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060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060B1
KR101353060B1 KR1020070071893A KR20070071893A KR101353060B1 KR 101353060 B1 KR101353060 B1 KR 101353060B1 KR 1020070071893 A KR1020070071893 A KR 1020070071893A KR 20070071893 A KR20070071893 A KR 20070071893A KR 101353060 B1 KR101353060 B1 KR 101353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ub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717A (ko
Inventor
임우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1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0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는 메인 디스플레이 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부의 양쪽에 연장 형성되는 서브 디스플레이 부; 상기 디스플레이 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부; 및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를 절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 부에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OLED를 이용하여 메인 디스플레이 부의 양쪽에 서브 디스플레이 부를 연장 형성함으로써, 작은 화면을 사용할 때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양쪽에 절첩시켜 두었다가 큰 화면을 필요로 할 때에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를 펼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동영상을 눈의 피로감 없이 편안하고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다.
또, OLED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구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절첩시키기 쉬운 구조로 설계 가능하다.
OLED, 디스플레이 부, 힌지부, 구동부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를 3배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가입자의 증가와 단말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통화 기능 이외에 카메라 기능, 동영상 디스플레이 기능, 게임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또, 멀티미디어 기능이 탑재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LED 장치에서 LCD 장치로 발전하였고, 흑백 LCD에서 칼라 LCD로 바뀌게 되었다.
또, LCD 창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전력 소모와 LCD 창의 보호를 위해 평소에는 주 LCD 창을 닫고 작은 LCD 창만을 작동시킬 수 있는 듀얼 폴더 형태의 단말기가 생겨나고 있다.
통상적으로 평판표시장치의 한 종류인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이하, OLED)는 중소형 크기의 패널로부터 대형 패널에 이르기 까지 군사용, 사무용, 휴대용 단말기 등 광범위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디지털 멀티미디어 시대에 가장 유망한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OLED는 색 순도의 우수성과 빠른 응답속도, 넓은 시야각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자발광 소자이므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l Display)와는 달리 백라이트가 필요치 않아 경량화가 가능한 평판표시장치이다.
이와 같은 OLED를 제조함에 있어, 그 공정은 크게 전(前) 공정과 후(後) 공정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현재까지 저분자 유기물을 발광 층으로 적용하여 OLED를 제조할 때, 전 공정에서는 사진식각(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ITO로된 양극용 투명전극과 음극 분리용 격벽을 형성하며, 후공정에서는 금속마스크를 이용하여 저분자 유기물층과 음극용 금속전극을 진공증착(Vaccum deposition) 공정을 통해 형성한 후, 이들 각 구성요소들에의 대기의 산소 또는 수분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실링(sealing)을 해주는 공정을 진행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1)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2)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의 상면 하측에 위치되는 조작버튼(3)과, 상기 상면 상측에 위치되는 LCD(4)를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그 구조상 LCD(4)의 사이즈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동영상이나, 큰 화면을 요하는 영상을 시청하기에 부족함이 있 다.
또, 고정된 LCD 화면 사이즈 때문에 눈의 피로감이 상승하고 시청 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LCD의 특성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구현하는 데에 제약이 수반되며, LCD를 자동으로 움직이는데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디스플레이 부의 양쪽에 서브 디스플레이 부를 연장 형성함으로써, 작은 화면을 사용할 때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양쪽에 절첩시켜 두었다가 큰 화면을 필요로 할 때에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를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는 메인 디스플레이 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부의 양쪽에 연장 형성되는 서브 디스플레이 부; 상기 디스플레이 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 부; 및 상시 서브 디스플레이 부를 절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 부에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는 메인 디스플레이 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부의 양쪽에 연장 형성되는 서브 디스플레이 부; 상기 디스플레이 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 부; 및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를 절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 부에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부와 서브 디스플레이 부는 OLED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에 절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부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 양쪽에 형성된 삽입 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미세 기전력을 이용하는 MEMS 모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OLED를 이용하여 메인 디스플레이 부의 양쪽에 서브 디스플레이 부를 연장 형성함으로써, 작은 화면을 사용할 때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양쪽에 절첩시켜 두었다가 큰 화면을 필요로 할 때에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를 펼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동영상을 눈의 피로감 없이 편안하고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다.
또, OLED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구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절첩시키기 쉬운 구조로 설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인 것으로, 보조 디스플레이 부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단 말기 본체(110)와, 디스플레이장치(120)와, 조작버튼(130)을 구비한다.
통상 디스플레이장치(120)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조작버튼(130)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10) 하측에는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10) 상면에 설치되는 OLED의 메인 디스플레이 부(121)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부(121)의 양쪽에 연장 형성되는 OLED의 서브 디스플레이 부(123)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부(121)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123) 사이에는 삽입 홀(125)이 형성되고, 그 삽입 홀(125)에는 힌지 부(127)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힌지 부(127)에는 상시 서브 디스플레이 부(123)를 절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12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129)는 미세 기전력을 이용하는 MEMS 모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EMS 모터는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하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123)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10)의 배면에 절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부(121)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123) 사이에는 힌지 부(127)가 위치되는바, 디스플레이의 특성상 화면이 연속적으로 이어져야 하므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부(121)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123)는 상기 힌지 부(127)에 의해서 화면이 왜곡되거나 변형되지 않아야 함은 물론이다.
또, 상기 MEMS 모터의 구조는 미세 기전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 부(121)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10) 상면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123)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10)의 배면에 절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 부(121) 만을 이용한다.
한편, 큰 화면을 필요로 하는 경우 특정의 조작버튼(130)을 누르면, 상기 MEMS 모터인 상기 구동부(129)가 작동하여 힌지 부(127)를 회전시킨다.
상기 힌지 부(127)가 회전함에 따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123)가 펼쳐진다.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123)가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좀더 큰 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123)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특정의 조작버튼(130)을 눌러서 전술한 동작의 역순으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123)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10)의 배면에 절첩시킨다.
여기서, 힌지 부(127)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123)의 외면으로 전혀 돌출되거나 노출되지 않아 상기 힌지 부(127)에 의해서 화면이 왜곡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MEMS 모터인 상기 구동부(129)는 미세 기전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배터 리(미도시)의 전원 소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양쪽 모두의 서브 디스플레이 부(123)를 펼치지 않고 한쪽의 서브 디스플레이 부(123)를 펼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인 것으로, 보조 디스플레이 부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2의 I-I선 단면도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120 : 디스플레이장치
121 : 메인 디스플레이 부
123 : 서브 디스플레이 부
125 : 삽입 홀
127 : 힌지 부
129 : 구동부
130 : 조작버튼

Claims (10)

  1.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는 메인 디스플레이 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부의 양쪽에 연장 형성되는 서브 디스플레이 부;
    상기 디스플레이 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 부; 및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를 절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 부에 설치되는 구동 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미세 기전력을 이용하는 MEMS 모터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부와 서브 디스플레이 부는 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에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 양쪽에 형성된 삽입 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는 메인 디스플레이 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부의 양쪽에 연장 형성되는 서브 디스플레이 부;
    상기 디스플레이 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 부; 및
    상시 서브 디스플레이 부를 절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 부에 설치되는 구동 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미세 기전력을 이용하는 MEMS 모터인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부와 서브 디스플레이 부는 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에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부 양쪽에 형성된 삽입 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삭제
KR1020070071893A 2007-07-18 2007-07-18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53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893A KR101353060B1 (ko) 2007-07-18 2007-07-18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893A KR101353060B1 (ko) 2007-07-18 2007-07-18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17A KR20090008717A (ko) 2009-01-22
KR101353060B1 true KR101353060B1 (ko) 2014-01-20

Family

ID=4048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893A KR101353060B1 (ko) 2007-07-18 2007-07-18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0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426B1 (ko) * 2004-03-12 2004-11-10 하나 마이크론(주) 휴대용 단말기의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426B1 (ko) * 2004-03-12 2004-11-10 하나 마이크론(주) 휴대용 단말기의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17A (ko)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01017A1 (en) Electronic device
TWI755000B (zh) 發光裝置、模組、電子裝置和製造發光裝置的方法
TWI771900B (zh) 顯示裝置
TWI696284B (zh) 顯示裝置
JP7402373B2 (ja) 発光装置
JP2021009849A (ja) 表示装置
US9754540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TWI732735B (zh) 剝離裝置以及疊層體製造裝置
JP6942167B2 (ja) 電子機器
JP2004014316A (ja) 両面表示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情報端末
KR10135306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JP7397957B2 (ja) 半導体装置
CN111863842B (zh) 电子设备、显示模组及其显示面板
JP2017227746A (ja) 表示装置、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