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916B1 -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916B1
KR101353916B1 KR1020120053011A KR20120053011A KR101353916B1 KR 101353916 B1 KR101353916 B1 KR 101353916B1 KR 1020120053011 A KR1020120053011 A KR 1020120053011A KR 20120053011 A KR20120053011 A KR 20120053011A KR 101353916 B1 KR101353916 B1 KR 101353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user interface
advertiser
ac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8798A (ko
Inventor
이원범
Original Assignee
이원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범 filed Critical 이원범
Priority to KR1020120053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9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6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콘텐츠 거래 시스템 사용자들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명령에 따른 소정의 처리과정을 수행한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서 영상물의 장면별로 분할된 구간에 연동하는 검증된 콘텐츠를 제공하되, 특정 장면별로 나타나는 광고대상객체를 실제정보와 매칭시켜 화면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중앙 처리부와,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 및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로 인하여 콘텐츠의 구매를 용이하게 하며, 검증된 콘텐츠만이 거래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Contents dealing system using contents information service}
본 발명은 콘텐츠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영상물 내의 특정 장면별로 분할된 구간에 따라서 인증된 콘텐츠만이 거래될 수 있도록 하며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연예인이라는 직업은 청소년은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선망의 대상으로서 특히 방송영상물에서 협찬받게 되는 연예인의 의복이나 시계, 반지, 목걸이 등의 악세서리, 또는 방송 영상물에 이용되는 가구나 자동차, 배경장소 등과 같은 방송노출 콘텐츠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지고 있음은 물론, 최신 유행을 선도하는 주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방송노출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방송영상물에서 방송된 방송노출 콘텐츠를 구매하기 위해 재래시장이나 백화점 또는 쇼핑센터 등과 같은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구매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방송노출 콘텐츠 구입을 위해 다수 매장을 일일이 돌아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해당 방송노출 콘텐츠가 방영된 방송 영상물명이나 해당 방송노출 상품을 착용한 연예인의 이름 등과 같은 사전정보를 알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과 연동하는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다. 그러나 빠르게 변화하는 화면과 연동하는 콘텐츠의 변화로 콘텐츠의 구매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방송과 연동하는 콘텐츠가 진품인지 모조품인지의 여부가 불명확한 불편함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물 내의 특정 장면별로 분할된 구간에 따라서 연동하는 콘텐츠가 제공되며, 상기 제공되는 콘텐츠는 진품 여부가 인증되도록 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콘텐츠 거래 시스템 사용자들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명령에 따른 소정의 처리과정을 수행한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서 영상물의 장면별로 분할된 구간에 연동하는 검증된 콘텐츠를 제공하되, 특정 장면별로 나타나는 광고대상객체를 실제정보와 매칭시켜 화면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중앙 처리부와,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 및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술한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제공자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제공자 여부를 인증하는 정보제공자 인증부와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정보제공자들 사이에서 실제정보의 정보제공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정보제공자 순위설정부와 특정 장면에 나타나는 광고대상객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실제정보와 매칭시키는 정보 매칭부 및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광고대상객체와 매칭된 실제정보를 수정하는 정보 수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앙처리부는 제작자 및 영상물을 인증하고 영상물을 제작자와 매칭시키는 영상물 등록부와 특정 영상물을 장면의 단위로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는 장면 분할부 및 광고대상객체에 매칭된 실제정보의 진위를 확인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실제정보 광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특정 장면에 나타나는 광고대상객체와 관련정보 정보를 매칭하는 관련정보 광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요청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물 등록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제공자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제공자 여부를 인증하는 정보제공자 인증부와,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정보제공자들 사이에서 특정 콘텐츠의 정보제공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정보제공자 순위설정부와, 특정 장면에 나타나는 콘텐츠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실제 콘텐츠 정보와 매칭시키는 정보 매칭부 및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와 매칭된 실제 콘텐츠 정보를 수정하는 정보 수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면 분할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장면분할 명령에 따라 영상물을 장면별로 분할하는 장면분할 실행부와, 상기 장면분할 실행부가 분할한 장면의 구간별 정보를 생성하는 구간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간 생성부는 특정 장면에 대한 구간별 넘버링을 하고, 구간별 타임라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제정보 광고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실제 광고주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광고주 여부를 인증하는 실제 광고주 인증부 및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광고대상객체와 실제정보와의 매칭결과를 검수하는 매칭정보 검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련정보 광고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관련정보 광고주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관련정보 광고주여부를 인증하는 관련정보 광고주 인증부 및 특정 장면에 나타나는 광고대상객체와 관련정보를 매칭하는 관련정보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련정보 광고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광고위치 선호정보를 입력받아 위치를 설정하는 관련광고 위치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청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시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시청자 여부를 인증하는 시청자 인증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요청정보의 분야를 분석하여 적합한 정보제공자를 도출하는 요청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소비자의 콘텐츠 구매를 용이하게 하고 검증된 콘텐츠만이 거래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들에게 신뢰감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상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정보 제공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중앙 처리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영상물 등록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장면 분할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의 실제정보 광고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7은 상기 실제정보가 장면에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3의 관련정보 광고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3의 요청정보 제공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중앙 처리부(120), 관리자 인터페이스부(110), 제 1 및 2 저장부(130, 140)들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콘텐츠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명령에 따라 소정의 처리과정을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라 함은 상기 콘텐츠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복수의 주체를 통칭하는 것으로 제작자, 실제정보 광고주, 관련정보 광고주, 정보제공자 및 시청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중앙 처리부 관리자의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명령에 따라 소정의 처리과정을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중앙 처리부(12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및 관리자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서, 영상물의 장면별로 분할된 구간에 연동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제공되는 콘텐츠는 검증된 서비스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앙 처리부(120)는 특정 장면별로 나타나는 광고대상객체를 실제정보와 매칭시켜 화면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언급한 영상물이란 영화, 드라마, UCC(User Created Contents) 및 CF(Commercial Film)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란 상술한 영상물 정보와 요청정보 및 이하에서 설명할 장면정보와 실제정보 및 관련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저장부(130)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제 1 저장부(130)는 중앙 처리부(120)의 요청에 따라서 해당되는 정보를 입/출력하고 저장한다.
상기 제 2 저장부(140)는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콘텐츠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물 정보, 장면 정보, 요청 정보, 실제 정보 및 관련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 2 저장부(140)는 중앙 처리부(120)의 요청에 따라서 해당되는 정보를 입/출력하고 저장한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제공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제공부(220)는 정보제공자 인증부(500), 정보제공자 순위설정부(510), 정보 수정부(520) 및 정보 매칭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제공자 인증부(5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제공자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제공자 여부를 인증한다. 상기 정보제공자는 특정 영상물의 장면별로 실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정보제공자는 영상물의 제작 단계에 참여 또는 관련된 법인의 실무자들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이 적용되는 영상물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영화, 드라마, UCC 내지 온라인 CF 등을 통해 표출될 수 있는데, 상기 UCC와 같은 경우의 정보제공자는 제작자가 될 수 있으며, CF의 경우 CF 제작에 관련된 제작자는 물론 해당 광고의 광고주가 정보제공자가 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는 이름, ID(Identification) & PWD(Password), 소속법인명, 담당부서, 직책,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제공자 정보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나열된 복수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면 가능하다. 상기 정보제공자 인증부(500)는 입력받은 정보제공자 정보를 상기 제 1 저장부(130)에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한다. 즉, ID 중복체크 또는 법인명 중복체크 등을 통해 제 1 저장부(130)에 기 저장되어 있던 정보제공자 정보와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정보제공자 인증부(500)는 인증불가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판단결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정보제공자 인증부(500)는 상기 입력받은 정보제공자 정보가 제 1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자 인증부(500)는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특정 정보제공자 인증 거부명령이 제 1 저장부(130)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정보제공자의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인증 거부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정보제공자 순위설정부(510)는 상기 제 1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정보제공자들 사이에서 실제정보의 정보제공에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상기 정보제공자 순위설정부(510)는 특정 영상물에 대하여 실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제공자가 복수인 경우에,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복수의 정보제공자들 간에 우선순위를 정한다. 상기 우선순위의 결정은 제 1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제공자 정보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정보제공자가 소속한 소속사의 관련 작품에 특정 영상물이 해당하는지 여부, 정보제공자의 담당분야에 특정 영상물이 해당되는지의 여부 등, 정보제공자 순위설정부(510)는 복수의 기준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상기 정보 매칭부(530)는 특정 장면에 나타나는 광고대상객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된 실제정보와 매칭시킨다. 여기서 상기 실제정보는 브랜드명, 가격, 판매사명, 모델명, 색상, 크기 및 이미지 등 복수의 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나 상기 실제정보는 상기 나열된 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실제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특정 장면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정보 매칭부(530)는 제 2 저장부(140)로부터 선택명령에 상응하는 특정 장면을 독출한다. 상기 정보 매칭부(530)는 상기 독출된 특정 장면에 나타난 광고대상객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된 실제정보를 매칭한다. 상기 장면에 포함된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에 매칭된 실제 콘텐츠 정보는 제 2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상기 정보 수정부(520)는 제 2 저장부(140)에 저장된, 광고대상객체와 매칭된 실제정보를 수정한다. 상기 정보 수정부(520)는 상위 우선순위를 갖는 정보제공자의 수정명령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되면 하위 우선순위를 갖는 정보제공자에 의하여 기 입력된 실제정보를 수정한다. 예를 들면, 제 2 순위의 정보제공자에 의하여 우산의 브랜드명이 "A"라고 입력되어 저장된 경우에, 제 1 순위의 정보제공자에 의하여 우산의 브랜드명이 "B"라고 입력되면, 우산의 실제정보인 브랜드명은 우선순위를 갖는 제 1 순위 정보 제공자의 명령에 따라서 "B"로 수정된다. 상기 정보 수정부(520)에서 수정이 발생한 실제정보는 제 2 저장부(140)에 콘텐츠와 매칭되어 저장된다.
한편, 정보제공자에 의하여 입력된 실제 콘텐츠 정보에 복수번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관리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인증삭제 명령에 따라 제 1 저장부(130)에 저장된 해당 정보제공자의 인증을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도 1의 중앙 처리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중앙 처리부(120)는 영상물 등록부(200), 장면 분할부(210), 실제정보 광보부(230), 관련정보 광고부(240) 및 요청정보 제공부(2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영상물 등록부(200)는 제작자 및 영상물을 인증하고, 영상물을 제작자와 매칭시킨다. 도 4는 도 3의 영상물 등록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물 등록부(200)는 제작자 인증부(300), 영상물 인증부(310) 및 영상물 매칭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작자 인증부(3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받은 제작자 정보를 이용하여 제작자 여부를 인증한다. 상기 제작자 정보는 법인명, ID(Identification) & PWD(Password), 법인번호, 대표자명, 주소, 연락처, 담당부서, 담당자명, 담당연락처, 제작 영상물명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제작자 정보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나열된 복수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면 가능하다. 상기 제작자 인증부(300)는 입력받은 제작자 정보를 상기 제 1 저장부(130)에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한다. 즉, 제작자 인증부(300)는 ID 중복체크 또는 법인명 중복체크 등을 통해 제 1 저장부(130)에 기 저장되어 있던 제작자 정보와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작자 인증부(300)는 인증불가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판단결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작자 인증부(300)는 상기 입력받은 제작자 정보가 제 1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작자 인증부(300)는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특정 법인의 인증 거부명령이 제 1 저장부(130)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법인의 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경우에 인증 거부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영상물 인증부(31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받은 영상물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물 여부를 인증한다. 상기 영상물 정보는 영상물의 카테고리, 영상물명, 제작정보, 영상물 단가, 광고단가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영상물 정보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나열된 복수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광고 단가라함은 제작자가 자신이 제공하는 영상물에 대한 광고(실제정보를 통한)에 대해 실제 광고주에 제시할 수 있는 단가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 영상물 인증부(310)는 입력받은 영상물 정보를 상기 제 2 저장부(140)에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한다. 즉, 영상물 인증부(310)는 카테고리와 영상물명의 중복체크 등을 통해 제 2 저장부(140)에 기 저장되어 있던 영상물 정보와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영상물 인증부(310)는 인증불가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판단결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영상물 인증부(310)는 상기 입력받은 영상물 정보가 제 2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물 매칭부(320)는 상기 제작자 정보를 영상물 정보와 매칭시킨다. 인증된 제작자에 의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된 영상물 정보는 해당 제작자의 ID에 종속되어 상기 제 2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상기 영상물 정보가 제작자의 ID에 종속되어 저장되는 순서는 시간상의 업로드 되는 순서로 저장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장면 분할부(210)는 특정 영상물을 장면의 단위로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한다. 도 5는 도 3의 장면 분할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면 분할부(210)는 장면분할 실행부(400) 및 구간 생성부(410)를 포함한다.
상기 장면분할 실행부(4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또는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장면분할 명령에 따라 영상물을 장면별로 분할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또는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특정 영상물의 장면분할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장면분할 실행부(400)는 제 2 저장부(140)에 저장된 해당 영상물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영상물을 장면별로 분할한다. 상기 장면은 시나리오상의 이야기 전개상 출연진과 장소가 노출되는 장면이다. 또한 상기 장면은 촬영장 면내의 카메라 초점을 맞춰 노출되는 화면인 복수의 샷(Shot)을 포함하며, 30초 내지 4분의 시간 동안 유지된다.
한편, 상기 구간 생성부(410)는 상기 장면분할 실행부(400)가 분할한 장면의 구간별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구간 생성부(410)는 특정 장면이 전체 장면에서 몇 번째 장면에 해당되는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구간별로 넘버링(Numbering)하고, 특정 구간이 얼마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시간과 관련하여 구간별 타임라인(Time-line)을 생성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또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장면분할 명령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영상물이 표시되는 과정을 통해 장면이 분할될 수 있다. 하지만, 장면분할 명령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영상물에서 특정 코드값을 찾아서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상기 실제정보 광고부(230)는 광고대상객체에 매칭된 실제정보의 진위를 확인한다. 도 6은 도 3의 실제정보 광고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제정보 광고부(230)는 실제 광고주 인증부(600) 및 매칭정보 검수부(610)를 포함한다.
상기 실제 광고주 인증부(6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받은 실제 광고주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광고주 여부를 인증한다. 상기 실제 광고주는 실제정보에 매칭되는 광고대상객체를 제조 또는 판매하는 자로 온라인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거래 시스템을 통해 광고를 하고자 하는 자를 의미한다. 상기 실제 광고주 정보는 법인명, ID(Identification) & PWD(Password), 법인번호, 대표자명, 업종/업태정보, 주소, 연락처, 담당부서, 직책, 담당자명, 담당자연락처, 브랜드명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나 실제 광고주 정보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나열된 복수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면 가능하다. 상기 실제 광고주 인증부(600)는 입력받은 실제 광고주 정보를 상기 제 1 저장부(130)에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한다. 즉, ID 중복체크 또는 법인명 중복체크 등을 통해 제 1 저장부(130)에 기 저장되어 있던 실제 광고주 정보와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실제 광고주 인증부(600)는 인증불가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판단결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실제 광고주 인증부(600)는 상기 입력받은 실제 광고주 정보가 제 1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제 광고주 인증부(600)는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특정 실제 광고주 인증 거부명령이 제 1 저장부(130)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실제 광고주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인증 거부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매칭정보 검수부(610)는 상기 제 2 저장부(140)에 저장된, 광고대상객체와 실제정보와의 매칭 결과를 검수한다.
상기 매칭정보 검수부(610)는 인증된 실제 광고주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검색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해당 조건에 대한 결과를 제 2 저장부(140)에서 독출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된 검색명령이 특정 브랜드에 관련된 경우에, 매칭정보 검수부(610)는 해당 브랜드가 광고대상객체로 나타나는 복수의 장면들을 제 2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한다.
상기 매칭정보 검수부(610)는 상기 독출한 복수의 장면들에서 광고대상객체와 기 매칭 된 실제정보가 상응하는 광고대상객체에 정확하게 매칭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상기 실제 광고주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승인명령 또는 불승인명령을 이용하여 검수한다. 상기 검수결과 승인명령이 입력되면, 매칭정보 검수부(610)는 광고대상객체와 매칭된 실제정보를 확정하여 제 2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그러나 상기 검수결과 불승인명령이 입력되면, 매칭정보 검수부(610)는 수정요구 명령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매칭정보 검수부(610)는 상기 수정요구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수정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수정된 실제정보와 상응하는 광고대상객체를 매칭시켜 제 2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상기 제 2 저장부(140)에 저장된 광고대상객체와 검수된 실제정보는 특정 장면이 나타날 때 화면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매칭정보 검수부(610)는 상기에서 언급한 특정 영상물에 대한 광고단가에 대해 상기 실제 광고주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승인명령 또는 불승인명령에 따라 승인명령이 입력되면, 매칭정보 검수부(610)는 광고대상객체와 매칭된 실제정보를 확정하여 제 2 저장부(140)에 저장하고, 상기 제 2 저장부(140)에 저장된 광고대상객체와 검수된 실제정보는 특정 장면이 나타날 때 화면에 표시된다. 그러나 불승인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광고대상객체와 대응하는 실제정보는 특정 장면이 나타날 때 화면에서 배제되는 것이다.
한편, 실제 광고주에 의하여 입력된 승인명령에 복수번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관리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인증삭제 명령에 따라 제 1 저장부(130)에 저장된 해당 실제 광고주의 인증을 삭제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실제정보가 장면에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장면에 대한 복수의 광고대상객체가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광고대상객체 중 하나의 광고대상객체를 선택하면, 화면에 실제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관련정보 광고부(240)는 특정 장면에 나타나는 광고대상객체와 관련정보를 매칭한다. 도 8은 도 3의 관련정보 광고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련정보 광고부(240)는 관련정보 광고주 인증부(800), 관련정보 매칭부(810) 및 관련광고 위치 설정부(820)를 포함한다.
상기 관련정보 광고주 인증부(8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받은 관련정보 광고주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관련정보 광고주여부를 인증한다. 상기 관련정보 광고주 정보는 법인명, ID(Identification) & PWD(Password), 법인번호, 대표자명, 업종/업태정보, 주소, 연락처, 담당정보, 브랜드명 및 상품 카테고리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나 관련정보 광고주 정보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나열된 복수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면 가능하다. 상기 관련정보 광고주 인증부(800)는 입력받은 관련정보 광고주 정보를 상기 제 1 저장부(130)에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한다. 즉, ID 중복체크 또는 법인명 중복체크 등을 통해 제 1 저장부(130)에 기 저장되어 있던 관련정보 광고주 정보와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관련정보 광고주 인증부(800)는 인증불가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판단결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관련정보 광고주 인증부(800)는 상기 입력받은 관련정보 광고주 정보가 제 1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련정보 광고주 인증부(800)는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특정 관련정보 광고주 인증 거부명령이 제 1 저장부(130)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관련정보 광고주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인증 거부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관련정보 매칭부(810)는 특정 장면에 나타나는 광고대상객체와 관련정보를 매칭한다. 상기 관련정보 매칭부(8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검색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해당 조건에 대한 결과를 제 2 저장부(140)에서 독출한다. 예를 들면, 관련정보 광고주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된 검색명령이 특정 업종/업태와 관련된 경우에, 관련정보 매칭부(810)는 해당 업종/업태와 관련된 광고대상객체가 나타난 복수의 장면을 제 2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한다. 이어 상기 관련정보 매칭부(810)는 관련정보 광고주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된 매칭 명령에 따라 해당되는 광고대상객체와 관련정보를 매칭시킨다. 상기 관련정보 매칭부(810)는 복수의 기준으로 광고대상객체와 관련정보의 매칭 가능성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광고대상객체와 관련정보 간의 매칭이 가능한 경우에, 관련정보 매칭부(810)는 광고대상객체와 관련정보를 매칭하고, 제 2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실제 광고대상객체와 관련정보 간의 매칭이 불가능한 경우에, 관련정보 매칭부(8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매칭불가 결과를 출력한다.
관련정보 위치 설정부(8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광고 위치 선호정보를 입력받아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관련정보 위치 설정부(8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된 광고 위치 선호 정보를 취합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위치를 선정한다. 관련광고 위치 설정부(820)가 동일한 위치 선호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에는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우선순위가 부여된다.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예치금, 광고주의 인기도 등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선택된 광고대상객체에 대하여 관련정보가 매칭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상기 요청정보 제공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된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결과를 출력한다. 도 9는 도 3의 요청정보 제공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요청정보 제공부(250)는 시청자 인증부(900) 및 요청정보 분석부(910)를 포함한다.
상기 시청자 인증부(9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받은 시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시청자여부를 인증한다. 상기 시청자 정보는 이름, 주민등록번호, ID(Identification) & PWD(Password), 연락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나 시청자 정보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나열된 복수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면 가능하다. 상기 시청자 인증부(900)는 입력받은 시청자 정보를 상기 제 1 저장부(130)에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한다. 즉, ID 중복체크 또는 주민번호 중복체크 등을 통해 제 1 저장부(130)에 기 저장되어 있던 시청자 정보와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시청자 인증부(900)는 인증불가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판단결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시청자 인증부(900)는 상기 입력받은 시청자 정보가 제 1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시청자 인증부(900)는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특정 시청자 인증 거부명령이 제 1 저장부(130)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특정 시청자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인증 거부결과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시청자 인증부(900)는 상기 입력받은 시청자정보 중에서 주민번호를 토대로 성인인증을 수행한다.
요청정보 분석부(9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된 요청정보의 분야를 분석하여 적합한 정보제공자를 도출한다. 요청정보 분석부(9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된 요청정보가 복수의 정보 중 어느 분야에 해당하는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분야가 도출된 경우에, 상기 요청정보 분석부(910)는 해당 분야에 대한 정보제공자의 리스트를 제 1 저장부(13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요청정보 분석부(910)는 복수의 정보제공자 중에서 우선순위가 상위인 정보 제공자를 독출하여, 상기 요청정보를 해당되는 정보 제공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요청정보 분석부(910)는 상기 정보제공자로의 상기 요청정보 출력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해당되는 시청자에게 요청정보 답변을 출력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요청정보의 분야가 화면에 표시된다. 상기 표시되는 요청정보는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서 범위가 감소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10 : 관리자 인터페이스부
120 : 중앙 처리부 130 : 제 1 저장부
140 : 제 2 저장부 200 : 영상물 등록부
210 : 장면 분할부 220 : 정보 제공부
230 : 실제정보 광고부 240 : 관련정보 광고부
250 : 요청정보 제공부

Claims (13)

  1. 콘텐츠 거래 시스템 사용자들로부터 영상물 내의 특정 장면별로 분할된 구간에 따라서 연동하는 콘텐츠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는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명령에 따라 수행되는 콘텐츠의 검증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서 영상물의 장면별로 분할된 구간에 연동하는 검증된 콘텐츠를 제공하되, 특정 장면별로 나타나는 광고대상객체를 실제정보와 매칭시켜 화면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중앙 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의 요청에 따라 해당되는 정보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며, 제작자, 실제정보 광고주, 관련정보 광고주, 정보제공자 및 시청자를 포함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의 요청에 따라 해당되는 정보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며, 해당 영상물의 카테고리, 영상물명, 제작정보, 영상물 단가, 광고 단가가 포함된 영상물 정보, 장면 정보, 실제정보, 관련정보 및 요청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처리부에는 장면분할부, 영상물등록부, 실제정보 광고부, 관련정보 광고부 및 요청정보 제공부가 더 포함되는 바,
    상기 장면분할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장면분할 명령에 따라 영상물을 장면별로 분할하는 장면분할 실행부 및 상기 장면분할 실행부가 분할한 장면의 구간별 정보를 생성하고 특정 장면에 대한 구간별 넘버링을 하며 구간별 타임라인을 생성하는 구간 생성부로 구성되고,
    상기 정보 제공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특정 영상물에 대한 장면별로 브랜드명, 가격, 판매사명, 모델명, 색상, 크기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실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제공자와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제공자를 비교하여 정보제공자 여부를 인증하는 정보제공자 인증부, 상기 제 1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정보제공자들 사이에서 상기 실제정보의 정보제공에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정보제공자 순위설정부, 특정 영상물의 특정 장면에 나타나는 광고대상객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정보제공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실제정보와 매칭시키는 정보 매칭부 및 상기 순위설정부로부터 선정된 우선순위 정보제공자에 의해 입력된 실제정보를 하순위 정보제공자에 의해 기 입력된 실제정보와 대체하는 정보수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물 등록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제작자 정보와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제작자 정보를 비교하여 제작자 여부를 인증하는 제작자 인증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영상물 정보와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물 정보를 비교하여 영상물 여부를 인증하는 영상물 인증부 및 상기 제작자 정보를 상기 영상물 정보와 매칭시키는 영상물 매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제정보 광고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실제 광고주 정보와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실제 광고주 정보를 비교하여 실제 광고주 여부를 인증하는 실제 광고주 인증부, 상기 실제 광고주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실제 광고주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검색명령을 입력한 경우 해당조건에 대한 결과를 상기 제 2저장부에서 독출하고, 실제 광고주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승인명령 또는 불승인명령에 의해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광고대상객체와 실제정보와의 매칭결과를 검수하여 검수된 실제정보를 상기 제 2저장부에 저장하는 매칭정보 검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정보 광고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관련정보 광고주 정보와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관련정보 광고주 정보를 비교하여 실제 관련정보 광고주 여부를 인증하는 관련정보 광고주 인증부, 상기 관련정보 광고주 인증부에서 인증된 관련정보 광고주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검색명령을 입력한 경우 해당조건에 대한 결과를 상기 제 2 저장부에서 독출하고, 상기 관련정보 광고주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매칭 명령에 따라 매칭여부를 판단하고 매칭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 2 저장부에 광고대상객체와 관련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관련정보 매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청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시청자 정보와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시청자 정보를 비교하여 실제 시청자 여부를 인증하는 시청자 인증부, 상기 시청자 인증부에서 인증된 시청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요청정보를 입력한 경우 요청정보의 분야를 분석하여 해당 분야 정보제공자의 리스트를 제 1 저장부로부터 수신하고, 우선순위 정보제공자를 독출하여 상기 요청정보를 해당 정보제공자에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 하며, 해당 정보제공자로부터 상기 요청정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시청자에게 요청정보에 대한 응답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요청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20053011A 2012-05-18 2012-05-18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 KR101353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011A KR101353916B1 (ko) 2012-05-18 2012-05-18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011A KR101353916B1 (ko) 2012-05-18 2012-05-18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721A Division KR20110110422A (ko) 2010-04-01 2010-04-01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798A KR20120068798A (ko) 2012-06-27
KR101353916B1 true KR101353916B1 (ko) 2014-01-23

Family

ID=4668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011A KR101353916B1 (ko) 2012-05-18 2012-05-18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9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675A (ko) * 2000-03-02 2001-09-15 김성일 방송과 연계한 인터넷 쇼핑방법
KR20010096551A (ko) * 2000-04-12 2001-11-07 구자홍 방송신호를 통한 상품정보 제공 및 이를 통한 상품정보획득 방법 및 장치
KR20090129653A (ko) * 2008-06-13 2009-12-17 김종경 동영상 컨텐츠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675A (ko) * 2000-03-02 2001-09-15 김성일 방송과 연계한 인터넷 쇼핑방법
KR20010096551A (ko) * 2000-04-12 2001-11-07 구자홍 방송신호를 통한 상품정보 제공 및 이를 통한 상품정보획득 방법 및 장치
KR20090129653A (ko) * 2008-06-13 2009-12-17 김종경 동영상 컨텐츠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798A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80375A1 (en) Blockchain-based product authentication system
US8374920B2 (en) Anti-counterfeiting system and method
Rhumorbarbe et al. Buying drugs on a Darknet market: A better deal? Studying the online illicit drug market through the analysis of digital, physical and chemical data
US202103905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blockchains for verifying assets for smart contracts
TW202018561A (zh) 向區塊鏈中存入、及獲取商家認證資料的方法和裝置
KR102069002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하는 이력관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US20220215382A1 (en) Blockchain-based product authentication system
JP6298995B2 (ja) 販売支援システム
US20190073720A1 (en) Platform, system and method for diamond trading
US20160292757A1 (en) Commercial product evalu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US20150269682A1 (en) Online auctions with collectible authenticity insurance systems and methods
KR20170001849A (ko) 정품인증 수단, 정품인증 시스템
KR101609336B1 (ko) 상품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353916B1 (ko)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
KR101331881B1 (ko) 콘텐츠 인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
KR101331880B1 (ko) 콘텐츠 거래 시스템
KR20110110422A (ko) 콘텐츠 정보 제공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
KR20110110481A (ko) 콘텐츠 인증을 통한 콘텐츠 거래 시스템
KR10221044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제품의 소유권 등록 및 위조 판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110110421A (ko) 콘텐츠 거래 시스템
KR20210058092A (ko) Eid를 이용한 거래자 인증을 수반하는 블록체인 기반 거래내역 관리방법
KR20210058091A (ko) 블록체인 기반 위변조 방지 및 인증마크 부여를 통한 이력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US20190164200A1 (en) Eyeglasses-matching tool
US20240112266A1 (en) Insuring nfts
Nagar et al. Product Authentication System using Block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