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437B1 -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 Google Patents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437B1
KR101350437B1 KR1020130122059A KR20130122059A KR101350437B1 KR 101350437 B1 KR101350437 B1 KR 101350437B1 KR 1020130122059 A KR1020130122059 A KR 1020130122059A KR 20130122059 A KR20130122059 A KR 20130122059A KR 101350437 B1 KR101350437 B1 KR 101350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housing
extension cord
cord lin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혜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텍
Priority to KR1020130122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65H75/4431Manual stop or release 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대의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다수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는 전기 공급용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서로 일정 거리 떨어진 전자기기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각 서브탭들이 상호 분리되어 길이 연장이 가능하고, 각 서브탭들 간의 배선 처리와 탈부착이 용이한 분리형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칭 본체와, 상기 스위칭 본체로부터 연장코드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서브탭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탭 블럭은 권취부에 의해 감김 또는 풀림되는 연장코드선을 통해 이웃하는 것끼리 자력에 의해 강하게 밀착 결합되거나 길이가 연장되는 다수의 서브탭을 포함하는 분리형 멀티탭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일정 거리 떨어진 장소에 설치된 여러 대의 전자기기에 전원을 동시에 공급이 가능하고, 상호 분리된 각 서브탭들을 강하게 밀착 결합시켜 각 서브탭들 간의 배선 처리와 탈부착 특성을 개선시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LENGTH ADJUSTABLE SEPARATION TYPE MULTITAP}
본 발명은 여러 대의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다수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는 전기 공급용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서로 일정 거리 떨어진 전자기기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각 서브탭들이 상호 분리되어 길이 연장이 가능하고, 각 서브탭들 간의 배선 처리와 탈부착이 용이한 분리형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탭은 여러 대의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다수의 접속구가 구비된 이동식 콘센트로서, 하나의 멀티탭을 이용하여 동시에 여러 대의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가정이나 사업장 등에서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멀티탭은 보통 다수의 접속구가 일체로 배열되어 있고,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선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멀티탭과 비교적 원거리에 설치된 전자기기들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멀티탭을 추가로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멀티탭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멀티탭을 구매하여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구매 비용이 소요되었고, 일일이 멀티탭을 서로 접속해야 하기 때문에 배선 처리가 용이하지 않아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75467호(등록일 : 2007. 01. 2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61509호(등록일 : 2007. 09. 1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04346호(등록일 : 2010. 12. 21) 등에 분리형 멀티탭이 제안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75467호에서는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 본체에 보조 콘센트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보조 콘센트를 상기 콘센트 본체의 하측으로 이동시켜 콘센트 본체 및 보조 콘센트의 소켓을 동시에 사용하며, 보조 콘센트를 콘센트 본체에서 분리시키면 상기 보조 콘센트를 멀티탭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리형 전기 콘센트를 제안하여 보다 많은 수의 소켓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75467호에서는 상기 보조 콘센트가 상기 콘센트 본체의 양측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되는 구조로, 이러한 구조에서는 일일이 사용자가 상기 보조 콘센트를 손으로 들어 상기 콘센트 본체의 양측부에 슬라이딩시켜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고, 여전히 상기 보조 콘센트와 상기 콘센트 본체 간의 배선 처리가 용이하지 않아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61509호는 제1 및 제2 본체가 제1 및 제2 케이스에 설치된 제1 및 제2 결합부에 의해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고, 제1 수용부의 제1 권취부에 감겨 수용되어 있는 제2 전선을 감고 풀어서 제2 전선을 필요한 만큼 늘리고 줄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력 공급을 하기 위한 배전 선로용 연결기구의 추가적인 구입비가 감소되고, 배전 선로용 연결기구를 연장하여 설치하기 위한 번거로움이 줄어 더욱 간편해지는 전기 공급을 제공하는 공통 주택용 이동식 콘센트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61509호 또한 선행 등록특허인 10-0675467호와 마찬가지로 제2 및 제3 본체에 연결된 전기 배선을 일일이 사용자가 손으로 제1 및 제2 본체의 일측부에 마련된 제1 및 제2 권취부에 감아 배선 처리를 해야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이 번거로워 불편함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04346호에서는 복수의 서브 멀티탭을 구비하고, 각각의 서브 멀티탭은 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전원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고, 그 내부에는 전원 연결선이 자동 감겨지는 릴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릴에 전원 연결선이 자동으로 감길 수 있도록 하는 작동버튼이 설치되어 전원 연결선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감기도록 하여 선행 등록특허 10-0761509호와 10-0675467호에서 문제가 되었던 사용상 불편함을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는 분리형 멀티탭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04346호에서는 서브 멀티탭들이 전원 연결선을 자동 권취하는 릴의 탄성력에만 의존하여 상호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상기 릴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경우, 전원 연결선이 완전히 감기지 못해 서브 멀티탭들 간의 결합력이 느슨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각 서브 멀티탭들 간의 배선 처리가 용이하지 않아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KR 10-0675467 B1, 2007. 01. 22. KR 10-0761509 B1, 2007. 09. 18. KR 10-1004346 B1, 2010. 12. 21.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서로 일정 거리 떨어진 여러 대의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각 서브탭들이 탈부착가능하도록 상호 분리되어 길이 연장이 가능하되, 상호 분리된 각 서브탭들 간에 결합시 권취롤에만 의존하지 않고 서브탭들을 상호 강하게 밀착 결합시켜 각 서브탭들 간의 배선 처리와 탈부착이 용이한 분리형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플러그(P)와, 상기 플러그(P)와 연결된 전원코드선(L1)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칭 본체(S)와, 상기 스위칭 본체(S)의 일측부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장착되되, 상기 전원코드선(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장코드선(L2)이 내부에 권취되어 상기 연장코드선(L2)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길이가 연장되거나 줄어들고, 상부에는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접속구(131)가 설치된 서브탭 블럭(TB)을 포함하되, 상기 서브탭 블럭(TB)은 상기 연장코드선(L2)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연장코드선(L2)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길이가 연장되거나 줄어들어 서로 일측부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서브탭(ST1, ST2, ST3)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탭(ST1, ST2, ST3) 각각은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양측부에 인입공(120a)과 인출공(120b)이 형성된 제2 하우징(120)과,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상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접속구(1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구(131)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구(131)의 하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접속단자(132)를 포함하는 접속부(130)와, 상기, 제2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입공(120a)을 통해 인입되고 상기 인출공(120b)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연장코드선(L2)을 감아 길이를 조정하는 권취부(140)와,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120)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부(140)에 감긴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상기 인출공(120b)을 통해 일정 길이로 인출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하여 잠금하는 잠금버튼(150)과,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120)의 양측 내측부에 설치되어 이웃하는 서브탭들(ST1, ST2, ST3)을 서로 강하게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자석부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칭 본체(S)는 제1 하우징(10)과, 상기 제1 하우징(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양측부에 인입공(20a)과 인출공(20b)이 형성된 제2 하우징(20)과, 상기 제1 하우징(10)에 설치된 누름버튼(31)과, 상기 누름버튼(3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버튼(31)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전원코드선(L1)과 상기 연장코드선(L2)의 전기적인 접속을 단속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스위칭부(30)와, 상기 제2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입공(20a)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전원코드선(L1)을 일정 권수로 감아 상기 플러그(P)의 길이를 조정하는 권취부(40)와,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부(40)에 감긴 상기 전원코드선(L1)이 상기 인입공(20a)을 통해 일정 길이로 인출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하여 잠금하는 잠금버튼(50)과,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의 양측 내측부에 설치되어 이웃하는 상기 서브탭(ST1)의 자석부재(160)와 자력으로 강하게 결합되는 자석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권취부(40)는 상기 인입공(20a)을 통해 인입된 상기 전원코드선(L1)이 감기도록 상기 제2 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롤(41)과, 상기 전원코드선(L1)이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롤(41)을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권취 스프링(42)과, 상기 잠금버튼(50)과 연동하여 동작하여 상기 권취롤(41)의 회전을 멈추도록 상기 권취롤(41)에 외력을 가하는 잠금핀(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권취부(140)는 상기 인입공(120a)을 통해 인입된 상기 연장코드선(L2)이 감기도록 상기 제2 하우징(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롤(141)과, 상기 연장코드선(L2)이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롤(141)을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권취 스프링(142)과, 상기 잠금버튼(150)과 연동하여 동작하여 상기 권취롤(141)의 회전을 멈추도록 상기 권취롤(141)에 외력을 가하는 잠금핀(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잠금버튼(50, 150)은 상기 인출공(20b, 120b)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인출공(20b, 120b)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연장코드선(L2)을 고정하여 상기 연장코드선(L2)의 인출을 잠금하거나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플러그(P)와, 상기 플러그(P)와 연결된 전원코드선(L1)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칭부(S)와, 상기 스위칭부(S)의 일측부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장착되되, 상기 전원코드선(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장코드선(L2)이 내부에 권취되어 상기 연장코드선(L2)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길이가 연장되거나 줄어들고, 상부에는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접속구(221)가 설치된 서브탭 블럭(TB)을 포함하되, 상기 서브탭 블럭(TB)은 상기 연장코드선(L2)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연장코드선(L2)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길이가 연장되거나 줄어들어 서로 일측부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서브탭(ST1, ST2, ST3)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탭(ST1, ST2, ST3)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분할된 제1 및 제2 수납부(211, 2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211, 212)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입공(211a)과 인출공(212a)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210)과, 상기 제2 수납부(212)에 상기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접속구(2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구(221)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구(221)의 하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접속단자(222)를 포함하는 접속부(220)와, 상기 제1 수납부(211)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인입공(211a)을 통해 인입되고 상기 인출공(212a)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연장코드선(L2)을 감아 보관하는 권취부(230)와, 상기 제2 수납부(212)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부(230)에 감긴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상기 인출공(212a)을 통해 일정 길이로 인출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하여 잠금하는 잠금버튼(240)과,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반대측인 상기 제1 수납부(211)의 일측 내측부와 상기 제2 수납부(212)의 일측 내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이웃하는 서브탭들(ST1, ST2, ST3)을 서로 강하게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자석부재(250)를 포함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칭 본체(S)는 제1 하우징(10)과, 상기 제1 하우징(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양측부에 인입공(20a)과 인출공(20b)이 형성된 제2 하우징(20)과, 상기 제1 하우징(10)에 설치된 누름버튼(31)과, 상기 누름버튼(3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버튼(31)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전원코드선(L1)과 상기 연장코드선(L2)의 전기적인 접속을 단속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스위칭부(30)와, 상기 제2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입공(20a)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전원코드선(L1)을 일정 권수로 감아 상기 플러그(P)의 길이를 조정하는 권취부(40)와,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부(40)에 감긴 상기 전원코드선(L1)이 상기 인입공(20a)을 통해 일정 길이로 인출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하여 잠금하는 잠금버튼(50)과,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의 양측 내측부에 설치되어 이웃하는 상기 서브탭(ST1)의 자석부재(250)와 자력으로 강하게 결합되는 자석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권취부(230)는 상기 인입공(211a)을 통해 인입된 상기 연장코드선(L2)이 감기도록 상기 제2 수납부(2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롤(231)과, 상기 연장코드선(L2)이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롤(231)을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권취 스프링(232)과, 상기 잠금버튼(240)과 연동하여 동작하여 상기 권취롤(231)의 회전을 멈추도록 상기 권취롤(231)에 외력을 가하는 잠금핀(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권취부(40)는 상기 인입공(20a)을 통해 인입된 상기 연장코드선(L2)이 감기도록 상기 제2 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롤(41)과, 상기 연장코드선(L2)이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롤(41)을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권취 스프링(42)과, 상기 잠금버튼(50)과 연동하여 동작하여 상기 권취롤(41)의 회전을 멈추도록 상기 권취롤(41)에 외력을 가하는 잠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잠금버튼(50, 150)은 상기 인출공(20b, 212a)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인출공(20b, 212a)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연장코드선(L2)을 고정하여 상기 연장코드선(L2)의 인출을 잠금하거나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칭 본체와, 상기 스위칭 본체로부터 연장코드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서브탭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탭 블럭은 권취부에 의해 감김 또는 풀림되는 연장코드선을 통해 이웃하는 것끼리 자력에 의해 강하게 밀착 결합되거나 길이가 연장되는 다수의 서브탭을 포함하는 분리형 멀티탭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일정 거리 떨어진 장소에 설치된 여러 대의 전자기기에 전원을 동시에 공급이 가능하고, 상호 분리된 각 서브탭들을 강하게 밀착 결합시켜 각 서브탭들 간의 배선 처리와 탈부착 특성을 개선시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분리형 멀티탭의 각 서브탭들이 상호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 서브탭들이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 절취선을 따라 분리형 멀티탭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서브탭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브탭이 제1 및 제2 하우징으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접속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권취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분리형 멀티탭의 각 서브탭들이 상호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각 서브탭들이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서브탭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서브탭의 단면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서브탭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들로서, 도 1은 각 서브탭들이 상호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각 서브탭들이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분리형 멀티탭은 플러그(P)와, 스위칭 본체(S)와, 서브탭 블럭(TB)을 포함한다. 서브탭 블럭(TB)은 다수의 서브탭(ST1, ST2, ST3)을 포함하되, 상기 서브탭(ST1, ST2, ST3)의 개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플러그(P)는 건축물의 벽면 등에 장착된 전원 콘센트(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멀티탭(도시되지 않음)의 접속구에 접속되어 전원을 서브탭 블럭(TB)으로 공급한다.
플러그(P)는 전원코드선(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플러그(P)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은 전원코드선(L1)을 통해 스위칭 본체(S)로 공급된다.
전원코드선(L1)은 스위칭 본체(S) 내에서 연장코드선(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전원코드선(L1)의 일단은 제1 접속단자와 연결되고, 연장코드선(L2)의 일단은 제2 접속단자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P)로부터 전원코드선(L1)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 전원은 누름버튼(31)의 동작에 따라 연장코드선(L2)으로 공급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탭 블럭(TB)은 다수의 서브탭(ST1, ST2, ST3)을 포함하고, 다수의 서브탭(ST1, ST2, ST3)은 전원코드선(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장코드선(L2)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한편, 연장코드선(L2)을 통해 길이가 연장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 절취선을 따라 분리형 멀티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본체(S)는 제1 하우징(10), 제2 하우징(20), 스위칭부(30), 권취부(40), 잠금버튼(50) 및 자석부재(6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에 위치되는 제1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스위칭부(30)가 설치되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2 하우징(20)에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양측부에 인입공(20a)과 인출공(20b)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전원코드선(L1)이 감기는 권취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칭부(30)는 제1 하우징(10)에 설치된 누름버튼(31)과, 누름버튼(31)의 하부에 설치되고 누름버튼(31)의 동작에 따라 전원코드선(L1)과 연장코드선(L2)의 전기적인 접속을 단속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 접속단자(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때, 누름버튼(31)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상기 LED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회로가 설치되어 누름버튼(31)의 동작에 대응하여 LED가 점등 또는 소등되고, 이에 따라, 현재 전원코드선(L1)과 연장코드선(L2) 간의 접속 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권취부(40)는 제2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어 인입공(20a)을 통해 제2 하우징(20) 내부로 인입된 전원코드선(L1)을 감아 플러그(P)와 스위칭 본체(S) 간의 거리를 조절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부(40)는 인입공(20a)을 통해 인입된 전원코드선(L1)이 감기도록 제2 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롤(41)과, 상기 전원코드선(L1)이 감기는 방향으로 권취롤(41)을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권취 스프링(42)을 포함한다. 또한, 잠금버튼(50)과 연동하여 동작하여 권취롤(41)의 회전을 멈추도록 권취롤(41)에 외력을 가하는 잠금핀(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버튼(50)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코드선(L1)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제2 하우징(20)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일측부가 제2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상기 잠금핀과 상호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잠금버튼(50)을 누르면, 이와 연동하여 상기 잠금핀이 동작(이동)하여 권취롤(41)을 잠금 또는 해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버튼(50)은 인출공(20b)의 개구홀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인출공(20b)을 통해 인출되는 연장코드선(L2)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권취롤(41)을 잠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잠금버튼(50)을 누르면, 제2 하우징(20)의 인출공(20b)의 개구홀이 확장되어 권취롤(41)의 회전에 따라 연장코드선(L2)이 인출공(20b)을 통해 자유롭게 인출되고, 잠금버튼(50)의 누름을 해제하면, 인출공(20b)의 개구홀이 축소되어 권취롤(41)의 회전과 무관하게 연장코드선(L2)이 인출된 상태로 인출공(20b)에 고정된다.
제2 하우징(20)의 일측 내측부, 즉 서브탭(ST1)과 대향하는 일측 내측부에는 서브탭(ST1)이 스위칭 본체(S)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도록 자석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자석부재(60)는 비교적 자력이 우수한 네오디움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스위칭 본체(S)에 설치된 자석부재(60)에 대응하여 스위칭 본체(S)와 대향하는 서브탭(ST1)의 내측 일측부에는 자석부재(160, 도 8참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자기장 범위 내에서 자력에 의해 자석부재(60, 160)는 상호 강하게 밀착 결합됨에 따라 서브탭(ST1)은 스위칭 본체(S)의 일측부에 강하게 밀착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부재(60,160)의 자력과 권취부(40)에 감기는 힘에 의해 서브탭(ST1)은 스위칭 본체(S)의 일측부에 부착되고, 서브탭(ST2)은 서브탭(ST1)의 일측부에 부착되며, 서브탭(ST3)은 서브탭(ST2)의 일측부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브탭 블럭(TB)을 구성하는 서브탭(ST1, ST2, ST3)은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하에서는 서브탭(ST1)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서브탭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브탭이 제1 및 제2 하우징으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접속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권취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브탭(ST1)은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접속부(130), 권취부(140), 잠금버튼(150) 및 자석부재(16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스위칭 본체(S)의 일측부와 강하게 밀착 결합되기 위해 스위칭 본체(S)와 결합되는 일측부가 오목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서로 격리되어 상하로 결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되는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접속구(131)가 마련된 접속부(130)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2 하우징(120)에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양측부에 인입공(120a)과 인출공(120b)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연장코드선(L1)이 감기는 권취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130)는 공지된 멀티탭의 접속부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속부(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의 상부에 마련된 접속홈(110a) 내부에 마련되어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접속구(131)와, 접속구(131)에 대응하여 접속구(131)의 하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접속단자(132)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하우징(110)의 접속홈(110a)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일정한 탄성력으로 밀착하는 탄성부재(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제2 하우징(120)과 격리되기 위한 격판(11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격판(111)의 상부에는 접속단자(132)가 장착되는 장착홈(111a)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접속단자(132)는 연장코드선(L2)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권취부(140)는 스위칭 본체(S)의 권취부(40, 도 4참조)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권취부(140)는 제2 하우징(120) 내부에 설치되어 인입공(120a)을 통해 제2 하우징(120) 내부로 인입된 연장코드선(L2)을 감아 스위칭 본체(S)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부(140)는 인입공(120a)을 통해 인입된 연장코드선(L2)이 감기도록 제2 하우징(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롤(141)과, 연장코드선(L2)이 감기는 방향으로 권취롤(141)을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권취 스프링(142)을 포함한다. 또한, 잠금버튼(150)과 연동하여 동작하여 권취롤(141)의 회전을 멈추도록 권취롤(141)에 외력을 가하는 잠금핀(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버튼(1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코드선(L1)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제2 하우징(120)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일측부가 제2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잠금핀(143)과 상호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잠금버튼(150)을 누르면, 이와 연동하여 잠금핀(143)이 동작(이동)하여 권취롤(141)을 잠금 또는 해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버튼(150)은 인출공(120b)의 개구홀의 크기를 조정하여 인출공(120b)을 통해 인출되는 연장코드선(L2)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권취롤(141)을 잠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잠금버튼(150)을 누르면, 제2 하우징(120)의 인출공(120b)의 개구홀이 확장되어 권취롤(141)의 회전에 따라 연장코드선(L2)이 인출공(120b)을 통해 자유롭게 인출되고, 잠금버튼(150)의 누름을 해제하면, 인출공(120b)의 개구홀이 축소되어 권취롤(141)의 회전과 무관하게 연장코드선(L2)이 인출된 상태로 인출공(120b)에 고정된다.
제2 하우징(120)의 양측 내측부, 즉 스위칭 본체(S) 및 서브탭(ST2)과 대향하는 양측 내측부에는 서브탭(ST1)이 스위칭 본체(S)의 일측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한편, 서브탭(ST2)이 서브탭(ST1)의 일측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도록 자석부재(16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자석부재(160)는 비교적 자력이 우수한 네오디움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서브탭(ST1)의 자석부재(160)에 대응하여 서브탭(ST1)과 대향하는 서브탭(ST2)의 일측 내측부에는 자석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서브탭(ST2)에 설치된 자석부재에 대응하여 서브탭(ST3)의 일측 내측부에도 자석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분리형 멀티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본체(S)와 서브탭 블럭(TB)이 서로 자력과 권취부에 의해 상호 강하게 밀착 결합된 상태로 사용하다가, 원거리에 위치하는 전자기기 플러그와 접속하기 위해 길이 연장이 요구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탭 블럭(TB)을 구성하는 각 서브탭(ST1, ST2, ST3)을 각각 분리시킨 후 연장코드선(L2)의 길이만큼 연장시켜 사용하도록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2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들로서, 도 9는 각 서브탭들이 상호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각 서브탭들이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분리형 멀티탭은 서브탭 블럭(TB)의 각 서브탭(ST1, ST2, ST3)의 하우징 구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분리형 멀티탭과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들은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분리형 멀티탭에서는 서브탭 블럭(TB)의 각 서브탭(ST1, ST2, ST3)의 하우징이 수직방향으로 분할된 제1 하우징(10, 110) 및 제2 하우징(20, 120)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하우징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 하우징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분리형 멀티탭에서는 서브탭 블럭(TB)의 각 서브탭(ST1, ST2, ST3)의 하우징 구조를 수평방향으로 분리된 제1 및 제2 수납부를 갖도록 구성하여 실시예1의 구조에 비해 높이를 낮추는 대신에 폭을 증가시켰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서브탭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서브탭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서브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서브탭(ST1)은 하우징(210), 접속부(220), 권취부(230), 잠금버튼(240) 및 자석부재(25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바라볼 때, 대략 '8'자 형상으로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수납부(211, 212)를 포함하고, 원형의 스위칭 본체(S)의 일측부와 강하게 밀착 결합되기 위해 스위칭 본체(S)와 결합되는 일측부가 오목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위치되는 제1 수납부(211)에는 연장코드선(L2)이 감기는 권취부(230)가 설치되고, 우측에 위치되는 제2 수납부(212)에는 다수의 접속구(221)가 마련된 접속부(2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수납부(211)와 제2 수납부(212)에는 인입공(211a)과 인출공(212a)이 마련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접속부(220), 권취부(230), 잠금버튼(240) 및 자석부재(250)는 하우징 구조의 변경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1과 다를 뿐, 이들을 구성하는 각 구성 및 기능들은 모두 동일함에 따라 여기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접속부(2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납부(212)의 상부에 마련된 접속홈(210a) 내부에 마련되어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접속구(221)와, 접속구(221)에 대응하여 접속구(221)의 하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접속단자(222)와, 하우징(210)의 접속홈(210a)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일정한 탄성력으로 밀착하는 탄성부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의 하부에는 제1 및 제2 수납부(211, 212)를 밀폐하는 격판(213)이 설치되고, 상기 격판(213)의 상부에는 접속단자(222)가 장착되는 장착홈(213a)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접속단자(222)는 연장코드선(L2)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권취부(2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공을 통해 인입된 연장코드선(L2)이 감기도록 제1 수납부(2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롤(231)과, 연장코드선(L2)이 감기는 방향으로 권취롤(231)을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권취 스프링(232)을 포함한다. 또한, 잠금버튼(240)과 연동하여 동작하여 권취롤(231)의 회전을 멈추도록 권취롤(231)에 외력을 가하는 잠금핀(2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P : 플러그 S : 스위칭 본체
TB : 서브탭 블럭 ST1, ST2, ST3 : 서브탭
L1 : 전원코드선 L2 : 연장코드선
10, 110 : 제1 하우징 20, 120 : 제2 하우징
20a, 120a, 211a : 인입공 20b, 120b, 212a : 인출공
30 : 스위칭부 130, 220 : 접속부
31 : 누름버튼 131, 221 : 접속구
132, 222 : 접속단자 133, 223 : 탄성부재
110a, 210a : 접속홈 111, 213 : 격판
111a, 213a : 장착홈 40, 140, 230 : 권취부
41, 141, 231 : 권취롤 42, 142, 232 : 권취 스프링
143, 233 : 잠금핀 50, 150, 240 : 잠금버튼
60, 160, 250 : 자석부재 210 : 하우징

Claims (10)

  1. 플러그(P);
    상기 플러그(P)와 연결된 전원코드선(L1)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칭 본체(S); 및
    상기 스위칭 본체(S)의 일측부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장착되되, 상기 전원코드선(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장코드선(L2)이 내부에 권취되어 상기 연장코드선(L2)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길이가 연장되거나 줄어들고, 상부에는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접속구(131)가 설치된 서브탭 블럭(TB)을 포함하되,
    상기 서브탭 블럭(TB)은 상기 연장코드선(L2)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연장코드선(L2)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길이가 연장되거나 줄어들어 서로 일측부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서브탭(ST1, ST2, ST3)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탭(ST1, ST2, ST3) 각각은,
    제1 하우징(110);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양측부에 인입공(120a)과 인출공(120b)이 형성된 제2 하우징(120);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상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접속구(1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구(131)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구(131)의 하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접속단자(132)를 포함하는 접속부(130);
    상기 제2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입공(120a)을 통해 인입되고 상기 인출공(120b)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연장코드선(L2)을 감아 길이를 조정하는 권취부(140);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120)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부(140)에 감긴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상기 인출공(120b)을 통해 일정 길이로 인출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하여 잠금하는 잠금버튼(150); 및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120)의 양측 내측부에 설치되어 이웃하는 서브탭들(ST1, ST2, ST3)을 서로 강하게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자석부재(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본체(S)는,
    제1 하우징(10);
    상기 제1 하우징(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양측부에 인입공(20a)과 인출공(20b)이 형성된 제2 하우징(20);
    상기 제1 하우징(10)에 설치된 누름버튼(31)과, 상기 누름버튼(3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버튼(31)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전원코드선(L1)과 상기 연장코드선(L2)의 전기적인 접속을 단속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스위칭부(30);
    상기 제2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입공(20a)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전원코드선(L1)을 일정 권수로 감아 상기 플러그(P)의 길이를 조정하는 권취부(40);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부(40)에 감긴 상기 전원코드선(L1)이 상기 인입공(20a)을 통해 일정 길이로 인출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하여 잠금하는 잠금버튼(50); 및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의 양측 내측부에 설치되어 이웃하는 상기 서브탭(ST1)의 자석부재(160)와 자력으로 강하게 결합되는 자석부재(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40)는,
    상기 인입공(20a)을 통해 인입된 상기 전원코드선(L1)이 감기도록 상기 제2 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롤(41);
    상기 전원코드선(L1)이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롤(41)을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권취 스프링(42); 및
    상기 잠금버튼(50)과 연동하여 동작하여 상기 권취롤(41)의 회전을 멈추도록 상기 권취롤(41)에 외력을 가하는 잠금핀(4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140)는,
    상기 인입공(120a)을 통해 인입된 상기 연장코드선(L2)이 감기도록 상기 제2 하우징(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롤(141);
    상기 연장코드선(L2)이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롤(141)을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권취 스프링(142); 및
    상기 잠금버튼(150)과 연동하여 동작하여 상기 권취롤(141)의 회전을 멈추도록 상기 권취롤(141)에 외력을 가하는 잠금핀(14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버튼(50, 150)은 상기 인출공(20b, 120b)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인출공(20b, 120b)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연장코드선(L2)을 고정하여 상기 연장코드선(L2)의 인출을 잠금하거나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6. 플러그(P);
    상기 플러그(P)와 연결된 전원코드선(L1)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칭부(S); 및
    상기 스위칭부(S)의 일측부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장착되되, 상기 전원코드선(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장코드선(L2)이 내부에 권취되어 상기 연장코드선(L2)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길이가 연장되거나 줄어들고, 상부에는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접속구(221)가 설치된 서브탭 블럭(TB)을 포함하되,
    상기 서브탭 블럭(TB)은 상기 연장코드선(L2)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연장코드선(L2)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길이가 연장되거나 줄어들어 서로 일측부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서브탭(ST1, ST2, ST3)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탭(ST1, ST2, ST3)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분할된 제1 및 제2 수납부(211, 2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211, 212)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입공(211a)과 인출공(212a)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210);
    상기 제2 수납부(212)에 상기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접속구(2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구(221)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구(221)의 하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접속단자(222)를 포함하는 접속부(220);
    상기 제1 수납부(211)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인입공(211a)을 통해 인입되고 상기 인출공(212a)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연장코드선(L2)을 감아 보관하는 권취부(230);
    상기 제2 수납부(212)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부(230)에 감긴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상기 인출공(212a)을 통해 일정 길이로 인출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하여 잠금하는 잠금버튼(240); 및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반대측인 상기 제1 수납부(211)의 일측 내측부와 상기 제2 수납부(212)의 일측 내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이웃하는 서브탭들(ST1, ST2, ST3)을 서로 강하게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자석부재(250);
    를 포함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본체(S)는,
    제1 하우징(10);
    상기 제1 하우징(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양측부에 인입공(20a)과 인출공(20b)이 형성된 제2 하우징(20);
    상기 제1 하우징(10)에 설치된 누름버튼(31)과, 상기 누름버튼(3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버튼(31)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전원코드선(L1)과 상기 연장코드선(L2)의 전기적인 접속을 단속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스위칭부(30);
    상기 제2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입공(20a)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전원코드선(L1)을 일정 권수로 감아 상기 플러그(P)의 길이를 조정하는 권취부(40);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부(40)에 감긴 상기 전원코드선(L1)이 상기 인입공(20a)을 통해 일정 길이로 인출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하여 잠금하는 잠금버튼(50); 및
    상기 연장코드선(L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의 양측 내측부에 설치되어 이웃하는 상기 서브탭(ST1)의 자석부재(250)와 자력으로 강하게 결합되는 자석부재(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230)는,
    상기 인입공(211a)을 통해 인입된 상기 연장코드선(L2)이 감기도록 상기 제2 수납부(2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롤(231);
    상기 연장코드선(L2)이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롤(231)을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권취 스프링(232); 및
    상기 잠금버튼(240)과 연동하여 동작하여 상기 권취롤(231)의 회전을 멈추도록 상기 권취롤(231)에 외력을 가하는 잠금핀(23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40)는,
    상기 인입공(20a)을 통해 인입된 상기 연장코드선(L2)이 감기도록 상기 제2 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롤(41);
    상기 연장코드선(L2)이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롤(41)을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된 권취 스프링(42); 및
    상기 잠금버튼(50)과 연동하여 동작하여 상기 권취롤(41)의 회전을 멈추도록 상기 권취롤(41)에 외력을 가하는 잠금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버튼(50, 150)은 상기 인출공(20b, 212a)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인출공(20b, 212a)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연장코드선(L2)을 고정하여 상기 연장코드선(L2)의 인출을 잠금하거나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KR1020130122059A 2013-10-14 2013-10-14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KR101350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059A KR101350437B1 (ko) 2013-10-14 2013-10-14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059A KR101350437B1 (ko) 2013-10-14 2013-10-14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437B1 true KR101350437B1 (ko) 2014-01-14

Family

ID=5014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059A KR101350437B1 (ko) 2013-10-14 2013-10-14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43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436A (ko) 2017-09-23 2019-04-02 장인호 릴 케이블 분리형 멀티탭
KR20190099362A (ko) * 2018-02-09 2019-08-27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코드선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멀티탭
KR20200045231A (ko) 2018-10-22 2020-05-04 한태희 단위소켓 분리기능 및 길이연장기능이 가능한 멀티탭
KR20210007468A (ko) * 2019-07-11 2021-01-20 김남구 모바일 멀티 연결 디바이스
KR20230086940A (ko) 2021-12-09 2023-06-16 양현모 접이식 멀티탭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601Y1 (ko) 2003-12-20 2004-03-05 김인균 복수의 콘센트 소켓을 가지는 멀티탭
KR200375506Y1 (ko) 2004-11-04 2005-03-11 박청민 전원연결구
KR20080004307U (ko) * 2007-03-29 2008-10-02 최신규 파워 스트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601Y1 (ko) 2003-12-20 2004-03-05 김인균 복수의 콘센트 소켓을 가지는 멀티탭
KR200375506Y1 (ko) 2004-11-04 2005-03-11 박청민 전원연결구
KR20080004307U (ko) * 2007-03-29 2008-10-02 최신규 파워 스트립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436A (ko) 2017-09-23 2019-04-02 장인호 릴 케이블 분리형 멀티탭
KR20190099362A (ko) * 2018-02-09 2019-08-27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코드선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멀티탭
KR102024174B1 (ko) * 2018-02-09 2019-09-23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코드선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멀티탭
KR20200045231A (ko) 2018-10-22 2020-05-04 한태희 단위소켓 분리기능 및 길이연장기능이 가능한 멀티탭
KR20210007468A (ko) * 2019-07-11 2021-01-20 김남구 모바일 멀티 연결 디바이스
KR102322638B1 (ko) * 2019-07-11 2021-11-05 김남구 모바일 멀티 연결 디바이스
KR20230086940A (ko) 2021-12-09 2023-06-16 양현모 접이식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437B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분리형 멀티탭
CN104205523B (zh) 具有用于电活性格栅的推入式端子的连接器
US9661768B2 (en) Interchangeable electrically powered modules and receptacle therefor
US10312651B2 (en) Electronic device
JP2011187429A (ja) 延伸式給電ユニットを備えた電源タップ
JP2008311232A (ja) 視覚インディケータを有する高電圧電気コネクタ
US9564713B1 (en) Detachable and lockable socket
CN110829552A (zh) 无线充电系统、充电线缆、电子设备及其无线充电方法
JP3184526U (ja) 多方向無線電力供給装置
KR20120008772A (ko) 회전식 멀티탭
KR101064637B1 (ko) 분리형 플러그형 어댑터
EP2290759A1 (en) Intelligent power switch off device for power strips
KR20140011755A (ko) 무선충전 시스템
KR101400071B1 (ko) 접이식 블록형 멀티탭
CN201256206Y (zh) 墙用拉线插座
CN110247244B (zh) 嵌入式模块电盒
KR100759522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전 선로용 연결기구
KR20160054917A (ko)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멀티탭
CN203482314U (zh) 模块化电视
CN205986814U (zh) 触摸墙壁开关
CN219677662U (zh) 一种具有插孔的多功能理线架
KR101513141B1 (ko) 절전용 콘센트구조
WO2020065629A1 (en) Interchangeable front pannels for patresses
KR20150081242A (ko) 전원코드의 인입방향 전환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KR20180074061A (ko) 콘센트 셀이 뽑히는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