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488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488B1
KR101351488B1 KR1020070027324A KR20070027324A KR101351488B1 KR 101351488 B1 KR101351488 B1 KR 101351488B1 KR 1020070027324 A KR1020070027324 A KR 1020070027324A KR 20070027324 A KR20070027324 A KR 20070027324A KR 101351488 B1 KR101351488 B1 KR 101351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main body
joystick
suppor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3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85589A (en
Inventor
최경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7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488B1/en
Publication of KR20080085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5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4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의 회전에 따라 조이스틱부가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폴더의 열림 상태에서는 조이스틱부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고, 폴더의 닫힘 상태에서는 조이스틱부와 폴더에 구비되는 LCD 액정화면 등과의 충돌 및 긁힘을 방지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joystick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lder, the operation convenience of the joystick portion is improved in the opened state of the folder, and the LCD liquid crystal screen or the like provided in the joystick portion and the folder in the closed state of the folder.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revents collisions and scratches.

이동통신단말기, 조이스틱, 폴더, 힌지, 높이 조절 Mobile terminal, joystick, folder, hinge, height adjustment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요 내부구조를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 개략으로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in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lder open state;

도 3은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요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internal stru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2 with the folder closed;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이스틱부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ecific structure of the joystick unit shown in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요 내부구조를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folder closed;

도 6은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요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internal stru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5 with a folder ope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00, 200 : 이동통신단말기100, 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 본체 120 : 폴더110: body 120: folder

130 : 힌지부 132 : 회전축130: hinge portion 132: rotation axis

140 : 조이스틱부 150 : 이동지지부140: joystick 150: moving support

152 : 상부받침부 154 : 하부받침부152: upper support portion 154: lower support portion

160 : 조작부 170 : 탄성지지부160: operation unit 170: elastic support

180 : 안내부 180a : 안내홈180: guide 180a: guide groov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신호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로서 조이스틱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ystick as an input device for signal input.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라 함은 휴대폰이나 PDA 또는 휴대용 PC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통신은 물론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각종 컴퓨터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첨단 통신기기를 말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fers to a mobile phone, a PDA, or a portable PC, and refers to an advanced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computer tasks through wireless connection as well as network connection regardless of a place.

최근,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기능 이외에 인터넷 검색, 게임, 이메일 수신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부가 기능들을 사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방향키로 사용되는 네비게이션 키를 입력장치로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일반화되고 있다.Recent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Internet search, games, and e-mail reception in addition to a voice call function. According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navigation key as an input device, which is used as a direction key, so that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can be easily used by a user, has become common.

더 나아가,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에는 버튼 방식의 네비게이션 키에 비해 더욱 신속하고 세밀한 방향 제어가 가능한 조이스틱 키, 조그 키 등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조이스틱 키 등의 입력장치는 인터넷검색 모드, 게임 모드 등에서 방향신호 입력시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조이스틱 키는 일반적으로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틱과 상기 스틱의 조작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Furthermore, in recent years, joystick keys, jog keys, and the like, which enable more rapid and detailed direction control, have been applied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particular, an input device such as a joystick key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convenient interface when inputting a direction signal in an internet search mode or a game mode. Such joystick keys generally include a stick that protrudes outward to be manipulated by a user and a sensing unit that senses an operation direction of the stick.

하지만,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조이스틱 키는 외부로 돌출되는 스틱의 높이가 낮게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로 이루어지는 폴더형 휴대폰에 적용되는 조이스틱 키의 경우, 외부로 돌출되는 스틱의 높이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However, since the height of the stick sticking outward is low, the joystick key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inferio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joystick key applied to a clamshell mobile phone which consists of a main body portion and a folde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the height of the stick protruding outward is inevitably limited.

또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조이스틱 키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시, 외부로 돌출되는 스틱의 높이를 높게 배치하는 경우, 폴더부에 구비되는 LCD 액정화면 등과 충돌 및 긁힘의 우려가 있고, 이동통신단말기의 휴대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joystick key is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operation, when the height of the stick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is set high,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and scratches on the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provided in the folder unit. There is a problem that impairs the portabilit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폴더의 열림 상태에서는 조이스틱부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고, 폴더의 닫힘 상태에서는 폴더에 구비되는 LCD 액정화면 등과의 충돌 및 긁힘을 방지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convenience of the joystick portion in the open state of the folder is improved, and in the closed state of the folder to prevent collisions and scratches with the LCD liquid crystal display provided in the folder, etc.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와, 상기 본체와 상기 폴더를 연결하는 힌지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신호 입력을 위한 조이스틱부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조이스틱부를 지지하며 상기 폴더의 회전과 연동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조이스틱부가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이동지지부와, 상기 이동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 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folde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 hinge part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a joystick part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inputting a signal, and disposed in the main body, wherein the joystick part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It supports and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moving suppor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joystick portion protruding out of the main body as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older, and an operation unit for moving the moving suppor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힌지부의 회전축과 결합하며, 상기 폴더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축과 상기 이동지지부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hinge portion, it may have a shape for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 axis and the moving support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older.

또한,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조이스틱부를 상기 본체 외부로 설정높이만큼 돌출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조이스틱부를 상기 본체 내부로 함몰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조이스틱부가 상기 본체 외부로 설정높이만큼 돌출되도록 상기 조이스틱부를 받쳐주는 상부받침부와, 상기 상부받침부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조이스틱부가 상기 본체 내부로 함몰되도록 상기 조이스틱부를 받쳐주는 하부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support may support the joystick to protrude outside the main body by a set height when the folder is opened, and support the joystick to be depressed inside the main body when the folder is closed. In addition, the movable support portion, the uppe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joystick portion so that the joystick por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joystick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joystick portion is recessed into the main body It may include a lowe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폴더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이동지지부를 밀어내거나, 다르게는 상기 폴더의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이동지지부를 밀어내도록 상기 힌지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unit may be disposed in the hinge portion to push the moving support portion when rotating in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folder, or to push the moving support portion when rotating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older.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조작부를 향하여 상기 이동지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일단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support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support toward the manipulation unit, and the elastic support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movable support.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이동지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 내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이동지지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art fixedly disposed in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moving support part, and guide the movable support part to be slidably movable.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폴더형 휴대폰으로서 본체(110)와 폴더(120)를 포함한다. 본체(110)에는 각종 방향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로서 조이스틱부(140)와, 전면 케이스(112)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버튼 키(114)와,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부(11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폴더(120)에는 각종 영상정보가 표시하기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되는 액정화면(122)과, 통화시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24)가 구비되어 있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hown in FIG. 1 includes a main body 110 and a folder 120 as a cellular phone. The main body 110 receives a user's voice during a call and a joystick unit 140, a plurality of button keys 114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case 112 as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various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voice input unit 116 is provided. In addition, the folder 120 is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122 composed of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for displaying various image information, and a voice output unit 124 for outputting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during a cal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주요 내부구조를 폴더(120)가 열린 상태에서 개략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폴더(120)가 닫힌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주요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in internal stru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older 120 is opened, and FIG. 3 is in FIG. 2 in a state in which the folder 120 is closed. The main internal structure of the illust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 diagram schematically.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본체(110)와 폴더(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130)와, 본체(110)에 구비되어 신호 입력을 위한 조이스틱부(140)와, 본체(1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조이스틱부(140)를 지지하는 이동지지부(150)와, 이동지지부(150)를 이동시키는 조작부(160)를 더 포함한다.2 and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nge 130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110 and the folder 120 and a signal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It further includes a joystick unit 140 for input, a movable support unit 150 movably disposed in the main body 110 to support the joystick unit 140, and an operation unit 160 for moving the movable support unit 150. do.

조이스틱부(140)는 최근 이동통신말기에서 입력장치의 하나로 채택되고 있는 것으로 게임 모드 또는 인터넷검색 모드 등에서 특히 방향신호 입력시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조이스틱부(140)는 조이스틱 키, 조그 키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 등으로 조작 가능한 스틱 또는 폴을 구비한 입력장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조이스틱부(140)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joystick unit 140 has recently been adopted as one of the input devices in the termi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provide a convenient interface when inputting a direction signal, especially in game mode or Internet search mod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joystick unit 140 refers to an input device including a stick or a pole that can be operated in up, down, left, right, and diagonal directions in a concept including a joystick key, a jog key, and the lik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joystick unit 140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ater.

힌지부(130)는 폴더(120)형 휴대폰에 있어서 본체(110)와 폴더(120)를 개폐하도록 회전축(132)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즉, 힌지부(130)는 폴더(120)가 본체(110)에 대해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폴더(120)와 본체(110)를 결합한다. 이에 따라, 폴더(120)는 힌지부(130)의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본체(110)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열린 상태와 도 3에 도시된 닫힌 상태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Hinge 130 is a means for providing a rotating shaft 132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110 and the folder 120 in the folder (120) -type mobile phone. That is, the hinge unit 130 combines the folder 120 and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folder 120 can rotat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Accordingly, the folder 120 is rotatable between the open state shown in FIG. 2 and the closed state shown in FIG. 3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about the rotation axis 132 of the hinge portion 130.

조작부(160)는 폴더(120)의 회전에 따라 이동지지부(150)를 도 2 및 도 3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조작부(160)는 힌지부(130)의 회전축(132)과 결합하며, 폴더(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32)과 이동지지부(150)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형상을 갖는다. The operation unit 160 performs a function of moving the moving support unit 15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S. 2 and 3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lder 120. To this end, the operation unit 160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32 of the hinge 130, and has a shape that changes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ng shaft 132 and the moving support unit 15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older (120).

본 실시예에서 조작부(160)는 회전축(132)에 대해 한쪽으로 치우진 반원과 유사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폴더(120)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 이동지지부(150)를 밀어내도록 힌지부(130) 내에 배치된다. 즉, 폴더(120)가 열린 상태에서 단면의 곡선 부분이 회전축(132)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폴더(120)가 열린 상 태에서 이동지지부(150)의 좌측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2)과 인접한 상태에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unit 160 has a cross-sectional shape similar to a semicircle bias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132, the hinge portion 130 to push the moving support 150 when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folder 120 Disposed within. That is, the curved part of the cross section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rotating shaft 132 in the state in which the folder 120 is open. Accordingly, the left end of the moving support 150 is in a state adjacent to the rotating shaft 132 as shown in FIG. 2 with the folder 120 open.

한편, 폴더(120)가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 조작부(160)는 회전축(132)과 연동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조작부(160)의 형상에 따라 이동지지부(150)를 점진적으로 우측 방향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폴더(120)가 닫힌 상태에서 이동지지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30)의 회전축(132)으로부터 가장 먼 조작부(160)의 끝단과 인접한 상태에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older 120 is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operation unit 16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ry shaft 132, so that the moving support unit 150 gradually in the right direc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peration unit 160 Push out.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folder 120 is closed, the moving support unit 150 is in a state adjacent to the end of the operation unit 160 farthest from the rotation shaft 132 of the hinge unit 130 as shown in FIG. 3.

이동지지부(150)는 조이스틱부(140)가 본체(110)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이동지지부(150)는 본체(1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조이스틱부(140)를 본체(110) 외부로 설정높이만큼 돌출되도록 받쳐주는 상부받침부(152)와, 조이스틱부(140)를 본체(110) 내부로 함몰되도록 받쳐주는 하부받침부(154)를 포함한다. The moving support unit 150 adjusts the height at which the joystick unit 140 protrudes out of the main body 110. To this end, the movable support 150 is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main body 110, the upper support portion 152 and the joystick portion (152) for supporting the joystick 140 to protrude outside the main body 110 by a set height It includes a lower support 154 for supporting the 140 to be recessed into the main body 110.

본 실시예에서 하부받침부(154)는 상부받침부(152)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며, 본체(110)의 후면 케이스(118)를 기준으로 상부받침부(152) 보다 낮은 위치로 본체(110) 내에 배치된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lower support part 154 extends to the left side from the upper support part 152 and is lower than the upper support part 152 based on the rear case 118 of the main body 110. Disposed within.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지지부(150)는 폴더(120)의 회전과 연동하는 조작부(16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조이스틱부(140)를 지지하는 이동지지부(150)의 부분이 폴더(120)의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즉, 폴더(120)의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 이동지지부(150)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폴더(120)가 열린 상태에서 조이스틱부(140)의 하단은 이동지지부(150)의 상부받침 부(152)에 의해 받쳐진다. 이에 따라, 조이스틱부(140)는 본체(110)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폴더(120)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 이동지지부(150)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폴더(120)가 닫힌 상태에서 조이스틱부(140)의 하단은 이동지지부(150)의 하부받침부(154)에 의해 받쳐진다. 이에 따라, 조이스틱부(140)는 본체(110) 내부에 함몰되도록 배치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vable support unit 150 is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operation unit 160 that cooper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folder 120, the portion of the movable support unit 150 supporting the joystick unit 140 is a folder. It depends on the open and closed states of 120. That is, when rotating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older 120, the moving support unit 150 is moved to the left side and the lower end of the joystick unit 140 in the open state of the folder 120 is the upper support portion 152 of the moving support unit 150 Supported by). Accordingly, the joystick unit 140 is disposed to protrude out of the main body 110. On the other hand, when rotating in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folder 120, the moving support portion 150 is moved to the right side in the closed state of the folder 120, the lower end of the joystick portion 140 is the lower support portion 154 of the moving support portion 150 Supported by). Accordingly, the joystick unit 140 is disposed to be recessed in the main body 110.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폴더(120)의 회전에 따라 조이스틱부(140)가 본체(110)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한다. 따라서, 폴더(120)의 열림 상태에서는 조이스틱부(140)가 본체(110)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 있으므로, 조이스틱부(140)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폴더(120)의 닫힘 상태에서는 조이스틱부(140)가 본체(110) 내부로 함몰된 상태에 있으므로, 조이스틱부(140)와 폴더(120)에 구비되는 LCD 액정화면(122) 등과의 충돌 및 긁힘이 방지된다.In the above mann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height at which the joystick 140 protrudes out of the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lder 120. Therefore, in the opened state of the folder 120, the joystick part 140 is in a state protruding outside the main body 110, and thus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of the joystick part 140 is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joystick unit 140 is recessed into the main body 110 in the closed state of the folder 120, the joystick unit 140 collides with the LCD liquid crystal display 122 provided in the folder 120. And scratches are prevented.

한편, 이동지지부(150)는 상부받침부(152)와 하부받침부(154)를 연결하는 경사부(156)를 포함한다. 경사부(156)는 조이스틱부(140)에 의해 이동지지부(150)의 좌우 방향 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moving support part 150 includes an inclined part 156 connecting the upper support part 152 and the lower support part 154. The inclined portion 156 preferably has a gentle inclination such that the joystick portion 140 does not prevent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movable support 150.

본 발명의 이동지지부(150)의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이동지지부(150)는 폴더(120)의 회전과 연동하여 이동함에 따라 폴더(120)의 열림 상태에서 조이스틱부(140)를 본체(110) 외부로 돌출시키고, 폴더(120)의 닫힘 상태에서 조이스틱부(140)를 본체(110) 내부로 함몰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The structure of the movable supporter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S. 2 and 3. That is, the moving support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the joystick unit 14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in the open state of the folder 120 as it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older 120, the folder 120 In the closed state of the joystick unit 140 may be variously selected if the structure can be recessed into the main body 110.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이동지지부(15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부(170)를 더 포함한다. 탄성지지부(170)는 이동지지부(1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이동지지부(150)가 힌지부(130)의 회전축(132)과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탄성지지부(170)는 조작부(160)를 향하여 이동지지부(15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탄성지지부(170)는 본체(110) 내에 고정 배치되는 지지단(174)과 이동지지부(150)의 우측단과 접촉하고 지지단(174) 내부에 삽입 배치되는 스프링(172)을 구비한다. 탄성지지부(170)는 도 2 및 도 3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지지부(150)를 밀어주는 힘을 제공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lastic support unit 170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support unit 150. The elastic support unit 170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support unit 150 is adjacent to the rotation shaft 132 of the hinge unit 130 in a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ovable support unit 150. That is, the elastic support unit 17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support unit 150 toward the operation unit 160. To this end, the elastic support 170 has a support end 174 fixedly disposed in the main body 110 and a spring 172 in contact with the right end of the moving support 150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 end 174. . The elastic support 170 provides a force for pushing the movable support 150 in the left direction in FIGS. 2 and 3.

전술한 바와 같이, 폴더(120)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 이동지지부(150)는 조작부(160)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탄성지지부(170)의 스프링(172)은 지지단(174) 내에서 압축된다. 한편, 폴더(120)의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 이동지지부(150)는 압축된 스프링(172)의 팽창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이동지지부(15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힘은 조작부(160)에 의해 제공되며, 이동지지부(15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힘은 탄성지지부(170)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rotating in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folder 120, the moving support 150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by the operation unit 160. At this time, the spring 172 of the elastic support 170 is compressed in the support end (174). On the other hand, when rotating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older 120, the moving support 150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by the expansion of the compressed spring 172. That is, the force necessary for the moving support 150 to move in the right direction is provided by the operation unit 160, and the force required for the moving support 150 to move in the left direction is provided by the elastic support 170.

본 발명의 탄성지지부(170)의 구조와 배치 형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작부(160)를 향하여 이동지지부(15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와 배치 형태가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ures 2 and 3, as long as it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support portion 150 toward the operation unit 160, The batch type may be selected.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이동지지부(150)를 안내하는 안내부(180)를 더 포함한다. 안내부(180)는 이동지지부(150)를 지지하도록 본체(110) 내에 고 정 배치되며, 이동지지부(150)가 본체(110)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홈(180a)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이동지지부(150)는 안내부(180)의 안내홈(180a)에 안착된 상태로 폴더(120)의 회전과 연동하는 조작부(16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uide part 180 for guiding the moving support part 150. The guide part 180 is fixedly disposed in the main body 110 to support the moving support part 150, and includes a guide groove 180a so that the moving support part 150 can slidably move in the main body 110. . Accordingly, the moving support unit 150 can be easily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operation unit 160 that cooper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folder 120 in a state seated in the guide groove 180a of the guide unit 180.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조이스틱부(140)의 구체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이스틱부(140)는 적어도 상하좌우 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폴(142)과, 폴(142)이 삽입되어 조작되는 공간을 한정하는 하우징(144)과, 폴(142)이 조작되는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145)를 포함한다. 또한, 조이스틱부(140)는 폴(142)의 하단을 에워싸도록 배치되어 폴(142)의 조작 방향을 감지부(145)로 전달하는 조작판(146)을 더 포함한다.4 illustrates a specific structure of the joystick unit 140 shown in FIG. 2. Referring to FIG. 4, the joystick unit 140 includes a pole 142 that can be operated in at least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 housing 144 that defines a space in which the pole 142 is inserted and operated, and the pole 142 operates. It includes a sensing unit 145 for detecting the direction to be. In addition, the joystick unit 140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panel 146 disposed to surround the lower end of the pawl 142 and transmitting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pawl 142 to the sensing unit 145.

감지부(145)는 폴(142)의 아래에 배치되는데, 조작판(146)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폴(142)의 상하좌우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방향입력단자(145a)와, 폴(142)의 눌림 입력을 감지하는 선택입력단자(145b)를 포함한다. 선택입력단자(145b)는 폴(142)의 하단돌기(142a)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폴(142)의 누름 입력시 확인키, 선택키 및 모드 전환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방향입력단자(145a) 및 선택입력단자(145b)는 일반적으로 돔 스위치(Dome Switch)로 구성되나, 다른 형태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nsing unit 145 is disposed below the pole 142, and the plurality of direction input terminals 145a and the pole for sensing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ole 142 by being pressed by the operation panel 146. And a selection input terminal 145b for detecting a pressing input of 142. The selection input terminal 145b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rotrusion 142a of the pole 142, and ha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a confirmation key, a selection key, and a mode switching key when pressing the pole 142. To perform. The direction input terminal 145a and the selection input terminal 145b are generally configured as a dome switch, but may be implemented using other types of switches.

한편, 본 발명의 요지는 조이스틱부(140)의 구조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의 조이스틱부(140)는 도 4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공지기술로부터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폴(142)이 조작되는 방향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하는 조이스틱부(140)를 채택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 the structure of the joystick portion 140 itself, the joystick portion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ure 4, from the known art well known in the art Of course, it can be implemented.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adopt a joystick unit 140 using a magnetic sensor as a means for detec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le 142 is manipulated.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주요 내부구조를 폴더(120)가 닫힌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폴더(120)가 열린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주요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6.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in internal stru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older 120 is closed, and FIG. 6 is in FIG. 5 in a state in which the folder 120 is opened. Figure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ain internal stru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shown.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represent the same components, and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본체(110)와 폴더(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130)와, 본체(110)에 구비되어 신호 입력을 위한 조이스틱부(140)와, 본체(1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조이스틱부(140)를 지지하는 이동지지부(250)와, 이동지지부(250)를 이동시키는 조작부(260)를 더 포함한다.5 and 6,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nge unit 130 rotat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110 and the folder 120 and a signal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It further includes a joystick unit 140 for input, a movable support unit 250 movably disposed in the main body 110 to support the joystick unit 140, and an operation unit 260 for moving the movable support unit 250. do.

힌지부(130)는 폴더(120)형 휴대폰에 있어서 본체(110)와 폴더(120)를 개폐하도록 회전축(132)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즉, 힌지부(130)는 폴더(120)가 본체(110)에 대해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폴더(120)와 본체(110)를 결합한다. 이에 따라, 폴더(120)는 힌지부(130)의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본체(110)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닫힌 상태와 도 6에 도시된 열린 상태 사이에서 회 전 가능하게 된다.Hinge 130 is a means for providing a rotating shaft 132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110 and the folder 120 in the folder (120) -type mobile phone. That is, the hinge unit 130 combines the folder 120 and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folder 120 can rotat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Accordingly, the folder 120 can be rotated between the closed state shown in FIG. 5 and the open state shown in FIG. 6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about the rotation shaft 132 of the hinge portion 130.

조작부(260)는 폴더(120)의 회전에 따라 이동지지부(250)를 도 5 및 도 6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조작부(260)는 힌지부(130)의 회전축(132)과 결합하며, 폴더(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32)과 이동지지부(250)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형상을 갖는다.The operation unit 260 performs a function of moving the moving support part 25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S. 5 and 6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lder 120. To this end, the operation unit 260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32 of the hinge portion 130, and has a shape that changes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ng shaft 132 and the moving support portion 25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older (120).

본 실시예에서 조작부(26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으로 회전축(132)에 대해 한쪽으로 치우진 반원과 유사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의 조작부(260)는 폴더(120)의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 이동지지부(250)를 밀어내도록 힌지부(130) 내에 배치된다. 즉, 폴더(120)가 닫힌 상태에서 단면의 곡선 부분이 회전축(132)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폴더(120)가 닫힌 상태에서 이동지지부(250)의 좌측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2)과 인접한 상태에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unit 260 has a cross-sectional shape similar to a semicircle that is set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132 in the same shap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owever,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operation unit 26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in the hinge unit 130 so as to push the moving support unit 250 when rotating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older 120. That is, the curved part of the cross section is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rotating shaft 132 in the state in which the folder 120 was closed. Accordingly, the left end of the moving support part 250 in the closed state of the folder 120 is in a state adjacent to the rotating shaft 132 as shown in FIG.

한편, 폴더(120)가 열린 방향으로 회전시 조작부(260)는 회전축(132)과 연동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조작부(260)의 형상에 따라 이동지지부(250)를 점진적으로 우측 방향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폴더(120)가 열린 상태에서 이동지지부(2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30)의 회전축(132)으로부터 가장 먼 조작부(260)의 끝단과 인접한 상태에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older 120 is rotated in the open direction, the operation unit 26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axis 132, gradually moving the moving support 25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peration unit 260 in the right direction Push it out. Therefore, in the open state of the folder 120, the moving support 250 is in a state adjacent to the end of the operation unit 260 farthest from the rotation axis 132 of the hinge 130, as shown in FIG.

이동지지부(250)는 조이스틱부(140)가 본체(110)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이동지지부(250)는 본체(1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조이스틱부(140)를 본체(110) 외부로 설정높이만큼 돌출되도록 받 쳐주는 상부받침부(252)와, 조이스틱부(140)를 본체(110) 내부로 함몰되도록 받쳐주는 하부받침부(254)를 포함한다.The moving support part 250 perform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height at which the joystick part 140 protrudes out of the main body 110. To this end, the movable support part 250 is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main body 110, and the upper support part 252 and the joystick part (B) which support the joystick part 140 to protrude outside the main body 110 by a set height. It includes a lower support portion 254 for supporting the 140 to be recessed into the main body 110.

본 실시예에서 하부받침부(254)는 상부받침부(252)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며, 본체(110)의 후면 케이스(118)를 기준으로 상부받침부(252) 보다 낮은 위치로 본체(110) 내에 배치된다. 한편, 상부받침부(252)의 좌측단은 폴더(120)의 회전시 조작부(260)와 접촉하도록 힌지부(130)의 회전축(13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lower support part 254 extends to the right from the upper support part 252 and is lower than the upper support part 252 based on the rear case 118 of the main body 110. Disposed within. On the other hand, the left end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252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rotation axis 132 of the hinge portion 130 to contact the operation unit 260 when the folder 120 is rotated.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지지부(250)는 폴더(120)의 회전과 연동하는 조작부(26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조이스틱부(140)를 지지하는 이동지지부(250)의 부분이 폴더(120)의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ving support part 250 is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the operation part 260 that cooper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folder 120, the part of the moving support part 250 supporting the joystick part 140 is a folder. It depends on the open and closed states of 120.

다만, 본 실시예에서 폴더(120)의 회전에 따른 이동지지부(250)의 좌우 이동 방향은 전술한 실시예와 반대가 된다. 즉, 폴더(120)의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 이동지지부(250)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폴더(120)가 열린 상태에서 조이스틱부(140)의 하단은 이동지지부(250)의 상부받침부(252)에 의해 받쳐진다. 이에 따라, 조이스틱부(140)는 본체(110)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폴더(120)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 이동지지부(250)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폴더(120)가 닫힌 상태에서 조이스틱부(140)의 하단은 이동지지부(250)의 하부받침부(254)에 의해 받쳐진다. 이에 따라, 조이스틱부(140)는 본체(110) 내부에 함몰되도록 배치된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ft and right moving directions of the moving support part 25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lder 120 are opposit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is, when the folder 120 is rot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the moving support part 250 moves to the right side and the lower end of the joystick part 140 in the open state of the folder 120 is the upper support part 252 of the moving support part 250. Supported by). Accordingly, the joystick unit 140 is disposed to protrude out of the main body 110. On the other hand, when rotating in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folder 120, the moving support portion 250 is moved to the left side in the closed state of the folder 120, the lower end of the joystick portion 140 is the lower support portion 254 of the moving support portion 250 Supported by). Accordingly, the joystick unit 140 is disposed to be recessed in the main body 110.

이동지지부(250)는 상부받침부(252)와 하부받침부(254)를 연결하는 경사부(256)를 포함한다. 경사부(256)는 조이스틱부(140)에 의해 이동지지부(250)의 좌 우 방향 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moving support part 250 includes an inclined part 256 connecting the upper support part 252 and the lower support part 254. The inclined portion 256 may have a gentle inclination such that the joystick portion 14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moving support 250.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폴더의 회전에 따라 조이스틱부가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폴더의 열림 상태에서는 조이스틱부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고, 폴더의 닫힘 상태에서는 조이스틱부와 폴더에 구비되는 LCD 액정화면 등과의 충돌 및 긁힘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joystick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older, the operation convenience of the joystick portion is improved in the open state of the folder, provided in the joystick portion and the folder in the closed state of the folder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collisions and scratches with the LCD screen.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본체;main body;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A folder rotatably coupled with the main body; 상기 본체와 상기 폴더를 연결하는 힌지부;A hinge unit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신호 입력을 위한 조이스틱부;A joystick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inputting a signal;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조이스틱부를 지지하며, 상기 폴더의 회전과 연동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조이스틱부가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이동지지부; A moving support part disposed in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joystick part and to adjust a height at which the joystick part protrudes out of the main body as it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older; 상기 이동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조작부; 및An operation unit for moving the moving support; And 상기 조작부를 향하여 상기 이동지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n elastic support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support toward the oper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작부는,The operation unit, 상기 힌지부의 회전축과 결합하며,In combination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hinge portion, 상기 폴더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축과 상기 이동지지부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moving support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old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이동지지부는,The moving support portion, 상기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조이스틱부를 상기 본체 외부로 설정높이 만큼 돌출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조이스틱부를 상기 본체 내부로 함몰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And supporting the joystick part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by a set height in the open state of the folder and recessing the joystick part into the main body in the closed state of the folde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이동지지부는,The moving support portion, 상기 조이스틱부가 상기 본체 외부로 설정높이만큼 돌출되도록 상기 조이스틱부를 받쳐주는 상부받침부와, 상기 상부받침부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조이스틱부가 상기 본체 내부로 함몰되도록 상기 조이스틱부를 받쳐주는 하부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And an upper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joystick portion so that the joystick portion protrudes out of the main body by a set height, and a lower support portion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supporting the joystick portion so that the joystick portion is recessed into the main bod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조작부는,The operation unit, 상기 폴더의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이동지지부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pushing the moving support portion when rotating in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folde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조작부는,The operation unit, 상기 폴더의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이동지지부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pushing the moving support when rotating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old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일단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And the elastic support portion is disposed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movable suppor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지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 내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이동지지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And a guide part fixedly disposed in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moving support part and guiding the movable support part to be slidably movable.
KR1020070027324A 2007-03-20 2007-03-2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3514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324A KR101351488B1 (en) 2007-03-20 2007-03-2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324A KR101351488B1 (en) 2007-03-20 2007-03-2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589A KR20080085589A (en) 2008-09-24
KR101351488B1 true KR101351488B1 (en) 2014-01-14

Family

ID=4002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324A KR101351488B1 (en) 2007-03-20 2007-03-2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48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5249A (en) * 2004-12-28 2006-07-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Joystic having length variable
KR20060095679A (en) * 2005-02-28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ellular phone having a control-stick and a method of processing application therewit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5249A (en) * 2004-12-28 2006-07-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Joystic having length variable
KR20060095679A (en) * 2005-02-28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ellular phone having a control-stick and a method of processing application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589A (en)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8089B1 (en) A hinge mechanism for a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irising at least two use positions
KR101017702B1 (en) Dual lever slide mechanism for extendible device housings
US6748249B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sliding lid
EP2194693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EP1178649B1 (en) Key and button arrangement for a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use positions
KR100991567B1 (en) Two part multi-function electronic device
JP2009153224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WO2007106173A2 (en) Portable device with a display on a first housing and a window on a second housing
EP1883206B1 (en) Foldi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30046891A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key on the outside of upper folder
US20040185922A1 (en) Smartphone with novel opening mechanism
KR100656051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ment
EP2400364B1 (en) Mobile device with a flip-around keyboard
US9100470B2 (en) Biasing component for raising and lowering a keyboard for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JP4574541B2 (en) Electronics
KR10135148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2705660C (en) A biasing component for raising and lowering a keyboard for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EP2222058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different configurations
US20030155216A1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radio terminal
JP3726052B2 (en) Mobile terminal device
KR100866391B1 (en) Slide module for mobile phone
KR100651854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042818B1 (en) Sliding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116052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81602A (en) Slide type mobile phone with dual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