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498B1 - 입자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입자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498B1
KR101353498B1 KR1020110101978A KR20110101978A KR101353498B1 KR 101353498 B1 KR101353498 B1 KR 101353498B1 KR 1020110101978 A KR1020110101978 A KR 1020110101978A KR 20110101978 A KR20110101978 A KR 20110101978A KR 101353498 B1 KR101353498 B1 KR 101353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lets
droplet
fluid channel
voltag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527A (ko
Inventor
공성호
이준규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01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498B1/ko
Priority to US13/645,784 priority patent/US20130087459A1/en
Publication of KR20130037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liquids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5/02Separators
    • B03C5/022Non-uniform field separators
    • B03C5/026Non-uniform field separators using open-gradient differential dielectric separation, i.e. using electrodes of special shapes for non-uniform field creation, e.g. Fluid Integrated Circuit [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liquids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5/005Dielectrophoresis, i.e. dielectric particles migrating towards the region of highest field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액적의 젖음성 변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자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액적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및 스위칭 주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액적에 포함된 입자를 질량 또는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전기적 극성 중 어느 하나의 극성과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전극층, 전극층의 일측에 형성되는 절연층 그리고 극성 중 다른 극성과 접촉되며, 분리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 입자를 함유하는 액적을 포함하며, 전압의 인가에 따라 액적의 젖음성이 변하는 액적의 젖음성 변화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입자 분리 장치{Separating device of particle}
본 발명은 입자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습윤 플랫폼을 이용한 미세입자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료표면의 젖음성(wetting properties)은 재료표면의 화학조성 또는 기하학적 구조에 달려있다. 일반적으로 재료의 표면 젖음성은 액적(droplet)의 접촉각을 측정하여 결정될 수 있다. 액적의 접촉각에 따라 표면의 친수성, 소수성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유리는 물과의 접촉각이 5도 내지 25도의 범위 내로서 그 표면은 친수성이고, 반면에 폴리디메틸실록산은 물과의 접촉각이 109도로서 그 표면은 소수성이다.
한편, 재료 표면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성질을 변형하여 젖음성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일예로 표면을 거칠게 하면 표면의 소수성 또는 친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젖음성으로 인해 종종 복잡한 장비들이 필요하고 견본 크기가 불필요하게 제한을 받게 되어 문제이다.
하기 X선 유도 젖음성 개질방법에 관한 특허문헌은 무기물의 표면의 젖음성을 개질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이러한 특허문헌은 무기물의 표면 젖음성을 개질하기 위하여 X선을 무기물 표면에 조사하여 광전자 방출로부터 얻어진 표면 전하로 무기물의 표면을 대전시킨다. 이러한 유도 젖음성 개질방법은 X선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별도의 장치구성이 필요하고 구조가 복잡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0460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액적의 젖음성을 변화시켜 액적을 이동시킴에 따라 액적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한 미세입자 분리장치는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제1전극;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의 일측에 형성되는 절연층; 그리고, 제2전극층을 포함하는 유체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채널은,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층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을 스위칭함에 따라 상기 절연층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위치하는 액적을 순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액적은 분리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 입자를 함유하며, 상기 유체채널의 측면에 연결되는 분리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채널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유체채널을 따라 순환한 액적이 상기 분리채널로 유입되어 서로 다른 질량의 입자를 갖는 액적들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전압의 크기 또는 스위칭 속도에 따라 액적이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삭제
유체채널을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미세입자가 원심력에 의해 질량에 따라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유체채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질량에 따라 서로 분리된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액적을 서로 같은 질량을 가진 액적으로 분리하는 분리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적에 포함된 미세입자는 친수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의한 입자 분리 방법은 상기 입자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액적에 포함된 입자를 분리하는 입자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체채널에 서로 다른 입자를 함유하는 액적을 주입한 후, 상기 복수의 제1전극에 전압을 스위칭하여 인가하여, 상기 액적을 상기 유체채널을 따라 순환시킴으로써 액적에 포함된 입자를 질량에 따라 분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유체채널로의 전압의 인가를 중단하고, 상기 분리채널에 전압을 인가하여, 순환된 액적을 상기 분리채널로 유입함으로써, 상기 액적을 서로 다른 질량을 가진 액적들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에 열거된 효과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첫째, 전기습윤 플랫폼을 이용하여 액적을 구동시키므로 소비전력이 작다
둘째, 나노 리터 또는 마이크로 리터의 액적 내의 미세입자 분리가 고속으로 가능하다.
셋째, MEMS 기술을 이용하여 초소형 제작이 가능하다.
넷째, 다른 미세 유체소자들과 결합하여 랩온칩(Lab-on-a chip) 구현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젖음성 변화 장치의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젖음성 변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를 위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다
도 4는 구동전압에 따른 액적의 회전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구동전압에 따른 입자층 형성(분리) 소요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분리 장치의 동작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의 질량에 따른 원심력의 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들로 구체화되어질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되는 양상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양상들은 기술적 사상을 더욱 철저하고 완전하게 되도록 해주며, 당업자에게 실시예들의 영역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액적의 젖음성 변화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적의 젖음성 변화 장치는 전극층(100) 및 절연층(200)으로 구성되는 전기습윤(electro wetting) 플랫폼과 서로 다른 질량을 가진 미세입자를 함유한 액적(300)을 포함한다. 전극(10)에 의해 생성된 전압이 액적(300)에 인가되면 액적(300)의 젖음성이 변화되고 액적(300)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젖음성 변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젖음성은 액적이 퍼지기 쉬운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접촉각(θ)이 클수록 액적이 덜 퍼지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10)은 전기적으로 서로 다른 극성을 형성한다. 일측에는 (+)극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극이 형성된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전극은 전극층(100)에 연결되며, (-)전극은 액적(300)에 접촉되어 전압의 인가에 따라 액적의 젖음성을 변화시킨다. 인가되는 전압은 예를 들어 교류전압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전극층(100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길이 'L'로서 간격 d만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 제1전극층(100a)은 전극(10)의 (+)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전극층(100a)은 Au/Cr, Ni/Cr(Cr은 Au, Ni 금속과 유리 사이의 접착층으로 사용됨) 등의 금속 박막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전극층(100a)의 두께를 대략 0.1 내지 0.5μm로 하고, 전극 간격(d)을 5 내지 50μm로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층(200)은 제1전극층(100a) 상에 형성된다. 절연층(200)은 유전상수 및 절연강도가 양호하면서 박막 두께를 정량적으로 조절하기 용이한 테프론 AF1600, Parylene C 등의 유기박막 또는 SiO2, Si3N4 등의 무기박막을 제1전극층(100a) 위에 증착(코팅)하여 형성한다. 형성되는 절연막의 두께는 대략 Parylene의 경우 1μm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층(100)을 복수로 구비함으로써 인가 전압의 스위칭에 따라 액적(300)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인가 전압의 크기 및 인가 전압 스위칭 속도에 따라 액적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수막(400)은 절연층(200)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제1소수막(410)과 후술하는 제2전극층(100b)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제2소수막(42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소수막(400)은 액적의 초기 접촉각(θ)을 크게 하도록 하기 위해 불소수지(테프론 AF1600 또는 Cytop)를 약 20nm 두께로 코팅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적(300)은 제1소수막(410)과 제2소수막(420) 사이에 위치하여 전압의 인가에 따라 일측으로 이동한다. 액적에는 질량별로 분리하고자 하는 미세입자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미세입자는 물과 잘 섞이도록 친수성의 성질을 가지며 대략 수 마이크로 내지 수 나노 크기의 입자이다.
액적(300)은 전도성 액체로서 1mM 농도의 전해액(LiCl, KCl, MgCl2)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하였으며, 절연액(Silicone oil) 또는 공기가 전해액 방울을 둘러싸고 있다. 절연액을 사용하는 이유는 전해액 방울이 이동시 작은 전해액 방울이 떨어져 남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전해액의 큰 초기 접촉각을 형성함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전해액 액적의 양은 패터닝된 제1전극층의 크기(L)와 제1,2소수막 간의 간격(h)에 의해 결정되며, 액적의 크기가 작을수록 같은 전압에 큰 각속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간격(h)이 대략 50μm이고, 약 0.5 내지 1μL의 액적을 주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전극층(100b)은 접지전극으로서 제2소수막(420)의 상측면에 배치된다. 제2전극층(100b) 상측면에는 유리기판(20b)이 배치되어 있다. 제2전극층(100b)은 예를 들어 ITO 같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구동전압에 따른 액적의 회전속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험한 결과 60볼트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 최대 약 100mm/s의 액적 이동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이때 약 380rpm의 단위 시간당 회전수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질량을 가진 미세입자를 분리하는 시간은 구동전압이 증가할수록 급격히 감소하나 60볼트 이상의 전압에서는 절연층 파괴가 발생하므로 60볼트로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액적의 젖음성 변화장치에 대한 설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인 미세입자 분리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분리 장치는 제1,2전극층(100a,100b)(도 2 참조) 및 절연층(200)(도 2 참조)을 갖는 유체채널(500)을 포함한다. 유체채널(500)에는 분리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 미세입자를 함유하는 액적(300)이 투입된다. 투입된 액적(300)이 전압의 인가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면에서는 유체채널(500)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함으로써, 원심분리에 의해서 미세입자가 질량별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채널(5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분리채널(600)을 포함하는 의미를 가지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분리채널(600)과 분리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유체채널(500)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에 도시된 유리기판(20a,20b), 전극층(100), 절연막(200), 및 소수막(400)으로 구성된다. 소수막(400) 사이에 구비된 액적(300)이 전압의 인가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유체채널(500)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미세입자가 질량별로 분리된다.
액적에 포함된 미세입자가 분리되는 순서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유입구(inlet)(700)를 통해 분리하고자 하는 미세입자를 함유한 액적(300)이 유체채널(500) 내로 주입된다. 전압의 인가에 따라 액적(300)이 유체채널(500)을 따라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액적이 회전을 하면서 원심력에 의해서 미세입자가 질량별로 분리된다. 예를 들어, 액적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질량이 작은 입자부터 큰 입자 순으로 하여 미세입자가 층을 이루어서 분리된다. 즉, 미세입자가 질량별로 재배치된다. 도 6을 보면, 예를 들어, 액적(300a)에서 액적(300b)을 거쳐 액적(300c)으로 질량에 따라 미세입자가 조금씩 분리되기 시작한다. 액적(300d)에서 미세입자가 질량별로 최종 분리된다.
다음으로 질량별로 분리된 미세입자를 갖는 액적의 분리를 통한 미세입자의 분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채널(600)이 유체채널(500)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러한 분리채널(60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유체채널(500)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액적의 회전에 의해서 질량별로 미세입자가 분리된 후(액적 300d 참조) 유체채널(500)에 전압을 중단한다. 이어서, 분리채널(600)에 전압이 인가되면, 분리채널(600)로 질량별로 분리된 미세입자를 갖는 액적, 예를 들어 액적(340d)의 일부가 유입되며 이때 분리되는 액적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질량의 입자들이 함께 딸려가게 된다. 액적의 분리는 결국 미세입자의 분리로 이어진다.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액적(300d)가 액적(300e) 및 액적(300f)로 분리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분리채널(600)에 인가하는 전압의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분리되는 액적의 부피 등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는 미세입자가 받는 원심력을 도시하였다. 작은 질량(m)을 갖는 입자는 이보다 더 큰 질량(M)을 갖는 입자에 비해 원심력이 작다. 따라서 작은 질량(m)의 입자는 원의 중심 쪽에 가깝게 분리되고, 큰 질량(M)의 입자는 작은 질량(m)의 입자보다 원의 중심에서 멀어져 원심분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액적 젖음성 변화 장치 및 미세입자 분리 장치는 MEMS 기술을 이용하여 초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따라서 랩온칩(Lab-on-a chip)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전극 20a, 20b 유리기판
100 전극층 100a 제1전극층
100b 제2전극층 200 절연층
300,300a,300b,300c,300d,300e,300f 액적
400 소수막 410 제1소수막
420 제2소수막 500 유체채널
600 분리채널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복수의 제1전극;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의 일측에 형성되는 절연층; 그리고,
    제2전극층을 포함하는 유체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은 상기 유체채널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유체채널은,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층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을 스위칭함에 따라 상기 절연층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위치하는 액적을 순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액적은 분리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 입자를 함유하며,
    상기 유체채널의 측면에 연결되는 분리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채널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유체채널을 따라 순환한 액적이 상기 분리채널로 유입되어 서로 다른 질량의 입자를 갖는 액적들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채널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자가 원심력에 의해 질량에 따라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장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의 크기 또는 스위칭 속도에 따라 상기 액적이 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에 포함된 상기 입자는 친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장치.
  17. 제9항, 제10항, 제12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자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액적에 포함된 입자를 분리하는 입자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체채널에 서로 다른 입자를 함유하는 액적을 주입한 후, 상기 복수의 제1전극에 전압을 스위칭하여 인가하여, 상기 액적을 상기 유체채널을 따라 순환시킴으로써 액적에 포함된 입자를 질량에 따라 분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유체채널로의 전압의 인가를 중단하고, 상기 분리채널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유체채널에서 순환된 액적을 상기 분리채널로 유입함으로써, 상기 액적을 서로 다른 질량을 가진 액적들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방법.
KR1020110101978A 2011-10-06 2011-10-06 입자 분리 장치 KR101353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978A KR101353498B1 (ko) 2011-10-06 2011-10-06 입자 분리 장치
US13/645,784 US20130087459A1 (en) 2011-10-06 2012-10-05 Device for varying wetting properties of droplet and device for separating particle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978A KR101353498B1 (ko) 2011-10-06 2011-10-06 입자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527A KR20130037527A (ko) 2013-04-16
KR101353498B1 true KR101353498B1 (ko) 2014-01-24

Family

ID=4843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978A KR101353498B1 (ko) 2011-10-06 2011-10-06 입자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4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7003A (ja) * 2006-11-30 2008-06-19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 流体内の粒子を処理する装置及びらせん形分離装置を形成する方法
JP2009162580A (ja) * 2007-12-28 2009-07-23 Shimadzu Corp 液滴操作装置および液滴操作方法
KR20130037534A (ko) * 2011-10-06 2013-04-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적의 젖음성 변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자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7003A (ja) * 2006-11-30 2008-06-19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 流体内の粒子を処理する装置及びらせん形分離装置を形成する方法
JP2009162580A (ja) * 2007-12-28 2009-07-23 Shimadzu Corp 液滴操作装置および液滴操作方法
KR20130037534A (ko) * 2011-10-06 2013-04-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적의 젖음성 변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자 분리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AB CHIP,201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527A (ko)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739B1 (ko) 전기습윤에서 액적의 접촉각 변위 및 변화속도 증가방법 및상기 방법에 의해 형성된 액적을 적용한 액적제어장치
Zheng et al. Self‐powered electrostatic actuation systems for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both microfluid and solid objects by using triboelectric nanogenerator
US71560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riction between a fluid and a body
Wang et al. Effect of lubricant viscosity on the self-healing properties and electrically driven sliding of droplets on anisotropic slippery surfaces
Gascoyne et al. Dielectrophoresis-based programmable fluidic processors
Quinn et al. Contact angle saturation in electrowetting
Tang et al. Electrochemically induced actuation of liquid metal marbles
CN1313830C (zh) 一种低电压的微液滴控制器件
CN105863985A (zh) 磁响应复合界面驱动液体运动器件及其制备方法和应用
Li et al. Precise droplet manipulation based on surface heterogeneity
US20050045539A1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quid droplets
US20130087459A1 (en) Device for varying wetting properties of droplet and device for separating particles using the same
KR101353498B1 (ko) 입자 분리 장치
KR101353501B1 (ko) 입자 분리 장치
US9228676B2 (en) Electroosmotic movable device
KR101353508B1 (ko) 입자 분리 장치
US74550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riction between a fluid and a body
Lekshmi et al. Janus liquid marbles: Fabrication techniques, recent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WO2005014179A1 (ja) 静電吸引型流体吐出装置、静電吸引型流体吐出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描画パターン形成方法
CN109046483B (zh) 流体微粒及制备方法、微流体系统及制备方法、控制方法
JP2024041757A (ja) インターフェイスのためのキャビティに近接した粒子の誘電泳動固定化
KR100811543B1 (ko) 직접 전극접촉에 의하여 전하의 충전을 통한 전도성 액적의이동방법
CN1856365A (zh) 微流阀
JP2016112498A (ja) 液滴駆動装置
Wu et al. Deposition of high-density Au nanoparticles on ITO glass by centrifu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