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571B1 -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571B1
KR101349571B1 KR1020120043857A KR20120043857A KR101349571B1 KR 101349571 B1 KR101349571 B1 KR 101349571B1 KR 1020120043857 A KR1020120043857 A KR 1020120043857A KR 20120043857 A KR20120043857 A KR 20120043857A KR 101349571 B1 KR101349571 B1 KR 101349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olar cells
bus bar
disposed
connection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738A (ko
Inventor
오준재
장대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571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광 발전장치가 개시된다. 태양광 발전장치는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 상에 배치되는 연결배선층; 상기 연결 배선층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후면전극층; 상기 후면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광 흡수층; 및 상기 광 흡수층 상에 배치되는 전면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전극층은 상기 연결배선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장치{PHOTOVOLTAIC APPARATUS}
실시예는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판이 제공되고, 상기 기판 상에 후면전극층이 형성되고, 이후, 상기 후면전극층 상에 광 흡수층, 버퍼층 및 고저항 버퍼층이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 광 흡수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구리, 인듐, 갈륨, 셀레늄을 동시 또는 구분하여 증발시키면서 구리-인듐-갈륨-셀레나이드계(Cu(In,Ga)Se2;CIGS계)의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방법과 금속 프리커서 막을 형성시킨 후 셀레니제이션(Selenization) 공정에 의해 형성시키는 방법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광 흡수층의 에너지 밴드갭(band gap)은 약 1 내지 1.8 eV 이다.
이후, 상기 광 흡수층 상에 황화 카드뮴(CdS)을 포함하는 버퍼층이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버퍼층의 에너지 밴드갭은 약 2.2 내지 2.4 eV 이다. 이후, 상기 버퍼층 상에 징크 옥사이드(ZnO)를 포함하는 고저항 버퍼층이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고저항 버퍼층의 에너지 밴드갭은 약 3.1 내지 3.3 eV 이다.
이후, 상기 고저항 버퍼층 상에 투명한 도전물질이 적층되고, 상기 고저항 버퍼층 상에 투명전극층이 형성된다. 상기 투명전극층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알루미늄 도핑된 징크 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층의 에너지 밴드갭은 약 3.1 내지 3.3 eV 이다.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 내의 밴드갭 에너지를 조절하여, 광 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태양광 발전장치가 제조되고,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장치는 특허 출원 번호 10-2008-0088744 등에 개시된다.
실시예는 향상된 성능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 상에 배치되는 연결배선층; 상기 연결 배선층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후면전극층; 상기 후면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광 흡수층; 및 상기 광 흡수층 상에 배치되는 전면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전극층은 상기 연결배선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 상에 배치되는 연결배선층; 상기 연결배선층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 1 태양전지들;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 2 태양전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태양전지들 및 상기 제 2 태양전지들은 상기 연결배선층을 통하여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연결배선층을 사용하여, 태양전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들을 직렬 및 병렬로 연결시켜서, 버스 바 등에 걸리는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열화에 의한 버스 바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향상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연결 배선층을 상기 광 흡수층 및 상기 지지기판 사이에 개재시킨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발전 면적 감소 없이, 태양전지들을 다양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발전 면적을 감소시키지 않고, 향상된 광-전 변환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B-B`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C-C`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D-D`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기판, 층, 막 또는 전극 등이 각 기판, 층, 막, 또는 전극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B-B`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C-C`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D-D`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지지기판(100), 연결배선층(110), 후면전극층(200), 제 1 버스 바(810), 제 2 버스 바(820), 광 흡수층(300), 버퍼층(400), 고저항 버퍼층(500) 및 전면전극층(60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기판(10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배선층(110), 상기 후면전극층(200), 상기 제 1 버스 바(810), 상기 제 2 버스 바(820), 상기 광 흡수층(300), 상기 버퍼층(400),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 및 상기 전면전극층(600)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기판(100)은 절연체일 수 있다. 상기 지지기판(100)은 유리기판, 플라스틱기판 또는 금속기판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지지기판(100)은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지지기판(100)은 투명할 수 있다. 상기 지지기판(100)은 리지드하거나 플렉서블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배선층(110)은 상기 지지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배선층(110)은 상기 지지기판(100)의 상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배선층(110)은 상기 후면전극층(200) 및 상기 지지기판(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선층(110)은 상기 지지기판(100)의 상면을 거의 덮을 수 있다. 상기 연결배선층(110)은 도전층이다. 상기 연결배선층(110)은 도전체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배선층(110)은 저항이 낮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선층(110)은 물질의 예로서는 몰리브덴,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배선층(110)의 두께는 약 1㎛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상기 연결배선층(110)은 제 1 연결배선(111) 및 제 2 연결배선(11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배선(111)은 및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은 서로 이격된다. 즉, 상기 연결배선층(110)은 패터닝에 의해서, 상기 제 1 연결배선(111) 및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선층(110) 상에는 절연층(120)이 배치된다. 상기 절연층(120)은 상기 연결배선층(110) 및 상기 후면전극층(2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절연층(120)은 상기 연결배선층(110) 및 상기 후면전극층(200)을 서로 절연시킨다. 또한, 상기 후면전극층(200)은 상기 절연층(120)에 형성된 컨택홀들(121, 122)을 통하여, 상기 연결배선층(11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20)은 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층(120)에는 일정 량의 나트륨이 도핑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20)은 제조 공정에서, 상기 광 흡수층(300)에 소량의 나트륨을 공급하는 나트륨 공급층일 수 있다.
상기 절연층(120)은 절연체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층(120)의 두께는 약 1㎛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상기 절연층(12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물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PI) 등과 같은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후면전극층(200)은 상기 절연층(1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후면전극층(200)은 도전층이다. 상기 후면전극층(20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몰리브덴(Mo) 등의 금속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전극층(200)은 두 개 이상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층들은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전극층(200)에는 제 1 관통홈들(TH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관통홈들(TH1)은 상기 지지기판(100)의 상면을 노출하는 오픈 영역이다. 상기 제 1 관통홈들(TH1)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홈들(TH1)의 폭은 약 80㎛ 내지 200㎛ 일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홈들(TH1)에 의해서, 상기 후면전극층(200)은 다수 개의 후면전극들(210, 220...) 및 복수의 접속 후면전극들(201, 202...) 로 구분된다. 즉, 상기 제 1 관통홈들(TH1)에 의해서, 상기 후면전극들(210, 220...), 제 1 연결배선(111) 및 제 2 연결배선(112)이 정의된다. 상기 후면전극층(200)은 상기 후면전극들(210, 220...), 상기 제 1 연결배선(111) 및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을 포함한다.
상기 후면전극들(210, 220...)은 상기 절연층(1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후면전극들(210, 220...)은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후면전극들(210, 220...)은 상기 제 1 관통홈들(TH1)에 의해서 서로 이격된다. 상기 후면전극들(210, 220...)은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치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후면전극들(210, 22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홈들(TH1)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전극층(200)은 상기 연결배선층(110)과 접속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후면전극층(200)은 상기 절연층(120)에 형성되는 컨택홀들(121, 122)을 통하여, 상기 연결배선층(110)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후면전극들(210, 220...) 중 하나는 상기 제 1 연결배선(111)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전극들(210, 220...)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버스 바(810)는 상기 지지기판(100)의 외곽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버스 바(810)는 상기 연결배선층(110) 상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버스 바(810)는 상기 제 2 연결배선(1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버스 바(810)는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의 상면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버스 바(810)는 상기 후면전극층(200)에 접속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후면전극층(200)은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에 접속되고, 상기 후면전극층(200)은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을 통하여, 상기 제 1 버스 바(81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버스 바(810)는 상기 지지기판(100)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상기 지지기판(100)의 배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버스 바(820)는 상기 지지기판(100)의 외곽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버스 바(820)는 상기 연결배선층(110) 상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버스 바(820)는 상기 제 1 연결배선(1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버스 바(820)는 상기 제 1 연결배선(111)의 상면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버스 바(820)는 상기 후면전극층(200)에 접속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후면전극층(200)은 상기 제 1 연결배선(111)에 접속되고, 상기 후면전극층(200)은 상기 제 1 연결배선(111)을 통하여, 상기 제 2 버스 바(82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버스 바(820)는 상기 지지기판(100)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상기 지지기판(100)의 배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버스 바(810) 및 상기 제 2 버스 바(820)는 서로 마주본다. 또한, 상기 제 1 버스 바(810) 및 상기 제 2 버스 바(820)는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버스 바(810) 및 상기 제 2 버스 바(820)는 도전체이다. 상기 제 1 버스 바(810) 및 상기 제 2 버스 바(820)는 은 등의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흡수층(300)은 상기 후면전극층(200)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광 흡수층(300)에 포함된 물질은 상기 제 1 관통홈들(TH1)에 채워진다.
상기 광 흡수층(300)은 Ⅰ-Ⅲ-Ⅵ족 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광 흡수층(300)은 구리-인듐-갈륨-셀레나이드계(Cu(In,Ga)Se2;CIGS계) 결정 구조, 구리-인듐-셀레나이드계 또는 구리-갈륨-셀레나이드계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광 흡수층(300)의 에너지 밴드갭(band gap)은 약 1eV 내지 1.8eV일 수 있다.
상기 버퍼층(400)은 상기 광 흡수층(3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버퍼층(400)은 황화 카드뮴(CdS)를 포함하며, 상기 버퍼층(400)의 에너지 밴드갭은 약 2.2eV 내지 2.4eV이다.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은 상기 버퍼층(4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징크 옥사이드(i-ZnO)를 포함한다.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의 에너지 밴드갭은 약 3.1eV 내지 3.3eV이다.
상기 광 흡수층(300), 상기 버퍼층(400) 및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에는 제 2 관통홈들(TH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관통홈들(TH2)은 상기 광 흡수층(300)을 관통한다. 또한, 상기 제 2 관통홈들(TH2)은 상기 후면전극층(200)의 상면을 노출하는 오픈영역이다.
상기 제 2 관통홈들(TH2)은 상기 제 1 관통홈들(TH1)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관통홈들(TH2)의 일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관통홈들(TH1)의 옆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관통홈들(TH2)의 폭은 약 80㎛ 내지 약 20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흡수층(300)은 상기 제 2 관통홈들(TH2)에 의해서, 다수 개의 광 흡수부들을 정의한다. 즉, 상기 광 흡수층(300)은 상기 제 2 관통홈들(TH2)에 의해서, 상기 광 흡수부들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버퍼층(400)은 상기 제 2 관통홈들(TH2)에 의해서, 다수 개의 버퍼들로 구분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은 상기 제 2 관통홈들(TH2)에 의해서, 다수 개의 고저항 버퍼들로 구분된다.
상기 전면전극층(600)은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전면전극층(600)은 투명하며, 도전층이다. 또한, 상기 전면전극층(600)의 저항은 상기 후면전극층(200)의 저항보다 높다. 예를 들어, 상기 전면전극층(600)의 저항은 상기 후면전극층(200)의 저항보다 약 10배 내지 200배 더 클 수 있다.
상기 전면전극층(600)은 산화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면전극층(600)은 징크 옥사이드(zinc oxide), 인듐 틴 옥사이드(induim tin oxide;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uim zinc oxide;IZ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물은 알루미늄(Al), 알루미나(Al2O3), 마그네슘(Mg) 또는 갈륨(Ga) 등의 도전성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전면전극층(600)은 알루미늄 도핑된 징크 옥사이드(Al doped zinc oxide;AZO) 또는 갈륨 도핑된 징크 옥사이드(Ga doped zinc oxide;GZ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전극층(600)의 두께는 약 800㎚ 내지 약 1200㎚일 수 있다.
상기 광 흡수층(300), 상기 버퍼층(400),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 및 상기 전면전극층(600)에는 제 3 관통홈들(TH3)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관통홈들(TH3)은 상기 후면전극층(200)의 상면을 노출하는 오픈 영역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관통홈들(TH3)의 폭은 약 80㎛ 내지 약 200㎛일 수 있다.
상기 제 3 관통홈들(TH3)은 상기 제 2 관통홈들(TH2)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3 관통홈들(TH3)은 상기 제 2 관통홈들(TH2) 옆에 배치된다. 즉,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3 관통홈들(TH3)은 상기 제 2 관통홈들(TH2) 옆에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제 3 관통홈들(TH3)에 의해서, 상기 전면전극층(600)은 다수 개의 전면전극들(610, 620...)로 구분된다. 즉, 상기 전면전극들(610, 620...)은 상기 제 3 관통홈들(TH3)에 의해서 정의된다.
상기 전면전극들(610, 620...)은 상기 후면전극들(210, 22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전면전극들(610, 620...)은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치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전면전극들(610, 62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전극층(600)은 상기 제 2 관통홈들(TH2)에 투명한 도전물질이 채워져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접속부들(7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3 관통홈들(TH3)에 의해서, 다수 개의 태양전지들(C11...C2n)이 정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관통홈들(TH2) 및 상기 제 3 관통홈들(TH3)에 의해서, 상기 태양전지들(C11...C2n)이 구분된다. 즉,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 절연층(120) 상에 배치되는 상기 태양전지들(C11...C2n)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들(C11...C2n)은 서로 직렬 및/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태양전지들(C11...C2n)은 제 1 태양전지들(C11...C1n) 및 제 2 태양전지들(C21...C2n)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태양전지들(C11...C1n)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태양전지들(C21...C2n)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태양전지들(C11...C1n)은 상기 제 2 태양전지들(C21...C2n)과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태양전지들(C11...C1n)은 상기 제 2 태양전지들(C21...C2n)과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기판(100)은 상기 버스 바들(810, 820)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선을 기준으로 2등분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태양전지들(C11...C1n)은 2등분된 영역 중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태양전지들(C21...C2n)은 2등분된 영역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태양전지들(C11...C1n)은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태양전지들(C21...C2n)은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태양전지들(C11...C1n) 및 상기 제 2 태양전지들(C21...C2n)은 제 4 관통홈(TH4)에 의해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4 관통홈(TH4)은 상기 후면전극층(200), 상기 광 흡수층(300), 상기 버퍼층(400) 및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을 관통한다. 상기 제 4 관통홈(TH4)은 상기 지지기판(100)의 중앙 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태양전지들(C11...C1n)은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이 배치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태양전지들(C11...C1n)은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태양전지들(C11...C1n)은 상기 절연층(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연결배선(112)과 마주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태양전지들(C21...C2n)은 상기 제 1 연결배선(111)이 배치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 2 태양전지들(C21...C2n)은 상기 제 1 연결배선(111)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태양전지들(C21...C2n)은 상기 절연층(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연결배선(111)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 1 버스 바(810)는 상기 제 1 태양전지들(C11...C1n)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 버스 바(810)는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을 통하여, 상기 2 태양전지들(C11...C2n)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버스 바(820)는 상기 제 2 태양전지들(C21...C2n)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버스 부는 상기 제 1 연결배선(111)을 통하여, 상기 제 1 태양전지들(C11...C1n)에 연결된다.
상기 접속부들(700)은 상기 제 2 관통홈들(TH2)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접속부들(700)은 상기 전면전극층(60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후면전극층(200)에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들(700)은 서로 인접하는 태양전지들(C11...C2n)을 연결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접속부들(700)은 서로 인접하는 태양전지들(C11...C2n)에 각각 포함된 전면전극과 후면전극을 연결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태양전지들(C11...C1n) 중, 상기 제 4 관통홈(TH4)에 가장 인접한 태양전지(이하, 제 1 중앙 태양전지(C1n))는 상기 접속부(700) 및 제 1 접속 후면전극(201)을 통하여, 상기 제 1 연결배선(111)에 접속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중앙 태양전지(C1n)의 전면전극(610)은 상기 접속부(700) 및 상기 제 1 접속 후면전극(201)을 통하여, 상기 제 1 연결배선(111)에 접속된다.
상기 제 1 접속 후면전극(201)은 상기 절연층(120)에 형성되는 제 1 컨택홀(121)을 통하여, 상기 제 1 연결배선(111)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 1 중앙 태양전지(C1n)의 전면전극(610)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접속 후면전극(201)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태양전지들(C21...C2n) 중, 상기 제 4 관통홈(TH4)에 가장 인접한 태양전지(이하, 제 2 중앙 태양전지(C21))는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중앙 태양전지(C21)의 후면전극(220)은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 2 중앙 태양전지(C21)의 후면전극(220)은 상기 절연층(120)에 형성되는 제 2 컨택홀(122)을 통하여,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태양전지들(C11...C1n) 중,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태양전지(이하, 제 1 최외곽 태양전지(C11))는 상기 제 2 연결배선(112) 및 상기 제 1 버스 바(810)에 접속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최외곽 태양전지(C11)의 후면전극(230)은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은 상기 제 1 버스 바(81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 1 최외곽 태양전지(C11)의 후면전극(230)은 상기 제 1 버스 바(810)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태양전지들(C21...C2n) 중,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태양전지(이하, 제 2 최외곽 태양전지(C2n))는 상기 제 2 연결배선(112) 및 상기 제 2 버스 바(820)에 접속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최외곽 태양전지(C2n)의 전면전극(640)은 접속부(700) 및 제 2 접속 후면전극(202)을 통하여, 상기 제 2 버스 바(820) 및 상기 제 1 연결배선(111)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태양전지들(C11...C1n)은 상기 제 2 태양전지들(C21...C2n)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속부, 상기 제 1 접속 후면전극(201), 상기 제 2 접속 후면전극(202), 상기 제 1 연결배선(111) 및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을 통하여, 상기 제 1 태양전지들(C11...C1n)은 상기 제 2 태양전지들(C21...C2n)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 연결배선층(110)을 사용하여, 상기 태양전지들(C11...C2n)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 태양전지들(C11...C2n)을 직렬 및 병렬로 연결시켜서, 상기 제 1 버스 바(810) 및 상기 제 2 버스 바(820) 등에 걸리는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열화에 의한 상기 제 1 버스 바 및 상기 제 2 버스 바(820)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향상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 연결배선층(110)을 상기 광 흡수층(300) 및 상기 지지기판(100) 사이에 개재시킨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발전 면적 감소 없이, 상기 태양전지들(C11...C2n)을 다양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발전 면적을 감소시키지 않고, 향상된 광-전 변환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 즉, 앞서 설명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설명은 본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에 본질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지지기판(100) 상에 연결배선층(11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기판(100) 상에 도전층이 형성되고, 상기 도전층이 패터닝되어, 상기 연결배선층(1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패터닝 공정에 의해서, 제 1 연결배선(111) 및 제 2 연결배선(112)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연결배선(111) 및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은 톱니 형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결배선(111)은 복수의 제 1 연장부들(113)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은 복수의 제 2 연장부들(11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13)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114)은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들(113)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114)은 상기 제 1 연결배선(111)의 몸체 및 상기 제 2 연결배선(112)의 몸체로부터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배선층(110) 상에 절연층(120)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층(120)에는 상기 연결배선층(110)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컨택홀들(121, 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20)은 진공 증착 공정 또는 코팅 공정 등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층(120) 상에 후면전극층(200)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전극층(200)은 패터닝되어 제 1 관통홈들(TH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지지기판(100) 상에 다수 개의 후면전극들(210, 220...), 제 1 연결배선(111) 및 제 2 연결배선(112)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전극층(200)은 레이저에 의해서 패터닝된다.
상기 제 1 관통홈들(TH1)은 상기 지지기판(100)의 상면을 노출하며, 약 80㎛ 내지 약 200㎛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후면전극층(200) 상에 광 흡수층(300), 버퍼층(400) 및 고저항 버퍼층(500)이 형성된다. 상기 광 흡수층(300), 상기 버퍼층(400) 및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은 상기 마스크(20)를 사용하는 증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광 흡수층(300), 상기 버퍼층(400) 및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은 상기 활성 영역(AR)에 형성된다.
상기 광 흡수층(300)은 상기 지지기판(100)에 상기 마스크(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스퍼터링 공정 또는 증발법 등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 흡수층(300)을 형성하기 위해서 구리, 인듐, 갈륨, 셀레늄을 동시 또는 구분하여 증발시키면서 구리-인듐-갈륨-셀레나이드계(Cu(In,Ga)Se2;CIGS계)의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방법과 금속 프리커서 막을 형성시킨 후 셀레니제이션(Selenization) 공정에 의해 형성시키는 방법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금속 프리커서 막을 형성시킨 후 셀레니제이션 하는 것을 세분화하면, 구리 타겟, 인듐 타겟, 갈륨 타겟을 사용하는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서, 상기 후면전극(200) 상에 금속 프리커서 막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금속 프리커서 막은 셀레이제이션(selenization) 공정에 의해서, 구리-인듐-갈륨-셀레나이드계(Cu(In,Ga)Se2;CIGS계)의 광 흡수층이 형성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구리 타겟, 인듐 타겟, 갈륨 타겟을 사용하는 스퍼터링 공정 및 상기 셀레니제이션 공정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구리 타겟 및 인듐 타겟 만을 사용하거나, 구리 타겟 및 갈륨 타겟을 사용하는 스퍼터링 공정 및 셀레니제이션 공정에 의해서, CIS계 또는 CIS계 광 흡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황화 카드뮴이 스퍼터링 공정 또는 용액성장법(chemical bath depositon;CBD) 등에 의해서 증착되고, 상기 버퍼층(400)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버퍼층(400) 상에 징크 옥사이드가 스퍼터링 공정 등에 의해서 증착되고,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이 형성된다.
상기 버퍼층(400) 및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은 작은 두께로 증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버퍼층(400) 및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의 두께는 약 1㎚ 내지 약 80㎚이다.
이후, 상기 광 흡수층(300), 상기 버퍼층(400) 및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의 일부가 제거되어 제 2 관통홈들(TH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관통홈들(TH2)은 팁 등의 기계적인 장치 또는 레이저 장치 등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40㎛ 내지 약 180㎛의 폭을 가지는 팁에 의해서, 상기 광 흡수층(300) 및 상기 버퍼층(400)은 패터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관통홈들(TH2)은 약 200 내지 600㎚의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관통홈들(TH2)의 폭은 약 100㎛ 내지 약 20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관통홈들(TH2)은 상기 후면전극층(200)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형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광 흡수층(300) 상 및 상기 제 2 관통홈들(TH2) 내측에 전면전극층(60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전극층(600)은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 상 및 상기 제 2 관통홈들(TH2) 내측에 투명한 도전물질이 증착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관통홈들(TH2) 내측에 상기 투명한 도전물질이 채워지고, 상기 전면전극층(600)은 상기 후면전극층(200)에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후, 상기 광 흡수층(300), 상기 버퍼층(400),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 및 상기 전면전극층(600)의 일부가 제거되어 제 3 관통홈들(TH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전면전극층(600)은 패터닝되어, 다수 개의 전면전극들 및 복수의 태양전지들(C11...C2n)이 정의된다. 상기 제 3 관통홈들(TH3)의 폭은 약 80㎛ 내지 약 200㎛ 일 수 있다.
이후, 제 1 버스 바(810) 및 제 2 버스 바(8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선층(110) 상에 제 1 버스 바(810) 및 제 2 버스 바(8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버스 바(810) 및 상기 제 2 버스 바(820)는 상기 지지기판(100)의 외곽을 따라서 형성된다. 상기 제 1 버스 바(810) 및 상기 제 2 버스 바(820)의 일부는 상기 제 1 연결배선(111) 및 상기 제 2 연결배선(112) 상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 버스 바(810) 및 상기 제 2 버스 바(820)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연결배선(111) 및 상기 제 2 연결배선(112) 상에, 및 상기 지지기판(100) 상에 도전성 페이스트가 프린트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는 상기 지지기판(100)에 형성되는 관통홀들(101)까지 프린트된다.
이후, 상기 프린트된 도전성 페이스트는 열처리되고, 상기 제 1 버스 바(810) 및 상기 제 2 버스 바(820)가 형성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1 버스 바(810) 및 상기 제 2 버스 바(820)는 진공 증착 방식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버스 바(810) 및 상기 제 2 버스 바(820)에 대응하는 투과부를 포함하는 증착 마스크(20)가 상기 지지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이후, 상기 증착 마스크(20)를 통하여, 상기 후면전극층(200) 및 상기 지지기판(100) 상에 도전성 물질이 증착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버스 바(810) 및 상기 제 2 버스 바(8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 상에 배치되는 연결배선층;
    상기 연결배선층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 1 태양전지들;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 2 태양전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태양전지들 및 상기 제 2 태양전지들은 상기 연결배선층을 통하여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선층은
    상기 제 2 태양전지들이 배치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태양전지들과 연결되는 제 1 연결배선; 및
    상기 제 1 태양전지들이 배치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2 태양전지들과 연결되는 제 2 연결배선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태양전지들은
    상기 절연층 상에 후면전극;
    상기 후면전극 상에 광 흡수층; 및
    상기 광 흡수층 상에 전면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배선은
    상기 제 1 태양전지들 중 하나의 전면전극과 접속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태양전지들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결배선에 연결되는 제 1 버스 바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스 바는 상기 제 1 태양전지들 중 다른 하나의 전면전극에 접속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태양전지들은
    상기 절연층 상에 후면전극;
    상기 후면전극 상에 광 흡수층; 및
    상기 광 흡수층 상에 전면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배선은
    상기 제 2 태양전지들 중 하나의 후면전극과 직접 접속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태양전지들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연결배선에 연결되는 제 2 버스 바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버스 바는 상기 제 1 연결 배선의 상면에 직접 배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120043857A 2012-04-26 2012-04-26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49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57A KR101349571B1 (ko) 2012-04-26 2012-04-26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57A KR101349571B1 (ko) 2012-04-26 2012-04-26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738A KR20130120738A (ko) 2013-11-05
KR101349571B1 true KR101349571B1 (ko) 2014-01-17

Family

ID=4985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857A KR101349571B1 (ko) 2012-04-26 2012-04-26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5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314A (ko) * 2009-03-31 2010-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9313A (ko) * 2009-03-31 2010-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14231A (ko) * 2008-07-02 2011-02-1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231A (ko) * 2008-07-02 2011-02-1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09314A (ko) * 2009-03-31 2010-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9313A (ko) * 2009-03-31 2010-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738A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4791B2 (ja) 太陽光発電装置
US9502591B2 (en) Device for generating photovoltaic pow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KR10128307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4099B1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272470A (zh) 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US20130133740A1 (en) Photovolta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60087134A1 (en) Solar cell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338610B1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3419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5918765B2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1349429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72997B1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8615B1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9571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65922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0015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016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943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2958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6436B1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1398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6527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89366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3123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86218A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