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392B1 - A bracket of assist handle - Google Patents

A bracket of assist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392B1
KR101354392B1 KR1020120114831A KR20120114831A KR101354392B1 KR 101354392 B1 KR101354392 B1 KR 101354392B1 KR 1020120114831 A KR1020120114831 A KR 1020120114831A KR 20120114831 A KR20120114831 A KR 20120114831A KR 101354392 B1 KR101354392 B1 KR 101354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andle
assist handle
fixing bracket
ass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8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준형
류승수
송태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3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3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ist handle bracket capable of satisfying the vertical strength of a handle and collision performanc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ndle fixing bracket (2) including a first bracket body (20), a handle combining hole (28)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racket body and is coupled to an assist handle (6), and a coupling member (26) which is extended in an L-shape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bracket body; and a body fixing bracket (3) including a second bracket body (30) and a coupling hole (36) which is formed on the second bracket body and through which the coupling member (26) passes.

Description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A Bracket of Assist Handle}A Bracket of Assist Handle

본 발명은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들의 수직 강성을 만족하면서 이와 동시에 충돌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ist handle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ssist handle bracket capable of satisfying collision performance while satisfying vertical rigidity of a handle.

차량 주행시 흔들림으로 인해 승객의 자세가 불안정하거나 승하차시 편의를 위해 차량의 루프에는 어시스트 핸들이 부착되어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시스트 핸들(6)은 차량의 루프 패널에 직접 설치되기보다는 차량의 루프 패널에 고정된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1)에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은 어시스트 핸들을 차체에 마운팅하기 위해 차체에 선 장착된다.An assist handle is attach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for unstable posture due to shaking during driving or for convenience in getting on and off the vehicle. In this regar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assist handle 6 is generally fixed to the assist handle bracket 1 fixed to the roof panel of the vehicle, rather than directly installed on the roof panel of the vehicle. In other words, the assist handle bracket is pre-mounted to the body to mount the assist handle to the body.

이러한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의 강성이 부족하게 되면 핸들의 고정력이 약화되어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즉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은 어시스트 핸들에 적어도 90kg의 하중이 가해져도 변형되지 아니할 만큼 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When the rigidity of the assist handle bracket is insufficient, the fixing force of the handle is weakened and deformation occurs. In other words, the assist handle bracket needs to ensure rigidity so that it does not deform even when a load of at least 90 kg is applied to the assist handle.

그러나 또 한편으로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은 차체 루프 안쪽에 위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지나치게 강성이 높으면 충격시험을 만족할 수 없게 된다. 즉 사고 발생시 탑승자의 머리 등이 부딪히더라도 탑승자에게 큰 충격을 주면 안되기 때문에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의 강성을 마냥 높게 맞출 수만도 없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assist handle bracket is located inside the body loop, if the rigidity is too high, the impact test cannot be satisfied. In other words, even if an accident hits the occupant's head, the rigidity of the assist handle bracket cannot be set high as it should not give a big impact to the occupant.

즉 종래의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은, 강성이 강하면 수직 하중에 유리하지만 충격흡수에는 취약해지고, 강성이 약하면 변형이 커서 취약해지지만 충격흡수에는 유리해지는 트레이드 오프 관계를 안고 있고, 어떻든 간 서로 상반된 조건을 동시에 만족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assist handle bracket has a trade-off relationship in which rigidity is advantageous for vertical loads but weak for shock absorption, and weakness in rigidity is large for deformation, but advantageous for shock absorption.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satisfi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의 위와 같은 모순적인 상황은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이 원피스 타입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임에 착안하여, 이를 투피스 방식으로 제작함으로써 핸들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충돌시 쉽게 변형하여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bove contradictory situation of the assist handle bracket is conceived that occurs because the assist handle bracket is a one-piece type, acting on the handle by manufacturing it in a two-piece mann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ssist handle bracket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injuries of a passenger by easily deforming in a collision while securing sufficient rigidity for a loa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브라켓 바디(20); 상기 제1브라켓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어시스트 핸들(6)과 체결되는 핸들 체결공(28); 상기 제1브라켓 바디의 타측 단부에서 'ㄴ'자 형상으로 연장된 체결부재(26);를 구비하는 핸들 고정용 브라켓(2), 그리고 제2브라켓 바디(30); 상기 제2브라켓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26)가 관통하는 체결공(36);을 구비하는 차체 고정용 브라켓(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 고정용 브라켓(2)의 체결부재(26)가 상기 차체 고정용 브라켓(3)의 체결공(36)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 바디(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브라켓 바디(30)의 상면에 중첩되고 상기 체결부재(26)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브라켓 바디(30)의 하면에 접하는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bracket body 20; A handle fastening hole 28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bracket body and fastened to the assist handle 6; A handle fixing bracket (2) and a second bracket body (30) having a fastening member (26) extending in a 'b' shape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racket body; And a fastening hole 36 formed in the second bracket body and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26 penetrates. The fastening member 26 of the vehicle body fixing bracket 3 includes the fastening member 26 of the handle fixing bracket 2. ) I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36 of the vehicle body fixing bracket 3,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bracket body 20 overlap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body 30 and the fastening member (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26) provides an assist handle bracket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body 30.

여기서 상기 제1브라켓 바디(20)의 양측에는 제1측부 리브(24)가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 바디(30)의 양측에는 제2측부 리브(34)가 형성되며, 상기 핸들 고정용 브라켓(2)의 체결부재(26)가 상기 차체 고정용 브라켓(3)의 체결공(36)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측부 리브(24)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측부 리브(34)의 상면에 중첩될 수 있다.Here, first side ribs 24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bracket body 20, and second side ribs 34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bracket body 30, and the handle fixing bracket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ide rib 24 is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rib 34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26 of (2)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hole 36 of the vehicle body fixing bracket 3. Can be superimposed on the top surface.

또한 여기서 상기 제1브라켓 바디(20)의 중앙부에는 제1중앙 리브(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 바디(30)의 중앙부에는 제2중앙 리브(32)가 형성되며, 상기 핸들 고정용 브라켓(2)의 체결부재(26)가 상기 차체 고정용 브라켓(3)의 체결공(36)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중앙 리브(2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중앙 리브(32)의 상면에 중첩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central rib 22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racket body 20, and a second central rib 32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bracket body 30.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entral rib 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central rib 32 while the fastening member 26 of the bracket 2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hole 36 of the bracket for fixing the vehicle body 3. Can be superimposed on the top of the.

본 발명에 의하면, 탑승자가 어시스트 핸들을 쥐고 있어 하중(B)이 작용할 때에는 제1브라켓 바디(20)와 제2브라켓 바디(30)가 중첩되는 부분, 그리고 체결부재(26)가 제2브라켓 바디(30)와 중첩되는 부분에서 차체 고정용 브라켓(3)이 핸들 고정용 브라켓(2)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해주어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차량 사고 등으로 탑승자의 머리 등이 어시스트 핸들을 타격(C)할 때에는 대략 체결공(36)의 위치를 중심으로 핸들 고정용 브라켓(2)이 들어올려지게 되어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ccupant holds the assist handle and the load B is applied, the portion where the first bracket body 20 and the second bracket body 30 overlap, and the fastening member 26 are the second bracket body The body fixing bracket 3 supports the load acting on the steering wheel fixing bracket 2 at the portion overlapped with the 30 so that sufficient rigidity can be maintained and the head of the occupant hits the assist handle due to a vehicle accident. When (C) is about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 36, the handle fixing bracket (2) is lifted to minimize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occupant.

도 1은 종래의 어시스트 핸들과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의 조립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의 확대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the conventional assist handle and the assist handle bracket.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ssist handle bracket.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ist handle bracke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ist handl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ist handl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의 분해사시도, 상면 사시도 및 하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2 to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 top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assist handl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A of FIG.

본 발명의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은 크게 핸들 고정용 브라켓(2)과 차체 고정용 브라켓(3)의 투피스가 하나로 합쳐지는 형태이다. 이중 차체 고정용 브라켓(3)은 차체에 고정되어 핸들 고정용 브라켓(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핸들 고정용 브라켓(2)은 차체 고정용 브라켓(2)에 체결되어 하방(B)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고 상방(C)으로 작용하는 하중에는 대응하지 않게 된다.
The assist handl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 in which two pieces of the handle fixing bracket 2 and the vehicle body fixing bracket 3 are combined into one. The dual body fixing bracket 3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serves to support the handle fixing bracket 2, and the handle fixing bracket 2 is fastened to the body fixing bracket 2 and acts downward (B). 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load which acts in the upper direction C, and respond | corresponds to the load to make.

먼저 핸들 고정용 브라켓(2)을 살펴보면, 핸들 고정용 브라켓(2)은 평평한 형상의 제1브라켓 바디(20),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 바디(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어시스트 핸들(6)의 핸들 체결구(68)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핸들 체결공(28)을 포함한다. 핸들 체결구(68)는 제1브라켓 바디의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핸들 체결공(28)을 통해 스냅 인 방식으로 끼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어시스트 핸들(6)은 제1브라켓 바디(20)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First, referring to the handle fixing bracket 2, the handle fixing bracket 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racket body 20 having a flat shape, and the first bracket body 20 to support the handle 6. Handle fastener 68 includes a handle fastening hole 28 to be fitted and secured. The handle fastener 68 is snapped into the bottom of the first bracket body through the handle fastening hole 28 so that the assist handle 6 is positioned below the first bracket body 20. Done.

그리고 제1브라켓 바디(20)에서 핸들 체결공이 형성된 위치의 타측에는 체결부재(26)가 연장 형성되는데, 제1브라켓 바디(20)의 단부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In addition, a fastening member 26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sition where the handle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irst bracket body 20, and at the end of the first bracket body 20, the shape of the letter “b” is substantially as shown in FIG. 6. Is formed.

다음으로 차체 고정용 브라켓(3)은 평평한 형상의 제2브라켓 바디(30)를 구비하고, 상기 제2브라켓 바디(30) 상에는 상기 체결부재(26)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제2브라켓 바디(30) 상에는 차체와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도면 참조, 도면부호 없음) 등이 형성되어 있다.
Next, the body fixing bracket 3 includes a second bracket body 30 having a flat shape, and a fastening hole 36 for allowing the fastening member 26 to penetrate through the second bracket body 30. Is formed. On the second bracket body 30, a fastening hole (not shown) is provided to fix the vehicle body.

여기서 핸들 고정용 브라켓(2)과 차체 고정용 브라켓(3)이 단순히 평평한 형상이기만 하면 강성, 특히 상하방향으로의 강성이 약할 수 있기 때문에 제1브라켓 바디(20)와 제2브라켓 바디(30)의 중앙부에는 각각 제1중앙리브(22)와 제2중앙리브(32)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각각 제1측부 리브(24)와 제2측부 리브(34)가 형성된다. 후술하겠지만 핸들 고정용 브라켓이 차체 고정용 브라켓에 체결되었을 대 핸들 고정용 브라켓의 일부가 차체 고정용 브라켓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위 제1중앙 리브(22)와 제2중앙 리브(32), 그리고 제1측부 리브(24)와 제2측부 리브(34)의 중첩 부분은 상호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Here, since the handle fixing bracket 2 and the vehicle body fixing bracket 3 are simply flat, rigidity, in particular, rigid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weak, so that the first bracket body 20 and the second bracket body 30 may be weak. The first central rib 22 and the second central rib 32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ide ribs 24 and the second side ribs 34, respectively.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handle fixing bracket is fastened to the body fixing bracket, a part of the handle fixing bracket must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fixing bracket, so the first center rib 22 and the second center rib 32 are And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first side ribs 24 and the second side ribs 34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술한 핸들 고정용 브라켓(2)과 차체 고정용 브라켓(3)은 체결부재(26)가 체결공(36)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되어 관통된 체결부재(26)의 상면이 제2브라켓 바디(30)의 하면에 접하는 방식으로 체결된다.In the above-described handle fixing bracket 2 and the vehicle body fixing bracket 3,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26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26 penetrates from the upper part of the fastening hole 36 to the lower part is the second bracket body. It is fastened in a manner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30).

도 3 내지 도 5,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위와 같이 체결부재(26)가 체결공(36)을 관통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제1브라켓 바디(20), 제1중앙리브(22) 및 제1측부 리브(24)의 일부의 하면이 제2브라켓 바디(30), 제2중앙 리브(32) 및 제2측부 리브(34)의 상면과 접하여 두 브라켓(2, 3)이 일부 중첩된 상태가 된다.
3 to 5 and 6, the first bracket body 20, the first central rib 22, and the first side part in the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26 is fit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36 as described above. A lower surface of a part of the rib 24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body 30, the second center rib 32, and the second side rib 34, so that the two brackets 2 and 3 overlap with each other. .

이러한 투피스 방식의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이 기존의 원피스 방식의 어시스트 핸들 방식에 비해 가지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Advantages of the two-piece assist handle bracket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piece assist handle method are as follows.

도 6을 참조하면, 탑승자가 어시스트 핸들(6)을 잡아 자신의 몸을 지탱할 때 핸들 고정용 브라켓(2)에는 하방으로의 하중(B)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하중은 도면에서 체결공(36)의 위치를 중심으로 우측으로는 차체 고정용 브라켓(3)이 체결부재(26)를 지지하게 되고 좌측으로는 핸들 고정용 브라켓(2)을 지지하게 되므로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의 강성이 그대로 하중 지탱에 사용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occupant supports the body by holding the assist handle 6, a load B downward is applied to the handle fixing bracket 2. This load assists the body fixing bracket 3 on the right side of the fastening hole 36 in the drawing to support the fastening member 26 and the handle fixing bracket 2 on the left side. The rigidity of the handle bracket is used for load bearing.

반면 차량 사고 등으로 탑승자의 머리 등이 어시스트 핸들(6)을 타격하면 충격력은 상방(C)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 때에는 차체 고정용 브라켓(3)이 핸들 고정용 브라켓(2)과 체결부재(26)를 지지하지 아니하므로 핸들 고정용 브라켓(2)이 체결공(26)의 위치를 중심으로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아무런 지장이 없고,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의 강성은 위와 같은 충격력(C)에 저항하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occupant's head or the like hits the assist handle 6 due to a vehicle accident, the impact force acts upward (C), in which case the body fixing bracket 3 is the handle fixing bracket 2 and the fastening member ( 26) does not support the handle fixing bracket (2) is rotated clockwise in the drawing around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 26, there is no obstacle, the rigidity of the assist handle bracket to the above impact force (C) You will not resist.

따라서 이러한 투피스 방식의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은 핸들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충돌시 쉽게 변형하여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하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wo-piece assist handle bracket is able to catch both rabbits, which sufficiently secure the rigidity of the load acting on the handle, and easily deform in collision to minimize the injury of the occupants.

1: 어시스트핸들브라켓
2: 핸들고정용브라켓
20: 제1브라켓 바디
22: 제1중앙리브
24: 제1측부리브
26: 체결부재
28: 핸들체결공
3: 차체고정용브라켓
30: 제2브라켓 바디
32: 제2중앙리브
34: 제2측부리브
36: 체결공
6: 어시스트핸들
68: 핸들 체결구
1: Assist Handle Bracket
2: Handle fixing bracket
20: first bracket body
22: 1st central rib
24: first side rib
26: fastening member
28: handle fastener
3: Body fixing bracket
30: second bracket body
32: 2nd Central Rib
34: second side rib
36: fastener
6: assist handle
68: handle fastener

Claims (4)

어시스트 핸들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해 차체에 부착되는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으로서,
상기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은,
제1브라켓 바디; 상기 제1브라켓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어시스트 핸들과 체결되는 핸들 체결공; 상기 제1브라켓 바디의 타측 단부에서 'ㄴ'자 형상으로 연장된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핸들 고정용 브라켓, 그리고
제2브라켓 바디; 상기 제2브라켓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공;을 구비하는 차체 고정용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
An assist handle bracket that is attached to the body to secure the assist handle to the body,
The assist handle bracket,
A first bracket body; A handle fastening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bracket body and fastened to an assist handle; And a fastening member extending in a 'b' shape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racket body.
A second bracket body; An assist handle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body fixing bracket is formed on the second bracket body and has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 고정용 브라켓의 체결부재가 상기 차체 고정용 브라켓의 체결공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 바디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브라켓 바디의 상면에 중첩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브라켓 바디의 하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racket body overlap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body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 of the handle fixing bracket at the fastening hole of the vehicle body fixing bracket. An assist handle bracket, wherein the assist handle bracket is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 바디의 양측에는 제1측부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 바디의 양측에는 제2측부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핸들 고정용 브라켓의 체결부재가 상기 차체 고정용 브라켓의 체결공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측부 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측부 리브의 상면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irst side rib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racket body, and second side rib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racket body.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ide rib overlap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rib while the fastening member of the handle fixing bracke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vehicle body fixing bracket.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 바디의 중앙부에는 제1중앙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 바디의 중앙부에는 제2중앙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핸들 고정용 브라켓의 체결부재가 상기 차체 고정용 브라켓의 체결공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중앙 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중앙 리브의 상면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핸들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 first central rib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racket body, and a second central rib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bracket body.
The assist handle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enter rib overlap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enter rib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of the handle fixing bracke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vehicle body fixing bracket.
KR1020120114831A 2012-10-16 2012-10-16 A bracket of assist handle KR1013543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831A KR101354392B1 (en) 2012-10-16 2012-10-16 A bracket of assist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831A KR101354392B1 (en) 2012-10-16 2012-10-16 A bracket of assist han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4392B1 true KR101354392B1 (en) 2014-01-23

Family

ID=5014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831A KR101354392B1 (en) 2012-10-16 2012-10-16 A bracket of assist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39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2336U (en) * 1985-05-07 1986-11-13
JP2003529481A (en) 1999-12-10 2003-10-07 ルノー A rotatable handle for a vehicle interior and a method of mounting the hand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2336U (en) * 1985-05-07 1986-11-13
JP2003529481A (en) 1999-12-10 2003-10-07 ルノー A rotatable handle for a vehicle interior and a method of mounting the han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086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outer upper center pillar reinforcement and seat belt bracket
US20160200191A1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JP4556674B2 (en) Vehicle side body structure
KR20110135654A (en) Handle for door trim
KR101371458B1 (en) Baffle structure of open car
JP2007261481A (en) Side vehicle body structure for vehicle
KR101354392B1 (en) A bracket of assist handle
JP6888042B2 (en) Striker mounting structure
JP6744493B2 (en) Body front structure
JP5830452B2 (en) Car body rear structure
JP5614663B2 (en) Body front structure
JP5304717B2 (en) Vehicle side structure
JPH0413255Y2 (en)
JP2009280106A (en) Vehicle frame structure
JP4154698B2 (en) Rear side structure of vehicle
JP6762337B2 (en) Door trim
JP2008068755A (en) Mounting structure of car seat belt apparatus
JP2009143280A (en) Vehicle body structure
JP4022829B2 (en) Seat belt anchor mounting structure
CN112172923B (en) Front pillar structure
JP4693562B2 (en) Assembly structure of vehicle trim member
KR102598951B1 (en) Pillar reinforcement structure
JP4727976B2 (en) Retractor bracket structure
JP4321208B2 (en) Seat belt anchor mounting device
JP4396385B2 (en) Lower body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