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472B1 -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472B1
KR101353472B1 KR1020080085522A KR20080085522A KR101353472B1 KR 101353472 B1 KR101353472 B1 KR 101353472B1 KR 1020080085522 A KR1020080085522 A KR 1020080085522A KR 20080085522 A KR20080085522 A KR 20080085522A KR 101353472 B1 KR101353472 B1 KR 101353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dns
equipment
domain name
address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496A (ko
Inventor
장광훈
원용광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5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472B1/ko
Priority to US12/425,566 priority patent/US8161141B2/en
Publication of KR20100026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76Update or notification mechanisms, e.g. DynD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에 가장 많은 로드를 부여하는 헬스 체크를 처리하는 부분과 장비의 등록 및 클라이언트 쿼리를 처리하는 부분을 분리하여,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에서 헬스 체크로 인한 로드를 분산시키기 위한 서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는, 장비를 등록하고, 상기 장비의 유동 IP 주소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쿼리(query)에 응답하는 주 DDNS(Dynamic domain name server); 및 상기 등록된 장비로부터의 상태 통지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장비의 상태를 갱신하는 하나 이상의 부 DDNS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 및 방법{The sever, the system and the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domain name service}
본 발명은 유동 IP 주소를 사용하는 장비의 IP 주소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원격 장비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원격 장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IP 주소가 요구된다. 각각의 클라이언트는 IP 주소를 통하여 원하는 장비에 접속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IP 주소는 일련의 숫자들로 표현된다. 각각의 클라이언트는 IP 주소를 직접 입력하는 대신에, 보다 가독성이 높은 영문과 숫자의 조합을 이용하는 도메인 네임을 통하여 각각의 장비에 접속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도메인 네임을 통하여 각각의 장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와 매핑시켜주는 도메인 네임 서비스(domain name service)가 요구된다.
많은 장비들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유동 IP 주소를 갖는다. 따라서 각각의 장비는 도메인 네임은 시간에 따라 일정하더라도, IP 주소가 변하게 된다. 클라이언트는 유동 IP를 갖는 장비에 접속하고자 할 때, 해당 장비의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를 매핑시켜주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DDNS, dynamic domain name service) 서버로부터 해당 장비의 유동 IP 주소를 제공받아 접속할 수 있다.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는 복수의 장비를 등록하고, 주기적으로 각각의 장비의 유동 IP를 갱신하고 각각의 장비의 상태를 체크하는 헬스 체크를 수행한다. 헬스 체크는 각각의 장비가 주기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통지 메시지를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로 통지하고, 상기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에서 상태 통지 메시지에 응답하여 각각의 장비의 상태를 갱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에 가장 많은 로드를 부여하는 헬스 체크를 처리하는 부분과 장비의 등록 및 클라이언트 쿼리를 처리하는 부분을 분리하여,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에서 헬스 체크로 인한 로드를 분산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에 등록된 장비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서버의 용량이 부족해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장비의 수가 늘어남으로 인한 로드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장비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서버의 용량을 동적으로 늘릴 수 있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는, 장비를 등록하고, 상기 장비의 유동 IP 주소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쿼리(query)에 응답하는 주 DDNS(Dynamic domain name server); 및 상기 등록된 장비로부터의 상태 통지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장비의 상태를 갱신하는 하나 이상의 부 DDNS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 DDNS는, 상기 장비에 부 DDNS를 할당하는 부 DDNS 할당부; 및 할당된 부 DDNS의 주소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장비에 통지하는 부 DDNS 통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 DDNS는 각각의 장비의 식별자, IP 주소, 및 상태를 포함하는 메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부 DDNS는 각각 해당 부 DDNS에 할당된 장비의 식별자, IP 주소, 생존 카운트 및 상태를 포함하는 서브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동적 도메인 네임 서 버는,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각각의 서브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 DDNS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 DDNS 중 어느 하나에서 처리하는 장비의 수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예비적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 DDNS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 DDNS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 DDNS 중 어느 하나에서 처리하는 장비의 수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부 DDNS 각각은, 상기 부 DDNS에 등록된 각각의 장비의 생존 카운트를 주기적으로 증가시키고, 생존 카운트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장비의 상태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타임아웃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나 이상의 부 DDNS 각각은 상기 상태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 장비의 생존 카운트가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상태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장비를 다시 등록하도록 구성된 재등록 메시지를 상기 주 DDNS로 출력하는 재등록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 DDNS는 상기 재등록 메시지에 따라 상기 장비를 재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동적 도메인 네임 지원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도메인 네임 지원 시스템은, 장비; 클라이언트; 및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는, 상기 장비를 등록하고, 상기 장비의 유동 IP 주소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쿼리(query)에 응답하는 주 DDNS(Dynamic domain name server); 및 상기 등록된 장비로부터의 상태 통지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장비의 상태를 갱신하는 하나 이상의 부 DDNS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장비는, 통지받은 부 DDNS의 주소로 상태 통지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동적 도메인 네임 지원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도메인 네임 지원 방법은, 장비로부터의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장비를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장비로부터의 상태 통지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장비의 상태를 갱신하는 부 DDNS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장비로 할당된 부 DDNS의 주소를 상기 장비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주기적으로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부 DDNS의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헬스 체크를 처리하는 부분과 장비의 등록 및 클라이언트 쿼리를 처리하는 부분을 분리함으로 인하여, 헬스 체크로인한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의 로드를 분산시키고, 장비의 등록 및 클라이언트 쿼리를 보다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에 등록된 장비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서버의 용량을 동적으로 늘릴 수 있도록 함에 의하여, 장비의 수가 증가함으로써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의 용량이 포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장비의 수 증가로 인한 로드를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이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서버(server)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요청을 받아 이를 수락하여 명령을 수행하고 결과를 반환하는 장치 혹은 행위의 통칭이다.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는 동적으로 변하는 유동 IP와 도메인 네임을 매핑시켜주는 도메인 네임 서비스이다.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는 DDNS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그 장치이다.
장비는 IP 카메라, 비디오 서버, DVR(digital video recorder) 등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를 사용하는 장치이다.
클라이언트(client)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에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이다.
헬스 체크(health check)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와 장비 간에 장비의 정상적인 동작 유무를 알려주기 위해 주고받는 신호 혹은 그 행위 일체이다.
헬스 체크 인터벌(health check interval)은 헬스 체크를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주기이다.
상태 통지 메시지는 헬스 체크를 수행하면서 장비와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 간에 주고받는 패킷이다.
쿼리(query)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한 조건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를 질의하는 행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 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동적 도메인 네임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동적 도메인 네임 지원 시스템(100)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장비(110), 클라이언트(120) 및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를 포함한다.
각각의 장비(110)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에 장비(110)의 식별자를 등록한다. 각각의 장비(110)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 상에서 직접 등록될 수 있고,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장비(110)상에서 원격으로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에 등록될 수 있다. 장비(110)를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에 등록할 때, 장비(110)의 식별자 및 IP 주소가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에 저장된다. 또한 패스워드, 위치, 및 기타 장비에 관한 설명 등이 함께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에 등록된 장비(110)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상태 및 IP 주소를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에 통지한다. 장비(110)는 장비의 식별자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에 접속할 수 있고,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에서 주기적으로 자신의 상태 및 IP 주소를 갱신한다.
한편 유동 IP를 이용하는 장비(110)에 접속하고자하는 클라이언트(120)는 해당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쿼리를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로 송신하여, 자신이 접속하려는 장비(110)의 IP 주소를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로부터 제공받은 후, 해당 IP 주소를 이용하여 장비(110)에 접속한다.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는 클라이언트(120)로부터의 쿼리에 응답하여, 장비의 식별자와 IP 주소를 매핑시키고, IP 주소를 클라이언트(120)에게 통지한다.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는 각각의 장비(110)의 상태 및 IP 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클라이언트(120)로부터 쿼리가 발생한 경우,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는 상기 쿼리에 해당하는 장비가 등록되어 있고, 상기 장비의 상태가 활성 상태인 경우, 해당 장비(110)의 IP 주소를 클라이언트(120)에게 통지한다.
이와 같이, 유동 IP 주소를 갖는 장비(110)의 IP 주소를 계속적으로 갱신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각각의 장비의 상태 및 IP 주소를 갱신하는 헬스 체크가 필요하다. 주기적으로 장비(110)와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 간에 주고받는 헬스 체크 기능은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의 로드를 증가시키는 가장 큰 요인이다. 또한 장비(110)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헬스 체크로 인한 로드는 점점 가중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를 주 DDNS와 부 DDNS로 분할하고, 주 DDNS에서는 장비의 등록 및 클라이언트 쿼리를 처리하고, 부 DDNS에서는 헬스 체크 기능을 수행하여, 헬스 체크로 인한 로드를 분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도메인 네임 지원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는 주 DDNS(200) 및 부 DDNS(300)를 포함한다. 주 DDNS(200)는 장비의 등록 및 클라이언트 쿼리를 처리하고, 부 DDNS(300)는 헬스 체크 기능을 수행한다. 부 DDNS(300)는 복수개일 수 있고, 장비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 수가 늘어날 수 있다. 주 DDNS(200)와 각각의 부 DDNS(300)는 각각 별도의 데이터베이스(250 및 330)를 구비한다. 또한 주 DDNS(200)의 데이터베이스인 메인 데이터베이스(250)와 부 DDNS(300)의 데이터베이스인 서브 데이터베이스(330)는 주기적으로 동기화된다.
주 DDNS(200)에 장비(110)가 등록되면, 주 DDNS는 각각의 장비(110)에 앞으로 헬스 체크를 수행할 부 DDNS(300)를 할당하고, 할당된 부 DDNS(300)의 주소를 상기 장비(110)에 통지한다. 부 DDNS(300)의 주소가 장비(110)에 통지된 후에는, 장비(110)는 헬스 체크를 위한 상태 통지 메시지를 주 DDNS(200)가 아닌 부 DDNS(300)로 직접 송신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의 메인 데이터베이스(250) 및 서브 데이터베이스(330)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는 주 DDNS(200) 및 부 DDNS(300)를 포함한다.
주 DDNS(200)는 명령어 수신부(210), 클라이언트 쿼리 처리부(220), 장비 등록부(230), 부 DDNS 관리부(240), 및 메인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수신부(210)는 장비(110) 또는 클라이언트(12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 하여 명령어를 수신한다. 수신된 명령어가 클라이언트 쿼리인 경우, 클라이언트 쿼리 처리부(220)에서 상기 명령어가 처리되고, 수신된 명령어가 장비의 신규 등록 요청인 경우, 장비 등록부(230)에서 상기 명령어가 처리된다.
클라이언트 쿼리 처리부(220)는 IP 주소 검색부(222) 및 IP 주소 통지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IP 주소 검색부(222)는 클라이언트 쿼리에 포함된 장비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메인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검색한다. IP 주소 통지부(224)는 상기 IP 주소 검색부(222)에서 검색한 IP 주소를 클라이언트 쿼리를 송신한 클라이언트(120)로 통지한다.
클라이언트(120)가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로 클라이언트 쿼리를 보내는 경우, 클라이언트 쿼리의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http://DDNS Domain(또는 DDNS IP 주소)/장비 ID
예를 들어,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의 도메인이 "ddns.ipolis.com"이고 클라이언트(120)가 접속하고자하는 장비(110)의 식별자가 "home"인 경우, 클라이언트가 입력하는 클라이언트 쿼리는 "http://ddns.ipolis.com/home"이다. 클라이언트(120)가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에 접속하기 위하여 인터넷 브라우저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120)의 애플리케이션과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 사이에 별도의 프로토콜을 정의하여 사용한다.
장비 등록부(230)는 ID 등록부(232), 부 DDNS 할당부(234), 부 DDNS 통지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ID 등록부(232)는 장비의 신규 등록을 요청하는 장 비(110)의 식별자를 메인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한다. 부 DDNS 할당부(234)는 상기 장비(110)에 대한 헬스 체크를 수행할 부 DDNS를 할당한다. 부 DDNS 통지부(236)는 상기 장비(110)에 할당된 부 DDNS의 주소를 상기 장비(110)에 통지한다. 이때 상기 장비(110)가 헬스 체크를 수행할 주기를 나타내는 헬스 체크 인터벌을 함께 통지할 수 있다. 할당된 부 DDNS의 주소 및 헬스 체크 인터벌이 상기 장비(110)로 통지되면, 상기 장비(110)는 상기 헬스 체크 인터벌에 따라 주기적으로 해당 부 DDNS로 상태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비(110)와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 사이의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명령어 프로토콜]
METHOD + VERSION\r\n ;메소스와 메소드 버전
KEY : VALUE\r\n ;KEY와 VALUE
KEY : VALUE\r\n
...
\r\n\r\n ;스트링 종료 구분자
[응답 프로토콜]
VERSION + STATUS CODE + REASON PHRASE\r\n
KEY: VALUE\r\n
\r\n\r\n
또한 STATUS CODE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STATUS CODE : 200 OK
400 ERROR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장비의 신규 등록을 요청하는 명령어의 스트링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DIRREGISTER BMSP/0.3\r\n ;METHOD = DIRREGISTER
ID:sst1\r\n ;DDNS서버에 등록한 장비의 ID
PASSWORD: sst1\r\n ;ID에 해당하는 패스워드
IP: 211.177.39.197\r\n ;장비의 IP Address
SERIAL: 0000d120\r\n ;장비의 Serial 혹은 MAC Address
PUBLICOPEN: YES\r\n ;홈페이지를 통해 타인에 공개 여부
NETTYPE:LAN\r\n ;네크워크 종류 (LAN/ADSL/DHCP 등)
HTTP_PORT:80\r\n ;Web port
STREAM_PORT:4000\r\n ;장비의 접속 포트
PLATFORM: DVR1600\r\n ;장비 종류(Platform)
MAC:0001CFFFF\r\n ;장비의 MAC어드레스
DEVNAME:IP100\r\n ;디바이스 이름
\r\n\r\n ;문자열 종료 구분자
장비의 신규 등록 후 부 DDNS 통지부(236)로부터 상기 장비(110)로 통지되는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통지의 스트링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BMSP/0.3 200 OK\r\n ;STATUS CODE 및 REASON
REFRESH: 3\r\n ;Refresh Interval(분)
SUB_DDNS:sddns1.ipolis.com\r\n ;할당된 부 DDNS
\r\n\r\n ;문자열 종료 구분자
클라이언트 쿼리 처리부(220) 및 장비 등록부(230)의 동작은 도 4를 이용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부 DDNS 관리부(240)는 동기화부(242) 및 부 DDNS 확장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부(242)는 주 DDNS(200)의 메인 데이터베이스(250)와 부 DDNS의 서브 데이터베이스(330)를 동기화시킨다. 동기화는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메인 데이터베이스(250) 및 서브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설명하고 동기화부(242)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메인 데이터베이스(250) 및 서브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데이터가 테이블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메인 데이터베이스(250)는 장비의 식별자(ID), IP 주소(IP), 각각의 장비에 할당된 부 DDNS(sub ddns), 및 각각의 장비의 상태(status)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데이터베이스(330)는 상 기 서브 데이터베이스(330)가 속한 부 DDNS(300)로 할당된 장비(110)들의 식별자(ID), IP 주소(IP), 생존 카운트(alive) 및 상태(status)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부(242)는 정해진 시기마다 메인 데이터베이스(250)와 서브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IP 주소(IP), 상태(status), 및 각각의 부 DDNS(300)에 저장된 장비(110)의 수를 동기화 한다. 이때 두 개의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의 내용이 다른 경우, 메인 데이터베이스(250)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할 것인지, 서브 데이터베이스(330)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할 것인지는 실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화부(242)가 주 DDNS(20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기 동기화부(242)는 실시에 따라 부 DDNS(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또는 주 DDNS(200) 또는 부 DDNS(300)에 속하지 않고 별개의 구성요소로 구비될 수 있다. 동기화를 위한 메커니즘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한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 DDNS 확장부(244)는 각각의 부 DDNS(300)에 등록된 장비(110)의 수를 체크하고, 어떠한 부 DDNS(300)에 등록된 장비(110)의 수가 미리 결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예비적으로 구비된 부 DDNS(300)를 활성화 시킨다. 예비적으로 구비된 부 DDNS(300)는 부 DDNS 확장부(244)가 이를 활성화 시키는 제어에 응답하여 동작을 시작하게 되고, 주 DDNS(300)는 이후에 추가된 상기 부 DDNS(300)로 새로 등록되는 장비(110)들을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 DDNS 확장부(244)는 어떠한 부 DDNS(300)에 등록된 장비(110)의 수가 미리 결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부 DDNS(300)의 용량이 거의 포화되었다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 관리자는 이러한 경고 메시지를 보고 추가로 부 DDNS(300)를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 DDNS(300)는 헬스 체크 처리부(310), 타임아웃 처리부(320) 및 서브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헬스 체크 처리부(310)는 장비(110)들로부터 송신되는 상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헬스 체크를 수행한다. 헬스 체크 처리부(310)는 제1 생존 카운트 갱신부(312) 및 재등록 처리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생존 카운트 갱신부(312)는 어떠한 장비(110)로부터 상태 통지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장비(110)에 대한 생존 카운트(alive)가 미리 결정된 기준값 미만이고 해당 장비(110)의 상태(status)가 활성 상태인 경우(status = 1), 서브 데이터베이스(330)의 해당 장비(110)에 대한 생존 카운트(alive)를 0으로 설정한다. 만약 해당 장비(110)의 생존 카운트(alive)가 미리 결정된 기준값 이상이거나, 상태(status)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status = 0), 재등록 처리부(314)는 상기 장비(110)를 재등록한다. 상기 재등록 처리부(314)는 주 DDNS(200)로 재등록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고, 주 DDNS(200)는 장비 등록부(230)에서 상기 장비(110)의 식별자를 등록하고 부 DDNS를 다시 할당하여 상기 장비를 재등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재등록 처리부(314)는 서브 데이터베이스(330)에 상기 장비(110)를 재등록하고, 이후 동기화를 통하여 상기 장비(110)의 재등록된 정보를 메인 데이터베이스(250)에 반영할 수 있다.
장비(110)에서 부 DDNS(300)로 송신하는 상태 통지 메시지의 스트링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DIRALIVE BMSP/0.3\r\n ;METHOD = DIRALIVE
ID:sst1\r\n ;장비의 ID
IP:211.177.39.197\r\n ;장비의 IP
HTTP_PORT:80\r\n ;장비의 웹 포트
PLATFORM:SNS-400\r\n ;장비 Platform
\r\n\r\n" ;문자열 종료 구분자
상기 상태 통지 메시지에 대해 상기 부 DDNS(300)로부터 상기 장비(110)로 송신하는 응답의 스트링은 다음과 같다.
"BMSP/0.3 200 OK\r\n ;STATUS CODE 및 REASON
REFRESH: 3\r\n ;Refresh Interval (분)
\r\n\r\n" ;문자열 종료 구분자
헬스 체크 처리부(310)의 동작은 도 5를 이용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타임아웃 처리부(320)는 일정 기간 이상 상태 통지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장비(110)의 상태를 비활성으로 변경한다. 타임아웃 처리부(320)는 제2 생존 카운트 갱신부(322) 및 장비 상태 갱신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생존 카운트 갱신부(322)는 타임아웃 처리 주기마다 각각의 장비(110)에 대한 생존 카운트(alive)를 증가시킨다. 장비 상태 갱신부(324)는 타임아웃 처리 주기마다 각각의 장비(110)의 생존 카운트(alive)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장비(110)의 상태(status)를 비활성 상태로 설정한다(status = 0). 타임아웃 처리부(320)의 동작은 도 6를 이용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비의 등록 및 클라이언트 쿼리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명령어가 수신되면(S400), 주 DDNS(200)는 예를 들면 명령어 수신부(210)에서 명령어의 내용을 판독한다(S402). 만약 수신된 명령어가 장비의 등록을 위한 명령이면 수신된 명령어는 장비 등록부(230)에서 처리된다. 만약 수신된 명령어가 클라이언트 쿼리를 위한 명령이면, 수신된 명령어는 클라이언트 쿼리 처리부(220)에서 처리된다.
수신된 명령어가 장비의 등록을 위한 명령어인 경우, ID 등록부(232)는 수신된 명령어 스트링에서 장비의 식별자(ID) 및 IP 주소(IP)를 파싱하여 메인 데이터베이스(250)에 등록한다. 또한 상태(status)는 활성 상태로 등록된다(status = 1)(S404). 주 DDNS(200)는 등록된 장비(110)에 대하여 부 DDNS(300)를 할당한다(S406). 부 DDNS(300)가 상기 장비(110)에 할당되면, 할당된 부 DDNS(300)의 식별자가 메인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다. 또한 할당된 부 DDNS(300)로 상기 장비(110)가 등록된다(S408). 이때 해당 부 DDNS(300)의 서브 데이터베이스(330)로 장비(110)의 식별자(ID) 및 IP 주소(IP)가 등록된다. 또한 생존 카운트(alive)는 최소값으로 설정되고(예를 들면 alive = 0), 상태(status)는 활성 상태로 설정된다(status = 1). 주 DDNS(200)는 할당된 부 DDNS(300)의 주소 및 헬스 체크 인터벌을 장비(110)에게 통지한다.
수신된 명령어가 클라이언트 쿼리인 경우, IP 주소 검색부(222)는 클라이언트 쿼리로부터 장비(110)의 식별자를 파싱하여, 상기 장비(110)의 IP 주소를 메인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검색한다(S410). 이때 해당 장비(110)가 메인 데이터베이스(250)상에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장비(110)의 상태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주 DDNS(200)는 클라이언트 쿼리에 응답하여 IP 주소 검색 실패 메시지를 회신할 수 있다. 장비(110)의 IP 주소가 메인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검색되면 IP 주소 통지부(224)는 해당 IP 주소를 클라이언트에게 회신한다(S41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 체크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 체크는 부 DDNS(300)에서 처리된다. 부 DDNS(300)는 상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면(S500), 상태 통지 메시지로부터 장비(110)의 식별자(ID)를 판독한다(S502). 다음으로 장비의 식별자(ID)를 가지고, 해당 장비(110)의 생존 카운트(alive) 값 및 상태(status) 값을 검색한다(S504). 만약 생존 카운트(alive)가 미리 결정된 기준값 미만이고, 상태(status)가 활성 상태인 경우(S506), 해당 장비(110)의 생존 카운트(alive) 값을 최소값(예를 들면 0)으로 설정한다(S508). 만약 생존 카운트(alive)가 미리 결정된 기준값 이상이거나, 또는 상태(status)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S506), 재등록 처리부(314)에서 해당 장 비(110)를 재등록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임아웃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타임아웃 처리부(320)는 계속해서 해당 부 DDNS(300)에 등록된 장비들의 생존 카운트(alive) 값을 증가시키고, 생존 카운트(alive) 값이 미리 결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장비(110)의 상태(status) 값을 비활성 상태로 변경한다.
타임아웃 처리부(320)는 서브 데이터베이스(330)에 등록된 장비(110) 각각에 대하여 차례대로 타임아웃 처리 루프를 실행한다(S602). 제2 생존 카운트 갱신부(322)는 해당 루프에서 처리하는 장비(110)의 생존 카운트 값을 증가시킨다(S604). 장비 상태 갱신부(324)는 해당 장비(110)의 생존 카운트(alive) 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S606), 해당 장비(110)의 상태(status) 값을 비활성 상태로 설정한다(status = 0)(S608). 한 장비에 대하여 이러한 타임아웃 처리가 끝나면, 다음 장비에 대하여 타임아웃 처리가 반복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동적 도메인 네임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도메인 네임 지원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130)의 메인 데이터베이스(250) 및 서브 데이터베이스(330)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비의 등록 및 클라이언트 쿼리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 체크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임아웃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2)

  1. 장비를 등록하고, 상기 장비의 유동 IP 주소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쿼리(query)에 응답하는 주 DDNS(Dynamic domain name server); 및
    상기 등록된 장비로부터의 상태 통지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장비의 상태를 갱신하는 하나 이상의 부 DDNS를 포함하고,
    상기 주 DDNS는,
    상기 장비에 부 DDNS를 할당하는 부 DDNS 할당부; 및
    할당된 부 DDNS의 주소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장비에 통지하는 부 DDNS 통지부를 포함하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DDNS는 각각의 장비의 식별자, IP 주소, 및 상태를 포함하는 메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부 DDNS는 각각 해당 부 DDNS에 할당된 장비의 식별자, IP 주소, 생존 카운트 및 상태를 포함하는 서브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는,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각각의 서브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하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주 DDNS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 DDNS 중 어느 하나에서 처리하는 장비의 수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예비적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 DDNS를 활성화시키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 DDNS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 DDNS 중 어느 하나에서 처리하는 장비의 수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 DDNS 각각은, 상기 부 DDNS에 등록된 각각의 장비의 생존 카운트를 주기적으로 증가시키고, 생존 카운트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장비의 상태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타임아웃 처리부를 포함하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 DDNS 각각은 상기 상태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 장비의 생존 카운트가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상태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장비를 다시 등록하도록 구성된 재등록 메시지를 상기 주 DDNS로 출력하는 재등록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 DDNS는 상기 재등록 메시지에 따라 상기 장비를 재등록하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
  8. 장비;
    클라이언트; 및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동적 도메인 네임 서버는,
    상기 장비를 등록하고, 상기 장비의 유동 IP 주소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쿼리(query)에 응답하는 주 DDNS(Dynamic domain name server); 및
    상기 등록된 장비로부터의 상태 통지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장비의 상태를 갱신하는 하나 이상의 부 DDNS를 포함하고,
    상기 주 DDNS는,
    상기 장비에 부 DDNS를 할당하는 부 DDNS 할당부; 및
    할당된 부 DDNS의 주소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장비에 통지하는 부 DDNS 통지부를 포함하는
    동적 도메인 네임 지원 시스템.
  9. 삭제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는, 통지받은 부 DDNS의 주소로 상태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적 도메인 네임 지원 시스템.
  11. 장비로부터의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장비를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장비의 유동 IP 주소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쿼리에 응답하는 단계;
    상기 장비로부터의 상태 통지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장비의 상태를 갱신하는 부 DDNS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장비로 할당된 부 DDNS의 주소를 상기 장비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적 도메인 네임 지원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부 DDNS의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적 도메인 네임 지원 방법.
KR1020080085522A 2008-08-29 2008-08-29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 및방법 KR101353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522A KR101353472B1 (ko) 2008-08-29 2008-08-29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 및방법
US12/425,566 US8161141B2 (en) 2008-08-29 2009-04-17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domain nam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522A KR101353472B1 (ko) 2008-08-29 2008-08-29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496A KR20100026496A (ko) 2010-03-10
KR101353472B1 true KR101353472B1 (ko) 2014-01-23

Family

ID=4172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522A KR101353472B1 (ko) 2008-08-29 2008-08-29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61141B2 (ko)
KR (1) KR1013534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247A (ko) 2017-05-19 2018-11-28 인스티튜트 오브 케미스트리,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시즈 레이저 광원 제조용 잉크 및 제조된 프린트 레이저 광원 및 레이저 디스플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6490B1 (en) * 2010-09-14 2014-02-18 Symantec Corporation Safe and secure access to dynamic domain name systems
KR101362384B1 (ko) * 2012-08-09 2014-02-21 한국과학기술원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방법 및 시스템
US10410244B2 (en) 2013-11-13 2019-09-10 Bi Science (2009) Ltd Behavioral content discove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9540A (ja) * 2006-01-13 2007-07-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Dnsサーバ選択装置、dnsサーバ選択方法、dnsサーバ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名前解決システム
US7254626B1 (en) * 2000-09-26 2007-08-07 Foundry Networks, Inc. Global server load balanc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0324A (ja) 1997-10-07 1999-04-23 Hitachi Ltd 代理サーバ選択装置および代理サーバ
WO2001033364A1 (fr) * 1999-10-29 2001-05-10 Fujitsu Limited Dispositif pour rechercher le nom d'un noeud de communication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US9130954B2 (en) * 2000-09-26 2015-09-08 Brocade Communications Systems, Inc. Distributed health check for global server load balancing
CN1650598A (zh) * 2002-03-18 2005-08-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Ddns服务器、ddns客户终端和ddns系统以及万维网服务器终端、其网络系统和访问控制方法
JP2004046504A (ja) 2002-07-11 2004-02-12 Nec Corp データベースの管理システム
KR100788130B1 (ko) 2004-09-17 2007-12-21 주식회사 케이티 Dns 서버의 cpu 이용율 관리방법 및 그 이용율관리시스템
JP2006171989A (ja) 2004-12-14 2006-06-2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US7671729B2 (en) * 2006-11-14 2010-03-02 Shmuel Hershkovitz System and a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customer security syste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4626B1 (en) * 2000-09-26 2007-08-07 Foundry Networks, Inc. Global server load balancing
JP2007189540A (ja) * 2006-01-13 2007-07-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Dnsサーバ選択装置、dnsサーバ選択方法、dnsサーバ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名前解決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분산 웹 서버 시스템에서의 DNS 기반 동적 부하분산 기법’, 정보과학회논문지 시스템 및 이론 제33권 제3호 pp. 193-204(2006.04.)*
'분산 웹 서버 시스템에서의 DNS 기반 동적 부하분산 기법', 정보과학회논문지 시스템 및 이론 제33권 제3호 pp. 193-204(2006.0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247A (ko) 2017-05-19 2018-11-28 인스티튜트 오브 케미스트리,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시즈 레이저 광원 제조용 잉크 및 제조된 프린트 레이저 광원 및 레이저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496A (ko) 2010-03-10
US8161141B2 (en) 2012-04-17
US20100057893A1 (en)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53905B (zh) 域间目录共享方法及装置
CN110311983B (zh) 服务请求的处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2299969A (zh) 一种Web访问方法、七层交换设备和服务网络
CN102047243A (zh) 基于类别请求路由
JPH0870299A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ターゲット送信方法及びメッセージターゲット生成システム
WO2011026430A1 (zh) 内容分发网络中数据同步的方法及系统
CN104601702B (zh) 集群远程过程调用方法及系统
JP2007156569A (ja) クラスタシステム、ロードバランサ、ノード振替方法およびノード振替プログラム
CN101375566A (zh) 利用动态dns的域名系统和动态dns服务器全局地址管理方法
KR101353472B1 (ko)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 및방법
JP2013196379A (ja) 中継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中継プログラム、中継方法
CN106612339A (zh) 域名更新方法、系统和主dns服务器
CN108076081B (zh) 一种业务数据的同步方法、装置和系统
JP2002344475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内の機器に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とその方法及びホームネットワークでサービスが提供されるシステムとその方法
JP2011129005A (ja) 認証方法、変換装置、中継装置、及び該プログラム
CN114448686B (zh) 一种基于微服务的跨网络通信装置与方法
JP6540063B2 (ja) 通信情報制御装置、中継システム、通信情報制御方法、および、通信情報制御プログラム
JP2002368781A (ja) ユーザ位置管理ドメインネーム変換システム
JP2006072715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US10171613B2 (en) Client device, server,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2845374B1 (en) Address system
WO2017173873A1 (zh) 一种网络业务的检索方法、装置、主服务器及从服务器
JP2000293496A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ービス負荷分散装置
US20180103110A1 (en) Automatic server cluster discovery
JP2007299151A (ja) 通信システム、冗長サーバ、及び、データ変更の通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