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114B1 - Device for inducing crack of slab and detecting method for solidification completion position of slab - Google Patents

Device for inducing crack of slab and detecting method for solidification completion position of sla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114B1
KR101353114B1 KR1020110138093A KR20110138093A KR101353114B1 KR 101353114 B1 KR101353114 B1 KR 101353114B1 KR 1020110138093 A KR1020110138093 A KR 1020110138093A KR 20110138093 A KR20110138093 A KR 20110138093A KR 101353114 B1 KR101353114 B1 KR 101353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cast
inducing
slab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0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70865A (en
Inventor
문상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38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114B1/en
Publication of KR2013007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8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1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7Rolls;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응고 완료점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롤에 의해 주편이 가이드되면서 응고되는 연속주조 공정에 사용되는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주편과 롤의 사이로 삽입되어 주편에 내부 크랙을 발생시키는 크랙 유발 몸체와, 크랙 유발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주편과 롤의 사이로 크랙 유발 몸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판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크랙 유발 기구를 이용하여 롤과 주편 사이에 삽입시켜 크랙을 유발함으로써, 주편의 두께나 주편의 표면온도에 관계없이 주편의 응고 완료점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ck inducing mechanism of the cast and a method for detecting the solidification complete point of the cast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ck inducing mechanism of a cast steel used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of the cast is guided by a roll to solidify, the crack causing body is inserted between the cast and the rol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generate an internal crack in the cast,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rack-inducing body includes a guide plate for guiding the crack-inducing body between the cast and the ro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crack inducing mechanism is inserted between the roll and the slab to cause crack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nfirm the solidification completion point of the slab irrespective of the thickness of the slab or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slab.

Description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응고 완료점 검출방법{Device for inducing crack of slab and detecting method for solidification completion position of slab}Device for inducing crack of slab and detecting method for solidification completion position of slab}

본 발명은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주조 공정에서 주편의 응고 완료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롤과 주편 사이에 삽입하여 주편의 내부 크랙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응고 완료점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ck inducing mechanism of the cast steel,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of inserting between the roll and the slab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solidification completion point of the cast ste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ck inducing mechanism and a method of detecting a solidification completion point of a cast using the same.

연속주조 주편의 응고 완료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1) 최적 경압하(주편 내부의 편석을 저감하기 위한 공정) 위치를 파악하고 (2) 연주기 내부에서 주편 응고를 완료시킴으로써 주편의 웨일(whale) 현상(주편 내 미응고 용강의 철정압으로 인해 연주기 출측에서 주편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중요하다.Identifying the solidification completion position of the continuous casting cast (1) to determine the position under optimum light pressure (steps to reduce segregation inside the cast), and (2) to complete the solidification of the cast in the machine, the whale phenomenon of the cast It is important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swelling of cast iron at the exit of the player due to the iron static pressure of unsolidified molten steel in the cast steel.

주편의 응고 완료점을 확인하는 기존의 방법은, 총기를 사용하여 주편에 알루미늄이 코팅된 스틸핀(steel pin)을 삽입하는 것이었다. 알루미늄은 용강에 비해 녹는점이 낮으므로 용강 상태의 미응고 부분에 핀이 삽입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표면의 알루미늄막이 용융되고 이것이 용강의 유동에 의해 핀 바깥쪽으로 퍼져나간다. The conventional method of identifying the solidification completion point of the cast steel was to insert a steel pin coated with aluminum into the cast steel using a firearm. Since aluminum has a lower melting point than molten steel, when the pin is inserted into the unsolidified portion of the molten steel, as shown in FIG. 1, the aluminum film on the surface of the fin melts and spreads out of the fin by the flow of molten steel.

알루미늄막이 퍼져나간 부분의 핀 길이로부터 미응고 용강층의 두께를 알 수 있다. 반면 주편 중심부까지 응고가 모두 완료되어 용강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핀이 삽입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표면의 알루미늄막은 용융되지 않거나 혹은 용융되더라도 주편이 고체 상태이므로 유동이 없으므로 퍼져나간 흔적이 나타나지 않는다. 연주기 내 2개 이상의 지점에서 이와 같은 핀 삽입 시험을 실시하여 각 위치에서의 용강층의 길이를 파악하면 응고 모델에 의해 정확한 응고 완료점 위치의 파악이 가능하다.The thickness of the unsolidified molten steel layer can be known from the pin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aluminum film has sprea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in is inserted in the state where the solidification is all completed to the center of the cast steel and there is no molten steel, as shown in FIG. There are no signs of leaving. By conducting this pin insertion test at two or more points in the instrument to determine the length of the molten steel layer at each location, the solidification model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the solidification point.

그러나, 주편의 두께가 두꺼워 지거나(400mm 두께 슬라브) 주편의 온도가 낮아 표면의 강도가 커진 경우에는, 사용되는 핀의 내구성의 한계로 핀이 파손(부러지거나 구부러짐)되거나 총기가 갖는 투과력의 한계에 도달하여 주편 중심부까지 핀이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약 총기를 사용할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었다.However, when the thickness of the cast steel becomes thick (400 mm thick slab) 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ast steel becomes low due to the temperature of the cast steel being large, the durability of the pin used may be limited (the broken or bent) or the penetration of the gun may be limit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in does not reach to the center of the cast steel. There was also a risk of a safety accident when using gunpowder guns.

따라서 화약 총기를 이용한 이와 같은 시험은 불가능하여 주변의 응고 완료점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Therefore, such a test using a gun was impossible, and it was difficult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solidification completion point aroun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편의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주편의 표면온도가 낮아 표면의 강도가 높은 경우에서도 주편의 응고 완료점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주편의 응고 완료점 검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cast steel is thick or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ast steel is low, the location of the solidification complete point of the cast easily confirmed It is to provide a crack inducing mechanism of the cast steel and the method of detecting the solidification complete point of the cast using the sam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크랙 유발 기구는 롤에 의해 주편이 가이드되면서 응고되는 연속주조 공정에 사용되는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주편과 롤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주편에 내부 크랙을 발생시키는 크랙 유발 몸체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rack-induc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ack-inducing mechanism of the slab used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is solidified while the cast is guided by a roll, the predetermined thickness It includes a crack-induced body is inserted between the cast and the roll to generate an internal crack in the cast.

상기 크랙 유발 몸체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rack-inducing body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increase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상기 크랙 유발 몸체는 반원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The crack causing body may have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상기 크랙 유발 몸체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crack causing body may be made of stainless material.

상기 크랙 유발 몸체는 주조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주편과 롤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주편의 표면에 박힐 수 있다.The crack-inducing body may be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cast pieces and the rolls installed along the casting direction, respectively, and may be embedded in the surface of the cast pieces.

상기 크랙 유발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주편과 롤의 사이로 크랙 유발 몸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판이 구비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crack-inducing body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late for guiding the crack-inducing body between the cast and the roll.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주편의 응고 완료점 검출방법은 롤에 의해 주편이 가이드되면서 응고되는 연속주조 공정에 사용되는 주편의 응고 완료점 검출방법에 있어서,연속주조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주편과 롤의 사이로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를 삽입하여, 상기 주편에 강제적으로 내부 크랙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크랙 유발 기구가 박힌 부분의 주편을 절단하는 단계; 및 인접한 주편의 내부 크랙 정도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method for detecting the solidification complete point of the c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detecting the solidification complete point of the cast used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that the cast is guided and solidified by a roll, along the continuous casting direction Inserting a crack inducing mechanism of the cast between the plurality of disposed cast pieces and the roll, forcibly generating internal cracks in the cast pieces; Cutting a cast piece of the portion where the crack inducing mechanism is embedded; And comparing the degree of internal cracking of adjacent slabs.

상기 인접한 주편의 내부 크랙의 정도를 비교하여 내부 크랙이 유발되지 않는 주편을 확인한 경우, 해당 주편과 그 이전에 배치된 주편 사이에서 주편의 응고가 완료되었다고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comparing the degree of the internal cracks of the adjacent slab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ast does not cause the inner crack,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solidification of the cast between the cast and the previously placed cast.

본 발명에 의하면, 크랙 유발 기구를 이용하여 롤과 주편 사이에 삽입시켜 크랙을 유발함으로써, 주편의 두께나 주편의 표면온도에 관계없이 주편의 응고 완료점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olidification completion point of the cast can be confirm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cast or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ast by inserting the crack between the roll and the cast using a crack inducing mechanism.

또한, 별도의 총기류를 이용하여 핀을 삽입하지 않고도 손쉽게 확인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도 적은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easily without inserting a pin by using a separate firearm, so there is less effect of a safety accid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해 미응고 용강이 잔존하는 경우에 핀을 삽입한 것을 보인 사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해 용강의 응고가 완료된 경우에 핀을 삽입한 것을 보인 사진.
도 3은 주편의 정렬 불량에 따라 주편에 내부 크랙이 발생한 것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4는 주편의 응고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편의 기계적 성질을 보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를 보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에 의해 주편에 크랙이 발생한 것을 보인 구성도.
1 is a photograph showing that the pin is inserted when the non-solidified molten steel remains by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hotograph showing that the pin is inserted when the solidification of molten steel by the prior art.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an internal crack occurred in the cast according to the misalignment of the cast.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olidification process of the cast steel.
5 is a graph show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ast steel shown in FIG.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rack inducing mechanism of the cast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racks generated in the cast by the crack inducing mechanism of the ca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a crack inducing mechanism of the c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주편의 정렬 불량에 따라 주편에 내부 크랙이 발생한 것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고, 도 4는 주편의 응고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편의 기계적 성질을 보인 그래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ternal cracks generated in the cast according to the misalignment of the cast,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olidification process of the cast, Figure 5 is a mechanical property of the cast shown in Figure 4 This is a graph.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연속주조 공정은 용융금속을 몰드에 주입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뽑아내면서 응고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연속주조 공정에서는 주편(1)은 몰드로부터 연속적으로 뽑아내지고 주편(1)은 주조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롤(3)에 의해서 가이드되며, 주편(1)은 롤(3)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응고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is a method of injecting molten metal into a mold and solidifying it by continuously drawing it out. In this continuous casting process, the cast steel 1 is continuously drawn out of the mold and the cast steel 1 is guided by a plurality of rolls 3 arranged along the casting direction, and the cast steel 1 follows the roll 3. Guided and solidifi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롤(3)의 정렬 상태가 불량한 경우(misalignment), 이 롤(3)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고 외력에 의하여 주편(1) 내부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크랙이 발생하는 위치는 주편(1) 내부의 임의의 지점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가장 약한 응고 계면에서 발생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alignment state of the specific roll 3 is misaligned,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roll 3, and cracks may occur inside the cast 1 by the external force. 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crack occurs does not occur at any point inside the cast 1, but occurs at the weakest solidification interfac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편(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의 주편(1)은 액상 상태이고 주조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외곽부분부터 응고되기 시작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최종적으로 응고가 완료되는 과정을 거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cast steel 1 is in the liquid state and the central cast steel 1 starts to solidify from the outer portion while moving along the casting direction and finally solidified as shown in FIG. Goes through the process of completion.

이때, 도 4에 도시한 주편(1)은 도 5에 도시한 기계적 성질에 따른다. 이를 참조하면,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에 대응된다.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고액 공존 영역인데, 이는 도 5에 잘 나타나 있듯이 고액 공존 영역에서 강도(strength)가 약하고 내부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ast steel 1 shown in FIG. 4 depend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shown in FIG. Referring to this,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4 corresponds to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5. In FIG. 4,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s a solid-liquid coexistence region, which is as shown in FIG.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응력에 의한 주편(1)의 내부 크랙 발생 위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응고 완료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크랙 유발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crack inducing mechanism that can easily check the solidification completion position by us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internal crack generation position of the cast (1) due to external stres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에 의해 주편에 크랙이 발생한 것을 보인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rack inducing mechanism of the cast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rack generated in the cast steel by the crack induction mechanism of the cast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크랙 유발 기구(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주편(1)과 롤(3)의 사이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크랙 유발 기구(10)가 삽입되면 주편(1)에는 응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하여 주편(1)의 내부 중 고액 공존 영역에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물론, 크랙의 발생 여부는 주편(1)의 응고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인데, 고액 공존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내부 크랙이 발생하게 되지만 주편(1)의 응고가 완료된 시점부터는 크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As shown therein, the crack causing mechanism 10 is inserted between the slab 1 and the roll 3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such, when the crack inducing mechanism 10 is inserted, stress may be applied to the cast steel 1, and thus cracks may occur in the solid-liquid coexistence region of the cast steel 1. Of course, the occurrence of cracks may vary depending on the solidification state of the cast (1), the internal crack occurs in the portion where the solid-state coexistence area is formed, but the crack does not occur from the time when the solidification of the cast (1) is completed. Will not.

따라서, 주조방향을 따라 설치된 롤(3)마다 각각 크랙 유발 기구(10)를 주편(1) 사이로 삽입을 하게 되면 크랙의 발생 여부 및 정도를 통해 주편(1)의 응고 완료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롤(3)의 사이로 크랙 유발 기구(10)를 삽입하였을 때에는 미세한 내부 크랙이 발생하였지만, 그 다음에 위치한 롤(3)의 사이로 크랙 유발 기구(10)를 삽입하였을 때에는 내부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두 개의 롤(3) 사이에서 주편(1)의 응고가 완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로, 주편(1)의 내부 크랙은 주편(1)을 절단하여 확인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crack induction mechanism 10 is inserted between the cast pieces 1 for each of the rolls 3 installed along the casting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solidification completion point of the cast pieces 1 can be confirmed by the occurrence and extent of cracks. It is. For example, when the crack induction mechanism 10 is inserted between the specific rolls 3, fine internal cracks are generated, but when the crack induction mechanism 10 is inserted between the rolls 3 positioned next, the internal cracks are caused. Assuming that this has not occurred, it can be seen that the solidification of the cast 1 between the two rolls 3 is completed. For reference, the internal crack of the cast (1) is confirmed by cutting the cast (1).

크랙 유발 기구(10)는 주편(1)에 정렬 불량(misalignment)과 같이 응력을 가하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편(1)과 롤(3)의 사이로 잘 끌려들어갈 수 있도록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서는 크랙 유발 기구(10)가 크랙 유발 몸체(12) 및 가이드판(1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크랙 유발 기구(10) 자체가 하나로 구성되어 주편(1)과 롤(3)의 사이로 삽입될 수도 있다.The crack inducing mechanism 10 preferably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order to apply stress to the slab 1, such as misalignment, and at the front end so as to be easily drawn between the slab 1 and the roll 3; It is desirable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becomes thicker toward the rear end. That is, in Figure 6, the crack inducing mechanism 10 is shown 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rack inducing body 12 and the guide plate 14,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the crack inducing mechanism 10 itself is composed of one cast It may be inserted between (1) and the roll (3).

한편, 크랙 유발 몸체(12)는 롤(3)의 사이로 삽입되어 주편(1)에 잘 박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반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랙 유발 몸체(12)의 가운데 부분이 이와 같이 두껍게 형성되며 주편(1)의 표면에 보다 잘 박혀 응력을 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rack-inducing body 12 has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6 in order to be inserted between the rolls 3 so as to be well embedded in the slab 1. The center portion of the crack-inducing body 12 is formed in this thick and can be better embedded in the surface of the cast piece 1 to apply a stress.

또한, 크랙 유발 몸체(12)의 일측에는 주편(1)과 롤(3)의 사이로 크랙 유발 몸체(12)가 잘 끌려들어갈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판(14)이 구비된다. 가이드판(14)은 약 1mm 이하의 두께를 가진 얇은 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crack-inducing body 12 is provided with a guide plate 14 for guiding the crack-inducing body 12 to be drawn well between the cast 1 and the roll (3). The guide plate 14 may be made of a thin plat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 mm or less.

본 실시예에서 크랙 유발 기구(10)는 열간 주편 대비 강도가 큰 금속재인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상에서 제시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 이외의 금속재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ack causing mechanism 10 is preferably made of stainless steel, which is a metal material having a greater strength than the hot cast steel. Of course, it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other than the stainless steel material presented above.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크랙 유발 기구를 이용한 주편의 응고 완료점 검출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olidification completion point detection method of the cast using the crack induc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연속주조 공정에서 주편(1)의 응고 완료점을 확인하기 위해 작업자는 우선, 응고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의 이전에 위치한 롤(3)과 주편(1) 사이로 크랙 유발 기구(10)를 삽입시킨다. 그러면, 크랙 유발 기구(10)의 가이드판(14)에 의해 가이드되어 크랙 유발 몸체(12)가 롤(3)과 주편(1)의 사이로 끌려들어가게 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편(1)의 표면에 박히면서 주편(1)의 내부에 크랙(C)을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크랙(C)은 주편(1) 내부에서 고액 공존 영역을 중심으로 발생하게 된다. In order to check the solidification completion point of the cast 1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the operator first inserts the crack inducing mechanism 10 between the roll 3 and the cast 1 located before the point where the solidification is expected to be solidified. . Then, the guide plate 14 of the crack inducing mechanism 10 is guided so that the crack inducing body 12 is drawn between the roll 3 and the slab 1, as shown in FIG. While being stuck on the surface of 1) will generate a crack (C) inside the cast (1). In this case, the crack C is generated around the solid-liquid coexistence region inside the slab 1.

이와 동시에, 작업자는 그 다음에 위치한 복수개의 롤(3)과 주편(1) 사이로 각각 크랙 유발 기구(10)를 삽입시킨다. 그러면, 각 롤(3)과 주편(1) 사이로 삽입된 크랙 유발 기구(10)가 주편(1)의 표면에 박히면서 주편(1)의 내부에 크랙(C)을 발생시킬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operator inserts each of the crack inducing mechanisms 10 between the next plurality of rolls 3 and the slabs 1 located next. Then, the crack induction mechanism 10 inserted between each roll 3 and the slab 1 can be stuck in the surface of the slab 1, and can generate the crack C in the slab 1 inside.

이때, 주편(1)의 응고가 완료된 지점에 위치한 롤(3)과 주편(1) 사이로 삽입된 크랙 유발 기구(10)에 의해서는 크랙(C)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최종적으로 크랙 유발 기구(10)가 박힌 부분의 주편(1)을 절단하여 내부 크랙(C)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인접한 주편(1)의 내부 크랙(C) 정도를 비교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crack C does not generate | occur | produce by the crack induction mechanism 10 inserted between the roll 3 and the cast piece 1 located in the place where the solidification of the cast piece 1 was completed. Therefore, the operator finally cuts the slab 1 of the portion where the crack inducing mechanism 10 is embedded to check whether the internal crack C is generated, and compares the degree of the internal crack C of the adjacent slab 1.

예를 들어, 주편(1)의 내부 크랙(C)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그 정도가 약해지고 결국에는 크랙(C)이 발생하지 않는 부분이 나타날 것이다. 이때, 작업자는 크랙(C)이 발생하지 않는 롤(3)과 바로 이전에 위치한 롤(3) 사이에 주편(1)의 응고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크랙(C)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하는 것은 크랙(C)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당연히 포함하되, 크랙(C)의 발생 정도가 미미한 정도에 해당하는 경우까지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For example, the inner crack (C) of the cast (1) becomes weaker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and eventually the part where the crack (C) does not occur will appear. At this time, the worker may determine that the solidification of the cast 1 is completed between the roll 3 where the crack C does not occur and the roll 3 located immediately before. Here, the fact that the crack (C) did not occur includes a case where the crack (C) does not occur at all, but will be said to include a case where the degree of occurrence of the crack (C) corresponds to a slight degre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주편(1)과 롤(3)의 사이로 크랙 유발 기구(10)를 삽입시켜 강제적으로 응력을 가하여 내부 크랙을 발생시킴으로써, 내부 크랙 발생 여부 및 정도를 확인하여 주편(1)의 응고 완료점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inserting the crack induction mechanism 10 between the slab 1 and the roll 3 forcibly stress to generate an internal crack, by checking whether and whether the internal crack occu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olidification complete point of the cast (1) can be easily foun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1 : 주편 3 : 롤
10 : 크랙 유발 기구 12 : 크랙 유발 몸체
14 : 가이드판
1: cast 3: roll
10 crack inducing mechanism 12 crack inducing body
14: guide plate

Claims (8)

롤에 의해 주편이 가이드되면서 응고되는 연속주조 공정에 사용되는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주편과 롤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주편에 내부 크랙을 발생시키는 크랙 유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
In the crack inducing mechanism of the cast steel used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that the cast is guided and solidified by a roll,
And a crack inducing body inserted between the slab and the roll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generate an internal crack in the sla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유발 몸체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crack inducing body is a crack inducing mechanism of the cast slab,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has a shape from the front end to the thick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유발 몸체는 반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crack-inducing body of the cast 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ck-inducing body has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유발 몸체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crack inducing body of the cast st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is made of a crack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유발 몸체는 주조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주편과 롤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주편의 표면에 박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crack causing body is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cast pieces and the roll, respectively installed along the casting direction, the crack causing mechanism of the cast pie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mbedded in the surface of the cast pie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유발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주편과 롤의 사이로 크랙 유발 몸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crack-inducing body crack guide mechanism of the cast piece,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plate for guiding the crack-inducing body between the cast and the roll.
롤에 의해 주편이 가이드되면서 응고되는 연속주조 공정에 사용되는 주편의 응고 완료점 검출방법에 있어서,연속주조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주편과 롤의 사이로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주편의 크랙 유발 기구를 삽입하여, 상기 주편에 강제적으로 내부 크랙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크랙 유발 기구가 박힌 부분의 주편을 절단하는 단계; 및
인접한 주편의 내부 크랙 정도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편의 응고 완료점 검출방법.
A method for detecting a solidification completion point of a cast steel used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in which a cast is solidified while being guided by a roll, the method comprising any one of claims 1 to 6 between a plurality of cast pieces and a roll disposed along a continuous casting direction. Inserting a crack inducing mechanism of the cast steel according to the step of forcibly generating an internal crack in the cast steel;
Cutting a cast piece of the portion where the crack inducing mechanism is embedded; And
Comprising the step of comparing the internal cracks of the adjacent cast 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idification completion point detection method of the cas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주편의 내부 크랙의 정도를 비교하여 내부 크랙이 유발되지 않는 주편을 확인한 경우, 해당 주편과 그 이전에 배치된 주편 사이에서 주편의 응고가 완료되었다고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편의 응고 완료점 검출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comparing the degree of the internal cracks of the adjacent slabs to determine that the slabs do not cause the internal cracks, determining that the solidification of the slabs has been completed between the corresponding slabs and the previously placed slabs. Method of detecting solidification completion point of cast steel.
KR1020110138093A 2011-12-20 2011-12-20 Device for inducing crack of slab and detecting method for solidification completion position of slab KR1013531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093A KR101353114B1 (en) 2011-12-20 2011-12-20 Device for inducing crack of slab and detecting method for solidification completion position of sla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093A KR101353114B1 (en) 2011-12-20 2011-12-20 Device for inducing crack of slab and detecting method for solidification completion position of sla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865A KR20130070865A (en) 2013-06-28
KR101353114B1 true KR101353114B1 (en) 2014-01-20

Family

ID=4886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093A KR101353114B1 (en) 2011-12-20 2011-12-20 Device for inducing crack of slab and detecting method for solidification completion position of sla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1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0446A (en) * 2017-07-24 2017-11-17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A kind of process for improving continuous casting slab trigon crack defec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456A (en) * 1993-10-25 1995-05-12 Sumitomo Metal Ind Ltd Rivet for arresting smelted steel of continuously cast piece
KR0116766Y1 (en) * 1994-12-26 1998-07-01 김만제 Pin insertion device for measuring the solidified layer thickness of cast steel
KR19980044913A (en) * 1996-12-09 1998-09-15 김종진 Method of measuring solidified layer thickness during continuous casting of steel
KR20110120611A (en) * 2010-04-29 2011-1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Apparatus for measuring solidifying profile of molded product along withwise direc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central segregation of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456A (en) * 1993-10-25 1995-05-12 Sumitomo Metal Ind Ltd Rivet for arresting smelted steel of continuously cast piece
KR0116766Y1 (en) * 1994-12-26 1998-07-01 김만제 Pin insertion device for measuring the solidified layer thickness of cast steel
KR19980044913A (en) * 1996-12-09 1998-09-15 김종진 Method of measuring solidified layer thickness during continuous casting of steel
KR20110120611A (en) * 2010-04-29 2011-1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Apparatus for measuring solidifying profile of molded product along withwise direc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central segregation of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0446A (en) * 2017-07-24 2017-11-17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A kind of process for improving continuous casting slab trigon crack defect
CN107350446B (en) * 2017-07-24 2019-01-18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A kind of process improving continuous casting slab trigon crack def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865A (en)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764B1 (en) Sequential casting of metals having the same or similar co-efficients of contraction
KR101941506B1 (en) Continuous casting mold and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of steel
KR101353114B1 (en) Device for inducing crack of slab and detecting method for solidification completion position of slab
CN105014036A (en) Method for preventing molten steel from being leaked out during continuous casting final pouring
KR101639349B1 (en) Method for continuously casting steel
US3372731A (en) Method of withdrawing the strand from a continuous casting machine
JP6461357B2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for slabs
EP3795274A1 (en) Continuous casting mold and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of steel
JP6741044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detecting slab surface defects and equipment abnormalities in continuous casting machines
US3593792A (en) Dummy bar for continuous casting
JP2001191158A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of steel
JPH11216539A (en) Dummy bar head for continuous casting
JP5769645B2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KR100490985B1 (en) Funnel Type Copper Plate For Continuous Casting Mold
KR101541715B1 (en) Apparatus for removing slag
JP7028088B2 (en) How to pull out the slab
KR20190076338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molten steel
KR101545937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occurence of surface crack of slab
KR101193805B1 (en) Guider for Continuous Casting Mold
Dündar et al. Surface crack characterization of twin roll caster shells and its influence on as-cast strip surface quality
EP2857122A1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for slab
KR101748946B1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KR20040059083A (en) A funnel mold for thin slab continuous casting
KR101546259B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coil
KR20130034270A (en) Continuous casting m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