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712B1 -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sharing service of online cont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sharing service of online cont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712B1
KR101350712B1 KR1020120115647A KR20120115647A KR101350712B1 KR 101350712 B1 KR101350712 B1 KR 101350712B1 KR 1020120115647 A KR1020120115647 A KR 1020120115647A KR 20120115647 A KR20120115647 A KR 20120115647A KR 101350712 B1 KR101350712 B1 KR 101350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online content
server
user terminal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6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유석
김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라이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라이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라이패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7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93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messaging or chat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method and a server for providing sharing service of online content which enable a user to share information about various goods or services distributed online among acquaintances promptly. The method for providing sharing service of online content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in which a server generates identification tag about online content; a step in which a first user terminal selects the online content by using the identification tag; a step in which the server provides a friend list of a first user for the first user terminal; a step in which the first user terminal requests to share the online content with a second user of the friend list of the first user; a step in which the server provides a real-time chatting window for the first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sharing request; and a step in which the server provides detail information about the online content through the chatting window.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301) Generate identification tag about online content on internet; (S303) Provide friend list for first user if first user selects online content using identification tag; (S305) Receive sharing request of online content about second user of friend list from first user; (S307) Provide notification service about sharing request for second user; (S309) Provide real-time chatting window for first and second user; (S311) Provide information about online content for first and second user through chatting window; (S313) Store online content sharing history between first user and second user in specific SNS site

Description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기록매체{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SHARING SERVICE OF ONLINE CONT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Server for providing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method of providing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method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SHARING SERVICE OF ONLINE CONT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유통되는 다양한 콘텐츠의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service for sharing various contents distributed online.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장이 보편화되었고, 최근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에 기반한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 산업이 크게 성장하였다.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수많은 인터넷 쇼핑몰과 소셜커머스 사이트들을 통해 온라인 쇼핑을 하는 데에 익숙해져 있으며, 이러한 소비자들은 온라인 상에서 전자 기기와 같은 단순한 물품 외에도 영화, 콘서트 등의 공연 관람 티켓, 특정 음식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뉴 쿠폰, 피부관리 샵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 쿠폰, 여행지의 숙소 이용권 등 매우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한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e-commerce market using the Internet has become commonplace, and the social commerce industry ba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has recently grown significantly. Today's consumers are accustomed to shopping online through numerous Internet shopping malls and social commerce sites, which can be used for online shopping, tickets for performances such as movies and concerts, and for restaurants. You can buy a wide variety of products and services, including menu coupons, service coupons that can be used in skin care shops, and accommodation vouchers for travel destinations.

그런데, 위와 같이 온라인 상에서 유통되는 서비스 관련 상품들의 대부분은 사람들이 함께 소비하는 형태, 즉, 연인, 친구 또는 서로 친밀한 관계에 있는 지인들이 함께 먹고, 마시고, 보고, 즐길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된다. 그러나, 현재 온라인 쇼핑몰과 소셜 커머스 업체들은 특정 사용자가 자신이 관심 있는 상품을 발견했을 때 이를 즉각적으로 지인들과 공유하고 함께 이야기하며 그 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 A가 자신의 지인 B와 함께 방문하고자 하는 음식점의 쿠폰을 구매하려고 하는 경우, B에게 그 쿠폰에 대해 알려주기 위해서는 전화나 문자 등을 통해 직접 설명하거나, 별도의 메신저 등을 통해 인터넷 페이지의 링크 주소를 알려주어 B가 직접 그 페이지에 접속하여 쿠폰의 내용을 확인하도록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실정이다. 즉, 기존의 온라인 쇼핑몰 또는 소셜 커머스 플랫폼에서는 소비자들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고 소비할 수 있는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개개인이 독립적으로 소비하는 상품처럼 이를 구매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most of the service-related products circulated online a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in the form that people consume together, ie, lovers, friends or acquaintances in intimate relationships can eat, drink, watch and enjoy together. However, online shopping malls and social commerce companies do not provide an online platform where a specific user can immediately find a product they are interested in, share it with acquaintances, talk together, and store the content. For example, if a user A wants to purchase a coupon of a restaurant that he wants to visit with his acquaintance B, in order to inform B about the coupon, he or she may explain it in person by phone or text, or use a separate messenger. Through the link address of the Internet page through the B to directly access the page to check the contents of the coupon to take the inconvenience. That is, in the existing online shopping mall or social commerce platform, there is a problem that consumers can purchase it like a product consumed independently by each other even though it is a service that consumers can share and consume with other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온라인 상에서 유통되는 다양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지인들 간의 즉각적인 정보 공유 및 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a method for enabling instant information sharing and communication among friends about various products or services distributed online. do.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버가 인터넷 상의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식별 표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 표지를 이용하여 상기 온라인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 제 1 사용자의 친구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해 상기 제 1 사용자의 친구 목록 중 제 2 사용자와의 공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채팅창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채팅창을 통해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wherein a server generates an identification mark for online content on the Internet, and a first user terminal uses the identification mark. Selecting content, the server providing a first user's friend list to the first user terminal, the first user terminal with a second user of the first user's friend list for the online content Requesting sharing, the server providing a real-time chat window to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in response to the sharing request, and the server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online content through the chat window. Steps.

상기 온라인 콘텐츠의 선택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 표지를 선택하여 드래그(drag)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사용자와의 공유 요청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드래그한 식별 표지를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가져다 놓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lection of the online content is perform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selecting and dragging the identification mark, and the request for sharing with the second user includes the identification mark dragg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By bringing it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간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내역을 특정 SNS 사이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erver storing the online content sharing histo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in a specific SNS si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공유 요청시에 상기 제 2 사용자가 온라인 접속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상기 공유 요청에 대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tification service for the sharing request to the second user terminal when the second user is not in an online connection state at the time of the sharing request.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버가 인터넷 상의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식별 표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 표지를 이용하여 상기 온라인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해 상기 서버에 회원으로 등록되지 않은 제 2 사용자와의 공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채팅이 가능한 임시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임시 인터넷 주소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임시 인터넷 주소에 접속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채팅창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채팅창을 통해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content service,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by a server, an identification mark for online content on a Internet, a first user terminal selecting the online content by using the identification mark, Requesting a first user terminal to share the online content with a second user who is not registered as a member of the server, wherein the server uses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Generating a temporary internet address capable of real-time chat through the server; transmitting, by the server,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to the second user terminal;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accesses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the server transmits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to the first internet terminal; And providing a real-time chat window to a second user terminal and the server through the chat window.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online content.

상기 공유 요청 단계에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 상기 제 2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제공하고, 상기 임시 인터넷 주소 생성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임시 계정 및 승인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승인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인터넷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sharing request step, the first user terminal provides the server's telephone number to the server, and in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generation step, the server uses the temporary user's phone number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user. An authorization code may be generated and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may be generated using the authorization code.

상기 임시 인터넷 주소는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S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인터넷 상의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식별 표지를 생성하는 콘텐츠 관리부, 사용자의 친구 요청 및 상대방의 수락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를 친구 그룹으로 설정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 및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2 사용자에 대한 상기 온라인 콘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채팅창 및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공유 처리부를 포함한다.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ent manager that generates an identification mark for online content on the Internet, a plurality of users connected through a friend request of the user and the acceptance of the other party as a friend group. Receiving a request for sharing the online content for a second user from a user management unit and a first user terminal to manage, and in response to the sharing request to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in detail the real-time chat window and the online content It includes a sharing processing unit for providing information.

상기 공유 처리부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 표지를 선택하여 드래그(drag)하면 상기 제 1 사용자의 친구 목록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드래그한 식별 표지를 상기 친구 목록 중 제 2 사용자에게 가져다 놓음으로써 상기 공유 요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sharing processor,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selects and drags the identification mark, provides the friend list of the first us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mark dragg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The sharing request may be made by dropping a to a second user of the friend list.

또한, 상기 공유 처리부는, 상기 제 2 사용자가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채팅이 가능한 임시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임시 인터넷 주소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임시 인터넷 주소에 접속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채팅창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임시 계정 및 승인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승인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인터넷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ring processing unit, if the second user is not registered as a member,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o generate a temporary Internet address for real-time cha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accesses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a real time chat window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At this time, a temporary account and an authorization code may be generated us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user provid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may be generated using the authorization co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간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내역을 특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사이트에 저장하는 SNS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SNS interlocking unit for storing the online content sharing histo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in a specific social network service (SNS) site. .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상에서 유통되는 다양한 종류의 온라인 콘텐츠에 대해 지인들 간의 즉각적인 정보 공유 및 대화가 가능하고, SNS 사이트와의 연동을 통해 공유 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온라인 콘텐츠와 연계된 지인들 간의 커뮤니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share information and conversations among friends about various types of online contents circulated online, and make a database of sharing details through interworking with SNS sites to make a community among friends connected with online conten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mplemented.

특히,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을 적용하여 간단한 마우스 또는 화면 조작만으로 지인들 간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by applying a drag-and-drop method, it is possible to share online content among acquaintances with a simple mouse or screen manipulation.

또한, 서비스 사이트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의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이용해 실시간 채팅이 가능한 임시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고 이를 문자메시지(SMS) 등의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미가입 사용자와도 콘텐츠 공유 및 실시간 채팅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는 콘텐츠 공유의 편의성을, 업체 입장에서는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creating a temporary Internet address for real-time chat using information such as the phone number of the user who does not subscribe to the service site and providing it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SMS), content sharing and real-time chat with non-subscribed users This is possible, through which the convenience of content sharing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nd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advertising effect from the company's point of view.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가 제공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이용한 콘텐츠 공유 과정이 실제로 구현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system provided with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7 are views showing a screen in which the content sharing process using the drag and drop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implemented.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ich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가 제공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ystem provided with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110)와 연동되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유/무선 통신망(120) 및 다수의 사용자(130)가 유/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서버(10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131, 132, 133, 134 …)을 포함한다. 사용자들은 각자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31, 132, 133, 134 …)은 인터넷을 통해 서버(100)에 접속 가능한 PC,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전자 통신 기기를 모두 포함한다.1 and 2,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linked to a plurality of Internet shopping mall sites 110,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20, and A plurality of users 130 include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31, 132, 133, 134... To access the server 10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20 to receive a service. Users can be provided with services using their own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131, 132, 133, 134…) is a PC, laptop, smartphone, tablet PC, etc.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erver 100 over the Internet Includes all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인터넷 상의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식별 표지를 생성하는 콘텐츠 관리부(210), 사용자의 친구 요청 및 상대방의 수락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를 친구 그룹으로 설정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220) 및 제 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사용자의 친구 그룹에 속한 제 2 사용자에 대한 상기 온라인 콘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간에 실시간 대화가 가능한 채팅창 및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유 처리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들 간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내역을 특정 SNS 사이트에 저장하는 SNS 연동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may set and manage a plurality of users connected through a content manager 210 that generates an identification mark for online content on the Internet, a plurality of users connected through a friend request of the user and the other party's acceptance. Receive a request for sharing the online content for a second user belonging to a friend group of the first user from a user manager 220 and a first user, and real-time convers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in response to the sharing request And a sharing processing unit 230 for providing a chat window and information on the online content. In addition, the SNS interlocking unit 240 may further include an online content sharing history between users in a specific SNS site.

여기에서, "온라인 콘텐츠"란 각종 인터넷 쇼핑몰에 등록된 상품, 영화나 공연 등의 관람 티켓, 소셜 커머스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쿠폰(또는 딜) 및 디지털 콘텐츠 등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유통되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를 포함하는 개념이다.Here, "online content" means all goods and services distributed online via the Internet, such as products registered in various Internet shopping malls, tickets for watching movies and performances, coupons (or deals) provided on social commerce sites, and digital content. The concept includes.

콘텐츠 관리부(210)는 온라인 콘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 표지를 생성한다. 식별 표지는 인터넷 상의 쇼핑몰 등에 등록되어 있는 각 상품 또는 서비스의 공유가 가능함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아이콘과 같은 형태로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상품명 등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성된 식별 표지는 여러 쇼핑몰 또는 소셜 커머스 사이트에 등록된 온라인 콘텐츠들을 모아놓은 별도의 메타사이트 내에 해당 온라인 콘텐츠의 제목(상품명) 등과 함께 표시되거나, 또는 원래 등록되어 있던 쇼핑몰 화면 내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식별 표지의 생성 코드를 Open API(Application Programmable Interface) 방식으로 인터넷 쇼핑몰 또는 소셜커머스 업체에 제공함으로써 해당 사이트 내에 식별 표지가 직접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표지 정보 및 온라인 콘텐츠 관련 정보는 서버(100) 내의 콘텐츠 정보 DB(250)에 저장된다.The content manager 210 generates an identification mark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nline contents. The identification mark serves to inform that sharing of each product or service registered in a shopping mall or the like on the Internet is possible, and may be generated in the form of an icon and displayed together with a brand name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Specifically,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mark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title (product name) of the online content or the like in a separate metasite that collects the online contents registered in various shopping malls or social commerce sites, or together in the screen of the shopping mall that was originally registered. Can be. In the latter case, the identification mark may be directly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site by providing the generation code of the identification mark to an Internet shopping mall or a social commerce company through an Open API (Application Programmable Interface) method. The identification mark information and the online content related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DB 250 in the server 100.

사용자 관리부(220)는 사용자 개개인이 온라인 상에서 자신의 지인들과 친구 관계를 맺고 쿠폰을 공유할 수 있도록 친구 검색 및 등록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로부터 친구 검색을 위한 키워드(아이디, 이름 등)를 입력받으면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들을 검색하여 사용자 목록을 제공하고, 이 중 제 1 사용자가 친구를 맺고자 하는 제 2 사용자를 선택하면, 제 2 사용자에게 친구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제 2 사용자가 친구 요청을 수락할 경우 제 1 사용자의 친구 그룹 내에 제 2 사용자가 추가된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정보는 모두 사용자 정보 DB(260)에 저장된다.The user manager 220 provides a friend search and registration function so that each user can make a friend relationship with friends online and share a coupon. For example, when a keyword (ID, name, etc.) for a friend search is input from a first user, a user list is searched for by users matching the corresponding conditions, and the second user who wants to make a friend When the user is selected, the friend request message is delivered to the second user. If the second user accepts the friend request, the second user is added to the friend group of the first user. All of these user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DB 260.

공유 처리부(230)는 친구 관계에 있는 사용자들이 관심 있는 온라인 콘텐츠를 서로 공유하고 함께 소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공유 처리부(230)는 제 1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식별 표지를 이용하여 특정 온라인 콘텐츠를 선택하면 제 1 사용자에게 친구 목록을 제공하고, 제 1 사용자로부터 친구 목록 중 제 2 사용자에 대한 온라인 콘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공유 요청 처리부(231) 및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2 사용자에게 채팅창을 제공하고, 채팅창을 통해 선택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채팅 정보 처리부(233)를 포함한다.The sharing processor 230 allows users who are friends to share and consume online content of interest with each other. To this end, the sharing processor 230 provides a friend list to the first user when the first user selects specific online content using the identification mar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from the friend list from the first user. A sharing request processing unit 231 for receiving a sharing request for online content for the second and a cha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providing a chat window to the first and second users in response to the sharing request,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online content through the chat window; 233.

공유 요청 처리부(231)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식별 표지의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을 통해 매우 간편하게 온라인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사용자가 특정 온라인 콘텐츠의 식별 표지를 마우스 커서 등으로 선택하여 드래그하면 제 1 사용자의 친구 목록이 곧바로 화면에 표시되고, 드래그한 식별 표지를 화면 상의 친구 목록 중 공유를 원하는 제 2 사용자에게 가져다 놓음으로써 공유 요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sharing request processor 231 may provide a function of sharing online content very simply through drag and drop of an identification mark displayed on a screen of a user terminal. Specifically, when a first user selects and drags an identification mark of a specific online content with a mouse cursor, the friend list of the first user is immediately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econd mark that is to be shared among the friends list on the screen is dragged. By dropping it on to the user, the sharing request can be made.

공유 요청이 수신되면, 채팅 정보 처리부(233)는 제 1, 2 사용자 간에 실시간 대화가 가능한 채팅창을 생성하고, 생성된 채팅창을 통해 공유된 온라인 콘텐츠의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제 1, 2 사용자는 채팅창에서 자유롭게 대화를 나눌 수 있고, 온라인 콘텐츠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링크를 통해 해당 콘텐츠의 상품 또는 서비스가 판매 중인 사이트로 이동하여 이를 직접 구매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들 간의 공유 내역 및 채팅창에서의 대화 내역은 공유 정보 DB(270)에 저장되며, 웹페이지 또는 모바일 단말의 UI(User Interface)에 콘텐츠 공유 목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제 1 또는 제 2 사용자가 콘텐츠 공유 목록에서 공유된 온라인 콘텐츠를 선택하면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와 현재까지의 대화 내역이 저장된 채팅창이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언제든지 채팅창에서 대화를 계속 이어나갈 수 있고, 추가된 대화 내역은 다시 공유 정보 DB(270)에 저장된다.When the sharing request is received, the cha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33 generates a chat window capable of real time convers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and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hared online content through the generated chat window. The first and second users can freely chat in a chat window, check detailed information of online content, and go directly to a site where a product or servic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sold through a link and directly purchase it. The sharing history between the users and the conversation history in the chat window may be stored in the sharing information DB 270 and displayed as a content sharing list on a web page or a UI (User Interface) of the mobile terminal. Thereafter, when the first or second user selects the shared online content from the content sharing list, the chat window in which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product or service and the conversation history up to now may be displayed again. Through this, users can continue the conversation at any time in the chat window, the added chat history is stored in the shared information DB 270 again.

이 때, 사용자가 광고업자 등으로부터 무분별한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등의 방해를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등록된 친구가 공유를 요청하는 경우에만 채팅창을 생성하거나, 또는 먼저 제 1 사용자의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제 2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제 2 사용자가 이를 수락할 경우에만 채팅창을 생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공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disturbed such as receiving an indiscriminate sharing request from an advertiser or the like, a chat window is generated only when a registered friend requests sharing, or first, a sharing request message of a first user. The sharing function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sending a to a second user and creating a chat window only when the second user accepts it.

또한, 공유 처리부(230)는 제 1 사용자로부터 공유 요청을 수신했을 때 제 2 사용자에게 공유 요청에 대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알림 서비스 제공부(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서비스는 문자 메시지, 메신저, 쪽지, 메일 등 제 2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공유 요청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수단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알림 서비스는 제 2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태일 때와 온라인 상태일 때 서로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오프라인 상태일 때는 핸드폰 문자, 스마트폰의 모바일 메신저 또는 이메일 등으로, 온라인 상태일 때는 온라인 메신저나 쪽지 등으로 제 1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알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ring processing unit 230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service provider 235 which provides a notification service for the sharing request to the second user when receiving the sharing request from the first user. The notification service may be provided using any means for allowing a second user to check the contents of the sharing request in real time through a user terminal, such as a text message, a messenger, a message, or an email. The notification service may be provided in a different form when the second user is offline and when the user is online. The notification service may be a text message on a mobile phone, a mobile messenger or an e-mail on a smartphone, or an online messenger or a message when online. The sharing request of the first user can be informed.

또한, 공유 처리부(230)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가 제공되는 사이트에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와도 콘텐츠 공유 및 실시간 채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임시 URL 생성부(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임시 URL 생성부(237)는 제 1 사용자가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제 2 사용자가 서비스 미가입 상태일 경우, 제 1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2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채팅이 가능한 임시 인터넷 주소(URL)를 생성하고, 이를 문자메시지(SMS) 형태로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임시 계정 및 승인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승인코드를 이용하여 임시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문자 메시지를 받은 제 2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임시 인터넷 주소에 접속하면, 제 1, 2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채팅창과 함께 공유된 콘텐츠의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ring processing unit 230 may further include a temporary URL generation unit 237 that enables content sharing and real-time chat with a user who is not registered as a member of a site on which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is provided. The temporary URL generator 237 performs real-tim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provided from the first user when the second user to which the first user wants to share content is in the unsubscribed state. A temporary internet address (URL) capable of chatting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SMS). In this case, a method of generating a temporary account and an authorization code using a phone number of the second user provid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a temporary internet address using the generated authorization code may be used. Subsequently, when the second user who receives the text message accesses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through the terminal,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hared 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along with the real-time chat window.

SNS 연동부(240)는 위와 같은 제 1, 2 사용자 간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내역을 특정 SNS 사이트에 저장한다. 제 1, 2 사용자 각각은 자신의 계정으로 SNS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 1, 2 사용자와 친구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지인들에게도 공유 내역이 알려질 수 있다.
The SNS linker 240 stores the online content sharing histo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as described above in a specific SNS sit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users may log in to the SNS site using their own account and check the information. The sharing details may be known to other friends who have friends with the first and second user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이용하여 소셜 커머스의 메타 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콘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이 실제로 구현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to 7 are online provided through a meta commerce site of social commerce using a drag and drop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showing a screen in which a process of sharing content is actually implemented. 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먼저, 인터넷 상의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식별 표지를 생성한다(S301). First, an identification mark for online content on the Internet is generated (S301).

도 4는 소셜 커머스의 메타 사이트에 온라인 콘텐츠들, 즉, 소셜 커머스 딜들이 표시되고, 각각의 온라인 콘텐츠에 공유를 위한 식별 표지(손가락 모양)가 생성되어 있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online contents, that is, social commerce deals are displayed on a meta commerce meta site, and an identification mark (finger shape) for sharing is generated in each online content.

이어서, 제 1 사용자가 생성된 식별 표지를 이용하여 온라인 콘텐츠를 선택하면 제 1 사용자에게 친구 목록을 제공하고(S303), 제 1 사용자로부터 친구 목록 중 제 2 사용자에 대한 온라인 콘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한다(S305). 이 과정은 식별 표지의 드래그 앤 드롭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온라인 콘텐츠의 식별 표지를 선택하여 마우스로 드래그하면 제 1 사용자의 친구 목록이 화면에 표시되고, 이 중 제 2 사용자에게로 식별 표지를 가져다 놓음(drop)으로써 공유 요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first user selects the online content by using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mark, the first user is provided with a friend list (S303), and the first user receives a request for sharing the online content for the second user from the friend list. (S305). This process may be performed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identification mark. Specifically, when the first user selects and drags the identification mark of the online content to share, the friend list of the first us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by dropping the identification mark to the second user, The sharing request can be made.

도 5는 제 1 사용자가 도 4의 화면에서 마우스를 이용해 특정 온라인 콘텐츠("우미일식" 딜)의 식별 표지를 선택하여 드래그했을 때 제 1 사용자의 친구 목록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때 친구 목록 중 한 명을 선택하거나, "여러명의 상대와 공유하기"를 선택하여 다수의 사용자들과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ing a friend list of a first user when the first user selects and drags an identification mark of a specific online content ("uniday" deal) using a mouse on the screen of FIG. 4. At this time, you can select one of the friends list or select "Share with multiple people" to share the content with multiple users.

이어서, 제 2 사용자에게 공유 요청에 대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S307). 알림 서비스는 제 2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태일 때와 온라인 상태일 때 서로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 2 사용자가 온라인 접속 중인지를 먼저 확인하여 오프라인 상태일 때는 핸드폰 문자, 스마트폰의 모바일 메신저 또는 이메일 등으로, 온라인 상태일 때는 온라인 메신저나 쪽지 등으로 제 1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알릴 수 있다.Subsequently, a notification service for the sharing request is provided to the second user (S307). The notification service may be provided in a different form when the second user is offline and online. When the second user is offline, the notification service may be provided in a different form.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online, the sharing request of the first user may be notified by an online messenger or a message.

이어서, 제 1, 2 사용자 간에 실시간 대화가 가능한 채팅창을 제공한다(S309). 생성된 채팅창을 통해 공유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11).Subsequently, a chat window capable of real-time convers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is provided (S309).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hared online conten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generated chat window (S311).

도 6은 친구 목록 위에 식별 표지를 드롭했을 때 채팅창이 생성된 화면을 보여준다. 채팅창 상단의 링크를 통해 공유 요청된 온라인 콘텐츠를 구체적으로 확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다수의 사용자들이 대화를 나눌 수 있다.6 illustrates a screen in which a chat window is generated when an identification mark is dropped on a friend list. The link at the top of the chat window allows you to check the details of the online content requested to be shared, and allows multiple users to have a conversation.

도 7은 온라인 상태에서 친구들로부터 공유 요청을 수신하거나, 기존의 채팅창에 새로운 대화 내용이 입력되었을 때 해당 내용이 팝업(pop-up) 형태로 표시된 화면을 보여준다.FIG. 7 shows a screen in which a sharing request is received from a friend in an online state or when a new conversation content is input in an existing chat window, the content is displayed in a pop-up form.

이어서, 제 1, 2 사용자 간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내역을 특정 SNS 사이트에 저장한다(S315). 저장된 공유 내역은 제 1, 2 사용자와 그 지인들이 해당 SNS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보여질 수 있다.
Subsequently, the online content sharing histo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is stored in a specific SNS site (S315). The stored sharing details can be displayed wh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and their acquaintances access the corresponding SNS sit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도 9의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과정이 실제로 구현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2 사용자 단말은 모두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회원으로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와의 콘텐츠 공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to 11 are views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the online content sha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9 is actually implemented. .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are both smartphones capable of internet access. Hereinafter, a method of sharing content with a user who is not registered as a member of a service providing sit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먼저, 서버가 인터넷 상의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식별 표지를 생성한다(S801). 이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S301 단계와 동일하다.First, the server generates an identification mark for the online content on the Internet (S801). This is the same as step S30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이어서, 제 1 사용자가 식별 표지를 이용하여 특정 온라인 콘텐츠를 선택하고(S803),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제 2 사용자에게 공유를 요청한다(S805).Subsequently, the first user selects specific online content using the identification mark (S803), and requests sharing to a second user who is not registered as a member (S805).

도 9는 제 1 사용자가 온라인 콘텐츠 선택시 등록된 친구 목록을 제공함과 동시에,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공유 요청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미가입 사용자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보여준다.FIG. 9 shows a screen for inputting a name and a phone number of an unsubscribed user so that a first user may provide a list of registered friends when the online content is selected and send a sharing request message to a user who does not subscribe to the service.

이어서, 서버가 제 2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2 사용자 간에 실시간 채팅이 가능한 임시 인터넷 주소(URL)를 생성하고(S807), 이를 제 2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809). 이 때, 서버가 제 1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제 2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임시 계정 및 승인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승인코드를 이용하여 임시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server generates a temporary internet address (URL) capable of real time cha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S807), and transmits it to the second user (S809). At this time, the server may use a method of generating a temporary account and an authorization code us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user provided from the first user, and generating a temporary internet address using the generated authorization code.

이어서, 제 2 사용자가 단말에 표시된 임시 인터넷 주소(URL)에 접속하면 제 1, 2 사용자에게 실시간 채팅창을 제공한다(S811). 생성된 채팅창을 통해 공유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813).Subsequently, when the second user accesses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URL) displayed on the terminal, a real-time chat window is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users (S811).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hared online conten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generated chat window (S813).

도 10은 제 2 사용자 단말로 임시 인터넷 주소(URL)가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전송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2 사용자는 이를 클릭하여 간편하게 해당 주소로 접속할 수 있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 temporary internet address (URL) is transmitted to a second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The second user can simply click to access the address.

도 11은 제 1, 2 사용자에게 제공된 실시간 채팅창과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제 1, 2 사용자는 채팅창을 통해 자유롭게 대화를 나누고 콘텐츠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11 shows information on a real-time chat window and online content provided to first and second users. The first and second users can freely talk through the chat window and check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와도 손쉽게 온라인 콘텐츠의 공유 및 실시간 채팅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는 콘텐츠 공유의 편의성을, 업체 입장에서는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such,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share online content and real-time chat with users who do not subscribe to the service providing site, thereby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content sharing for the user and the effect of advertising for the company. It works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로 제작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예로써,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 플래시(Flash) 메모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반송파(carrier wave) 형태로 구현되는 것(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duc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media in which programs and data are stored so that they can be read by a computer-implemented system. Examples of the storage medium include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CD (Compact Disk), DVD (Digital Video Disk), Flash memory,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Such a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may be stored and executed.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15)

인터넷 상의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통해 사용자 등록 및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친구 등록을 수행한 사용자들의 정보가 저장된 서버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식별 표지를 생성하고, 제 1 사용자 단말로 상기 식별 표지를 포함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 표지를 선택하여 드래그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상기 화면 일측면으로 상기 제 1 사용자의 친구 목록이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사용자의 친구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드래그한 식별 표지를 상기 친구 목록 중 제 2 사용자에게 가져다 놓으면,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채팅창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채팅창을 통해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by a server storing information of users who have registered users and registered friends with other users through a site providing a sharing service for online content on the Internet,
Generating, by the server, an identification mark for the online content, and providing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scree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mark to a first user terminal;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selects and drags the identification mark, the server provides a friend list of the first user so that the friend list of the first user can b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Making;
If the first user terminal brings the dragged identification mark to a second user in the friend list, providing a real-time chat window to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by the server; And
Providing, by the server,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online content through the chat window;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표지는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응되는 아이콘 형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dentification mark is generated in the form of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online content
How to Offer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콘텐츠는 인터넷 쇼핑몰의 상품, 영화나 공연의 관람 티켓, 소셜 커머스 쿠폰 또는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online content may include a product of an internet shopping mall, a ticket to watch a movie or a performance, a social commerce coupon, or a digital content.
How to Offer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간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내역을 특정 SNS 사이트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toring, by the server, an online content sharing histo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in a specific SNS sit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요청시에 상기 제 2 사용자가 온라인 접속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상기 공유 요청에 대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roviding a notification service for the sharing request to the second user terminal when the second user is not online when the sharing request is mad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인터넷 상의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통해 사용자 등록 및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친구 등록을 수행한 사용자들의 정보가 저장된 서버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식별 표지를 생성하고, 제 1 사용자 단말로 상기 식별 표지를 포함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 표지를 드래그(drag)하여 상기 온라인 콘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상기 화면 일측면으로 상기 서버에 회원으로 등록되지 않은 제 2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는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입력창에 상기 제 2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와의 공유를 요청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실시간 채팅이 가능한 임시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임시 인터넷 주소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임시 인터넷 주소에 접속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채팅창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채팅창을 통해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by a server storing information of users who have registered users and registered friends with other users through a site providing a sharing service for online content on the Internet,
Generating, by the server, an identification mark for the online content, and providing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scree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mark to a first user terminal;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selects the online content by dragging the identification mark, the phone number of the second user who is not registered as a member of the server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Providing an input screen on which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text is displayed;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requests to share with the second user by inputting the phone number of the second user in the input window, the server allows the real-time chat using the phone number of the second user. Generating an address;
Sending, by the server,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to the second user terminal;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accesses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providing a real-time chat window to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by the server; And
Providing, by the server,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online content through the chat window;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인터넷 주소 생성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임시 계정 및 승인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승인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generation step, the server generates a temporary account and an authorization code using the phone number of the second user, and generates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using the authorization code.
How to Offer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인터넷 주소는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SMS)
How to Offer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간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내역을 특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사이트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rver storing the online content sharing histo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in a specific social network service (SNS) sit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인터넷 상의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식별 표지를 생성하는 콘텐츠 관리부;
사용자의 친구 요청 및 상대방의 수락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를 친구 그룹으로 설정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 및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 표지를 선택하여 드래그(drag)하면 상기 제 1 사용자의 친구 목록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드래그한 식별 표지를 상기 친구 목록 중 제 2 사용자에게 가져다 놓으면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채팅창 및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공유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관리부에서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식별 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 상기 식별 표지를 포함한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면,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식별 표지를 선택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상기 화면 일측면으로 상기 제 1 사용자의 친구 목록이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사용자의 친구 목록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
A content management unit which generates an identification mark for online content on the Internet;
A user manager configured to set and manage a plurality of users connected through friend requests of the user and acceptance of the other party as a friend group; And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selects and drags the identification mark, the friend list of the first user is provid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dragging identification mark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drags is selected from the friend list. And a sharing processor configured to provide a real-time chat window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online content to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when brought to the user.
Whe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generates an identification mark for the online content and provides an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scree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mark to the first user terminal, the first user terminal selects and drags the identification mark to the first user terminal. A friend list of the first user is provided so that a friend list of the first user can b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삭제delet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처리부는
상기 제 2 사용자가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채팅이 가능한 임시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임시 인터넷 주소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임시 인터넷 주소에 접속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채팅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haring processing unit
If the second user is not registered as a member, a temporary internet address capable of real-time cha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is generated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and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is stored as the second user. And transmitting to a second user terminal, and providing a real time chat window to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accesses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sion server.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처리부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 2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임시 계정 및 승인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승인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haring processing unit
Generating a temporary account and an authorization code by us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user provid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the temporary internet address using the authorization cod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sion serv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사용자 간의 온라인 콘텐츠 공유 내역을 특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사이트에 저장하는 SNS 연동부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
12. The method of claim 11,
SNS linkage unit for storing the online content sharing histo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in a specific social network service (SNS) site
Online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further comprising.
KR1020120115647A 2012-08-24 2012-10-17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sharing service of online cont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35071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3224 2012-08-24
KR1020120093224 2012-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712B1 true KR101350712B1 (en) 2014-01-14

Family

ID=5014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647A KR101350712B1 (en) 2012-08-24 2012-10-17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sharing service of online cont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712B1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2599A1 (en) * 2014-02-11 2015-08-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Terminal and service provision apparatus, electronic wallet system including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WO2015152473A1 (en) * 2014-04-01 2015-10-08 한승훈 Point-based content sharing method
KR101586688B1 (en) * 2014-08-19 2016-01-20 주식회사 카카오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sharing contents
KR20160053464A (en) * 2014-11-04 2016-05-13 주식회사 유비온 Method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learning contents via social learning, and user device and social learning server therefor
KR101626729B1 (en) * 2015-11-25 2016-06-02 주식회사 티엔디엔 visiting site information sharing system
WO2016171515A1 (en) * 2015-04-24 2016-10-27 주식회사 카카오 Method for transferring user's uploaded contents to user-related chat room, and contents-sharing apparatus and application implementing same
KR20170083142A (en) * 2014-11-20 2017-07-1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Methods for presenting contact information and determining contact information and related devices
WO2019203866A1 (en) * 2018-04-20 2019-10-24 Facebook, Inc. Assisting users with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mong social connections
US11307880B2 (en) 2018-04-20 2022-04-19 Meta Platforms, Inc. Assisting users with personalized and contextual communication content
US11676220B2 (en) 2018-04-20 2023-06-13 Meta Platforms, Inc. Processing multimodal user input for assistant systems
US11715042B1 (en) 2018-04-20 2023-08-01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Interpretability of deep reinforcement learning models in assistant systems
US11886473B2 (en) 2018-04-20 2024-01-30 Meta Platforms, Inc. Intent identification for agent matching by assistant systems
US12001862B1 (en) 2018-09-19 2024-06-04 Meta Platforms, Inc. Disambiguating user input with memorization for improved user assista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151A (en) * 2009-04-30 2010-11-09 주식회사 브랜업 Method using blog with experience-information of companies
KR20110090471A (en) * 2010-02-04 2011-08-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toolbar
KR20120042702A (en) * 2010-10-25 201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television contents based social network,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elevision content sharing service based social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151A (en) * 2009-04-30 2010-11-09 주식회사 브랜업 Method using blog with experience-information of companies
KR20110090471A (en) * 2010-02-04 2011-08-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toolbar
KR20120042702A (en) * 2010-10-25 201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television contents based social network,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elevision content sharing service based social network

Cited B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4395B2 (en) 2014-02-11 2018-12-11 Sk Planet Co., Ltd. Terminal and service providing device, electronic walle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WO2015122599A1 (en) * 2014-02-11 2015-08-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Terminal and service provision apparatus, electronic wallet system including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WO2015152473A1 (en) * 2014-04-01 2015-10-08 한승훈 Point-based content sharing method
KR20150114595A (en) * 2014-04-01 2015-10-13 한승훈 Method for sharing contents based on point objects
KR101638227B1 (en) * 2014-04-01 2016-07-20 한승훈 Method for sharing contents based on point objects
KR101586688B1 (en) * 2014-08-19 2016-01-20 주식회사 카카오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sharing contents
KR20160053464A (en) * 2014-11-04 2016-05-13 주식회사 유비온 Method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learning contents via social learning, and user device and social learning server therefor
KR101677805B1 (en) 2014-11-04 2016-11-18 주식회사 유비온 Method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learning contents via social learning, and user device and social learning server therefor
KR102124850B1 (en) 2014-11-20 2020-06-1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Methods for presenting contact information and determining contact information and related devices
KR20170083142A (en) * 2014-11-20 2017-07-1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Methods for presenting contact information and determining contact information and related devices
WO2016171515A1 (en) * 2015-04-24 2016-10-27 주식회사 카카오 Method for transferring user's uploaded contents to user-related chat room, and contents-sharing apparatus and application implementing same
KR101626729B1 (en) * 2015-11-25 2016-06-02 주식회사 티엔디엔 visiting site information sharing system
US11307880B2 (en) 2018-04-20 2022-04-19 Meta Platforms, Inc. Assisting users with personalized and contextual communication content
US11676220B2 (en) 2018-04-20 2023-06-13 Meta Platforms, Inc. Processing multimodal user input for assistant systems
US20210224346A1 (en) 2018-04-20 2021-07-22 Facebook, Inc. Engaging Users by Personalized Composing-Content Recommendation
US11231946B2 (en) 2018-04-20 2022-01-25 Facebook Technologies, Llc Personalized gesture recognition for user interaction with assistant systems
US11245646B1 (en) 2018-04-20 2022-02-08 Facebook, Inc. Predictive injection of conversation fillers for assistant systems
US11249774B2 (en) 2018-04-20 2022-02-15 Facebook, Inc. Realtime bandwidth-based communication for assistant systems
US11249773B2 (en) 2018-04-20 2022-02-15 Facebook Technologies, Llc. Auto-completion for gesture-input in assistant systems
US11301521B1 (en) 2018-04-20 2022-04-12 Meta Platforms, Inc. Suggestions for fallback social contacts for assistant systems
WO2019203866A1 (en) * 2018-04-20 2019-10-24 Facebook, Inc. Assisting users with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mong social connections
US11308169B1 (en) 2018-04-20 2022-04-19 Meta Platforms, Inc. Generating multi-perspective responses by assistant systems
US11368420B1 (en) 2018-04-20 2022-06-21 Facebook Technologies, Llc. Dialog state tracking for assistant systems
US11429649B2 (en) 2018-04-20 2022-08-30 Meta Platforms, Inc. Assisting users with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mong social connections
US11544305B2 (en) 2018-04-20 2023-01-03 Meta Platforms, Inc. Intent identification for agent matching by assistant systems
CN112313656A (en) * 2018-04-20 2021-02-02 脸谱公司 Facilitating e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mong social connections for users
US20230186618A1 (en) 2018-04-20 2023-06-15 Meta Platforms, Inc. Generating Multi-Perspective Responses by Assistant Systems
US11688159B2 (en) 2018-04-20 2023-06-27 Meta Platforms, Inc. Engaging users by personalized composing-content recommendation
US11704900B2 (en) 2018-04-20 2023-07-18 Meta Platforms, Inc. Predictive injection of conversation fillers for assistant systems
US11704899B2 (en) 2018-04-20 2023-07-18 Meta Platforms, Inc. Resolving entities from multiple data sources for assistant systems
US11715289B2 (en) 2018-04-20 2023-08-01 Meta Platforms, Inc. Generating multi-perspective responses by assistant systems
US11715042B1 (en) 2018-04-20 2023-08-01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Interpretability of deep reinforcement learning models in assistant systems
US11721093B2 (en) 2018-04-20 2023-08-08 Meta Platforms, Inc. Content summarization for assistant systems
US11727677B2 (en) 2018-04-20 2023-08-15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Personalized gesture recognition for user interaction with assistant systems
US11886473B2 (en) 2018-04-20 2024-01-30 Meta Platforms, Inc. Intent identification for agent matching by assistant systems
US11887359B2 (en) 2018-04-20 2024-01-30 Meta Platforms, Inc. Content suggestions for content digests for assistant systems
US11908179B2 (en) 2018-04-20 2024-02-20 Meta Platforms, Inc. Suggestions for fallback social contacts for assistant systems
US11908181B2 (en) 2018-04-20 2024-02-20 Meta Platforms, Inc. Generating multi-perspective responses by assistant systems
US12001862B1 (en) 2018-09-19 2024-06-04 Meta Platforms, Inc. Disambiguating user input with memorization for improved user assistance
US12008802B2 (en) 2021-06-29 2024-06-11 Meta Platforms, Inc. Execution engine for compositional entity resolution for assistant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712B1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sharing service of online cont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JP6377608B2 (en) Peer-supported shopping
US10068258B2 (en) Sponsored stories and news stories within a newsfeed of a social networking system
CA2703851C (en) Communicating information in a social networking website about activities from another domain
KR20170129706A (en) User communication with sellers via social networking system
WO2021205240A1 (en) Different types of text call services, centralized live chat applications and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mediums for caller and callee or communication participants
KR20090057464A (en) Mobile monetization
KR101783431B1 (en) Method for providing funding and consulting information related with entertainment by crowd funding system
WO2016176038A1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mmunication html content to a user's inbox as a native message
KR101533597B1 (en) Method for sharing product information and shopping mall server
JP6424274B2 (en) Method and server for generating chat message corresponding to product information on web page, and device for receiving chat message
US200902875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y-per-click satellite on a user desktop
KR101302344B1 (en) Method, Server,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NS-based Advertisement
KR101458374B1 (en) Web Messag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Context Awareness for Providing Social Commerce Service Broadening Marketing Campaign Channel
KR20100031091A (en) Network system for collaborating contents and method for collaborating contents
JP2014533412A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organizing and presenting offers through virtual channels
KR20120079774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advertisement by simplified procedure
TW202226113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TW202232411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US201402076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utation-building voluntary digital commerce
KR20150021089A (en) System and server for hotpack service, terminal for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hotpack service
US20130080337A1 (en) Social networking web site with dinner offer feature
KR20150127880A (en)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hatting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