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069B1 -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069B1
KR101352069B1 KR1020130088901A KR20130088901A KR101352069B1 KR 101352069 B1 KR101352069 B1 KR 101352069B1 KR 1020130088901 A KR1020130088901 A KR 1020130088901A KR 20130088901 A KR20130088901 A KR 20130088901A KR 101352069 B1 KR101352069 B1 KR 101352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fixing plate
hole
bone fix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구
선두훈
이철형
김준범
김정성
신태진
심보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to KR1020130088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0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8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bone plates, or for adjusting screw-to-plate lock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2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for bone cercl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절된 뼈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부재의 신장부를 제1단부 방향에 가깝게 위치하는 수직면에 대고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는 회전하강하여 헤드부의 제2경사면이 제1경사면을 제1단부 방향을 향해 밀어내어 상기 몸체부는 길이방향으로 제1단부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되어 후크부가 골절편을 당겨 뼈에 밀착시킬시킬 수 있고, 이동방지홈은 몸체부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일정 깊이 합입되어 뼈와 뼈 고정판을 감싼 와이어의 일부를 수용하여 와이어가 뼈 고정판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A plate for fixing bone and A device using it}
본 발명은 골절된 뼈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부재의 신장부를 제1단부 방향에 가깝게 위치하는 수직면에 대고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는 회전하강하여 헤드부의 제2경사면이 제1경사면을 제1단부 방향을 향해 밀어내어 상기 몸체부는 길이방향으로 제1단부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되어 후크부가 골절편을 당겨 뼈에 밀착시킬시킬 수 있고, 이동방지홈은 몸체부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일정 깊이 합입되어 뼈와 뼈 고정판을 감싼 와이어의 일부를 수용하여 와이어가 뼈 고정판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퇴골 등의 뼈에서 골절이 발생하게 되면, 절골된 골절편(bone fragment, 즉, 절골되어 뼈로부터 떨어져 나간 부위)을 뼈에 부착시켜 고정하기 위해 뼈 플레이트를 사용한다.
아래 특허문헌을 참조하면, 뼈 플레이트를 골절된 뼈 주위에 접하도록 한 후 스크류를 체결하여 골절편을 뼈에 고정한다.
공개특허공보 10-2006-0123370(2006. 12. 01. 공개) "뼈 플레이트"
하지만, 종래의 뼈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뼈를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 뼈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으로 절골된 골절편의 고정은 용이하나 상기 뼈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절골된 골절편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뼈 고정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플레이트와 뼈를 감싸는 와이어를 추가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상기 와이어는 상기 본 플레이트를 따라 쉽게 미끄러져서 상기 와이어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골절편을 뼈에 밀착시켜 골절된 뼈의 치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가 압축홀에 삽입되어 회전하강시 상기 고정부재의 제2경사면이 상기 압축홀의 제1경사면을 밀어내어 뼈 고정판은 길이방향으로 제1단부 방향을 향해 이동하므로, 후크부에 걸린 골절편을 뼈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몸체는 제2몸체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므로, 상기 제1몸체에 위치하는 상기 제1홀의 깊이를 더 길게 하여 제1경사면의 상하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서, 상기 뼈 고정판의 당겨지는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보다 견고하게 뼈를 고정할 수 있는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의 일부분이 이동방지홈에 삽입되어 체결된 와이어는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와이어를 효과적으로 정위치시킬 수 있는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홀의 제1홀의 깊이는 제1단부 방향에서 제2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깊어져, 회전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2경사면과 길이방향으로 제1단부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몸체부의 제1경사면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판은 뼈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뼈에 접하게 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휘어져 절골된 골절편을 걸어 당기게 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판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면에서 함입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압축홀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홀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길죽한 타원형의 형태로 하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는 제1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홀의 내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중앙부분으로 경사지어 제1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판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제1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말단으로부터 제2단부까지 연장되는 제2몸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2몸체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며, 상기 압축홀은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판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두께는 상기 제2몸체의 두께보다 1.3 내지 2배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판에 있어서 상기 제1홀은 제1단부 방향에서 제2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더 깊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은 오목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판에 있어서 상기 압축홀은 상기 제1홀의 말단에서 수직으로 함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연통되는 제2홀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홀의 내면은 수직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판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일정 깊이 합입되어 뼈와 뼈 고정판을 감싼 와이어의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뼈 고정판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장치는 골절된 뼈에 부착되는 뼈 고정판과, 상기 뼈 고정판과 뼈에 차례로 삽입되어 상기 골절된 뼈와 뼈 고정판을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뼈 고정판은 제6항에 있어서의 뼈 고정판이 사용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외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신장부와, 상기 신장부의 일단에서 확경되어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면이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어 형성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신장부를 제1단부 방향에 가깝게 위치하는 수직면에 대고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는 회전하강하여, 상기 헤드부의 제2경사면이 제1경사면을 제1단부 방향을 향해 밀어내어 상기 몸체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단부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되어, 상기 후크부가 상기 골절편을 당겨 상기 뼈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골절편을 뼈에 밀착시켜 골절된 뼈의 치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가 압축홀에 삽입되어 회전하강시 상기 고정부재의 제2경사면이 상기 압축홀의 제1경사면을 밀어내어 뼈 고정판은 길이방향으로 제1단부 방향을 향해 이동하므로, 후크부에 걸린 골절편을 뼈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몸체는 제2몸체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므로, 상기 제1몸체에 위치하는 상기 제1홀의 깊이를 더 길게 하여 제1경사면의 상하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서, 상기 뼈 고정판의 당겨지는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보다 견고하게 뼈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의 일부분이 이동방지홈에 삽입되어 체결된 와이어는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와이어를 효과적으로 정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홀의 제1홀의 깊이는 제1단부 방향에서 제2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깊어져, 회전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2경사면과 길이방향으로 제1단부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몸체부의 제1경사면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판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판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판이 뼈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내지 10은 도 1의 뼈 고정판을 사용하여 절골된 골절편을 당기면서 뼈 고정판을 부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판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판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판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판의 단면도로 도 4의 (a)는 도 1의 A-A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1의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판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판이 뼈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10은 도 1의 뼈 고정판을 사용하여 절골된 골절편을 당기면서 뼈 고정판을 부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판을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를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뼈 고정장치는 골절된 뼈(100)에 부착되는 뼈 고정판(1)과, 상기 뼈 고정판(1)과 뼈(100)에 차례로 삽입되어 상기 골절된 뼈(100)와 뼈 고정판(1)을 결합시키는 고정부재(2)와, 상기 골절된 뼈(100)와 뼈 고정판(1)의 둘레를 에워싸 상기 골절된 뼈(100)와 뼈 고정판(1)을 결합시키는 와이어(3)를 포함하여, 골절편(200)과 뼈(10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뼈 고정판(1)은 뼈(100)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뼈(100)에 접하게 되는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일단에서 갈고리 형태로 휘어져 절골된 골절편(200)을 걸어 당기게 되는 후크부(12) 등을 포함한다. 상기 뼈 고정판(1)은 인체 내에 삽입되어 뼈(100)에 접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생체적합하며 일정 탄성을 가지는 예를 들어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는 상기 뼈 고정판(1)의 주 골격을 형성하며 뼈(100)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뼈(100)에 접하게 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단부(13)로부터 제2단부(14)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뼈(100)의 방향을 향하는 하면(16)과 뼈(100)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상면(15)을 포함하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를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이 중앙부근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진다. 상기 몸체부(11)는 제1몸체(111), 제2몸체(11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111)는 제1단부(13)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2몸체(112)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며(h1>h2),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몸체(111)의 두께(h1)는 상기 제2몸체(112)의 두께보다 대략 1.3 내지 2배의 값을 가진다. 상기 제1몸체(111)에는 상하 관통형성된 압축홀(113)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홀(113)은 상기 제1몸체(111)의 상면(15)에서 함입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111)를 관통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쭉한 타원형의 형상(즉, 길이방향의 폭(w1)이 전후방향의 폭(w2)보다 큰 값을 가짐)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압축홀(113)은 제1홀(114)과 제2홀(1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홀(114)은 상기 제1몸체(111)의 상면(15)에서 길이방향으로 길죽한 타원형의 형태로 하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홀(114)의 내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중앙부분으로 경사지어 제1경사면(114a)을 형성하고, 상기 제1경사면(114a)은 오목한 형태를 가지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홀(114)은 제1단부(13) 방향에서 제2단부(14) 방향으로 갈수록 더 깊게 형성된다((h3>h4). 상기 제1홀(114)의 내면인 상기 제1경사면(114a)에는 후술할 고정부재(2)의 헤드부(22)의 하면(16)인 제2경사면(221)이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홀(115)은 상기 제1홀(114)의 말단에서 수직으로 함입되어 상기 제1몸체(111)의 하면(16)에 연통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2홀(115)은 일정 깊이를 가지며 수평 단면의 모습이 길이방향으로 길쭉한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2홀(115)의 내면은 수직면(115a)을 형성하며 상기 수직면(115a)에는 후술할 고정부재(2)의 신장부(21)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압축홀(113)에 상기 고정부재(2)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뼈 고정판(1)은 길이방향으로 제1단부(13) 방향을 향해 당겨지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몸체(111)는 제2몸체(111)보다 떠 큰 두께를 가지므로, 상기 제1몸체(111)에 위치하는 상기 제1홀(114)의 깊이를 더 길게 할 수 있어, 상기 고정부재(2)를 상기 압축홀(113)에 삽입하여 회전시 상기 고정부재(2)의 제2경사면(221)과 상기 제1경사면(114a)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어 제1단부(13) 방향으로 상기 뼈 고정판(1)의 당겨지는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몸체(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11)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14)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2몸체(112)에는 이동방지홈(116)과 고정홀(117) 등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방지홈(116)은 상기 제2몸체(112)의 상면(15)에서 하측으로 일정 깊이 합입되어 상기 뼈(100)와 뼈 고정판(1)을 감싼 와이어(3)의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와이어(3)가 상기 뼈 고정판(1)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6에는 상기 이동방지홈(116)이 상기 제2몸체(112)의 모서리 부근에 대칭되게 한 쌍이 형성되었으나 이는 상기 이동방지홈(116)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한 쌍의 이동방지홈(116)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몸체(111)를 포함하는 몸체부(11)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117)은 상기 제2몸체(112)의 상면(15)에서 함입되어 하면(16)과 연통되는 구성으로,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117)에는 상기 고정부재(2)가 삽입되어 상기 뼈(100)와 뼈 고정판(1)을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후크부(12)는 상기 몸체부(11)의 제2단부(14)에서 갈고리 형태로 휘어져 절골된 골절편(200)을 걸어 당기게 되는 부분으로,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뼈(100)와 골절편(200) 상호 간을 결합고정시키는 시술에 있어, 상기 후크부(12)는 떨어져 나간 골절편(200) 부위에 걸려 골절편(200)을 당겨 상기 골절편(100)을 고정시키고자 하는 뼈(100)에 정위치시킨다. 시술자가 상기 후크부(12)를 당겨 상기 뼈(100)와 골절편(200)을 밀착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재(2)를 압축홀(113)에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재(2)를 회전시켜 상기 압축홀(113)의 제1경사면(114a)을 밀어내어 상기 몸체부(11) 및 상기 몸체부(11)에 연결된 후크부(12)를 제1단부(13)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골절편(200)과 뼈(10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부(12')가 제2단부(14')로부터 분기되어 한 쌍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2)는 상기 압축홀(113) 및 고정홀(117)에 삽입되어 상기 뼈 고정판(1)을 상기 뼈(100)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예를 들면 도 6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류(2)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2)는 외측면에 나사선(211)이 형성된 신장부(21)와, 상기 신장부(21)의 일단에서 확경되어 형성되는 헤드부(22)와, 상기 헤드부(22)의 하면(16)이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어 형성되는 제2경사면(221)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2경사면(221)은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진다.
상기 와이어(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100)와 뼈 고정판(1)을 에워싸 골절편(200)을 뼈(100)에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뼈 고정판(1)에는 와이어(3)를 수용하는 이동방지홈(116)이 형성되므로 체결된 상기 와이어(3)는 상기 뼈 고정판(1)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골절된 뼈(100)를 치료하는 시술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를 골절된 뼈(100)의 일측에 대고 골절편(200a)에 후크부(12)를 건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를 길이방향으로 제1단부(13) 방향을 향해 당겨놓는다. 하지만, 시술자에 의해 상기 몸체부(11)를 당겨 상기 골절편(200)을 뼈(100)에 밀착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부재(2)를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압축홀(113)에 차례로 삽입하여 상기 몸체부(11)를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단부(13) 방향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몸체부(11)와 연결된 상기 후크부(12)가 상기 골절편(200)을 뼈(10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위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를 수직하게 신장부(21)를 상기 제1단부(13) 방향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수직면(115a)에 대고 상기 고정부재(2)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2)는 회전하면(16)서 뼈(100)를 파고들어가게 된다. 이후, 계속적으로 상기 고정부재(2)를 회전시켜 하강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22)의 제2경사면(221)이 제1경사면(114a)을 상기 제1단부(13) 방향을 향해 밀어내어 상기 몸체부(11)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단부(13)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부(12)가 상기 골절편(200a)을 당겨 상기 뼈(100)에 밀착시킨다. 이후, 상기 고정부재(2)를 나머지 압축홀(113b) 및 고정홀(117)에 삽입하고, 와이어(3)를 뼈(100)와 골절편(200)을 감싸 시술과정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와이어(3) 및 고정부재(2)가 모두 사용되어 골절된 뼈(100)를 고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분쇄골절의 경우 고정부재(2)를 뼈(100)에 삽입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도 있어 와이어(3)만 사용하여 상기 뼈 고정판(1)과 골절된 뼈(100)를 고정할 수도 있고, 또한, 와이어(3)의 사용 없이 고정부재(2)만을 사용하여 상기 뼈 고정판(1)과 골절된 뼈(100)를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뼈 고정장치는 고정부재(2)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하강시 상기 제2경사면(221)이 상기 압축홀(113)의 제1경사면(114a)을 밀어내어 상기 뼈 고정판(1)은 길이방향으로 제1단부(13) 방향을 향해 이동하므로, 상기 후크부(12)에 걸린 골절편(200)을 상기 뼈(100)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1)는 제2몸체(111)보다 떠 큰 두께를 가지므로, 상기 제1몸체(111)에 위치하는 상기 제1홀(114)의 깊이를 더 길게 할 수 있어, 상기 뼈 고정판(1)의 당겨지는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홀(113)의 제1홀(114)의 깊이는 제1단부(13) 방향에서 제2단부(14) 방향으로 갈수록 깊어져, 회전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고정부재(2)의 제2경사면(221)과 길이방향으로 제1단부(13)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몸체부(11)의 제1경사면(114a)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3)의 일부분은 상기 이동방지홈(116)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와이어(3)를 효과적으로 정위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뼈 고정판 2: 고정부재 3: 와이어
11: 몸체부 12: 후크부 13: 제1단부
14: 제2단부 15: 상면 16: 하면
21: 신장부 22: 헤드부 111: 제1몸체
112: 제2몸체 113: 압축홀 114: 제1홀
115: 제2홀 116: 이동방지홈 117: 고정홀
211: 나사선 221: 제2경사면 114a: 제1경사면
115a: 수직면

Claims (9)

  1. 뼈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뼈에 접하게 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휘어져 절골된 골절편을 걸어 당기게 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면에서 함입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압축홀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홀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길죽한 타원형의 형태로 하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는 제1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홀의 내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중앙부분으로 경사지어 제1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1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말단으로부터 제2단부까지 연장되는 제2몸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2몸체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며, 상기 압축홀은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뼈 고정판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일정 깊이 합입되어 뼈와 뼈 고정판을 감싼 와이어의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뼈 고정판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판.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은 제1단부 방향에서 제2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더 깊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은 오목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두께는 상기 제2몸체의 두께보다 1.3 내지 2배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홀은 상기 제1홀의 말단에서 수직으로 함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연통되는 제2홀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홀의 내면은 수직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판.
  8. 골절된 뼈에 부착되는 뼈 고정판과, 상기 뼈 고정판과 뼈에 차례로 삽입되어 상기 골절된 뼈와 뼈 고정판을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뼈 고정판은 제1항에 있어서의 뼈 고정판이 사용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외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신장부와, 상기 신장부의 일단에서 확경되어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면이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어 형성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신장부를 제1단부 방향에 가깝게 위치하는 수직면에 대고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는 회전하강하여, 상기 헤드부의 제2경사면이 상기 제1경사면을 제1단부 방향을 향해 밀어내어 상기 몸체부는 길이방향으로 제1단부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되어, 상기 후크부가 골절편을 당겨 뼈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장치.
KR1020130088901A 2013-07-26 2013-07-26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 KR101352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901A KR101352069B1 (ko) 2013-07-26 2013-07-26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901A KR101352069B1 (ko) 2013-07-26 2013-07-26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069B1 true KR101352069B1 (ko) 2014-01-16

Family

ID=50145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901A KR101352069B1 (ko) 2013-07-26 2013-07-26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2761B1 (ko) * 2021-11-12 2024-06-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골 고정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골 고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469B2 (ja) * 1991-08-27 1995-07-26 ハウメディ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セルクラージュワイヤ位置決め挿入体
US20090012569A1 (en) * 2005-03-17 2009-01-08 Desmond Meiring Dall Configurable Bone Fixation System
US20100137866A1 (en) * 2008-12-02 2010-06-03 Suspension Orthopaedic Solutions, Llc Ulna fixation
KR101131253B1 (ko) * 2003-05-30 2012-03-30 신세스 게엠바하 뼈판
JP7067469B2 (ja) 2016-02-29 2022-05-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剥離可能積層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469B2 (ja) * 1991-08-27 1995-07-26 ハウメディ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セルクラージュワイヤ位置決め挿入体
KR101131253B1 (ko) * 2003-05-30 2012-03-30 신세스 게엠바하 뼈판
US20090012569A1 (en) * 2005-03-17 2009-01-08 Desmond Meiring Dall Configurable Bone Fixation System
US20100137866A1 (en) * 2008-12-02 2010-06-03 Suspension Orthopaedic Solutions, Llc Ulna fixation
JP7067469B2 (ja) 2016-02-29 2022-05-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剥離可能積層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2761B1 (ko) * 2021-11-12 2024-06-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골 고정용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골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8014B2 (ja) 橈骨骨折部の骨片を内固定するための器具
KR101926785B1 (ko) 뼈 접합판 및 뼈 접합 시스템
AU2017201355B2 (en) Device for compression across fractures
US6302884B1 (en) Bone alignment and fixation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EP2713918B1 (en) Assemblies for aligning a bone fixation plate
WO2015068139A1 (en) Ostheosyntesis plate for distal fibula / lateral malleoulus
KR101331429B1 (ko) 걸쇠식 경추고정장치
US8961574B2 (en) Bone plate with hook portion
JP2013500776A (ja) 骨折固定用に適合されたロッキングピンプレート組立品
KR20160131022A (ko) 골 플레이트 및 골 플레이트 시스템
KR101604668B1 (ko) 대퇴골 고정용 가변형 임플란트
US20080281363A1 (en) Surgical Fixation Pin
KR101621846B1 (ko)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
KR101625177B1 (ko) 대퇴골 고정용 임플란트
US6709437B2 (en) Bone alignment and fixation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bowed strut attachment structure
AU2015313920B2 (en) System and method of soft tissue anchoring to metaphyseal bone plate
KR20160056855A (ko)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
KR101352069B1 (ko) 뼈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뼈 고정장치
JP5937768B2 (ja) 骨接合具
KR101910049B1 (ko) 경비인대 결합 스크류
KR100794560B1 (ko) 골유합술용 대전자부 고정금속판
US10314629B2 (en) Fixing pin for orthopedic surgery enabling internal fixation
KR101400790B1 (ko) 골절된 뼈 고정용 와이어 지지판
JP2016152861A (ja) 大腿骨骨折用の治療具
KR20200062405A (ko) 원위 요골 고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