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279B1 - 방향족 화합물의 생성을 위한 통합 장치 - Google Patents

방향족 화합물의 생성을 위한 통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279B1
KR101354279B1 KR1020097014344A KR20097014344A KR101354279B1 KR 101354279 B1 KR101354279 B1 KR 101354279B1 KR 1020097014344 A KR1020097014344 A KR 1020097014344A KR 20097014344 A KR20097014344 A KR 20097014344A KR 101354279 B1 KR101354279 B1 KR 101354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xylene
stream
benzene
transalky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4309A (ko
Inventor
로렌스 이 설리번
그레고리 마허
데이비드 에이 햄
Original Assignee
유오피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오피 엘엘씨 filed Critical 유오피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0001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different number of carbon atoms by redistribution reactions
    • C07C6/08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different number of carbon atoms by redistribution reactions by conversion at a saturated carbon-to-carbon bond
    • C07C6/1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different number of carbon atoms by redistribution reactions by conversion at a saturated carbon-to-carbon bond of exclusively hydrocarbons contain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6/126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different number of carbon atoms by redistribution reactions by conversion at a saturated carbon-to-carbon bond of exclusively hydrocarbons contain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more than one hydro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3/00Purification; Separ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02Monocyclic hydrocarbons
    • C07C15/04Benz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02Monocyclic hydrocarbons
    • C07C15/067C8H10 hydrocarbons
    • C07C15/08X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5/2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isomerisation
    • C07C5/27Rearrangement of carbon atoms in the hydrocarbon skeleton
    • C07C5/2702Catalytic processes not covered by C07C5/2732 - C07C5/31; Catalytic processes covered by both C07C5/2732 and C07C5/277 simultaneously
    • C07C5/2708Catalytic processes not covered by C07C5/2732 - C07C5/31; Catalytic processes covered by both C07C5/2732 and C07C5/277 simultaneously with crystalline alumino-silicates, e.g. molecular sie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5/2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isomerisation
    • C07C5/27Rearrangement of carbon atoms in the hydrocarbon skeleton
    • C07C5/2702Catalytic processes not covered by C07C5/2732 - C07C5/31; Catalytic processes covered by both C07C5/2732 and C07C5/277 simultaneously
    • C07C5/2724Catalytic processes not covered by C07C5/2732 - C07C5/31; Catalytic processes covered by both C07C5/2732 and C07C5/277 simultaneously wi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05Processes comprising at least two steps in s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4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4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 C07C7/05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with the aid of auxiliary compounds
    • C07C7/08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with the aid of auxiliary compounds by extractive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1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extrac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liquid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9/00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 C07C2529/04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having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pillared clays
    • C07C2529/06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 C07C2529/70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of type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fic structur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C2529/08 - C07C2529/65
    • C07C2529/7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of type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fic structur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C2529/08 - C07C2529/65 containing iron group metals, noble metals or copper
    • C07C2529/74Noble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트랜스알킬화 공정이 C10 알킬방향족 및 비추출된 톨루엔을 취급할 수 있는 것은 다음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더이상 톨루엔을 추출하지 않음으로써 개질유-분리기 컬럼을 생략할 수 있다. 추출 유닛(27)이 벤젠 컬럼의 탑정으로 이동되어 트랜스알킬화 유닛(36)과 함께 통합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더이상 C9 및 C10 알킬방향족의 엄격한 분할이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중질 방향족 컬럼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러한 강화된 트랜스알킬화 공정은 금속 작용의 도입을 통해 트랜스알킬화 촉매의 안정화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향상은 방향족 복합 시설에 내부 배터리 한계 곡선 비용을 절약하고 그러한 복합 시설에 대한 투자 이득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방향족 화합물의 생성을 위한 통합 장치{INTEGRATED APPARATUS FOR AROMATICS PRODUCTION}
본 발명은 나프타를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의 기초 석유화학 중간물질로 전환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공정 유닛을 이용한 장치 구역의 조합체인 방향족 복합 시설(complex)의 흐름도에 관한 것이다. 비추출된 톨루엔 및 중질 방향족 및 올레핀 포화 공정을 취급하는 금속 촉매 트랜스알킬화 공정을 기초로, 향상된 흐름도는 개질유 분리기 컬럼 및 중질 방향족 컬럼과 같은 장치 및 처리 단계의 항목을 제거하여 크실렌 이성질체를 생성시 유의적인 경제적 이득을 초래한다.
대부분의 새로운 방향족 복합 시설은 벤젠 및 파라-크실렌의 수율을 최대화하도록 고안된다. 벤젠은 에틸벤젠, 쿠멘, 및 시클로헥산을 포함한 이의 유도체를 기초로 하는 수많은 상이한 생성물에 사용되는 다목적 석유화학 구성 요소이다. 파라-크실렌은 또한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중간물질을 통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수지, 및 필름의 제조에 거의 단독으로만 사용되는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따라서, 방향족 복합 시설은 목적하는 생성물, 이용가능한 공급원료, 및 이용가능한 투자 자본에 따라 많은 상이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범위한 범위의 선택은 벤젠 및 파라-크실렌의 생성물 후보자 균형을 다르게 하는데 융통성을 갖도록 하여 하류 처리 조건을 만족시킨다.
종래의 방향족 복합 시설 흐름도는 문헌[HANDBOOK OF PETROLEUM REFINING PROCESSES(McGraw-Hill의 1997년 제2판)]에서 Meyers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Uitti 등의 US 3,590,092는 추출 증류, 방향족 사이드컷(side-cut) 정류, 및 분별의 조합을 이용하여 벤젠을 추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Berger의 US 3,996,305는 주로 벤젠 및 크실렌을 생성하기 위한 톨루엔 및 C9 알킬방향족의 트랜스알킬화에 관한 분별 계획을 개시한다. 트랜스알킬화 공정은 또한 방향족 추출 공정과 조합된다. 분별 계획은 통합된 경제적 이득을 위해 컬럼을 진입하는 2개의 스트림 및 컬럼에서 나오는 3개의 스트림을 갖는 단일 컬럼을 포함한다.
Bailey의 US 4,053,388은 촉매 개질 유닛과 열수소분해 유닛을 통합시킴으로써 증가된 수율을 실현하는 나프타로부터 방향족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방향족은 추출 증류, 트랜스알킬화, 파라-크실렌 분리, 및 크실렌 이성질체화 공정을 이용하는 복잡한 흐름도에서 회수된다. 중질 방향족을 위한 재실행(rerun) 컬럼 또한 개시된다.
Berger의 US 4,341,914는 공정으로부터 크실렌 수율을 높이기 위해 C10 알킬방향족을 재순환시키는 트랜스알킬화 공정을 개시한다. 트랜스알킬화 공정은 또한 트랜스알킬화 구역 공급원료로부터 혼합된 크실렌을 수득하는 연속적인 루프로서 작동되는 파라-크실렌 분리 구역 및 크실렌 이성질체화 구역 및 유출물 분별 구역 으로 바람직하게 통합된다.
Schmidt의 US 4,642,406은 비금속 촉매 상에서 이성질체화 구역으로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스알킬화 구역을 이용하는 크실렌 생성을 위한 상당히 엄격한 공정을 개시한다. 고 품질 벤젠은 크실렌 혼합물과 함께 생성되는데, 이는 파라-크실렌이 혼합물로부터 흡수성 분리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여 이성질체 소모된 스트림이 다시 트랜스알킬화 구역을 통과하게 된다.
Boitiaux 등의 US 5,417,844는 니켈 촉매의 존재 하에 증기 분해 휘발유에서 올레핀을 선택적 탈수소화시키는 공정을 개시하고 촉매를 사용하기 전 사용 이전의 반응기 외부에서 황 함유 유기 화합물을 촉매에 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uss 등의 US 5,658,453은 통합된 개질 및 올레핀 포화 공정을 개시한다. 올레핀 포화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백금족 금속 및 경우에 따라 금속 개질제를 포함하는 내화성 무기 산화물과 접촉하는 개질유액에 수소 기체를 첨가하는 혼합된 기상을 사용한다.
Buchanan 등의 US 5,763,720은 제올라이트, 예컨대 ZSM-12 및 수소화 귀금속, 예컨대 백금을 포함하는 촉매 상에서 벤젠 및/또는 톨루엔과 C9 + 알킬방향족을 접촉시킴으로써 벤젠과 크실렌을 생성하는 트랜스알킬화 공정을 개시한다. 황 또는 증기는 촉매를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Ichioka 등의 US 5,847,256은 바람직하게는 모데나이트인 제올라이트 및 바람직하게는 레늄인 금속을 이용한 촉매를 사용하여 C9 알킬방향족을 포함하는 공급 원료로부터 크실렌을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발명의 개요
강화된 트랜스알킬화 공정을 갖는 방향족 복합 시설의 흐름도는 금속 작용의 도입을 통해 트랜스알킬화 촉매의 안정화를 필요로 한다. 트랜스알킬화 공정에서 C10 알킬방향족 및 비추출된 톨루엔을 취급할 수 있게 되면 하기 흐름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먼저 추출 유닛에 통과시키지 않고 톨루엔을 사용함으로써, 흐름도는 개질유-분리기 컬럼을 생략한다. 부수적인 작은 용량 추출 유닛은 벤젠 컬럼의 탑정으로 이동시킨다. 벤젠만을 추출함으로써, 간단한 추출 증류를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더 고가의 복합 액체-액체 추출 방법은 중질 오염물질에 대해서만 요구되기 때문이다. 강화된 트랜스알킬화 유닛에서 C9 및 C10 알킬방향족을 사용함으로써, 흐름도는 중질 방향족 컬럼을 추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는 나프타를 파라-크실렌으로 효율적으로 전환시키는 공정 단계를 기초로 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트랜스알킬화 컬럼을 사용하여 분리된 벤젠 컬럼을 제거할 수 있다. 크실렌 컬럼은 분리된 중질 방향족 컬럼 대신에 사이드컷 또는 사이드 드로우(side-draw) 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 구체예 및 상세한 설명은 하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얻을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복합 시설에게 공급물은 나프타일 수 있지만, 또한 중질 분해유(pygas), 수입 혼합 크실렌, 또는 수입 톨루엔일 수도 있다. 방향족 복합 시설에 공급되는 나프타를 우선 수처리하여 황 및 질소 화합물을 0.5 중량ppm 미만으로 제거한 후 개질 유닛(13) 상에 처리된 나프타를 통과시킨다. 나프타 수처리는 유닛(11)에서 나프타 수처리 조건 하에 나프타 수처리 촉매와 라인(10) 내 나프타를 접촉시킴으로써 일어난다. 용어 "유닛"은 본 명세서 전반에서 다양한 공정 구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될 것이며 상기 "구역"은 공정 장비와 장치, 예컨대 반응 용기, 가열기, 분리기, 교환기, 배관, 펌프, 압축기, 컨트롤러 및 제한 없이 각 공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하여 당업자에 의해 각 공정의 상기 유닛 또는 구역의 일부가 되는 것으로 이해되는 임의의 그리고 모든 기타 장비 및 기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유념한다.
나프타 수처리 촉매는 통상 제2 성분 산화몰리브덴 또는 산화텅스텐, 및 일반적으로 고순도 알루미나인 제3 성분 무기 산화물 지지체와 함께 제1 성분 산화코발트 또는 산화니켈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산화코발트 또는 산화니켈 성분이 1∼5 중량% 범위이고 산화몰리브덴 성분이 6∼25 중량% 범위일 때 탁월한 결과가 실현된다. 나프타 수처리 촉매의 조성물이 균형을 이루도록 알루미나 (또는 산화알루미늄)을 설정하여 모든 성분을 최대 100 중량%로 합계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수처리 촉매는 US 5,723,710에 개시되어 있고, 이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 인용된다. 전형적인 수처리 조건은 1.0∼5.0 hr-1의 액체 시간당 공간 속도(LHSV), 50∼135 Nm3/m3의 탄화수소 (또는 나프타 공급원료)에 대한 수소의 비율, 및 10∼35 kg/cm2의 압력을 포함한다.
개질 유닛(13)에서는, 파라핀 및 나프텐을 방향족으로 전환시킨다. 이것은 실제로 방향족 고리를 생성하는 복합 시설 내 유일한 유닛이다. 복합 시설 내 나머지 유닛은 다양한 방향족 성분을 개별 생성물로 분리하고 다양한 방향족 종을 보다 높은 가치의 생성물로 전환시킨다. 개질 유닛(13)은 통상 100∼106 옥탄가 조사치(RON)의 가솔린 개질유를 생성하는 것과 같이 매우 상당히 엄격하게 작동하도록 고안되어 방향족 생성을 최대화한다. 이러한 상당히 엄격한 작동은 또한 개질유의 C8 + 유분에서 사실상 모든 비방향족 불순물을 없애고, C8 및 C9 방향족 추출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개질 유닛(13)에서는, 라인(12)으로부터의 수처리된 나프타를 개질 조건 하에 개질 촉매와 접촉시킨다. 개질 촉매는 통상 제1 성분 백금족 금속, 제2 성분 개질제 금속, 및 통상 고순도 알루미나인 제3 성분 무기 산화물 지지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백금족 금속이 0.01∼2.0 중량% 범위이고 개질제 금속 성분이 0.01∼5 중량% 범위일 때 탁월한 결과가 실현된다. 나프타 수처리 촉매의 조성물이 균형을 이루도록 알루미나를 설정하여 모든 성분을 최대 100 중량%로 합계한다. 백금족 금속은 백금, 팔라듐, 로듐, 루테늄, 오스뮴, 및 이리듐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백금족 금속 성분은 백금이다. 금속 개질제는 레늄, 주석, 게르마늄, 납, 코발트, 니켈, 인듐, 갈륨, 아연, 우라늄, 디스프로슘, 탈륨,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개질 촉매는 US 5,665,223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 인용된다. 전형적인 개질 조건은 1.0∼5.0 hr-1의 액체 시간당 공간 속도, 개질 구역을 진입하는 탄화수소 공급물의 1몰 당 수소 1∼10몰의 탄화수소에 대한 수소 비율, 및 2.5∼35 kg/cm2의 압력을 포함한다. 개질 유닛(13)에서 생성되는 수소는 라인(14)으로 배출된다.
라인(15)으로 개질 유닛(13)으로부터의 개질유 생성물을 탈부탄화기 구역(53)으로 이송하고, 이 구역은 통상 라인(21)으로 경질 최종물(end) 탄화수소(부탄 및 그 이하)를 스트리핑하는 탈부탄화기 컬럼(20)을 포함한다. 탈부탄화기 구역(53)은 또한 탈부탄화기 컬럼(20)으로부터 상류 또는 하류에 위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올레핀 포화 구역(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상류 선택을 도시한 반면 도 2는 하류 선택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방향족 복합 시설 내 다른 유닛으로부터의 스트림은 또한 스트리핑을 위해 라인(19)을 통해 탈부탄화기 컬럼(2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유닛들은 라인(17)으로 트랜스알킬화 스트리퍼-탑정 스트림을 이송하는 트랜스알킬화 구역, 및 라인(18)으로 탈헵탄화기 탑정 스트림을 이송하는 이성질체화 구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닛은 둘다 하기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올레핀 포화 구역(16)은 잘 공지된 점토 처리 수단 또는 잔류 올레핀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점토 처리 수단은 올레핀 포화 촉매 수단으로 수소의 선택적 용도를 포함한다. 따라서, 올레핀 포화 구역(16)은 올레핀 포화 조건 하에 작동하는 올레핀 포화 촉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당한 올레핀 포화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통상 알루미나인 무기 산화물 지지체 상에서 지지되는 원소 니켈 또는 백금족 성분을 포함한다. 원소 니켈이 지지체 상에 존재하는 경우, 니켈은 바람직하게는 총 촉매 중량의 2∼40 중량%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촉매는 US 5,658,453에 개시되고, 이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 인용된다. 대안적으로, 점토 그 자체가 경우에 따라 수소와 함께 사용되는 바람직한 올레핀 포화 촉매이고, 그러한 점토는 건조시 조밀하고 취성이 있지만, 습윤시 가소성이고 끈기가 있는 각종 색조의 공동지반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점토는 일반적으로 분말 장석, 석영, 모래, 산화철 및 다양한 다른 광물과 혼합된 함수 규산알루미늄이고, 화강암 내 알루미늄성 암석, 예컨대 장석의 분해로부터 형성된다. 올레핀을 선택적으로 포화시키는 능력을 입증하는 임의의 적당한 점토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상당히 바람직한 점토는 어타플구스(attapulgus) 점토 및 몬트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점토를 포함한다. 많은 유형의 점토에서 천연 철 함량은 방향족 공급원료에서 올레핀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포화시키는 점토의 능력에 기여하는 한편 방향족 화합물을 보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전형적인 올레핀 포화 조건은 20℃∼200℃의 온도, 5∼70 kg/cm2의 압력 및 존재하는 경우, 0.1:1 내지 15:1의 올레핀에 대한 수소의 화학량론적 비율을 포함한다.
라인(22) 내 방향족을 포함하는 탈부탄화된 개질유는 라인(24) 내 트랜스알킬화 스트리퍼-하부 스트림과 합해져서 라인(23)을 통해 벤젠-톨루엔(BT) 분별 구역(54)로 이송된다. BT 분별 구역(54)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컬럼을 포함하고, 통상 벤젠 컬럼(25) 및 톨루엔 컬럼(31)을 포함한다. 하지만, 벤젠 컬럼(2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당한 벤젠 스트림을 생성하는데 충분한 안정화기 구간이 구비된 트랜스알킬화 스트리퍼 컬럼(52)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BT 분별 구역(54)은 라인(26)에서 벤젠 농후 스트림, 라인(32)에서 톨루엔 농후 스트림, 및 라인(33)에서 크실렌-플러스 농후 스트림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라인(26) 내 벤젠 농후 스트림은 벤젠 컬럼(25)의 탑정으로부터 생성되고, 벤젠 컬럼(25)의 하부에서 라인(30)을 통해 톨루엔 컬럼(31)으로 공급물을 이송한다. 라인(32) 내 톨루엔 농후 스트림은 톨루엔 컬럼(31)의 탑정으로부터 생성되어 트랜스알킬화 유닛(36)으로 이송되고, 톨루엔 컬럼(31)의 하부에서 라인(33) 내 크실렌-플러스 농후 스트림이 생성된다. 톨루엔 컬럼(31)의 하부로부터 라인(33) 내 크실렌-플러스 농후 스트림을 하기 기술된 방향족 복합 시설의 크실렌 회수 구간(55)으로 이송한다.
라인(26)에서 벤젠 농후 스트림은 라인(29) 내 고순도 벤젠 생성물 스트림을 생성하고 부산물 라피네이트 스트림을 거부하는 추출 증류 구역(27)으로 이송된다. 라피네이트 스트림은 에틸렌 플랜트에 대해 공급원료로 사용되는 가솔린과 배합시킬 수 있거나, 또는 개질 유닛(13)으로 재순환됨으로써 추가의 벤젠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액체-액체 추출 또는 복합 액체-액체 추출/추출 증류 공정 대신에 추출 증류를 사용하면 경제적 향상을 초래한다. 추출 증류 구역(27)은 일반적으로 주 증류 컬럼으로 공지된 하나 이상의 컬럼을 포함할 것이고 회수 컬럼으로 공지된 제2 컬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컬럼은 또한 방향족 복합 시설의 또다른 분별 부분, 예컨대 BT 분별 구역(54)에서부터 벤젠 컬럼을 재사용함으로써 찾을 수도 있다.
추출 증류는 휘발성이 거의 동일하고 비점이 거의 동일한 성분 혼합물을 분리시키는 기법이다. 통상적인 분별 증류에 의해 상기 혼합물의 성분을 분리시키는 것은 어렵다. 추출 증류에 있어, 분리시키고자 하는 탄화수소 함유 유체 혼합물의 진입 지점보다 위의 주 추출성 증류 컬럼으로 용매를 도입시킨다. 용매는 충분하게 저온에서 비등하는 탄화수소 함유 유체 성분과 상이하게 고온에서 비등하는 탄화수소 함유 유체 성분의 휘발성에 영향을 미쳐서 증류에 의한 다양한 탄화수소 함유 유체 성분 분리가 용이하고 그러한 용매는 하부 부분으로 배출된다. 적당한 용매는 테트라히드로티오펜 1,1-이산화물 (또는 설폴란), NFM(n-포르밀모르폴린), NMP(n-메틸피롤리돈),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메톡시 트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글리콜 에테르는 또한 적당한 용매 단독 또는 상기 열거된 것과 함께일 수 있다. 라인(28) 내 비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라피네이트 스트림이 주 추출 증류 컬럼의 탑정에 있는 추출 증류 구역(27)에서 나오는 반면, 용매 및 벤젠을 포함하는 하부 유분은 주 추출 증류 컬럼의 아래에서 빠져나간다. 주 추출 증류 컬럼으로부터의 하부 스트림은 용매 회수 컬럼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벤젠이 라인(29)의 탑정에서 회수되고 용매는 하부로부터 회수되어 주 추출 증류 컬럼을 다시 통과한다. 추출 증류 구역(27)로부터 라인(29) 내 고순도 벤젠의 회수는 통상 99 중량%를 초과한다.
본 발명의 추출 증류 구간은 벤젠 농후 스트림을 제거하도록 처리함으로써 여러 방식으로 단순화된다. 예를 들어, 용매 회수 컬럼 내 용매로부터 방향족을 분리시키는데 통상 필요한 고가의 증기 스트리핑 장치가 주로 벤젠 공급물을 처리할 때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 스트리핑 및 관련 장치가 실질적으로 없이 작동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며, 실질적인 부재는 톨루엔을 포함한 중질 방향족 혼합물로부터 용매 회수에 통상 필요한 증기량이 없음을 의미한다. 벤젠은 또한 증기 대신에 사용되어 유닛에 필요한 임의의 용매를 재생시킬 수 있다. 추출 증류 구역(27) 중 주 추출 증류 컬럼, 용매 회수 컬럼, 및 임의의 벤젠 컬럼이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음을 유념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단순화된 흐름도에서, 용매 회수 컬럼은 벤젠 컬럼(25)이 중복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트랜스알킬화 스트리퍼 컬럼(52)은 여전히 벤젠 농후 스트림(26)을 생성하지만 탑정에서 고순도 벤젠 생성물을 생성하기 위해 용매 및 벤젠을 포함하는 주 추출 증류 컬럼 생성물 스트림(도시되지 않음)을 분류할 수 있고 하부로부터 용매를 회수할 수 있음으로써 이제 분리 벤젠 컬럼은 추출 증류 유닛을 위한 회수 컬럼으로 대신 작용한다. 대안적으로, 그리고 상기 기술된 흐름도 이외에, 벤젠 컬럼은 또한 용매 회수 컬럼과 함께 작용하여 효과적으로 2개의 회수 컬럼을 제공할 수 있고 추가의 회수된 벤젠 생성물 및 정제된 용매 스트림으로 증가된 벤젠을 회수할 수 있다.
라인(32) 내 톨루엔 농후 스트림은 통상 크실렌 컬럼(39)에 의해 생성된 C9 및 C10 알킬방향족이 농후한 라인(41) 내 스트림과 배합되고 추가의 크실렌 및 벤젠의 생성을 위해 라인(34)을 통해 트랜스알킬화 유닛(36)에 충전된다. 트랜스알킬화 유닛(36)에서, 공급물은 트랜스알킬화 조건 하에 트랜스알킬화 촉매와 접촉된다. 바람직한 촉매는 금속 안정화된 트랜스알킬화 촉매이다. 상기 촉매는 고체-산 성분, 금속 성분, 및 무기 산화물 성분을 포함한다. 고체-산 성분은 통상 MFI, MEL, MTW, MTT 및 FER(IUPAC 제올라이트 명칭 위임)의 구조를 포함하는 펜타실 제올라이트, 베타 제올라이트, 또는 모데나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모데나이트 제올라이트이다. 다른 적당한 고체-산 성분은 마자이트, NES형 제올라이트, EU-1, MAPO-36, MAPSO-31, SAPO-5, SAPO-11, SAPO-41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마자이트 제올라이트는 제올라이트 오메가를 포함한다. 제올라이트 오메가의 합성은 US 4,241,036에 기술되어 있다. 유럽 특허 출원 EP 0 378 916 A1은 NES형 제올라이트 및 NU-87의 제조 방법을 기술한다. EUO 구조 유형 EU-1 제올라이트는 US 4,537,754에 기술된다. MAPO-36은 US 4,567,029에 기술된다. MAPSO-31은 US 5,296,208에 기술되며 전형적인 SAPO 조성물은 SAPO-5, SAPO-11, SAPO-41을 포함하여 US 4,440,871에 기술된다.
금속 성분은 통상 귀금속 또는 비(卑)금속이다. 귀금속은 백금, 팔라듐, 로듐, 루테늄, 오스뮴, 및 이리듐에서 선택된 백금족 금속이다. 비금속은 레늄, 주석, 게르마늄, 납, 코발트, 니켈, 인듐, 갈륨, 아연, 우라늄, 디스프로슘, 탈륨,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비금속은 또다른 비금속, 또는 귀금속과 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성분은 레늄을 포함한다. 트랜스알킬화 촉매 내 적당한 금속 양은 0.01∼10 중량% 범위이고, 0.1∼3 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며, 0.1∼1 중량%가 상당히 바람직하다. 촉매 내 적당한 제올라이트 양은 1∼99 중량%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0∼90 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75 중량%이다. 촉매의 나머지는 경우에 따라 촉매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강도를 제공하고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데 사용되는 매트릭스 또는 내화성 바인더를 포함한다. 바인더는 조성물 중에서 균일하고 공정에 사용된 조건에 비교적 내화성이어야 한다. 적당한 바인더는 무기 산화물, 예컨대 하나 이상의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지르코니아, 크로미아, 티타니아, 보리아, 토리아, 인산염, 산화아연 및 실리카를 포함한다. 알루미나가 바람직한 바인더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하나의 트랜스알킬화 촉매는 US 5,847,256에 개시되며, 이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 인용된다.
트랜스알킬화 구역에서 사용되는 조건은 통상 200℃∼540℃의 온도를 포함한다. 트랜스알킬화 구역은 1∼60 kg/cm2 범위의 광범위한 중간 고압에서 작동된다. 트랜스알킬화 반응은 광범위한 공간 속도로 실시할 수 있고, 더 빠른 공간 속도는 전환 경비에서 파라-크실렌의 높은 비율로 실시할 수 있다. 액체 시간당 공간 속도는 일반적으로 0.1∼20 hr-1의 범위이다. 공급원료는 바람직하게는 기상에서 그리고 라인(35)을 통해 공급되는 수소의 존재 하에서 트랜스알킬화된다. 액상 내 트랜스알킬화되는 경우, 수소의 존재는 선택적이다. 존재하는 경우, 유리 수소는 공급원료와 관련되고 알킬방향족 1몰 당 0.1몰 내지 알킬방향족 1몰 당 최대 10몰의 양으로 탄화수소를 재순환시킨다. 수소 대 알킬방향족의 비율은 또한 수소 대 탄화수소 비율로서 언급된다.
트랜스알킬화 유닛(36)으로부터의 유출물을 트랜스알킬화 스트리퍼 컬럼(52)으로 이송하여 경질 최종물을 제거한 후, 라인(24 및 23)을 통해 BT 분별 구역(54)으로 이송한다. 벤젠 생성물을 회수하고, 크실렌을 분별하여 이를 라인(33) 내 크실렌-플러스 농후 스트림을 통해 크실렌 회수 구간(55)으로 이송한다. 트랜스알킬화 스트리퍼 컬럼(52)으로부터의 탑정 재료를, 잔류 벤젠의 회수를 위해 개질 유닛 탈부탄화기로 라인(17)을 통해 통상 다시 재순환시킨다. 대안적으로, 안정화기 구간 또는 컬럼은 트랜스알킬화 스트리퍼 컬럼(52) 상에 또는 그 이후에 배치된다. 상기 트랜스알킬화 안정화기 구간은 추출 증류에 적당한 벤젠 농후 스트림을 생성하고, 컬럼(52)의 상부에 구간(25)이 도시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T 분별 구간 내 분리 벤젠 컬럼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스알킬화 구역으로부터의 그러한 안정화기 또는 스트리퍼 컬럼은 분리 벤젠 컬럼(25)이 제거되는 경우 대안적으로 BT 분별 구역(54)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트랜스알킬화 스트리퍼 컬럼(52)은 또한 올레핀 포화 구역 또는 통상 개질 유닛 탈부탄화기 컬럼(20)으로 다시 재순환되어야 하는 알킬방향족 이성질체화 탈헵탄화기 컬럼으로부터 탑정에서 처리된 생성물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톨루엔 컬럼(31) 하부로부터의 라인(33) 내 크실렌-플러스 농후 스트림은 방향족 복합 시설의 크실렌 회수 구간(55)으로 이송된다. 방향족 복합 시설의 상기 구간은 하나 이상의 크실렌 컬럼(39)을 포함하고, 통상 방향족 복합 시설로부터의 파라-크실렌 생성물이지만 대신에 메타-크실렌 이성질체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크실렌 이성질체를 분리시키는 공정 유닛을 통상 추가로 포함할 것이다. 이하, 크실렌-이성질체 분리 구역은 파라-크실렌 이성질체의 측면에서 기술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파라-크실렌 분리 구역(43)은 잔여 알킬방향족 화합물을 파라-크실렌을 포함하는 평형 또는 근평형 혼합물로 다시 이성질체화하기 위한 이성질체화 유닛(51)과 함께 작동되며, 상기 혼합물은 루프 형성 방식으로 추가 회수를 위해 다시 재순환될 수 있다. 따라서, 라인(38) 내 재순환 스트림과 배합되어 라인(37)에서 스트림을 형성할 수 있는 라인(33) 내 크실렌-플러스 농후 스트림을 크실렌 컬럼(39)에 충전시킨다. 크실렌 컬럼(39)은 매우 낮은 수준의 C9 알킬방향족 (A9) 농도로 낮추는 파라-크실렌 분리 구역(43)으로 라인(40) 내 공급물 스트림을 재실행하도록 고안된다. A9 화합물은 파라-크실렌 분리 구역(43) 내에서 탈착제(desorbent) 순환 루프로 형성될 수 있어서, 크실렌 컬럼(39) 내 재료의 상류를 제거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크실렌 컬럼(39)으로부터의 라인(40) 내 탑정 공급물 스트림은 파라-크실렌 분리 구역(43)으로 직접 충전된다.
크실렌 컬럼(39)의 아래 부분으로부터의 재료는 라인(41)을 통해 C9 및 C10 알킬방향족이 농후한 스트림으로 배출되고, 이후 추가의 크실렌 및 벤젠을 생성하기 위한 트랜스알킬화 구역(36)에 이송된다. (중질 방향족 컬럼을 생략한) 크실렌 컬럼 상에 사이드컷 스트림으로 취해진 라인(41) 내 스트림은 정말로 금속 안정화된 트랜스알킬화 촉매에 의할 수 있다. 스트림으로부터 코크 전구체, 예컨대 메틸 인단 또는 나프탈렌을 유지하기 위해 엄격하게 분할하는 분리 컬럼은 더이상 필요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금속 안정화된 트랜스알킬화 촉매가 코킹으로 인해 유의적인 탈활성 없이 이들을 취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임의의 잔여 C11 + 재료는 라인(42)을 통해 크실렌 컬럼(39)의 하부로부터 거부된다. 또다른 구체예는 단지 사이드컷 스트림 대신에 트랜스알킬화 유닛으로 모든 크실렌 컬럼 하부 스트림을 이송시킨다.
대안적으로, 오르소-크실렌을 복합 시설에서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크실렌 컬럼은 메타 및 오르소-크실렌 사이에 균열을 만들어서 하부로 표적 오르소크실렌 양을 떨어뜨리도록 고안한다. 크실렌 컬럼 하부는 이후 고순도 오르소-크실렌 생성물이 탑정에서 회수되는 오르소-크실렌 컬럼(도시하지 않음)으로 이송된다. 오르소-크실렌 컬럼의 아래 부분으로부터의 재료는 C9 및 C10 알킬방향족이 농후한 스트림으로 배출되어 트랜스알킬화 유닛으로 이송된다. 임의의 잔여 C11 + 재료는 오르소-크실렌 컬럼의 하부로부터 거부된다.
파라-크실렌 분리 구역(43)은 분별 결정화 공정 또는 흡착성 분리 공정을 기초로 할 수 있고, 이들 둘다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흡착성 분리 공정을 기초로 한다. 그러한 흡착성 분리는 패스 당 높은 회수율에서 라인(44) 내 99 중량% 순수 파라-크실렌으로 회수할 수 있다. 분리 유닛에의 공급물 내 임의의 잔류 톨루엔은 파라-크실렌과 함께 추출되고, 유닛 내 마감 컬럼에서 분할된 후, 경우에 따라 트랜스알킬화 스트리퍼 컬럼(52)으로 재순환된다. 따라서, 파라-크실렌 분리 구역(43)으로부터의 라피네이트는 거의 완전하게 통상 1 중량% 미만의 수준으로 파라-크실렌이 열화된다. 라피네이트는 라인(45)을 통해 알킬방향족 이성질체화 유닛(51)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추가의 파라-크실렌이 크실렌 이성질체의 평형 또는 근접 평형 분배를 재확립함으로써 생성된다. 파라-크실렌 분리 유닛 라피네이트 내 임의의 에틸벤젠은 사용된 이성질체화 촉매의 유형에 따라 추가의 크실렌으로 전환되거나 탈알킬화에 의해 벤젠으로 전환된다.
알킬방향족 이성질체화 유닛(51)에서, 라인(45) 내 라피네이트 스트림은 이성질체화 조건 하에서 이성질체화 촉매와 접촉된다. 이성질체화 촉매는 통상 분자체 성분, 금속 성분, 및 무기 산화물 성분을 포함한다. 분자체 성분의 선택은 벤젠에 대한 전체적인 요구에 따라 에틸벤젠 이성질체화 및 에틸벤젠 탈알킬화 사이의 촉매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분자체는 제올라이트 알루미노 규산염 또는 비제올라이트 분자체일 수 있다. 제올라이트 알루미노 규산염 (또는 제올라이트) 성분은 통상 MFI, MEL, MTW, MTT 및 FER(IUPAC 제올라이트 명칭 위임)의 구조를 포함하는 펜타실 제올라이트, 베타 제올라이트, 또는 모데나이트이다. 비제올라이트 분자체는, ["Atlas of Zeolite Structure Types" (Butterworth-Heineman, Boston, Mass., 1992년 제3판)]에 따라, 통상 하나 이상의 AEL 골격 유형, 특히 SAPO-11, 또는 하나 이상의 ATO 골격 유형, 특히 MAPSO-31이다. 금속 성분은 통상 귀금속 성분이고, 귀금속 이외에 또는 귀금속 대신에 임의의 비금속 개질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귀금속은 백금, 팔라듐, 로듐, 루테늄, 오스뮴, 및 이리듐에서 선택된 백금족 금속이다. 비금속은 레늄, 주석, 게르마늄, 납, 코발트, 니켈, 인듐, 갈륨, 아연, 우라늄, 디스프로슘, 탈륨,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비금속은 또다른 비금속, 또는 귀금속과 조합될 수 있다. 이성질체화 촉매 내 적당한 총 금속량은 0.01∼10 중량% 범위이고, 0.1∼3 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다. 촉매 내 적당한 제올라이트 양은 1∼99 중량%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0∼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75 중량% 범위이다. 촉매의 나머지는 무기 산화물 바인더, 통상 알루미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하나의 이성질체화 촉매는 US 4,899,012에 개시되며, 이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 인용된다.
전형적인 이성질체화 조건은 0℃∼600℃ 범위의 온도 및 대기압 내지 50 kg/cm3의 압력을 포함한다. 촉매 부피에 대하여 공급원료의 액체 시간당 탄화수소 공간 속도는 0.1∼30 hr-1이다. 탄화수소는 0.5:1 내지 15:1 이상의 수소-대-탄화수소 몰비, 바람직하게는 0.5∼10의 비율에서 라인(46) 내 기상 수소 함유 스트림과 혼합하여 촉매와 접촉한다. 액상 조건이 이성질체화에 사용되는 경우, 수소는 유닛에 첨가되지 않는다.
이성질체화 유닛(51)으로부터의 유출물은 라인(47)을 통해 탈헵탄화기 컬럼(48)에 이송된다. 탈헵탄화기 컬럼(48)으로부터 라인(49) 내 하부 스트림을 처리하여, 필요하다면 상기 기술된 올레핀 포화 방법으로 올레핀 포화 유닛(50)에서 올레핀을 제거한다. 대안예는 이성질체화 유닛(51) 이후에 올레핀 포화 유닛(50)을 넣고 탈헵탄화기 컬럼(48)을 사용하여 잔류 수소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성질체화 유닛(51)에 사용된 촉매가 에틸벤젠 탈알킬화 유형인 경우, 올레핀 포화는 전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올레핀 처리 후, 라인(49) 내 탈헵탄화기 하부 스트림은 이후 라인(38)을 통해 크실렌 컬럼(39)으로 다시 재순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C8 방향족은, 이들이 파라-크실렌, 벤젠, 또는 경우에 따라 오르소-크실렌으로서 방향족 복합 시설에서 나올 때까지 복합 시설의 크실렌 회수 구간 내에서 연속하여 재순환된다. 탈헵탄화기 컬럼(48)으로부터의 탑정은 통상 잔류 벤젠을 회수하기 위해 라인(18)을 통해 개질 유닛 탈부탄화기 컬럼(20)으로 다시 재순환된다. 대안적으로, 탑정 액체는 트랜스알킬화 스트리퍼 컬럼(52)으로 다시 재순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향족 복합 시설은 탁월한 경제적 이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향상은 방향족 복합 시설에 내부 배터리 한계 곡선 비용을 절약하고 그러한 복합 시설에 대한 투자 이득이 향상된다.
도 1은 올레핀 포화 및 금속 안정화된 트랜스알킬화 촉매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향족 복합 시설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안정화기 구간에서 트랜스알킬화 스트리퍼 컬럼 주변에 기초한 흐름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구체예를 도시한다.

Claims (10)

  1. 방향족 농후 스트림으로부터 벤젠 및 크실렌 이성질체를 생성하는 통합 장치로서,
    (a) 주 증류 컬럼 및 벤젠 컬럼을 포함하는 추출 증류 구역(27)으로서, 벤젠 농후 스트림(26)이 라피네이트 스트림(28) 및 상기 통합 장치의 생성물로 회수되는 벤젠 생성물 스트림(29)을 생성하는 구역;
    (b) 톨루엔 컬럼(31)을 포함하는 분별 구역(54)으로서, 방향족 농후 스트림(22) 및 적어도 일부의 트랜스알킬화 생성물 스트림(24)으로부터 유래한 단계 (c)의 트랜스알킬화 스트리퍼 컬럼(52)의 하부 스트림(30)이 톨루엔 컬럼(31)으로 직접 보내지고 분리되어 톨루엔 농후 스트림(32), 및 크실렌-플러스 농후 스트림(33)을 생성하는 것인 구역;
    (c) 반응기(36) 및 트랜스알킬화 스트리퍼 컬럼(52)을 포함하는 트랜스알킬화 구역으로서, 톨루엔 농후 스트림(32) 및 C9 및 C10 알킬방향족이 농후한 크실렌-컬럼 스트림(41)을 트랜스알킬화 조건 하에 금속 안정화된 트랜스알킬화 촉매와 접촉시켜 단계 (b)의 트랜스알킬화 생성물 스트림(24) 및 단계 (a)의 벤젠 농후 스트림(26)을 생성하는 구역; 및
    (d) 크실렌 분별 컬럼(39) 및 크실렌-이성질체 분리 구역을 포함하는 크실렌 회수 구간(55)으로서, 크실렌 분별 컬럼은 단계 (b)의 크실렌-플러스 농후 스트림(33)을 분리하여 단계 (c)의 C9 및 C10 알킬방향족이 농후한 크실렌-컬럼 스트림(41) 및 탑정 크실렌 스트림(40)을 제공하고, 크실렌-이성질체 분리 구역은 탑정 크실렌 스트림(40)을 상기 통합 장치의 생성물 스트림으로 회수되는 크실렌 이성질체 농후 생성물 스트림(44)으로 농축시키는 것인 구간을 포함하며,
    벤젠 컬럼은 증기 스트리핑 장비 없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벤젠 컬럼은 주 증류 컬럼에서 나오는 주 증류 스트림을 분리하여 주 증류 컬럼으로 반송되는 용매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크실렌 회수 구간(55)은 알킬방향족 이성질체화 구역(51), 하나 이상의 탈헵탄화기 컬럼(48)을 구비한 탈헵탄화기 분별 구역 및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올레핀 포화 구역(50)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크실렌 컬럼(39)은 C9 및 C10 알킬방향족이 농후한 스트림(41)을 사이드컷으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크실렌 회수 구간(55)은 오르소-크실렌 컬럼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용매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주 증류 컬럼으로 통과하는 정제된 용매 스트림 및 회수된 벤젠 스트림을 생성하는 회수 컬럼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97014344A 2007-01-29 2007-01-29 방향족 화합물의 생성을 위한 통합 장치 KR101354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7/061204 WO2008094255A1 (en) 2007-01-29 2007-01-29 Integrated apparatus for aromatics 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309A KR20100014309A (ko) 2010-02-10
KR101354279B1 true KR101354279B1 (ko) 2014-01-23

Family

ID=3967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344A KR101354279B1 (ko) 2007-01-29 2007-01-29 방향족 화합물의 생성을 위한 통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54279B1 (ko)
CN (1) CN101600496A (ko)
WO (1) WO2008094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2747B2 (en) 2011-12-21 2014-09-02 Uop Llc Combined xylene isomerization and transalkylation process unit
FR2998301B1 (fr) * 2012-11-22 2016-01-01 Axens Methode de recuperation de chaleur a basse temperature et application de la methode au complexe aromatique
WO2014084828A1 (en) * 2012-11-29 2014-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Alkenyl succinic acids or anhydrides as corrosion inhibitors for metal surfaces
US10472305B2 (en) 2014-08-06 2019-11-12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Heat integration in disproportionation or transalkylation processes
CN108368002B (zh) * 2015-12-16 2021-11-02 环球油品公司 提高芳烃联合装置中的总芳烃和二甲苯收率的方法
EP3390328A4 (en) 2015-12-16 2019-08-21 Uop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ATURATION OF OLEFINS IN AROMATIC COMPLEX
US10464868B2 (en) 2017-05-26 2019-11-05 Saudi Arabian Oil Company Process for maximizing production of xylenes from heavy reformate without purge
US10252958B2 (en) 2017-05-26 2019-04-09 Saudi Arabian Oil Company Process for xylene production with energy optimization
US10793493B2 (en) * 2017-08-31 2020-10-06 Uop Llc Process for recovering benzene and fuel gas in an aromatics complex
US10894755B2 (en) 2018-10-15 2021-01-19 Saudi Arabian Oil Company Integrated process for optimum production of para-xylene
US10696609B2 (en) 2018-10-15 2020-06-30 Saudi Arabian Oil Company Integrated process for maximizing production of para-xylene from full reformate
US10501389B1 (en) 2018-10-25 2019-12-10 Saudi Arabian Oil Company Process and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para-xylene and benzene from streams rich in C6 to C12+ aromatic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9010A (ko) * 2002-12-19 2005-09-07 유오피 엘엘씨 방향족 화합물의 생산을 위한 통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9434B1 (en) * 2004-09-08 2007-02-20 Uop Llc Integrated apparatus for aromatics production
US7169368B1 (en) * 2004-09-08 2007-01-30 Uop Llc Integrated apparatus for aromatics production
US7288687B1 (en) * 2006-05-18 2007-10-30 Uop Llc Integrated process for aromatics production
US7268263B1 (en) * 2006-05-18 2007-09-11 Uop Llc Integrated process for aromatics production
US7304193B1 (en) * 2006-05-18 2007-12-04 Uop Llc Integrated process for aromatics produ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9010A (ko) * 2002-12-19 2005-09-07 유오피 엘엘씨 방향족 화합물의 생산을 위한 통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94255A1 (en) 2008-08-07
KR20100014309A (ko) 2010-02-10
CN101600496A (zh)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279B1 (ko) 방향족 화합물의 생성을 위한 통합 장치
US6740788B1 (en) Integrated process for aromatics production
US7304193B1 (en) Integrated process for aromatics production
US7288687B1 (en) Integrated process for aromatics production
US7268263B1 (en) Integrated process for aromatics production
JP5351391B2 (ja) パラキシレンを生成するための高エネルギー効率のプロセス
US7169368B1 (en) Integrated apparatus for aromatics production
TWI666194B (zh) 用於芳香族複合設備中之芳香族甲基化之方法及裝置
US7179434B1 (en) Integrated apparatus for aromatics production
US10876054B2 (en) Olefin and BTX production using aliphatic cracking reactor
US20170073285A1 (en) Processes and apparatuses for toluene methylation in an aromatics complex
CN106458793B (zh) 用于重整和烷基转移烃的方法和系统
US10865169B2 (en) Liquid phase isomerization process integration
US20120271084A1 (en) Recycle of transalkylation effluent fractions enriched in trimethylbenzene
US20200095181A1 (en) Removal of feed treatment units in aromatics complex designs
WO2016195951A1 (en) Processes and apparatuses for separating streams to provide a transalkylation feed stream in an aromatics complex
US10822291B2 (en) Processes and apparatuses for naphthene recycle in the production of aromatic products
KR102190831B1 (ko) 방향족 콤플렉스에서 트랜스알킬화 원료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한 스트림 분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