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178B1 -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178B1
KR101353178B1 KR1020110121139A KR20110121139A KR101353178B1 KR 101353178 B1 KR101353178 B1 KR 101353178B1 KR 1020110121139 A KR1020110121139 A KR 1020110121139A KR 20110121139 A KR20110121139 A KR 20110121139A KR 101353178 B1 KR101353178 B1 KR 101353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femto cell
cell bas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552A (ko
Inventor
게이스께 다께우찌
린따로 가따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05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04W52/244Interferences in heterogeneous networks, e.g. among macro and femto or pico cells or other sector / system interference [O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58Management thereof based on metrics or performanc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0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optimising the interference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매크로 셀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기가, 매크로 셀에 중복되는 펨토 셀의 부근에 위치하는 경우, 이 단말기를 펨토 셀 기지국에 접속시킴으로써, 단말기에 의한 펨토 셀 기지국에의 상향 간섭 신호를 저감시켜, 시스템 전체의 스루풋을 개선한다. 또한, 단말기를 펨토 셀 기지국에 접속시키는 것에 수반하는, 펨토 셀 기지국의 부하나 리소스 소비량의 증대, 스루풋의 저하를 방지한다.
펨토 셀 기지국은, 강한 상향 간섭을 검출한 경우에, 펨토 셀의 반경을 자율적으로 확장하여, 원래의 펨토 셀의 주변에 있는 단말기가 자신에게 접속될 확률을 높인다. 펨토 셀 기지국은, 그것에 의한 간섭 저감 효과를 평가하여, 효과가 낮으면, 자신에게 접속시킨 단말기를 원래의 접속처의 기지국으로 되돌린다. 펨토 셀 기지국은, 간섭 저감량이나 접속 단말기수 등의 평가 기준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킨 경우에는, 확장한 펨토 셀의 반경을 원래의 크기로 되돌린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규모 기지국(예를 들면, 펨토 셀 기지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휴대 전화 등의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하나의 기지국이 광역을 커버하는 매크로 셀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매크로 셀 방식은, 핸드오버 횟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고속 이동에 적합하고, 소수의 기지국에 의해 에어리어의 확대가 가능한 것 등이 특징이다. 그러나, 매크로 셀 방식에서는, 옥내 등의 국소적으로 생기는 불감지대의 대책이 어렵다는 것이 과제이다.
이것에 대하여,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가 도달하기 어려운 장소에, 매크로 셀보다 작은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설치하여, 불감지대를 해소하는 어프로치가 생각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예를 들면 1동의 가옥을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소형 기지국을 각 가정에 설치하는 펨토 셀 방식이 주목받고 있으며, W-CDMA나 EV-DO 등의 소위 제3 세대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펨토 셀 방식의 상용 서비스가 개시되고 있다.
또한, W-CDMA의 후계의 규격인 LTE(Long Term Evolution)에 있어서도, 펨토 셀 방식의 규격 책정이 행해지고 있다.
펨토 셀 방식에서는, 무선 LAN과 같은 정도의 전파 도달 범위를 갖는 소형 기지국(펨토 셀 기지국)을 각 가정이나 빌딩 등에 설치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펨토 셀 기지국을 셀룰러 통신망에 접속한다. 펨토 셀 기지국은, 불감지대의 해소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국소적으로 펨토 셀이 매크로 셀에 중복되는 형태로 운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펨토 셀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대는, 매크로 셀 기지국이 사용하는 주파수대와 동일 또는 중복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10-171885호 공보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2개의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셀이 중복되는 경우, 한쪽의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상향 신호는, 다른 쪽의 기지국이 수신하는 상향 신호에 대해서는 간섭 신호가 된다.
여기서, 매크로 셀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기가, 매크로 셀에 중복되는 펨토 셀의 부근에 위치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필요로 하는 수신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단말기는, 접속처의 기지국으로부터 멀리 떨어짐에 따라서, 보다 큰 전력으로 상향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로부터의 거리가 먼 매크로 셀 기지국에 대하여, 큰 전력으로 상향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단말기로부터 펨토 셀 기지국에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상향 신호는, 크게 감쇠되지 않고 펨토 셀 기지국에 도달한다. 이 때문에, 상기 단말기의 상향 신호는, 펨토 셀 기지국에 대해서는 매우 강한 간섭 신호가 된다. 그 결과, 펨토 셀 기지국에 있어서의 상향 신호의 수신 품질이 크게 열화되어, 펨토 셀에 있어서의 상향 스루풋이 저하되는 경우가 생각된다.
이러한 과제의 해결 방법으로서, 특허 문헌 1에서는, 매크로 셀 기지국이 펨토 셀 기지국에 대하여, 매크로 셀 기지국이 관리 중인 단말기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고, 펨토 셀 기지국에서는 매크로 셀 기지국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무선 리소스를 단말기에 할당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매크로 셀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기의 상향 신호가 펨토 셀 기지국에의 간섭 신호가 되는 상황이 회피된다.
그러나, 특허 문헌 1과 같이, 기지국 사이에서 정보 교환을 행하는 방식에서는, 매크로 셀 내에 배치되는 펨토 셀 기지국이 증가함에 따라서, 정보 교환의 횟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부하가 증가한다.
기지국간의 정보 통지를 수반하지 않고, 매크로 셀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기에 의한 펨토 셀 기지국에의 상향 간섭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간섭원이 되고 있는 단말기를 펨토 셀 기지국에 접속시키는 것이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단말기가 펨토 셀 기지국에 접속되면, 단말기로부터의 상향 신호는, 펨토 셀 기지국에 대해서는 간섭 신호가 아니게 된다. 한편, 단말기로부터의 상향 신호는, 원래 접속되어 있던 매크로 셀 기지국에 대해서는 간섭 신호가 된다. 그러나, 단말기로부터 펨토 셀 기지국까지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향 신호의 송신 전력은 작아지고, 매크로 셀 기지국에의 간섭도 약해진다. 그 결과, 매크로 셀과 펨토 셀을 합친 시스템 전체로서는, 스루풋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을 이용함에 있어서는, 2개의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제1 과제는, 펨토 셀 기지국에 의한, 단말기를 다른 기지국에 접속시키는 처리(핸드오버)의 제어이다. 핸드오버는, 대상이 되는 단말기 자신, 혹은 핸드오버 전의 접속처인 기지국에 의해 기동된다. 이 때문에, 핸드오버처인 펨토 셀 기지국은, 단말기에 대하여, 자신으로의 핸드오버를 직접 지시할 수 없다.
제2 과제는, 펨토 셀 기지국에의 접속의 집중의 회피이다. 상기 방법에 의해, 결과적으로 펨토 셀 기지국에 다수의 단말기가 접속되면, 펨토 셀 기지국의 부하나 리소스 소비량이 증대되어, 반대로 펨토 셀의 스루풋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펨토 셀 기지국 등의 기지국에 있어서의 상향 간섭 전력이 강한 경우에, 간섭원의 의구심이 있는, 펨토 셀 등의 셀 주변의 단말기가, 자신에게 핸드오버할 확률을 높게 함으로써, 펨토 셀 기지국 등의 기지국에 대한 상향 간섭을 자율적으로 저감시켜, 시스템 전체로서의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를 펨토 셀 기지국 등의 기지국에 접속시키는 것에 수반하는, 펨토 셀 기지국 등의 기지국의 부하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펨토 셀 등의 셀의 반경을 자율적으로 되돌림으로써, 펨토 셀 기지국 등의 기지국에 있어서 실제로 간섭원이 되어 있지 않은 단말기가, 원래의 접속처로부터 펨토 셀 등의 셀, 및 그 역방향의 핸드오버를 반복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펨토 셀 기지국은, 강한 상향 간섭을 검출한 경우에, 이 기지국이 형성하는 펨토 셀의 반경을 자율적으로 확장함으로써, 원래의 펨토 셀의 주변에 있는 단말기가 자신에게 접속될 확률을 높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펨토 셀 기지국은, 상기 동작의 결과로서 펨토 셀 주변의 단말기가 자신에게 접속된 것에 수반하는 간섭 저감 효과를 평가하여, 효과가 낮으면, 자신에게 접속시킨 단말기를, 원래의 접속처의 기지국으로 되돌린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펨토 셀 기지국은, 펨토 셀의 반경을 확장한 결과로서, 예를 들면 간섭 저감량이나 접속 단말기수 등의 평가 기준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킨 경우에는, 확장한 펨토 셀의 반경을 원래의 크기로 되돌린다.
본 발명의 제1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제1 셀을 형성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제1 셀을 포함하는 또는 제1 셀과 중복되는 제2 셀을 형성하는 제2 기지국을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기지국과 무선 통신하는 단말기군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이 받는 상향 방향의 제1 전파 간섭을 추정하고,
상기 제1 전파 간섭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일 때, 상기 제1 기지국은, 송신 전력을 증가하여 상기 제1 셀의 셀 반경을 확대함으로써,
확대된 상기 제1 셀에 속해 있으며, 상기 단말기군 중의 상기 제2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던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에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제1 셀을 형성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제1 셀을 포함하는 또는 제1 셀과 중복되는 제2 셀을 형성하는 제2 기지국을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기지국과 무선 통신하는 단말기군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이 받는 상향 방향의 제1 전파 간섭을 추정하고,
상기 제1 전파 간섭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일 때, 상기 제1 기지국은, 송신 전력을 증가하여 상기 제1 셀의 셀 반경을 확대함으로써,
확대된 상기 제1 셀에 속해 있으며, 상기 단말기군 중의 상기 제2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던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에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펨토 셀 기지국 등의 기지국에 있어서의 상향 간섭 전력이 강한 경우에, 간섭원의 의구심이 있는, 펨토 셀 등의 셀 주변의 단말기가, 자신에게 핸드오버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펨토 셀 기지국 등의 기지국에 대한 상향 간섭이 자율적으로 저감되어, 시스템 전체로서의 스루풋이 향상한다.
또한, 펨토 셀 기지국 등의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한 펨토 셀 등의 셀 주변의 단말기 중, 펨토 셀 기지국 등의 기지국에 있어서 실제로 간섭원이 되어 있지 않은 것은, 원래의 접속처의 기지국으로 되돌려진다. 또한, 펨토 셀 등의 셀의 반경을 자율적으로 되돌림으로써, 펨토 셀 기지국 등의 기지국에 다수의 단말기가 접속되는 상황이 회피된다. 이에 의해, 단말기를 펨토 셀 기지국 등의 기지국에 접속시키는 것에 수반하는, 펨토 셀 기지국 등의 기지국의 부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펨토 셀 등의 셀의 반경을 자율적으로 되돌림으로써, 펨토 셀 기지국 등의 기지국에 있어서 실제로 간섭원이 되어 있지 않은 단말기가, 원래의 접속처로부터 펨토 셀 등의 셀, 및 그 역방향의 핸드오버를 반복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펨토 셀 기지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펨토 셀 기지국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매크로 셀 기지국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매크로 셀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와, 펨토 셀 기지국의 배치예.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펨토 셀 기지국의, 하향 송신 전력 증가에 의한 핸드오버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펨토 셀 기지국의, 하향 송신 전력 증가에 의한 핸드오버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7은 도 6a 및 도 6b의 수순 중,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부터 펨토 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의 상세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펨토 셀 기지국의, 간섭 저감 효과의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펨토 셀 기지국의, 간섭 저감 효과의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펨토 셀 기지국의, 간섭 저감 효과의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1은 도 6의 수순 중, 펨토 셀 기지국으로부터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의 상세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펨토 셀 기지국의, 하향 송신 전력을 원래의 값으로 되돌리는 동작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펨토 셀 기지국의, 하향 송신 전력을 원래의 값으로 되돌리는 동작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펨토 셀 기지국의, 하향 송신 전력을 원래의 값으로 되돌리는 동작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펨토 셀 기지국의, 간섭 제어 동작을 기동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1.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펨토 셀 기지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의 예이다.
본 시스템에서는, 매크로 셀 기지국(101)이 매크로 셀(102)을 형성하며, 매크로 셀(102)에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103)가 속해 있다. 매크로 셀 기지국(101)과 단말기(103)는, 무선 회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매크로 셀(102)의 내부에 설치된 펨토 셀 기지국(111)이 펨토 셀(112)을 형성하며, 펨토 셀(112)에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113)가 속해 있다. 펨토 셀 기지국(111)과 단말기(113)는, 무선 회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매크로 셀 기지국(101) 및 펨토 셀 기지국(111)은, 유선 회선을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121)에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펨토 셀 기지국(111)의 내부 구성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펨토 셀 기지국(111)은, 메모리(201), CPU(202), 무선 인터페이스(203), 논리 회로(204), 유선 인터페이스(205)를 구비한다.
메모리(201)는, RS(참조 신호) 측정 결과 보고값(210)을 유지한다.
CPU(202)는, 송신 데이터 처리부(211), 수신 데이터 처리부(212), 핸드오버 처리부(213), 핸드오버 판정부(214), 송신 전력 조정부(215), 송신 전력 복귀 판정 처리부(216), 간섭 감소 판정 처리부(217), 간섭 제어 기동 판정 처리부(218), 간섭 측정부(219)를 구비한다.
송신 데이터 처리부(211)는, 단말기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무선 회선에 의해 단말기에 송출하는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수신 데이터 처리부(212)는, 무선 회선에 의해 단말기로부터 도달하는 무선 신호로부터, 기지국이 수신해야 할 데이터를 추출한다.
핸드오버 처리부(213)는, 핸드오버시에 기지국의 사이에서 주고 받는 메시지의 송수신 처리나, 단말기와의 사이의 무선 링크의 확립 및 해방을 행한다.
핸드오버 판정 처리부(214)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하향 RS 전력 측정 결과의 보고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의 적절한 접속처의 셀을 결정한다.
송신 전력 조정부(215)는, 펨토 셀 기지국(111)의 하향 송신 전력의 증감을 행한다.
송신 전력 복귀 판정 처리부(216)는, 펨토 셀 기지국(111)이 일시적으로 하향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고 있는 경우에, 하향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기 전의 값으로 되돌릴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간섭 감소 판정 처리부(217)는, 펨토 셀 기지국(111)이 받는 상향 간섭 전력이 감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간섭 제어 기동 판정 처리부(218)는, 펨토 셀 기지국(111)이 간섭 제어 동작을 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간섭 측정부(219)는, 펨토 셀 기지국(111)이 받는 상향 간섭 전력을 측정한다.
무선 인터페이스(203)는, 펨토 셀 기지국(111)이 무선 회선을 통하여 단말기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논리 회로(204)는,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오류 정정 부호화 및 복호를 행한다.
유선 인터페이스(205)는, 펨토 셀 기지국(111)이 유선 회선을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 장치나 다른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도 3에 매크로 셀 기지국(101)의 내부 구성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매크로 셀 기지국(101)은, 메모리(301), CPU(302), 무선 인터페이스(303), 논리 회로(304), 유선 인터페이스(305)를 구비한다.
메모리(301)는, RS 측정 결과 보고값(310)을 유지한다.
CPU(302)는, 송신 데이터 처리부(311), 수신 데이터 처리부(312), 핸드오버 처리부(313), 핸드오버 판정부(314)를 구비한다. 이들의 동작은 각각, 펨토 셀 기지국(111)에 있어서의 송신 데이터 처리부(211), 수신 데이터 처리부(212), 핸드오버 처리부(213), 핸드오버 판정부(214)와 마찬가지이다.
무선 인터페이스(303)는, 매크로 셀 기지국(101)이 무선 회선을 통하여 단말기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논리 회로(304)는,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오류 정정 부호화 및 복호를 행한다.
유선 인터페이스(305)는, 매크로 셀 기지국(101)이 유선 회선을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 장치나 다른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도 4에 단말기(103) 및 단말기(113)의 내부 구성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단말기(103) 및 단말기(113)는, 메모리(401), CPU(402), 무선 인터페이스(403), 논리 회로(404)를 구비한다.
메모리(401)는, RS 측정값(410)을 유지한다.
CPU(402)는, 송신 데이터 처리부(411), 수신 데이터 처리부(412), RS 측정 보고 작성부(413), RS 전력 측정부(414)를 구비한다.
송신 데이터 처리부(411)는, 기지국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무선 회선에 의해 기지국에 송출하는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수신 데이터 처리부(412)는, 무선 회선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도달하는 무선 신호로부터, 단말기가 수신해야 할 데이터를 추출한다.
RS 측정 보고 작성부(413)는, 측정된 RS 전력을, 접속처의 기지국에 보고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RS 전력 측정부(414)는, 접속처 셀 및 주변 셀의 RS 전력을 측정한다.
무선 인터페이스(403)는, 단말기(103) 및 단말기(113)가 무선 회선을 통하여, 매크로 셀 기지국(101) 혹은 펨토 셀 기지국(111)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논리 회로(404)는,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오류 정정 부호화 및 복호를 행한다.
다음으로, 펨토 셀 기지국(111)의 상향 간섭 제어 동작에 대해서 상술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크로 셀(102)에 단말기(104) 및 단말기(105)가 속해 있고, 이 중 단말기(105)는 펨토 셀(112)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도 6a에, 펨토 셀 기지국(111)에 의한 상향 간섭 제어의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또한, 각 스텝의 동작의 상세 내용은 후술한다.
단말기(104) 및 단말기(105)는, 매크로 셀 기지국(101)과의 접속을 확립한다(스텝 1001).
펨토 셀 기지국(111)에서는, 간섭 측정부(219)가, 임의의 타이밍에서 상향 간섭 전력을 측정한다(스텝 1002). 그 결과, 간섭 전력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펨토 셀 기지국(111)은 간섭 제어 동작을 기동하고(스텝 1003), 매크로 셀(102)로부터 펨토 셀(112)로의 핸드오버가 실시된다(스텝 1004).
스텝 1004의 이후, 펨토 셀 기지국(111)에서는, 간섭 측정부(219)가, 다시 상향 간섭 전력을 측정한다(스텝 1005). 다음으로, 펨토 셀 기지국(111)은, 스텝 1005의 결과를 이용하여, 간섭 저감 효과를 평가하고, 단말기를 펨토 셀(112) 내에 머물게 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스텝 1010).
스텝 1010의 결과, 펨토 셀 기지국(111)이 단말기를 매크로 셀에 접속하는 것을 결정한 경우에는, 펨토 셀(112)로부터 매크로 셀(102)로의 핸드오버가 실시된다(스텝 1011).
그 후, 펨토 셀 기지국(111)은, 스텝 1004에서 일시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던 전력에서의 하향 신호의 송신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하향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고, 스텝 1004 이전의 송신 전력으로 되돌린다(스텝 1012).
도 15에, 스텝 1003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간섭 제어 기동 판정 처리부(218)는, 스텝 1002에서 측정된 간섭 전력 A의 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g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2601).
또한, 간섭 전력의 값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측정할 수 있다. 즉, 각 기지국에서는, 자기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단말기의 송신을 정지하는 기간이 존재한다. 그 기간에 측정한 전력은, 자기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전파의 전력이 되므로, 기지국은, 이 전력을 간섭 전력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스텝 2601의 결과, 간섭 전력 A가 임계값 g 이상인 경우에는, 간섭 제어 기동 판정 처리부(218)는, 간섭 제어를 기동하는 것을 결정한다(스텝 2602).
한편, 간섭 전력 A가 임계값 g 미만인 경우에는, 간섭 제어 기동 판정 처리부(218)는, 아무것도 행하지 않고 동작을 종료한다.
도 7에, 스텝 1004의 상세한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펨토 셀 기지국(111)은, 스텝 1003에서 간섭 제어 동작을 기동하면, 하향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스텝 1101). 이에 의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펨토 셀(112)의 셀 반경이 확대된다.
다음으로, 펨토 셀 기지국(111) 및 매크로 셀 기지국(101)은, 하향 RS를 송신한다(스텝 1102, 1103). 또한, 하향 RS는, 각 기지국으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된다. 단말기는,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하향 RS의 전력 측정 결과의 보고를 작성하고(스텝 1104), 매크로 셀 기지국(101)으로 송신한다(스텝 1105).
매크로 셀 기지국(101)은, 스텝 1105에서 수신한 하향 RS 전력 측정 결과의 보고 내용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적절한 접속처를 결정한다(스텝 1106). 이때, 펨토 셀 기지국(111)으로부터 송신되는 하향 RS의 송신 전력이, 스텝 1101에 의해 일시적으로 증가하여, 펨토 셀(112)의 셀 반경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스텝 1106에서 펨토 셀(112)이 선택될 확률이 높아진다.
도 5b의 예에서는, 단말기(104) 및 단말기(105)는 함께, 셀 반경이 확대된 펨토 셀(112)의 내부에 있다. 이 때문에, 이들 단말기는, 스텝 1105에서, 펨토 셀(112)에 있어서의 하향 RS의 수신 전력이 높은 것을 나타내는 측정 결과를, 매크로 셀 기지국에 보고한다. 매크로 셀 기지국(101)은, 스텝 1106에서, 수신한 측정 결과의 보고로부터, 단말기(104) 및 단말기(105)를, 펨토 셀(112)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결정한다.
스텝 1106에서 펨토 셀(112)로의 핸드오버가 기동되면, 매크로 셀 기지국(101)은 펨토 셀 기지국(111)에 대하여, 핸드오버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1107). 펨토 셀 기지국(111)은, 핸드오버의 수용이 가능하면, 매크로 셀 기지국(101)에 대하여, 핸드오버 수락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1108).
매크로 셀 기지국(101)은, 펨토 셀 기지국(111)로부터 핸드오버 수락 응답을 수신하면, 단말기에 대하여, 펨토 셀(112)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한다(스텝 1109).
단말기는, 펨토 셀(112)로의 핸드오버를 지시받으면, 펨토 셀 기지국(111)과의 접속을 확립한다(스텝 11l0).
도 8에, 스텝 1010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셀 반경을 확대함으로써 펨토 셀 기지국(111)으로 핸드오버한 단말기는, 그 펨토 셀 기지국(111)에 있어서는 간섭원이 아니게 되므로, 그 만큼 간섭 전력이 감소한다고 상정된다. 이 플로우차트에서는, 스텝 2001에 의해, 그 감소한 정도를 판정하여, 그 정도가 큰 단말기만을 펨토 셀 기지국(111)에 접속시키고, 그 정도가 작은 단말기는 매크로 셀 기지국(101)으로 더 핸드오버시키고 있다.
간섭 감소 판정 처리부(217)는, 스텝 1004에서 간섭 측정부(219)에 의해 측정된 간섭 전력 B가, 스텝 1002에서 간섭 측정부(219)에 의해 측정된 간섭 전력 A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임계값 a 이상 감소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2001), 그 결과를 핸드오버 판정부(214)에 전달한다.
스텝 2001의 결과, 간섭 전력 B가 간섭 전력 A에 대하여 임계값 a 이상 감소하고 있는 경우에는, 핸드오버 판정부(214)는, 해당 단말기를 펨토 셀 기지국(111)에 접속시킨 상태로 하는 것을 결정한다(스텝 2002).
한편, 간섭 전력 B가 간섭 전력 A에 대하여 임계값 a 이상 감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핸드오버 판정부(214)는, 해당 단말기를 매크로 셀 기지국(101)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결정한다(스텝 2003).
또한, 도 8에 나타낸 처리는, 매회의 스텝 1004에 후속하여 실시된다.
도 5b의 예에서는, 단말기(105)는, 셀 반경을 확대하기 이전의 펨토 셀(112)에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펨토 셀(112)로 핸드오버하기 이전은, 단말기(105)로부터의 상향 신호가, 펨토 셀 기지국에 대하여 강한 간섭 신호로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단말기(105)에 대해서는, 간섭 전력 B가 간섭 전력 A에 대하여 크게 감소하여, 스텝 2001의 결과, 펨토 셀 기지국(111)에 접속된 상태가 된다.
한편, 단말기(104)는, 셀 반경을 확대하기 이전의 펨토 셀(112)에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펨토 셀(112)로 핸드오버하기 이전은, 단말기(104)로부터의 상향 신호는, 펨토 셀 기지국에 대하여 강한 간섭 신호로 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단말기(104)에 대해서는, 간섭 전력 B가 간섭 전력 A에 대하여 그다지 감소하지 않아, 스텝 2001의 결과, 매크로 셀 기지국(101)으로 핸드오버 한다.
도 11에, 스텝 1011의 상세한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스텝 1301에서 매크로 셀(102)로의 핸드오버가 기동되면, 펨토 셀 기지국(111)은 매크로 셀 기지국(101)에 대하여, 핸드오버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1302).
매크로 셀 기지국(101)은, 핸드오버의 수락이 가능하면, 펨토 셀 기지국(111)에 대하여, 핸드오버 수락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1303).
펨토 셀 기지국(111)은, 매크로 셀 기지국(101)으로부터 핸드오버 수락 응답을 수신하면, 단말기에 대하여, 매크로 셀(102)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한다(스텝 1304).
단말기는, 매크로 셀(102)로의 핸드오버를 지시받으면, 매크로 셀 기지국(101)과의 접속을 확립한다(스텝 1305).
도 12에, 스텝 1012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간섭 감소 판정 처리부(217)는, 스텝 1004에서 간섭 측정부(219)에 의해 측정된 간섭 전력 B의 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d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2301), 그 결과를 송신 전력 복귀 판정 처리부(216)에 전달한다.
스텝 2301의 결과, 간섭 전력 B가 임계값 d 미만인 경우에는, 송신 전력 복귀 판정 처리부(216)는, 하향 송신 전력을 감소시켜서 스텝 1004 이전의 값으로 되돌리는 것을 결정하고(스텝 2302), 송신 전력 조정부(215)에 하향 송신 전력의 감소를 지시한다.
한편, 간섭 전력 B가 임계값 d 이상인 경우에는, 송신 전력 복귀 판정 처리부(216)는, 하향 송신 전력을 스텝 1004에서 증가시킨 값의 상태로 하는 것을 결정한다(스텝 2303).
또한, 펨토 셀 기지국(111)은, 도 12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스텝 1004를 실시한 후에 매회 실시해도, 스텝 1004를 복수의 단말기에 대하여 실시한 후에 일괄해서 실시해도 된다.
2.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스텝 1006 이후의 동작이 상이하다. 특히, 핸드오버 필요 여부 판정(스텝 1010') 및 전력 감소(스텝 1012')의 동작이,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1010 및 스텝 1012가 각각 상이하다. 또 핸드오버 필요 여부 판정(스텝 1010')의 동작이 상이한 것에 수반하여, 상향 간섭 제어의 동작 시퀀스도 상이하다.
도 6b에, 펨토 셀 기지국(111)에 의한 상향 간섭 제어의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스텝 1001로부터 스텝 1004까지의 동작은, 도 6a에 도시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펨토 셀 기지국(111) 및 매크로 셀 기지국(101)은, 정기적으로 하향 RS를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스텝 1004의 이후에,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RS의 송신 기회가 있다(스텝 1006, 1007). 단말기는, 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하향 RS의 전력 측정 결과의 보고를 작성하고(스텝 1008), 펨토 셀 기지국(111)에 송신한다(스텝 1009).
스텝 1009에서 단말기로부터 하향 RS의 전력 측정 결과의 보고를 수신하면, 펨토 셀 기지국(111)은, 스텝 1010'에서 단말기를 펨토 셀(112) 내에 머물게 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스텝 1011 이후의 동작은, 도 6a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텝 1010'의 결과, 펨토 셀 기지국(111)이 단말기를 매크로 셀에 접속하는 것을 결정한 경우에는, 펨토 셀(112)로부터 매크로 셀(102)로의 핸드오버가 실시된다(스텝 1011).
그 후, 펨토 셀 기지국(111)은, 스텝 1004에서 일시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던 전력에서의 하향 신호의 송신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하향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고, 스텝 1004 이전의 송신 전력으로 되돌린다(스텝 1012').
도 9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텝 1010'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간섭 감소 판정 처리부(217)는, 스텝 1009에서 단말기로부터 통지된 펨토 셀 기지국(111)에 관한 하향 RS 수신 전력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b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2101), 그 결과를 핸드오버 판정부(214)에 전달한다.
스텝 2101의 결과, 펨토 셀 기지국(111)에 관한 하향 RS 수신 전력이 임계값 b보다 클 경우에는, 핸드오버 판정부(214)는, 해당 단말기를 펨토 셀 기지국(111)에 접속시킨 상태로 하는 것을 결정한다(스텝 2102).
한편, 펨토 셀 기지국(111)에 관한 하향 RS 수신 전력이 임계값 b보다 작은 경우에는, 핸드오버 판정부(214)는, 해당 단말기를 매크로 셀 기지국(101)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결정한다(스텝 2103).
또한, 펨토 셀 기지국(111)은, 도 9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스텝 1004를 실시한 후에 매회 실시해도, 스텝 1004를 복수의 단말기에 대하여 실시한 후에 일괄해서 실시해도 된다.
도 13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텝 1012'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송신 전력 복귀 판정 처리부(216)는, 스텝 1004에 의해 펨토 셀(112)로 핸드오버한 단말기의 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e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2401).
스텝 2401의 결과, 펨토 셀(112)로 핸드오버한 단말기의 수가 임계값 e보다 큰 경우에는, 송신 전력 복귀 판정 처리부(216)는, 하향 송신 전력을 감소시켜서 스텝 1004 이전의 값으로 되돌리는 것을 결정하고(스텝 2402), 송신 전력 조정부(215)에 하향 송신 전력의 감소를 지시한다.
한편, 펨토 셀(112)로 핸드오버한 단말기의 수가 임계값 e 이하인 경우에는, 송신 전력 복귀 판정 처리부(216)는, 하향 송신 전력을 스텝 1004에서 증가시킨 값의 상태로 하는 것을 결정한다(스텝 2403).
또한, 펨토 셀 기지국(111)은, 도 13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스텝 1004를 실시한 후에 매회 실시해도, 스텝 1004를 복수의 단말기에 대하여 실시한 후에 일괄해서 실시해도 된다.
3. 제3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펨토 셀 기지국(111)에 의한 상향 간섭 제어의 시퀀스는 동일하게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지만, 스텝 1010' 및 스텝 1012'의 동작이 상이하다.
도 10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텝 1010'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간섭 감소 판정 처리부(217)는, 도 6b의 스텝 1009에서 단말기로부터 통지된 펨토 셀 기지국(111)에 관한 하향 RS 수신 전력과, 매크로 셀 기지국(101)에 관한 하향 RS 수신 전력과의 차분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c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2201), 그 결과를 핸드오버 판정부(214)에 전달한다.
스텝 2201의 결과, 펨토 셀 기지국(111)에 관한 하향 RS 수신 전력과, 매크로 셀 기지국(101)에 관한 하향 RS 수신 전력과의 차분이 임계값 c보다 큰 경우에는, 핸드오버 판정부(214)는, 해당 단말기를 펨토 셀 기지국(111)에 접속시킨 상태로 하는 것을 결정한다(스텝 2202).
한편, 펨토 셀 기지국(111)에 관한 하향 RS 수신 전력과, 매크로 셀 기지국(101)에 관한 하향 RS 수신 전력과의 차분이 임계값 c보다 작은 경우에는, 핸드오버 판정부(214)는, 해당 단말기를 매크로 셀 기지국(101)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결정한다(스텝 2203).
또한, 펨토 셀 기지국(111)은, 도 10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스텝 1004를 실시한 후에 매회 실시해도, 스텝 1004를 복수의 단말기에 대하여 실시한 후에 일괄해서 실시해도 된다.
도 14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스텝 1012'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송신 전력 복귀 판정 처리부(216)는, 도 6b의 스텝 1101에 의해 펨토 셀 기지국(111)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 후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f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2501).
스텝 2501의 결과, 경과 시간이 임계값 f 이상인 경우에는, 송신 전력 복귀 판정 처리부(216)는, 하향 송신 전력을 감소시켜서 스텝 1004 이전의 값으로 되돌리는 것을 결정하고(스텝 2502), 송신 전력 조정부(215)에 하향 송신 전력의 감소를 지시한다.
한편, 경과 시간이 임계값 f 미만인 경우에는, 송신 전력 복귀 판정 처리부(216)는, 하향 송신 전력을 스텝 1004에서 증가시킨 값의 상태로 하는 것을 결정한다(스텝 2503).
또한, 펨토 셀 기지국(111)은, 도 14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스텝 1004를 실시한 후에 매회 실시해도, 스텝 1004를 복수의 단말기에 대하여 실시한 후에 일괄해서 실시해도 된다.
4. 변형예
이상의 3개의 실시 형태에서는, 핸드오버 필요 여부 판정(스텝 1010 또는 스텝 1010')으로서 도 8, 도 9, 도 10의 3가지의 방법을 나타내고, 또한, 전력 감소(스텝 1012 또는 스텝 1012')로서 도 12, 도 13, 도 14의 3가지의 방법을 나타냈다. 핸드오버 필요 여부 판정(스텝 1010 또는 스텝 1010')과 전력 감소(스텝 1012 또는 스텝 1012')의 각 방식의 조합은, 각 실시 형태에 그 일례가 나타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감소(스텝 1012 또는 스텝 1012')에 대해서는, 도 12, 도 13, 도 14의 방법 중 2개 이상을 조합해도 된다.
이상에서는, 특히, 펨토 셀 기지국과 매크로 셀 기지국 사이의 핸드오버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펨토 셀 기지국간의 핸드오버, 매크로 셀 기지국간의 핸드오버, 그 밖의 기지국간의 핸드오버 등과 같이 , 각종 다른 방식의 기지국간 또는 각종의 동일한 방식의 기지국간의 핸드오버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1 : 매크로 셀 기지국
102 : 매크로 셀
103, 104, 105 : 단말기
111 : 펨토 셀 기지국
112 : 펨토 셀
113 : 단말기
121 : 코어 네트워크
201 : 펨토 셀 기지국의 메모리
202 : 펨토 셀 기지국의 CPU
203 : 펨토 셀 기지국의 무선 인터페이스
204 : 펨토 셀 기지국의 논리 회로
205 : 펨토 셀 기지국의 유선 인터페이스
210 : 펨토 셀 기지국의 RS 측정 결과 보고값
211 : 펨토 셀 기지국의 송신 데이터 처리부
212 : 펨토 셀 기지국의 수신 데이터 처리부
213 : 펨토 셀 기지국의 핸드오버 처리부
214 : 펨토 셀 기지국의 핸드오버 판정부
215 : 펨토 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조정부
216 : 펨토 셀 기지국의 송신 전력 복귀 판정 처리부
217 : 펨토 셀 기지국의 간섭 감소 판정 처리부
218 : 펨토 셀 기지국의 간섭 제어 기동 판정 처리부
219 : 펨토 셀 기지국의 간섭 측정부
301 : 매크로 셀 기지국의 메모리
302 : 매크로 셀 기지국의 CPU
303 : 매크로 셀 기지국의 무선 인터페이스
304 : 매크로 셀 기지국의 논리 회로
305 : 매크로 셀 기지국의 유선 인터페이스
310 : 매크로 셀 기지국의 RS 측정 결과 보고값
311 : 매크로 셀 기지국의 송신 데이터 처리부
312 : 매크로 셀 기지국의 수신 데이터 처리부
313 : 매크로 셀 기지국의 핸드오버 처리부
314 : 매크로 셀 기지국의 핸드오버 판정부
401 : 단말기의 메모리
402 : 단말기의 CPU
403 : 단말기의 무선 인터페이스
404 : 단말기의 논리 회로
410 : 단말기의 RS 측정값
411 : 단말기의 송신 데이터 처리부
412 : 단말기의 수신 데이터 처리부
413 : 단말기의 RS 측정 보고 작성부
414 : 단말기의 RS 전력 측정부
1001 : 단말기가 매크로 셀 기지국과의 접속을 확립하는 스텝
1002 : 펨토 셀 기지국이 상향 간섭 전력을 측정하는 스텝
1003 : 펨토 셀 기지국이 간섭 제어 동작을 기동하는 스텝
1004 : 매크로 셀로부터 펨토 셀로의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스텝
1005 : 펨토 셀 기지국이 상향 간섭 전력을 측정하는 스텝
1006 : 펨토 셀 기지국이 하향 RS를 송신하는 스텝
1007 : 매크로 셀 기지국이 하향 RS를 송신하는 스텝
1008 : 단말기가 하향 RS의 전력 측정 결과의 보고를 작성하는 스텝
1009 : 단말기가 하향 RS의 전력 측정 결과의 보고를 펨토 셀 기지국에 송신하는 스텝
1010 : 펨토 셀 기지국이 단말기를 펨토 셀 내에 머물게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스텝
1010' : 펨토 셀 기지국이 단말기를 펨토 셀 내에 머물게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스텝
1011 : 펨토 셀로부터 매크로 셀로의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스텝
1012 : 펨토 셀 기지국이 하향 송신 전력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스텝
1012' : 펨토 셀 기지국이 하향 송신 전력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스텝
1101 : 펨토 셀 기지국이 하향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스텝
1102 : 펨토 셀 기지국이 하향 RS를 송신하는 스텝
1103 : 매크로 셀 기지국이 하향 RS를 송신하는 스텝
1104 : 단말기가 하향 RS의 전력 측정 결과의 보고를 작성하는 스텝
1105 : 단말기가 하향 RS의 전력 측정 결과의 보고를 송신하는 스텝
1106 : 매크로 셀 기지국이 단말기의 접속처를 결정하는 스텝
1107 : 매크로 셀 기지국이 펨토 셀 기지국에 대하여, 핸드오버 요구를 송신하는 스텝
1108 : 펨토 셀 기지국이 매크로 셀 기지국에 대하여, 핸드오버 수락 응답을 송신하는 스텝
1109 : 매크로 셀 기지국이 단말기에 대하여, 펨토 셀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스텝
1110 : 단말기가 펨토 셀 기지국과의 접속을 확립하는 스텝
1301 : 펨토 셀 기지국이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기동하는 스텝
1302 : 펨토 셀 기지국이 매크로 셀 기지국에 대하여, 핸드오버 요구를 송신하는 스텝
1303 : 매크로 셀 기지국(101)이 펨토 셀 기지국에 대하여, 핸드오버 수락 응답을 송신하는 스텝
1304 : 펨토 셀 기지국이 단말기에 대하여, 매크로 셀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스텝
1305 : 단말기가 매크로 셀 기지국과의 접속을 확립하는 스텝
2001 : 펨토 셀 기지국에 있어서의 상향 간섭 전력의 감소량을 평가하는 스텝
2002 : 단말기를 펨토 셀 기지국에 접속시킨 상태로 하는 것을 결정하는 스텝
2003 : 단말기를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결정하는 스텝
2101 : 단말기에서의 하향 RS 수신 전력을 평가하는 스텝
2102 : 단말기를 펨토 셀 기지국에 접속시킨 상태로 하는 것을 결정하는 스텝
2103 : 단말기를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결정하는 스텝
2201 : 단말기에서의 펨토 셀 기지국과 매크로 셀 기지국 하향 RS 수신 전력의 차분을 평가하는 스텝
2202 : 단말기를 펨토 셀 기지국에 접속시킨 상태로 하는 것을 결정하는 스텝
2203 : 단말기를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결정하는 스텝
2301 : 펨토 셀 기지국에 있어서의 상향 간섭 전력을 평가하는 스텝
2302 : 펨토 셀 기지국의 하향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결정하는 스텝
2303 : 펨토 셀 기지국의 하향 송신 전력을 그대로 하는 것을 결정하는 스텝
2401 : 펨토 셀로 핸드오버한 단말기의 수를 평가하는 스텝
2402 : 펨토 셀 기지국의 하향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결정하는 스텝
2403 : 펨토 셀 기지국의 하향 송신 전력을 그대로 하는 것을 결정하는 스텝
2501 : 펨토 셀 기지국이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고나서 경과한 시간을 평가하는 스텝
2502 : 펨토 셀 기지국의 하향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결정하는 스텝
2503 : 펨토 셀 기지국의 하향 송신 전력을 그대로 하는 것을 결정하는 스텝
2601 : 펨토 셀 기지국에 있어서의 상향 간섭 전력을 평가하는 스텝
2602 : 펨토 셀 기지국에 의한 간섭 제어를 기동하는 것을 결정하는 스텝

Claims (10)

  1. 제1 셀을 형성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제1 셀을 포함하는 또는 제1 셀과 중복되는 제2 셀을 형성하는 제2 기지국을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기지국과 무선 통신하는 단말기군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이 받는 상향 방향의 제1 전파 간섭을 추정하고,
    상기 제1 전파 간섭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일 때, 상기 제1 기지국은, 송신 전력을 증가하여 상기 제1 셀의 셀 반경을 확대함으로써,
    상기 단말기군 중, 상기 제2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지만 상기 제1 셀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기지국에 상향 방향의 전파 간섭을 주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기를, 확대된 제1 셀에 넣는 것으로,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한 후, 상기 제1 기지국은, 다시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기지국과 무선 통신하는 단말기군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이 받는 상향 방향의 전파 간섭을 제2 전파 간섭으로서 추정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2 전파 간섭이 상기 제1 전파 간섭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 감소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1 단말기를 접속한 상태로 하고, 한편, 그 임계값 이상 감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상향 방향의 전파 간섭을 주고 있었던 단말기는 아니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1 단말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한 후,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송신하는 참조 신호의 상기 제1 단말기에서의 제1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의 보고를 받고,
    상기 제1 수신 전력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1 단말기를 접속한 상태로 하고, 한편, 그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1 단말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한 후,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송신하는 참조 신호의 상기 제1 단말기에서의 제1 수신 전력과, 상기 제2 기지국이 송신하는 참조 신호의 상기 제1 단말기에서의 제2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의 보고를 받고,
    상기 제1 수신 전력과 제2 수신 전력의 차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1 단말기를 접속한 상태로 하고, 한편, 그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1 단말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 후, 상기 제2 전파 간섭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은, 송신 전력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 후, 상기 단말기군 중의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한 단말기의 수가 일정 이상으로 되었을 때,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 후, 일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펨토 셀 기지국이고,
    상기 제2 기지국은, 매크로 셀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9. 제1 셀을 형성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제1 셀을 포함하는 또는 제1 셀과 중복되는 제2 셀을 형성하는 제2 기지국을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기지국과 무선 통신하는 단말기군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이 받는 상향 방향의 제1 전파 간섭을 추정하고,
    상기 제1 전파 간섭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일 때, 상기 제1 기지국은, 송신 전력을 증가하여 상기 제1 셀의 셀 반경을 확대함으로써,
    상기 단말기군 중, 상기 제2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지만 상기 제1 셀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기지국에 상향 방향의 전파 간섭을 주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기를, 확대된 제1 셀에 넣는 것으로,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간섭의 값은, 자기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단말기로부터의 송신을 정지하는 기간에 측정한 전력에 의해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110121139A 2010-11-19 2011-11-18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353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59435 2010-11-19
JP2010259435A JP5303538B2 (ja) 2010-11-19 2010-11-19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552A KR20120054552A (ko) 2012-05-30
KR101353178B1 true KR101353178B1 (ko) 2014-01-17

Family

ID=4503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139A KR101353178B1 (ko) 2010-11-19 2011-11-18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849281B2 (ko)
EP (1) EP2456262B1 (ko)
JP (1) JP5303538B2 (ko)
KR (1) KR101353178B1 (ko)
CN (1) CN1025478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8065B2 (en) * 2009-10-02 2014-05-27 Kyocera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large cel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8396505B2 (en) * 2009-10-02 2013-03-12 Kyocera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side device, small cell base station,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PL2590448T3 (pl) * 2011-11-07 2019-06-28 Alcatel Lucent Pomiary międzyczęstotliwościowe w HetNet na podstawie prędkości urządzenia ruchomego
CN103096334B (zh) * 2011-11-08 2016-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小区扩展偏置边界的方法及装置
US10039116B1 (en) 2012-04-02 2018-07-3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Long term evolution scheduler to mitigate interference
US9553680B1 (en) * 2012-04-02 2017-01-2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Uplink interference mitigation
KR102099821B1 (ko) * 2012-07-30 2020-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크로셀과 소규모셀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단말이 소규모셀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TWI558257B (zh) * 2012-07-31 2016-11-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小型基地台檢測方法以及使用所述方法的裝置
KR20140033657A (ko) * 2012-09-10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기지국 간 협력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3716858B (zh) * 2012-09-29 2018-12-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小小区为ue服务的方法、装置和系统
KR101689490B1 (ko) 2012-10-19 2016-12-2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셀 핸드오버 및 재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4096711A (ja) * 2012-11-09 2014-05-22 Hitachi Ltd 無線基地局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EP2922351A4 (en) 2012-12-11 2015-12-02 Huawei Tech Co Ltd CELL CONFIGURATION METHOD, POWER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US9271324B2 (en) * 2012-12-19 2016-02-23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ed serving cell configur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architecture
US9832717B2 (en) 2012-12-19 2017-11-2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ayer 3 configur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US9072021B2 (en) 2012-12-19 2015-06-3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architecture
US9036578B2 (en) 2012-12-19 2015-05-19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architecture
US9042894B2 (en) * 2013-03-07 2015-05-26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interference mitigation by adapting open cell transmission power
JP6004342B2 (ja) * 2013-03-29 2016-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マクロ基地局、小型基地局、協調通信方法
EP2982176B1 (en) * 2013-04-04 2021-03-10 Nokia Technologies Oy Small cell offloading command
JP6182393B2 (ja) * 2013-08-27 2017-08-16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及び送信電力決定方法
EP3146752A1 (en) * 2014-05-23 2017-03-2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Frequency band sharing amongst cells
KR102166628B1 (ko) * 2014-08-14 2020-10-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고려한 무선 통신망의 자동 최적화 방법 및 장치
KR102301826B1 (ko) * 2014-08-27 2021-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간섭 조정을 위한 자원 관리 방법
US10009861B2 (en) * 2014-10-14 2018-06-2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daptively enabling synchronization of nodes using a listen before talk load-based equipment protocol
JP6971410B2 (ja) * 2017-11-16 2021-11-24 京セラ株式会社 無人航空機によるダウンリンク信号のアップリンク干渉に基づく監視
WO2020102971A1 (en) * 2018-11-20 2020-05-28 Qualcomm Incorporated Cross link interference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JP7187423B2 (ja) * 2019-11-07 2022-12-12 Hapsモバイル株式会社 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CN112383330B (zh) * 2020-11-03 2022-02-08 上海擎昆信息科技有限公司 Mu-mimo信号检测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362A (ko) * 2003-05-16 2006-01-17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액세스 포인트들의 동적 전송 전력 조정에 기초한 무선액세스 네트워크의 부하 분배 방법 및 장치
KR20070093996A (ko) * 2007-07-11 2007-09-1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기지국 및 그 기지국에 있어서의 간섭 저감 방법
EP2136593A2 (en) * 2008-06-18 2009-12-23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98984A1 (en) * 2001-06-21 2004-03-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ED MEDIUM ON WHICH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IS RECORDED
US7039410B2 (en) 2003-04-22 2006-05-0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handoff at the border between CDMA underlay and overlay systems
JP4127686B2 (ja) 2004-09-02 2008-07-30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広域無線基地局装置、狭域無線基地局装置
EP2252105B1 (en) * 2005-03-28 2020-01-15 Sony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handover controlling method,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mobile terminal
US9491722B2 (en) * 2007-08-10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transmit power based on channel quality
CN101981829A (zh) * 2008-03-25 2011-02-23 北电网络有限公司 一种控制家用基站部署中的干扰的方法
CN101277542B (zh) * 2008-03-28 2011-08-10 北京邮电大学 一种无线网络间集中式动态频谱管理方法和系统
US8725083B2 (en) * 2008-05-13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Self calibration of downlink transmit power
JP4990226B2 (ja) 2008-06-10 2012-08-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EP2136478B1 (en) * 2008-06-18 2010-09-22 Alcatel Lucent Method for picocell power control and corresponding base station
WO2010039908A1 (en) * 2008-09-30 2010-04-08 Spridercloud Wireless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eporting and/or using interference cancellation information
JP5324882B2 (ja) 2008-10-23 2013-10-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基地局及び基地局の自律制御方法
US8600370B2 (en) * 2008-11-04 2013-12-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constant closed subscriber group cell reselection radius
CN101754477B (zh) * 2008-11-28 2012-06-20 北京大学 一种通信系统扩容方法
WO2010070854A1 (ja) 2008-12-15 2010-06-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ハンドオーバー制御方法
JP5422211B2 (ja) 2009-01-21 2014-0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及び基地局
JP5180109B2 (ja) 2009-01-26 2013-04-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JP5106454B2 (ja) 2009-03-18 2012-1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リソース制御方法及び基地局
US8768398B2 (en) * 2009-04-23 2014-07-01 Qualcomm Incorporated Measurement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KR20100126628A (ko) * 2009-05-24 2010-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펨토셀 타입을 고려한 펨토 기지국의 저부하 모드 동작 방법
JP5222793B2 (ja) 2009-06-05 2013-06-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端末
JP5222794B2 (ja) 2009-06-05 2013-06-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のリソース割当方法及び通信装置
JP5388366B2 (ja) * 2010-06-21 2014-01-15 株式会社Nttドコモ 干渉低減方法、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185619B2 (en) * 2010-06-29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femtocell deploym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362A (ko) * 2003-05-16 2006-01-17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액세스 포인트들의 동적 전송 전력 조정에 기초한 무선액세스 네트워크의 부하 분배 방법 및 장치
KR20070093996A (ko) * 2007-07-11 2007-09-1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기지국 및 그 기지국에 있어서의 간섭 저감 방법
EP2136593A2 (en) * 2008-06-18 2009-12-23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JP2010004187A (ja) * 2008-06-18 2010-01-07 Ntt Docomo Inc 基地局及び移動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49281B2 (en) 2014-09-30
EP2456262A1 (en) 2012-05-23
EP2456262B1 (en) 2019-08-21
JP2012114512A (ja) 2012-06-14
US20120129527A1 (en) 2012-05-24
JP5303538B2 (ja) 2013-10-02
CN102547896A (zh) 2012-07-04
US9113424B2 (en) 2015-08-18
US20140364122A1 (en) 2014-12-11
KR20120054552A (ko) 2012-05-30
CN102547896B (zh)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17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CN104081823B (zh) 用于异构网络切换的方法和设备
CN105103640B (zh) 用于基于小区间干扰协调减少异构通信网络中的干扰的方法和装置
EP2471197B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coordinated interference mitigation in multi-tier networks
KR101516571B1 (ko) 이종 네트워크들의 간섭 억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EP3442308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low-power base station, high-power base station, radio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968600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KR20160004003A (ko)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JP5447687B2 (ja) セル特定方法、基地局、移動局
CN106031235A (zh) 基于盲区中实现高频通信的处理方法、装置和设备
WO2011158858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電源制御方法
US10645657B2 (en) Closed-loop downlink transmit power assignments in a small cell radio access network
JP2014230272A (ja) 異種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セルハンドオーバ及びアクティブ化
JP5432110B2 (ja) ユーザ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967804B2 (e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reducing abnormal cell re-selection behaviors
JP5677517B2 (ja) 無線通信方法
WO2010085918A1 (zh) 自动配置中继节点的服务小区的方法、装置和系统
KR102153587B1 (ko)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808839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지원 방법 및 장치
US8942105B2 (en) Method for processing traffic in an intermediate access point
KR20230141240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견고성 향상을 위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