정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받침이라 하면 교량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접점에 위치하면서 전달되는 하중을 하부구조에 충격 없이 전달하고 지진, 바람, 온도 변화 등에 안전하게 적응토록 하는 중간 윤활장치로서, 교량하중에 적응하고 신축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교량의 변위를 교각이나 교대에 직접 전달하지 않게 하고, 교량받침의 완충기능을 거치게 하여 교량의 기능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 내구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교량받침은 상부구조형식, 상판 또는 교각 간의 길이, 지점반력, 내구성 등에 의해서 그 형식과 배치를 결정하여야 하는데 특히, 곡선교, 사교 및 특수교 등에 있어서는 지점반력, 신축과 회전작용을 충분히 검토하여 형식과 배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교량받침은 받침, 굴림, 미끄러짐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갖추고서 있는데, 상기 받침기능은 상부구조물의 전하중을 하부구조물의 주구체 내의 반력과 동일하게 받치게 하는 기능이고, 굴림(회전)기능은 상부구조물의 자중과 외부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교량 단부의 회전에 의한 구속력이 발생 않도록 회전을 자유롭게 허용하는 기능이며, 미끄러짐(이동)기능은 온도, 건조수축, 제동력 등에 의해 발생하는 신축에 의한 구속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끄러져 신축을 자유롭게 허용하는 기능이다.
상기 교량받침의 경우 매우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종래의 교량받침의 하부에 설치되는 앵커의 경우 단순히 체결부재를 매개로 설치되기 때문에 높낮이를 조절하기가 상당히 불편하고, 교각에 몰탈을 매개로 함께 타설할 경우 외부응력에 의해 상당히 취약하므로, 잦은 응력에 의해 교각에 고정된 앵커부분 쉽게 빠지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량받침을 구성하는 하부판의 저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앵커를 설치하여 쉽고 간편하게 교량받침의 높낮이를 조절토록 하면서 교각(또는 교대)에 설치시 몰탈에 의해 앵커가 함께 타설되도록 하여 고정상태를 견실하게 유지토록 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면에 설치되는 앵커를 매개로 교각 또는 교대 상에 설치되는 하부판과; 교량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판과;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판을 통해 전달된 하중을 하부판으로 전달하는 패드부재로 구성된 교량받침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하부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볼트와,
외면에 몰탈이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몰탈유입부가 형성되며 상부볼트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연결부재와,
외면에 상부볼트의 나사부에 역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부가 구비되며 연결부재의 내측으로 체결되는 하부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볼트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미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미세조정너트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의 상부볼트는 하부판의 저면에 배치되어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거나 또는 하부판을 관통하여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하부판의 저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앵커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쉽고 간편하게 교량받침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의 몰탈유입부를 통해 몰탈이 유입되어 교각(또는 교대)의 설치홈에 투입되는 몰탈과 함께 채워져 타설되므로, 교량의 부반력에 의해 앵커가 빠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종래의 앵커에 비해 고정성 및 결속력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의 하부볼트 하단부 외주면에 미세조절너트를 보강하여 줌으로서, 미세한 높낮이는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부분 결합단면도.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예시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부분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제1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교량받침은, 하부판(10)과 앵커(20) 및 상부판(30), 패드부재(40), 사이드브라켓(50)으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판(10)은,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상면에는 상부판(30)의 고정핀(31)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핀안착홈(11) 및 고정핀(31)이 삽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홈(12)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10)의 상면에는 패드부재(4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패드부재안착홈(13)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패드부재안착홈(13)은 안착된 패드부재(4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판(10)의 저면 가장자리 내측에는 상부볼트(21)와 연결부재(22) 및 하부볼트(23)로 구성된 앵커(20)가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앵커(20)는 교각 또는 교대에 내설되어 하부판(10)을 교각(또는 교대) 상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볼트(21)는,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연결부재(22)의 상부 내주면에 체결되고, 상부 중앙에는 사이드브라켓(50) 및 하부판(1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B)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21a)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경우 상기 상부볼트(21)는, 하부판(10)의 저면에 배치되어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거나 또는 하부판(10)을 관통하여 너트를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22)는 전체적인 형상이 중공관형태로, 내부가 수직하게 관통되되, 내주면 중간부부터 상부까지는 상부볼트(21)의 나사부와 동일한 나사부가 형성되고, 중간부부터 하부까지는 이후에 설명될 하부볼트(23)의 나사부와 동일한 나사부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몰탈유입부(22a)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2)의 경우 몰탈유입부(22a)을 통해 몰탈(M)이 유입되어 연결부재(22)의 내부에 채워지므로, 상부볼트(21)와 하부볼트(23) 간의 이격을 몰탈(M)을 채워 극복할 수 있어 이격도에 따른 수직응력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교각(또는 교대)의 설치홈에 투입되는 몰탈(M)과 연결부재(22)의 내부에 채워진 몰탈(M)이 함께 경화되기 때문에, 종래의 앵커에 비해 견실하게 고정된다.
상기 하부볼트(23)는 외면에 나사부를 갖추고서, 연결부재(22)의 내부에 체결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연결부재(22)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부볼트(21)와 하부볼트(23)가 동시에 승·하강되는데, 이를 위해서 상부볼트(21)의 나사부가 좌나선이 라면 하부볼트(23)의 나사부는 우나선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선의 방향은 제조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하부볼트(23)의 하부에는 미세조정용 너트(24)가 더 보강 구비되며, 미세조정용 너트(24)를 매개로 좀 더 정밀하게 교량받침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재(40)는, 패드부재안착홈(13)에 얹혀져 상부판(30)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응력을 완충하거나 또는 하부판(10)으로 하중을 전달시켜 주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폴리우레탄 탄성패드를 적용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사용목적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패드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예시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브라켓(50)은, 하부판(10)의 상부 양측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고정부(51)와, 고정부(51)의 길이방향 일단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평부(52)와, 수평부(52)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양부(53)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브라켓(50)은, 상부판(30)의 이동제한돌부(31)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판(30)의 수평이동과 수직이동을 제한한다. 즉, 사이드브라켓(50)은, 온도변화 및 지진발생시 길이방향(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수평부(52)에 의해 제한하고, 부반력에 의한 상하로의 진동이 상양부(53)에 의해 제한되므로서, 상부판(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에서 높낮이조절 앵커가 적용된 다양한 교량받침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공지의 스페리컬 교량받침(Speherical Bridge Bearing)으로서, 하부판(10)을 앵커(20)의 상부볼트(21)가 수직관통하고, 수직관통된 상부볼트(21)의 외주면이 너트를 매개로 고정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부볼트(21)가 너트를 매개로 고정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부볼트(21)가 하부판(10)의 저면에 배치되어 볼트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페리컬 교량받침에 대한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공지의 포트 교량받침(Pot Bridge Bearing)으로서, 하부판(10)의 저면에 앵커(20)의 상부볼트(21)가 배치되어 볼트를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포트 교량받침 역시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공지의 탄성 교량받침(Elastomeric Rubber Bridge Bearing)으로서, 앞서 언급한 면진 교량받침과 같이, 하부판(10)의 저면에 앵커(20)의 상부볼트(21)가 배치되어 볼트를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탄성 교량받침 역시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은 고정형 핀 교량받침(Fix Type Pin Bridge Bearing) 및 이동형 핀 & 롤러 교량받침(Move Type Pin & Roller Bridge Bearing)으로서, 앞서 언급한 스페리컬 교량받침과 같이, 하부판(10)을 앵커(20)의 상부볼트(21)가 수직관통하고, 수직관통된 상부볼트(21)의 외주면이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거나 또는 상부볼트(21)가 하부판(10)의 저면에 배치되어 볼트를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형 핀 교량받침 및 이동형 핀 & 롤러 교량받침 역시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설치과정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을 교각(또는 교대) 상에 마련된 홈 부분에 앵커(20)를 안착시켜 주고, 앵커(20)를 조작하여 설치높이를 조절한 다음에 앵커(20)가 매립될 수 있도록 몰탈(M)을 교각(또는 교대) 상에 마련된 홈 부분에 투입하여 타설한다.
이때, 투입된 몰탈(M)은 앵커(20)의 연결부재(22)의 외면에 형성된 몰탈유입부(22a)를 통해 몰탈(M)의 유입되어 상부볼트(21)와 하부볼트(23) 간의 간격을 채우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교각(또는 교대)의 설치홈에 투입되는 몰탈(M)은 경화될 때에 연결부재(22)의 내부에 채워진 몰탈(M)과 함께 경화되기 때문에, 종래의 앵커에 비해 견실하게 교각(또는 교대) 상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이후에는 교량받침 상으로 저면에 솔플레이트가 설치된 교량상판을 얹혀 솔플레이트의 억류홈에 상부판(3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도록 하여 교량설치를 완료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하부판 11: 고정핀안착홈 12: 안내홈
13: 패드부재안착홈 20: 앵커 21: 상부볼트
22: 연결부재 22a: 몰탈유입부 23: 하부볼트
24: 미세조절너트 30: 상부판 31: 고정핀
32: 이동제한돌부 40: 패드부재 50: 사이드브라켓
51: 고정부 52: 수평부 53: 상양부
M: 몰탈

Claims (4)

  1. 저면에 설치되는 앵커(20)를 매개로 교각 또는 교대 상에 설치되는 하부판(10)과; 교량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판(30)과; 하부판(10)과 상부판(3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판(30)을 통해 전달된 하중을 하부판(10)으로 전달하는 패드부재(40)로 구성된 교량받침에 있어서,
    상기 앵커(20)는,
    상부 중앙에 하부판(1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B)와 상호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홈(21a)이 형성되고,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상부볼트(21)와,
    외면에 몰탈(M)이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몰탈유입부(22a)가 형성되며 상부볼트(21)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연결부재(22)와,
    외면에 상부볼트(21)의 나사부에 역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부가 구비되며 연결부재(22)의 내측으로 체결되는 하부볼트(23)로 구성되어, 연결부재(22)를 회전시 상부볼트(21)와 하부볼트(22)가 동시에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0)의 상면 중앙에는 고정핀안착홈(11)이 형성되고, 상부판(30)의 저면과 양측단에는 고정핀(31)과 이동제한돌부(32)가 각각 형성되며, 패드부재(40)는 하부판(10)과 상부판(30)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핀(31)에 의해 고정되는 한편,
    일측이 하부판(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부판(30)의 이동제한돌부(31)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판(30)의 수평이동과 수직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사이드브라켓(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볼트(23)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미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미세조정너트(24)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20)의 상부볼트(21)는 하부판(10)의 저면에 배치되어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거나 또는 하부판(10)을 관통하여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



KR1020100098627A 2010-10-11 2010-10-11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 KR10135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627A KR101356134B1 (ko) 2010-10-11 2010-10-11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627A KR101356134B1 (ko) 2010-10-11 2010-10-11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086A KR20120037086A (ko) 2012-04-19
KR101356134B1 true KR101356134B1 (ko) 2014-01-28

Family

ID=4613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627A KR101356134B1 (ko) 2010-10-11 2010-10-11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5246A (zh) * 2018-10-31 2019-01-18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桥梁支座的竖向调节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553B1 (ko) * 2012-10-15 2014-09-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프리텐션 거더 제조장치
CN107059605A (zh) * 2017-06-09 2017-08-18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桥梁支座调节机构、可调节高度及可调节倾角的桥梁支座
CN108643033B (zh) * 2018-06-04 2020-01-07 兰州理工大学 一种用于人行桥的半刚性支座装置
CN110453594B (zh) * 2019-09-06 2021-10-15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支撑力可调的桥梁支座更换方法
CN112769067A (zh) * 2020-12-29 2021-05-07 上海西门子高压开关有限公司 用于气体绝缘开关的底架以及配电设备
CN114481825A (zh) * 2022-03-04 2022-05-13 武汉桥之恒桥梁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大调高量的支座锚碇结构及调高方法
KR102572989B1 (ko) * 2022-12-27 2023-08-31 명진기술 주식회사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교량받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1621A (ja) * 1991-12-19 1993-07-09 Kaimon:Kk 免震ゴム支承体の据付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50021421A (ko) * 2005-02-05 2005-03-07 김길평 도로용 가드레일
KR100610586B1 (ko) * 2005-12-06 2006-08-09 코벡주식회사 교량용 교좌장치
KR200429970Y1 (ko) * 2006-08-07 2006-11-02 (주) 한길산업 교량 받침용 다기능 앵커 소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1621A (ja) * 1991-12-19 1993-07-09 Kaimon:Kk 免震ゴム支承体の据付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50021421A (ko) * 2005-02-05 2005-03-07 김길평 도로용 가드레일
KR100610586B1 (ko) * 2005-12-06 2006-08-09 코벡주식회사 교량용 교좌장치
KR200429970Y1 (ko) * 2006-08-07 2006-11-02 (주) 한길산업 교량 받침용 다기능 앵커 소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5246A (zh) * 2018-10-31 2019-01-18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桥梁支座的竖向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086A (ko)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134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성이 우수한 교량받침
CN100434603C (zh) 一种建筑物绝缘隔震体系
KR100948359B1 (ko) 교량받침 기능을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AU2015382274B2 (en) Modular system for the laying of underground and railroad and tram lines
CN106368115A (zh) 一种适用于中小跨度梁式桥的新型隔震系统
KR200429970Y1 (ko) 교량 받침용 다기능 앵커 소켓
KR100977280B1 (ko) 교각의 빔 인상 플레이트
BR112014010111A2 (pt) dispositivo de fixação elástica para trilho
CN204803754U (zh) 桥梁伸缩缝结构
KR101062220B1 (ko) 교량용 내진 받침장치
RU2306377C2 (ru)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бучко, кацберг рельса к шпале
KR101194307B1 (ko) 보수교체가 용이한 디스크받침
KR100939183B1 (ko) 지진시 수평강성을 갖는 개선된 일체형 탄성받침
JP3946527B2 (ja) 既設弾性支承の機能変更補修工法
KR101386048B1 (ko) 스페리칼 받침
CN110117922A (zh) 一种适于地铁正线的挡肩式减振扣件
CN110387812A (zh) 一种隔震道路桥梁支座
KR20000032358A (ko) 무교좌 및 무신축이음형 교대 구조
CA1094031A (en) Concrete slab structure for railway track
KR100773879B1 (ko) 교좌장치
KR101409400B1 (ko) 모자형 강재댐퍼를 구비한 고무탄성받침
DK2840185T3 (en) Support construction
KR101268511B1 (ko) 보수교체가 용이하며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는 교좌장치
KR200319696Y1 (ko) 교량용 스페리칼 베어링
KR100862118B1 (ko) 교좌장치 및 교좌장치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122

Effective date: 2013100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