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523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523B1
KR101352523B1 KR1020120058100A KR20120058100A KR101352523B1 KR 101352523 B1 KR101352523 B1 KR 101352523B1 KR 1020120058100 A KR1020120058100 A KR 1020120058100A KR 20120058100 A KR20120058100 A KR 20120058100A KR 101352523 B1 KR101352523 B1 KR 101352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therapy
sheet
therapy sheet
information providing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525A (ko
Inventor
이흥자
Original Assignee
이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자 filed Critical 이흥자
Priority to KR1020120058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52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토르말린이 도포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들을 구비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에 인쇄된 QR코드(120)를 스캐닝하는 스마트폰(200); 및 QR코드 스캐닝에 따라 스마트폰(200)과 접속되어 스마트폰(200)으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제공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N극(-)과 S극(+)을 갖는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인이 통증부위 또는 혈자리 위치에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를 부착하도록 하여 침구사 또는 한의사의 시술에 의존하지 않고, 일반이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 간편하게 탈부착하도록 하고, 일반인이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 부착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TOURMALINE MAGNETIC THERAPY INFORMATION SYSTEM WHICH USES THE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 토르말린을 포함하는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캐닝하여 링크된 웹 서버와 접속하는 경우, 마그네틱 시트의 올바른 부착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鍼)은 환부에 자입되는 침체와 자침시 미끄러짐의 방지 및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 역할을 하는 침병으로 구성되는데, 침체는 굵기가 약 0.14~0.34mm, 길이는 30~100mm로 제작되며, 침병은 약 1.5mm의 굵기로 자침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거칠게 만들거나 가는 선을 코일형태로 감아둔 것도 있다.
그리고, 침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침술은 침치, 침요법을 뜻하는 경우도 많으며, 이 경우에는 금속제의 침을 피부에 자입(刺入)하여 조직에 기계적 자극을 주거나, 피부에 대고 접촉적 자극을 줌으로써 병의 치유를 촉진시키거나 건강의 증진을 도모한다.
근래에, 침을 이용한 시술의 치료효과 증진을 위해 자석의 자성을 이용한 자기치료용 제품들이 다수 출시되고 있으며, 예들들어, 목걸이, 반지, 혁대, 방석, 베게, 자석요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치료용 자석으로 공지된 것으로는, 자석을 피부에 붙이는 형태로 만든 것이 나와 있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붙이는 자석은 N 극을 붙이는 것으로, 제일 아픈 지점의 반응점에 N극을 붙이면 효과가 잘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10670호(N극 자기장을 인체에 발산하는 기능성 침)를 살피면, 침술을 시술받는 환자에게 자석에서 생성되는 N극인 -자성을 침을 통해 전달시켜 환부의 자극을 활발하게 하여 세포의 활성화 및 혈행의 원활화, 기의 흐름이 원활히 되도록 유도하는 N극 자기장을 인체에 발산하는 기능성 침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특허 외에 다수의 침술과 관련된 문헌은, 침술 시술을 위해서 침구사 또는 한의사와 같은 전문가에 의존하여 시술되어야만 하고, 잘못된 위치에 시술하는 경우 의료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의학적으로 위험부담이 크다. 따라서, 일반인이 스스로 자신의 환부에 침술을 시술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N극(-)과 S극(+)을 갖는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인이 통증부위 또는 혈자리 위치에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를 부착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고, 열에 의해 양끝이 양극(+)과 음극(-)으로 대전되는 토르말린(tourmaline, 전기석(電氣石))을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에 도포함으로써, 마그네틱의 N극(-)과 S극(+) 자선을 활성화시킴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캐닝하는 스마트폰이 링크된 웹 서버와 접속하여 마그네틱 시트의 올바른 부착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인이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 부착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은, 토르말린이 도포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들을 구비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에 인쇄된 QR코드(120)를 스캐닝하는 스마트폰(200); 및 QR코드 스캐닝에 따라 스마트폰(200)과 접속되어 스마트폰(200)으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제공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N극(-)과 S극(+)을 갖는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인이 통증부위 또는 혈자리 위치에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를 부착하도록 하여 침구사 또는 한의사의 시술에 의존하지 않고, 일반인이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 간편하게 탈부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고, 열에 의해 양끝이 양극(+)과 음극(-)으로 대전되는 토르말린(tourmaline, 전기석(電氣石))을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에 도포함으로써, 마그네틱의 N극(-)과 S극(+) 자선을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캐닝하는 스마트폰이 링크된 웹 서버와 접속하여 마그네틱 시트의 올바른 부착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인이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 부착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N극 자기장을 인체에 발산하는 기능성 침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의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의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에 대한 부착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이미지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폰 및 정보제공서버를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S)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S)은, 토르말린이 도포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들을 구비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와,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에 인쇄된 QR코드(120)를 스캐닝하는 스마트폰(200), 및 QR코드 스캐닝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200)과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상기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제공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S)의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구체적으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는 직방형 또는 정방형의 시트지로 구성되어 그 일측면에 토르말린이 도포된 복수개의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를 흡착하도록 구성되며, 그 타측면에 정보제공서버(300)와의 링크를 위해 인쇄된 QR코드(120)로 구성된다.
먼저,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는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와 탈부착 되도록 그 하부가 점착성 물질과 포르말린으로로 도포된 하부층(111)과, 하부층(111) 상부에 안착 고정되어 N극(-) 및 S극(+)의 자성을 갖는 막대자석(112)과, 막대자석(112)을 에두르도록 하부층(111)과 접착되는 상부층(113)으로 구성된다.
또한, 막대자석(112)은 N극(-) 및 S극(+)의 극성 식별이 가능하도록 그 일측은 삼각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타측은 사각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부층(113)은 그 하부에 내장된 막대자석(112)의 극성 식별이 가능하도록 겉표면 일측에 인쇄된 극성식별자(11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QR코드(120)는 스마트폰(200)의 스캐닝에 따라 스마트폰(200)이 정보통신망을 통해 정보제공서버(300)와 링크·접속되도록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의 타측면에 인쇄된다.
이때, QR코드(120)는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의 타측면에 복수개로 인쇄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이미지(121) 각각과 대응하도록 인쇄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S)의 스마트폰(2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스마트폰(200)은 기 설치된 QR코드 스캐닝 어플리케이션(App)의 구동에 의해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 후면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캐닝하고, 스캐닝과 동시에 정보제공서버(300)와 접속하여 QR코드에 삽입된 URL과 대응하는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스마트폰(200)은 QR코드 스캐닝을 통해 정보제공서버(300)와 접속하되,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증상데이터 각각과 대응하는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 부착 위치정보를 색인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스마트폰(200)은 QR코드 스캐닝을 통해 정보제공서버(300)와 접속하되,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증상데이터 각각과 대응하는 질의응답 정보를 색인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00)은 QR코드 스캐닝을 통해 정보제공서버(300)와 접속하되,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촬영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이미지 및 증상데이터를 정보제공서버(300)로 전송하고, 정보제공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점검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S)의 정보제공서버(3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정보제공서버(3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200)과 접속되어 사용자의 증상별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정보들을 마그네틱 테라피DB(310)에 저장 및 관리하고,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수신한 증상데이터 각각과 대응하는 질의응답 정보를 마그네틱 테라피DB(310)에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정보제공서버(300)는 스마트폰(200)으로부터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이미지 및 증상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증상데이터와 대응하는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좌표 데이터를 마그네틱 테라피DB(310)로부터 색인하고, 수신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이미지에 포함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위치좌표를 추출하여 색인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좌표 데이터와 대응하는 경우, 스마트폰(200)으로 올바른 위치에 부착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메시지와 함께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점검이미지를 전송한다.
반면에, 정보제공서버(300)가 수신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이미지에 포함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위치좌표를 추출하여 색인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좌표 데이터와 대응하지 않는 경우, 스마트폰(200)으로 올바른 위치에 부착되지 않았음을 안내하는 안내메시지와 함께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점검이미지를 전송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망은 유선인터넷, 무선인터넷, 3G 데이터통신, 4G 데이터통신 또는 WiFi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데이터 통신 수행이 가능한 통신망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작동양태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스마트폰(200)이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 후면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캐닝한다(S10).
그리고, 스마트폰(200)이 QR코드 스캐닝을 통해 정보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한 정보제공서버(300)로부터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 전면에 구비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S2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S20단계 이후 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20단계 이후, 스마트폰(200)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증상데이터를 QR코드 스캐닝을 통해 접속한 정보제공서버(300)로 전송한다(S30).
그리고, 정보제공서버(300)가 수신한 증상데이터와 대응하는 질의응답정보를 마그네틱 테라피DB(310)로부터 색인하여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S4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S20단계 이후 또 다른 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20단계 이후, 스마트폰(200)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촬영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이미지 및 증상데이터를 정보제공서버(300)로 전송한다(S50).
이어서, 정보제공서버(300)가 증상데이터와 대응하는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좌표 데이터를 마그네틱 테라피DB(310)로부터 색인한다(S60).
뒤이어, 정보제공서버(300)가 수신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이미지에 포함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위치좌표를 추출하여 색인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좌표 데이터와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제S70단계의 판단결과, 수신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이미지에 포함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위치좌표와 색인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좌표 데이터와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정보제공서버(300)가 올바른 위치에 부착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메시지와 함께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점검이미지를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S80).
한편, 제S70단계의 판단결과, 수신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이미지에 포함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위치좌표와 색인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좌표 데이터와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정보제공서버(300)가 올바른 위치에 부착되지 않았음을 안내하는 안내메시지와 함께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점검이미지를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S9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
100: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 110: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
111: 하부층 112: 막대자석
113: 상부층 113a: 극성식별자
120: QR코드 121: 안내이미지
200: 스마트폰 300: 정보제공서버
310: 마그네틱 테라피DB

Claims (10)

  1.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토르말린이 도포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들을 구비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
    상기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에 인쇄된 QR코드(120)를 스캐닝하는 스마트폰(200); 및
    상기 QR코드 스캐닝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200)과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상기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제공서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는,
    직방형 또는 정방형의 시트지로 구성되어 그 일측면에 복수개의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를 흡착하도록 구성되며, 그 타측면에 정보제공서버(300)와의 링크를 위해 인쇄된 QR코드(120)로 구성되어, 상기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는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와 탈부착 되도록 그 하부가 점착성 물질 및 토르말린으로 도포된 하부층(111); 상기 하부층(111) 상부에 안착 고정되어 N극(-) 및 S극(+)의 자성을 갖는 막대자석(112); 및 상기 막대자석(112)을 에두르도록 상기 하부층(111)과 접착되는 상부층(113);을 포함하고,
    상기 막대자석(112)은,
    N극(-) 및 S극(+)의 극성 식별이 가능하도록 그 일측은 삼각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타측은 사각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층(113)은,
    그 하부에 내장된 막대자석(112)의 극성 식별이 가능하도록 겉표면 일측에 인쇄된 극성식별자(113a);를 더 포함하고,
    상기 QR코드(120)는,
    상기 스캐닝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200)이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정보제공서버(300)와 링크·접속되도록 상기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의 타측면에 인쇄되되, 상기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이미지(121) 각각과 대응하도록 인쇄되며,
    상기 스마트폰(200)은,
    기 설치된 QR코드 스캐닝 어플리케이션(App)의 구동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 후면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캐닝하고, 스캐닝과 동시에 상기 정보제공서버(300)와 접속하여 QR코드에 삽입된 URL과 대응하는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하되,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증상데이터 각각과 대응하는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 부착 위치정보를 색인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마트폰(200)은,
    기 설치된 QR코드 스캐닝 어플리케이션(App)의 구동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지(100) 후면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캐닝하고, 스캐닝과 동시에 상기 정보제공서버(300)와 접속하여 QR코드에 삽입된 URL과 대응하는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하되,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증상데이터 각각과 대응하는 질의응답 정보를 색인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스마트폰(200)은 QR코드 스캐닝을 통해 정보제공서버(300)와 접속하되,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촬영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이미지 및 증상데이터를 정보제공서버(300)로 전송하고, 정보제공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점검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정보제공서버(300)는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이미지 및 증상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증상데이터와 대응하는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좌표 데이터를 마그네틱 테라피DB(310)로부터 색인하고, 수신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이미지에 포함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위치좌표를 추출하여 색인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좌표 데이터와 대응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올바른 위치에 부착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메시지와 함께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점검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300)는,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수신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이미지에 포함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위치좌표를 추출하여 색인한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좌표 데이터와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올바른 위치에 부착되지 않았음을 안내하는 안내메시지와 함께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 점검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3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200)과 접속되어 사용자의 증상별로 상기 마그네틱 테라피 시트(110)의 부착 위치정보들을 마그네틱 테라피DB(310)에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수신한 증상데이터 각각과 대응하는 질의응답 정보를 마그네틱 테라피DB(310)에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20058100A 2012-05-31 2012-05-31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352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100A KR101352523B1 (ko) 2012-05-31 2012-05-31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100A KR101352523B1 (ko) 2012-05-31 2012-05-31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525A KR20130134525A (ko) 2013-12-10
KR101352523B1 true KR101352523B1 (ko) 2014-01-16

Family

ID=4998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100A KR101352523B1 (ko) 2012-05-31 2012-05-31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5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593B1 (ko) * 2005-09-30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수지침 기능 지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4387859B2 (ja) * 2004-04-14 2009-12-24 ピップフジモト株式会社 磁気治療器の製法
KR20120030706A (ko) * 2010-09-20 2012-03-29 주식회사 유비케어 처방 바코드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7859B2 (ja) * 2004-04-14 2009-12-24 ピップフジモト株式会社 磁気治療器の製法
KR100700593B1 (ko) * 2005-09-30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수지침 기능 지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20030706A (ko) * 2010-09-20 2012-03-29 주식회사 유비케어 처방 바코드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525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4620B2 (en) Multi-polar magnetic devices for treating patients and methods therefor
US20140324130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lf-positioning of a stimulation device to activate brown adipose tissue depot in supraclavicular fossa region
ATE475355T1 (de) Medizinischer fingersensor
KR101100718B1 (ko) 전기 자극을 이용한 측정·경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락방법
US9427561B2 (en) Method for operating in a system for repetitive local puncturing of skin and system
KR10135252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토르말린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352522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마그네틱 테라피 정보 제공 시스템
Sato et al. Peroneal nerve palsy following acupuncture treatment: a case report
WO2009070346A1 (en) Magnetic acupuncture needle
CN209253571U (zh) 一种耳穴磁疗保健装置
CN204946453U (zh) 一种立体经脉人体模型
KR20090111618A (ko) 환자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N212651230U (zh) 一种电子针灸设备
Kavitha et al. Embedded management system for out patient department
KR20190002331U (ko) 건강 정보가 표기된 스마트 의류
KR102071995B1 (ko) 침패드
CN207708187U (zh) 一种针灸针套管
CN218685573U (zh) 一种胰岛素注射定位卡
Singh Advanced U-health care systems
JP3201955U (ja) 低周波治療器用連結線型極小電極
CN110353981A (zh) 一种耳穴磁疗保健装置
CN201542923U (zh) 耳穴贴压器
KR101486309B1 (ko)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이용한 척추 교정벨트
WO2024081703A3 (en) Electro-mechanical injection site preparation system
CN201563283U (zh) 方便护理医师及时消除一次性床单静电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