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511B1 -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511B1
KR101349511B1 KR1020120090015A KR20120090015A KR101349511B1 KR 101349511 B1 KR101349511 B1 KR 101349511B1 KR 1020120090015 A KR1020120090015 A KR 1020120090015A KR 20120090015 A KR20120090015 A KR 20120090015A KR 101349511 B1 KR101349511 B1 KR 101349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ice
sea
bending strength
loa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엽
조성락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90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8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B35/083Ice-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41/00Design characteri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종래에는 해빙의 굽힘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해역 해빙의 온도, 염도, 밀도 등의 관계를 이용해 국외에서 개발한 경험식을 바탕으로 대략적인 굽힘강도 값을 추정하였으나, 이는 염수 체적비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측정된 해빙시편의 온도 범위에 따라 굽힘강도의 계산 시 제한을 받게 되며, 해빙의 염도 측정 시 해빙시편을 시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염수의 유출로 인해 정확한 염도 측정이 어렵고 해빙의 밀도를 측정하는 과정 또한 상당히 복잡한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실해역에서 실규모 해빙에 대한 굽힘강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극지해역에서 해빙에 대한 외팔보 시험을 통해 해빙의 굽힘강도를 측정하는 시스템으로서 지지대, 고정장치, 로드셀, 하중실린더, 스크류 잭, 모터, 센서, 데이터 취득 시스템 등으로 구성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극지해역에서 보다 정도 높은 해빙의 굽힘강도 측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쇄빙선박의 쇄빙성능 평가 및 선박의 구조설계 시 기반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measurement method of in-situ flexural strength of sea ice}
본 발명은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해역에서 해빙(sea ice)의 굽힘강도(flexural strength)는 선박의 쇄빙성능(icebreaking performance) 및 선체구조의 안전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항으로서, 이는 쇄빙선박(icebreaking vessel)의 구조설계 및 쇄빙성능 평가 시 주요변수로 작용한다.
실제현장(in-situ)에서 실해역 해빙의 굽힘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재료특성 시험 중 외팔보 시험(cantilever beam test) 또는 3점 굽힘시험(3-point bending test) 등을 이용한 방법이 필요한데, 아직까지 실해역 해빙의 굽힘강도 측정에 대한 정량화된 체계와 방법 및 실규모(full-scale)의 측정시스템 개발은 전무한 실정이다.
기존에 해빙의 굽힘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1994년 Timco와 O'Brien이 제안한 도 3의 경험식을 이용한 방법으로, 시추장비를 이용해 해빙시편을 추출한 다음, 추출된 해빙시편의 온도와 밀도, 염도를 측정한 후, 이들의 관계를 이용해 해빙의 대략적인 굽힘강도를 추정하게 된다.
하지만 도 3의 경험식의 경우 염수 체적비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측정된 해빙시편의 온도 범위에 따라 F1(Ti) 계산 시 제한을 받게 되며, 해빙의 염도 측정 시 해빙시편을 시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염수의 유출로 인해 정확한 염도 측정이 어렵고 해빙의 밀도를 측정하는 과정 또한 상당히 복잡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실해역에서 실규모 해빙에 대한 굽힘강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대, 고정장치, 로드셀, 하중실린더, 스크류 잭, 모터, 센서, 엔코더, 데이터 취득 시스템을 포함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으로서,
해빙을 외팔보 형태로 제작한 다음, 상기 지지대를 조립하여 해빙의 표면에 설치하고, 상기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를 해빙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지지대에 상기 로드셀, 상기 스크류 잭, 상기 모터, 상기 센서, 상기 엔코더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와 상기 로드셀을 상기 엔코더에 연결하며, 상기 로드셀의 하부에는 상기 하중실린더를 부착하고, 상기 엔코더 및 상기 센서를 상기 데이터 취득 시스템과 연결하는, 제2 단계;
해빙의 외팔보 끝단에 상기 하중실린더가 닿을 수 있도록 상기 하중실린더를 이동시킨 후 상기 로드셀의 영점조절을 수행하는, 제3 단계 및;
해빙의 굽힘강도 시험을 수행하면서 상기 데이터 취득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결과를 저장, 분석한 다음 해빙의 굽힘강도를 최종 계산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팔보 형태로 제작된 해빙의 표면에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는 고정장치에 의하여 해빙에 단단히 고정되고, 로드셀, 스크류 잭, 모터, 센서, 엔코더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와 상기 로드셀은 상기 엔코더에 연결되고, 상기 로드셀의 하부에는 하중실린더가 부착되고, 상기 엔코더 및 상기 센서는 데이터 취득 시스템과 연결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으로서,
상기 스크류 잭이 해빙의 외팔보에 하중을 가하고, 상기 하중실린더가 해빙의 외팔보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로드셀로 전달하고, 상기 로드셀이 상기 하중실린더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모터가 상기 스크류 잭의 하중, 재하속도, 변형률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센서가 대기의 온도와 습도, 해수의 온도와 염도와 같은 주변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취득 시스템이 상기 엔코더로부터 해빙의 외팔보에 가해지는 하중, 재하속도, 변형률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대기의 온도와 습도, 해수의 온도와 염도와 같은 주변 환경정보를 취득하며, 당해 정보를 이용해 해빙의 굽힘강도를 최종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극지해역에서 보다 정도 높은 해빙의 굽힘강도 측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쇄빙선박의 쇄빙성능 평가 및 선박의 구조설계 시 기반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기존에 해빙의 굽힘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1994년 Timco와 O'Brien이 제안한 경험식.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종래에는 해빙의 굽힘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해역 해빙의 온도, 염도, 밀도 등의 관계를 이용해 국외에서 개발한 경험식(empirical equation)을 바탕으로 대략적인 굽힘강도 값을 추정하였으나, 이는 염수 체적비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측정된 해빙시편의 온도 범위에 따라 굽힘강도의 계산 시 제한을 받게 되며, 해빙의 염도 측정 시 해빙시편을 시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염수의 유출로 인해 정확한 염도 측정이 어렵고 해빙의 밀도를 측정하는 과정 또한 상당히 복잡한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실해역에서 실규모 해빙에 대한 굽힘강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극지해역에서 해빙에 대한 외팔보 시험을 통해 해빙의 굽힘강도를 측정하는 시스템으로서 지지대(structure)(1), 고정장치(locking device)(8), 로드셀(load cell)(2), 하중실린더(loading cylinder)(3), 스크류 잭(screw jack)(4), 모터(AC motor)(5), 센서(sensor)(6a, 6b, 6c), 데이터 취득 시스템(DAQ)(7) 등으로 구성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도 1, 도 2).
본 발명의 경우 시험에 수반되는 모든 장비는 실제 빙판 위에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며, 공구의 공용화를 통해 한 가지 공구를 이용해 작업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하,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시스템의 구성요소별 기능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대(1)는 본 발명을 실제 해빙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된 상판(1a)과 상판(1a)의 네 모서리에 부착된 지지다리(1b)로 이루어져 있어 지지다리(1b)가 해빙의 표면을 딛고 서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대(1)는 해빙의 굽힘강도 시험 시 10톤 이상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확보한 구조로 설계되며,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제작한다.
고정장치(8)는 상기 지지대(1)와 함께 본 발명을 실제 해빙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해빙의 굽힘강도 시험 시 지지대(1)가 하중에 의하여 인발(해빙의 표면에서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대(1)를 주변 해빙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장치(8)는 상단부가 지지대(1)의 하단부(지지다리(1b)의 하부 끝단)와 조립 연결되며, 빙판에 2인치 정도의 크기로 구멍(hole)을 만든 후 빙판의 두께를 관통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제작하는바, 고정장치(8)의 하단부는 빙판의 바닥면에 대하여 고정이 가능하도록 T자 형태로 제작된다. 이렇게 하면 고정장치(8)의 하단부가 빙판의 구멍에 결려 단단히 고정되므로 고정장치(8)와 연결된 지지대(1)의 인발을 막을 수 있다.
로드셀(2)은 지지대(1)의 상판(1a)에 설치되며, 해빙의 굽힘강도 시험 시 해빙의 외팔보(1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한다.
하중실린더(3)는 상단부를 로드셀(2)의 하부에 연결하며, 해빙의 외팔보(12) 끝단에 하중실린더(3)가 닿을 수 있도록 하중실린더(3)를 이동시켜 하단부를 해빙의 표면에 붙인 다음 로드셀(2)의 영점조절(zero setting)을 수행한다. 이러한 하중실린더(3)는 해빙의 굽힘강도 시험 시 해빙의 외팔보(12)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로드셀(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로드셀(2)은 하중실린더(3)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하중실린더(3)의 하단부가 닿아있는 해빙의 표면이 녹아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중실린더(3)의 하단부에는 경화고무(rubber) 재질의 고무판(10)을 설치한다.
스크류 잭(4)은 지지대(1)의 상판(1a)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셀(2)과 연결되며, 해빙의 굽힘강도 시험 시 해빙의 외팔보(12)에 하중을 가하는 것(하중재하)이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push/pull)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 경우 지지대(1)의 상판(1a)에는 스크류 잭(4)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샤프트(guide shaft)(11)를 함께 설치한다. 해빙의 굽힘강도 시험 시 스크류 잭(4)이 해빙의 외팔보(12)에 하중을 가하면 하중실린더(3)는 해빙의 외팔보(12)에 가해지는 하중을 로드셀(2)로 전달하며 로드셀(2)은 하중실린더(3)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측정한다.
모터(5)는 지지대(1)의 상판(1a)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 잭(4)과 연결되며, 해빙의 굽힘강도 시험 시 스크류 잭(4)의 하중, 재하속도, 변형률(strain rate)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해빙의 굽힘강도 시험 시 해빙의 외팔보(12)에 가해지는 하중, 재하속도나 해빙의 변형률을 다각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해빙의 재료특성을 고려하여 연성(ductile) 및 취성(brittle) 영역에 걸쳐서 다양한 재료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모터(5) 및 로드셀(2)은 지지대(1)의 상판(1a)에 설치되는 엔코더(encoder)(9)와 연결시킨다.
센서(6a, 6b, 6c)는 지지대(1) 및 해빙 아래 해수 중에 설치되며, 해빙의 굽힘강도 시험 시 대기의 온도와 습도, 해수의 온도와 염도 등의 주변 환경정보를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는 온도센서(6a), 습도센서(6b), 염도센서(6c)로 이루어져 있는바, 온도센서(6a)는 지지대(1) 및 해빙 아래 해수 중에 설치되어 대기와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습도센서(6b)는 지지대(1)에 설치되어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며, 염도센서(6c)는 해빙 아래 해수 중에 설치되어 해수의 염도를 측정한다.
데이터 취득 시스템(7)은 엔코더(9), 센서(6a, 6b, 6c)와 연결되며, 엔코더(9)를 이용해 해빙의 굽힘강도 시험 시 해빙의 외팔보(12)에 가해지는 하중, 재하속도, 변형률 등의 정보를 취득하고, 센서(6a, 6b, 6c)로부터 취득한 대기의 온도와 습도, 해수의 온도와 염도 등의 주변 환경정보를 이용해 해빙의 굽힘강도를 최종 계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시스템을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 해빙의 굽힘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단계별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 해빙을 외팔보 형태로 제작한 다음, 지지대(1)를 조립하여 해빙의 표면에 설치하고, 고정장치(8)를 설치하여 지지대(1)를 해빙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제2 단계: 지지대(1)에 로드셀(2), 스크류 잭(4), 모터(5), 센서(6a, 6b, 6c), 엔코더(9)를 설치하고, 모터(5)와 로드셀(2)을 엔코더(9)에 연결하고, 로드셀(2)의 하부에는 하중실린더(3)를 부착하고, 하중실린더(3)의 하단부에는 고무판(10)을 설치하며, 엔코더(9) 및 센서(6a, 6b, 6c)를 데이터 취득 시스템(7)과 연결한다.
제3 단계: 해빙의 외팔보(12) 끝단에 하중실린더(3)가 닿을 수 있도록 하중실린더(3)를 이동시킨 후 로드셀(2)의 영점조절을 수행한다.
제4 단계: 해빙의 굽힘강도 시험을 수행하고 측정결과를 저장, 분석한 다음 해빙의 굽힘강도를 최종 계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극지해역에서 보다 정도 높은 해빙의 굽힘강도 측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쇄빙선박의 쇄빙성능 평가 및 선박의 구조설계 시 기반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지지대 1a : 상판
1b : 지지다리 2 : 로드셀
3 : 하중실린더 4 : 스크류 잭
5 : 모터 6a : 온도센서
6b : 습도센서 6c : 염도센서
7 : 데이터 취득 시스템 8 : 고정장치
9 : 엔코더 10 : 고무판
11 : 가이드 샤프트 12 : 해빙의 외팔보

Claims (20)

  1. 지지대, 고정장치, 로드셀, 하중실린더, 스크류 잭, 모터, 센서, 엔코더, 데이터 취득 시스템을 포함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으로서,
    해빙을 외팔보 형태로 제작한 다음, 상기 지지대를 조립하여 해빙의 표면에 설치하고, 상기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를 해빙에 단단히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장치는 상단부가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와 조립 연결되며, T자 형태로 제작된 하단부가 빙판의 두께를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을 통과한 후 빙판의 바닥면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1 단계;
    상기 지지대에 상기 로드셀, 상기 스크류 잭, 상기 모터, 상기 센서, 상기 엔코더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와 상기 로드셀을 상기 엔코더에 연결하며, 상기 로드셀의 하부에는 상기 하중실린더를 부착하고, 상기 엔코더 및 상기 센서를 상기 데이터 취득 시스템과 연결하는, 제2 단계;
    해빙의 외팔보 끝단에 상기 하중실린더가 닿을 수 있도록 상기 하중실린더를 이동시킨 후 상기 로드셀의 영점조절을 수행하는, 제3 단계 및;
    해빙의 굽힘강도 시험을 수행하면서 상기 데이터 취득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결과를 저장, 분석한 다음 해빙의 굽힘강도를 최종 계산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상기 지지대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네 모서리에 부착된 지지다리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지지다리가 해빙의 표면을 딛고 서서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제2 단계에서, 상기 하중실린더의 하단부에는 고무판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판은 경화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제2 단계에서, 상기 센서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염도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제4 단계에서, 상기 스크류 잭은 해빙의 외팔보에 하중을 가하고, 상기 하중실린더는 해빙의 외팔보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로드셀로 전달하고, 상기 로드셀은 상기 하중실린더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측정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스크류 잭의 하중, 재하속도, 변형률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제4 단계에서, 상기 온도센서는 대기와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제4 단계에서, 상기 습도센서는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제4 단계에서, 상기 염도센서는 해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11. 제7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4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취득 시스템은 상기 엔코더로부터 해빙의 외팔보에 가해지는 하중, 재하속도, 변형률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온도센서, 상기 습도센서 및 상기 염도센서로부터 대기의 온도와 습도, 해수의 온도와 염도 정보를 취득하며, 당해 정보를 이용해 해빙의 굽힘강도를 최종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12. 외팔보 형태로 제작된 해빙의 표면에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는 고정장치에 의하여 해빙에 단단히 고정되고, 로드셀, 스크류 잭, 모터, 센서, 엔코더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와 상기 로드셀은 상기 엔코더에 연결되고, 상기 로드셀의 하부에는 하중실린더가 부착되고, 상기 엔코더 및 상기 센서는 데이터 취득 시스템과 연결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으로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단부가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와 조립 연결되고, T자 형태로 제작된 하단부가 빙판의 두께를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을 통과한 후 빙판의 바닥면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 잭이 해빙의 외팔보에 하중을 가하고, 상기 하중실린더가 해빙의 외팔보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로드셀로 전달하고, 상기 로드셀이 상기 하중실린더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모터가 상기 스크류 잭의 하중, 재하속도, 변형률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센서가 대기의 온도와 습도, 해수의 온도와 염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취득 시스템이 상기 엔코더로부터 해빙의 외팔보에 가해지는 하중, 재하속도, 변형률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대기의 온도와 습도, 해수의 온도와 염도 정보를 취득하며, 당해 정보를 이용해 해빙의 굽힘강도를 최종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네 모서리에 부착된 지지다리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지지다리가 해빙의 표면을 딛고 서서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14. 삭제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실린더의 하단부에는 고무판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판은 경화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염도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대기와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센서는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염도센서는 해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KR1020120090015A 2012-08-17 2012-08-17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KR101349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015A KR101349511B1 (ko) 2012-08-17 2012-08-17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015A KR101349511B1 (ko) 2012-08-17 2012-08-17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511B1 true KR101349511B1 (ko) 2014-01-09

Family

ID=5014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015A KR101349511B1 (ko) 2012-08-17 2012-08-17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51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14922C1 (ru) * 2015-12-08 2017-03-3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Арктический и Антарктиче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ФГБУ "ААНИ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 натурных условиях деформационных и прочностны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ровного ледяного покрова при изгибе
WO2017175921A1 (ko) * 2016-04-06 2017-10-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시험용 선박 충격하중 측정 장치
KR101982016B1 (ko) 2018-04-12 2019-05-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빙 압축강도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CN110006753A (zh) * 2019-04-19 2019-07-12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测量冰水混合物压剪特性的实验装置
RU2740473C1 (ru) * 2020-03-25 2021-01-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Арктический и Антарктиче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ФГБУ "ААНИИ") Система для испытаний прочности при изгибе ледяных консольных балок на плаву воздействием вверх
KR20210064810A (ko) * 2019-11-26 2021-06-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빙의 굽힘 강도 측정 장치
CN113933173A (zh) * 2021-11-22 2022-01-14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极地低温环境结构试验装置及试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5293A (ja) * 2002-07-15 2004-02-12 Mitsubishi Heavy Ind Ltd 曲げ荷重試験装置及び試験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5293A (ja) * 2002-07-15 2004-02-12 Mitsubishi Heavy Ind Ltd 曲げ荷重試験装置及び試験方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추코트해에서 북극 해빙의 재료특성 계측,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 2011.11., pp. 74~80) *
논문(추코트해에서 북극 해빙의 재료특성 계측,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 2011.11., pp. 74~80)*
보고서(ARCTIC SEA ICE,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conducted by the Division of Earth Sciences and supported by the Office of Naval Research, 1958.02, pp139-142) *
보고서(ARCTIC SEA ICE,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conducted by the Division of Earth Sciences and supported by the Office of Naval Research, 1958.02, pp139-142)*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14922C1 (ru) * 2015-12-08 2017-03-3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Арктический и Антарктиче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ФГБУ "ААНИ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 натурных условиях деформационных и прочностны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ровного ледяного покрова при изгибе
WO2017175921A1 (ko) * 2016-04-06 2017-10-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시험용 선박 충격하중 측정 장치
KR101982016B1 (ko) 2018-04-12 2019-05-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빙 압축강도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CN110006753A (zh) * 2019-04-19 2019-07-12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测量冰水混合物压剪特性的实验装置
CN110006753B (zh) * 2019-04-19 2021-10-2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测量冰水混合物压剪特性的实验装置
KR20210064810A (ko) * 2019-11-26 2021-06-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빙의 굽힘 강도 측정 장치
KR102282869B1 (ko) 2019-11-26 2021-07-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빙의 굽힘 강도 측정 장치
RU2740473C1 (ru) * 2020-03-25 2021-01-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Арктический и Антарктиче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ФГБУ "ААНИИ") Система для испытаний прочности при изгибе ледяных консольных балок на плаву воздействием вверх
CN113933173A (zh) * 2021-11-22 2022-01-14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极地低温环境结构试验装置及试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863B1 (ko)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시스템
KR101349511B1 (ko)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
Michel et al. Penetration of corrosion products and corrosion-induced cracking in reinforced cementitious materials: Experimental investigations and numerical simulations
CN206056861U (zh) 一种航空发动机试车台架的推力测量校准装置
Zhang et al. Ultimate strength experiment of hull structural plate with pitting corrosion damage under unaxial compression
Sadowski New non-destructive method for linear polarisation resistance corrosion rate measurement
Shin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slamming impact acted on flat bottom bodies and cumulative damage
CN105352800A (zh) 钢箱梁疲劳裂纹扩展速率测试方法
Wang et al. Capillary absorption of concrete after mechanical loading
CN102621220A (zh) 钢箱梁桥顶板-纵肋焊接细节的剩余使用寿命预测方法
Li et al. Measurement methods of geometrical parameters and amount of corrosion of steel bar
Bunnori et al. The use of acoustic emission for the early detection of cracking in concrete structures
CN103196642A (zh) 中小跨度混凝土桥梁重装备通过性的快速检测评估方法
KR20130113365A (ko) 해양 플로팅 도크 탑재 정도 관리 시스템
WO2015150463A1 (en) Corros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in concrete structures
CN103994957A (zh) 法向应力作用下大尺度单裂隙介质渗透性测定试验装置
CN103994956A (zh) 三轴应力作用下大尺度单裂隙介质渗透性测定试验装置
CN106442682B (zh) 一种钢筋混凝土结构中钢筋析氢临界电流密度的测定方法
Sreeshylam et al. Condition monitoring of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using vibrating wire sensors.
KR101499016B1 (ko) 가속도 및 변형률 측정값에 기반한 구조물의 중립축 추정을 통한 손상 감지 방법
CN100498274C (zh) 一种铝塑复合板循环应变下折边服役寿命的测定方法
CN103981527A (zh) 一种多通道海洋平台阴极保护参数监测装置
Reichling et al. Method to determine electrochemical potential gradients without reinforcement connection in concrete structures
Ziemer Utilization of Tactile Sensors to Investgate Local Ice Pressure in Scale Model Tests
CN208765713U (zh) 一种用于测量地表水水深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