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308B1 -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 - Google Patents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308B1
KR101351308B1 KR1020120030264A KR20120030264A KR101351308B1 KR 101351308 B1 KR101351308 B1 KR 101351308B1 KR 1020120030264 A KR1020120030264 A KR 1020120030264A KR 20120030264 A KR20120030264 A KR 20120030264A KR 101351308 B1 KR101351308 B1 KR 101351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inlet hole
operation valve
hol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8007A (ko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이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수 filed Critical 이현수
Priority to KR1020120030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308B1/ko
Publication of KR20130108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작이 간편하고, 이끼발생을 억제하여 작동밸브의 작동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하므로 세척수 유출양이 일정할 수 있도록 한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에 형성된 유입공간부에 유입홀에 삽입되는 돌출봉이 형성된 텐션지지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에 의하면 작동밸브가 작동될 때 마다 유입홀을 직접 청소해주기 때문에 유입홀이 물이끼나 이물질에 의해 막히지 않아 장기간 사용으로도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유입홀이 전혀 막히지 않으므로 세척수의 유출양은 일정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세척수가 절약되며, 간단한 구조의 텐션지지구나 유동구를 유입홀에 직접삽입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직접적으로 유입홀을 청소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ACTIVATION VALVE FOR FLASH VALVE}
본 발명은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작이 간편하고, 유입홀에 물이끼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물질이 끼이지 않도록 하여 작동밸브의 작동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하므로 세척수의 유출양이 일정할 수 있도록 한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에 관한 것이다.
플래시밸브는 대변기나 소변기 등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관로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압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관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종래의 플래시밸브는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작동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밸브가 상하압력차를 이용하여 작동하도록 압력을 배출시키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세척수를 변기의 내부로 일정량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플래시밸브는 도 5와 같이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이 측면에 연결되고,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관(2)과 하단이 연결되며, 상단에는 상부덮개(14)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의 격벽(12)의 배출홀(12a)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작동밸브(30)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밸브(30)의 작동부(32)를 작동손잡이(22)에 의해서 작동시키는 구동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밸브(30)는 원통형으로 가운데의 직경이 작은 부분에 걸름막(31a)이 형성된 유입공간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홀(3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단에서 내부로 고정되는 작동부(38)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부(31)와 상단까지 관통되는 유입홀(33)이 형성되고, 상단주연부에는 상부패킹(34)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하부패킹(35)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승가이드(36)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밸브(30)는 세척수가 A공간(도 5참조)의 압력과 B공간(도 5참조)에 가득차서 압력이 동일할 때 하부패킹(34)이 배출홀(12a)을 막아서 세척수가 배출관(2)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만약 사용자가 작동손잡이(22)를 작동하면 구동부(20)가 작동부(38)를 작동시켜 유출홀(32)이 개방되어 세척수가 빠져나가게하여 A공간의 압력이 B공간의 압력보다 낮아져 작동밸브(30)가 상승하면서 배출홀(12a)이 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로 이송된 작동밸브(30)는 작동부(38)에 의해서 유출홀(32)이 다시 막히게 되고, 이때 유입홀(33)로 세척수가 점차로 유입되면서 A공간의 압력이 증가하여 배출홀(12a)을 막아서 더 이상의 세척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플래시밸브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2002-66310호, 공개실용신안 제1999-7836호, 공개특허 제2012-0011995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플래시밸브에 사용되는 작동밸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오랜 사용으로 인해서 유입홀이 물이끼나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어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된다.
(2) 유입홀의 일부가 막혀서 유입홀을 통해 세척수가 천천히 유입되므로, 작동밸브가 세척수의 유출을 차단하는 시간이 길어져서 세척수가 낭비된다.
(3)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그물막을 형성해 주는 등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유입홀을 직접적으로 청소하지 못하여 효과가 떨어진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플래시밸브의 내부에 채용되는 작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작동밸브는 원통형으로 가운데의 유입공간부가 형성되고, 내부 가운데에는 유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출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작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부에서 상단까지 관통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단주연부에는 상부패킹이 형성되며, 하단주연부에는 하부패킹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돌출된 상승가이드가 형성되되,
상기 유입공간부에는 상단에 유입홀에 삽입되는 돌출봉이 형성된 텐션지지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작동밸브가 작동될 때 마다 돌출봉이 유입홀을 직접 청소해주기 때문에 유입홀이 물이끼나 이물질에 의해 막히지 않아 장기간 사용으로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2) 유입홀이 전혀 막히지 않으므로 세척수의 유출양은 일정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세척수가 절약된다.
(3) 간단한 구조의 텐션지지구나 유동구를 유입홀에 직접삽입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직접적으로 유입홀을 청소할 수 있어서 효과가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의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의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플래시밸브의 측단면도.
본 발명은 플래시밸브의 내부의 관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일반적인 작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작동밸브(30)는 원통형으로 가운데에 유입공간부(31)가 형성되고, 내부 가운데에는 유출홀(32)이 형성되며, 상기 유출홀(3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작동부(38)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부(31)에서 상단까지 관통되는 유입홀(33)이 형성되고, 상단주연부에는 상부패킹(34)이 형성되며, 하단주연부에는 하부패킹(35)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돌출된 상승가이드(36)가 형성되되,
상기 유입공간부(31)에는 상단에 유입홀(33)에 삽입되는 돌출봉(52)이 형성된 텐션지지구(50)가 형성된다.
상기 텐션지지구(50)는 텐션부(51)와 돌출봉(52)으로 형성된다.
상기 텐션부(51)는 압축스프링의 형태로 작동밸브(30)가 상승할 때 상부덮개(14)의 상단내벽에 의해서 돌출봉(52)이 눌릴 때 압착된다.
상기 돌출봉(52)은 작동밸브(30)의 유입홀(33)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유입홀(33)은 작동밸브(30)가 상하작동할 때 돌출봉(52)에 의해서 청소가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유입홀(33)에 삽입되는 수직부(62)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수직하게 휘어져서 유입공간부를 감싸도록 휘어진 곡선유동부(61)가 형성되는 유동구(60)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구(60)는 세척수가 배출홀(12a)로 빠져나가는 유동이나, 유입홀(33)로 세척수가 유입될 때 발생하는 세척수의 유동에 의해서 곡선유동부(61)와 수직부(62)가 심하게 흔들리게되어 유입홀(33)을 청소할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작동밸브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는 몸체(10)의 내부에서 배출홀(12a)을 개폐하는 밸브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입홀(33)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작동밸브(30)의 상단으로 유입되어 그 압력으로 배출홀(12a)을 막는 작동을 한다.
상기 유입홀(33)은 작게 형성된 홀로 너무 넓게 형성하면 작동밸브의 작동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세척수가 배출되지 못하고 소음 등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텐션지지구(50)는 작동밸브(30)가 상승할 때 돌출봉(52)이 상부덮개(14)의 내부상단에 닿으면서 텐션부(51)가 압축되었다가 작동밸브(30)가 하강할 때 팽창하여 돌출봉(52)이 원위치 되므로 돌출봉(52)이 유입홀(33)의 내부에서 상하반복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유동구(60)는 작동밸브(30)가 상승하강할 때 세척수가 유동하게 되고, 이때, 곡선유동부(61)를 흔들어주어 수직부(62)가 유입홀(33)의 내부에서 흔들리면서 청소하게 된다.
상기 유입홀(33)에 본 발명의 텐션지지구(50) 혹은 유동구(60)의 돌출봉(52)과 수직부(62)는 유입홀(33) 내부에서 계속 움직여서 청소하므로, 물이끼나 이물질이 끼일 수 없다.
본 발명의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에 의하면 작동밸브가 작동될 때 마다 유입홀을 직접 청소해주기 때문에 유입홀이 물이끼나 이물질에 의해 막히지 않아 장기간 사용으로도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유입홀이 전혀 막히지 않으므로 세척수의 유출양은 일정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세척수가 절약되며, 간단한 구조의 텐션지지구나 유동구를 유입홀에 직접삽입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직접적으로 유입홀을 청소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 : 몸체 20 : 구동부
30 : 작동밸브 31 : 유입공간부
32 : 유출홀 33 : 유입홀
34 : 상부패킹 35 : 하부패킹
36 : 상승가이드 38 : 작동부
50 : 텐션지지구 51 : 텐션부
52 : 돌출봉 60 : 유동구
61 : 곡선유동부 62 : 수직부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플래시밸브의 내부의 관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일반적인 작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작동밸브는 원통형으로 가운데에 유입공간부가 형성되고, 내부 가운데에는 유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출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작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부에서 상단까지 관통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단주연부에는 상부패킹이 형성되며, 하단주연부에는 하부패킹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돌출된 상승가이드가 형성되되,
    상기 유입공간부에는 유입홀에 삽입되는 수직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수직하게 휘어져서 유입공간부를 감싸도록 휘어진 곡선유동부가 형성되는 유동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
KR1020120030264A 2012-03-24 2012-03-24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 KR101351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264A KR101351308B1 (ko) 2012-03-24 2012-03-24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264A KR101351308B1 (ko) 2012-03-24 2012-03-24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007A KR20130108007A (ko) 2013-10-02
KR101351308B1 true KR101351308B1 (ko) 2014-01-14

Family

ID=4963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264A KR101351308B1 (ko) 2012-03-24 2012-03-24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3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123A (ja) * 1999-02-25 2000-09-05 Toto Ltd フラッシュバルブ
KR100902565B1 (ko) * 2009-02-21 2009-06-11 이현수 절수형 플래시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123A (ja) * 1999-02-25 2000-09-05 Toto Ltd フラッシュバルブ
KR100902565B1 (ko) * 2009-02-21 2009-06-11 이현수 절수형 플래시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007A (ko)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528959A5 (ko)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KR101351308B1 (ko) 플래시밸브용 작동밸브
CN103074926B (zh) 一种双控模式的除臭排水阀
JP2015520308A (ja) 節水便器
KR100756933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JP5094873B2 (ja) 節水型洋式便器
CN204500476U (zh) 儿童浴盆
CN203546841U (zh) 多功能防臭地漏
CN108049471B (zh) 一种便于清洗的马桶
CN203284859U (zh) 一种双控模式的除臭排水阀
CN207362986U (zh) 一种家用卫生间地漏
CN206408703U (zh) 一种冲厕水箱
CN105908814A (zh) 带自关闭进水的马桶水箱
CN208056210U (zh) 一种紧凑防臭型面盆弹跳下水器
KR100902565B1 (ko) 절수형 플래시밸브
CN208455758U (zh) 一种活塞式直冲防臭马桶冲水装置
KR101209156B1 (ko) 절수형 플래시밸브
KR200412531Y1 (ko) 배수조용 접속구
CN211447133U (zh) 一种下水器
CN212866242U (zh) 一种干湿分离卫生间的干区下水管防臭装置
CN203334392U (zh) 坐垫圈自动回位的虹吸式坐便器
KR200333403Y1 (ko) 오수관 청소용 압축기
CN203196425U (zh) 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