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377B1 - 목관악기용 패드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목관악기용 패드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377B1
KR101353377B1 KR1020120028362A KR20120028362A KR101353377B1 KR 101353377 B1 KR101353377 B1 KR 101353377B1 KR 1020120028362 A KR1020120028362 A KR 1020120028362A KR 20120028362 A KR20120028362 A KR 20120028362A KR 101353377 B1 KR101353377 B1 KR 101353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instrument
rotating pin
pad
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6650A (ko
Inventor
박혜인
Original Assignee
박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혜인 filed Critical 박혜인
Priority to KR1020120028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377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관악기의 패드(Pads)의 패딩(Pading) 상태를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링 모양의 패딩(Pading) 상태를 검사할 때 가시 가능 반원 부분의 패드(Pads)와 보이지 않는 후면 반원 부분의 패드(Pads)를 정면에서 동시 관찰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고, 악기를 안전하게 거치하여 점검과 수리를 편하게 하도록 하면서도 이동 또는 수납이 용이하게 접이식 구조로 된 휴대용 악기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패드 점검 사각부 반사거울 장치(1)는 반사거울(10)과 바닥고정판(21)과 거울 회전핀 고정구(11)와 회전핀 지지대(12)와 거울 회전핀(13)과 고정피스(14)로 구성되고, 악기 고정기구(2)는 바닥고정판(21)과 U자관 받침대(22)와 넥 받침대(23)와 슬라이딩레일(24)과 반사거울 장치(1)로 이루어진 것이며, 패딩(Pading) 검사 시 검사시간을 대폭 절감하고 다양한 길이의 악기에 맞추어 안정된 거치 상태를 만들 수 있으며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관악기용 패드 검사장치.

Description

목관악기용 패드 검사장치{Pad examination system of wood-wind instrument}
본 발명은 음조(音調)구멍(Tone Hole)과 키컵(key-cup)을 갖는 목관악기에 있어 키컵(key-cup) 내부 패드(Pads)의 패딩(Pading) 상태를 쉽게 검사하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악기 점검용 안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60도 링 모양의 원형 구조의 패딩(Pading) 상태를 검사할 때 패드(Pads)의 가시가능 정면 반원부분은 물론 보이지 않는 후면 반원 부분도 동시에 볼 수 있게 하는 패드 검사장치와 이를 이용한 악기 검사 수리 목적의 휴대용 악기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악기 본체에 음정을 만들기 위해 다수의 음조(音調)구멍(Tone Hole)이 형성되고 그 구멍을 개폐시키는 키컵(key-cup)을 갖는 목관악기에는 바순, 플릇, 피콜로, 클라리넷, 오보에, 색소폰 등과 같은 악기들이 있으며 그 길이와 형태가 다양하다.
특히, 색소폰 하나만 두고 볼 때도 곡관 소프라노, 직관 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 등과 같이 악기의 크기와 길이가 다양하다.
이러한 악기들은 악기 몸체에 형성된 소리구멍을 완벽하게 개폐시켜서 안정되고 절제된 음역을 유지하기 위해 다수의 키컵(key-cup) 내부에 쿠션이 있는 부드러운 소재로 된 패드(Pads)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들 패드(Pads)는 링 모양으로 둥글게 형성된 소리구멍의 외경을 시간차 없이 360도 수평으로 동시에 개폐되어야 이음을 막고 정확한 음정이 만들어 낸다.
상기 음조(音調)구멍(Tone Hole)과 패드(Pads)가 접촉할 때 생기는 미세한 공간을 유효하게 막아주는 작업을 패딩(Pading)이라고 하며, 완벽한 패딩(Pading) 상태는 악기의 안정된 음정을 내는데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
통상의 패드구조는 두꺼운 종이(Cardboard) 위에 압축한 양모를 겹쳐 붙이고 이들 외부에 천연가죽으로 외피(Skin)를 씌운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의 패드는 연주 중에 발생하는 침으로 인해 젖음과 건조를 반복하며 외부 습기와 온도의 변화에 의해서도 수축 팽창이 반복된다. 이러한 작용은 패드가 딱딱하게 굳어지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일으키며, 키컵(key-cup) 내부에서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휘어지거나 틀어지는 상태를 만든다.
연주자는 상기 원인으로 악기를 연주할 때 갑자기 음정이 불안해 지거나 이음이 발생하는 것을 느끼게 되며, 어쩔 수 없이 키 밸런스를 교정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러나, 육안으로는 원형 패드의 360도 중 어느 각도 부위가 얼마만큼 휘어진 것인지를 판단하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불봉을 악기 내부에 삽입하고 손가락으로 운지 키를 천천히 눌러보는 방법으로 패드와 톤홀 사이에서 빛이 세어 나오는 곳과 각도를 찾아 바람이 세는 곳을 확인하게 되며, 이 부분의 패드를 수평으로 교정하여 원인을 바로잡는다.
상기한 방법으로 빛이 세는 곳을 찾을 때, 패드와 톤홀이 맞닿는 부분은 360도의 원주면을 가지는 이유로 인해 정면에서 보이는 180도 원주면의 패딩(Pading) 상태는 볼 수 있으나 반대편 180도 원주면의 패딩(Pading) 상태는 볼 수가 없게 되는 점검 사각이 발생한다.
따라서, 악기수리 작업은 무게감이 있는 고가의 악기를 들고서 불봉을 끼운 채 키컵(key-cup)의 360도 원주면을 따라 악기를 좌우 상하로 돌려가며 살펴보아야 하므로 무척 피곤하고 위험한 일이었으며, 다수인 키컵(key-cup)의 패딩(Pading) 상태를 일일이 모두 점검하는 일은 반복 작업의 연속으로 상당히 긴 시간을 요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검사자가 패딩(Pading)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무거운 악기를 들고서 패드의 360도 원주면을 따라 어렵게 돌려가며 위험하게 살펴보지 않고서도 단시간에 검사하도록 하는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검사 시 고가의 악기를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가 각기 다른 악기들의 적용을 용이하게 하고 검사 후 이동과 수납을 편리하게 하는 휴대용 악기 고정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목관악기용 패드 검사장치는 바닥면에 평편하게 놓여 질 수 있도록 된 바닥고정판과, 이 바닥고정판 위에 설치되어 링 모양의 패딩(Pading) 상태를 검사할 때 가시 가능한 정면 반원 부분의 패드(Pads)와 보이지 않는 후면 반원 부분의 패드(Pads)를 정면에서 신속하게 동시 관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거울과, 반사거울을 바닥고정판 위에 고정시고 반사거울을 회동가능하게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반사거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용 악기 고정기구는 바닥면에 평편하게 놓여 질 수 있도록 된 바닥고정판과, 이 바닥고정판 좌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지고 악기의 U자관과 넥을 지지하여 안전하고 편안하게 점검과 수리를 할 수 있게 하는 악기받침대와, 바닥고정판 상부 전면에 설치되어 각도를 조절할 수 된 반사거울과, 바닥고정판 상부 후면에 설치되어 악기의 길이에 대응하여 늘이거나 줄일 수 있게 된 슬라이딩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동 또는 수납 시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접이식 구조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관악기용 패드(Pad) 검사 장치는 패드의 가시부분과 점검 사각 부분을 정면에서 동시에 볼 수 있어 다수의 패드 수리를 위해 악기를 돌려가며 보아야 하는 불필요한 동일 반복 작업과정을 줄여 점검과 수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경제적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검사장치를 부착한 악기 고정기구는 고가 악기의 취급에 탁월한 안전성을 제공하며 접을 경우 수납과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거울 장치의 일 실시 예와 작동원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 예를 이용한 패드 점검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에 따른 휴대용 악기 고정기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길이가 각기 다른 악기에의 적용 시 사용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본 발명을 휴대 시 접어 사용하는 순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목관악기의 패드(Pad) 검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관악기의 패드(Pad) 검사장치인 패드 점검 사각부 반사거울 장치의 일 실시 예와 작동원리를 보인 사시도 이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이며, 도 1의 A처럼 본 발명의 패드 점검 사각부 반사거울 장치(1)는 반사거울(10)과 바닥고정판(21)과 거울 회전핀 고정구(11)와 회전핀 지지대(12)와 거울 회전핀(13)과 고정피스(14)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1)는 반사거울(10)의 좌우측 중앙 하단에 거울 회전핀 고정구(11)가 각각 형성되고, 바닥고정판(21)에 고정피스(14)로 고정된 회전핀 지지대(12)에 거울 회전핀(13)이 끼워지고, 이 거울 회전핀(13)은 거울 회전핀 고정구(11)에 결합 되도록 하여 반사거울(10)이 회전핀 지지대(12)를 축으로 앞뒤로 기울어지게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반사거울(10)의 형상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악기의 중음부 패드(Pad)가 놓여진 길이와 대응되게 그 길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소재는 활용 상황에 따라 유리나 아크릴 또는 기타 투명판재 등의 소재로 구성하되 반사판의 코팅을 다양하게 달리하여 금경이나 은경 또는 흑경 등으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패드 점검 사각부 반사거울 장치(1)의 작동원리를 도 1의 B, C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와 같이 악기를 반사거울 장치(1)의 일정 간격 상부에 악기 길이 방향이 장치(1)와 나란히 수평이 되게 거치한 후, 악기 내부에 긴 막대형 불봉을 삽입하고, 도 1의 B처럼 반사거울(10)을 뒤로 눕히면, 도 1 B의 b부분과 같이 악기의 실제 패드 반원부분만 보이며, 반사거울(10) 면인 도 1의 B의 b'부분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아 종래의 패드 점검방식과 차이가 없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도 1의 C와 같이 반사거울(10)을 천천히 앞으로 돌리면, 도 1 C의 c부분과 같이 실제 패드의 반원부분을 관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 1 C의 c부분에서 볼 수 없는 실제 패드의 반대편 반원부분은 도 1 C의 c'부분에서 거울에 반사된 화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장치(1)는 반사거울(10)의 각도를 조절하여 실제 패드의 180도 반원부분과 거울에 반사되어 보이는 화상인 나머지 180도 반원부분을 한눈으로 모두 관찰할 수 있는 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과 작동원리로 된 본 발명의 패드 점검 사각부 반사거울 장치(1)를 이용한 악기 패딩(Pading) 상태 점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실시 예를 이용한 패드 점검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이며, 다수의 키패드 중 동시에 움직이는 중음부 "라"음 운지 키를 눌러 패딩(Pading) 상태의 변화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 A의 a와 a'는 악기 내부에 긴 막대형 불봉을 삽입하고 도 1의 C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를 세팅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2 B의 b와 b'는 패드와 톤홀이 닿을 듯 말듯 하도록 운지 키를 살짝 눌러 본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2 C의 c와 c'는 운지 키를 완전히 눌러 패드와 톤홀이 닿게 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처럼, 패딩(Pading) 상태의 점검은 도 2의 A,B,C의 과정을 수없이 반복하면서 체크 하게 되며, 하나의 운지 키로 2개 또는 3개의 패드가 동시에 움직이는 경우에는 동시에 2개 또는 3개의 패드를 동시에 보아가며 반복 확인을 해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패드가 휘어진 경우, B나 C상태에서 패드의 360도 원주부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위치에서 불봉의 불빛이 더 넓게 보이게 되며, 이 불량 부분을 기억하였다가 수평이 되도록 밸런스를 수정하는 수리를 하게 된다.
패드 한 개의 완벽한 패딩(Pading) 상태를 만들기 위한 수리과정은 상기 도 2과 같은 패드 점검 방법으로 불량 위치를 확인한 후 패드를 수리하고, 다시 패드 상태를 점검 해 보고, 완전히 수리되지 않았다면 다시 수리하여 점검해야 하는 번거롭고 아주 까다로운 작업이다.
따라서, 다수의 키컵으로 형성된 악기를 완벽한 패딩(Pading) 상태로 만들기 위한 수리과정은 동일한 작업을 수없이 반복해야 하는 것으로 상당히 긴 시간을 요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면 악기를 뒤집어 보거나 돌려 보지 않고 악기를 고정한 상태로도 패드의 360도 원주부분 모두를 한눈으로 보며 패딩(Pading) 상태를 점검할 수 있어 수리시간을 대폭 절감하게 되는 경제성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패드 점검 사각부 반사거울 장치(1)가 부착된 악기 고정기구(2)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에 따른 휴대용 악기 고정기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3의 A는 휴대용 악기 고정기구의 사시도 이고, 도 3의 B는 부분확대도 이며, 도 3의 C는 휴대용 악기 고정기구의 상면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악기 고정기구(2)는 바닥고정판(21)과 U자관 받침대(22)와 넥 받침대(23)와 슬라이딩레일(24)과 반사거울 장치(1)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닥고정판(21)은 일측이 긴 사각 평판으로 구성된 것이고, U자관 받침대(22)는 좌측 U자관 받침대(221)와 우측 U자관 받침대(222)로 나누어진 것으로 경첩(223)에 의해 결합되어 접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상기 좌측 U자관 받침대(221)와 우측 U자관 받침대(222)는 악기와 닿는 모서리 부분을 악기 보호용 쿠션부재(224,225)로 각각 감싼 것이며, U자관 받침대(22)는 바닥고정판(21)의 우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경첩(226)으로 결합되어 접을 수 있게 형성되며, 색소폰 등과 같이 관이 U자로 휘어진 악기의 U자관부분을 받쳐서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직관 소프라노 색소폰이나 플루트 등과 같은 직선형의 악기는 U자관 받침대(20)에 벨 부분이 위치되어 고정되게 된다.
넥 받침대(23)는 악기와 닿는 모서리 부분을 악기 보호용 쿠션부재(231)를 감싼 것이며, 슬라이딩레일 상부판(241)의 좌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되고, 슬라이딩 레일 상부판(241) 위에 직각을 이루며 고정된 경첩보강판재(233)에 경첩(232)으로 결합되어 접을 수 있게 형성되고, 악기의 넥 부분을 받쳐서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슬라이딩레일(24)은 가구용 서랍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레일 기구와 동일 구조와 기능을 갖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기능을 갖으며, 슬라이딩레일 상부판(241)과 슬라이딩레일 하부판(242)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딩레일 하부판(242)은 바닥고정판(21)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며, 슬라이딩레일 상부판(241)은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시켜 길이를 길게 또는 짧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토색소폰이나 플루트 같이 길이가 짧은 악기의 경우에는 슬라이딩레일(24)을 완전히 접어서 사용하고, 알토색소폰의 경우에는 악기 길이에 맞추어 슬라이딩레일(24)을 조금 벌리고, 악기 길이가 아주 긴 테너색소폰이나 바리톤 색소폰의 경우에는 슬라이딩레일(24)을 좀 더 벌려 가며 사용할 수 있다.
서두에서 이미 설명된 반사거울 장치(1)는 바닥고정판(21)의 상부 앞 부분에 위치하여, 바닥고정판(21)에 고정피스(14)로 고정된 회전핀 지지대(12)에 거울 회전핀(13)이 끼워지고, 이 거울 회전핀(13)은 거울 회전핀 고정구(11)에 결합 되도록 하여, 반사거울(10)이 거울 회전핀(13)을 축으로 앞뒤로 기울어지게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반사거울(10)의 사이즈는 거울 폭이 10mm에서 60mm 사이, 세로 길이가 200mm에서 450mm 사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울 폭이 10mm 이하의 경우에는 반사되는 면이 너무 작아 관찰을 힘들게 하며, 60mm 이상이 되면 악기의 폭보다 비효율적으로 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세로 길이가 200mm이하가 되면 악기길이가 긴 바리톤색소폰의 중음부 "레"음의 경우 하나의 운지로 3개의 키컵(key-cup)이 동시에 닫히어 소리를 내게 되므로 3개의 키컵(key-cup)을 모두 관찰해야 하나 동시 관찰을 어렵게 하며, 세로 길이가 450mm이상이 되면, 악기길이가 짧은 곡관 소프라노 색소폰의 악기 거치의 안정성 확보 범위를 넘어서게 된다.
특히, 많은 악기에의 적용 호환성을 갖기 위한 반사거울(10)의 사이즈는 거울 폭이 40mm 전후이고, 세로 길이가 400mm 전후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간이로 1개의 패드만을 검사하는 장치로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치수와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패드 점검 사각부 반사거울 장치(1)와 이를 이용한 휴대용 악기 고정기구(2)는 색소폰과 같이 직선이 아닌 휘어진 형상의 악기인 경우 악기가 갖는 음역인 3옥타브 영역 중 중음부에 해당하는 패드만을 관찰 할 수 있게 범위를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고음부의 키컵(key-cup)은 대부분이 항상 닫혀져 있어 패딩 상태가 나빠지는 일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저음부의 키컵(key-cup)은 중음부의 키컵(key-cup)과 같이 하나의 운지 시 3개의 키컵(key-cup)이 동시에 움직이고 동시에 닫혀야 하는 등의 아주 까다로운 밸런스 유지를 필요로 하는 패드가 거의 없고 패드 사이즈가 매우 커서 육안 관찰이 무척 용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패드 검사 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고, 아주 까다로운 밸런스 점검이 필요한 중음부의 관찰을 용이하도록 반사거울(10)의 모양과 사이즈를 설정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악기 고정기구(2)의 작용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에서 길이가 각기 다른 악기에의 적용 시 사용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이며, 다양한 악기들을 하나의 실시 예로 적용할 수 있는 개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비교적 길이가 긴 테너색소폰과 짧은 길이의 곡관 소프라노색소폰을 적용하여 그 작용을 설명한다.
도 4의 A는 곡관 소프라노색소폰을 본 발명의 휴대용 악기 고정기구(2)에 거치한 모습의 상면과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B는 테너색소폰을 본 발명의 휴대용 악기 고정기구(2)에 거치한 모습의 상면과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곡관 소프라노색소폰의 경우는 슬라이딩레일(24)을 벌리지 않은 채 악기를 거치하게 되며, 테너색소폰의 경우에는 슬라이딩레일(24)을 적당히 벌리고 악기를 거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착 되는 악기의 길이에 따라 슬라이딩레일(24)을 조절하여 패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안정된 거치 상태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거치 된 악기의 일정 간격 하단에 반사거울(10)이 위치하며, 악기와 반사거울(10)은 길이 방향으로 수평을 이루게 되며, 특히 악기 바디(Body)에 다수로 형성되고 나열된 된 중음부 키컵(key-cup)들의 중심을 연결한 라인과 반사거울(10)의 길이방향은 상부 또는 정면 등 어느 각도에서 보든 나란히 되고 각각 수평을 이루도록 안착 된다.
도 5는 도 3의 본 발명을 휴대 또는 보관 시 접어서 사용하는 순서를 보인 사시도 이며, 도 5의 A, B, C, D, E 순으로 접을 수 있게 된 것이며, 도 5의 E와 같이 납작하게 접으면 부피가 줄어 휴대가 용이하도록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 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상술 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한 구성에 의해 정해져야 함은 당연하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반사거울 장치
10 : 반사거울 11 : 거울 회전핀 고정구 12 : 회전핀 지지대
13 : 거울 회전핀 14 : 고정피스
2 : 악기 고정기구
21 : 바닥고정판 22 : U자관 받침대 23 : 넥 받침대
24 : 슬라이딩레일

Claims (2)

  1. 목관악기의 키컵(key-cup) 내부에 형성된 원형 구조의 패드(Pads)의 패딩(Pading) 상태를 검사할 때 패드(Pads)의 가시가능 정면 반원부분은 물론 보이지 않는 후면 반원 부분을 동시에 볼 수 있게 하는 패드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 검사장치인 반사거울 장치(1)는, 책상 위에 평편하게 놓이게 하는 바닥고정판(21)과,
    좌우측 중앙 하부에 거울 회전핀 고정구(11)가 각각 형성된 반사거울(10)과,
    상기 바닥고정판(21) 상부 좌우측에 각각 고정피스(14)로 고정된 회전핀 지지대(12)와,
    상기 회전핀 지지대(12)에 끼워지고 거울 회전핀 고정구(11)에 결합 고정되는 거울 회전핀(13)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성에 의해 바닥고정판(21)에 고정된 회전핀 지지대(12)를 축으로 거울 회전핀(13)이 회동하고 상기 거울 회전핀(13)과 결합된 거울 회전핀 고정구(11)를 갖는 반사거울(10)이 회동하는 구조로 되어 패드의 패딩(Pading) 상태 검사시 실제 패드의 반원 부분과 사각인 나머지 반원 부분을 모두 한눈으로 검사하도록 거울에 화상이 들어오게 반사거울(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관악기용 패드 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거울 장치(1)에;
    쿠션부재(224,225)로 각각 감싼 좌측 U자관 받침대(221)와 우측 U자관 받침대(222)를 경첩(223)에 의해 접을 수 있게 결합된 것으로, 바닥고정판(21)의 우측면에 수직으로 세워 경첩(226)으로 결합되어 접을 수 있게 형성되고, 악기의 U자관부분을 받쳐서 고정하는 U자관 받침대(22)와;
    쿠션부재(231)를 감싼 것으로, 슬라이딩레일 상부판(241)의 좌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되고, 슬라이딩 레일 상부판(241) 위에 직각을 이루며 고정된 경첩보강판재(233)에 경첩(232)으로 결합되어 접을 수 있게 형성되고, 악기의 넥 부분을 받쳐서 고정되게 하는 넥 받침대(23)와;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레일 상부판(241)과 바닥고정판(21)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 슬라이딩레일 하부판(242)으로 구성된 슬라이딩레일(24)을; 더 추가하여 구성된 것으로,
    원형 구조인 패드의 패딩(Pading) 상태를 검사할 때 악기를 뒤집어 보거나 돌려 보지 않고 안정되게 고정한 상태로 검사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길이의 악기에 맞추어 안정된 거치 상태를 만들 수 있고, 접으면 부피가 줄어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관악기용 패드 검사장치.
KR1020120028362A 2012-03-20 2012-03-20 목관악기용 패드 검사장치 KR10135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362A KR101353377B1 (ko) 2012-03-20 2012-03-20 목관악기용 패드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362A KR101353377B1 (ko) 2012-03-20 2012-03-20 목관악기용 패드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650A KR20130106650A (ko) 2013-09-30
KR101353377B1 true KR101353377B1 (ko) 2014-01-28

Family

ID=4945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362A KR101353377B1 (ko) 2012-03-20 2012-03-20 목관악기용 패드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767Y1 (ko) 2022-06-03 2023-04-20 안미경 색소폰 패드 밀착용 체결용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923B1 (ko) 2016-03-21 2016-10-27 박해민 악기 스탠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0917A (en) 1977-09-21 1979-10-16 Wheelock Daniel C Mirror accessory mean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H0682696U (ja) * 1993-05-06 1994-11-25 粲 福島 バイオリン練習用補助具
KR200187852Y1 (ko) 2000-01-21 2000-07-15 주식회사엔젤악기 관악기 교습을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0917A (en) 1977-09-21 1979-10-16 Wheelock Daniel C Mirror accessory mean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H0682696U (ja) * 1993-05-06 1994-11-25 粲 福島 バイオリン練習用補助具
KR200187852Y1 (ko) 2000-01-21 2000-07-15 주식회사엔젤악기 관악기 교습을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767Y1 (ko) 2022-06-03 2023-04-20 안미경 색소폰 패드 밀착용 체결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650A (ko)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9449B2 (en) Laser tracker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s
US7342162B2 (en) Musical instrument stand
KR101353377B1 (ko) 목관악기용 패드 검사장치
GB1273442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lapsible stands for musical instruments
CN104199082B (zh) X射线与激光同轴系统
US9767706B2 (en) Stringless bowed musical instrument
US11879995B2 (en) Laser tracker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s
US6559365B2 (en) Stand
KR20120019966A (ko) 바이올린 턱받침대용 어댑터
NO329528B1 (no) Stotteanordning for gitar eller annet strengeinstrument
Ukshini et al. Three-dimensional vibration patterns of alto saxophone reeds measured on different mouthpieces under mimicked realistic playing conditions
US5116005A (en) Compactly folding tripod support system for guitars
Nadarajah The mechanics of the soundpost in the violin
Fouilhe et al. Vibration modes of the cello tailpiece
US2455821A (en) Cradle for bass viols or other stringed instruments
US20040007117A1 (en) PH musical instrument case/stand
AU2004200436A1 (en) Damping element
US8541674B2 (en) Support bridge
ES2210118T3 (es) Perfeccionamientos en los isntrumentos de viento.
CN206095264U (zh) 简易垂准仪校准装置
US1742869A (en) Pitch indicator for musical instruments
CN2936143Y (zh) 血氧仪校准测试装置
CN203689772U (zh) 一种弹簧弹力实验仪
CN220155051U (zh) 一种光学实验演示仪
CN109272840B (zh) 光学实验演示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