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721B1 -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721B1
KR101351721B1 KR1020110128309A KR20110128309A KR101351721B1 KR 101351721 B1 KR101351721 B1 KR 101351721B1 KR 1020110128309 A KR1020110128309 A KR 1020110128309A KR 20110128309 A KR20110128309 A KR 20110128309A KR 101351721 B1 KR101351721 B1 KR 101351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
advertisement
server
smartphon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5837A (ko
Inventor
추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홍기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홍기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홍기획
Priority to KR1020110128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72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5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2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updates or upgrades of network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은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 상에서 실행되는 앱; 상기 앱이 실행됨에 따라 기 저장된 서버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서버로의 접속을 시도하되, 서버로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마트폰 식별정보 및 상기 앱의 식별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광고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수신한 광고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상기 앱의 프로세스 내에서 상기 광고 데이터가 표시될 광고 서비스 영역을 준비하되,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을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앱 실행 화면의 상하좌우 가운데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앱이 실행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에 상기 수신한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는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 입력이 있으면, 상기 앱 화면을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아웃 처리하여 화면에서 제거하되, 상기 광고 데이터가 표시된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을 슬라이드 인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LACING ADVERTISEMENT ON SERVICE AREA OF SMARTPHONE APP}
본 발명은 스마트폰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고는 각종의 매체에 여러가지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공중파 방송이나 IPTV 방송프로그램 도중에 상영되거나, 포털 사이트나 인터넷 홈페이지 배너광고의 형태로 게재되거나, 신문지상에 인쇄되기도 한다.
이러한 광고는 그 형태여하를 막론하고 광고주로부터 소정의 광고비를 수령함으로써 광고 시청자의 매체 이용요금을 경감시켜주고, 또 이에 의해 광고 시청자의 수와 충성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다시 광고비 단가를 상승시키는 선순환 구조의 비지니스 모델을 가진다는 점에 공통점이 있다.
한편, 광고가 게재되는 매체들은 시대의 변화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큰 변화를 보이기도 한다. 인터넷이 일반에 보급되기 시작한 지 불과 십 수년만에 인터넷 광고시장이 공중파 광고시장의 규모를 추월한 것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하겠다.
그런데, 최근 스마트폰이 전세계적으로 빠른 속도로 보급되면서 소프트웨어 산업, 게임 산업, 컨텐츠 시장 등이 빠른 속도로 스마트폰 플랫폼에 적합한 형태로 진화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스마트폰을 보유한 가입자들의 수가 증가하고, 이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은 광고 플랫폼으로서의 적합성을 인정받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광고업계 또한 스마트폰 플랫폼에서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뛰어들기 시작하고 있다.
스마트폰 플랫폼에서 구현되는 가장 일반적인 광고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용 앱(App)의 상하단 등에 배너광고의 형태로 광고대상의 모바일 웹 페이지를 연결하는 링크를 거는 형태이다.
배너를 선택하면 해당 앱의 실행은 중지되며, 모바일 웹 브라우저를 호출하여 선택된 배너가 포함하는 모바일 웹 페이지의 url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하는 모바일 웹 페이지는 물론 광고주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모바일 웹 페이지일 것이다.
그런데, 스마트폰은 기존의 다른 매체들과는 달리 전화를 한다거나, 특정한 앱을 실행한다는 등 뚜렷한 목적성을 가지고서 조작을 하기 때문에 조작도중 앱의 일측에 노출된 링크를 클릭하여 해당 모바일 웹 페이지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들은 매우 큰 불편함을 겪게 되며, 따라서 즉각 모바일 웹 브라우저를 종료시켜 광고의 표시를 중단시키고 직전에 실행하던 앱을 재차 실행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 웹 상에서 널리 활용되던 배너광고는 스마트폰 플랫폼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좁은 화면에 배너 광고를 표시하는 경우 앱의 실행에 필요한 충분한 화면상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기 때문에 앱 자체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부작용까지 존재한다.
이에 스마트폰 앱의 실행시 광고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하되, 배너의 선택시 해당 앱을 종료하고 모바일 웹 페이지로 이동하지도 아니함은 물론, 앱의 실행화면에 배너의 형태로 표시됨으로써 앱의 실행에 필요한 화면 공간을 훼손하지도 않는 새로운 광고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문헌 1. 특허공개 제10-2011-94525호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폰 앱의 실행시 광고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하되, 광고를 표시하기 위하여 해당 앱을 종료하고 모바일 웹 페이지로 이동하지 아니하는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 앱의 실행시 광고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하되, 앱의 실행화면에 배너의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앱의 실행에 필요한 화면 공간을 훼손하지 아니하는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의 제공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하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계 상에서 실행되는 앱;
상기 앱이 실행됨에 따라 기 저장된 서버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서버로의 접속을 시도하되, 서버로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마트폰 식별정보 및 상기 앱의 식별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광고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수신한 광고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상기 앱의 프로세스 내에서 상기 광고 데이터가 표시될 광고 서비스 영역을 준비하되,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을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앱 실행 화면의 상하좌우 가운데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앱이 실행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에 상기 수신한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는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 입력이 있으면, 상기 앱 화면을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아웃 처리하여 화면에서 제거하되, 상기 광고 데이터가 표시된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을 슬라이드 인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방법의 일측면은 앱이 실행됨에 따라 스마트폰이 기 저장된 서버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제 110 단계;
서버로의 접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스마트폰이 서버로 스마트폰 식별정보 및 앱의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제 120 단계;
스마트폰 식별정보 및 앱의 식별정보를 제공받은 서버가 해당 스마트폰에 대한 광고 데이터 업데이트 필요 여부를 판정하되,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판정된 경우 기 저장된 다수의 광고 데이터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정하여 해당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제 130 단계;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한 스마트폰이 기 저장된 광고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수신한 광고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제 140 단계;
스마트폰이 상기 앱의 프로세스 내에서 상기 광고 데이터가 표시될 광고 서비스 영역을 준비하되,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을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앱 실행 화면의 상하좌우 가운데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앱이 실행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에 상기 제 140 단계에서 수신한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 150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스크린 입력에 따라 스마트폰이 상기 앱 화면을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아웃 처리하여 화면에서 제거하되, 상기 광고 데이터가 표시된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을 슬라이드 인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제 16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방법의 다른 측면은 스마트폰의 앱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앱에 구비된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이 기 저장된 서버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제 210 단계;
서버로의 접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이 서버로 상기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앱의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제 220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이 이를 저장하는 제 230 단계;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이 상기 앱의 프로세스 내에서 상기 광고 데이터가 표시될 광고 서비스 영역을 준비하되,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을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앱 실행 화면의 상하좌우 가운데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스마트폰의 앱이 실행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에 상기 제 130 단계에서 수신한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 240 단계;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 입력에 따라 상기 앱 화면을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아웃 처리하여 화면에서 제거하되, 상기 광고 데이터가 표시된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을 슬라이드 인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제 250 단계; 및
상기 앱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이 상기 앱의 프로세스 내에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광고 데이터를 갱신하고 상기 제 240 단계로 분기하는 제 26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앱의 실행 도중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광고를 보여주되, 광고를 표시하기 위해 앱을 종료하지 아니할 뿐 아니라, 서버로의 네트워크 연결 시도에 따른 시간 딜레이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광고 노출에 따른 사용자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앱 내에서의 공간 이동의 형태로 미리 준비된 광고를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언제든 기 실행중이던 앱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앱의 종료 및 구동에 따른 딜레이가 발생하지 아니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은 새롭게 제작되는 앱의 제작시 애드온의 형태로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 기존 앱에 대해서도 간단히 추가하여 업데이트를 통해 배포할 수 있어 개발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한편, 앱의 실행시마다 서버로 접속하여 광고를 수신하되, 업데이트 여부와는 무관하게 기 저장된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므로 네트워크 연결 가능 여부와 무관하게 앱을 실행하고 또 광고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마트폰 플랫폼에서의 광고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며,
도 2는 스마트폰과 서버간 연결관계를 설명하는 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며,
도 4는 앱 실행도중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광고 표시화면으로 앱 내 공간이동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을 스마트폰 관점에서 설명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스마트폰과 서버간 연결관계를 설명하는 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며, 도 4는 앱 실행도중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광고 표시화면으로 앱 내 공간이동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서버(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스마트폰(10)들로 광고 데이터를 제공하며, 스마트폰(10)은 서버(2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즉, 서버(20)와 스마트폰(10)간 연결관계는 종래기술과 상이하지 아니하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로 접속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하는 스마트폰(10)에 구현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마트폰(10)과 서버(20)와의 연결관계 하에서 서버(2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광고를 표시하기 위하여 해당 앱을 종료하고 모바일 웹 페이지로 이동하지 아니함은 물론 스마트폰 앱의 실행시 광고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하되, 앱의 실행화면에 배너의 형태로 표시하지도 아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App : 110) 및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을 구비한다.
앱(110)은 스마트폰(10)에 설치되되 상기 스마트폰(10)의 운영체계 상에서 실행되며 종래기술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앱일 수 있다.
한편,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공되는 SDK를 이용하여 기존 앱(110)에 애드온 형태로 결합되거나, 또는 신규 앱의 제작시에 애드온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은 앱(110)에 부종하며, 앱(110)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앱(110)의 프로세스 내에서 함께 실행된다. 따라서, 스마트폰(10)이 비록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운영체계를 채택하고 있다고 하여도 어느 하나가 포그라운드에서, 나머지 하나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관계에 있지 아니하다.
이러한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은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앱(110)이 실행되면 그 즉시 기 저장된 서버(20)의 접속정보(url 등)를 이용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서버(20)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의 동작은 서버(20)로의 접속 성공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먼저, 서버(20)로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은 상기 스마트폰(10)의 식별정보 및 상기 앱(110)의 식별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서버로 제공한다.
이때, 스마트폰(10)의 식별정보란 스마트폰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ESN(Electric Serial Number), UDID(Unique Device IDentifier), 운영체계 종류 또는 버전 가운데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앱(110)의 식별정보란 앱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앱의 명칭, 식별자(Identifier), 버전 가운데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은 서버(2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광고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수신한 광고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반면, 네트워크의 상황이 나쁘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 서버(20)로의 접속이 실패하면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은 광고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지 아니한다.
이후,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은 앱(110)이 실행됨에 따라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앱(110)의 프로세스 내에서 상기 광고 데이터가 표시될 광고 서비스 영역을 준비한다.
광고 서비스 영역이란 광고가 표시될 영역으로서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스마트폰(10)의 상기 앱(110) 실행 화면의 상하좌우 가운데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된 채 상기 광고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즉,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은 도 4의 (a)와 같이 앱(110)이 실행되는 동안 화면에 표시되지 아니하는 광고 서비스 영역에 광고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앱(110)의 실행시 서버(20)로 접속하여 광고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진 경우라면 업데이트 된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며, 서버(20)로의 접속에 실패한 경우라면 업데이트 되지 않은 기존 광고 데이터를 표시한다.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은 이와 같이 앱(110)이 실행되는 동안 앱(110)의 실행화면 상하좌우 가운데 어느 한 방향의 광고 서비스 영역에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였다가, 사용자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1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한 소정의 조작을 수행하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앱(110)의 실행 화면을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아웃 처리하여 화면에서 제거하되, 상기 광고 데이터가 표시된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을 슬라이드 인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도 4의 (b) 및 (c)에 의할 때 앱(110)의 실행화면이 슬라이드 아웃되고, 광고 서비스 영역이 슬라이드 인 되어 표시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앱(110)의 실행을 종료하고서 모바일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거나, 광고 서비스 영역을 화면에 표시한 다음에서야 서버(20)로 접속하여 광고 데이터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것이 아니며, 앱(110)의 실행과 동시에 서버(2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제공받아 업데이트하며, 앱(110)이 실행되는 동안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별도의 광고 서비스 영역에 광고 데이터를 표시한 채로 대기하다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기다려 앱 내에서의 공간 이동의 형태로 광고 서비스 영역을 표시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광고 서비스 영역을 호출하기 위한 동작은 바람직하게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서비스 영역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면에 셋 이상의 접점에 대한 멀티터치 후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것이다.
도 4의 (b)의 예에서는 세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한 다음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함으로써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을 호출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상기 앱(110)의 실행시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이 서버(20)로 접속하여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은 상기 앱(110)이 앱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앱(110)의 프로세스 내에서 일정시간 간격(예를 들어, 10분 간격)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로 접속하여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광고 데이터를 갱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앱(110)이 실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입력에 의해 광고 서비스 영역을 호출할 때마다 항상 동일한 광고 데이터가 표시되는 대신 업데이트된 광고 데이터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방법의 일 측면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스마트폰(10) 및 이와 연결되는 서버(20)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 실행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의 앱(110)을 실행함에 따라, 스마트폰(10)이 기 저장된 서버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로의 접속을 시도한다(S110). 구체적으로는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은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이 상기 앱(110)의 프로세스 내에서 서버(20)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한편, 서버(20)로의 접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스마트폰(10)이 서버(20)로 스마트폰 식별정보 및 앱의 식별정보를 제공한다(S120)
스마트폰(10)으로부터 스마트폰 식별정보 및 앱의 식별정보를 제공받은 서버(20)가 해당 스마트폰(10)에 대한 광고 데이터 업데이트 필요 여부를 판정한다.
서버(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스마트폰(10)들과 연결되되, 경우에 따라서는 각 스마트폰(10)의 사용자 개인정보 등을 수집하였다가 타겟 광고를 제공하기도 하며, 때로는 매 접속시마다 새로운 광고를 랜덤하게 제공할 수도 있으며, 때로는 특정 광고가 스마트폰(10)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확인한 다음 새로운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여러 경우에 서버(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해온 스마트폰(10)에 대하여 광고 데이터의 업데이트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한편,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판정된 경우 기 저장된 다수의 광고 데이터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정하여 해당 스마트폰(10)으로 제공한다(S130).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타겟 광고인 경우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광고를 선정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랜덤하게 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스마트폰(10)은 서버(2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광고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수신한 광고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업데이트를 수행한다(S140).
한편, 앱(110)이 실행됨에 따라 스마트폰(10)은 상기 앱(110)의 프로세스 내에서 상기 광고 데이터가 표시될 광고 서비스 영역을 준비하되,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을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앱 실행 화면의 상하좌우 가운데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앱이 실행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에 광고 데이터를 표시한다(S150).
즉, 광고 데이터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는 보여지지 아니하며, 화면에 표시된 앱 실행화면의 상하좌우 가운데 어느 한 방향에 미리 준비된다.
이때, 광고 서비스 영역에 표시되는 광고 데이터는 상기 S140 단계에서 업데이트된 것일 수도 있으며, 업데이트 되지 아니한 경우라면 기 저장된 광고 데이터일 수도 있다.
한편, 스마트폰(10)은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스크린 입력에 따라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이 상기 앱 화면을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아웃 처리하여 화면에서 제거하되, 상기 광고 데이터가 표시된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을 슬라이드 인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160).
이와 같이 광고 서비스 영역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인 처리되어 화면에 표시됨에 따라 스마트폰(10)은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리액션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제공한다(S170).
리액션 정보란 사용자가 광고를 보면서 세부 페이지로 이동한 경로, 관심을 보인 물품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서버(20)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리액션 정보를 저장(S180)하며, 추후 상기 스마트폰(10)이 재차 접속하면 저장된 리액션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S130 단계에서 다수의 광고 데이터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정함에 있어 서버(20)는 제공받은 스마트폰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사용자 리액션 정보, 개인정보 가운데 해당 스마트폰 사용자의 리액션 정보 또는 개인정보를 인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수의 광고 데이터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정할 수 있다.
사용자 개인정보는 앱(110)의 최초 설치시 스마트폰(1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음으로써 수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방법의 다른 측면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을 스마트폰 관점에서 설명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로 연결되는 스마트폰(10)에서 실행된다.
먼저,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의 앱(110)을 실행함에 따라, 상기 앱(110)에 애드온의 형태로 구비된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이 기 저장된 서버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의 접속을 시도한다(S210).
서버로의 접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이 서버(20)로 상기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앱의 식별정보를 제공한다(S220).
서버로의 접속이 실패하면 광고 데이터의 업데이트 과정을 생략하고 S240 단계로 분기한다(S221).
이후, 상기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이 이를 저장한다(S230). 이때, 기 저장된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삭제하고 저장함으로써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앱(110)이 실행되면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앱(110)의 프로세스 내에서 상기 광고 데이터가 표시될 광고 서비스 영역을 준비하되,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을 상기 스마트폰(10)의 상기 앱 실행 화면의 상하좌우 가운데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스마트폰(10)의 앱(110)이 실행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에 광고 데이터를 표시한다(S240).
이때 광고 서비스 영역에 표시되는 광고 데이터는 S230 단계에서 새롭게 제공받은 광고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 연결 상태 불량 등의 이유에 의해 서버(2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제공받지 못한 경우라면 기 저장된 광고 데이터일 수도 있다.
한편,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은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스마트폰(10)의 터치 스크린 입력에 따라 상기 앱 화면을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아웃 처리하여 화면에서 제거하되, 상기 광고 데이터가 표시된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을 슬라이드 인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한다(S250).
이때,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은 상기 앱(110)의 실행을 일시 중지시킬 수 있다. 일시 중지란 앱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그 결과를 스마트폰(10) 화면 등을 통해 표시하는 경우 그 동작을 잠시 멈추는 것을 의미하며, 앱(110)을 종료하고 운영체계의 대기화면으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하지는 아니한다.
앱을 종료하고,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모바일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켰다가 재차 앱을 실행하는 등의 과정에 매우 큰 딜레이가 발생하며, 이러한 딜레이를 해소하기 위함이 본 발명의 목적인 바 이는 매우 중요하다.
한편, 광고 서비스 영역을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방식은 바람직하게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서비스 영역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면에 셋 이상의 접점에 대해 멀티터치를 한 다음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것이다.
도 4의 (b)의 예에서는 세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한 다음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함으로써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을 호출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120)은 상기 앱(110)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앱(110)의 프로세스 내에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20)로 접속하여 상기 서버(2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광고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후, S240 단계로 분기함으로써 갱신된 광고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S260).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DVD-ROM, CD-ROM, 하드 디스크, USB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수록된다는 표현은 대량으로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패키지 형태로 유통되는 경우는 물론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 기록매체에 수록되는 경우를 모두 포괄한다.
상기에서는 "서버"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는 기능이나 부하를 다수의 서버로 분할하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서버"는 반드시 단일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지칭하지 아니하며,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서버군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스마트폰"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반드시 스마트폰이라는 명칭으로 분류되는 하드웨어에 국한하지 아니한다. 즉, IOS 또는 안드로이드 OS를 탑재한 휴대전화 이외에도 태블릿(Tablet), PDA(Personal Data Assistant)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네트워크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이때 네트워크는 거리와 규모에 따라서는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접속경로의 특징에 따라서는 인트라넷, VPN(Virtual Private Network), 접속방식에 따라서는 와이브로, WiFi, 이동통신망과 같이 지칭되는 다양한 네트워크 연결방식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서비스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0 : 스마트폰(Smartphone)
100 :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
110 : 앱(App)
120 : 애드온(Add-on) 광고 처리 모듈
20 : 서버(Server)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앱이 설치되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운영체계 상에서 상기 앱을 실행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하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앱이 실행됨에 따라 기 저장된 서버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서버로의 접속을 시도하되, 서버로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마트폰 식별정보 및 상기 앱의 식별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면 광고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은 상기 앱이 실행되어 표시되는 영역 및 상기 앱이 실행되어 표시되는 영역의 상하좌우 가운데 어느 한 방향으로 인접한 영역인 광고 서비스 영역 - 이때,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은 상기 앱이 실행되어 표시되는 영역 및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 가운데 어느 하나만이 표시되는 크기를 가짐 - 을 준비하고,
    상기 앱이 실행되어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스마트폰 화면을 벗어난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에 상기 수신한 광고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며,
    상기 앱이 실행되어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 입력이 있으면, 프로세스 전환 없이 상기 앱의 프로세스 내에서,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을 상기 앱이 실행되는 영역에서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으로 슬라이드 처리함으로써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은 셋 이상의 접점에 대한 멀티터치 후 상기 멀티터치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이 있으면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을 상기 앱이 실행되는 영역에서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으로 슬라이드 처리함으로써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스마트폰의 앱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앱에 구비된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이 기 저장된 서버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제 210 단계;
    서버로의 접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이 서버로 상기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앱의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제 220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이 이를 저장하는 제 230 단계;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이 상기 앱이 실행되어 표시되는 영역 및 상기 앱이 실행되어 표시되는 영역의 상하좌우 가운데 어느 한 방향으로 인접한 영역인 광고 서비스 영역 - 이때,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은 상기 앱이 실행되어 표시되는 영역 및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 가운데 어느 하나만이 표시되는 크기를 가짐 - 을 준비하고, 상기 앱이 실행되어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스마트폰 화면을 벗어난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에 상기 수신한 광고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며 제 240 단계; 및
    상기 앱이 실행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 입력이 있으면,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이 프로세스 전환 없이 상기 앱의 프로세스 내에서,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을 상기 앱이 실행되는 영역에서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으로 슬라이드 처리함으로써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 25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50 단계 이후 상기 앱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이 상기 앱의 프로세스 내에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광고 데이터를 갱신하고 상기 제 240 단계로 분기하는 제 260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50 단계에서 셋 이상의 접점에 대한 멀티터치 후 상기 멀티터치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이 있으면 상기 애드온 광고 처리 모듈이 프로세스 전환 없이 상기 앱의 프로세스 내에서,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을 상기 앱이 실행되는 영역에서 상기 광고 서비스 영역으로 슬라이드 처리함으로써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방법.
KR1020110128309A 2011-12-02 2011-12-02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51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309A KR101351721B1 (ko) 2011-12-02 2011-12-02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309A KR101351721B1 (ko) 2011-12-02 2011-12-02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837A KR20130065837A (ko) 2013-06-20
KR101351721B1 true KR101351721B1 (ko) 2014-01-15

Family

ID=4886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309A KR101351721B1 (ko) 2011-12-02 2011-12-02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7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618B1 (ko) * 2013-07-11 2016-02-19 주식회사 팀익스 단말기, 그 동작 방법 및 서버 장치
WO2016111467A1 (ko) * 2015-01-08 2016-07-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광고제공장치
KR101708348B1 (ko) 2015-06-05 2017-02-28 주식회사 문글로우 게임 내 캐릭터의 말풍선을 이용하여 정보와 광고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정보와 광고 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542A (ko) * 2007-09-04 2009-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대기화면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KR100910050B1 (ko) 2008-04-28 2009-07-30 남종철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 제2시청화면을 이용하여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가 가능한 모바일단말기,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금정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542A (ko) * 2007-09-04 2009-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대기화면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KR100910050B1 (ko) 2008-04-28 2009-07-30 남종철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 제2시청화면을 이용하여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가 가능한 모바일단말기,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금정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837A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5377B2 (en) Unified content visibility
JP6214547B2 (ja) ウェブページのレンダリング時間の測定
US10643253B2 (en) Multi-protocol interactive mobile video advertising
US10354293B2 (en) Events tracking technology
EP2767905A1 (en) Terminal apparatus, server, browser of terminal apparatus operat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browser
US98882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xtual information during video buffering
CN102968299A (zh) 一种手机应用广告动画的处理方法
KR101351721B1 (ko) 스마트폰 앱의 광고 영역 호출을 통한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100904A (zh) 视频广告拦截方法、装置和浏览器
CN106775983A (zh) 一种应用程序场景切换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7657470B (zh) 信息处理方法及信息处理装置
CN103488508B (zh) 一种浏览器的工作方法、浏览器及终端设备
CN103020528A (zh) 一种应用程序的恶意行为的显示方法和装置
CN103546626A (zh) 在手机的锁屏界面发布广告的方法及其手机
CN111966273A (zh) 信息显示处理方法及装置
CN106815037B (zh) 应用功能的执行方法及装置
CN102323890B (zh) 用于无线终端的网页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12148395A (zh) 页面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068931B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detecting content viewability
KR101318346B1 (ko) 모바일 단말 기반 광고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CN107479960B (zh) 一种单元视图的显示方法和装置
KR20130089900A (ko) 인터넷 모바일 기기에서의 광고 소재 동시 처리 방법
CN113950043B (zh) 通信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终端
KR20130024627A (ko) 애플리케이션 로딩 시간을 이용한 광고 실행 방법
CN110209402B (zh) 应用安装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